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87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387B1
KR102152387B1 KR1020170144703A KR20170144703A KR102152387B1 KR 102152387 B1 KR102152387 B1 KR 102152387B1 KR 1020170144703 A KR1020170144703 A KR 1020170144703A KR 20170144703 A KR20170144703 A KR 20170144703A KR 102152387 B1 KR102152387 B1 KR 10215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load
steel wire
transmission rod
rota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51A (ko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Priority to KR102017014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3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축 방향으로 배근된 철근 또는 강선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가해지는 횡하중이나 충격을 지지 및 다른 강선에 분산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하중 저항력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철근 구조물 내부에 횡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횡강성 지지대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횡하중 저항력을 향상시켜 요구하는 보증하중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The apparatus to disperse the load inflicted in reinforcement ULBO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and increase bearing capacity}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 또는 강선에 횡방향(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가해지는 횡하중이나 충격을 지지하고 다른 강선에 분산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하중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전주 및 파일과 같은 프리텐션 방식의 원심력을 이용한 콘크리트제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내부에 철근 및 PC강선을 축방향으로 배열하고 나선철선으로 용접된 강선 배근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강선 배근 구조물을 몰드에 삽입 후 일정하중으로 인장시킨 후 콘크리트를 투입시켜 원심성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원심성형에 의한 콘크리트 전주와 파일은 축방향 하중에 높은 강도를 보이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충격이나 하중에는 취약한 특성이 있어 횡방향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횡방향 하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제품의 지름을 증가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강선의 두께 및 수를 늘리는 방법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제품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고, 단순히 철근의 두께 및 수, 콘크리트의 강도, 자갈크기 등 기존 콘크리트 전주 및 파일에 적용되고 있던 재료의 수 및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하고 있으나 작업공정이 힘들고 경제적인 부담도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는 다수의 강선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국내등록특허 제10-1725391호인 '콘크리트 파일'이나 국내등록실용 제20-0406178호인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보강용 철근캡'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전주 및 파일을 제작시에 강선의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이지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을 지지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용도는 아니어서 콘크리트 파일의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프리텐션방식의 원심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제품(파일이나 전주 등)의 경우 횡방향으로의 하중이나 충격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이나 건축구조물의 트러스트 구조를 응용하여 횡방향 및 사선방향의 지지대를 적용 보완하고, 특히, 원심력 제품의 경우에 횡하중 발생 시, 해당 하중이 제품의 하중 취약 부분에 균열이나 파손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횡하중을 지지하고, 하중의 불균형을 주변 강선으로 분산시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변형을 줄여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는 금형내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 제품을 성형하는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을 이용한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횡방향이나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환형(環形)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회전링과, 일단이 상기 제1회전링 외면과 이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게 상기 제1회전링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전달봉 및 상기 전달봉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구비된 강선 외면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달봉은 상기 제1회전링에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강선을 직선으로 바라보게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강선과 사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관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상방으로 지름이 좁아지는 구배(勾配) 형상인 경우에 상기 강선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형내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 제품을 성형하는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을 이용한 기둥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횡방향이나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회전링과, 일단이 상기 제2회전링 외면과 이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게 상기 제2회전링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는 연결바 및 상기 제2회전링와 동심원을 이루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면은 각각의 상기 연결바 타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각각의 강선과 접촉가능하게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중분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횡하중이나 충격이 발생시에 그 하중이나 충격은 제1회전링에 다수 설치된 전달봉을 통해 다른 강선으로 용이하게 분산 및 지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변형에 따른 균열 및 파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횡방향으로의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하면 다수의 강선과 접촉하는 하중분산링에 의해 그 전달받은 하중이 각각의 상기 강선에 지지 및 분산될 수 있도록 전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휨변형에 따른 균열 및 파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구배 형상을 갖는 전주의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해당 전주의 균열 및 파손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철탑구조물에 대한 횡하중에 대응하여 트러스트 구조로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 대한 제1회전링 및 전달봉 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전달봉이 서로 다른 회전방향을 갖게 강선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강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지지력 증대장치(이하, 간략하게 '하중분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인 하중분산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론, 다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결합하는 철탑구조물(P')에도 적용가능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이란 금형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심력에 의해 콘크리트 제품을 성형하는 프리텐션 방식을 이용한 파일이나 전주는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배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전주를 예시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강선의 배치에 따라 사선형태로도 설치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에 따른 하중분산장치는 크게 제1회전링(110), 전달봉(120) 및 끼움관(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회전링(11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배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P) 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되 후술하는 끼움관(130)이 형성된 전달봉(120)이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제1회전링(110)는 전체적으로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금형(미도시) 내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과 함께 일체화로 성형되거나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P)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제1회전링(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전달봉(120) 일단과 이어지게 연장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전달봉(120) 일단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도 5 참조).
이때, 결합공(111)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연결바(220) 일단은 일부가 상기 결합공(111)에 삽입되게 직각으로 절곡부(121)가 형성되어 제1회전링(110)와 전달봉(120)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제1회전링(110)이나 후술하는 제2회전링(210)은 환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각의 띠 형태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달봉(120)은 상술한 제1회전링(110)과 콘크리트 구조물(P)의 뼈대를 이루는 강선(W)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의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을 상기 제1회전링(110)에 전달하고, 상기 제1회전링(110)에 전달된 하중이나 충격은 또 다른 전달봉(120)을 통해 다른 강선(W)으로 그 하중을 지지하거나 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전달봉(120)은 전체적으로 소정지름을 갖는 봉 또는 판 형상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제1회전링(110)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후술하는 끼움관(130)이 형성되어 강선(W)과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전달봉(120) 일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이루어진 제1회전링(110) 내부의 임의에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강선(W)을 직선으로 바라보게 상기 제1회전링(110)와 연결되거나 또는 해당 중심점(C)을 기준으로 사선 형태를 갖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및 도 7 참조).
다시 말해, 전달봉(120)이 강선(W)과 직선 형태로 연결되어도 해당 강선(W)에 가해지는 충격(횡방향의 하중 포함)이 제1회전링(110)에 전달되어 그 충격을 다른 강선(W)들을 통해 분산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제1회전링(110)과 전달봉(120)의 이음부분이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게되어 또 다른 전달봉(120)을 통해 다른 강선(W)으로 충격이 분산되기 이전에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제1회전링(110)에 전달된 하중이나 충격이 상기 제1회전링(110)에 전체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이음부분에 해당 하중의 상당 크기가 전달되어 파손의 위험이 남아있을 수 있게 된다.
하여, 제1회전링(110)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이음부분에만 국한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전달봉(120)을 사선 형태로 연결하여 그 하중이 상기 제1회전링(110)에 전체적으로 분산되게 퍼져 다른 강선(W)으로 용이하게 그 하중이 전달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분산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전달봉(120)은 콘크리트 구조물(P)의 강선(W) 개수와 동일하게 제1회전링(110)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강선(W)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나아가 제1실시예(1)에 의한 전달봉(120)의 사선 방향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콘크리트 구조물(P)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전달받은 하중의 분산력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끼움관(130)은 전달봉(120) 타단에 구비되어 제1회전링(110)과 강선(W)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끼움관(130)은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131)가 형성되어 강선(W)과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도 5 참조).
아울러 끼움관(130)의 내경은 강선(W)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되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절개부(131)가 그 탄력에 의해 상기 강선(W) 외면을 가압과 동시에 내부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끼움관(130)은 성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P)이 그 길이방향으로 상방향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구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 내의 강선(W)이 소정의 기울기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해당 강선(W)의 기울기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전달봉(120)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W)과 용이하게 끼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1)에 따른 하중분산장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P)에 횡방향으로의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시에 그 하중이나 충격은 제1회전링(110)에 다수 설치된 전달봉(120)을 통해 다른 강선(W)으로 용이하게 분산시켜 콘크리트 구조물(P)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상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1')로 제2회전링(210), 연결바(220) 및 하중분산링(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회전링(210)는 전체적으로 환형(環形)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금형(미도시) 내부나 중공부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과 함께 일체화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회전링(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연결바(220) 일단과 이어지게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220)는 전체적으로 소정지름을 갖는 봉 또는 판 형상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제2회전링(210)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하중분산링(230) 내면과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링(210)에 상기 하중분산링(2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연결바(220)는 하중분산링(23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의 일부가 제2회전링(210)에 전달되어 그 하중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과도 병행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바(220) 또는 상술한 전달봉(120)은 하중분산에 대한 효율성 증대를 위해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일정화된 지름규격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갖도록 하거나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코일스프링 형태의 완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중분산링(230)은 콘크리트 구조물(P)에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하중분산링(230)은 상술한 제2회전링(210)와 동심원을 이루는 동일 형상을 갖도록 전체적으로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강선(W)을 감싸도록 콘크리트 구조물(P) 내에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하중분산링(230) 내면은 용접 등을 통해 강선(W) 외면 항시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외부 충격이 발생시 어느 하나의 상기 강선(W)으로 전해진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P)에 횡방향으로의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하면 다수의 강선(W)과 접촉하는 하중분산링(230)에 의해 그 전달받은 하중이 각각의 상기 강선(W)에 분산될 수 있도록 전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P)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분상장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1'')로 하중지지체(310) 및 하중분산체(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중지지체(310)는 후술하는 하중분산체(320)가 설치되되 콘크리트 구조물(P)의 횡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하중지지체(3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원이나 다각의 기둥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한 쌍이 서로 이웃하도록 평행하게 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하중지지체(310)는 복수의 구성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어 횡하중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중지지체(310)는 평면상에서 육안으로 식별시에 '井', '+', 'X' 및 '*'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중분산체(320)는 상술한 하중지지체(310)에 고정결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P)이 받는 하중을 하중지지체(310)에 전달하여 그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하중분산체(320)는 전체적으로 호(弧)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내면은 하중지지체(310)에 끝단과 이어지게 고정형성되며, 그 외면은 콘크리트 구조물(P)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횡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콘크리트 구조물(P)과 접촉하는 하중분산체(320) 외면은 복수의 강선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 내부에 설치되어 하중의 분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P)에 횡방향으로의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하면 다수의 강선(W)과 접촉하는 하중분산체(320)에 의해 그 전달받은 하중이 각각의 하중지지체(310)를 통해 상기 강선(W)에 분산될 수 있도록 전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P)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크기 등을 변화하지 않고도 휨하중 저항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지지력 증대장치의 제1실시예
1':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지지력 증대장치의 제2실시예
1'':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지지력 증대장치의 제2 3실시예
110: 제1회전링 111: 결합공
120: 전달봉 130: 끼움관
131: 절개부 210: 제2회전링
220: 연결바 230: 하중분산링
310: 하중지지체 320: 하중분산체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P) 내부에 횡방향이나 사선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회전링(110);
    일단이 상기 제1회전링(110) 외면과 이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게 상기 제1회전링(110)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전달봉(120); 및
    상기 전달봉(120)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 내부에 구비된 강선(W) 외면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관(130);을 포함하되,
    상기 전달봉(120)은 상기 제1회전링(110)에 임의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상기 강선(W)과 사선 형태로 연결되되 상기 전달봉(120) 일단은 직각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링(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끼움관(13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이 상방으로 지름이 좁아지는 구배 형상인 경우에 상기 강선(W)의 기울기와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선형태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전달봉(120)이 연결된 상기 제1회전링(110)은 복수개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의 길이방향으로 그 사선방향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게 다수 구비되어 하중의 분산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44703A 2017-11-01 2017-11-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KR10215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03A KR102152387B1 (ko) 2017-11-01 2017-11-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03A KR102152387B1 (ko) 2017-11-01 2017-11-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1A KR20190049151A (ko) 2019-05-09
KR102152387B1 true KR102152387B1 (ko) 2020-09-04

Family

ID=6654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03A KR102152387B1 (ko) 2017-11-01 2017-11-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7329A (en) * 2020-07-20 2022-01-26 Equinor Energy As Construction of wind turbine towers for heavy maintenance lifting oper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81A (ja) * 2008-08-21 2010-03-04 Ntt Infranet Co Ltd 中空柱用補強具および該中空柱用補強具を用いた中空柱の補強方法
JP2011231578A (ja) * 2010-04-30 2011-11-17 Minaki Hiroyasu 中空柱の補強構造
KR101226948B1 (ko) * 2012-03-07 2013-01-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5995A (ko) * 2011-12-28 2013-07-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횡방향 보강재, 이를 갖는 합성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그리고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981A (ja) * 2008-08-21 2010-03-04 Ntt Infranet Co Ltd 中空柱用補強具および該中空柱用補強具を用いた中空柱の補強方法
JP2011231578A (ja) * 2010-04-30 2011-11-17 Minaki Hiroyasu 中空柱の補強構造
KR101226948B1 (ko) * 2012-03-07 2013-01-28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51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298B2 (en) Reinforcement system for poles
EP1474579B1 (en) Wind turbine
RU2720210C2 (ru) Фундамент дл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20200200149A1 (en) Wind turbine tower
US8104242B1 (en) Concrete-filled metal pole with shear transfer connectors
AU2016318887B2 (en) A tower section for a tethered wind turbine tower
CA2968035C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JP6573277B2 (ja) 主塔または橋脚の構築方法
KR1021523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선 하중 분산 및 횡하중 지지력 증대장치
JP5844584B2 (ja) 塔状構造物
KR100843509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US9714520B1 (en) Direct anchorage termination for pole reinforcement
KR102172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CN109057503B (zh) 一种施工方便的高强度混凝土电杆
KR20140147469A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102038382B1 (ko)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 강선 재배열 금속장치
KR20200013330A (ko) 인장부재를 이용한 송전탑
KR102172879B1 (ko) 2중강선 구조를 갖는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의 하중지지 금구장치
KR102121804B1 (ko) 시공용이성을 향상시킨 무용접 phc파일 연결구조
CN207960120U (zh) 一种高强度水泥杆
CN210105440U (zh) 一种电杆加高装置
CN101302759A (zh) 预应力方桩
KR101846245B1 (ko) 나선형 횡보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KR100646259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CN218757428U (zh) 一种多边形预制桩/异型预制桩的钢筋骨架笼及多边形预制桩,异型预制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