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7093A2 -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7093A2
WO2010077093A2 PCT/KR2009/007964 KR2009007964W WO2010077093A2 WO 2010077093 A2 WO2010077093 A2 WO 2010077093A2 KR 2009007964 W KR2009007964 W KR 2009007964W WO 2010077093 A2 WO2010077093 A2 WO 201007709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rythropoietin
hair
growth
compositio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9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77093A9 (ko
WO2010077093A3 (ko
Inventor
김후정
Original Assignee
Kim Hoo Ju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Hoo Jung filed Critical Kim Hoo Jung
Publication of WO201007709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7093A2/ko
Publication of WO201007709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7093A3/ko
Publication of WO2010077093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7093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41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rythropoietin.
  • Hair loss is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and the incidence is high worldwide. In addition, hair loss degrades the quality of life due to mental stress and greatly affects interpersonal or social life. This hair loss is related to various diseases, and the social climate that emphasizes appearance is progressing considerably. As a disease, interest in its cause and treatment has been increased, and it has recently been accepted as an issue. Hair loss is caused not only by genetic factors but also by extern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gardless of gender or ag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domestic hair loss population increased from about 5 million in 2006 to 9 million this year. In this regard, the market for hair growth and hair loss prevention is expanding rapidly, and the domestic market has grown from about 800 billion units in 2005 to about 2 trillion won this year. The hair loss treatment market reached about W30bn in 2007, reaching nearly W50bn this year.
  • the compounds include cyclosporin derivatives (Korean Patent No. 10-0439467, Korean Patent No. 10-0695611), N-heterocyclic carboxylic acid and carbamate (Korean Patent No. 10-2001-0052502), quina Zolinone derivative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23754), chrysine 7-O-crotonat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 Erythropoietin is a glycoprotein, one of the 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s), produced primarily in the kidneys (Youssoufian H. et al., Blood 81, 2223-2236, 1993), and also in small amounts in the liver. It is known to become. Erythropoietin promotes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erythrocyte progenitor cells to help produce mature erythrocytes.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aplastic anemia patients and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Jelkmann, W., Clin. Invest. 72, S3-310, 1994).
  • the present inventors are study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rythropoietin on hair growth promotion and hair loss prevention, while erythropoietin promotes hair growth and promotes the expression of hVEGF, hKGF, hlGF and hBCLXL, which are known as growth factors of hair root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erythropoietin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Esthropoietin erythropoieti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subject with any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uitable manner.
  • the term "individual”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monkeys, dogs, goats, pigs, or rats with diseases in which the symptoms of promoting hair growth or inhibiting hair loss can be improved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or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which means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drug Sensitivity to,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administra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rythropoietin (EPO) as an active ingredient.
  • EPO erythropoietin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rythropoietin derived from all mammals including humans.
  • the erythropoietin may include derivatives, analogs, variants, muteins or variants thereof that are naturally present, ie wild type, as well as exhibit the biological effects of wild type.
  • the derivatives are obtained by substitution of one or more atoms or molecular groups or radicals, with basic erythropoietin structure, in particular by substitution of sugar chains such as ethylene glycol, or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sequences
  • Homology means a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polypeptide molecules, meaning at least 80% or more, preferably at least 90% or more sequence matches.
  • Differences between erythropoietin derivatives and native erythropoietin can occur through mutations such as, for example, deletion, substitution, insertion, addition, base exchange or recombination of a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an erythropoietin amino acid sequence.
  • the derivatives of the invention thus comprise mutant erythropoietin molecules, ie erythropoietin mutant proteins.
  • the analogs include compounds that do not have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as the erythropoietin amino acid sequence, but whos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very similar to erythropoietin and has corresponding biological activity.
  • it may be a compound comprising an amino acid residue responsible for binding erythropoietin to a receptor in an appropriate steric configuration and thus stimulating essential surface properties of the erythropoietin binding site.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 a number of ways, for example by separating it from human urine or from urine or plasma (including serum) in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 Human erythropoietin may be obtained from tissue culture of human kidney cancer cells, from lymphoblasts having the ability to produce human erythropoietin, and from fusion cell culture obtained by cell fusion of human cell lines.
  • Erythropoietin may also be produced by genetic engineering, which recombinantly produces the desired protein, eg, in bacteria, yeast, plant cell lines or animal cell lines, using DNA or RNA encoding the appropriate amino acid sequence.
  • the hair follicles isolated from the human body are cultured in a base medium as a control, and 10 U / ml of erythropoietin is added to the base medium as an experimental group.
  • the length of hair follicles was measured while incubating in the medium.
  • the length of hair follic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erythropoietin was added was found to increase the length growth with the culture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e Fig. 1).
  • erythropoietin promotes hair growth by increasing the length growth of hair follicles.
  • the control group is erythropoietin (In the basal medium without Erythropoietin),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in the basal medium as a control, cultured in a medium to which 10 U / ml of erythropoietin was added to the basal medium as an experimental group, total RNA was extracted, and cDNA was synthesized therefrom.
  • erythropoietin promotes hair growth and inhibits hair loss by promoting hair root cell growth and maintaining survival (see FIGS. 2 to 5).
  • erythropoietin has hair growth promoting and hair loss retarding functions by promoting hair growth, promoting growth factor expression of hair root cells, and maintaining the survival of hair root cell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medicine, it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 the erythropoietin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during clinical administration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various parenteral formulations during actual clinical administration, and when formulat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etc. that are commonly used are used. It is prepared by.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dosage of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time of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and the daily dosage is based on the amount of erythropoietin. 0.0001 to 100 mg / kg is preferable, 0.001 to 10 mg / kg is more preferable, and may be administered 1 to 6 times a day.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may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in addition to erythropoietin.
  •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during clinical administration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time of administration, method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aily dosage is 0.0001 based on the amount of erythropoietin To 100 mg / kg is preferred, 0.001 to 10 mg / kg is more preferred, and may be administered 1 to 6 times a da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erythropoiet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by promoting hair growth, promoting growth factor expression of hair root cells, and maintaining the survival of hair root cells.
  • erythropoietin When the erythropoietin is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in addition to fatty substances, organic solvents, solubilizers, thickening and gelling agents, emollients, antioxidants,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foaming agents, fragrances, surfactants, water, ions Any commonly used in type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metal ion sequestrants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er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lipid vesicles or external preparations for the skin It may contain adjuva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such a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onents can also be introduced in amou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 the external preparation is preferably any one for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eams, lotions, ointments, gels, mucus, sprays and poult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ernal preparation When used as a cosmetic,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general emulsion formulation and solubilized formulation.
  • Cosmetics of the emulsified formulations include nutrient cosmetics, creams, essences, etc., and cosmetics of the solubilized formulations are flexible cosmetics.
  • Suitable cosmetic formulations include, for example, emulsions, suspensions, microemulsions, microcapsules, microgranules or ionic (liposomes), nonionic vesicles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 solution, gel, solid or pasty anhydrous product, aqueous phase,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ispersant, cream, skin, lotion, powder, ointment, spray or cone stick. It may also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oam or in the form of an aerosol composition further containing a compressed propellant.
  • Erythropoieti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hair growth and promotes hair growth by promoting growth factor expression of hair root cells, and promotes survival of cultured hair root cells to delay hair loss, thereby protecting hair against external stress and generating hair.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hair regrowth or hair loss preventing agent having a promoting function.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hair follicles at intervals of three days while culturing human-derived hair follicles: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growth factor of hair root cells using Rt-PCR after culturing dermal papilla cells, which are dermal cells of human hair follicles, for 6 hours, total RNA was isolated and cDNA was synthesized therefrom. :
  • EPO dermal papilla cell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erythropoietin added to the basal medium.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rowth factor of hair follicle cells using Rt-PCR after culturing the dermal papilla cells, the dermal cells of human hair follicles for 18 hours, total RNA was isolated and synthesized cDNA therefrom. .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of BclX / L expression using real time-PCR after total RNA was isolated from the dermal papilla cells, the dermal cells of human hair follicles, and synthesized cDNA.
  • 5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BclX / L quantified using Real time-PCR in dermal papilla cells, which are dermal cells of human hair follicles.
  • hair follicles by punch-biopsy (4 mm in diameter) from the scalp scalp tissue from normal adults who received informed written content, and selected double-growth hair follicles. Hair follicles were isolat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Philpott et al. (Philpott MP, et al., J Cell Sci 1990; 97; 463-471). First, the scalp tissue was divided in half with the 15th scalpel at the border of the dermis-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upper part was discarded, and the lower part was organized around the hair follicles to prevent contamination with fibroblasts, the dermal cells of the skin. Arranged hair follicles were removed for epidermis and sebaceous gland for maximum growth.
  • the isolated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in 37 ° C., 5% CO 2 incubator with 6 to 8 hair follicles per each tissue in 1 ml of William E medium (W 412H, Sigma, St. Louis, MO, USA).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while floating freely in the medium. In the control group,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in a basal medium not added with erythropoieti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dded with 10 U / ml of erythropoietin to the basal medium.
  • the length of the hair follicles was determined from the end of the hair follicle to the cut of the hair shaft, and the culture medium was changed afte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hair follicles every three days using a Filar micrometer eyepiece (American Optical, NY, USA). Measurements were made until 9 days of total culture and then statistically processed. To compare the length of hair follicle growth and the growth period of hair follicles, repeated measures ANOVA of hair follicle length growth items were compared. The survival curves were compared by log-rank test us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0.0) 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 ⁇ 0.05.
  • the length of the hair follicles wa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erythropoietin was added until the 3rd day of culture, but grew about 2.5 mm after 6 days of culture, and about 3 mm after 9 days of culture. Grew more. In other words, the growth rate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period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length growth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ime. Thus, it can be seen that erythropoietin promotes hair growth by increasing the length growth of hair follicles (FIG. 1).
  • the dermal papilla cells which are the dermal cells of human hair follicles, are separated from the scalp tissue obtained from the posterior head of an androgenetic alopecia, by the method of Example ⁇ 1-1>, followed by Magerl et al. (Magerl M. et al., Exp Dermatol 2002). 11; 381-385) was modified by separation.
  • Magerl et al. Magerl M. et al., Exp Dermatol 2002. 11; 381-385
  • the separated papilla was placed in a type 1 collagen-coated culture dish (Iwaki Glass, Japan) and added DMEM culture medium (penicillin (100 u / ml), streptomycin) to which 20% FBS was added. (100 ug / ml) and fungizone (250 ng / ml)] were allowed to grow dermal papilla cells. After 1 to 2 weeks, about 70 to 80% of the cell layer was visible and subcultured with a general polyethylene culture dish and cultured with DMEM solution with 10% FBS.
  • control group hair follicles were cultured in a basal medium not added with erythropoieti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dded with 10 U / ml of erythropoietin to the basal medium.
  •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ermal papilla cells 6 hours after culture and 18 hours after culture, respectively.
  •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 RNA was isolated from the dermal papilla cells and hair follicle tissues cultured for 6 hours and 18 hours in Example ⁇ 1-1>, respectively.
  • the total RNA was extracted using Trizol (Invitrogen, CA, USA). After dissolving the cells or tissues with Trizol, 1/10 of 1-bromo-3-chloro propane was added and stirred vigorously, and the aqueous layer was collected. An equal amount of iso-propanol was added and left at -20 ° C for 3 hours to precipitate total RNA. Precipitated pellets were dissolved in DEPC (diethylpyrocarbonate) treated water an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at 260 and 280 nm with a UV spectrometer.
  • DEPC diethylpyrocarbonate
  • RT Reverse transcription
  • the PCR reaction was initial denaturation at 94 ° C. for 2 minutes, denaturation at 94 ° C. for 1 minute for 28 to 35 cycles, annealing at 60 ° C. for 1 minute and extension at 72 ° C. for 1 minute. After repeated reactions), the extension reaction was finally performed at 72 ° C. for 5 minutes, and then maintained at 4 ° C.
  • erythropoietin can promote hair growth by promoting hair root cell growth (FIGS. 2 and 3).
  • Example ⁇ 2-2> Using the primer pairs of the dermal papilla cDNA and hBCLXL gene synthesized in Example ⁇ 2-2>, the expression of hBCLXL of the experimental group cultured in the medium added with erythropoietin and the control group cultured in the medium without erythropoietin was added. -PCR was performed.
  • erythropoietin 5.0 mg was prepared as a tablet by mixing and pressing 14.1 mg of lactose, 0.8 mg of crospovidone USNF and 0.1 mg of magnesium stearate.
  • erythropoietin 5.0 mg was mixed with 16.0 mg of lactose and 4.0 mg of starch.
  • 0.3 mg of polysorbate 80 was dissolved in pure water and then an appropriate amount of this solution was added and then atomized. After drying, the fine particles were sieved and mixed with 2.7 mg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and 2.0 mg of magnesium stearate. The granules were pressed to make tablets.
  • erythropoietin 5.0 mg was mixed with 14.8 mg of lactose, 10.0 mg of polyvinyl pyrrolidone, and 0.2 mg of magnesium stearate. The mixture was prepared using a suitable apparatus. Filled in 5 gelatin capsules.
  • Injectables were prepared by containing 100 mg of erythropoietin, and other than 180 mg of mannitol, 26 mg of Na 2 HPO 4 12H 2 O and 2974 mg of distilled water.
  • An emulsifier type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 below.
  • the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 step 3 While passing through step 3), the mixture of 2) was slowly added and emulsified for 2 to 3 minutes at 8,000 rpm.
  • step 6) 15 to 17 of the raw materials were weighed, respectively, and added to the mixture of step 5) and emulsified for 30 seconds.
  • step 7) After emulsifying the mixture of step 6) through a degassing process to prepare a cosmetic of emulsion type by cooling to 25 ⁇ 35 °C.
  • Solubilized formulations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s described in Table 2 below.
  • the manufacturing method is as follows.
  • Raw materials 2 to 6 were placed in raw material 1 (purified water) and dissolved using a still mixer.
  • step 2) The mixture of step 2) was solubilized with slow addition to the mixture of step 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udy 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erythropoietin on the hair,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required for the recently expanding hair growth and hair loss related market, and a remarkable hair growth and anti-hair loss agent having both hair protection efficacy and hematopoietic function by antibiotics or anticancer agents, etc. It can be useful for develo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로 알려진 인간 혈관내피 성장인자(human-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hVEGF), 인간 각질세포 성장인자(human-keratinocyte growth factor; hKGF), 인간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human-Insulin like Growth Factor; hlGF) 및 인간 특대 기저세포 림프종(human-Basal cell lymphoma-extra large; hBCLXL)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머리에 관한 역사는 매우 길며 이에 따른 탈모 치료에 관한 처방의 역사 역시 이미 5000여년 전 이집트(Egypt)의 파피루스(Papyrus)에도 쓰여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400년경 유명한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Hipocrates) 역시 자신의 탈모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려 하였으나 불행히도 탈모 치료에 효과가 있던 치료법의 개발에는 실패한 것으로 전해져, 많은 현대인 뿐 아니라 고대인 역시 대머리와 탈모치료 및 발모 기술에는 지극한 관심을 가져왔으나 그 기술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현대 사회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체가 서서히 손상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한 모발손실이 커다란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모발 손실은 모발 성장의 부진과 모근 세포의 성장촉진을 하는 성장인자의 결핍으로 유발된다. 또한, 모발 및 모근 세포의 조기 사망에 의해 탈모가 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는 인자의 개발이 모발 손실을 극복하는 목표가 될 것이다.
탈모는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전세계적으로 발병률이 높다. 또한, 탈모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많은 지장을 준다. 이런 탈모는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가 상당히 진행되는 있는 지금은 질병으로서 그 원인과 치료에 관심이 높아졌으며 최근에는 하나의 이슈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 이외에 스트레스나 환경 오염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성별 또는 연령대를 막론하고 야기되어 국내의 탈모 인구가 2006년 약 5백만명에서 올해 9백만명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모 및 탈모 방지 관련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규모가 2005년 약 8천억대에서 올해 약 2조원대로 성장되었다. 이중 탈모 치료제 시장은 2007년 약 3백억원 규모를 형성했는데 올해 약 5백억원에 육박하였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대머리 및 탈모 방지를 위한 많은 발모제들이 시판되어 지고 있으나 아직도 치료효과를 만족할 수 있는 약물이나 기술은 미미한 실정이다. 미국 식품의약청인 FDA가 임상실험을 거쳐 발모제로 유일하게 승인한 약물은 미녹시딜(minoxidil)로 원래 고혈압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발견된 부작용의 일종인 발모를 상품화한 것이며 전세계에서 최초로 미국 연방정부가 공인한 최초의 대머리 및 탈모증 치료약이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다른 약물로 프로페시아(Propecia)가 있는데 이는 탈모의 원인 중 호르몬설에 근거를 둔 것으로 남성호르몬은 5-알파환원효소의 작용을 받아 대사산물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바뀌는데 이 물질이 모낭을 위축, 소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프로페시아는 5-알파환원효소를 차단함으로써 DHT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가 진행되는 것을 최대한 늦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 약물의 효과는 발모가 아니라 탈모의 추가방지에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발모 및 탈모 방지에 효과 있다고 알려진 물질들이 보고되고 있으다. 예를 들어, 화합물로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유도체(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3946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95611), N-헤테로사이클릭 카복실산 및 카르밤산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52502), 퀴나졸리논 유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23754), 크라이신 7-O-크로토네이트(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09474) 및 1,2-이치환벤젠카르복사미드 유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37394)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는 사삼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02346), 살구씨오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92755), 석곡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8662), 백두옹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02345), 인디고 추출물(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77310) 및 상황버섯 추출물(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815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런 물질들의 효과는 미미하여 그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며 중단시에는 다시 탈모가 진행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경우 평생에 걸쳐 사용해야 하며 장기간의 사용시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들도 환자의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은 콜로니 자극 인자(colony stimulating factor; CSF) 중 하나인 당단백질로써 신장에서 주로 생성되며(Youssoufian H. et al., Blood 81, 2223-2236, 1993), 간에서도 소량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적혈구 계열의 전구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촉진시켜 성숙한 적혈구의 생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신장기능 장해로 인한 빈혈, 골수이식성 빈혈, 류마티스성 빈혈, 암 또는 항암제 관련 빈혈, AIDS성 빈혈 등에 이용될 수 있고, 재생 불량성 빈혈 환자 및 만성 신부전증 환자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Jelkmann, W., Clin. Invest. 72, S3-310, 1994).
최근에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의 획기적인 조직보호능력이 보고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세포사멸(apoptosis)을 막아주며 혈류공급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rines, 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7, 10526-10531, 2000). 이와 관련하여, 에리스로포이에틴이 저산소 또는 화합물 등의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로부터 모낭(hair follicle)을 보호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Bodo E, et al., FASEB J. 2007 oct;21(12):3346-54).
그러나, 에리스로포이에틴이 직접 모발 성장을 촉진시켜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가진다는 보고는 없으며, 상기 Bodo 등의 문헌에서는 모간의 성장에 영향이 없다고 기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의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에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던 중,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모근세포의 성장인자로 알려진 hVEGF, hKGF, hlGF 및 hBCLXL의 발현을 촉진하여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류 유래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즉 야생형 형태 뿐만 아니라, 야생형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한, 이의 유도체(derivatives), 동족체(analogs), 변형체, 변이 단백질(mutein) 또는 변종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체(derivatives)는 기본적인 에리스로포이에틴 구조를 보유한 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 또는 분자단 또는 라디칼의 치환, 특히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당 사슬의 치환에 의해 얻어지거나, 또는 아미노산 서열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인간 또는 동물 에리스로포이에틴 단백질의 것과 적어도 한 위치에서 다르나 본질적으로 아미노산 레벨 및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에서 높은 상동성(homology)을 가지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의 기능적 동등물 또는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상동성은 둘 또는 그 이상의 폴리펩티드 분자 사이의 관계도를 의미하는데 적어도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 이상의 서열 일치를 의미한다.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도체와 천연 에리스로포이에틴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어 에리스로포이에틴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결실, 치환, 삽입, 부가, 염기 교환 또는 재조합과 같은 돌연변이를 통하여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돌연변이 에리스로포이에틴 분자, 즉 에리스로포이에틴 돌연변이 단백질을 포함한다.
상기 동족체(analogs)는 에리스로포이에틴 아미노산 서열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지 않지만 그 3차원 구조가 에리스로포이에틴과 매우 유사하여 상응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입체적 배치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수용체와의 결합에 책임이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에리스로포이에틴 결합 부위의 필수적인 표면 특성을 자극할 수 있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인간 요로부터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요 또는 혈장(혈청을 포함하는)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인간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인간 신장암세포의 조직 배양으로부터, 인간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생산하는 능력을 갖는 림프 모세포로부터, 및 인간 세포주의 세포 융합에 의해 얻어진 융합세포 배양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또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적절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DNA 또는 RNA를 사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예를 들어 세균, 효모, 식물세포주 또는 동물세포주 내에서 재조합 방식으로 생산하는 유전공학방식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발 성장 촉진 효능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체에서 분리한 모낭을 상기 분리한 모낭을 대조군으로서 기본배지에서 배양하고, 실험군으로서 상기 기본배지에 10 U/ml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배지에 배양하면서 모낭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낭의 길이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배양 시간에 따라 길이 성장이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낭의 길이 성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세포사멸 유도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체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로부터 분리한 모낭을 대조군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첨가하지 않은 기본배지에서 모낭을 대조군으로서 기본배지에서 배양하고, 실험군으로서 상기 기본배지에 10 U/ml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배지에 배양한 후, total RNA 추출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 다음, RT-PCR 및 Real time-PCR을 이용하여 다양한 단백질들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인 hVEGF, hKGF, hlGF 및 hBCLXL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근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생존을 유지시킴으로써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2 내지 도 5 참조).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을 촉진하며, 모근 세포의 생존을 유지시킴으로써 발모 촉진 및 탈모 지연 기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10 ㎎/㎏이 더욱 바람직하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에리스로포이에틴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10 ㎎/㎏이 더욱 바람직하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고,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을 촉진하며, 모근 세포의 생존을 유지시킴으로써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관련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관련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외용제는 크림, 로션, 연고, 겔, 점액, 스프레이 및 습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를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을 촉진하여 발모를 촉진하며, 배양된 모근 세포의 생존을 촉진하여 탈모를 지연시킴으로써,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모발 보호 및 모발 생성촉진기능을 함께 가지는 발모제 또는 탈모 방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체 유래 모낭을 배양하면서 3일 간격으로 모낭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ontrol: 기본배지에서 배양된 모낭; 및
EPO(10 U/ml): 기본배지에 10 U/ml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된 모낭.
도 2는 인체 유래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를 6시간 동안 배양한 후, total RNA를 분리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 다음 Rt-PCR을 이용하여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ontrol: 기본배지에서 배양된 모유두 세포; 및
EPO: 기본배지에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된 모유두 세포.
도 3은 인체 유래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를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total RNA를 분리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 다음 Rt-PCR을 이용하여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인체 유래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이로부터 cDNA를 합성한 다음 Real time-PCR을 이용하여 BclX/L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인체 유래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에서 Real time-PCR을 이용하여 정량한 BclX/L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체 외(Ex vivo) 모낭 조직배양을 이용한 모발성장 측정
<1-1> 모낭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informed written content를 받은 정상 성인으로부터 후두부 두피 조직에서 구멍생검(punch-biopsy, 직경 4 mm)을 통해 모낭을 분리하였고, 이중 생장기 모낭을 선별하였다. 모낭의 분리는 Philpott 등(Philpott MP, et al., J Cell Sci 1990;97;463-471)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리하였다. 우선, 진피-피하지방층의 경계부를 15번 메스로 두피 조직을 반으로 나누어 윗부분을 버리고, 아랫부분은 피부의 진피세포인 섬유아세포와의 오염을 막기 위해 모낭 주변 조직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모낭은 최대한의 성장을 위해 표피(epidermis)와 피지선(sebaceous gland)을 제거하였다.
<1-2> 모낭의 배양
분리한 생장기 모낭을 William E 배지(W 412H, Sigma, St. Louis, MO, USA) 1 ㎖에 각 실험조직당 6 ~ 8개의 모낭을 넣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모낭은 배지안에서 자유롭게 부유하면서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첨가하지 않은 기본배지에서 모낭을 배양하였으며, 실험군은 기본배지에 10 U/ml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하였다.
<1-3> 모낭의 길이 측정
모낭의 길이는 모구의 끝에서 모간(hair shaft)의 절단부까지로 정하였으며, Filar micrometer eyepiece(American Optical, NY, USA)를 이용하여 3일 간격으로 모낭의 길이를 측정한 후 배양액을 교체하였으며, 총 배양 9일까지 측정한 후에 통계 처리하였다. 모낭의 길이 성장 및 모낭의 생장기 유지 기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모낭의 길이 성장 항목을 repeated measure ANOVA 검정하였으며, 생존분석을 위하여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이용하여 Log-rank test로 생존곡선을 비교하였다. 통계 프로그램(SPSS, Win 10.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낭의 길이는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배양 3일째까지는 유사하였으나, 배양 6일 후 약 2.5 mm 더 성장하였고, 배양 9일 후 약 3 mm 더 성장하였다. 즉, 전체 배양기간 동안 생장기 유지 비율은 실험군이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실험군에서 시간에 따라 길이 성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이 모낭의 길이 성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어다(도 1).
<실시예 2> 모근세포 성장인자 및 세포사멸 유도 인자의 발현 측정
<2-1> 모유두(dermal papilla, DP)의 분리 및 배양
인체 모낭의 진피세포인 모유두 세포는 안드로겐성 탈모환자의 후두부로부터 얻어진 두피 조직에서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모낭을 분리한 후, Magerl 등(Magerl M. et al., Exp Dermatol 2002;11;381-385)의 방법을 변형하여 분리하였다. 우선, 수술용 입체박리 현미경 하에서 미세수술용 포셉으로 모구(hair bulb)의 바로 윗부분을 잡고 서서히 압력을 가하면서, 모구의 아랫부분에 있는 결체조직초낭(connective tissue sheath capsule)을 비스듬히 절개하여 잘라내고 주사바늘로 그것의 끝 부분을 눌러 공 모양의 모유두를 튀어나오게 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모유두를 제 1형(type 1) 콜라겐이 코팅된 배양접시(Iwaki Glass, Japan)에 넣고 20% 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페니실린(penicillin)(100 u/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100ug/ml), 펀지존(fungizone)(250ng/ml) 첨가]에서 모유두 세포가 자라나오도록 하였다. 1 ~ 2주 후 약 70 ~ 80% 정도의 세포층을 보이면 일반 폴리에틸렌 배양접시로 계대배양하고 10% FBS가 첨가된 DMEM용액으로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첨가하지 않은 기본배지에서 모낭을 배양하였으며, 실험군은 기본배지에 10 U/ml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하였다. 이하, 실험은 배양 6시간 후 및 18시간 후의 모유두 세포를 이용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2-2>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이용한 모발 성장인자의 발현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6시간 및 18시간 배양된 모유두 세포 및 모낭조직으로부터 각각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상기 total RNA는 Trizol(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추출되었다. 세포나 조직을 Trizol로 녹인 후 1/10의 1-브로모-3-클로로 프로판(1-bromo-3-chloro propane)을 첨가하여 세게 교반한 다음 수용액 층을 수거하였다. 동량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하고 -20℃에서 3시간 방치하여 total RNA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펠릿(pellet)을 DEPC(diethylpyrocarbonate) 처리된 물에 녹인 다음 UV 분광계로 260 및 28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였다. 가역 전사반응(reverse transcription; RT)은 5 ug의 total RNA를 70℃, 10분간 oligo-dT 프라이머(primer)로 어닐링(annealing)한 후에 Improm-Ⅱ reverse transcription system(Promega, Madison, USA)를 사용하여 42℃에서 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얻어진 cDNA 생성물은 반응 완충용액, dNTP, MgCl2, GoTag DNA 폴리머라제(polymerase)와 각 유전자의 프라이머 쌍(primer pair)[IGF-1 포워드(Forward) 5'-TCAACAAGCCCACAGGGTAT-3'(서열번호: 1), 리버스(Reverse) 5'-ACTCGTGCAGAGCAAAGGAT-3'(서열번호: 2); HGF 포워드 5'-CGAGGCCATGGTGCTATACT-3'(서열번호: 3), HGF 리버스 5'-ACACCAGGGTGATTCAGACC-3'(서열번호: 4); KGF 포워드 5'-GACATGGATCCTGCCAACTT-3'(서열번호: 5), 리버스 5'-AATTCCAACTGCCACTGTCC-3'(서열번호: 6); VEGF 포워드 5'-TCTTCAAGCCATCCTGTGTG-3'(서열번호: 7), 리버스 5'-GCGAGTCTGTGTTTTTGCAG-3'(서열번호: 8); 및 BclX/L 포워드 5'-CTGAATCGGAGATGGAGACC-3'(서열번호: 9), 리버스 5'-TGGGATGTCAGGTCACTGAA-3'(서열번호: 10)]과 혼합한 다음 PCR 반응에 의해 증폭되었다. 상기 PCR 반응은 94℃에서 2분간 초기 변성(initial denaturation), 28 ~ 35회 사이클 동안 94℃에서 1분간 변성(denaturation), 60℃에서 1분간 어닐링(annealing) 및 72℃에서 1분간 연장(extension)으로 반복 반응을 시킨 후, 마지막으로 72℃ 5분간 연장(extension) 반응을 진행시킨 다음, 4℃로 유지되었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근 세포의 성장인자인 hVEGF, hKGF 및 hlGF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모근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발모를 촉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 및 도 3).
<2-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 time-PCR) 이용한 hBCLXL 인자의 발현 측정
상기 실시예 <2-2>에서 합성한 모유두 cDNA 및 hBCLXL 유전자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된 실험군 및 에리스로포이에틴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된 대조군의 hBCLXL의 발현을 Real time-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hBCLXL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hBCLXL 발현을 증가시켜 세포 자연사멸사(apoptosis)를 방지함으로써 모근 세포의 생존을 촉진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4 및 도 5).
하기는 본 발명의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직접 가압)
에리스로포이에틴 5.0 ㎎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습식 조립)
에리스로포이에틴 5.0 ㎎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분말과 캡슐제
에리스로포이에틴 5.0 ㎎을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예 4> 주사제
에리스로포이에틴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유화 제형의 외용제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표 1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에리스로포이에틴 0.0001 1 10
<제제예 6> 가용화 제형의 외용제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표 2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에리스로포이에틴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본 발명은 에리스로포이에틴의 모발에 대한 작용 기작 연구, 최근에 급팽창하고 있는 발모 및 탈모 관련 시장에 요구되는 약학 제제 개발, 및 항생제 또는 항암제 등에 의한 모발 보호 효능 및 조혈 기능을 함께 가지는 획기적인 발모제 및 탈모 방지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서열번호 1 내지 10의 서열은 서열목록 파일을 통하여 제출하며, 상기 서열목록 파일의 내용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진다.

Claims (9)

  1.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모낭 세포(hair follicle cell)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인간 혈관내피 성장인자(human-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 hVEGF), 인간 각질세포 성장인자(human-keratinocyte growth factor; hKGF) 및 인간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human-Insulin like Growth Factor; hlGF)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
  5.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6.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에리스로포이에틴은 인간 특대 기저세포 림프종(human-Basal cell lymphoma-extra large; hBCLXL)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8.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6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방법.
  9.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외용제.
PCT/KR2009/007964 2008-12-31 2009-12-30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WO201007709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743A KR20100080112A (ko) 2008-12-31 2008-12-31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08-0138743 2008-12-31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7093A2 true WO2010077093A2 (ko) 2010-07-08
WO2010077093A3 WO2010077093A3 (ko) 2010-10-07
WO2010077093A9 WO2010077093A9 (ko) 2010-11-18

Family

ID=4231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964 WO2010077093A2 (ko) 2008-12-31 2009-12-30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80112A (ko)
WO (1) WO20100770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3784B2 (ja) * 2016-10-28 2022-03-30 大正製薬株式会社 発毛剤
KR102387136B1 (ko) * 2020-04-06 2022-04-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티드 및 이의 이용
KR102642551B1 (ko) * 2023-01-04 2024-02-29 주식회사 래디안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래 펩티드를 포집한 발모 촉진용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59A (ko) * 2000-04-04 2001-11-23 이재진 Gst-구제역바이러스 3d유전자를 함유하는 발현벡터,그 형질전환체 및 상기 형질전환체로부터 생산되는융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 항체의 검출방법
JP2001342145A (ja) * 2000-06-02 2001-12-11 Kenji Nakajima 育毛剤及び潰瘍治癒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720A (ja) * 1992-02-05 1993-08-24 Sansho Seiyaku Co Ltd 毛髪用外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59A (ko) * 2000-04-04 2001-11-23 이재진 Gst-구제역바이러스 3d유전자를 함유하는 발현벡터,그 형질전환체 및 상기 형질전환체로부터 생산되는융합단백질을 이용한 구제역 항체의 검출방법
JP2001342145A (ja) * 2000-06-02 2001-12-11 Kenji Nakajima 育毛剤及び潰瘍治癒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12A (ko) 2010-07-08
WO2010077093A9 (ko) 2010-11-18
WO2010077093A3 (ko)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8876B1 (en) Mucoadhesive xyloglucan-containing formulations useful in medical devices and in pharmaceutical presentations
KR20030009454A (ko) 진세노사이드Rb1으로 된 피부조직 재생촉진제
WO2019245142A1 (ko) 탈모 치료용 약물이 봉입된 나노 리포좀-마이크로버블 결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7493A (ko) 펩티드의 항-염증 용도
WO2010079978A2 (ko) Abh 항원을 이용한 염증질환 개선용 조성물
WO2010117199A2 (ko) 코엔자임 q10 나노입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7175909A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WO2018186505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피부 개선 및 탈모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0077093A9 (ko)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JP5017535B2 (ja) 脱毛抑制または発毛促進用組成物
WO2019004738A2 (ko) 지방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염 개선 용도
WO2023027317A1 (ko) 편도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206335A1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티드 및 이의 이용
WO2022131820A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펩타이드
KR102171818B1 (ko) 듀니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88665B1 (ko) 나노 다이아몬드의 리포좀 제형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WO2018056676A1 (ko)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2211396A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68364A1 (ko) 줄기세포의 티오레독신 발현을 증진시키는 방법
WO2023090781A1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23022473A1 (ko)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23055056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60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3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43152A1 (ko) 간세포 표적화 엑소좀 및 이의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64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64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