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93659A2 - 케이블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93659A2
WO2011093659A2 PCT/KR2011/000580 KR2011000580W WO2011093659A2 WO 2011093659 A2 WO2011093659 A2 WO 2011093659A2 KR 2011000580 W KR2011000580 W KR 2011000580W WO 2011093659 A2 WO2011093659 A2 WO 201109365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active material
electrod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5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93659A3 (ko
Inventor
권요한
김제영
오병훈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1737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33338B1/en
Priority to JP2012549958A priority patent/JP5465792B2/ja
Priority to CN2011800049296A priority patent/CN102652378A/zh
Publication of WO201109365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3659A2/ko
Priority to US13/291,407 priority patent/US9236629B2/en
Publication of WO201109365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365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5Wires, rod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4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tubular or cup-shape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free of deformation.
  • a secondary battery is a device that converts external electrical energy into chemical energy and stores it and generates electricity when needed.
  • the term "rechargeable battery” is also used to mean that it can be charged multiple times.
  • Commonly us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lead storage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d), nickel hydrogen storage batteries (NiMH), lithium ion batteries (Li-ion),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Li-ion polymer). Secondary batteries offer bo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over primary batteries that are used once and discarded.
  • Secondary batteries are currently used where low power is used. Examples are devices, handhelds, tool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that help start up the car. Recently,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popularization of portable devices, and there is also a tendency to wirelessize many kinds of conventional devices, and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is exploding. In addition,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have been put to practical use in terms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next-generation vehicles employ technologies that use secondary batteries to reduce value, weight, and increase lifespan.
  • secondary batteries are cylindrical, rectangular or pouch type batteries. This is because the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by mount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negative electrode, a posi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side a pouch-shaped case of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or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the electrode assembly. Therefore, since a certain space for mounting the secondary battery is essentially required, the cylindrical, square or pouch type of the secondary battery has a problem in that it acts as a limi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secondary battery that is easily deform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99903 discloses a thread-type variable battery composed of an internal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n external electrode, but has one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poor capacity balance.
  • Korean Patent No. 0444911 discloses a linear battery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s and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It discloses, but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ternal electrod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novel linear structure that is easily deformed and can maintain stability and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internal electrode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two or more negative electrodes arranged in parallel on an outer surface of an electrolyte laye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rving as a passage of ions; An external electrode serving as an anode includ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filled around the inner electrode; And a protective coating disposed around the external electrode.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n internal electrode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two or more anodes arranged in parallel on an outer surface of an electrolyte layer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rving as a passage of ions; An external electrode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illed to surround the internal electrode; And a protective coating disposed around the external electrode.
  • the cross section of the cathode or anode is circular or polygonal, circular is a geometrically perfectly symmetrical circular and asymmetrical oval structure, and polygons may be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or hexagonal.
  •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positive electrode has an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current collector is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n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vision treated with aluminum-cadmium alloy, conductive material
  • a conductive polymer or a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and polysulfuride, ITO (Indum Thin Oxide), silver, palladium, nickel and copper
  •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polysulfuri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a carbonaceous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Metals (Me) which are Si, Sn, Li, Zn, Mg, Cd, Ce, Ni, F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a composite of the metals (Me) and carbon,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e LiCoO 2 , LiNiO 2 , LiMn 2 O 4 , LiCoPO 4 , LiFePO 4 , LiNiMnCoO 2, and LiNi 1-xyz Co x M1 y M2 z O 2 ( M 1 and M 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and Mo, and x, y and z are oxide composition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the atomic fraction of the elements, 0 ⁇ x ⁇
  •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a gel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VdF, PMMA, PAN or PVAC, 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PO (polypropylene oxide), PEI (polyethylene imine), PES (polyethyle sulphide) or PVAc (polyvinyl acetate).
  • PEO polymer electrolyte
  • PMMA polymethyl methyle sulphide
  • PVAc polyvinyl acetate
  • the electroly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lithium salt.
  • Lithium salt is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CH 3 SO 3 Li, CF 3 SO 3 Li, (CF 3 SO 2 ) 2 NLi, lithium chloroborane, lower aliphatic lithium carbonate, lithium tetraphenylbor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rein, and has a linear structure and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so that deform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Do.
  •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and pipe type external electrodes, the battery cell has a high battery rate, and the number of internal electrodes is controlled to easily adjust the capacity balance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and the external electrodes.
  •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may be provided to prevent a disconnection problem due to repeated use.
  • by forming an electrolyte layer on the inner electrode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electrod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high rate characteristic by preventing a short and increasing the relative surface area.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lar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liptical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has two or more negative electrodes 1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rving as a passage of ions. 11) internal electrodes arranged in parallel; An external electrode which is a positive electrode (20, 21)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21) filled surrounding the inner electrode; And a protective coating 40 disposed around the external electrode.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has two or more anodes 10 and 11 arranged in parallel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rving as an ion passage. electrode; An external electrode which is a cathode including an anode active material layer 21 filled around the inner electrode; And a protective coating 40 disposed around the external electrode.
  • the predetermined shape means that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that does not impair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has a linear structu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has flexibility so that deformation is free.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1 has a circular structure of perfect symmetry, and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thodes 10 and 11 or electrolytes 10 and 11 having an electrolyte layer 30 and an external electrode 20 and 21 serving as a pipe or a cathode.
  • the positive electrod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ctive materials 11 and 21 are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s 10 and 20, but the current collector is not essential when the active material itself serves as the current collector.
  • the cross section of the cathode and anode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which is a geometrically perfectly symmetrical circular and asymmetrical oval structure.
  • the polyg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not a two-dimensional sheet-like structure, and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polygonal structure may be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or a hexagon.
  • the internal electrode has two or more parallelly arranged cathodes 10, 11 or anodes 10, 11, in which not only a plurality of cathodes or anod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raight line, but also a plurality of cathodes or anodes are twisted together. It also includes the case.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1 has internal electrodes of four negative electrodes or positive electrodes, and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FIG. 2 has three internal electrodes of three negative electrodes or positive electrodes.
  •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counter electrode is increased to have a high battery rate and to secure excellent battery performance.
  • the electrode may be disconnected due to repeated use. Whe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used,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becomes possible even if the electrode is disconnected.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smaller capacity per volume tha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or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must be used tha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ed to maintain battery capacity balance. The capacity balance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external electrode can be easily adjusted.
  •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current collectors 10 and 20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s 11 and 2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active materials 11 and 21 are applied to the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s 10 and 20, and serve to move ions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s, and the movement of these ions occludes the ions from the electrolyte layer 30 and the electrolyte layer.
  • the current collectors 10 and 20 are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n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aluminum-cadmium alloy and condu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conductive polymer, or a conductive polymer.
  • the current collector collects electrons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active material or serves to supply electrons required for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 a metal such as copper or aluminum is used.
  •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current collectors are used, the minute difference in flexibility of each current collector also greatly affects the flexible performance of the entire secondary battery.
  • the polymer current collector is used in place of the metal current collector, light weight of the battery can be achieved.
  • Such conductive materials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and polysulfuride, ITO (Indum Thin Oxide), silver, palladium, nickel and copper, and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polysulfuri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non-conductive polymer used for th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kin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 carbonaceous material;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Metals (Me) which are Si, Sn, Li, Zn, Mg, Cd, Ce, Ni, F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a complex of the metals (Me) and carbon; Etc. can be used.
  •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 Metals (Me) which are Si, Sn, Li, Zn, Mg, Cd, Ce, Ni, Fe
  • Etc.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LiCoO 2 , LiNiO 2 , LiMn 2 O 4 , LiCoPO 4 , LiFePO 4 , LiNiMnCoO 2 and LiNi 1-xyz Co x M1 y M2 z O 2
  • M1 and M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and Mo,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x, y and z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the atomic fraction of the elements of the oxide composition 0 ⁇ x ⁇ 0.5, 0 ⁇ y ⁇ 0.5, 0 ⁇ z ⁇ 0.5, and x + y + z ⁇ 1) or the like.
  • the electrolyte layer 30 is formed on the cathodes 10 and 11 or the anodes 10 and 11 of the internal electrode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lectrodes 20 and 21. Therefore, the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the surface area of the internal electrode is relatively increased,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external electrode is increased, thereby achieving high battery rate characteristics.
  • the electrolyte layer serving as a passage for these ions may be a gel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VdF, PMMA, PAN, or PVAC or PEO, polypropylene oxide (PPO), polyethylene imine (PEI), polyethyle sulphide (PES), or polyvinyl acetate (PVAc).
  • the matrix of the solid electrolyte is preferably made of polymer or ceramic glass as a basic skeleton.
  • ions may move very slowly in terms of reaction rate, and thus,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ectrolyte of a gel polymer having easier movement of ions than a solid.
  •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s not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it may include a pore structure support or a crosslinked polymer to compensate for this. Since the electrolyt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rve as a separator, a separate separator may not be used.
  • the electrolyte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thium salt.
  • Lithium salts can improve ionic conductivity and reaction rate, non-limiting examples of which ar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LiAsF 6, LiSbF 6, LiAlCl 4, CH 3 SO 3 Li, CF 3 SO 3 Li, (CF 3 SO 2) 2 NLi, chloro may 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and lithium tetraphenyl borate available .
  • Protective coating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nal electrodes 20, 21 as an insulator to protect the electrode against moisture and external impact in the air.
  • a conventional polymer resin may be used, and for example, PVC, HDPE, or epoxy resin may be used.
  • the active materials 11 and 21 may be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s 10 and 20.
  • a general coating method may be used as the coating method, and specifically, electroplating or positive electrode.
  • An oxidation oxidation process can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an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by extrusion coating through an extruder.
  • the prepared cathodes 10 and 11 or anodes 10 and 11 are used as internal electrod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nal electrodes is coated with an electrolyte layer 30.
  • the outside of the internal electrode coated with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manufactured by coating the active material 21 or inserting the internal electrode into the active material layer 21.
  •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active material may be formed, and the current collector 20 and the protective coating 40 of the external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 the internal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active material of the external electrode, or the current collector 21 and the protective coating 40 of the external electrode are prepared. After forming th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internal electrode and fill the active material to manufa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음극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선형의 구조를 가지면서 동시에 가요성을 갖고 있어 변형이 자유롭다. 파이프형의 외부전극 내부에 복수개의 내부전극을 구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높은 전지 레이트를 갖는다. 또한, 내부전극의 개수를 조절하여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용량 밸런스의 조절이 용이하고, 내부전극에 전해질층이 형성되어 있어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형 이차전지
본 발명은 변형이 자유로운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2월 1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00904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이차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현재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이를테면 자동차의 시동을 돕는 기기, 휴대용 장치, 도구, 무정전 전원 장치를 들 수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휴대용 장치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종래의 많은 종류의 장치들을 무선화하는 경향도 있어,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의 방지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는데, 이들 차세대 자동차들은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값과 무게를 줄이고 수명을 늘리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전지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장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이차전지의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의 개발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신규한 형태의 이차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단면적 직경에 대하여 길이의 비가 매우 큰 전지인 선형전지가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99903호는 내부전극, 전해질, 외부전극으로 구성된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가 개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음극과 양극을 구비하고 용량 밸런스가 좋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4411호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다수의 음극과 양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선형 전지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2739호는 실형태의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성되는 가변형 전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외부전극과 내부전극의 구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형이 용이하며, 이차전지의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신규한 선형 구조의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음극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포함한다.
또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양극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포함한다.
음극 또는 양극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원형은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대칭형의 원형과 비대칭형의 타원형 구조이고, 다각형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다.
음극 또는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외면에 활물질층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집전체로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등이 가능하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가능하다.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층으로는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 양극 활물질층으로는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 등이 사용 가능하다.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전극이 또 다른 복수의 전극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선형의 구조를 가지면서 동시에 가요성을 갖고 있어 변형이 자유로워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내부전극 및 파이프형의 외부전극을 구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높은 전지 레이트를 갖고, 내부전극의 개수를 조절하여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용량 밸런스의 조정이 용이하다. 복수개의 내부전극을 구비하여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단선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전극에 전해질층을 형성하여 외부전극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단락(short)의 예방 및 상대적인 표면적의 증가로 높은 레이트 특성의 달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내부전극의 집전체 11 : 내부전극의 활물질층
20 : 외부전극의 집전체 21 : 외부전극의 활물질층
30 : 전해질층 40 : 보호피복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도면 중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30)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음극(10, 11)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양극 활물질층(21)을 포함하는 양극(20, 21)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40)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30)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양극(10, 11)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음극 활물질층(21)을 포함하는 음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특별히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수평 단면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선형구조를 갖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변형이 자유롭다. 도 1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완전한 대칭형의 원형 구조를 갖고, 도 2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비대칭의 타원형 구조를 갖는 경우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해질층(30)을 갖는 복수개의 음극(10, 11) 또는 양극(10, 11)인 내부전극과 파이프 형태의 양극 또는 음극인 외부전극(20, 21)을 구비하고 있는데, 음극 및 양극은 집전체(10, 20)에 활물질(11, 21)이 도포된 구조가 일반적이지만, 활물질 자체가 집전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집전체가 필수적이지는 않다. 음극과 양극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는데, 원형은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대칭형의 원형과 비대칭형의 타원형 구조이다. 다각형은 2차원의 시트형이 아닌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다각형 구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다.
내부전극은 2 이상의 평행하게 배치된 음극(10, 11) 또는 양극(10, 11)을 갖는데, 복수의 음극 또는 양극이 직선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의 음극 또는 양극이 서로 꼬여서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4개의 음극 또는 양극인 내부전극을 갖고, 도 2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3개의 음극 또는 양극인 내부전극을 갖는 경우이다.
다수의 전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전극과 접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높은 전지 레이트를 갖고, 우수한 전지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변형이 가능한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특성상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전극에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데, 복수의 전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개의 전극에 단선이 발생하여도 전지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양극활물질에 비하여 부피당 용량이 작은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 용량 밸런스 유지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 보다 더 많은 음극 활물질을 사용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내부전극의 개수가 조정 가능하므로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용량 밸런스의 조절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음극 및 양극은 집전체(10, 20) 및 집전체의 외면에 활물질층(11, 21)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활물질(11, 21)은 집전체(10, 20)의 표면에 도포되고, 집전체를 통해서 이온을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들 이온의 이동은 전해질층(30)으로부터의 이온의 흡장 및 전해질층으로의 이온의 방출을 통한 상호작용에 의한다.
집전체(10, 20)로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체는 활물질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모으거나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한다. 특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다수 개의 전극을 구비할 수 있어 다수 개의 집전체가 사용되므로 각 집전체의 가요성의 미세한 차이도 전체 이차전지의 가요성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금속 집전체를 대체하여 고분자 집전체를 사용하므로 전지의 경량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등이 가능하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가능하다. 다만, 집전체에 사용되는 비전도성 고분자는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음극 활물질층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 가능하다.
양극 활물질층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내부전극의 음극(10, 11) 또는 양극(10, 11)에 전해질층(30)을 형성하여 외부전극(20, 21)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단락(short)의 예방이 가능하며, 내부전극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며 내부전극과 외부전극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높은 전지 레이트 특성의 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등을 사용한다. 고체 전해질의 매트릭스(matrix)는 고분자 또는 세라믹 글라스를 기본골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에는 이온전도도가 충족되더라도 반응속도적 측면에서 이온이 매우 느리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체인 경우보다 이온의 이동이 용이한 겔형 고분자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기공구조 지지체 또는 가교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질층은 분리막의 역할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분리막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질층(30)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은 이온 전도도 및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피복(40)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전극(20, 21)의 외면에 형성한다. 보호피복(40)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음극 또는 양극은 집전체(10, 20)에 활물질(11, 21)이 도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도포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기도금(electroplating) 또는 양극산화처리(anodic oxidation process) 방법이 사용가능하고,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슬러리를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음극(10, 11) 또는 양극(10, 11)을 내부전극으로 하고 내부전극의 외면을 전해질층(30)으로 코팅한다. 전해질층이 코팅된 내부전극의 외부를 활물질(21)로 코팅하거나 활물질층(21)에 내부전극을 삽입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전극과 활물질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외부전극의 집전체(20) 및 보호피복(4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면에 활물질을 채운 외부전극(20, 21) 및 보호피복(40)을 형성한 후에 외부전극의 활물질에 내부전극을 삽입하여 제조하거나, 외부전극의 집전체(21) 및 보호피복(40)을 형성한 후에 내부전극을 삽입하고 활물질을 채워 넣어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Claims (17)

  1.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음극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이 외면에 형성된 2 이상의 양극이 평행하게 배치된 내부전극;
    상기 내부전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인 외부전극; 및
    상기 외부전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외면에 음극 활물질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활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0.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내면에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활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PCT/KR2011/000580 2010-02-01 2011-01-27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59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737298.7A EP2533338B1 (en) 2010-02-01 2011-01-27 Cable type rechargeable battery
JP2012549958A JP5465792B2 (ja) 2010-02-01 2011-01-27 ケーブル型二次電池
CN2011800049296A CN102652378A (zh) 2010-02-01 2011-01-27 线缆型二次电池
US13/291,407 US9236629B2 (en) 2010-02-01 2011-11-08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049 2010-02-01
KR1020100009049A KR101279409B1 (ko) 2010-02-01 2010-02-01 케이블형 이차전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291,407 Continuation US9236629B2 (en) 2010-02-01 2011-11-08 Cable-type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3659A2 true WO2011093659A2 (ko) 2011-08-04
WO2011093659A3 WO2011093659A3 (ko) 2012-01-05

Family

ID=4431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580 WO2011093659A2 (ko) 2010-02-01 2011-01-27 케이블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6629B2 (ko)
EP (1) EP2533338B1 (ko)
JP (1) JP5465792B2 (ko)
KR (1) KR101279409B1 (ko)
CN (2) CN102652378A (ko)
WO (1) WO201109365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011A (zh) * 2011-10-25 2014-06-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CN103891012A (zh) * 2011-10-25 2014-06-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CN103975475A (zh) * 2011-12-14 2014-08-06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02B1 (ko) 2011-06-02 2014-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CN103891025B (zh) * 2011-10-13 2016-06-22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EP2768059B1 (en) * 2011-10-13 2016-05-18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WO2013055188A1 (ko) * 2011-10-13 2013-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DE202012013285U1 (de) 2011-10-13 2015-12-14 Lg Chem. Ltd. Sekundärbatterie des Kabeltyps
JP5810224B2 (ja) 2011-10-13 2015-11-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ケーブル型二次電池
KR101522655B1 (ko) 2011-10-14 2015-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3062336A1 (ko) 2011-10-25 2013-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483686B1 (ko) 2011-11-02 2015-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US8993172B2 (en) 2011-12-10 2015-03-31 Kalptree Energy, Inc. Li-ion battery and battery active components on metal wire
KR101396792B1 (ko) * 2012-05-11 2014-05-20 최대규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368226B1 (ko) * 2012-05-17 2014-02-26 최대규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462462B1 (ko) * 2012-05-18 2014-11-17 최대규 리튬 2차전지용 이온분리막
KR101470559B1 (ko) 2012-08-30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058279A1 (ko) * 2012-10-11 2014-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465167B1 (ko) 2012-10-11 2014-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JP5912190B2 (ja) * 2012-12-12 2016-04-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電極、それを含む二次電池及びケーブル型二次電池
KR101587921B1 (ko) * 2012-12-24 2016-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EP2822084B1 (en) * 2013-05-07 2016-12-14 LG Chem, Lt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101783922B1 (ko) * 2014-06-19 2017-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590580B1 (ko) * 2014-06-27 2016-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CN107210493B (zh) * 2015-02-09 2019-08-27 株式会社Lg 化学 线缆型二次电池
US20160329594A1 (en) * 2015-05-07 2016-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olid state battery
JP7048841B2 (ja) * 2017-09-07 2022-04-0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リチウム電極と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フレキシブル二次電池
KR20210066519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3571837B (zh) * 2021-07-05 2022-05-24 江南大学 一种锂硫电池的功能性隔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903A (ko) 2004-04-12 2005-10-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742739B1 (ko)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804411B1 (ko)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2897A (en) * 1983-10-14 1985-06-11 Cape Cod Research, Inc. Rope batteries
JPS61245470A (ja) * 1985-04-22 1986-10-3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クラツド式密閉鉛蓄電池
JP2643019B2 (ja) * 1990-10-31 1997-08-20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集合電池
JP3331576B2 (ja) 1994-09-19 2002-10-0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設備
JPH0888019A (ja) * 1994-09-20 1996-04-02 Sony Corp 密閉型蓄電池
JP3047778B2 (ja) * 1995-06-14 2000-06-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チューブ状電池
JP4193247B2 (ja) 1998-10-30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10244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バッテリケーブル
JP2001110445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コード型バッテリ
US20050175890A1 (en) * 2000-10-31 2005-08-11 Kazuo Tsutsumi Battery
US20030068559A1 (en) * 2001-09-12 2003-04-10 Armstrong Joseph H.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multifunctional composite materials with power integration
JP3729155B2 (ja) 2002-05-27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32379B4 (de) * 2002-07-17 2006-09-14 Dilo Trading Ag Elektrisch leitfähiger Haftvermittler, Elektro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Sekundärbatterie
US7718321B2 (en) * 2004-02-04 2010-05-18 Quallion Ll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cluding organoborate salt
US20040258982A1 (en) * 2003-04-23 2004-12-23 Rechargeable Battery Corporation Battery employing an electrode pellet having an inner electrode embedded therein
AU2003289402A1 (en) 2003-04-23 2004-11-19 Mitsui Mining And Smelting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920880B2 (ja) 2003-09-26 2012-04-1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560541B1 (ko) 2003-09-26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7527897B2 (en) * 2003-10-14 2009-05-05 Tel Aviv University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L.P. Three-dimensional thin-film microbattery
US7767329B2 (en) 2003-11-17 2010-08-03 Adaptive Materials, Inc. Solid oxide fuel cell with improved current collection
JP2008505434A (ja) * 2004-04-27 2008-02-21 テル アビブ ユニバーシティ フューチャー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リミティ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インターレース型のマイクロコンテナ構造に基づく3−dマイクロ電池
CA2594745C (en) * 2005-01-20 2013-09-03 Oticon A/S Hearing aid with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JP2007087789A (ja) 2005-09-22 2007-04-05 Hitachi Cable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9894B1 (ko) 2005-10-21 2009-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JP4826214B2 (ja) 2005-11-04 2011-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駆動システム
US7618748B2 (en) * 2006-03-13 2009-11-17 Tel Aviv University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L.P. Three-dimensional microbattery
JP4435194B2 (ja) 2007-03-27 2010-03-17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電池パック及び自動車
KR100869806B1 (ko) 2007-04-24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8847072B2 (en) * 2007-06-29 2014-09-30 Koninklijke Philips N.V. Transmission cable for use in radio-frequency magnetic or electrical fields
KR20090009598A (ko) 2007-07-20 2009-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KR20090061300A (ko) * 2007-12-11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형 리튬 2차 전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 장치
US8795885B2 (en) * 2008-02-22 2014-08-05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Lithium-ion battery
KR101549408B1 (ko) 2008-07-11 2015-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
JP2010129412A (ja) 2008-11-28 2010-06-10 Seiko Epson Corp 電気化学装置
KR101024635B1 (ko) * 2008-12-29 2011-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 형태 전지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US20100291431A1 (en) * 2009-05-13 2010-11-18 Front Edge Technology, Inc. Thin film battery with protective packaging
EP2455998B8 (en) * 2009-07-14 2017-10-1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al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fiber electrod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10189510A1 (en) * 2010-01-29 2011-08-04 Illuminex Corporation Nano-Composite Anode for High Capacity Batteri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1322695B1 (ko) * 2010-08-25 2013-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903A (ko) 2004-04-12 2005-10-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742739B1 (ko)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804411B1 (ko)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533338A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011A (zh) * 2011-10-25 2014-06-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CN103891012A (zh) * 2011-10-25 2014-06-25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JP2014531121A (ja) * 2011-10-25 2014-11-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れを備える二次電池
CN103891012B (zh) * 2011-10-25 2015-12-09 株式会社Lg化学 二次电池用负极和具有所述负极的二次电池
CN103975475A (zh) * 2011-12-14 2014-08-06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8376A1 (en) 2012-03-08
KR101279409B1 (ko) 2013-06-27
JP5465792B2 (ja) 2014-04-09
CN106910936B (zh) 2020-02-28
CN106910936A (zh) 2017-06-30
EP2533338A2 (en) 2012-12-12
KR20110089583A (ko) 2011-08-09
CN102652378A (zh) 2012-08-29
EP2533338A4 (en) 2014-02-19
EP2533338B1 (en) 2016-12-28
JP2013517611A (ja) 2013-05-16
WO2011093659A3 (ko) 2012-01-05
US9236629B2 (en)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3659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61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60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26669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26670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EP2892090B1 (en) Anode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522656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53772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124960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145882A2 (ko)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20041489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7064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522655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04929.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37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37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37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4995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