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71286A2 -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71286A2
WO2011071286A2 PCT/KR2010/008680 KR2010008680W WO2011071286A2 WO 2011071286 A2 WO2011071286 A2 WO 2011071286A2 KR 2010008680 W KR2010008680 W KR 2010008680W WO 2011071286 A2 WO2011071286 A2 WO 201107128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nsion
plate
bolt
insertion hol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86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71286A3 (ko
Inventor
공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Publication of WO201107128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71286A2/ko
Publication of WO201107128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7128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43Wire 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6Prestresse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tension muscles on the horseshoe side and the sphere side of the po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es using the same. Through the short fastening device, it is easy to handle and the work is efficient.
  • the length of the tensile muscl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pherical plate and the horse plate, the structure is made so that the excess protrusion length of the tensile muscle does not occur, it is an efficient technique that omitted the cutting work.
  • the length of the tensile muscles is the same length, it is a technology that produces structurally stable poles becaus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each tensile muscle is the same, so that no eccentricity is generated.
  • pole pole pole is efficient and the tensile force is uniform, so the structure of pole pole is stable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ensile muscle is not generated.
  •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apparatus is divided into two divided molds (or dies), tension rods installed in the mold, disc and horse plates for firmly fixing the tension muscles at both ends, and tension means for applying tension to the tension muscles. And, and is composed of a connection ring for connecting the horse plate and the tension means.
  • the electroforming apparatus thus constructed is conventional.
  • the circle is said to be the end of the pole, which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end of the pole on the opposite 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improvement on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pol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basic manufacturing process of making the pole is the same.
  • More than 12 tensile muscl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disc and the horse plate. To place more than 12 tensile muscles.
  • the length of the pole produced is about 15m ⁇ 25m and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 and the horse plate.
  • connection ring is connected to the horse plate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tensioning means, when the connection ring is pulled by the tensioning means,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muscle.
  • Electric pol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using the centrifugal force was made of a formwork 20 of two divided structures.
  • One side sphere 12 of the die 20 is formed with a spherical plate 30 and a spherical sphincter fixing plate 34, the tensile muscle 64 is penetrated through the spherical plate 30 and spherical sphincter fixing plate 34 The head 66 of the tension muscle 64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pherical tensile muscle fixation plate 34.
  • the other end 14 of the formwork 20 has a horse plate 40 is formed, and the tension root 64 is penetrated through the horse plate 40, the long tension nut 320 and the end tension nut on the horse plate 40 340 is fixed.
  • the tension root 64 is formed of a head 66 and a nut 680 on both sides.
  • the spherical tension root fixing plate 34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36 through which the head 66 of the tension muscle 64 is inserted (see FIG. 3), and the nut of the tension muscle 64 is formed on the horse plate 40.
  • a bolt hole 440 is formed in which the portion 680 enters and is fastened to the tension nuts 300.
  • the head 66 of the tension root 64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6 of the spherical tensile muscle fixing plate 34 and fixed in a locked state, and the nut part 680 of the tension muscle 64 is a horseshoe plate 40. Penetration through the bolt hole 440 of the) is fixed by the long tension nut 320 and the short tension nut 340.
  • Tensile muscle tension means for imparting tensile force to the tension muscles 64 is provided in line with the horseshoe plate 40.
  • the tension root tensioning means is formed of a horse tension plate 42, the tension axis 50, the copper plate 46 and the nut 52.
  • the horse plate 40 and the horse tension plate 42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ring 200.
  • the hanger jaw 420 of the horseshoe plate 40 and the hanger jaw 422 of the horseshoe tension plate 42 are coupled and connected to the hanger groove 220 of the connection ring 200.
  •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on root 64 by pecking the nut 52.
  • the spiral wire 62 is spirally welded to the main surface of the tension root 64 to form the frame 60. To reinforce the shear force.
  • the concrete mortar is put into the lower mold and then closed by the lower mold.
  • the mold is rotated to form a pole having a hollow part by centrifugal force.
  • the tension root 64 is cut between the spherical plate 30 and the spherical tension plate 32 using a welding rod, and the connection ring 200 is separated and released from the spherical plate 40 at the same time.
  • the protruding tension root 64 should be cut to match the end face of the pole.
  •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spherical side i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between the spherical plate 30 and the spherical tension plate 32.
  • the reason for cutting between the spherical plate 30 and the spherical tension plate 32 is to quickly take out the pole from the mold and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the mold moves.
  • electroforming is more efficient than cutting the protrusion of the tensile muscle 64 in the mold. to be. Actual pole production is doing this.
  • the protruding portion d of the tension ball 64 on the horseshoe side is fixed length fixed by the insertion length d1 of the horseshoe plate 40 and the long tension nut 320 and the short tension nut 340. (d2) The sum of lengths.
  • the protrusion d of the tension root 64 is formed by the insertion length d1 of the disassembled horse plate 40, the long tension nut 320, and the fixed length d2 of the short tension nut 340.
  • the cutting means of the protruding tensile muscle 64 includes (1) cutting by oxygen welding or arc welding, and (2) cutting by saw blades.
  • Cutting between the spherical plate 30 and the spherical tension plate 32 of the Patent No. 10-0376818 is the cutting by welding.
  • Cutting by oxygen welding or arc welding causes high heat due to welding to be transferred to the tensile muscles embedded in the concrete, which generates adverse residual stress. As a result, the design strength is lowered by the residual stress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ensile root 64.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more economical to use the tensile muscle 64 more.
  • the high temperature of 4000 °C not only lower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ensile muscle 64, but also has a problem of destroying the concrete around it.
  •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ension muscle 64 on the horseshoe side is the length d, which is the sum of the insertion length d1 of the horseshoe plate 40 and the fixed length d2 of the long tension nut 320 and the short tension nut 340. This is the length to be cut and thus the excess length d of the tension root 64.
  • the surplus length of the tensile muscle 64 is uneconomical.
  • the length L of the tension root 64 is the length L1 between the disc and the end plate plus the surplus length d.
  • the length L of the tension root 64 is lon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pherical plate and the horse plate.
  • the tension root 64 has a shape in which the head 66 is formed on the spherical side and the nut portion 680 is formed on the spherical side.
  • Korean Patent No. 10-0376818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insert and fix the tensile muscles, and a problem derived from the excess length of the tensile muscles.
  • the excess length (d) of the tensile muscle shall be cut. Cutting is by arc welding or oxygen welding. It is a cause of introducing the residual stress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e tensile muscle by generating high heat in the tensile muscle embedded in the concrete by the spark of arc welding. Residual stress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ensile muscles.
  • the length of the tensile muscle is equal to the distance (L1) between the original plate and the horse plate so that the excess length (d) of the tensile muscle does not occur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excess length (d), so that cutting is not necessary. Its purpose is to prevent residual stress from occurring in the tensile muscles embedded in concrete poles due to cutting by arc welding.
  • Insertion and bolt hole penetration of the spherical plate and the horseshoe plate is not made to penetrate the very long tensile muscles, but allows the fastening device of very short length to penetrate and facilitates the handling and fastening of the fastening device and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device is simple. There is another purpose to make the fastening work by the fastening device more efficient,
  • Another purpose i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pole poles by cutting the mold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cutting by acquiring completed pole poles with mold release.
  • Polygonal wrench grooves are formed on the tension insert bolts and the tension bolt heads, so that one bolt can be fastened unlike the prior art fasteners divided into long and short bol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and the tension bolt 700B.
  • the basic concept is the same whether the tension is tightened with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or the tension muscle with the tension bolt 700B.
  •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is as follows.
  • tension means are applied to the tension muscles by the tension muscle tension means while the tension muscle tension means is connected to each other.
  • Both ends of the tension root 900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84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 inner surface 830B of the wheel plate 800B,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is a spherical plate ( The spiral portion 920 of the tension root 900 is inserted into the spiral portion 75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by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820B of the 800B and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is formed of the head portion 720A, the insertion portion 730A, the insertion / fastening portion 740A and the spiral portion 750A, and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The inner surface 752A of the spiral portion 750A is positioned to coincide with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inner surface 830B and 840A of the spherical plate 800A. Constitution of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muscles.
  • a polygonal wrench groove 722A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72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 a circular stepped portion 830A in which the head 72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is supporte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board 800A.
  • One end of the tension coupler 750B is helix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ension root 900 to the stopper 752B,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inner surface 830B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spherical plate 800A.
  • the tension bolt 700B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820B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n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coupler 750B.
  • the screw 740B of the tension bolt 70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754B, but the tension bolt 700B includes the head 720B, the insertion portion 730B, and the spiral bolt portion 740B.
  • a polygonal wrench groove 722B is formed in the head portion 720B of the tension bolt 700B.
  • a circular stepped portion 830A in which the head portion 72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board 800A is formed.
  • Both ends of the tensile muscles 90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84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 inner surface 830B of the spherical plate 800B. It is a structure that does not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820A) and the insertion hole (820B) of the disk plate (800B). Instead,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having an extremely short length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 insertion hole 820B of the spherical plate 800B. The tension insert is inserted into the wrench groove 722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while the spiral portion 920 of the tension root 900 is inserted into the spiral portion 750A of the penetrated tension insert bolt 700A. The bolt 700A may be rotated to screw and engage.
  • tension insert bolt 700A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long tensile muscle 900.
  • the concrete mortar is pour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muscles 900. After concrete mortar is cured, it is demolded. Together with the demolding, the sphere plate 800A and the sphere plate 800B are separated.
  • Tensile force 900 is given a tensile force is fixed by the adhesion of the concrete, so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le muscles 900 acts as a compressive force of the concrete pole.
  • imparting tensile force to the tensile muscle 900 is to increase the support strength of the pole by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leted pole.
  • Electric poles are vulnerable to horizontal forces in an upright state because they are elongated in shape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 the introduction of compressive force into the pole is intended to reinforce it.
  • tensile muscles 900 are inserted in the pole.
  • the compressive forces introduced by this article should be balanced. Eccentricity due to power imbalance should not occur. Twelve copies shall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he tension should be given equally.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 the length S of the portion 750A and the insertion length S of the spiral portion 920 of the tensile muscle 900 inserted thereto are the same.
  • the spiral portion 920 of the tension root 900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spiral portion 75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 All 12 bones must have the same length to impart the same tensile force to the tensile muscles 900. It is to make structurally stable pole without eccentricity.
  • both ends of the tension root 64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830B and 840A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spherical plate 800A, the tension is completed after the tension pole is completed with the release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Since there is no surplus length of the root 900 and there is no need to cut the surplus length, residual stress due to the cutting is not generated.
  • the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bolt 700B and the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have the same basic concept except for the tension coupler 750B.
  • the inner surface 830B and 840A of the spoke plate 800A, and the inner surface 742B of the spiral bolt portion 74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the original plate 800B and the spoke plate
  • the spiral bolt portion 74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spirally coupled to the stopper 752B of the tension coupler 750B while coinciding with the inner surfaces 830B and 840A of the 800A. This is to make the length of the tensile muscles 900 the same.
  • Wrench grooves 756B are also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coupler 750B to facilitate fastening by a wrench.
  • the shape of the wrench groove 756B of the tension coupler 750B is also preferably polygonal.
  • Both ends of the tension coupler 750B coupled with the tension root 90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830B and 840A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horse plate 800A, and thus the tension bolt 700B is released. Together with the completion of the pole, there is no surplus length of the tension root 900, and even if the tension bolt 700B is released, the tension coupler 750B remains in the concrete pole as it is embed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feature in the structure that does not generate excess protrusion length in the tensile muscle, and another feature in the structure in which a uniform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le muscle.
  •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uniform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roots is that, in the case of the tension bolt 700B, the inner surface 742B of the helix bolt portion 740B of the tension bolt 700B includes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spherical plate 800A. And a circular stepped portion in which the head portion 72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support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 plate 800A. 830A) and all of the same depth configuration.
  • This i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piral portion 920 of the tension root 900 must be completely screw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73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 the structure that matches the inner surfaces 830B and 840A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spherical plate 800A, and the spiral bolt portion 740B of the tension bolt 700B are the stopper 752B of the tension coupler 750B. That is the configuration that helixes and combines.
  • the length of the tension muscle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riginal plate and the horse plate, the excess length (d) of the tension muscle is not generated. As a result, residual stress does not occur in the tensile muscles embedded in the concrete pole.
  • the long length of the tension bar is located between the disc and the end plate, and the short length fastener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disc and the end plate to be fastened to the tension bar. Not only is easy, but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device is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efficiently.
  • Polygonal wrench grooves are formed on the tension insert bolt and the head of the tension bolt, so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fastening divided into long and short bolts, it is possible to fasten a single bolt and thus the fastening work is efficient.
  • the inner surface of the tension device and the screw-coupled fastening devic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c and the end plate, so that the number of the tension muscles All tensile muscles remain the same, regardless of length, so tha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each tensile muscle is uniform. Since the tensile force is uniform, eccentricity does not occur in the tensile muscles, so it is possible to produce structurally stable poles, which is an efficient and economical useful inven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ic pole manufacturing apparatus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ans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nsile muscle of Figure 1
  • Figure 4 is a state showing the state of the head of the tensile muscles of Figure 3 assembled to the spherical sphincter fixing plate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ut part of the tensile muscle of FIG. 3 is assembled and fixed to a horse plate by a craftsman nut and a single tension nut.
  •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med by a tension bar disposed in FIG. 1 and a spiral wire surrounding it;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insert bol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tension insert bolt and the tension mus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insert bolt and the tension mus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horse plate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device by the tension bol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nsion state of the tension bolt and coupler and the tension musc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astening state between the tension bolt and the coupler and the tensile musc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ension means are applied to the tension muscles while the tension means tension mea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tensile muscle 900 is cut to a length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840A of the horse plate 800A and the inner surface 830B of the wheel plate 800B, and the spiral portions 920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 the length of the spiral portion 92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piral portion 750A of the tension insert bolt 700A, and the inner surface 840A and the spherical plate of the horse plate 800A. Disposing between inner surfaces 830B of 800B);
  • the tension coupler (2)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tension coupler (750B) at both ends of the tension root (900), the wrench is inserted into the wrench groove (756B), and helixed and coupled to the stopper (752B). Installing the other end of the 750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830B and 840A of the spherical plate 800B and the spherical plate 800A;
  • step (d) to the head portion 720B of the tension bolt 700B is supported on the circular stepped portion 830A form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820A of the horseboard 800A; It is a method of fastening the tension muscles on the horseshoe side and the sphere side using a fast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근의 길이를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를 같게 하여 인장근의 잉여돌출길이가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단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아크용접 등에 의한 절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전주에 매설된 인장근에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원구판 및 말구판의 삽입ㆍ볼트공의 관통은 길이가 짧은 체결장치가 관통되게 함으로써 취급 및 체결이 용이하여 체결작업이 효율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인장근(900)의 양단부는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되게 설치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을 관통하여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ㆍ결합되게 하되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머리부(720A)와 삽입부(730A)와 삽입ㆍ체결부(740A)와 나선부(750A)로 형성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내부면(752A)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킨 구성이다. 본 발명은 인장근의 길이를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와 같게 하거나 약간 작게 하여 인장근의 잉여돌출길이가 생기지 않도록 한 구성이므로 작업이 효율적이고 또 아크용접 등에 의한 절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전주에 매설된 인장근에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모든 인장근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각 인장근에 부여된 인장력이 균일하여 인장근에 편심이 발생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안정된 전주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구판과 말구판의 삽입공에 길이가 긴 인장근을 관통시키지 않고 그 대신 길이가 짧은 체결장치를 관통시킴으로써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이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인장근의 길이가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에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인장근의 잉여돌출길이가 생기지 않도록 한 구조이므로 절단작업을 생략한 효율적인 기술이다.
여기에다 인장근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한 구성이므로 각 인장근에 부여된 인장력이 동일하여 편심이 생기지 않아 구조적으로 안정된 전주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전주생산이 효율적이면서 인장력이 균일하여 전주의 구조가 안정적이고 인장근의 잉여돌출길이가 생기지 않아 전주의 품질이 우수한 전주제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원심력에 의한 전주제조장치는 2개로 분할된 모울드(또는 거푸집)와, 모울드내에 설치되는 인장근과, 인장근을 견고하게 양단에서 고정하는 원구판 및 말구판과, 인장근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수단과, 그리고 말구판과 인장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주제조장치는 통상적인 것이다. 원구는 지면에 매설되는 전주단부를 말하고, 그 반대측의 전주단부를 말구라고 말하고 있다.
본 발명도 이러한 통상적인 전주제조장치를 기본으로 개량된 것이므로 전주가 제작되는 기본제작과정은 동일하다.
전주가 제작되는 기본제작과정을 통상적인 전주제조장치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2개로 분할된 하부 모울드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을 이루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고, 상부 모울드는 아직 하부 모울드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하부 모울드가 개형된 상태에서 원구판과 말구판에 인장근을 삽입한다.
원구판과 말구판에는 인장근 관통공이 12개 이상 형성되어있다. 인장근을 12본 이상 배치하기위해서다.
제작되는 전주의 길이는 대략 15m~25m이고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b) 이와 같이 원구판과 말구판의 관통공에 인장근을 삽입ㆍ고정시킨 후 인장근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원구판이 고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인장수단에 의하여 말구판을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연결링은 말구판과 연결되어있으면서 인장수단과도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므로 인장수단에 의하여 연결링을 잡아당기게 되면 이와 함께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c)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하부 모울드에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한 후 하부 모울드를 상부 모울드로 폐형시킨 다음 모울드에 원심력을 가한다.
(d) 원심력을 가하여 전주가 성형된 다음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되면 모울드를 탈형시킨다.
(e) 전주를 모울드로부터 꺼낸다. 이때 원구판과 말구판에는 인장근 연결된 상태이므로 이를 분해해야한다. 인장근과 원구판과의 분해는 절단(용접에 의한 절단)에 의하여 해제시키고, 인장근과 말구판과의 분해는 너트를 해제시킴으로써 인장근으로부터 말구판을 해제시킨다.
상기의 기본제작과정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10-0376818호(도1 참조)를 중심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원심력을 이용한 전주 제조장치(100)는 2개의 분할구조의 거푸집(20)으로 이루어졌다.
거푸집(20)의 일측 원구(12)에는 원구판(30)과 원구인장근고정판(34)이 형성되어있으며, 인장근(64)은 원구판(30)과 원구인장근고정판(34)을 관통하여 원구인장근고정판(34)에 인장근(64)의 헤드(66)가 삽입ㆍ고정되어있다.
거푸집(20)의 타측 말구(14)에는 말구판(40)이 형성되어있고 인장근(64)은 말구판(40)을 관통하여 말구판(40)에 장 인장너트(320)와 단 인장너트(340)로 고정되어있다.
인장근(64)은 도2 에서와 같이 양측에 헤드(66)와 너트부(680)로 형성되어있다.
원구인장근고정판(34)에는 인장근(64)의 헤드(66)가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공(36)이 형성되어있고(도3 참조), 말구판(40)에는 인장근(64)의 너트부(680)가 진입하여 인장너트(300)들로 체결되는 볼트공(440)이 형성되어있다.
인장근(64)의 헤드(66)는 원구인장근고정판(34)의 체결공(36)에 삽입되어 걸려있는 상태로 고정되고, 인장근(64)의 너트부(680)는 말구판(40)의 볼트공(440)에 관통하여 장 인장너트(320)와 단 인장너트(340)에 의해 고정된다.
인장근(64)에 인장력을 부여하기위한 인장근 인장수단이 말구판(40)과 일렬로 설치되어있다. 인장근 인장수단은 말구인장판(42)과 인장축(50)과 마구리판(46)과 그리고 너트(52)로 형성되어있다.
말구판(40)과 말구인장판(42)은 연결링(200)에 의하여 연결되어있다.
연결링(200)의 걸이홈(220)에 말구판(40)의 걸이턱(420)과, 그리고 말구인장판(42)의 걸이턱(422)이 결합ㆍ연결되어있다.
인장근(64)에 인장력부여는 너트(52)를 쪼여줌으로써 부여되게 된다.
즉 인장기에 의하여 너트(52)를 쪼여지게 되면 인장축(50)에 인장력이 유발되고 인장력은 연결링(200)을 통해 말구판(40)에 전달되게 된다. 이로 인해 말구판(40)에 고정된 인장근(64)에 인장력을 부여되게 된다.
도4 에서와 같이 인장근(64)의 주면에는 나선철선(62)이 나선형으로 용접되어 프레임(60)을 이루고 있다. 전단력을 보강하기위해서다.
이제 인장근(64)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하부 모울드에 투입한 다음 하부 모울드로 폐형시킨다. 모울드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하여 중공부를 갖는 전주를 형성한다.
모울드 내에 형성된 콘크리트 전주(10)를 양생시킨 다음 모울드를 탈형시키기 위하여 원구와 말구에서 인장근(64)과 연결ㆍ고정된 것을 해제한다.
즉 원구판(30)과 원구인장판(32) 사이로 용접봉을 사용하여 인장근(64)을 절단하고, 이와 함께 말구판(40)으로부터 연결링(200)을 분리ㆍ해제한다.
모울드가 탈형된 후에는 콘크리트 전주만 남게 되지만 아직도 완성된 완제품의 전주는 아니다. 전주의 양단 원구측과 말구측에는 인장근(64)이 돌출되어있기 때문이다.
돌출된 인장근(64)을 전주의 단부면와 일치되게 절단하여야 한다.
이제 인장근(64)의 돌출부로 인한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주의 양단부 원구측과 말구측에 인장근(64)이 돌출되는 이유에 대하여 살펴본다.
원구측의 돌출부는 원구판(30)과 원구인장판(32)사이를 절단함으로써 생긴 돌출부이다.
원구판(30)과 원구인장판(32)사이를 절단하는 이유는 전주를 신속하게 모울드로부터 꺼내 모울드의 가동횟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다.
모울드의 개수를 많이 설치할 수가 없다. 모울드 한 개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원구판(30)과 원구인장판(32)사이를 일단 절단한 다음 적치장에서 인장근(64)의 돌출부를 절단하게 된다면 모울드내에서 인장근(64)의 돌출부를 절단하는 것보다 전주생산이 효율적이다. 실제 전주생산을 이렇게 하고 있다.
말구측의 인장근(64)의 돌출부(d)는 도5 에서와 같이 말구판(40)의 삽입길이(d1)와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에 의해 고정된 고정길이(d2)합한 길이이다.
전주를 모울드로부터 꺼내기 위해서는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를 풀고 말구판(40)을 분해해야한다. 분해된 말구판(40)의 삽입길이(d1)와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의 고정길이(d2)만큼 인장근(64)의 돌출부(d)가 생기게 된다.
다음으로 인장근(64) 돌출부의 절단으로 인한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본다.
돌출된 인장근(64)의 절단수단은 ① 산소용접 또는 아크용접에 의한 절단과, 그리고 ② 톱날에 의한 절단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376818호의 원구판(30)과 원구인장판(32) 사이의 절단은 용접에 의한 절단이다.
산소용접 또는 아크용접에 의한 절단은 용접에 인한 고열이 콘크리트에 매설된 인장근에 전달되어 불리한 잔류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 결과 인장근(64)의 인장강도를 잔류응력만큼 설계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를 보충하기위해서 인장근(64)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그만큼 비경제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아크용접에 의해 절단하는 경우 탄소 아크(arc)에서는 4000℃ 정도, 금속 아크(arc)에서는 3000℃ 정도에 달하는 고열이 발생된다.
인장근(64)의 주면에 나선형상의 나선철선(62)이 일체로 용접된 상태에서 아크용접을 하게 되면 콘크리트에 매설된 인장근(64)과 나선형상의 나선철선(62)의 접점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면서 4000℃의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접점에서 어스되기 때문이다.
4000℃의 고열은 인장근(64)의 인장강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그 주변의 콘크리트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인장근(64)의 돌출부를 전기톱날에 의해 절단하는 경우에는 톱날이 콘크리트 단부면 접촉되어야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절단작업도 사실상 어렵다.
또한 말구측의 인장근(64) 돌출부는 말구판(40)의 삽입길이(d1)와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의 고정길이(d2)를 합한 길이(d)이고, 이는 절단되는 길이이므로 인장근(64)의 잉여길이(d)이다. 인장근(64)의 잉여 길이는 그만큼 비경제적이다.
이제 인장근(64)의 잉여길이(d)와 관련된 등록특허 제10-0376818호(도1참조)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a) 인장근(64)의 길이(L)는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L1)에다 잉여길이(d)를 더한 길이이다.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L1)보다 인장근(64)의 길이(L)가 더 길다.
(b) 인장근(64)의 형태는 도6 에서와 같이 원구측에 헤드(66)가, 그리고 말구측에 너트부(680)가 형성된 형태이다.
(c)인장근(64)을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에 고정시키는 순서는 먼저 인장근(64)의 너트부(680)를 원구판의 체결공(36)에 관통시키고 그 다음 이를 다시 말구판의 볼트공(440)에 관통시킨 후 인장근(64)의 너트부(680)를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로 나사ㆍ고정시키는 순서이다.
(d)이와 같이 인장근(64)의 너트부(680)가 먼저 원구판의 체결공(36)에 삽입되고 다시 말구판의 볼트공(440)에 삽입되는 구조인데다 인장근(64)의 길이(L)가 통상 15~25m일 뿐 아니라 2번 모두 작은 구멍으로의 삽입이기 때문에 긴 인장근(64)의 취급이 극히 어렵고 동시에 작은 구멍으로의 삽입작업이 곤란하여 작업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전주생산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등록특허 제10-0376818호는 인장근의 삽입ㆍ고정 작업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과, 그리고 인장근의 잉여 길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점이다.
(a) 인장근의 형태는 헤드(66)와 너트부(680)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원구판과 말구판에 설치하는 순서가 정해져있다. 즉 인장근의 너트부(680)가 먼저 원구인장근고정판(34)의 체결공(36)을 관통한 다음 말구판(40)의 볼트공(440)을 관통하는 순서이다. 20m가 넘는 인장근을 조종하여 2개의 작은 체결공(36) 및 볼트공(440)을 관통시킨다는 것은 인장근의 취급이 극히 어려워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설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된다. 이는 전주생산이 비효율적이 되는 주된 원인이다.
(b) 말구판을 관통한 인장근은 장 인장너트(320)와 단 인장너트(34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말구판(40)의 삽입길이(d1)와 장 인장너트(320) 및 단 인장너트(340)의 고정길이(d2)를 합한 잉여길이(d)가 발생하게 된다.
① 인장근의 잉여길이(d)는 절단해야한다. 절단은 아크용접 또는 산소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아크용접의 스파크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매설된 인장근에 고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인장근에 불리한 잔류응력을 도입시키는 원인이다. 잔류응력은 인장근의 인장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② 절단해야하는 인장근의 잉여길이(d)는 그만큼 재료의 낭비를 가져올 뿐 아니라 절단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전주생산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③ 인장근(64)의 길이(L)가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L1)보다 잉여길이(d)만큼 더 길기 때문에 원구인장근고정판(34)의 체결공(36) 및 말구판(40)의 볼트공(440)의 작은 구멍에 삽입해야하는 삽입작업과 인장근의 설치작업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장근의 길이를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L1)와 같게 하여 인장근의 잉여길이(d)가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잉여길이(d)가 없음으로써 절단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아크용접 등에 의한 절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전주에 매설된 인장근에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원구판 및 말구판의 삽입ㆍ볼트공의 관통은 길이가 아주 긴 인장근을 관통되게 한 것이 아니라 길이가 극히 짧은 체결장치가 관통되게 함으로써 체결장치의 취급 및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체결장치에 의한 체결작업이 효율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모울드의 탈형과 함께 체결장치의 해제만으로 완성된 전주를 얻음으로써 절단작업이 필요 없어 전주의 생산성을 향상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텐션인서트 볼트 및 텐션 볼트의 머리부에 다각형상의 렌치홈을 형성함으로써 장ㆍ단 볼트로 구분한 종래기술의 체결과는 달리 하나의 볼트를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텐션인서트 볼트(700A) 및 텐션 볼트(700B)에 의한 체결장치이다. 텐션인서트 볼트(700A)로 인장근을 체결하든 텐션 볼트(700B)로 인장근을 체결하든 양자의 기본 개념은 동일하다.
먼저 텐션인서트 볼트(700A)에 의한 체결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40)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장치에 있어서
인장근(900)의 양단부는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되게 설치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을 관통하여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ㆍ결합되게 하되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머리부(720A)와 삽입부(730A)와 삽입ㆍ체결부(740A)와 나선부(750A)로 형성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내부면(752A)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구성이다.
여기에다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머리부(720A)에는 다각형상의 렌치 홈(722A)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머리부(720A)가 지지되는 원형상의 단턱(830A)이 형성된 구성이다.
다음으로 텐션 볼트(700B)에 의한 체결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장 커플러(750B)의 일단은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가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되고, 그 타단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된 상태이며, 텐션 볼트(700B)는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을 관통하여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ㆍ결합되게 하되 텐션 볼트(700B)는 머리부(720B)와 삽입부(730B)와 나선 볼트부(740B)로 형성되어있고 나선 볼트부(740B)의 내부면(742B)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의 구성이다.
여기에다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에는 다각형상의 렌치 홈(722B)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가 지지되는 원형상의 단턱(830A)이 형성된 구성이다.
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에 의한 체결장치에 대하여
인장근(900)의 양단부가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된 상태이므로 인장근(900)이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 및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이다. 그 대신 길이가 극히 짧은 텐션인서트 볼트(700A)가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과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을 관통되게 한 구성이다. 관통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에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렌치 홈(722A)에 렌치를 삽입하여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회전시켜 나사ㆍ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텐션인서트 볼트(700A)에 렌치 홈(722A)을 형성함으로써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ㆍ단 볼트로 구분한 종래기술의 체결과는 달리 하나의 볼트로 체결이 가능하여 체결작업이 효율적이다.
20m이상 되는 길이가 긴 인장근(900)을 관통시키는 것보다는 길이가 아주 짧은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관통시키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체결을 위한 회전 작업역시 용이하다.
긴 인장근(900)보다는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인장근(900)에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다. 콘크리트 몰탈이 양생된 후 탈형하게 된다. 탈형과 함께 말구판(800A)과 원구판(800B)이 분리되게 된다.
인장력이 부여된 인장근(900)은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인장근(900)의 인장력은 콘크리트전주의 압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인장근(900)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은 완성된 전주에 압축력을 도입시켜 전주의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주는 단면적에 비해 길이가 긴 세장(細長)형상이기 때문에 직립 상태에서 수평력에 취약하다. 전주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것은 이를 보강하기위한 것이다.
전주에는 인장근(900)이 12본 이상 삽입되어있다. 12본에 의하여 도입된 압축력은 균형을 이루어야한다.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편심이 생기지 않아야한다. 12본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야한다. 인장력을 똑같이 부여해야한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내부면(752A)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면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길이(S)와 이에 삽입되는 인장근(900)의 나선부(920)의 삽입길이(S)가 똑같다. 이를 위해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 끝까지 나사ㆍ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12본 모두의 길이가 동일해야 인장근(900)에 동일한 인장력이 부여된다. 편심이 없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전주를 만들기 위해서다.
한편 인장근(64)의 양단부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된 상태이므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해제와 함께 전주가 완성된 후 인장근(900)의 잉여길이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잉여길이를 절단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절단으로 인한 잔류응력이 발생되지도 않는다.
나) 텐션 볼트(700B)에 의한 체결장치에 대하여
텐션 볼트(700B)에 의한 체결장치와 텐션인서트 볼트(700A)에 의한 체결장치는 인장 커플러(750B)를 제외하고는 기본개념은 동일하다.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된 상태에서 인장근(900)이 결합된 인장 커플러(750B)의 양단부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된 상태이고,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의 내부면(742B)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면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된 구성이다. 인장근(900)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기위해서다.
12본의 인장근(900)에 동일한 인장력이 부여됨으로써 편심이 없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전주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텐션 볼트(700B)에 렌치 홈(722B)을 형성함으로써 텐션 볼트(700B)의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ㆍ단 볼트로 구분한 종래기술의 체결과는 달리 하나의 볼트로 체결이 가능하여 체결작업이 효율적이다.
인장 커플러(750B)의 외주면에도 렌치 홈(756B)이 형성되어있어 렌치에 의한 체결이 용이하다. 인장 커플러(750B)의 렌치 홈(756B)의 형상도 다각형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장근(900)이 결합된 인장 커플러(750B)의 양단부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된 상태이므로 텐션 볼트(700B)의 해제와 함께 전주가 완성된 후 인장근(900)의 잉여길이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텐션 볼트(700B)가 해제되더라도 인장 커플러(750B)는 매설된 상태그대로 콘크리트 전주에 남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장근에 잉여돌출길이가 생기지 않는 구조에 하나의 특징이 있고, 인장근에 균일한 인장력이 도입되는 구조에 다른 하나의 특징이 있다.
인장근에 균일한 인장력이 도입되는 구조에 관련된 구성은 텐션 볼트(700B)인 경우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의 내부면(742B)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키는 구성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가 지지되는 원형상의 단턱(830A)의 깊이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 구성과. 그리고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완전히 나사ㆍ결합되어야 하는 구성이 이 바로 그것이다.
텐션 볼트(700B)인 경우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된 상태에서 인장근(900)이 결합된 인장 커플러(750B)의 양단부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되게 한 구성과,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의 내부면(742B)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하는 구성과, 그리고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하는 구성이 바로 그것이다.
본 발명은 인장근의 길이를 원구판과 말구판 사이의 거리(L1)와 같게 하거나 약간 작게 하여 인장근의 잉여길이(d)가 생기지 않도록 한 구성이므로 절단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아크용접 등에 의한 절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전주에 매설된 인장근에 잔류응력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길이가 긴 인장근은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길이가 짧은 체결장치를 원구판과 말구판의 삽입공에 관통시켜 인장근과 체결되도록 한 구성이므로 체결장치의 취급이 용이하여 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체결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체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체결장치가 원구판 및 말구판의 내측면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분해되는 구조이므로 인장근의 잉여돌출부가 생기지 않아 체결장치의 해제와 동시에 절단이 필요 없는 완성된 전주를 얻게 되므로 전주생산이 효율적이어서 경제적이다.
텐션인서트 볼트 및 텐션 볼트의 머리부에 다각형상의 렌치홈을 형성한 구성이므로 장ㆍ단 볼트로 구분한 종래기술의 체결과는 달리 하나의 볼트를 체결이 가능하여 체결작업이 효율적이다.
인장근의 길이가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에 위치되도록 정확하게 재단되어있으면서 인장근과 나사ㆍ결합된 체결장치의 내부면이 원구판과 말구판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한 구조이므로 인장근의 개수가 몇 개이든지 간에 모든 인장근의 길이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각 인장근에 부여된 인장력이 균일하다. 인장력이 균일하므로 인장근에 편심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전주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종래 전주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2는 도1의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인장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인장근의 헤드가 원구인장근고정판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5는 도3의 인장근의 너트부가 말구판에 장인장너트 및 단인장너트에 의하여 조립ㆍ고정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6은 도1에 배치되는 인장근과 이를 둘러싼 나선철선이 이루고 있는 프레임의 단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텐션인서트 볼트에 의한 체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의 텐션인서트 볼트와 인장근과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텐션인서트 볼트와 인장근이 말구판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텐션볼트에 의한 체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의 텐션 볼트 및 커플러와 인장근과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텐션 볼트 및 커플러와 인장근과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전주제조장치
10; 전주
12; 원구, 14; 말구,
20; 모울드(거푸집)
30; 원구판
32; 원구인장판,
34; 원구인장근고정판,
36; 체결공,
40; 말구판
42; 말구인장판,
46; 마구리판
50; 인장축
52; 너트
60; 프레임
62;나선철선,
64; 인장근, 66; 헤드,
200; 연결링
220; 걸이홈,
300; 인장너트
320; 장인장너트,
340; 단인장너트
420, 422; 걸이턱,
440; 볼트공
680; 너트부
700; 체결장치
700A; 텐션인서트 볼트
720A; 머리부,
722A; 렌치 홈,
730A; 삽입부,
740A; 삽입ㆍ체결부,
750A; 나선부,
752A; 내부면
700B; 텐션 볼트
720B; 머리부,
722B; 렌치 홈,
730B; 삽입부,
740B; 나선 볼트부,
742B; 내부면
750B; 인장 커플러,
752B; 스톱퍼,
754B; 나선부,
756B; 렌치 홈,
800A; 말구판
820A; 삽입공,
830A; 원형상의 단턱,
840A; 내측면
800B; 원구판
820B; 삽입공,
830B; 내측면
900; 인장근
920; 나선부
본 발명의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을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40)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방법에 있어서
(a)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되는 길이로 인장근(900)을 재단하고, 그 양단부에 나선부(920)를 형성하되 나선부(920)의 길이는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길이와 같게 형성한 인장근(900)을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b)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시키는 단계;
(c)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에 관통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인장근(900)의 나선부(920)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렌치 홈(722B)에 렌치를 삽입하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회전시켜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d)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인장근(900)의 나선부(920)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회전시켜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d)단계에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단턱(830A)에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머리부(720A)가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텐션 볼트(700B)와 인장 커플러(750B)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를 인장 커플러(750B)의 일단에 삽입하고 렌치 홈(756B)에 렌치를 삽입하여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시킨 상태에서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텐션 볼트(700B)를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시키는 단계;
(c)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에 관통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를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 볼트(700B)의 렌치 홈(722B)에 렌치를 삽입하고 텐션 볼트(700B)를 회전시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의 스톱퍼(752B)까지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d)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를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 볼트(700B)를 회전시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의 스톱퍼(752B)까지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d)단계에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단턱(830A)에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가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이다.

Claims (8)

  1.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800A)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장치에 있어서
    인장근(900)의 양단부는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되게 설치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을 관통하여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ㆍ결합되게 하되 텐션인서트 볼트(700A)는 다각형상의 렌치홈(722A)이 형성된 머리부(720A)와 삽입부(730A)와 삽입ㆍ체결부(740A)와 나선부(750A)로 형성되어있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내부면(752A)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머리부(720A)가 지지되는 원형상의 단턱(830A)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3.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800A)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장치에 있어서
    인장 커플러(750B)의 일단은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가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되고, 그 타단은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된 상태이며, 텐션 볼트(700B)는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을 관통하여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ㆍ결합되게 하되 텐션 볼트(700B)는 머리부(720B)와 삽입부(730B)와 나선 볼트부(740B)로 형성되어있고 나선 볼트부(740B)의 내부면(742B)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과 일치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에 다각형상의 렌치홈(722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가 지지되는 원형상의 단턱(830A)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6.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800A)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방법에 있어서
    (a)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그리고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에 접면되는 길이로 인장근(900)을 재단하고, 그 양단부에 나선부(920)를 형성하되 나선부(920)의 길이는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길이와 같게 형성한 인장근(900)을 말구판(800A)의 내측면(840A)과 원구판(800B)의 내측면(830B)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b)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시키는 단계;
    (c)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에 관통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인장근(900)의 나선부(920)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렌치 홈(722B)에 렌치를 삽입하고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회전시켜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d)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된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인장근(900)의 나선부(920)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인서트 볼트(700A)를 회전시켜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삽입부(730A)에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되 원형상의 단턱(830A)에 텐션인서트 볼트(700A)의 머리부(720A)가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
  7. 삽입공(820B)이 형성된 원구판(800B)과, 그리고 삽입공(820A)이 형성된 말구판(800A)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인장근이 설치되며 연결링(200)에는 말구판(800A)과 인장근 인장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장근 인장수단에 의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전주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인장근(900)의 양단부 나선부(920)를 인장 커플러(750B)의 일단에 삽입하고 렌치 홈(756B)에 렌치를 삽입하여 스톱퍼(752B)까지 나선ㆍ결합시킨 상태에서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이 원구판(800B) 및 말구판(800A)의 내측면(830B)(840A)에 접면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텐션 볼트(700B)를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과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시키는 단계;
    (c) 원구판(800B)의 삽입공(820B)에 관통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를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 볼트(700B)의 렌치 홈(722B)에 렌치를 삽입하고 텐션 볼트(700B)를 회전시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의 스톱퍼(752B)까지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d)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에 관통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를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텐션 볼트(700B)를 회전시켜 텐션 볼트(700B)의 나선 볼트부(740B)가 인장 커플러(750B)의 타단 나선부(754B)의 스톱퍼(752B)까지 완전히 나사ㆍ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말구판(800A)의 삽입공(820A)의 외측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단턱(830A)에 텐션 볼트(700B)의 머리부(720B)가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한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방법
PCT/KR2010/008680 2009-12-07 2010-12-06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WO201107128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45A KR100970674B1 (ko) 2009-12-07 2009-12-07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KR10-2009-0120245 2009-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286A2 true WO2011071286A2 (ko) 2011-06-16
WO2011071286A3 WO2011071286A3 (ko) 2011-11-03

Family

ID=4264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8680 WO2011071286A2 (ko) 2009-12-07 2010-12-06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0674B1 (ko)
WO (1) WO20110712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156A (zh) * 2016-01-18 2017-07-25 周兆弟 一种混凝土预制桩模具的张拉板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76B1 (ko) * 2011-04-14 2017-06-21 공정호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101056329B1 (ko) * 2011-04-14 2011-08-11 공정호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KR101749563B1 (ko) * 2011-04-14 2017-06-21 공정호 원구판이 일체로 형성된 원구 인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CN108189219A (zh) * 2017-12-13 2018-06-22 泰州市春为强通用机械有限公司 一种特殊的电杆管桩张拉装置
CN109693309B (zh) * 2019-03-01 2024-02-13 天津银龙预应力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预应力轨道板张拉装置
KR102115276B1 (ko) 2019-12-09 2020-05-26 중앙산업 주식회사 2중 인장근을 구비한 pc 전주와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590000B (zh) * 2020-12-11 2021-09-17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一种折线先张法梁板预应力整体张拉放张方法
KR102608870B1 (ko) * 2023-05-17 2023-12-01 동진파일(주) 인장재 고정이 간편한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566U (ko) * 1974-01-30 1975-08-22
JPS5691008U (ko) * 1979-12-14 1981-07-20
JPS56173413U (ko) * 1980-05-26 1981-12-21
KR20060134362A (ko) * 2005-06-22 2006-12-28 주식회사 한길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566U (ko) * 1974-01-30 1975-08-22
JPS5691008U (ko) * 1979-12-14 1981-07-20
JPS56173413U (ko) * 1980-05-26 1981-12-21
KR20060134362A (ko) * 2005-06-22 2006-12-28 주식회사 한길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156A (zh) * 2016-01-18 2017-07-25 周兆弟 一种混凝土预制桩模具的张拉板组件
CN106976156B (zh) * 2016-01-18 2022-09-09 周兆弟 一种混凝土预制桩模具的张拉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286A3 (ko) 2011-11-03
KR100970674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1286A2 (ko)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WO2015034224A1 (ko) 접합단부재에 의한 소켓체결형 철근연결구
WO2011142534A2 (ko) 콘크리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WO2015178621A1 (ko)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WO2015002348A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및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WO2021025256A1 (ko) 축조물 시공 장치
WO2015020269A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WO2019107649A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용 균일 발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WO2012141399A1 (ko)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WO2017052247A1 (ko) 가스터빈의 냉각장치
WO2021225261A1 (ko) 가변형 조립 pc 부재
WO2023277324A1 (ko) 간접 활선작업용 더블 펄 조작부를 갖는 전동식 절연 회전 그립 올 클램프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공기구 조작방법
WO2020027405A1 (ko) 모듈러 파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구조, 모듈러 파일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7057804A1 (ko)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2196901A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WO2022114821A1 (ko)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데크 및 그 제조방법
WO2010018989A2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및 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WO2020105897A1 (ko) 철근 연결용 슬리브
WO2023282540A1 (ko) 벽식 라멘 pc 시스템
JPH05318454A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WO2017018780A1 (ko)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WO2021206207A1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WO2023239118A1 (ko)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WO2020246656A1 (ko) 배관고정부재
WO2015088122A1 (ko) 설치가 용이한 반자동식 체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361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361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