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120A -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120A
KR20120056120A KR1020100117679A KR20100117679A KR20120056120A KR 20120056120 A KR20120056120 A KR 20120056120A KR 1020100117679 A KR1020100117679 A KR 1020100117679A KR 20100117679 A KR20100117679 A KR 20100117679A KR 20120056120 A KR20120056120 A KR 20120056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late
spherical
muscle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11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120A/ko
Publication of KR2012005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6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 B28B21/6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circumferential laterally tensioned
    • B28B21/64Wind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원구를 형성하는 원구판에 인장력을 갖도록 하여 인장근을 용이하게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인장시 인장력이 인장근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인장이 가능하도록 한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인장근과, 상기 인장근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원구판 및 말구판을 포함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근(20)은 일단이 헤딩처리된 헤드부(22)로 형성되어 상기 원구판(25)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원구판(25)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근(20)이 관통한 채 내측 단부에 상기 헤드부(22)가 걸려지는 인장근고정캡(40)과;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을 원구판(25)의 일측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원구판(25)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구(45)로 구성되고, 상기 원구판(25)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여 이 고정구(45)를 매개로 연결되고, 너트(57)의 조임력으로 인장상태를 유지하는 인장축(55)에 연결된 채 인장력을 갖는 원구인장판(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LOCKING DEVICE TENSION BAR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원구를 형성하는 원구판에 인장력을 갖도록 하여 인장근을 용이하게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인장시 인장력이 인장근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인장이 가능하도록 한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완만한 구배를 지니는 원기둥 형태로서 7 ?17m까지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데 지면에 매설되는 단부를 원구라 하고, 그 반대측 단부를 말구라 한다. 이러한 전주는 콘크리트를 기본 소재로 하지만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설되는 인장근과, 이 인장근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 철선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몰딩하여 전주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상 전주제조장치의 말구판에는 인장근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전주가 제작되는 기본제작과정을 통상적인 전주제조장치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2개로 분할된 하부 모울드는 길이방향으로 수평면을 이루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고, 상부 모울드는 아직 하부 모울드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하부 모울드가 개형된 상태에서 원구판과 말구판에 인장근을 삽입한다.
원구판과 말구판에는 인장근 관통공이 12개 이상 형성되어있다. 인장근을 12본 이상 배치하기위해서다.
제작되는 전주의 길이는 대략 7m~25m이고 원구판과 말구판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 이와 같이 원구판과 말구판의 관통공에 인장근을 삽입ㆍ고정시킨 후 인장근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원구판이 고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인장수단에 의하여 말구판을 잡아당겨 인장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연결링은 말구판과 연결되어있으면서 인장수단과도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므로 인장수단에 의하여 연결링을 잡아당기게 되면 이와 함께 인장근에 인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 인장근에 인장력은 하부 모울드에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한 후 하부 모울드를 상부 모울드로 폐형시킨 다음 인장력을 가하여 모울드에 원심력을 가한다.
⒟ 원심력을 가하여 전주가 성형된 다음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되면 모울드를 탈형시킨다.
⒠ 전주를 모울드로부터 꺼낸다. 이때 원구판과 말구판에는 인장근 연결된 상태이므로 이를 분해해야한다. 인장근과 원구판과의 분해는 절단(용접에 의한 절단)에 의하여 해제시키고, 인장근과 말구판과의 분해는 너트를 해제시킴으로써 인장근으로부터 말구판을 해제시킨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통해 전주가 제조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주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주제조장치는 인장수단이 원구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말구측에 형성됨에 따라 좁은공간에서 작업해야 하는 등 번거롭고 불편하게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인장근 체결구조는 단순히 인장근을 원구판 및 말구판에 고정하는 구조로서, 효율적인 인장이 어려웠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0970674호와 같이, 텐션인서트볼트 및 텐션볼트를 이용한 볼트체결방식으로 인장근을 체결하도록 한 체결장치를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위 등록받은 기술은 인장근의 효과적인 인장과 편심없이 정확한 인장이 가능하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장근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별도 가공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등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인장근을 원구판에 체결할 수 있으며, 원구인장판과 원구판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인장근과 동일선상을 구비하여 인장근과 원구판 및 원구인장판을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인장시 편심없이 정확한 인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장력이 그대로 인장근에 전달되어져 효과적으로 인장시킬 수 있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주의 원구를 형성하는 원구판에 인장력을 갖도록 하여 인장근을 용이하게 인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말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원구판에서의 인장근 체결과 인장수단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인장근과, 상기 인장근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원구판 및 말구판을 포함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근(20)은 일단이 헤딩처리된 헤드부(22)로 형성되어 상기 원구판(25)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원구판(25)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근(20)이 관통한 채 내측 단부에 상기 헤드부(22)가 걸려지는 인장근고정캡(40)과;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을 원구판(25)의 일측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원구판(25)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구(45)로 구성되고, 상기 원구판(25)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여 이 고정구(45)를 매개로 연결되고, 너트(57)의 조임력으로 인장상태를 유지하는 인장축(55)에 연결된 채 인장력을 갖는 원구인장판(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45)는 양측이 각각 상기 원구인장판(50)에 걸려지는 머리부(46)와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47)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5)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구인장판(50)과 원구판(25)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원구판(25)의 타측 표면에 걸려지게 걸림턱(48)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는 상기 원구인장판(50)의 관통공(52)은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한 후 상기 머리부(46)는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하는 대구경(53)과, 상기 대구경(53)의 일측에 고정구(45)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머리부(46)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연장형성된 소구경(54)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체로, 일측은 개구되어 상기 고정구(45)가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내부로 끼워진 상기 고정구(45)가 나사결합되게 나사산(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인장근(20)의 직경으로 인장근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인장근관통공(42)에 의해 그 주변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2)를 걸쳐지게 하는 헤드부걸림턱(4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구인장판과 원구판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인장근과 동일선상을 구비하여 인장근과 원구판 및 원구인장판을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인장시 편심없이 정확한 인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장력이 그대로 인장근에 전달되어지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인장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말구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원구판에서의 인장근 체결과 인장수단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손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구판과 원구인장판에 인장근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에 의해 인장근의 헤드부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근고정캡을 보인 상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근고정캡에 인장근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근고정캡에 다른 형태의 인장근삽입부가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을 통해 제조된 전주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말구판에 체결된 인장근의 체결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는 거푸집(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인장근(20)과, 상기 인장근(20)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원구판(25) 및 말구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근(20)을 원구판(25) 및 말구판(3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말구판(30)에 인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원구판(25)에 인장수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기술로서, 원구판(25)이 구비되는 전주의 원구측이 말구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음으로써 인장근의 체결과 인장수단의 체결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이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장근(20)은 일단이 헤딩처리된 헤드부(22)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구판(25)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진 후 인장수단으로 인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인장근(20)의 타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너트(32)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도 인장근(20)의 일단과 같이 헤딩처리하여 말구판(30)을 관통하여 끼움결합시킬 수 있는 등 다른 여러 방법을 통해 상기 인장근(20)의 타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장수단을 원구측으로 설치함에 따라 인장근(20)의 타단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고정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하에서는 원구측에 설치되는 인장수단에 맞춰 원구판(25)과 인장근(20)을 체결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구판(25)에는 인장근(20)의 일단이 상기와 같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원구판(25)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장근고정캡(40)과,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을 원구판(25)의 일측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원구판(25)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구(45)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은 상기 인장근(20)을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인장근(20)이 관통한 채 내측 단부에 상기 헤드부(22)가 걸려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근(20)은 헤드부(22)가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걸려진 채 상기 고정구(45)에 의해 상기 원구판(25)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구판(25)은 인장수단에 의해 인장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장수단은 원구인장판(50)과 인장축(55) 및 너트(57)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인장수단은 인장지지판(60)에 의해 지지된 채 인장이 이루어진다.
상기 원구인장판(50)은 상기 원구판(25)의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여 이 고정구(45)를 매개로 상기 원구판(25)에 연결되며,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도록 너트(57)의 조임력으로 인장상태를 유지하는 인장축(5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구인장판(50)의 인장으로 상기 원구판(25)에 결합되어 있는 인장근(20)은 팽팽하게 인장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45)가 상기 원구인장판(50)과 원구판(25)을 함께 연결하면서 인장근(2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인장시 편심없이 균일하고 정확한 인장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구판(25)과 원구인장판(5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인장근(20)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고정구(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각각 상기 원구인장판(50)에 걸려지는 머리부(46)와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47)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5)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구인장판(50)과 원구판(25)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원구판(25)의 타측 표면에 걸려지게 걸림턱(4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는 상기 원구인장판(50)의 관통공(52)은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한 후 상기 머리부(46)를 걸려지게 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하는 대구경(53)과, 상기 대구경(53)의 일측에 고정구(45)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머리부(46)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연장형성된 소구경(54)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45)를 관통시키는 경우, 상기 대구경(53)을 통해 고정구(45)를 진입시켜 상기 걸림턱(48)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원구인장판(50)을 관통한 후에는 고정구(45)를 상기 소구경(54)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45)의 이탈없이 원구판(25)과 원구인장판(50)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48)은 원구판(25)의 연결시 걸림턱(48)에 원구판(25)이 걸려져 이동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체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상기 고정구(45)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부로 끼워진 상기 고정구(45)가 나사결합되게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인장근(20)의 직경으로 인장근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의 타측에는 상기 인장근관통공(42)에 의해 그 주변으로 헤드부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장근(20)의 끼움결합시 상기 헤드부(22)가 걸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장근(20)의 헤드부(22)는 인장근(2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헤드부(22)를 인장근고정캡(40)에 끼워 체결하는 경우에는 인장근고정캡(40)에 15m이상되는 인장근(20)을 타측에서부터 끼워넣어 체결하거나, 또는 인장근고정캡(40)에 인장근(20)을 끼워넣은 후 끼워넣은 일측을 헤딩처리하여 헤드부(22)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손수 인장근(20)을 끼워넣어 인장근고정캡(40)에 체결할 수도 있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의 일측벽에 형성된 인장근삽입부(44)를 통해 상기 인장근(20)의 헤드부(22)를 끼워넣어 인장근(22)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인장근삽입부(44)는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의 일측벽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거나 전체적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근삽입부(44)를 통해 인장근(20)을 삽입시킬 수 있어 인장근(20)의 타측부터 끼워넣어야 하는 번거러움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인장근체결작업을 단시간내에 손쉽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인장근(20)을 인장근고정캡(40)에 삽입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구(45)를 이용하여 원구판(25)의 일측 표면 가장자리에 인장근고정캡(40)을 체결시킨다.
이때, 원구판(25)의 타측에 원구인장판(50)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45)로 원구인장판(50)과 원구판(25)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을 체결시킨다.
상기 고정구(45)는 상기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원구인장판(50)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원구인장판(50)의 대구경(53)을 통해 인입시킨 후 소구경(54)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구(45)의 머리부(46)가 상기 소구경(54)의 주변에 걸쳐지도록 하면 된다.
이 후, 인장수단을 통해 인장작업(원구인장판(50)에 연결된 인장축(55)을 잡아당긴 후 너트(57)로 조이는 작업)을 하여 인장근(20)을 인장시킨 후 거푸집(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전주의 제조가 완료된다.
10: 거푸집 20: 인장근
22: 헤드부 25: 원구판
30: 말구판 32: 고정너트
40: 인장근고정캡 41: 나사산
42: 인장근관통공 43: 헤드부걸림턱
44: 인장근삽입부 45: 고정구
46: 머리부 47: 나선부
48: 걸림턱 50: 원구인장판
52: 관통공 53: 대구경
54: 소구경 55: 인장축
57: 너트

Claims (4)

  1.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인장근과, 상기 인장근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원구판 및 말구판을 포함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근(20)은 일단이 헤딩처리된 헤드부(22)로 형성되어 상기 원구판(25)에 체결수단으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원구판(25)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근(20)이 관통한 채 내측 단부에 상기 헤드부(22)가 걸려지는 인장근고정캡(40)과;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을 원구판(25)의 일측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상기 원구판(25)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구(45)로 구성되고,
    상기 원구판(25)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여 이 고정구(45)를 매개로 연결되고, 너트(57)의 조임력으로 인장상태를 유지하는 인장축(55)에 연결된 채 인장력을 갖는 원구인장판(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5)는 양측이 각각 상기 원구인장판(50)에 걸려지는 머리부(46)와 상기 인장근고정캡(40)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47)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5)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구인장판(50)과 원구판(25)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원구판(25)의 타측 표면에 걸려지게 걸림턱(48)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45)가 관통하는 상기 원구인장판(50)의 관통공(52)은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한 후 상기 머리부(46)가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턱(48)이 진입하는 대구경(53)과, 상기 대구경(53)의 일측에 고정구(45)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머리부(46)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연장형성된 소구경(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체로, 일측은 개구되어 상기 고정구(45)가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내부로 끼워진 상기 고정구(45)가 나사결합되게 나사산(4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인장근(20)의 직경으로 인장근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인장근관통공(42)에 의해 그 주변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2)를 걸쳐지게 하는 헤드부걸림턱(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근고정캡(40)의 일측벽에는 상기 인장근(20)의 헤드부(22)를 용이하게 삽입시키도록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절개되어 인장근삽입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20100117679A 2010-11-24 2010-11-24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20056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679A KR20120056120A (ko) 2010-11-24 2010-11-24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679A KR20120056120A (ko) 2010-11-24 2010-11-24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120A true KR20120056120A (ko) 2012-06-01

Family

ID=4660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679A KR20120056120A (ko) 2010-11-24 2010-11-24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1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509A (zh) * 2018-01-17 2018-07-17 湖北工业大学 一种连接锁紧装置
KR20210007353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근 정착장치
KR102608870B1 (ko) * 2023-05-17 2023-12-01 동진파일(주) 인장재 고정이 간편한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
KR102618243B1 (ko) 2022-12-26 2023-12-27 (주)대진이앤지 기립 유지가 가능한 배전선로용 전신주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509A (zh) * 2018-01-17 2018-07-17 湖北工业大学 一种连接锁紧装置
CN108284509B (zh) * 2018-01-17 2019-11-08 湖北工业大学 一种连接锁紧装置
KR20210007353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근 정착장치
KR102618243B1 (ko) 2022-12-26 2023-12-27 (주)대진이앤지 기립 유지가 가능한 배전선로용 전신주 제조방법
KR102608870B1 (ko) * 2023-05-17 2023-12-01 동진파일(주) 인장재 고정이 간편한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674B1 (ko) 전주의 말구측과 원구측에 인장근을 체결하는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조방법
KR20120064778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20056120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20056115A (ko)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1056329B1 (ko) 원구와 말구가 개선된 콘크리트 전주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의 제작방법
KR101902007B1 (ko)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101530420B1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101278595B1 (ko) 전신주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3604689B (zh) 一种用于脆性筋材拉伸试验的装置及方法
KR20160080050A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JP2002370220A (ja) 電柱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JP6347520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CN209381024U (zh) 一种预埋水管架
KR101493249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101247379B1 (ko) 콘크리트맨홀 거푸집
CN219343304U (zh) 一种用于挡墙模板拉模筋的连接件
KR101749576B1 (ko) 원구인장판과 원구지지판이 분할된 조립식 원구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작방법
KR101320728B1 (ko) 건축용 앵커
CN216892808U (zh) 混凝土体成型系统及混凝土体结构
JP2013014966A (ja) 中空柱の補強方法
CN104912235B (zh) 免拆外墙模板的支模结构
CN215443103U (zh) 一种用于封堵预留洞口的支模工具
KR101243856B1 (ko) Kuh 메인 기어 박스를 지지하는 핏팅의 이중 안전 장치
CN215331488U (zh) 一种套管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