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76B1 -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76B1
KR101749576B1 KR1020110034627A KR20110034627A KR101749576B1 KR 101749576 B1 KR101749576 B1 KR 101749576B1 KR 1020110034627 A KR1020110034627 A KR 1020110034627A KR 20110034627 A KR20110034627 A KR 20110034627A KR 101749576 B1 KR101749576 B1 KR 10174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lar
tension
support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094A (ko
Inventor
공정호
Original Assignee
공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정호 filed Critical 공정호
Priority to KR102011003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7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28B21/1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 B28B21/2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using rotatable mould or core parts
    • B28B21/30Centrifugal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0Moulds adapted to centrifugal or rotational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90Methods or apparatus for demoulding or discharging after sha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로 된 종래의 원구판과는 달리 2개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으로 분할하면서 분할된 중량에 의하여 조립ㆍ분해 작업에 대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조립ㆍ분해구조역시 인장근의 인장력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원구인장판에 인장근의 설치 및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몰드의 설치 및 탈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특히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930)과 그 위에서 지지되는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의 형상 모두 폐합된 원형형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누름부(960)와 누름지지면(930)의 조립구조에 의하여 인장근(64)에 의한 강한 인장력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될 뿐 아니라 인장근의 설치는 물론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Beginning phase structure of the electric pole composed of a tension plate and a support plate and method making the electric pole therewith}
본 발명은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로 된 종래의 원구판과는 달리 2개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으로 분할하면서 분할된 중량에 의하여 조립ㆍ분해 작업에 대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조립ㆍ분해구조역시 인장근의 인장력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원구인장판에 인장근의 설치 및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몰드의 설치 및 탈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특히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과 그 위에서 조립ㆍ지지되는 원구인장판의 누름부의 형상 모두 폐합된 원형형상이므로 그 조립구조에 의하여 인장근에 의한 강한 인장력의 지지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인장근의 설치 및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구조가 간단하면서 그 중량을 분할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한 것이므로 조립ㆍ분해 작업이 효율적이고, 조립구조가 안정적이어서 콘크리트 전주의 제작 기술분야에 유용한 기술이다.
콘크리트 전주의 제작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766425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가 도1에 도시되어있다. 도1은 몰드 내에 배치된 인장근(64)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를 투입하고, 원심력을 가하여 중공부를 갖는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장치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원구판(30)에는 인장근(64)의 한끝이 고정되고, 다른 한끝은 말구판에 고정되어있다. 인장근(64)에 인장력부여는 말구판(40)을 인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말구판(40)은 연결링(200)에 연결되고, 연결링(200)은 다시 인장축(50)에 연결되어있다. 인장축(50)은 유압시스템을 갖는 인장장치에 연결되어있다.
원심력에 의해 제작된 전주는 양생을 거쳐 탈형되는 과정을 거쳐 전주가 완성되게 된다.
그런데 도1의 원구구조는 원구측 몰드의 플랜지(A)와 하나로 된 원구판(30)으로 이루어지면서 몰드의 플랜지(A)와 원구판(30)은 체결볼트에 의하여 조립ㆍ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원구판(30)에는 인장근(64)의 한끝이 고정되어있다.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말구판(40)에 고정되어있다.
도1의 도면에는 몰드 플랜지(A)와 하나로 된 원구판(30)의 조립ㆍ고정을 위한 체결볼트가 도시되지 않았다. 통상 몰드 플랜지(A)와 원구판(30)은 체결볼트에 의하여 조립ㆍ고정된다. 이는 탈형 시 몰드 플랜지(A)에서 원구판(30)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기위해서다.
도1의 원구판(30)은 인장력이 부여된 인장근(64)을 고정하면서 원심력을 받기 때문에 원구판(30)의 중량은 통상 40kg이상이 된다.
40kg이상의 원구판(30)을 몰드 플랜지(A)에 조립하기 위해 들어 올리거나 탈형 시 이를 다시 해체하고 내려놓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존된 작업이므로 그 중량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한꺼번에 수십 개의 몰드가 가동되기 때문에 몰드의 개수가 많을수록 원구판(30)의 중량으로 인한 작업성은 한층 더 저하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여기에다 원구판(30)에 고정되는 인장근(64)은 원구판(30)의 삽입홈과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야한다. 인장근(64)이 삽입홈과 일직선이 아닌 아주 작은 경사각이라도 갖게 되면 인장근(64)에 부여된 인장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인장력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원구판(30)이 몰드 플랜지(A)와 조립ㆍ고정된 상태에서 원구판(30)의 삽입홈에 인장근(64)을 삽입하는 것 역시 용이하지 않다.
다음으로 등록특허 제10-037681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가 도2에 도시되어있다.
도2역시 도1과 같이 하나로 된 원구판(30)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 도1과 같이 몰드 플랜지(A)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원구판(30)에 조립ㆍ고정되어있다. 도1과 다른 점은 원구판(30)에 대하여 원구(말구)인장판(32)이 별도로 추가되어있는 것만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도2에서 살핀바와 같이 원구판(30)의 중량이 40kg이상 되므로 도2의 문제점은 도1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과 동일하다.
다만 도2는 원구인장판(32)이 별도로 추가되어있기 때문에 더 무겁고 인장근(64)의 삽입이 한층 더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하나 더 추가된 셈이다.
⒜ 본 발명은 하나로 된 종래의 원구판과는 달리 2개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으로 분할하면서 분할된 중량에 의하여 조립ㆍ분해 작업에 대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조립ㆍ분해구조역시 인장근의 인장력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원구인장판에 인장근의 설치 및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몰드의 설치 및 탈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원구지지판의 누름지지면과 그 위에서 지지되는 원구인장판의 누름부의 형상이 모두 폐합된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장근에 의한 강한 인장력이 원구인장판의 누름부에 가해지더라도 누름부와 누름지지면의 조립구조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원구와 말구를 이용하여 인장근에 인장력을 가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기본개념은 본 발명이나 종래기술-1, -2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인장측인 말구는 종래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고정측인 원구의 구조만 조립식으로 변화시킨 구조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는 종래 하나로 형성된 원구판을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 2개로 분할하면서 그 중량도 분할경량화하고, 그 조립ㆍ분해구조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한 조립식 원구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구측(고정측)의 구조만을 개선한 것이므로 원구측 구조를 제외하면 종래기술-1, 2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1, 2의 몰드, 말구측, 인장근 등의 도면과 그 도면부호를 설명의 편의상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가 형성된 몰드(20)내에 인장근(64)이 배치되어있고, 인장근(64)의 한끝은 원구측에 고정되어있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말구판(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링(200)에 연결된 인장축(50)에 의하여 인장되고, 몰드(20)내에 콘크리트 몰탈를 채워 몰드(20)에 원심력을 부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제작 장치에 있어서
대중공부(910)를 갖는 원구지지판(900A)과 소중공부(950)를 갖는 원구인장판(900B)으로 분할하되 원구지지판(900A)의 구조는 하부와 상부로 이루어졌고, 원구지지판(900A)의 하부에는 원구측 지지플랜지(A)에 접면되는 플랜지밀착지지면(912)과 몰드(20)의 경계면을 따라 테두리고정지지턱(914)과 그리고 몰탈밀착지지면(916)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원구지지판(900A)의 상부에는 볼트삽입홈(922)을 갖는 체결면(920)과 경사면(932)과 누름지지면(930)과 그리고 수직면(9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있는 한편, 원구지지판(900A)의 대중공부(910)에 삽입되는 원구인장판(900B)은 인장볼트 삽입홈(954)이 형성된 체결고정부(952)와, 누름부(960)와 수직삽입부(962)와 몰탈밀착부(964)와 그리고 내측수직부(966)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있고, 고정볼트(924)에 의하여 지지플랜지(A)에 고정된 원구지지판(900A)의 대중공부에 원구인장판(900B)의 수직삽입부(962)를 삽입ㆍ조립하면서 원구인장판(900B)의 고정은 인장근(64)의 인장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이다.
종래 하나로 된 중량체인 원구판을 대중공부(910)를 갖는 원구지지판(900A)과 소중공부(950)를 갖는 원구인장판(900B)으로 분할한 구조이므로 중량이 분담ㆍ경량화되어 취급이 용이하여 조립ㆍ분해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인장근(64)의 삽입이 용이하여 전주의 제작 작업역시 효율적이다.
원구지지판(900A)과 원구인장판(900B)으로 분할된 조립구조가 안정적이다.
이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구지지판(900A)의 몰탈밀착지지면(916)이 원구측 지지플랜지(A)에 밀착ㆍ접면되는 구조이므로 원구지지판(900A)과 지지플랜지(A)와의 고정이 견고하고 안정적이다.
또한 여기에다 몰드(20)의 경계면에 테두리고정지지턱(914)이 지지되도록 한 구조이므로 몰드(20)의 지지플랜지(A)와 원구지지판(900A)과의 고정이 안정된 구조이다.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930)은 도4에서와 같이 폐합된 원형형상이다. 또한 그 위에 놓여 지지되는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역시 폐합된 원형형상이다.
이와 같이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930)과 그 위에서 지지되는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의 형상이 모두 폐합된 원형상이므로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에 가해지는 인장근(64)에 의한 강한 인장력을 누름부(960)와 누름지지면(930)의 조립구조에 의하여 충분하고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다 인장볼트(700A)를 사용해도 좋으나 전주의 경사도가 보통 1/75이므로 인장힌지볼트(70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
인장볼트(700A)는 등록특허 제10-0970674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3참조)
도3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면 인장볼트(700A)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장볼트(700A)는 머리부(720A)와 삽입부(730A)와 그리고 나선부(750A)를 갖는 삽입ㆍ체결부(740A)로 구성되고, 인장근(900)의 나선부(920)가 인장볼트(700A)의 나선부(750A)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인장볼트(700A)의 나선부(750A)의 길이S는 인장근(900)의 나선부(920)의 길이와 같다.
인장힌지볼트(700)는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있다.
인장힌지볼트(700)는 인장볼트(700A)와 동일하고, 다만 머리부(710)에 힌지부(720)와 경사면을 갖는 삽입부(730)가 형성된 점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삽입부(730)의 내부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있다. 삽입부(730)의 나선부와 인장근(64)의 나선부(64a)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인장힌지볼트(700)의 힌지부(720)는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형성된 힌지홈(956)에 대응된다.(도4 및 도5참조)
인장힌지볼트(700)의 힌지부(720)와 이에 대응되는 힌지홈(956)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주의 원구와 말구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르므로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주의 경사도는 1/75로 경사져있다. 전주 안에 배근된 인장근(64)역시 경사진 상태이므로 경사진 인장근(64)의 방향과 일치되게 하기위하여 인장힌지볼트(700)의 힌지부(720)와 이에 대응되는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힌지홈(956)을 형성한 것이다.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의 방향이 인장근(64)의 경사방향과 일치되게 되면 인장근(64)에 부가된 인장력의 손실이 없게 된다.
바꿔 말하면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삽입되는 인장힌지볼트(700)의 방향이 인장근(64)의 경사방향과 일치되게 되면 인장근(64)에 부가된 인장력이 마찰력으로 인하여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을 인장근(64)의 경사도에 일치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력으로 인한 인장근(64)의 인장력 손실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을 인장근(64)의 경사도에 일치시킨다 해도 항상 오차가 생기게 마련이다.
이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조치가 바로 힌지부(720)와 힌지홈(956)이다. 힌지부(720)와 힌지홈(956)의 조정에 의하여 인장힌지볼트(700)가 인장근(64)의 경사도에 일치되게 된다.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의 직경이 인장힌지볼트(700)의 직경보다 1~2mm 크다. 이만한 여유 때문에 힌지부(720)와 힌지홈(956)에 의한 미세조정이 수용되게 된다.
한편, 원구인장판(900B)의 소중공부(950)를 막음판(970)으로 막게 되면 원심력으로 인한 몰드(20)내부의 콘크리트 몰탈이 몰드(20)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막음판(970)은 콘크리트 몰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그 두께는 얇아도 된다.
막음판(970)의 고정은 몰탈밀착부(964)와 일직선을 이루면서 내측수직부(966)와 만나는 지점을 용접(972)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음판(970)의 중심부에 작은 원형공을 뚫는 것이 유리하다. 원형공을 통해 배기시키기 위해서다. 원형공(970a)의 직경은 통상 80~100mm면 충분하다.
막음판(970)의 원형공(970a)은 증기양생 시 증기가 중공내부로 들어오는 유입로가 되므로 증기접촉이 고르게 되어 콘크리트 전주의 양생품질이 우수하게 될 뿐 아니라 양생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본 발명은 하나로 된 종래의 원구판과는 달리 2개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으로 분할한 구성이므로 분할된 중량에 의하여 조립ㆍ분해 작업에 대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조립ㆍ분해구조역시 인장근의 인장력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조립ㆍ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여기에다 원구인장판에 인장근의 설치 및 몰드의 조립ㆍ분해 작업이 용이하여 몰드의 설치 및 탈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 원구지지판의 누름지지면과 그 위에서 지지되는 원구인장판의 누름부의 형상이 모두 폐합된 원형상이므로 원구인장판의 누름부에 가해지는 인장근에 의한 강한 인장력을 누름부와 누름지지면의 조립구조에 의하여 충분하고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원구인장판의 소중공부를 막음판으로 막은 구성이므로 원심력으로 인한 몰드내부의 콘크리트 몰탈이 몰드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원구인장판의 인장볼트 삽입홈을 인장근의 경사도에 일치시켰을 뿐 아니라 그 미세오차를 인장힌지볼트의 힌지부와 이에 대응되는 힌지홈에 의하여 조정되도록 한 구성이므로 마찰력으로 인한 인장근의 인장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종래의 전주 제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나사부)
[도2] 종래의 전주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3] 인장볼트(700A)의 사시도
[도4] 본 발명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의 분해사시도
[도5] 본 발명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의 단면도
본 발명의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가 형성된 몰드(20)내에 인장근(64)이 배치되어있고, 인장근(64)의 한끝은 원구측에 고정되어있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말구판(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링(200)에 연결된 인장축(50)에 의하여 인장되고, 몰드(20)내에 콘크리트 몰탈를 채워 몰드(20)에 원심력을 부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제작 방법에 있어서
⒜ 테두리고정지지턱(914)이 몰드(20)의 경계면에 지지되도록 원구지지판(900A)을 삽입하고, 이때 원구지지판(900A)의 플랜지밀착지지면(912)이 몰드(20)의 지지플랜지(A)에 접면된 상태에서 체결면(920)의 볼트삽입홈(922)을 지지플랜지(A)의 볼트삽입홈(922)에 일치되게 한 후, 볼트삽입홈(922)에 고정볼트(924)를 삽입하여 원구지지판(900A)을 지지플랜지(A)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 몰드(20)내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사이에 인장근(64)이 배치된 상태에서 인장근(64)의 한끝은 말구판(40)에, 그리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힌지홈(956)을 갖는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삽입된 인장힌지볼트(700)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면서 원구인장판(900B)의 수직삽입부(962)가 원구지지판(900A)의 삽입ㆍ조립되어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가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930)위에 견고히 지지ㆍ고정되는 단계;
⒞ 말구판(40)과 인장축(50)을 동시에 연결하고 있는 공지된 연결링(200)에 의하여 인장근(64)에 인장력을 부여한 다음 몰드(20)에 콘크리트 몰탈를 투입하는 단계;
⒟ 몰드(20)에 원심력을 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고 이를 양생한 다음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6)의 방향이 인장근(64)의 경사방향과 일치되게 한 구성이다.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을 인장근(64)의 경사도에 일치시키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한 인장근(64)의 인장력 손실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인장력의 작용방향과 인장근(64)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면 인장근(64)에 꺽임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인장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인장힌지볼트(700)의 힌지부(720)와 이에 대응되는 힌지홈(956)에 의하여 미세오차가 조정되므로 마찰력으로 인한 인장근(64)의 인장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중심부에 작은 원형공이 뚫려있는 막음판(970)으로 원구인장판(900B)의 소중공부(950)를 막되 막음판(970)이 몰탈밀착부(964)와 일직선을 이루고 있으면서 내측수직부(966)와 만나는 지점을 용접(972)에 의하여 고정한 구성이다.
원구인장판(900B)의 소중공부(950)를 막음판(970)으로 막게 되면 몰드(20)내부의 콘크리트 몰탈이 원심력으로 인하여 몰드(20)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700; 인장힌지볼트
710; 머리부, 720; 힌지부, 730; 삽입부
900A; 원구지지판
910; 대중공부 912; 플랜지밀착지지면, 914; 테두리고정지지턱, 916; 몰탈밀착지지면
920; 체결면, 922; 볼트삽입홈, 924; 고정볼트 926; 너트,
930; 누름지지면, 932; 경사면, 934; 수직면,
900B; 원구인장판
950; 소중공부, 952; 체결고정부, 954; 인장볼트 삽입홈, 956; 힌지홈,
960; 누름부, 962; 수직삽입부, 964; 몰탈밀착부, 966; 내측수직부
970; 막음판, 972; 용접
A; 원구측 지지플랜지

Claims (7)

  1. 본 발명은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가 형성된 몰드(20)내에 인장근(64)이 배치되어있고, 인장근(64)의 한끝은 원구측에 고정되어있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말구판(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링(200)에 연결된 인장축(50)에 의하여 인장되고, 몰드(20)내에 콘크리트 몰탈를 채워 몰드(20)에 원심력을 부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제작 장치에 있어서

    대중공부(910)를 갖는 원구지지판(900A)과 소중공부(950)를 갖는 원구인장판(900B)으로 분할하되 원구지지판(900A)의 구조는 하부와 상부로 이루어졌고, 원구지지판(900A)의 하부에는 원구측 지지플랜지(A)에 접면되는 플랜지밀착지지면(912)과 몰드(20)의 경계면을 따라 테두리고정지지턱(914)과 그리고 몰탈밀착지지면(916)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원구지지판(900A)의 상부에는 볼트삽입홈(922)을 갖는 체결면(920)과 경사면(932)과 누름지지면(930)과 그리고 수직면(9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있는 한편, 원구지지판(900A)의 대중공부(910)에 삽입되는 원구인장판(900B)은 인장볼트 삽입홈(954)이 형성된 체결고정부(952)와, 누름부(960)와 수직삽입부(962)와 몰탈밀착부(964)와 그리고 내측수직부(966)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있고, 고정볼트(924)에 의하여 지지플랜지(A)에 고정된 원구지지판(900A)의 대중공부에 원구인장판(900B)의 수직삽입부(962)를 삽입ㆍ조립하면서 원구인장판(900B)의 고정은 인장근(64)의 인장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삽입부(730)와 머리부(710)를 가지면서 힌지부(720)가 형성된 인장힌지볼트(7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부(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홈(956)을 형성하되 힌지홈(956)은 원형상에 가까운 형상이고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대하여 직각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6)의 방향이 인장근(64)의 경사방향과 일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심부에 작은 원형공이 뚫려있는 막음판(970)으로 원구인장판(900B)의 소중공부(950)를 막되 막음판(970)이 몰탈밀착부(964)와 일직선을 이루고 있으면서 내측수직부(966)와 만나는 지점을 용접(972)에 의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5.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가 형성된 몰드(20)내에 인장근(64)이 배치되어있고, 인장근(64)의 한끝은 원구측에 고정되어있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말구판(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링(200)에 연결된 인장축(50)에 의하여 인장되고, 몰드(20)내에 콘크리트 몰탈를 채워 몰드(20)에 원심력을 부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는 제작 방법에 있어서

    ⒜ 테두리고정지지턱(914)이 몰드(20)의 경계면에 지지되도록 원구지지판(900A)을 삽입하고, 이때 원구지지판(900A)의 플랜지밀착지지면(912)이 몰드(20)의 지지플랜지(A)에 접면된 상태에서 체결면(920)의 볼트삽입홈(922)을 지지플랜지(A)의 볼트삽입홈(922)에 일치되게 한 후, 볼트삽입홈(922)에 고정볼트(924)를 삽입하여 원구지지판(900A)을 지지플랜지(A)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 몰드(20)내 원구측 지지플랜지(A)와 말구측 지지플랜지(B)사이에 인장근(64)이 배치된 상태에서 인장근(64)의 한끝은 말구판(40)에, 그리고 인장근(64)의 다른 한끝은 힌지홈(956)을 갖는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4)에 삽입된 인장힌지볼트(700)에 의하여 고정되게 하면서 원구인장판(900B)의 수직삽입부(962)가 원구지지판(900A)의 삽입ㆍ조립되어 원구인장판(900B)의 누름부(960)가 원구지지판(900A)의 누름지지면(930)위에 견고히 지지ㆍ고정되는 단계;

    ⒞ 말구판(40)과 인장축(50)을 동시에 연결하고 있는 공지된 연결링(200)에 의하여 인장근(64)에 인장력을 부여한 다음 몰드(20)에 콘크리트 몰탈를 투입하는 단계;

    ⒟ 몰드(20)에 원심력을 가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작하고 이를 양생한 다음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원구인장판(900B)의 인장볼트 삽입홈(956)의 방향이 인장근(64)의 경사방향과 일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중심부에 작은 원형공이 뚫려있는 막음판(970)으로 원구인장판(900B)의 소중공부(950)를 막되 막음판(970)이 몰탈밀착부(964)와 일직선을 이루고 있으면서 내측수직부(966)와 만나는 지점을 용접(972)에 의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1020110034627A 2011-04-14 2011-04-14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10174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27A KR101749576B1 (ko) 2011-04-14 2011-04-14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27A KR101749576B1 (ko) 2011-04-14 2011-04-14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94A KR20120117094A (ko) 2012-10-24
KR101749576B1 true KR101749576B1 (ko) 2017-06-21

Family

ID=4728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27A KR101749576B1 (ko) 2011-04-14 2011-04-14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3759B (zh) * 2018-05-21 2020-01-10 安徽双红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核电中子吸收的组合板
CN111618995B (zh) * 2020-05-22 2021-10-19 江苏蓝圈新材料股份有限公司 抗裂混凝土预制件脱模设备以及脱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4B1 (ko) * 2009-12-07 2010-07-15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74B1 (ko) * 2009-12-07 2010-07-15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94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5409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模块
CN110944829B (zh) 风轮机叶片制造方面的改进
KR101056329B1 (ko)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KR101749576B1 (ko)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100970674B1 (ko)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WO2016165408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KR20130087922A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49563B1 (ko) 원구판이 일체로 형성된 원구 인장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20120064778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TWI236966B (en) A mold set with plural detachable cores
KR20120056115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CN113356393A (zh) 一种预制墙体的拼接结构及其拼接方法
KR20120121651A (ko)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장치 및 가조립장치를 이용한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056120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0996578B1 (ko) 거푸집 지지 웨일러
JPH08284424A (ja) 鉄骨柱の建方工法及び調整治具
JP5796940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090000525U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JP3130175U (ja) ポール基礎構造
CN218205333U (zh) 一种可拆卸组合的加固装置
CN114701048B (zh) 模板组件、预制柱模具和预制柱生产设备
JP5442247B2 (ja) プレキャスト梁の製造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梁の製造用治具
KR102274260B1 (ko) 주두부 일체형 몰드를 이용한 각형 단면 원심성형 중공 pc기둥 제작방법 및 주두부 일체형 각형 단면 원심성형 중공 pc기둥
CN220080276U (zh)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建筑用加强件
CN217395249U (zh) 模板组合件、预制柱模具和预制柱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