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88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883B1
KR102172883B1 KR1020180129577A KR20180129577A KR102172883B1 KR 102172883 B1 KR102172883 B1 KR 102172883B1 KR 1020180129577 A KR1020180129577 A KR 1020180129577A KR 20180129577 A KR20180129577 A KR 20180129577A KR 102172883 B1 KR102172883 B1 KR 10217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edge
muscle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514A (ko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Publication of KR2019004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텐션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배근되는 인장근의 양 끝단을 말구 및 원구 인장판에 손쉽게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근이 관통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인장판 및 상기 관통공에 관통삽입된 상기 인장근 외면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는 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에 관통삽입되는 상기 인장근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 상면은 상기 스토퍼 하면과 밀착되되 외면은 상기 관통공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인장판에 상기 인장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쐐기는 두 분체 또는 한 몸체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인장근에 또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The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to fix the reinforcement ULBON to tension plate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프리텐션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배근되는 인장근의 양 끝단을 말구 및 원구 인장판에 손쉽게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텐션 방식이란 회전 가능한 전주금형 내에서 콘크리트와 자갈이 혼합된 몰드의 경화로 이루어진 기둥형상을 갖는 설치물 내부에 PC강선을 배근하여 상기 설치물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설치물은 전선이나 통신선을 늘여서 설치하기 위한 전주 또는 건축물의 기초공사에 말뚝으로 사용하는 파일 등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전주의 경우 국내 전력 및 통신수요 증가로 인하여 전주에 요구되는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배전선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설계하중 2000Kgf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전주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콘크리트전주의 말구 규격이 KS에서 190mm로 제한하고 있어 현 인장근을 인장판에 체결하는 공법으로는 제작 가능한 최대 설계하중이 1000Kgf에 불과한 기술적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완만한 구배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서, 8~16m의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전주는 지중에 매설되는 단부의 외경은 그 반대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므로, 완전한 원기둥 형태라기보다는 테이퍼된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주의 지중매설 단부는 원구라고 칭하고, 그 반대의 단부를 말구라고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하에서는 이들 단부를 통상 사용하는 용어로서 약칭하여 표현하도록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전주는 국내 규격상 말구지름 190mm 부터 원구 방향으로 점차 커지는 원기둥 형태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주(10)의 주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8개의 인장근(11)과 하중보강을 위한 8개의 보강근이 나선철주의 용접을 통하여 원구에서 말구까지 일체로 배근되어 원구 인장판(15)과 말구 인장판(17)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전주의 설계하중을 높여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8개의 인장근을 최소 12개 이상으로 증가시켜야 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판에 형성된 인장근 삽입홈(17-1)과 고정홈(17-2) 2개의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지는 땅콩형상의 인장근 체결 구조로는 말구지름 190mm의 협소한 공간에서는 12개 이상의 인장근의 배열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근(11)의 끝단에 나사산(11-1)을 형성하여 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56329호인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및 국내공개특허 제10-2012-56120호인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나사산 가공 및 너트 체결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텐션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판에 더욱 많은 수의 인장근을 손쉽게 고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는 인장근이 관통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인장판 및 상기 관통공에 관통삽입된 상기 인장근 외면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는 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에 관통삽입되는 상기 인장근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 상면은 상기 스토퍼 하면과 밀착되되 외면은 상기 관통공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인장판에 상기 인장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쐐기는 두 분체 또는 한 몸체로 이루어져 자석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인장근과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두 분체가 자력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기 쐐기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재는 한 쌍의 상기 쐐기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 다른 하나의 상기 쐐기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쐐기는 상/하부가 개방되되 길이방향으로 상기 인장근이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소정지름을 갖는 상기 관통공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되 상면은 상기 스토퍼 하면이 안착하며, 하면은 상기 인장판 상면에 안착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쐐기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장근 외부에서 상기 쐐기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내벽에는 상기 인장근 외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인장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와 상기 인장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돌출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다수의 인장근이 관통공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쐐기를 상기 인장근에 자력에 의해 결합하되 인장판을 스토퍼 방향으로 밀착되게 가압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인장판을 콘크리트 구조물 양 끝단에 고정설치할 수 있어 공정단계의 편의성은 물론, 대량생산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전주를 통해 말구인장판과 원구인장판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대한 인장판과 인장근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의 인장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력이 있는 쐐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한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를 이용한 정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이하, 간략하게 '정착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는 크게 인장판(110) 및 쐐기(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장판(110)은 다수의 인장근(11)이 관통삽입되어 후술하는 쐐기(120)에 의해 지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10) 양 끝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인장판(110)은 전체적으로 원형이나 다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장근(11)과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공(111)이 다수 천공형성되어 다수의 인장근(11)이 각각의 관통공(111)을 통해 인장판(110)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인장근(11) 끝단에는 상기 인장근(11)의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스토퍼(13)가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13)의 지름은 관통공(111)의 지름과 같거나 좀 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쐐기(120)를 통해 인장판(110)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인장판(110)은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길이에 따라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다수의 인장판(110)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되 각각의 상기 인장판(110)이 복수의 인장근(11)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인장판(110)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복수의 연결관통공(111')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길이에 상관없이 성형하고자 하는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정단계 편의성은 물론, 대량생산의 속도를 향상 이외에 휨 현상이나 하중의 지지가 용이한 내구성이 향상된 지주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인장판(110)의 지름은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0) 상부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되 동심원을 이루는 관통공(111)과 연결관통공(111')이 천공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상기 인장판(110) 중 최하단과 최상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인장판(110)에는 상기 연결관통공(111')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관통공(111) 또는 연결관통공(111')의 내부지름은 후술하는 쐐기(120)가 삽입된 이후에 인장근(11)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그 내부지름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쐐기(120)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도 10 참조).
그리고, 상기 쐐기(12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근(11)이 관통삽입된 인장판(110)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 끝단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21) 및 플랜지(1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몸체(121)는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개방되되 내부에는 인장근(11)이 관통삽입되는 중공부(123)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외면은 관통공(111)이나 연결관통공(111')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외면에는 플랜지(125)가 형성된다.
아울러 중공부(123)의 지름은 인장근(11)의 외경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좀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장근(11)에 형성된 스토퍼(13)가 상기 중공부(123)를 통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플랜지(125) 상면에 상기 스토퍼(13) 하면이 안착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통공(111)과 끼움 결합하는 몸체(121) 외면의 외경은 상기 관통공(111)의 지름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좀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쐐기(120)가 인장판(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125)는 몸체(121) 외면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소정지름을 갖도록 돌출형성되며, 상면에는 스토퍼(13)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쐐기(120)는 몸체(121) 및 플랜지(125)가 모두 포함되게 길이방향으로 절개선(127)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127)의 개구시에 중공부(123)가 외부로 노출되어 인장근(11)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쐐기(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쐐기(120)가 한 몸체로 이루어져 인장근(11)과 체결되거나 서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두 분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장근(11) 외면에 구비되어 관통공(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두 분체로 이루어진 쐐기(120)는 서로 간의 결합력을 높이되 작업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자석체(M)의 자력에 의해 인장근 외면과 또는 상기 자석체(M)끼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두 분체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이나 두 분체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되 나머지 하나는 자력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쐐기(120)에 구비되는 자석체(M)는 상기 쐐기(120)를 이루는 몸체 전체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원가절감 등의 이유로 두 분체로 이루어진 상기 쐐기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자석 또는 금석재질의 부착부재(129)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인장근(11)과 용이하게 자력에 의해 상기 쐐기(120)가 부착될 수 있게 중공부(123)에 상기 자석체(M)를 구비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9 참조).
이때, 두 분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부착부재(129)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29a)가 돌출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129a)와 형상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129b)가 형성되어 두 분체로 이루어진 상기 쐐기(120)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결합돌기(129a)와 결합홈(129b)는 한 쌍의 부착부재(129)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부착부재(129)가 아닌, 두 분체로 이루어진 쐐기(120) 자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100)는 제2실시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지름이 좁아지게 전체적으로 쐐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하는 제2실시에에 따른 정착장치(100)는 그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 구조를 갖는 인장판(110), 중공부(123), 플랜지(12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하기에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12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선(127)이나 두 분체로 이루어져 부착부재(129)나 상기 부착부재(129)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컨대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0)의 쐐기(120)는 플랜지(125)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 형상을 갖도록 중공부(123)가 형성된다.
이때 몸체(121)는 하부방향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인장판(110)에 형성된 관통공(111)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게 상기 관통공(111) 역시, 하방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며, 억지 끼움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1) 외경은 상기 관통공(111) 내경보다 조금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공부(123) 내면에는 인장근(11) 외주면에 나사산 방식으로 형성된 인장근 홈에 삽입되어 서로 치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인장근 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부(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21) 외면은 관통공(111:연결관통공 포함)과 끼움 결합하며, 상기 몸체(121) 내면의 중공부(123)는 돌출부(B)가 걸쇠 기능을 갖도록 인장근(11) 외면과 끼움 결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강선의 스토퍼(13)이 없이도 인장근(11)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121)가 상기 관통공(111)에 더욱 조여지게 되어 본 발명인 체결장치(200)와 인장근(11)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120)에 형성된 중공부(123) 내벽에는 다수의 돌기(B)가 동일하지 않은 패턴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돌기는 상기 중공부(123) 내부로 삽입되는 인장근(11) 표면에 형성된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인장근(11)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쐐기(120)와 상기 인장근(11) 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관통공(111)이나 연결관통공(111')에 제2실시예에 따른 쐐기(120)가 삽입시에는 인장근(11)의 인장력에 대응하여 상기 쐐기(120)가 상기 관통공(111)이나 연결관통공(111')에 더 깊이 조여지게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플랜지(125) 하면이 인장판(110)과 소정 간격(D)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방법(이하, 간략하게 '정착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방법은 크게 콘크리트 구조물(10) 양 끝단 인장판(110)에 인장근(11)을 삽입하는 단계(S100), 쐐기(120)를 결합하는 단계(S200) 및 인장판(110)에 쐐기(120)가 삽입되도록 밀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 끝단에 노출된 다수의 인장근(11)을 인장판(110)에 천공형성된 관통공(11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된 인장근(11)은 인장판(110) 상부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삽입하여 쐐기(120)가 용이하게 상기 인장근(11)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120)에 형성된 절개선(127)을 벌려 상기 쐐기12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2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그 벌여진 큼을 통해 인장판(110) 상부로 인출된 각각의 인장근(11)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한다.
이때, 플랜지(125) 상면은 스토퍼(13) 하면과 면 접촉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판(110)을 스토퍼(13)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인장판(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에 쐐기(120)의 구성인 몸체(121) 외면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함과 동시에 플랜지(125) 하면이 상기 인장판(110)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125) 상면과 스토퍼(13) 하면이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인 정착방법이 마감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다수의 인장근(11)이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쐐기(120)를 상기 인장근(11) 외면에 자력에 의해 결합하되 인장판(110)을 스토퍼(13) 방향으로 밀착되게 가압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상기 인장판(110)을 콘크리트 구조물(10) 양 끝단에 고정설치할 수 있어 공정단계의 편의성은 물론, 대량생산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110: 인장판 111: 관통공
120: 쐐기 121: 몸체
123: 중공부 125: 플랜지
127: 절개선 B: 돌출부
10: 콘크리트 구조물 11: 인장근

Claims (4)

  1. 인장근(11)이 관통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1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인장판(110); 및
    상기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된 상기 인장근(11) 외면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는 쐐기(120);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111)에 관통삽입되는 상기 인장근(11)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1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스토퍼(13)가 형성되며, 상기 쐐기(120) 상면은 상기 스토퍼(13) 하면과 밀착되되 외면은 상기 관통공(111)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인장판(110)에 상기 인장근(11)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쐐기(120)는 두 분체 또는 한 몸체로 이루어져 자석체(M)의 자력에 의해 상기 인장근과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두 분체가 자력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기 쐐기(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부착부재(129);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재(129)는 한 쌍의 상기 쐐기(1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29a), 다른 하나의 상기 쐐기(120)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129a)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129b)을 포함하며,
    상기 쐐기(120)는 상/하부가 개방되되 길이방향으로 상기 인장근(11)이 관통하는 중공부(123)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소정지름을 갖는 상기 관통공(111)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121) 및 상기 몸체(121) 외경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상기 몸체(121) 상부에 형성되되 상면은 상기 스토퍼(13) 하면이 안착하며, 하면은 상기 인장판(110) 상면에 안착하는 플랜지(125)를 포함하되, 상기 쐐기(12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부(123)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인장근(11) 외부에서 상기 쐐기(120)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절개선(127)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23) 내벽에는 상기 인장근(11) 외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인장근(1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120)와 상기 인장근(11)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동일하지 않은 패턴으로 돌출형성된 돌기(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판(110)은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길이에 따라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다수의 상기 인장판(110)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되 각각의 상기 인장판(110)이 복수의 상기 인장근(11)에 의해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장판(110)에 상기 관통공(111)과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관통공(111')이 더 천공형성되고,
    상기 쐐기(120)의 지름은 각각이 길이방향으로 내부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상기 관통공(111)이나 상기 연결관통공(111')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플랜지(125) 하면이 상기 인장판(110)과 소정 간격(D)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1)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인장근(11)이 관통공(111)에 각각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인장판(110)을 삽입하는 단계;
    2) 상기 인장판(110)과 각각의 상기 인장근(11)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장근(11) 외면을 감싸도록 쐐기(120)를 결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쐐기(120) 외면이 상기 관통공(111)에 끼움 결합하되 상기 쐐기(120) 상면은 상기 스토퍼(13) 하면과 밀착될 수 있게 상기 인장판(110)을 상방으로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쐐기(120) 내면은 동일하지 않은 패턴으로 돌출형성된 돌기(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판(110)은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길이에 따라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0) 내부에 다수의 상기 인장판(110)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되 각각의 상기 인장판(110)이 복수의 상기 인장근(11)에 의해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장판(110)에 상기 관통공(111)과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연결관통공(111')이 더 천공형성되며,
    상기 쐐기(120)의 지름은 각각이 길이방향으로 내부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상기 관통공(111)이나 상기 연결관통공(111')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쐐기(120)에 형성된 플랜지(125) 하면이 상기 인장판(110)과 소정 간격(D)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방법.
KR1020180129577A 2017-11-01 2018-10-29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KR102172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90 2017-11-01
KR20170144690 2017-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514A KR20190049514A (ko) 2019-05-09
KR102172883B1 true KR102172883B1 (ko) 2020-11-02

Family

ID=6654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77A KR102172883B1 (ko) 2017-11-01 2018-10-29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76B1 (ko) * 2019-12-09 2020-05-26 중앙산업 주식회사 2중 인장근을 구비한 pc 전주와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94119B1 (ko) * 2020-02-07 2021-08-26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조립형 콘크리트 전주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275Y1 (ko) * 2003-03-10 2003-06-25 함텍아시아 주식회사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1604581B1 (ko) * 2015-07-28 2016-03-17 박문경 강선 고정구 및 강선 고정구의 결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33B1 (ko) * 2000-12-09 2003-06-09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 연결장치
KR101375346B1 (ko) * 2012-04-10 2014-03-19 서보산업 주식회사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275Y1 (ko) * 2003-03-10 2003-06-25 함텍아시아 주식회사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1604581B1 (ko) * 2015-07-28 2016-03-17 박문경 강선 고정구 및 강선 고정구의 결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514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242B1 (en) Concrete-filled metal pole with shear transfer connectors
CA2845460C (en) Continous strand hoop reinforcement for concrete foundations
KR102172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KR101143310B1 (ko) 호형의 철근 구멍을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멘트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0699775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장치
US10538935B2 (en) Guy wire anchor securement system
KR100996728B1 (ko) 결합이 용이한 현장타설 팽이파일
KR20110038587A (ko) 철근 케이지 구조
KR101697767B1 (ko) 커플러를 갖는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0766425B1 (ko)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197106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골기둥 시공방법
KR102038382B1 (ko)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 강선 재배열 금속장치
KR100881863B1 (ko) 앙카볼트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43961B1 (ko) 복합파일
KR102143969B1 (ko) P-cip 흙막이 벽체용 파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80039020A (ko) 피, 에이치, 씨 파일
KR102172885B1 (ko) 조립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장치
CN110805060B (zh) 一种用于拉线塔拉线的基础结构及拉线固定方法
KR1021523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KR20180112148A (ko) 합성말뚝구조체 및, 합성말뚝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210481B1 (ko)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근 정착장치
KR101203093B1 (ko) 전주용 원형접지체
KR101594728B1 (ko) 복합파일
KR20050041736A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2172879B1 (ko) 2중강선 구조를 갖는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의 하중지지 금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