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580B1 -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580B1
KR101590580B1 KR1020140079839A KR20140079839A KR101590580B1 KR 101590580 B1 KR101590580 B1 KR 101590580B1 KR 1020140079839 A KR1020140079839 A KR 1020140079839A KR 20140079839 A KR20140079839 A KR 20140079839A KR 101590580 B1 KR101590580 B1 KR 10159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lymer
wir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7064A (ko
Inventor
권요한
오병훈
김제영
우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7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5Wires, rod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여,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음극활물질층이 탈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Anode for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음극활물질층이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 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현재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이를테면 자동차의 시동을 돕는 기기, 휴대용 장치, 도구, 무정전 전원 장치를 들 수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휴대용 장치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종래의 많은 종류의 장치들을 무선화하는 경향도 있어,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의 방지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는데, 이들 차세대 자동차들은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값과 무게를 줄이고 수명을 늘리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전지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장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이차전지의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의 개발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신규한 형태의 이차전지가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단면적 직경에 대해 길이의 비가 매우 큰 전지인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제안되었다.
특히,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경우,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과의 반응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지의 레이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와이어형 음극을 구부리거나 비틀게 되면, 음극활물질층이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탈리되어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극활물질층,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자형태의 음극활물질, 전도성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층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음극활물질층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활물질층은, 음극활물질, 전도성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두께가 10 ㎛ 내지 3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수지층의 두께가 10 nm 내지 100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수지층은, 선형 고분자 또는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divinylbenzene), 폴리에스테르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sterdimethacrylate), 디비닐에테르 (divinyl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trimethylolpropan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ethoxylated bis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형 집전체, 및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 및 상기 나선전극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음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전해질층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n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활물질층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Ni, Al, Au, Ag, Al, Pd/Ag, Cr, Ta, Cu, Ba 또는 ITO인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 또는 흑연,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탄소분말을 포함하는 탄소 페이스트;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음극; 상기 음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분리층;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형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음극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며 권선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또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여,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음극활물질층이 탈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개의 나선전극이 권선된 음극을 가지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나선전극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음극을 가지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전극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와이어형 전극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코인형 반쪽 전지의 성능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은, 와이어형 집전체(12),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12)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13), 및 상기 음극활물질층(13)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14)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11)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활물질층(13)은, 음극활물질, 전도성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극활물질층(13)의 두께는, 10 ㎛ 내지 300 ㎛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의 용량 구현이 가능한 음극의 전기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과도한 두께의 전극이 가지는 높은 저항에 따른 전지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표면적이 높은 카본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에는, 입자 형태의 음극활물질, 전도성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로 구성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서로 나선형으로 꼬는 과정이나,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음극활물질층이 집전체 상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나선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큰 제약이 되어왔다.
또한, 가요성이 요구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구조적 특성상 이차전지가 꺾이는 경우와 같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음극활물질층이 집전체 상에서 떨어져 나감에 따른 용량 감소 및 성능 악화가 발생하게 되고, 전지 사용시 단선의 우려가 높다. 더욱이 음극의 경우 반복된 충방전에 의한 전극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 음극활물질이 탈리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극활물질층(13)의 외면에 코팅되는 고분자 수지층(14)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음극활물질층(13)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층(14)은 전해액 흡수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온전도성을 보유함으로써 전지내부의 저항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층(14)은, 선형 고분자 또는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divinylbenzene), 폴리에스테르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sterdimethacrylate), 디비닐에테르 (divinyl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trimethylolpropan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ethoxylated bis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수지층(14)의 두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nm 내지 500 ㎛, 또는 10 nm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게 되면, 와이어형 전극을 굽히거나 와이어형 전극에 물리적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또는 충방전시 발생되는 음극의 부피 팽창에 따른 음극활물질층의 탈리현상을 적절히 방지함과 동시에 전지내부의 저항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가요성이 요구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유연성 확보 및 적절한 전지 성능 구현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11)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집전체는 전극활물질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모으거나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한다. 특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우수하다. 또한, 금속 집전체를 대체하여 고분자 집전체를 사용함으로써 전지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은, 팔라듐 및 니켈 등이 가능하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다만, 집전체에 사용되는 비전도성 고분자는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은, 와이어형 집전체(22), 및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22)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23)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21)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20); 및 상기 나선전극(20)의 외면에 코팅된 고분자 수지층(24);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층(24)이 나선전극(20)의 외면에 코팅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활물질층(23)의 탈리현상 방지 및 그로 인한 전지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나선전극(10)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음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110);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120)과 상기 양극활물질층(120)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130)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140);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소정 형상이라 함은 특별히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수평 단면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선형구조를 갖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변형이 자유롭다.
여기서, 상기 전해질층(110)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 가능하다. 고체 전해질의 매트릭스(matrix)는 고분자 또는 세라믹 글라스를 기본골격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에는 이온전도도가 충족되더라도 반응속도적 측면에서 이온이 매우 느리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체인 경우보다 이온의 이동이 용이한 겔형 고분자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기공구조 지지체 또는 가교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질층은 세퍼레이터의 역할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층(110)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활물질층(120)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체(130)로는 특별히 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파이프형 집전체, 권선된 와이어형 집전체 또는 메쉬형 집전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극집전체(130)로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Ni, Al, Au, Ag, Al, Pd/Ag, Cr, Ta, Cu, Ba 또는 ITO인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 또는 흑연,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탄소분말을 포함하는 탄소 페이스트;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최외곽에 보호피복(140)을 구비하는데, 보호피복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양극집전체(230)의 외면에 형성한다. 보호피복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1개의 나선전극이 권선된 음극을 가지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나선전극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음극을 가지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201, 301);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201, 301)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음극; 상기 음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분리층(210, 310); 상기 분리층(210, 310)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220, 320)과 상기 양극활물질층(220, 320)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230, 330)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240, 340);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음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201)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며 권선된 것일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301)의 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층(210, 310)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세퍼레이터인 경우에는,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또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리튬이온이 외부전극인 양극에도 쉽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에 해당하는 부직포 재질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천연흑연/아세틸렌 블랙/PVDF = 70/5/25의 혼합물을 N-메틸피롤리돈(NMP) 용매와 혼합하여 음극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상기 슬러리를 직경 125 ㎛의 구리로 된 와이어형 집전체에 코팅하여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된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를, PVDF-HFP/아세톤 = 5/95의 혼합용액에 딥코팅하여 10 ㎛의 두께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이 형성된 와이어형 전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극으로는 리튬금속 호일을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을 모기향 모양의 코일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개재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넣은 후, 에틸렌 카보네이트/디에틸 카보네이트 = 1/2(부피비)의 비수용매에 1M의 LiPF6가 첨가된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여 코인형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분자 수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와이어형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천연흑연/아세틸렌 블랙/PVDF = 70/5/25의 혼합물을 NMP용매에 혼합하여 음극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 후, 상기 슬러리를 구리로 된 호일에 코팅하여 필름형의 전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음극으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필름형의 전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전극 탈리 현상 비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을 직경 1.5 mm의 원통형 막대에 감아서, 음극활물질층의 탈리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8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을 나타내며, 도 9는,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의 경우에는 탈리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형 전극의 경우에는 도 9에서 표시된 부분처럼 부분적으로 탈리가 발생하였다.
시험예 2 : 전지 성능 비교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코인형 반쪽 전지를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충전시 0.1 C의 전류밀도로 5 mV까지 정전류 충전 후 정전압으로 5 m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류밀도가 0.005 C가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시 0.1 C의 전류밀도로 1 V까지 정전류로 방전을 완료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충방전을 30회 반복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2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코인형 반쪽 전지의 성능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코인형 반쪽 전지에 고분자 수지층이 존재하여도, 전지 내부의 저항증가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전지인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코인형 반쪽 전지와 동일한 전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20: 나선전극 11, 21: 와이어형 전극
12, 22: 와이어형 집전체 13, 23: 음극활물질층
14, 24: 고분자 수지층 100, 200, 300: 케이블형 이차전지
110, 210, 310: 전해질층 120, 220, 320: 양극활물질층
130, 230, 330: 양극집전체 140, 240, 340: 보호피복
201, 301: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

Claims (25)

  1. 와이어형 집전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 및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외면에 코팅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층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의 두께가 10 nm 내지 100 ㎛인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층은, 음극활물질, 전도성 입자 및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층의 두께가 10 ㎛ 내지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층은, 선형 고분자 또는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 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p-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divinylbenzene), 폴리에스테르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sterdimethacrylate), 디비닐에테르 (divinyl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trimethylolpropan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ethoxylated bis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4. 와이어형 집전체, 및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의 외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와이어형 전극이 서로 나선형으로 꼬여진 나선전극; 및
    상기 나선전극의 외면에 코팅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층이 상기 와이어형 집전체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의 두께가 10 nm 내지 100 ㎛인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5.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2 이상의 나선전극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음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형 이차전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n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테트라페닐붕산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층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Ni, Al, Au, Ag, Al, Pd/Ag, Cr, Ta, Cu, Ba 또는 ITO인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 또는 흑연,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인 탄소분말을 포함하는 탄소 페이스트;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1.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음극;
    상기 음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분리층;
    상기 분리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활물질층과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양극집전체를 구비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보호피복;을 포함하되,
    상기 음극은, 제2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음극이며,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형 이차전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며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상기 리튬이온 공급 코어부의 외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전해질층 또는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기재; 또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140079839A 2014-06-27 2014-06-27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59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39A KR101590580B1 (ko) 2014-06-27 2014-06-27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39A KR101590580B1 (ko) 2014-06-27 2014-06-27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670A Division KR101470559B1 (ko) 2012-08-30 2012-08-30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064A KR20140097064A (ko) 2014-08-06
KR101590580B1 true KR101590580B1 (ko) 2016-02-01

Family

ID=5174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839A KR101590580B1 (ko) 2014-06-27 2014-06-27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0653B2 (en) 2011-07-14 2019-05-07 Inteva Product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electronic override
CN112968151B (zh) * 2019-12-12 2022-11-01 郑州宇通集团有限公司 一种负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92B1 (ko) 2010-08-14 2011-10-11 주식회사 샤인 섬유상의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101470559B1 (ko) 2012-08-30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409B1 (ko) * 2010-02-01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92B1 (ko) 2010-08-14 2011-10-11 주식회사 샤인 섬유상의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101470559B1 (ko) 2012-08-30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064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59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US9755267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JP6232002B2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
KR101440939B1 (ko) 이차전지용 전극,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80586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JP5976075B2 (ja) ケーブル型二次電池
KR10147946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30045219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590580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654680B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705733B1 (ko) 케이블 이차전지용 와이어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차전지
KR20170056310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813679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644819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522655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40145503A (ko) 이차전지용 전극,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케이블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