WO2014084527A1 -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 Google Patents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4527A1
WO2014084527A1 PCT/KR2013/010344 KR2013010344W WO2014084527A1 WO 2014084527 A1 WO2014084527 A1 WO 2014084527A1 KR 2013010344 W KR2013010344 W KR 2013010344W WO 2014084527 A1 WO2014084527 A1 WO 20140845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rylate
binder
electrode
secondary battery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3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민아
김영민
박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3858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89938B1/en
Priority to CN201380056215.9A priority patent/CN104798231A/zh
Priority to US14/433,281 priority patent/US9887423B2/en
Publication of WO20140845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4527A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binder excellent in adhesive force.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such electrochemical energy is a secondary battery, and its use area is gradually increasing.
  • a typ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uses graphite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while repeating a process in which lithium ions of a positive electrode ar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a negative electrode.
  • the theoretical capacity of the batter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but as the cycle progresses, the charge and discharge capacity is generally lowered.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SBR styrene-butadiene rubber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repeated studies and various experiments, are polymer particles including essentially (meth) acrylamide-based units and crosslinking units containing at least one epoxy grou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evelopment of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polymer particles of 0.3 micrometers to 0.7 micrometers has been developed. When such a binder is used, the battery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support of the active material even at a high drying temp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ycl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lymer of the following units, and the units include (A) (meth) acrylic acid ester units; (B) at least one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ate compound, a styrene compound and a compound having a cyan group; (C)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units; (D) (meth) acrylamide units; And (E) a unit for crosslinking comprising at least one epoxy group.
  • the polymer particles prepared from these units are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s to 0.7 micrometers.
  • the binder for th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such polymer particles.
  • the polymer particles may be composed of the (A) to (E) units, in this case, (A) unit is contained in 15 to 96%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binder, The (B) unit is contained in 1 to 55% by weight, the (C) unit is included in 1 to 20% by weight, the (D) unit is included in 1 to 5% by weight, the ( E) the unit may be contained in 1 to 5% by weight.
  • the (A) unit may be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C 1 -C 14 alkyl group, for example, the (meth) acrylic acid ester unit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 Rate, iso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 amyl acrylate, iso amyl acrylate, n-ethylhex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amyl methacrylate, isoamyl methacrylate, n- With hexyl methacrylate, n-e
  • the acrylate compound in the unit (B) is, for example, methacryloxy ethyl ethylene urea, beta-carboxy ethyl acrylate, aliphatic monoacrylate, dipropylene diacrylate, ditrimethyllopropane tetra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dipentaerytriol hexaacrylate, pentaerytriol triacrylate, pentaerytriol tetraacrylate, lauryl acrylate, seryl acrylate, stear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 It may b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tyl methacrylate and stearyl methacrylate.
  • Such an acrylate compound is distinguished from the said (E) unit in the point which does not contain an epoxy group.
  • the styrene-based compound in the unit (B) may b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alpha-methylstyrene, beta-methylstyrene, pt-butylstyrene, and divinylbenzene, and the compound containing the cyan group.
  • the (C) unit that is, th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unit is a maleic acid, fumar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glutamic acid, iticonic acid, tetrahydrophthalic acid, co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and nadic acid in the group consisting of It may be one or more units selected.
  • the (D) unit that is, (meth) acrylamide-based unit is acrylamide, methacrylamide, N-methylacrylamide, N-methylmethacrylamide, N, N-dimethylacrylamide, N, N-dimethyl Methacrylamide, N-ethylacrylamide, N-ethylmethacrylamide, Nn-propylacrylamide, Nn-propylmeth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N-isopropylmethacrylamide and Nn-butylacrylamide , N-methylol (meth) acrylamide,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N- [4- (3- (4-dodecyl-phenylcarbamoyl) -propyl) phenyl] acrylamide (N -[4- (3- (4-dodecyl-phenylcarbamoyl) -propyl) phenyl] acrylamide, NDPA), (N- [5
  • the crosslinking unit may be (meth) acrylate including one or more epoxy, and more specifically, glycidyl methacrylate.
  • 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and / or a crosslinking agent as a polymerization additive.
  •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s may be those known in the art,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3- Buta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 propanetrimethacrylate, trimethylol methane triacrylate, aryl methacrylate (AMA) , Triaryl isocyanurate (TAIC), triaryl amine (TAA), diaryl amine (DAA),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butylene glycol diacrylate, and the like. Used.
  •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3- Butadiol dimeth
  • the binder concerning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the polymerization time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method or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about 50 degrees to 100 degrees
  • the polymerization time may be about 1 to 20 hours. .
  • emulsifier used in such emulsion polymerization for example, a fatty acid salt system represented by oleic acid, stearic acid, lauric acid, sodium or potassium salt of mixed fatty acids, general anionic emulsifiers such as rosin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nonionic emulsifier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olyoxyethylene glycol,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 an alkyldiphenyloxide disulfonate having an alkyl group of polyoxyethylene glycol and C 1 -C 20 is used as an emulsifi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oating process of a slurry is followed by a drying process.
  • a drying process In the case of an aqueous binder, since water is evaporated, it is difficult to dry easily.
  • moisture is a large factor that impairs stability in the battery, a process of completely drying the slurry is important. Drying at higher temperatures shortens processing time and speeds up drying, but the binder also migrates more to the coating surface. Therefore, the adhesive strength is significantly reduced, it is difficult to raise the drying temperature easily.
  • th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particle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eneral polymerized polymer particles, the polymer particles after drying due to the large particle size is relatively present on the current collector side, thereby Adhesion to the whole can be improved.
  • the particle size is too large,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such as conductivity, such as, as defined above, the particle size range of 0.3 micrometers to 0.7 micrometers, preferably 0.4 micrometers to 0.6 micrometers, more preferably May be 0.4 micrometers to 0.5 micrometers.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lymer in general emulsion polymerization is 0.1 micrometer to 0.3 micrometer,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the polymer particles in th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iderably large particle size.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lymer 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by changing the kind of emulsifier as described above, changing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or polymerizing in two steps.
  • the binder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scosity modifier and a filler.
  • a viscosity modifier and fill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mixture of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 discharging lithium.
  • the binder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for example, 0.5 to 20%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lectrode mixture.
  • the electrode mixture of the said secondary battery further contains a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 the conductive materi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 Preferred example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powder or carbon powd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wherein the electrode mixture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 the electrode may be coated with an electrode mixture on a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and rolling to prepare an electrode.
  •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may be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is prepared by, for example, applying a mixture of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 binder, and the like on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It is then prepared by drying. In some cases, a conductive material may not be inclu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material capable of cau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ist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de.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amples include carbon and graphite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expanded graphite, carbon fiber, non-graphitizable carbon,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fullerene, and activated carbon; Metals such as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which can be alloyed with lithium, and compounds containing these elements; Complexes of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and graphite materials; Lithium-containing nitrides; and the like.
  • carbon-based active materials, silicon-based active materials, tin-based active materials, or silicon-carbon-based active materials are more preferabl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conductive material is a component for further improving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added at 0.01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de mixture.
  • a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s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arbon derivative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fullerenes,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powder, aluminum powder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y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urrent collector is a portion where electrons move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active material, and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xist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micrometers.
  • Such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micrometers. Such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surface of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and the like, aluminum-cadmium alloy,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mixture (electrode mixtur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iscosity modifier and a filler.
  • the viscosity modifier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viscosity of the electrode mixture so that the mixing process of the electrode mixture and the coating process on the current collector thereof can be easily added, up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de mixture.
  • examples of such viscosity modifi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boxymethyl cellulose, polyacrylic acid, and the like.
  • the filler is an auxiliary component that suppresses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 the filler include 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ar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generally includes a separator and a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in addition to the electrode.
  •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 the pore diameter of the separator is generally from 0.01 to 10 micrometers, the thickness is generally from 5 to 300 micrometers.
  • a separator for example, a sheet,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made of an olefin polymer such as polypropylene having chemical resistance and hydrophobicity, glass fiber or polyethylene, or the like is used.
  • a solid electrolyte such as a polymer is used as the electrolyte
  • the solid electrolyte may also serve as a separator.
  • the lithium-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consists of a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a lithium salt.
  • the lithium salt is a material that is easy to dissolve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for exampl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LiSbF 6, LiAlCl 4, CH 3 SO 3 Li, CF 3 SO 3 Li, (CF 3 SO 2) 2 NLi,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lithium tetraphenyl borate and imide have.
  • an organic solid electrolyte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or the like may be used.
  • organic solid electrolyte examples include polyethylene derivatives,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s,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s, phosphate ester polymers, polyedgetion lysine, polyester sulfides, polyvinyl alcohols, polyvinylidene fluorides, Polymers containing ionic dissociating groups and the like can be used.
  • Examples of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nclude Li 3 N, LiI, Li 5 NI 2 , Li 3 N-LiI-LiOH, LiSiO 4 , LiSiO 4 -LiI-LiOH, Li 2 SiS 3 , Li 4 SiO 4 , Nitrides, halides, sulfates and the like of Li, such as Li 4 SiO 4 -LiI-LiOH, Li 3 PO 4 -Li 2 S-SiS 2 ,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includes, for example, pyridine, triethyl phosphite, triethanolamine, cyclic ether, ethylene diamine, n-glyme, and hexaphosphate triamide. , Nitrobenzene derivative, sulfur, quinone imine dye, N-substituted oxazolidinone, N, N-substituted imidazolidine, ethylene glycol dialkyl ether, ammonium salt, pyrrole, 2-methoxy ethanol, aluminum trichloride, etc.
  • a halogen-containing solvent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or ethylene trifluorid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carbon dioxide gas may be further included to improve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and FEC (Fluoro-Ethylene) may be further included.
  • carbonate), PRS (propene sultone), FEC (Fluoro-Ethlene carbonate)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be used in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small device, but also preferably used as a unit battery in a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medium and large device. .
  • the medium-to-large device include a power tool driven by an electric motor;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and the like; Electric motorcycles including electric bicycles (E-bikes) and electric scooters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lectric vehicl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and the like
  • Electric motorcycles including electric bicycles (E-bikes) and electric scooters (E-scooters); Electric golf carts;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in which monomers were polymerized was prepared.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lymer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two emulsifiers, the particle size decreases as the amount of the two emulsifiers increases, and the particle size increases as the amount of the two emulsifiers is increased.
  •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was reduced to prepare a binder for a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4 micrometer by the method of Example 1.
  •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was reduced to prepare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micrometer by the method of Example 1.
  •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was reduced to prepare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6 micrometer by the method of Example 1.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N-methylol acrylamide was used instead of acrylamide as a monomer.
  • the binder for secondary electrodes of th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polymer particl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micrometer wa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an emulsifier.
  •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was reduced to prepare a binder for a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8 micrometer by the method of Example 1.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 a binder for a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glycidyl methacrylate was not added.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crylamide was increased to 6 g.
  • a binder for an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glycidyl methacrylate was increased to 6 g.
  • the binders of Examples 1 to 6 and the binder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respectively added so that the ratio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the thickener, and the binder were 95: 1: 1: 1 to make the slurry. Then, the slurry was coated on Cu foil to prepare an electrode, and dried at 90 degrees and 120 degrees, respectively.
  • the electrodes using the binder of Examples 1 to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 significantly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electrod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6.
  •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when 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arger than 0.3 micrometers, the adhesive force increases rapidly.
  • the change in adhesion force according to the particle diameter is greater at 120 degrees than 90 degrees, which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case whe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0.3 micrometers than the case of less than 0.3 micrometers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greater the effect.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adhesive force due to the shift of the binder is greater tha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due to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binder.
  • Comparative Examples 3 to 4 can be confirmed that the adhesion strength is inferior as compared with Example 1 in the adhesive strength when not containing acrylamide and glycidyl methacrylate monomer, respectively.
  • Comparative Examples 5 to 6 show an adhesive strength when the content of acrylamide and glycidyl methacrylate monomers is excessive, inferior to Example 1 as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4.
  • the binder for th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mentioned (A) to (E) units and polymer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3 micrometer to 0.7 micrometer, Edo excellent adhesion to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support of the active material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위체; (B)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스티렌계 화합물 및 시안기를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위체; (C) 불포화모노카르본산계 단위체; (D)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 및 (E)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용 단위체; 를 포함하는 단위체들로부터 제조되며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인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본 발명은,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는 주로 니켈 수소금속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단계에 있다.
종래 전형적인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활물질로 흑연을 사용하며,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삽입되고 탈리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충전과 방전이 진행된다. 전극 활물질의 종류에 따라 전지의 이론 용량은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전지의 충전 및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극의 부피 변화에 의해 전극 활물질간 또는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가 분리되어 상기 활물질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것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 또한, 삽입 및 탈리되는 과정에서 음극에 삽입된 리튬 이온이 제대로 빠져 나오지 못하여 음극의 활성점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전지의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이 감소하기도 한다.
특히, 방전 용량을 높이기 위해, 이론적 방전 용량이 372 mAh/g인 천연 흑연에 방전 용량이 큰 실리콘, 주석, 실리콘-주석 합금 등과 같은 재료를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충전 및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재료의 부피 팽창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극재로부터 음극재의 이탈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반복적인 사이클이 진행되면서 전지의 용량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강한 접착력으로 전극 활물질간 또는 전극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고, 반복되는 충방전시 발생되는 전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제어하여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 및 이로 인한 전지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바인더 및 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당업계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용매계 바인더인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이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최근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를 수상에서 중합하여 유화 입자를 제조하고, 중성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현재 상업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인더의 경우, 환경 친화적이고 바인더 사용 함량을 줄여 전지 용량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고무 탄성에 의해 접착 지속력은 향상되지만 접착력 자체에서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바인더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은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용 단위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인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건조온도에서도 전극 집전체에 대한 밀착력 및 활물질의 지지력이 우수하여 전지의 사이클 특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는, 하기와 같은 단위체들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체들은,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위체; (B)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스티렌계 화합물 및 시안기를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위체; (C) 불포화모노카르본산계 단위체; (D)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 및 (E)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용 단위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위체들로부터 제조되는 고분자 입자는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인 고분자 입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는 이러한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입자는, 상기 (A) 내지 (E) 단위체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A) 단위체는 바인더 전체 중량 대비 15 내지 96 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B) 단위체는 1 내지 55 중량%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C) 단위체는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D) 단위체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E) 단위체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A) 단위체는 C1-C14 알킬기를 가진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위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위체일 수 있다.
상기 (B) 단위체 중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메타크릴록시 에틸에틸렌우레아, 베타-카르복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모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올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세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세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상기 (E) 단위체와 구분된다.
상기 (B) 단위체 중 스티렌계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베타-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고, 상기 시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알케닐 시아나이드(alkenyl cyanide)일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알릴 시아나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C) 단위체, 즉,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위체는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글루타콘산, 이티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코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및 나딕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위체일 수 있다.
상기 (D) 단위체, 즉,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는, 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및 N-n-부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4-(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프로필)페닐]아크릴아미드 (N-[4-(3-(4-dodecyl-phenylcarbamoyl)-propyl)phenyl] acrylamide, NDPA), (N-[5-(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크릴아미드 (N-[5-(4-dodecyl-phenylcarbamoyl)-pentyl]acrylamide, DPPA) N-[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메틸렌-카르바모일}프로필-4-페닐]아크릴아미드(N-[3-{(4-dodecyl-phenylcarbamoyl)-methylene-carbamoyl}propyl-4-phenyl] acrylamide, DMCPA) 및 N-[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펜타메틸렌-카르바모일}프로필-4-페닐]아크릴아미드(N-[3-{(4-dodecyl-phenylcarbamoyl)-pentamethylene-carbamoyl}propyl-4-phenyl] acrylamide, DPMCP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교용 단위체는 하나 이상의 에폭시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에는 상기 단량체 이외에 중합 첨가제로 분자량 조절제 및/또는 가교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타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 메틸롤 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 메틸롤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AMA),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TAIC), 트리아릴 아민(TAA), 디아릴 아민(DAA),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에이트, 폴리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 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은 중합 방법이나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합 온도는 약 50도 내지 100도 일 수 있고, 중합 시간은 약 1 내지 20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라우린산, 혼합 지방산의 소듐 또는 포타슘 염 등으로 대표되는 지방산 염 계통이나, 로진산 등의 일반적인 음이온성 유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화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과 C1-C20 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디페닐옥시드 디설포네이트가 사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를 위해서는 슬러리의 코팅 후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수계 바인더의 경우 물을 증발시키게 되므로, 쉽게 건조시키기 어렵다. 또한 수분은 전지에 있어서 안정성을 저해하는 큰 요소이므로 슬러리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공정이 중요하다. 높은 온도에서 건조시킬수록,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건조도 빨리 이루어지지만, 바인더 역시 코팅 표면으로 많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건조온도를 쉽게 올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는 일반적인 중합 고분자 입자의 평균 입경보다 큰 입경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큰 입경으로 인해 건조 후 고분자 입자가 집전체 쪽에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집전체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입경이 너무 크면 도전성 등의 전지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의 입경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4 마이크로미터 내지 0.6 마이크로미터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마이크로미터 내지 0.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일반적인 유화 중합에서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0.3 마이크로미터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에서 고분자 입자의 크기는 상당히 큰 입경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입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화제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유화제의 양을 변경하거나, 두 단계에 걸쳐 중합을 하는 것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에는 점도 조절제 및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조절제 및 충진제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바인더 및 리튬을 흡장/방출할 수 있는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 합제를 제공한다.
상기 바인더는 전극 합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전극 합제는 도전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재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극 활물질의 바람직한 예로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분말 또는 탄소 분말인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 합제가 집전체에 도포되어 구성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은 전극 합제를 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은 양극일 수도 있고, 음극일 수도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극에 도전재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전극에서 전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전극의 종류에 따라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존재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2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Cr, Zn 또는 Ga 이고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01≤y≤0.7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1+zNi1/3Co1/3Mn1/3O2, Li1+zNi0.4Mn0.4Co0.2O2 등과 같이 Li1+zNibMncCo1-(b+c+d)MdO(2-e)Ae (여기서, -0.5≤z≤0.5, 0.1≤b≤0.8, 0.1≤c≤0.8, 0≤d≤0.2, 0≤e≤0.2, b+c+d<1 임, M = Al, Mg, Cr, Ti, Si 또는 Y 이고, A = F, P 또는 Cl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 화학식 Li1+xM1-yM'yPO4-zXz(여기서, M = 전이금속, 바람직하게는 Fe, Mn, Co 또는 Ni 이고, M' = Al, Mg 또는 Ti 이고, X = F, S 또는 N 이며, -0.5≤x≤+0.5, 0≤y≤0.5, 0≤z≤0.1 임)로 표현되는 올리빈계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d,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계 활물질, 규소계 활물질, 주석계 활물질, 또는 규소-탄소계 활물질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전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나노튜브나 플러렌 등의 탄소 유도체,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에서 집전체는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에서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는 부위로서, 전극의 종류에 따라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가 존재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의 혼합물(전극용 합제)에는 점도 조절제 및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전극 합제의 혼합 공정과 그것의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전극 합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성분으로서, 전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까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도 조절제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폴리아크릴산 등이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보조성분으로서,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극 외에도 분리막 및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마이크로미터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마이크로미터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액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 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FEC(Fluoro-Ethlene carbonate)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단위전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량체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70 g)와 스티렌 (20 g), 아크릴산 (7 g), 아크릴 아미드 (1 g),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 g) 및 유화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과 알킬디페닐옥시드 디설포네이트를, 중합개시제로서 포타슘설페이트가 포함되어 있는 물에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70도의 온도에서 약 10 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상기와 같은 중합을 통해 단량체들이 중합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고분자의 평균 입경은 두 유화제의 양을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는 바, 두 유화제의 양을 증가시킬수록 입경이 작아지고, 양을 줄일수록 입경이 커진다.
[실시예 2]
유화제의 양을 줄여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4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화제의 양을 줄여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5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화제의 양을 줄여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6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단량체로서 스티렌 대신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단량체로서 아크릴아미드 대신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유화제의 양을 늘려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2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유화제의 양을 줄여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8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아미드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아크릴아미드를 6g으로 증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6g으로 증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평균 입경 0.3 마이크로미터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접착력 시험
우선,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바인더와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른 바인더를 각각, 음극 활물질, 도전재, 증점제, 바인더의 비율이 95 : 1 : 1 : 3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상기 슬러리를 Cu 호일 위에 코팅하여 전극을 제조하였고, 각각 90도, 120도에서 건조하였다.
제조된 전극을 일정 두께로 프레스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 슬라이드 글라스에 고정시킨 후, 집전체를 벗겨 내면서 180도 벗김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개 이상의 벗김 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정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3010344-appb-I0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바인더를 사용한 전극들은 비교예 1 및 6에 따른 전극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접착력을 발휘함을 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과 실시예 1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보다 클 경우, 접착력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90도 보다는 120도에서 입경에 따른 접착력 변화가 더욱 큼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보다 큰 경우가 0.3 마이크로미터 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건조 과정에서 바인더의 이동 현상이 현저히 적어지고 온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는, 바인더의 비표면적에 의한 접착력 상승 효과보다 바인더의 이동 현상에 의한 접착력 감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비교예 2의 경우처럼 평균 입경이 큼에도 불구하고 접착력이 낮은 것은, 바인더의 평균 입경이 0.8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바인더 이동 현상은 줄지만, 바인더의 비표면적이 극히 작아져서 활물질과의 접촉면이 감소하여 접착력 감소 효과가 매우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4는 각각 아크릴아미드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의 접착력으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6은 아크릴아미드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이 과량이 되었을 경우의 접착력으로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에 비해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는 상기한 (A) 내지 (E) 단위체들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인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서, 고온 건조시에도 전극 집전체에 대한 밀착력과 활물질의 지지력이 우수하여 전지의 사이클 특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5)

  1.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위체;
    (B)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스티렌계 화합물 및 시안기를 가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위체;
    (C) 불포화모노카르본산계 단위체;
    (D)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 및
    (E)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용 단위체;
    를 포함하는 단위체들로부터 제조되며 평균 입경이 0.3 마이크로미터 내지 0.7 마이크로미터인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위체는 바인더 전체 중량 대비 15 내지 96 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B) 단위체는 1 내지 55 중량%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C) 단위체는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D) 단위체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E) 단위체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위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타크릴록시 에틸에틸렌우레아, 베타-카르복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모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디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올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올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세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세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베타-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알케닐 시아나이드(alkeyl cyanide)이고, 상기 알케닐 시아나이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알릴 시아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모노카르본산계 단위체는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글루타콘산, 이티콘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코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및 나딕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계 단위체는, 아크릴 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n-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및 N-n-부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4-(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프로필)페닐]아크릴아미드 (N-[4-(3-(4-dodecyl-phenylcarbamoyl)-propyl)phenyl] acrylamide, NDPA), (N-[5-(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크릴아미드 (N-[5-(4-dodecyl-phenylcarbamoyl)-pentyl]acrylamide, DPPA) N-[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메틸렌-카르바모일}프로필-4-페닐]아크릴아미드(N-[3-{(4-dodecyl-phenylcarbamoyl)-methylene-carbamoyl}propyl-4-phenyl] acrylamide, DMCPA) 및 N-[3-{(4-도데실-페닐카르바모일)-펜타메틸렌-카르바모일}프로필-4-페닐]아크릴아미드(N-[3-{(4-dodecyl-phenylcarbamoyl)-pentamethylene-carbamoyl}propyl-4-phenyl] acrylamide, DPMCP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용 단위체는 하나 이상의 에폭시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용 단위체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에는 점도 조절제 및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와, 리튬을 흡장/방출할 수 있는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합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은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분말 또는 탄소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용 합제.
  14. 제 13 항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용 합제가 전극 집전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15. 제 14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PCT/KR2013/010344 2012-11-29 2013-11-14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WO20140845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58789.4A EP2889938B1 (en) 2012-11-29 2013-11-14 Binder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for secondary batteries
CN201380056215.9A CN104798231A (zh) 2012-11-29 2013-11-14 用于二次电池的具有优良粘合强度的粘合剂
US14/433,281 US9887423B2 (en) 2012-11-29 2013-11-14 Binder having superior adhesive strength for secondary batte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650 2012-11-29
KR20120136650 2012-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527A1 true WO2014084527A1 (ko) 2014-06-05

Family

ID=5082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344 WO2014084527A1 (ko) 2012-11-29 2013-11-14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7423B2 (ko)
EP (1) EP2889938B1 (ko)
KR (1) KR101637889B1 (ko)
CN (1) CN104798231A (ko)
WO (1) WO2014084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167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기물층이 코팅된 전극,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WO2016089141A1 (ko) * 2014-12-03 2016-06-09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광경화성-열경화성 바인더
US10693183B2 (en) * 2015-04-09 2020-06-2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ther-based electrolyte for Na-ion battery anode
US9850407B2 (en) * 2015-09-08 2017-12-2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Enhanced adhesive composition for re-enforcing joints in gypsum panel construction
US20190067698A1 (en) * 2015-10-16 2019-02-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Binder resi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binder resin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using same, slurry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PT3176187T (pt) * 2015-12-02 2019-10-29 Organik Kimya Sanayi Ve Tic A S Polímeros termicamente curáveis sem formaldeído
CN108475789B (zh) 2016-01-29 2021-11-16 日本瑞翁株式会社 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浆料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电极及非水系二次电池
US11183693B2 (en) * 2016-07-29 2021-11-23 Kao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for power storage device electrode
CN106220779B (zh) 2016-08-17 2018-08-31 四川茵地乐科技有限公司 丙烯腈共聚物粘合剂及其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KR102211109B1 (ko) * 2017-09-15 2021-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콘 전극 바인더
CN107863534A (zh) * 2017-10-20 2018-03-30 电子科技大学 一种应用于锂硫电池的极性粘接剂及其制备方法
KR20200116921A (ko) * 2018-02-07 2020-10-1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용 바인더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슬러리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기능층 및 전기 화학 소자
CN108400335B (zh) * 2018-03-09 2021-07-02 清华大学 粘结剂、组合物、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057606B (zh) * 2018-10-16 2022-03-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黏度指数改进剂及其制备方法、用途
CN111933864B (zh) * 2019-04-25 2022-12-20 聚电材料股份有限公司 能量储存装置
CN113921745B (zh) * 2021-08-31 2023-03-28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61812A1 (en) * 2022-09-19 2024-03-28 Umicore Composite cathode comprising a polymer electrolyte and nickel based cathode active materi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822A (ko) * 2005-04-28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WO2012005496A2 (ko) * 2010-07-09 2012-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20120010136A (ko) * 2010-07-22 2012-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20120039473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US20120183848A1 (en) * 2010-02-26 2012-07-19 Lg Chem, Ltd.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xhibiting excellent adhesion for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9327B2 (ja) * 2009-04-03 2014-03-1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WO2011077500A1 (ja) * 2009-12-25 2011-06-30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
TWI444788B (zh) * 2010-01-28 2014-07-11 Everlight Chem Ind Corp 顯影液之組成物
US9309351B2 (en) * 2010-12-16 2016-04-12 Basf Se Styrene-acrylic-based binder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JP4849286B1 (ja) * 2011-06-06 2012-01-11 Jsr株式会社 正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822A (ko) * 2005-04-28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20120183848A1 (en) * 2010-02-26 2012-07-19 Lg Chem, Ltd.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exhibiting excellent adhesion force
WO2012005496A2 (ko) * 2010-07-09 2012-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20120010136A (ko) * 2010-07-22 2012-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20120039473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89938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9938A1 (en) 2015-07-01
CN104798231A (zh) 2015-07-22
US20150263350A1 (en) 2015-09-17
KR101637889B1 (ko) 2016-07-08
EP2889938B1 (en) 2018-01-10
US9887423B2 (en) 2018-02-06
KR20140070341A (ko) 2014-06-10
EP2889938A4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4527A1 (ko)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WO2012011696A2 (ko)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EP2541658B1 (en) Binder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superior adhesive force
WO2012005496A2 (ko)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WO2010079965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0079962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0079958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3122352A1 (ko)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을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0079949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4189294A1 (ko) 이차전지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5026102A1 (ko)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1019142A2 (ko) 접착력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WO2016204530A1 (ko)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사용한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1090318A2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providing excellent adhesion strength and cycle property
WO2014010866A1 (ko) 접착력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의 전극용 바인더
WO2011159057A2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providing excellent cycle property
WO2014196816A1 (ko) 신규한 이차전지
WO2015012640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15783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WO201315781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WO2015016540A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008774A2 (ko) 이차전지용 음극
KR101326070B1 (ko) 접착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KR10212679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30090437A (ko) 저온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87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587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3328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