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362A -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362A
KR20060134362A KR1020050053983A KR20050053983A KR20060134362A KR 20060134362 A KR20060134362 A KR 20060134362A KR 1020050053983 A KR1020050053983 A KR 1020050053983A KR 20050053983 A KR20050053983 A KR 20050053983A KR 20060134362 A KR20060134362 A KR 2006013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late
fixing
fixed
ho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425B1 (ko
Inventor
공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to KR102005005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2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0Moulds adapted to centrifugal or rotational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6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내에 거치된 원형망 형태의 인장근을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으로 고정시키고 말구판을 인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를 대상으로 설계값으로 구해진 개수의 인장근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고정 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말구판의 중앙부를 원형공간으로 구성하였고, 원형공간의 외벽으로 가이드 고정홀을 형성하였다. 원형공간 내로 삽입된 인장근의 다발이 인장근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되게 한 것이다.
전주, 원구 고정판, 말구판, 프리스트레스, 강선, 원형공간, 가이드 고정홈

Description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 electric pole}
도1a 종래의 전주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1b 도1a에 적용한 인장근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a 종래의 전주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2b 도2a에 적용한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c 도2a의 인장근의 일측에 적용한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3a 본 발명의 전주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나사부)
도3b 본 발명에 적용한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c 본 발명의 원형공간에 삽입된 인장근이 가이드 고정홀을 향하여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3d 본 발명의 인장근이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3e 본 발명의 인장근에 인장너트로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3f 본 발명의 인장근을 인장너트로 고정한 상태도
도3g 본 발명의 말구판에 슬립 방지홈을 나타낸 상태도
도3h 본 발명의 슬립 방지홈에 인장너트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4a 본 발명의 전주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두부)
도4b 본 발명에 적용한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c 본 발명의 원형공간에 삽입된 인장근이 가이드 고정홀을 향하여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4d 본 발명의 인장근을 두부로 고정한 상태도
도4e 본 발명 인장근의 두부가 말구판에 고정된 상태도
본 발명은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푸집 내에 거치된 원형망 형태의 인장근을 원구측과 말구측에서 고정시킨 다음,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에 회전력을 가해 원심력에 의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에 있어서 설계값으로 구해진 개수의 인장근을 전주 내에 배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인장근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주가 제작되는 과정을 보면, 강제로 된 거푸집에 인장근을 길이방향으로 배열한 후,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진 상태에서 거푸집에 회전력을 부가하여 원심력에 의해 전주가 제작되는 것이므로 인장근에 가해진 프리스트레스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고정수단이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전주에 배근되는 인장근의 개수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현재 인장근의 고정수단으로 크게 2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인장근에 두부를 형성하여 고정판의 고정홈에 고정하는 수단이고, 다른 하나는 인장근에 나선을 형성하여 너트로 고정하는 수단이다. 두부가 형성된 인장근은 두부가 고정판을 관통하는 구조이므로 두부로 인하여 그 만큼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게 된다. 너트로 고정하는 인장근은 인장근의 직경크기만이 고정판을 관통하는 구조이므로 관통되는 면적이 두부에 비하여 차지하는 면적이 작다. 전주의 직경이 동일하다면 너트고정이 두부고정보다 인장근을 더 많이 고정하게 되는 셈이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인장근의 개수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주는 길이가 직경에 비하여 아주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 전주의 길이는 7-17m이고, 직경은 190-220mm 이다.
여기에다 전주는 수직재이므로 수평력에 아주 취약한 형태이다. 수평력을 보강해주기 위한 것이 인장근이다.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한층 더 강화시키기 위하여 통상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다. 전주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인장근의 프리스트레스는 콘크리트의 압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계값으로 주어진 인장근의 개수를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면서 배근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전주의 직경이 아주 작은데다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고정수단이 가세하게 되면 인장근의 고정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결국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다는 것은 견고한 고정판과 고정수단이 전제되는 것이므로 전주 제작의 주된 기술은 고정판과 고정수단에 있는 것이라 할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판과 고정수단에 대하여 알아보기 전에 먼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도1(도1a, 도1b)의 종래기술에 대한 고정판과 고정수단의 문제점을 알아보기로 한다.
인장근(64)이 원구 인장근 고정판(34)과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 고정되어있다. 원구 인장근 고정판(34)은 원구 인장판(34)상에,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은 말구 인장판(42)상에 놓여있다. 말구 인장판(42)은 인장축(50)과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인장축(50)에 인장을 가하게 되면 말구 인장판(42)상에 놓여있는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 인장이 걸리면서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된다.
인장근(64)이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는 인장근(64)의 두부(66)가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의 체결공(36)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인장근(64)이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의 체결공(36)에 고정될 수 있는 개수는 인장근(64)의 두부(66)의 직경에 달려있다. 인장근(64)의 두부(66)의 직경은 인장근(64)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이다.
두부(66)에 의하여 인장근(64)을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 고정하는 도1의 종래기술은 두부(66)가 삽입되는 대구경의 홀(37)과 두부(66)를 고정하는 소구경의 홈(38)이 있어야 한다. 한 개의 인장근(64)을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전주(10)의 원둘레에 대구경의 홀(37)과 소구경의 홈(38)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지하는 면적이 그 만큼 커서 이에 따라 인장근(64)의 개수는 그만큼 적게 고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설계값으로 주어지는 인장근(64)의 개수모두를 고정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으므로 전주(10)의 단면적을 넓혀야 된다. 이는 그 만큼 비경제적인 설계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주(10)의 길이가 16m, 설계하중이 1300kg, 말구(14)의 직경 220mm일 때, 인장근경이 14mm인 12개의 인장근(64)이 필요하며, 이때 인장근(64) 간의 간격은 40.58mm의 설계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대구경의 홀(37)과 소구경의 홈(38)이 형성된 말구 인장근 고정판(42)의 구조로서는 대구경의 홀(37)과 소구경의 홈(38)이 차지하는 길이로 인하여 상기 설계값을 만족하는 12개의 인장근(64)을 배열하기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설계하중에 따른 12개의 인장근(64)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따라서 12개의 인장근(64)의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설계값에 의한 전주(10)의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장근(64)의 두부(66)로 인하여 설계값을 만족하는 인장근(64)의 개수를 말구 인장근 고정판(44)에다 고정시킬 수 없다는 것이 도1의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이다.
한편, 원구 인장근 고정판(34)에 인장근(64)의 두부(66)가 고정되는 형태는 말구 인장근 고정판(42)에 인장근(64)의 두부(66)가 고정되는 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1의 종래기술과 관련된 미설명 부호, 12는 원구, 20은 거푸집, 30은 원구 판, 32는 원구 인장판, 36은 체결공, 40은 말구판, 46은 마구리판, 52는 너트, 680은 너트부이다.
이러한 도1의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이 도2의 종래기술이다. 도2(도2a, 도2b, 도2c)의 종래기술에 대한 고정판과 고정수단의 문제점을 알아보기로 한다.
인장근(64)이 원구 인장근 고정판(34)과 말구판(40)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도2의 종래기술이 도1의 종래기술과 크게 다른 점이라면, 첫째, 도2의 종래기술에는 인장근(64)에 두부(66)가 없다는 점이고, 둘째, 두부(66)가 없기 때문에 두부(66) 대신 인장너트(300)에 의하여 고정된다는 점이며, 셋째, 도1의 종래기술에는 연결링(200)이 없으나 도2의 종래기술에는 말구판(40)과 말구 인장판(42)을 연결링(200)에 의하여 연결되어있다는 점이다.
말구 인장판(42)은 인장축(50)과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인장근(64)이 삽입·고정된 말구판(40)은 연결링(200)에 의하여 인장축(50)과 하나로 작동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인장축(50)을 인장시키기만 하면 된다. 인장축(50)의 인장력은 연결링(200)에 의하여 연결된 말구판(40)에 전달되고, 이는 다시 고정된 인장근(64)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말구판(40)에 인장근(64)이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보면, 인장근(64)이 말구판(40)의 볼트공(440)에 삽입되어 말구판(40)의 상면에서 인장너트(300)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이다.
볼트공(440)의 직경은 인장근(64)의 직경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다. 도1의 종 래기술은 대구경의 홀(37)과 소구경의 홈(38)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두부(66)로 인하여 차지하는 면적이 큰 것인데 반하여 도2의 종래기술은 인장근(64)의 직경과 같은 볼트공(440)만 있으면 되므로 도1의 종래기술에 비하여 그만큼 많은 인장근(64)을 말구판(4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달리 말하면 도2의 종래기술은 설계값으로부터 얻은 인장근(64)의 개수 모두를 그대로 말구판(4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설계값에 의한 전주(10)의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전주 제작의 경제성이다. 아무리 설계값에 의한 전주(10)의 제작이 가능하다할지라도 인장근을 말구판(40)에 삽입하는 작업이 너무 느려 경제성이 없다면 이는 기술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설계값에 의한 전주(10)의 제작이 인장근을 고정시키는 개수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이라면, 전주 제작의 경제성은 삽입작업의 용이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도2의 종래기술은 인장근(64)을 볼트공(440)에 일일이 삽입하는 것외에 달리 생각할 방안이 없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인장근(64)을 볼트공(440)에다 일일이 삽입해야 할 뿐 아니라 그것도 인장근(64)의 직경과 비슷한 볼트공(440)에 삽입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작업성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저조한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도2의 종래기술이 말구판(40)에 고정되는 인장근(64)의 개수를 증가시켰다는 점에서는 도1의 종래기술에 비하여 훨씬 개선된 기술이다. 그러나 말구판(40)의 볼트공(440)에다 인장근(64)을 하나하나 삽입해야하는 작업성의 측면에서는 문제점이 있다. 아무리 인장근(64)의 많은 개수를 말구판(40)에다 고정할 수 있다하더라도 작업성이 나쁘면 비효율적이 되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2의 종래기술은 설계값에 의한 전주의 제작이 가능하다할지라도 인장근(64)을 말구판(40)에 삽입하는 작업시간이 너무 길어 전주(10)제작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이 분야 전문가들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한편, 원구 인장근 고정판(34)에 삽입된 인장근(64)이 인장너트(300)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는 말구판(40)에 삽입된 인장근(64)이 인장너트(300)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2의 종래기술과 관련된 미설명 부호, 14는 말구, 20은 거푸집, 23은 원구, 30은 원구판, 32는 원구 인장판, 46은 마구리판, 52는 너트, 220은 걸이홈, 420,422는 걸이턱이다
본 발명은 도2의 종래기술이 갖고 있는 작업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개수의 인장근을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인장근을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설계값으로 구해진 개수의 인장근에다 프리스트레스의 도입과 동시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설계 강도에 적합한 전주를 제작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함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주를 제작하고자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도2의 종래기술과 아주 흡사하다. 다만 도2의 종래기술이 인장너트에 의해서만 고정이 가능한 것이라면 본 발명은 인장너트뿐만 아니라 두부에 의한 고정도 동시에 수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크게 다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은 인장너트에 의한 고정이든 두부에 의한 고정이든 인장근의 고정을 겸용할 수 있으면서 도2의 종래기술과 같이 연결링(200)에 의하여 인장근(64)이 인장축(50)과 하나로 작동되는 구조이다.
이제, 말구판에 삽입된 인장근이 인장너트에 의하여 고정이 가능하고 또 두부에 의해서도 고정이 가능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는 말구판(40)에 원형공간(400)이 형성되어있다. 도2의 종래기술에는 말구판(40)에 공간이란 찾아 볼수 없고 오로지 볼트공(440)만이 뚫려있을 뿐이다. 원형공간(400)은 전주(10)의 내부공간과 같은 원형상이면서 그 내부공간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원형망(60)형태로 된 한 묶음의 인장근(64)이 바로 이 원형공간(400) 내로 삽입되게 하기위해서다. 인장근(64)은 통상 강선을 사용한다. 원형망(60) 형태에서는 인장근(64)이 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나선형의 철선(62)이 인장근(64)을 구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강선은 원형망(60)형태이어서 직선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탄성이 강하므로 원형공간(400)내로 삽입된 한 다발의 인장근(64)은 밖으로 휘어지려는 성질 때문에 인장근(64)은 원형공간(400)의 외벽 쪽을 향하여 외벽에 붙게 된다.
또한 원형공간(400)의 외벽에는 원형공간(400)과 연통되게 가이드 고정홀(440)을 형성하였다. 인장근(64)이 원형공간(400)의 외벽을 향하여 휘어지려는 성질을 이용하기위해서다.
원형공간(400) 내로 삽입된 인장근(64)과 가이드 고정홀(440)을 거의 일치시켜 두기만하면 인장근(64)은 원형망(60)형태에 의하여 직선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어서 한 다발로 된 인장근(64)이라 하더라도 제 자리의 가이드 고정홀(440)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간혹 어쩌다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원형공간(400)에 그대로 머물고 있는 인장근(64)이 있다하더라도 손으로 약간 건드리기만 해도 강선의 탄성으로 인하여 쉽게 제자리의 가이드 고정홀(440)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근(64)을 볼트공(440)에 일일이 삽입해야하는 도2의 종래기술에 비해 인장근(64)의 삽입이 거의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인장근(64)의 삽입 및 고정작업이 비교도 안될 만큼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고정홀(440)의 개수도 도2의 종래기술의 볼트공(440)의 개수만큼 형성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본 발명은 가이드 고정홀(440)의 개수를 도2의 종래기술의 볼트공(44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인장근(64)의 삽입 작업은 도2의 종래기술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우수하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장근(64)의 삽입작업이 쉽고 빠르므로 효율성이 크고 경제적인 전주(10)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고정홀(440)의 길이와 폭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인장근(64)의 개수와 인장근(64)이 배치될 위치는 전주(10)의 설계에 의하여 정해진다. 인장근(64)이 배치되는 위치에 의하여 가이드 고정홀(440)의 길이가 결정된다. 가이드 고정홀(440)의 폭은 인장근(64)이 삽입되는데 지장을 받지 않을 정도이면 가능하다. 대체로 인장근(64)의 직경보다 약간 클 정도이다.
가이드 고정홀(440)의 폭이 너무 크게 되면 제 위치에 있어야할 인장근(64)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고, 또 말구판(40)의 상단에서 인장근(6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커져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말구판(40)의 상단에서 인장근(6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형공간(400)의 외벽에다 원형공간(400)과 연통되게 가이드 고정홀(440)을 형성하였으므로 인장근(64)에 형성된 두부에 의하여 고정하든 인장너트로 고정하든 인장근(64)이 말구판(40)의 가이드 고정홀(440)에 삽입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다.
이제, 가이드 고정홀(440)에 삽입된 인장근(64)을 말구판(40)에 단단히 고정하는 수단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가이드 고정홀(440)에 삽입된 인장근(64)을 말구판(40)에 고정하기위기위해서는 3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안으로는 도1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인장근(64)의 끝단에 두부(66)를 형성하여 말구판(40)에 고정하는 방안이다.
인장근(64)이 원형 공간(400)에서 횡으로 가이드 고정홀(440)로 삽입되는 것이므로 가이드 고정홀(440)은 인장근(64)의 직경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을 뿐 두부 (66)의 직경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오히려 두부(66)가 인장근(64)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가이드 고정홀(440)에 고정하기가 더 용이하다.
그런데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게 되면 인장근(64)에 강한 인장력이 걸리게 되어 인장근(64)이 가이드 고정홀(440)을 타고 원형 공간(400) 쪽으로 슬립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두부(66)가 고정되어야하는 위치에다 두부(66)와 같은 형상의 슬립 방지홈(450)을 형성하면 인장근(64)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안으로는 도2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인장근(64)을 인장너트(300)로 고정하는 방안이다. 인장너트(300)로 인장근(64)의 끝단을 조이게 되면 고정이 완료된다. 그런데 인장근(64)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인장근(64) 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지게 되어 인장너트(300)를 조이기 위한 공구의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인장너트(300)를 조일만한 회전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하여 인장너트(300)를 단 인장너트(340)와 장 인장너트(320) 2가지를 사용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단 인장너트(340)와 장 인장너트(320)를 교번되게 고정하면서 먼저 단 인장너트(340)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정한 다음, 장 인장너트(320)를 고정해나가게 되면 공구의 회전공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도 인장근(64)에 강한 인장력이 걸리게 되어 인장근(64)이 가이드 고정홀(440)을 타고 원형 공간(400) 쪽으로 슬립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단 인장너트(340)와 장 인장너트(320)가 고정되는 위치에다 슬립 방지홈(460)을 형성하면 단 인장너트(340)와 장 인장너트(320)의 슬립이 방지되어 인장근(64)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세 번째 방안으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방안을 통합하는 방안이다.
대체로 인장너트(300)가 두부(66)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말구판(40)에다 두부(66)에 해당하는 슬립 방지홈(450)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다 인장너트(300)에 해당되는 슬립 방지홈(460)을 형성하는 방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다발의 인장근(64)이 말구판(40)의 원형공간(400)에 삽입되어 가이드 고정홀(440)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거의 자동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구조이므로 인장근(64)의 고정을 두부(66)방식으로 하든 너트(300)방식으로 하든 수용이 가능한 겸용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원구측에서 인장근을 고정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인장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경우에는 원구고정판에 인장근이 삽입되고, 두부에 의하는 고정되는 경우에는 원구 인장근 고정판에 인장근이 삽입되는 것만 다를 뿐이고, 그 고정되는 형태는 말구판(40)에 삽입된 인장근(64)이 고정되는 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3과 도4 참조)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전주(10)의 제작과정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인장근(64)이 고정되는 말구판(40)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 말구판(40)의 특징을 알아보기위해 이와 관련된 전주(10)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전주(10)를 제작한다. 여기에는 인장근(64)과 콘크리트를 담는 그릇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거푸집(20)이다. 또 거푸집(20)에 원심력을 가하여야하므로 거푸집(20)의 재료는 강제로 되어있다. 전주(10)의 양단에는 원구(12)와 말구(14)가 형성되어있다.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야 하므로 말구(14)에는 인장근(64)을 인장시킬 수 있는 인장장치가 필요하다. 인장근(64)은 원구 고정판(70){두부에 의한 고정인 경우는 원구 인장근 고정판(34)}과 말구판(40)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있다.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경우 원구 측은 고정단이 되고, 말구 측은 인장측이 된다. 인장근(64)의 인장은 말구판(40)을 인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말구판(40)의 인장력은 인장축(50)에 의하여 얻어진다. 인장축(50)은 중간 인장판(42)과 일체로 되어있고, 말구판(40)은 중간인장판(42)과 연결링(200)에 의하여 하나로 작동되는 구조이다. 연결링(200)은 거푸집(20)에 의하여 구속된다.
특히 본 발명은 말구판(40){다른 한쪽은 원구 고정판(70)이고, 두부에 의한 고정인 경우는 원구 인장근 고정판(34)}의 개선을 주안점으로 한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말구판(40)은 중앙에 원형공간(400)이 형성되어있고, 원형공간(400)의 크기는 전주(100)의 내부공간의 크기와 거의 비슷하다. 원형공간(400)의 외벽으로는 인장근 가이드 고정홀(440)이 형성되어있다. 가이드 고정홀(440)의 길이는 인장근(64)의 설계위치에 의하여 정해진다. 가이드 고정홀(440)의 폭은 인장근(64)이 자 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하므로 대체로 인장근(64)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또한 가이드 고정홀(440)이 있는 말구판(40)의 상단에는 두부(66)가 고정되는 슬립 방지홈(460)이 형성되어있고, 인장 너트(300)가 고정되는 슬립 방지홈(450)이 형성되어있다. 두부(66)가 고정되는 슬립 방지홈(460)의 크기는 두부(66)의 크기면 족하고, 인장 너트(300)가 고정되는 슬립 방지홈(450)의 크기는 인장 너트(300)가 회전할수있는 여유폭을 감안한 크기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주의 제작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와 같이 첫 번째 단계, 거푸집(20) 내에 원형망(60) 형태의 인장근(64)을 거치시킨다.
두 번째 단계, 인장근(64)을 말구판(40)과 원구 고정판(70){두부에 의한 고정인 경우는 원구 인장근 고정판(34)}의 원형공간(400)에 삽입하여 인장근(64)이 가이드 고정홀(440)에 삽입되게 한다. 가이드 고정홀(440)에 삽입된 인장근(64)을 고정수단에 의하여 단단히 고정한다. 인장근(64)은 대체로 서로 평행하다. 만약 고정수단이 인장너트(300)인 경우 단 인장너트(340)와 장 인장너트(320)를 사용하여 교호적으로 고정한다. 고정하는 순서는 단 인장너트(340)를 먼저 고정하고, 그 다음 장 인장너트(320)를 고정한다.
세 번째 단계,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말구판(40)과 인장근(64)이 고정되는 말구판(40)에 각각 말구 고정판 밑 덮개(72)와 말구 고정판 윗 덮개(74)를 설치한다. 말구 고정판 밑 덮개(72)와 말구 고정판 윗 덮개(74)의 고정은 덮개 고정봉(48)을 삽입하여 말구 고정판 고정덮개 조임 너트(350)로 고정한다.
네 번째 단계, 말구판(40)과 중간 인장판(42)을 연결링(200)으로 체결한다.
다섯 번째 단계, 인장축(50)에 인장을 가하여 인장근(64)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한다
여섯 번째 단계, 원구 쪽 마구리판(71)과 말구판(40)사이의 거푸집(2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거푸집(20)을 닫는다.
일곱 번째 단계, 거푸집(20)에 원심력을 가한다.
여덟 번째 단계,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도입한다. 고정수단이 인장너트(300)인 경우 이를 해제하는 순서는 고정하는 순서와 역순이다. 즉, 장 인장너트(320)를 먼저 푼 다음, 단 인장너트(340)를 푸는 순으로 한다.
미설명 부호는 도1의 종래기술과 도2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부호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망 형태로 된 인장근의 끝단부위를 말구판의 원형공간에 삽입하게 되면 원형망 형태의 영향으로 직선이 유지되려는 성질에다 밖으로 퍼져나가려는 강한 탄성적 성질 때문에 인장근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고정홀을 향하여 순식간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말구판에 형성한 원형공간과, 그 원형공간에 형성한 방사상의 가이드 고정홀의 구성으로 인하여 인장근의 삽입작업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비교 가 될 수없을 정도로 탁월한 효과를 지닌다.
동시에 원형공간의 외벽에 방사상의 가이드 고정홀을 형성하는데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가이드 고정홀을 형성하는 개수에도 전혀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전주를 설계값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주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고정홀이 형성되어있는 말구판의 상단면에 슬립 방지홈이 형성되어있으므로 인장근에 가해지는 강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인장근의 슬립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이드 고정홀이 원형공간과 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인장너트로 고정하는 인장근의 삽입은 물론이고 두부를 갖는 인장근의 삽입도 가능한 것이므로 인장근의 고정형태에 관계없이 어느 것이나 가능한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9)

  1. 거푸집 내에 거치된 원형망 형태의 인장근을 원구측과 말구측에서 고정시킨 다음,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에 회전력을 가해 원심력에 의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에 있어서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의 중앙부에 원형공간을 형성하고, 그 원형공간의 외벽에 방사상으로 가이드 고정홀을 형성하며,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은 말구판의 상단에서 고정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고정홀이 형성된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의 상단에 슬립 방지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을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단 너트와 장 너트를 교호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을 원구 인장근 고정판과 말구판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인장근에 두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말구판의 전후면에 말구 고정판 밑 덮개와 말구 고정판 윗 덮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장치.
  6. 거푸집 내에 거치된 원형망 형태의 인장근을 원구측과 말구측에서 고정시킨 다음, 인장근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에 회전력을 가해 원심력에 의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에 있어서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의 중앙부에 원형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원형공간의 외벽에 방사상으로 가이드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은 말구판의 상단에서 고정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인장근이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의 상단에서 가이드 고정홀을 타고 원형공간의 내부 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슬립 방지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방법.
  8.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을 원구 고정판과 말구판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단 너트와 장 너트를 교호적으로 사용하되, 먼저 단 너트를 고정시키고, 그 다음 장 너트를 고정시키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단계와, 그리고 먼저 장 너트를 해제시키고, 그 다음 단 너트를 해제시키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고정홀에 삽입된 인장근을 원구 인장근 고정판과 말구판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인장근에 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제작 방법.
KR1020050053983A 2005-06-22 2005-06-22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076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83A KR100766425B1 (ko) 2005-06-22 2005-06-22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983A KR100766425B1 (ko) 2005-06-22 2005-06-22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62A true KR20060134362A (ko) 2006-12-28
KR100766425B1 KR100766425B1 (ko) 2007-10-11

Family

ID=3781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983A KR100766425B1 (ko) 2005-06-22 2005-06-22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4B1 (ko) * 2009-12-07 2010-07-15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CN107150407A (zh) * 2017-05-31 2017-09-12 广西电力线路器材厂 改进的混凝土输变电力线路电杆及其生产方法
KR102115276B1 (ko) * 2019-12-09 2020-05-26 중앙산업 주식회사 2중 인장근을 구비한 pc 전주와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454648A (zh) * 2020-11-18 2021-03-09 张明轩 一种水泥电线杆生产用浇筑系统
KR102636104B1 (ko) * 2023-01-11 2024-02-13 동진파일(주)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24Y1 (ko) 2001-07-04 2001-11-16 (주)삼원기술단 강관 파일 상단의 철근 연결 구조
KR100376818B1 (ko) * 2002-03-21 2003-03-20 함텍아시아 주식회사 전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KR20040079205A (ko) * 2003-03-06 2004-09-14 함텍아시아 주식회사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0378210Y1 (ko) 2004-12-09 2005-03-14 노춘복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0406780Y1 (ko) 2005-10-20 2006-01-24 김인수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의 보강철근 캡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4B1 (ko) * 2009-12-07 2010-07-15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WO2011071286A2 (ko) * 2009-12-07 2011-06-16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WO2011071286A3 (ko) * 2009-12-07 2011-11-03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CN107150407A (zh) * 2017-05-31 2017-09-12 广西电力线路器材厂 改进的混凝土输变电力线路电杆及其生产方法
KR102115276B1 (ko) * 2019-12-09 2020-05-26 중앙산업 주식회사 2중 인장근을 구비한 pc 전주와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454648A (zh) * 2020-11-18 2021-03-09 张明轩 一种水泥电线杆生产用浇筑系统
KR102636104B1 (ko) * 2023-01-11 2024-02-13 동진파일(주)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425B1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25B1 (ko)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7533509B2 (en) Method for strengthening a concrete structural member
KR100376818B1 (ko) 전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KR20120064778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2172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CN201033945Y (zh) 短束钢绞线张拉限位装置
JP2000027202A (ja) 鋼管柱の柱脚部の構造
JP5105551B2 (ja) 柱鉄筋組付用治具、柱鉄筋組付用治具セット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製造方法
KR100779427B1 (ko) 거푸집의 주밴드용 고정장치
WO2007058491A1 (en) Apparatus for holding a wire-type formwor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CN203821378U (zh) 一种具有钢绞线的先张法离心混凝土桩
JPH0742369A (ja) 鉄骨柱の建て込み方法
CN205617657U (zh) 一种混凝土柱梁
JPH0438354A (ja) Frpロッドの緊張方法
KR200317275Y1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JP2013087452A (ja) スネークインサートアンカーボルト
JP2007225039A (ja) 接続具
JP3111047B2 (ja) プレストレス・ユニット
KR200280564Y1 (ko) 전주의 제조장치
CN212224715U (zh) 一种在楼板上下部位增加补强柱体的内衬钢筋构件
KR102623584B1 (ko) 스텝너트 어셈블리 및 그 스텝너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JP3042513B2 (ja) 鉄筋保持具
KR20040079205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9004915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CN219344224U (zh) 一种高强度预应力水泥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