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781A1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781A1
WO2023090781A1 PCT/KR2022/017867 KR2022017867W WO2023090781A1 WO 2023090781 A1 WO2023090781 A1 WO 2023090781A1 KR 2022017867 W KR2022017867 W KR 2022017867W WO 2023090781 A1 WO2023090781 A1 WO 20230907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sochlorogenic acid
acid
isochlorogen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8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경백
장영수
조은애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907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7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More specifically, by inhibiting the cleavage of cathelicidin into LL-37 through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kallikrein-5, a serine protease in the epidermis, LL-37-induced Rosa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the skin, and a quasi-drug composition capable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ymptoms such as erythema and inflammation of the skin of cyanosis.
  • Rosacea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erythema, papules, telangiectasias, edema, pustules, or a combination of these symptoms of the skin.
  • Skin lesions of Rosacia generally occur in protruding areas such as the central part of the face and around the nose, as well as the cheeks, chin, and forehead, and may also occur on the scalp, neck, chest, back, and eyes.
  • Patients show skin symptoms such as facial flushing, stinging, pain or burning sensation, and clinically judged, they are largely classified into erythematous vasodilation, papulopustular, anaphylactic, and ocular rosacea.
  • Rosacia can be seen in both men and women of all ages after their teens, but it is most common in the 30s to 50s, and the incidence rate is high in women, but severe symptoms are often seen in men.
  • Many factor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molecular mechanism of Rosacea. Among them, abnormalities in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neurovascular regulation are mainly considered to affect the pathophysiology of Rosacea.
  • the skin is an important organ for maintaining the homeostasis of innate immunity, and has a host defense system against invading pathogens through increased expression of antibacterial peptides and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barrier of the skin.
  • Destruction of the skin barrier in patients with rosacea results in loss of epidermal moisture, which breaks skin homeostasis and changes the skin to alkalinity. It was found to increase the activity of epidermal protease, which increases in alkalinity, and in particular, can induce activation of epidermal serine protease, kallikrein-5 (KLK-5).
  • Toll like receptor-2 (TLR-2), a major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of the innate immune system, is not increased in the expression of patients with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s such as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but acne, rosacea Since it can be observed that its expression increases in skin diseases, it suggests that it plays a special role in Rosasia.
  • toll-like receptor-2 When activated by external stimuli or trigger factors, toll-like receptor-2 induces an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 Toll-like receptor-2 is known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epidermal protease kallikrein-5, which has the activity of converting cathelicidin, an antibacterial peptide in the skin, into its active form, LL-37. have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kallikrein-5 are increased in the skin lesions of Rosacia patients, and an increase in LL-37 activity is also observed.
  • Antimicrobial peptid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y inflammatory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cne, psoriasis and rosacea, by providing a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various organisms and mediating the adaptive immune system.
  • cathelicidin expression increased in the epidermis of Rosacia patients, but only a single cathelicidin gene was identified in humans.
  • the role of LL-37 in Rosacia patients has been recently suggested by several studies, and it was observed that its expression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epidermis of Rosacia patients.
  • LL-37 In a recent study related to LL-37, BALB/c mice injected with the LL-37 peptide showed major clinical features of rosacea, such as vasodilation, erythema, and inflammation. LL-37 performs immunomodulatory functions along with antibacterial activity in healthy people, but excessive production of LL-37 increases inflammatory reactions in patients with rosacea and causes erythema such as telangiectasia and angiogenesis. It is known to be Therefore,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LL-37, the vascular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factors of this peptide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ly involved in the pathological physiology of Rosacia, unlike other skin inflammatory diseases.
  • innate immune system abnormalities have been observed in patients with rosacea, and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ausative relationship caused by acquired immune system abnormalities.
  • various triggers including demodex colonization, microbial stimulation, ultraviolet (UV) light, heat and stres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r exacerbation of Rosasia.
  • Congenital immune abnormalities in the pathogenesis of rosacea can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skin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can affect the development or exacerbation of rosacea.
  • Vitamin D levels in the skin of many skin inflammatory disease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healthy subjects, whereas serum vitamin D levels in Rosacia patients have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in non-patients.
  • Vitamin D is a secosteroid synthesized mainly by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and is mainly involved in mineral homeostasis and bone metabolism, and can act as an immunomodulator for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Because vitamin D has many immunomodulatory activities, modulation of various types of immune cells by vitamin D may have clinical implications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susceptibility to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 Vitamin D has been shown to act as a potent inducer of cathelicidin and increase the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2 and kallikrein-5 mRNA.
  • vitamin D affects toll-like receptor-2, kallikrein-5 and LL-37 related pathways in Rosacia and affects inflammatory cascades that may alter the immune system of patients with Rosacia.
  • Rosacia the main treatment for Rosacia is topical therapy and antibiotic therapy is used, and these drugs show efficacy through various mechanisms such as anti-inflammatory action and immunosuppressive action.
  • imidazole, tretinoin, azelaic acid, ivermectin cream, etc. are used, and in the case of severe inflammatory lesions, steroid preparations are u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 it is also used to improve erythema by inducing contrac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using the alpha-adrenoceptor agonist brinimodine or oxymetazoline hydrochloride.
  • oral antibiotics such as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minocycline, doxycycline, and metrinidazole are effective in treating papules, pus-blister lesions and erythema.
  • Isotretinoin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severe and treatment-resistant rosacea, and is particularly helpful for patients with excessive sebum secretion.
  • chlorogenic acid is a derivative of caffeic acid and quinic acid, and is a kind of polyphenolic compound contained in a large amount in coffee, etc., and is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 an inhibitory effect on cholesterol biosynthesis, an antioxidant action, and an anticancer action in vivo.
  • Chlorogenic acid has isomers, such as isochlorogenic acid, neochlorogenic acid, and pseudochlorogenic acid, depending on the bonding position of caffeic acid and quinic aci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2510 discloses stress relieving effect of chlorogenic acid complex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42400 discloses stress-induced inflammatory disease prevention effect of chlorogenic acid complex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6271 discloses the immune enhancing effect of chlorogenic acid complex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8948 discloses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acoustic neuropathy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63297 discloses the anti-wrinkle effect of chlorogenic acid complex
  • the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on Rosacia skin improvement has not yet been reveal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earching natural materials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erythema and inflammation with less irritation to the human body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inflammatory reactions such as skin flushing, papules, and pustules in patients with Rosacia along with the above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isochlorogenic acid suppresses erythema and inflammation of rosacea skin, soothes the skin, and has excellent human safety due to no skin irritation and cytotoxic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i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saci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e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ea contain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i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isochlorogenic acid is one of the isomers of chlorogenic acid, and the chemical formula is C 25 H 24 O 12 , isomers of which are isochlorogenic acid A having structures of the following formulas 1 to 3, isochlorogenic acid B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Isochlorogenic acid A).
  • the salt may be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cosmetically and/or food-acceptable salt or in the form of isochlorogenic acid in the body (eg, a prodrug).
  • Such salts include acid addition salts formed with free acids or metal salts formed with bases that are pharmaceutically, cosmetically, and/or foodably acceptable.
  • the free acid inorganic acids and organic acids may be used.
  • the inorganic acid may include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urous acid or phosphoric acid.
  • the organic acid may include citric acid, acet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gluco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and the like.
  • the metal salt includes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and a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may be usefully used.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and separated from natural sources, chemically synthesized, or synthesized by microorganisms.
  • the natural sources includ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mugwort ( Artemisia ) genus, coffee tree ( Coffea ) genus, and sweet potato ( Ipomoea batatas ).
  • rosacea refers to a disease characterized by erythema, inflammation, papules (raised skin lesions less than 1 cm in size), telangiectasia, edema, pustules (pus) or a combination of these symptoms. It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Skin lesions of Rosacia generally occur in protruding areas such as the central part of the face and around the nose, as well as in the cheeks, chin, and forehead, and may also occur in the scalp, neck, chest, back, and eyes.
  • Skin erythema and inflammation of Rosacia are caused by the epidermal protease kallikrein-5, whose expression and activity are increased by internal and external stimulants, which is mediated by the peptide LL-37 activated by kallikrein-5 It affects blood vessels, causing the skin to appear red, or affecting skin cells and immune cells, resulting in inflammation of the skin.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sistant to ultraviolet rays, demodex and skin bacteria, such as internal and / or external Activation of peptide LL-37 by suppressing the cleavage of cathelicidin into LL-37 through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kallikrein-5, an epidermal protease whose expression and activity are increased by stimulating factors In addition, it can improve symptoms such as erythema and inflammation of Rosasia skin induced by activated LL-37.
  • isochlorogen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Rosacia the ability to inhibit the activity of kallikrein-5, an epidermal protease, the ability to inhibit the activity of cathelicidin, inflammatory cytokines
  • isochlorogen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is kallikrein-5 (Kallikrein-5) inhibits the cleavage of cathelicidin into LL-37, that is, inhibits the activation of peptide LL-37,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histamine, an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it was found to effectively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vascular cells (Figs.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ontains 0.0001 to 70.0% by weight of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preferably 0.001 to 6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isochlorogenic acid or its salt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Rosacia skin erythema and inflammation improvement effects cannot be expected, and if it exceeds 70.0% by weight, the improvement of Rosasia skin symptoms according to the increased content is insignificant, thereby manufacturing a cosmetic formulation Difficulties arise in doing
  • th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as active ingredie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It may includ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flavoring agents, and carri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It may be formulated into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pack, massage cream and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softening lotion, nutrient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3-butyl glycol oil, fatty acid esters of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tar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tar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may be used.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 May contain a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carrier component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aliphatic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anolin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may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or a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 and cleansing pack
  •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saci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that is, any one isochlorogen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nd its salt for preventing or treating Rosacia is as described above.
  • pre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nset of Rosacia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eatment” means the treatment of Rosacia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refers to all actions that improve or beneficially change the symptoms of suspected or affected individuals.
  •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osacia is the isochlorogenic acid or its salt, that is,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by any one isochlorogenic acid and its sal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llikrein-5 ( Kallikrein-5), inhibition of cathelicidin cleavage into LL-37,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flammatory mediator histamine branching, and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vascular cells.
  • kallikrein-5 Kallikrein-5
  • inhibition of cathelicidin cleavage into LL-37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 inflammatory mediator histamine branching inhibition and migration of human vascular cell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ontains 0.0001 to 70.0% by weight, preferably 0.001 to 68.0% by weight of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Rosacia skin erythema and inflammation improvement effects cannot be expected, and if it exceeds 70.0% by weight, the increase in the effect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tent is insignificant, and difficulties arise in preparing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 the term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an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and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it can be formulated into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an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lubricants, wetting agents, flavor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and surfactants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as a parenteral formulation using. In addition, it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external preparations for the skin,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lubricants, wetting agents, flavoring agents, emul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distributed directly to the skin lesions of Rosacia, such as the central part of the face, protruding parts such as around the nose, cheeks, chin, forehead, scalp, neck, chest, back and eye parts. etc. can be us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reas and can be applied to any area where Rosacia has develope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such as buffers, analgesics, solubilizers, isotonic agents, stabilizers, and bases may be prepared by further including carriers known in the art.
  •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refer to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inhibit the biological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an active ingredient to be injected without stimulating living organisms.
  • the type of the carrie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carrier may be a non-naturally occurring carrier.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that is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the drug, method of administration,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Specifically, it is generally 0.001 mg to 300 mg per day per 1 kg of body weight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at regular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doctor or pharmaci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exhibiting an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ia, or in a suitable se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it can be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the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imidazole tretinoin, azelaic acid, ivermectin cream, steroid preparations, tetracycline, Oral antibiotics such as oxytetracycline, minocycline, doxycycline, and metrinidazole can be selected and administered additionally.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 oral or parenteral routes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can be administered through
  • the administration method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follow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oral administration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 it can be applied by parenteral administration, more preferably by topical application by applica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distributed directly to the skin lesions of Rosacia, such as the central part of the face, protruding parts such as around the nose, cheeks, chin, forehead, scalp, neck, chest, back and eye parts. etc.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ulations depending on the desired administration method.
  •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administered several times by dividing the do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osacia,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ntain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that is, any one isochlorogen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nd its sal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Rosacia as described above.
  • the term "subject” may refer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who have or are likely to develop Rosacea skin disease.
  • the animal may be not only humans but also mammals such as cattle, horses, sheep, pigs, goats, camels, antelopes, dogs, and cats that require treatment for similar symptom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eventive or therapeu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o a subject who has or is at risk of developing Rosacia skin disease.
  • the administration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 the prevention may refer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Rosacia skin disease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osac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 the treatment may refer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Rosacia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suspected of having Rosacia.
  • composition containing the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ctive ingredients.
  •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an appropriate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type of drug, and the time,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may be 0.001 to 300 mg/Kg.
  • the dosag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ce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that is, any one isochlorogen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nd its sal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improving and treating Rosacia as described above.
  • improvement refers to suppression, reduction, or elimination of rosacea skin erythema or skin inflammation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the epidermal protease kallikrein-5 in a subject.
  •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may be formulated by containing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for example solutions, gels, solids, anhydrous pasty products, emulsions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n aqueous phase, suspensions, microemulsions, microcapsules, microgranules or ionic forms (liposomes) and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ionic vesicular dispersion or in the form of a cream, toner, lotion, powder, ointment, spray, pack or conceal stick. It can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foam or in the form of an aerosol composition further containing a compressed propellant.
  • Thes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includes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water, and an ionic type.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lipid vesicles or any other commonly used in cosmetics. It ma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ology or dermatology, such as ingredients. The adjuvant is introduced in an amount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ology or dermatolog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osa ci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sochlorogenic acid or salt thereof that is, any one isochlorogenic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nd its sal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improving rosacea as described above.
  • quasi-drugs refers to articles with milder effects than pharmaceuticals among articles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improv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human or animal diseases.
  • quasi-drugs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exclude items used for pharmaceutical purposes, and include products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uman/animal diseases, products with minor or no direct action on the human body, and the like.
  • the quasi-drug may include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More specifically, it may be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green,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or oin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quasi-drug additive, the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s or quasi-drug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the isochlorogenic acid or its sal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y one isochlorogenic acid and its sal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re free from skin irritation and cytotoxicity and have excellent human safety. As a substance with little side effects on the human body, it can be safely and useful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xternal skin preparation compositions and quasi-drug compositions for improving Rosacia skin erythema and inflammation.
  • the isochlorogenic acid or its sal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isochlorogenic acid and its sal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s an active ingredient has no skin irritation and cytotoxicity, so it is safe for humans. Since it is excellent and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kin symptoms of Rosacia, it is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in cosmetic composition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xternal skin compositions and quasi-drug composition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ymptoms such as erythema and inflammation of Rosacia available.
  • Figure 1 is a road showing the kallikrein-5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fluorescence valu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kallikrein-5 activity inhibition in kinetic mode ( A) and graph (B)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by normalizing the degree of inhibition of kallikrein-5 activity based on the fluorescence values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untreated groups.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of the present invention on cathelicidin cleavage by Western blotting.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L-1 ⁇ and TNF- ⁇ , which induce inflammation in Rosacia.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expression of histamine, an inflammatory mediator that causes inflammation in Rosacia.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s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of the present invention on vascular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ducing erythema Rosacia.
  •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and isochlorogenic aci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nhibit migr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angiogenesis inducing Rosacia erythema.
  • Example 1 Measurement of kallikrein-5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kallikrein-5 a serine proteolytic enzyme in the skin, kallikrein-5 combined with recombinant kallikrein-5 (R&D systems, USA) and 7-Amino-4-methylcoumarin (AMC) fluorescence
  • the enzyme activity was measured by reacting Boc-Val-Pro-Arg-AMC (R&D systems, USA), a substrate of .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was treated in 50 ⁇ l of 2 ⁇ g/ml recombinant kallikrein-5 by concentration (10, 20, 50 ⁇ M), reacted firs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nd then 800 ⁇ M kallikrein After adding 50 ⁇ l of -5 substrate, the fluorescence was measured at 380 nm/480 nm for 5 minutes in kinetic mode.
  • leupeptin Sigam aldrich, USA
  • a trypsin inhibitor was used, and as a negative control, conditions in which recombinant kallikrein was not treated were used.
  • the degree of activity is based o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lowest fluorescence value from the highest fluorescence value of each condition, and compares the fluorescence value of the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fluorescence value of the untreated group.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kallikrein-5 activity.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showed an excellent kallikrein-5 activity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leupeptin.
  • Example 2 Measurement of cathelicidin activation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in human keratinocytes
  •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leavage inhibitory effect of cathelicidin to LL-37 through the inhibition of kallikrein-5 activity by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Specifically, after culturing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in EpiLifeTM Medium (Thermo Fisher, USA) containing human keratinocyte growth supplement (HKGS, Thermo Fisher, USA), 1 ⁇ 10 per well in a 24-well plate. 5 cells were inoculated and cultured for 24 hours at 37°C in a 5% CO 2 incubator.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fficacy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in inhibiting the cleavage of cathelicidin to LL-37.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were found to very effectively inhibit the cleavage of cathelicidin to LL-37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leupeptin (Siagma aldrich, USA).
  • Example 3 Measurement of the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in Rosacia
  •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were co-cultur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 human keratinocytes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macrophages which are human immune cells
  • THP-1 (ATCC, USA), an undifferentiated monocytic cell line, was inoculated into 8 ⁇ m pore size cell culture inserts (Millicell ®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Germany) at 2 ⁇ 10 5 cells and treated with 500 nM PMA. Differentiation into macrophages was induced. Human keratinocytes cultured for 24 hours were pretreated with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for 1 hour at each concentration, and then treated with 200 nM of calcitriol (Carbosynth, USA).
  • the monocytes differentiated into macrophages were replaced with a fresh medium, inserted into human keratinocyte plates treated with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nd calcitriol, and co-cultured for 72 hours. Samples were prepared by collecting only the supernatant by centrifugation after removing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co-cultured for 72 hours.
  • Inflammatory cytokines (IL-1 ⁇ , TNF- ⁇ ) were measured using each ELISA kit (R&D systems, USA), and detailed method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D systems kit instruction manual. The level of inflammatory cytokines secreted extracellularly was converted to the amount in comparison to each standard cur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inhibits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kallikrein-5 activated by calcitriol treatment, there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LL-37, thereby reducing the LL-37-induced It showed the efficacy of effectivel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 Example 4 Measurement of mast cell degranulation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human keratinocytes and mouse mast cells were co-cultur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hibition of histamine secretion.
  • human keratinocytes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human keratinocytes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Human keratinocytes cultured for 24 hours were pretreated with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for 1 hour at each concentration, and then treated with 200 nM of calcitriol (Carbosynth, USA).
  • Mouse mast cell line MC/9 (ATCC, USA) was inoculated in a 0.4 ⁇ m pore size cell culture insert (Millicell ®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Germany) at 5 ⁇ 10 6 cells,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nd calcitriol-treated human keratinocyte plates were inserted and co-cultured for 12 hours. Samples were prepared by removing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from the 12-hour co-culture and then centrifuging to collect only the supernatant.
  • histamine an inflammatory mediator degranulated by activation of mast cells
  • Histamine ELISA kit Enzo Life Science, USA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the inflammatory mediator histamine.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inhibits the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kallikrein-5 activated by calcitriol treatment, there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LL-37, thereby reducing the LL-37-induced It showed the efficacy of effectively inhibiting the degranulation of histamine.
  • Example 5 Measurement of human vascular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USA
  • MCDB131 Medium containing 1 ⁇ g/mL cortisol, 10 mM glutamine, and 10% FBS
  • 5 ⁇ 10 4 cells per well were inoculated into a 24-well plate and incubated in 5% CO 2 Incubated in an incubator at 37°C for 24 hours.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human vascular cell proliferation.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exhibited an effect of effectively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human vascular cells induced by LL-37.
  • Example 6 Measurement of human vascular cell migration inhibitory effec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n suppression of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USA
  • MCDB131 Medium containing 1 ⁇ g/mL cortisol, 10 mM glutamine, and 10% FBS
  • 2 ⁇ 10 5 cells per well were inoculated into a 12-well plate and incubated in 5% CO 2 Incubated in an incubator at 37 °C conditions.
  • each well After culturing each well to be more than 90% cold, scratch the uniformly grown single cell layer using a 200 ⁇ l sterile pipette tip, wash the well with sterile phosphate buffer, and replace the culture medium again.
  • Each well was pre-treated with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t each concentration for 1 hour, then treated with LL-37 at a concentration of 5 ⁇ g/mL and incubated again for 48 hours. After culturing for 48 hours, the degree of migration of vascular cells was observed through a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fficacy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to inhibit human vascular cell migration. As shown here,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exhibited an effect of effectively inhibiting LL-37-induced migration of human vascular cells.
  • Example 7 Safety confirmation test for human skin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afe for human skin
  • a skin safety verific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this end, a skin cumulative irritation test was conducted.
  • Nutritional creams containing 0.1%, 0.5% and 1%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of Example 1 were prepared, respectively. Specifically, water phase, purified water, triethanolamine and propylene glycol were dissolved by heating at 70°C, and then a solution obtained by heating and dissolving beeswax, liquid paraffin, oily components, emulsifier and preservative at 70°C was added and emulsified. After emulsification was completed, the solution was cooled to 45°C, and 0.1%, 0.5%, and 1%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were added, dispersed, and then cooled to 30°C.
  • isochlorogenic acid A As the content of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was increased to 0.1%, 0.5% and 1%, the content of liquid paraffin was reduced to 9.91%, 9.51% and 9.01%, respectively, to prepare a nutritious cream. .
  • the patch method used a Finn chamber (Epitest Ltd, Finland). 15 ⁇ l of each of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s was dropped into the chamber, and then patched. The degree of reaction shown in the skin each time was scored using Equation 1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Average reactivity [[ ⁇ (reaction index ⁇ reactivity)/(total number of subjects ⁇ highest score (4 points)) ⁇ ] ⁇ 100] ⁇ number of tests (9 times)
  • is given a score of 1 point, + is 2 points, and ++ is 4 points, and when the average reactivity is less than 3, it is determined as a safe composition.
  •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termined to be a safe material for human skin without showing a clear cumulative irritation patter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formulation example as follow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 emollient lotion containing isochlorogenic acid A, isochlorogenic acid B or isochlorogenic acid C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hlorogenic Acid Isomers 0.01 beeswax 4.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0.5 liquid paraffin 5.0 squalane 5.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carboxyvinyl polymer 0.1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s, trace colors, trace flavors and trace purified water 69.69 sum 100.0
  • Chlorogenic Acid Isomers 0.01 beeswax 10.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0.5 liquid paraffin 10.0 squalane 5.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s, trace colors, trace flavors and trace purified water 56.79 sum 100.0
  • Chlorogenic Acid Isomers 0.01 beeswax 10.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0.8 liquid paraffin 40.0 squalane 5.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s, trace colors, trace flavors and trace purified water 27.49 sum 100.0
  • Chlorogenic Acid Isomers 0.01 polyvinyl alcohol 13.0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2 allantoin 0.1 ethanol 5.0 nonylphenyl ether 0.3 Preservatives, trace colors, trace flavors and trace purified water 81.39 sum 100.0
  • a powder was prepared by mixing the above ingredients and filling in airtight bags.
  • Chlorogenic Acid Isomers 100 corn starch 100 lactose 100 Magnesium Stearate 2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manufacturing method.
  • Chlorogenic Acid Isomers 100 corn starch 100 lactose 100 Magnesium Stearate 2
  • capsules were prepared by filling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피 세린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매개인자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 인간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성 피부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피의 세린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사시아는 피부의 홍반, 구진,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환자는 안면홍조, 쏘임, 통증 또는 작열감과 같은 피부증상을 나타내며, 임상적으로 판단할 때 홍반혈관 확장성, 구진농포성, 비류성, 안구성 로사시아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한 환자에서 다양한 하위 유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로사시아는 남녀 모두 10대 이후 모든 연령에서 볼 수 있으나 30~50대에서 가장 흔하고 여성에게서 발생률이 높지만 심한 증상은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많은 요인이 로사시아의 분자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선천성 면역계 및 신경혈관 조절의 이상은 주로 로사시아의 병리 생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진다. 피부는 선천성 면역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기관으로, 피부의 물리적 장벽에 더하여, 항균 펩타이드 및 패턴인식 수용체 (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의 발현 증가 등을 통해 침입 병원균에 대한 숙주방어 체계를 가진다.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장벽 파괴는 표피의 수분 손실을 가져오며, 이로 인해 피부 항상성을 깨뜨려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킨다. 이는 알칼리성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표피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표피의 세린 프로테아제 (serine protease)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 KLK-5)의 활성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선천성 면역계의 주요한 패턴인식 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 (Toll like receptor-2, TLR-2)는 건선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환자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으나, 여드름, 로사시아 피부질환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로사시아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암시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외부자극 또는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등의 생성을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리클레인-5는 피부의 항균 펩타이드인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을 활성 형태인 LL-37로 변환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병변에서는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LL-37 활성의 증가도 관찰된다.
항균 펩타이드는 다양한 유기체에 대한 첫 번째 방어 기작을 제공하고 적응성 면역계를 매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및 로사시아와 같은 많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는 카텔리시딘의 발현증가를 나타내는데 인간에서는 단일 카텔리시딘 유전자만이 확인되었다. LL-37의 로사시아 환자에서의 역할은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 특히 발현이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LL-37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는 LL-37 펩타이드를 주사한 BALB/c 마우스에서 혈관 이완증, 홍반 및 염증과 같은 로사시아의 주요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LL-37은 건강한 사람에서는 항균활성과 함께 면역조절 기능을 수행하나, 로사시아 환자에서는 과도한 LL-37의 생성으로 인해 염증반응이 증가되고, 모세혈관 확장, 신생혈관 생성과 같은 홍반의 유발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LL-37의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이 펩타이드의 혈관의 활성화 및 전염증 요인은 다른 피부 염증성질환과 달리 로사시아의 병리학적 생리에서 현저하게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로사시아의 유발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로사시아 환자에서 선천성 면역계의 이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후천성 면역계의 이상으로 인한 유발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낭충의 콜로니화, 미생물 자극, 자외선 (UV), 열 및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발인자는 로사시아의 발생 또는 악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로사시아의 병인에 대한 선천성 면역이상은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로사시아를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 두드러기와 같은 많은 피부 염증성 질환의 피부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 비타민 D 수치가 현저히 낮은 반면, 로사시아 환자의 혈청 비타민 D 수준은 비환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타민 D는 주로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합성되는 세코 스테로이드로, 미네랄 항상성 및 골대사에 주로 관여하며,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에 대한 면역 조절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타민 D에는 많은 면역 조절 활성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 D에 의한 여러 유형의 면역 세포의 조절은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결정하는 데 임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타민 D는 카텔리시딘의 강력한 유도제로 작용하며, 톨유사수용체-2 및 칼리크레인-5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타민 D는 로사시아에서 톨유사수용체-2, 칼리크레인-5 및 LL-37 관련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로사시아 환자의 면역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염증성 캐스케이드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로사시아의 주요한 치료법은 국소요법으로 항생제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이들 약제는 항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 등 다양한 기전으로 효능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염증성 병변이 심한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인 브리니모딘 또는 옥시메타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혈관 평활근세포의 수축을 유도하여 홍반을 개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전신요법으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복용이 구진, 고름물집 병변과 홍반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소트레티노인은 중증과 치료에 저항하는 로사시아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피지분비가 많은 환자의 경우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로사시아성 홍반 및 염증의 일시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로사시아의 근본적인 발생 기작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유도체로 커피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결합 위치의 차이에 따라 이소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 슈도클로로겐산 등의 이성질체가 있다.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 중 하나인 이소클로로겐산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51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240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질환 예방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271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면역증진 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948호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297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 등을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소클로로겐산의 로사시아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 홍조 및 구진, 농포 등의 염증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홍반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이소클로로겐산이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클로로겐산은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의 하나로서 화학식이 C25H24O12 이며, 이의 이성질체인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구조를 갖는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화학식 1: Isochlorogenic acid A
Figure PCTKR2022017867-appb-img-000001
화학식 2: Isochlorogenic acid B
Figure PCTKR2022017867-appb-img-000002
화학식 3: Isochlorogenic acid C
Figure PCTKR2022017867-appb-img-0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 또는 체내에서 이소클로로겐산이 되는 형태(예로, 프로드러그)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염으로는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있다. 상기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의 예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후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미생물에 의해 합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연원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쑥(Artemisia)속, 커피나무(Coffea)속 및 고구마(Ipomoea batata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로사시아 (rosacea)"는 피부의 홍반, 염증, 구진 (1㎝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 병변),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고름)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로사시아의 피부 홍반 및 염증은 내,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표피의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칼리크레인-5에 의해 활성화된 펩타이드 LL-37이 매개하여 피부 혈관에 영향을 주어 피부가 붉게 나타거나,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어 피부의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자외선, 모낭충 및 피부 박테리아와 같은 내부 및/또는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뿐 아니라,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활성 억제능, 카텔리시딘의 활성 억제능,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능, 비만세포의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 인간 혈관세포 증식 및 이동 억제능을 분석해 본 결과,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 즉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 뿐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분비,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6).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로사시아 피부 증상의 개선효과가 미미하여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사시아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에 의해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시키고,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 분지,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피부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부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로사시아가 발병한 어느 부위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 ㎏ 당 일반적으로 1일 0.001 ㎎ 내지 300 ㎎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외에 종래 로사시아 치료제로 쓰이는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스테로이드 제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등을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 (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사시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 피부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로사시아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투여량은 0.001~300 ㎎/Kg일 수 있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표피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로사시아 피부 홍반 또는 피부 염증의 발병 억제, 경감,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안전하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의 피부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도로, 구체적으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한 형광값 결과 (A) 및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 무처리군의 형광값을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절단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신생에 있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능 측정
피부의 세린계 단백질분해효소인 칼리크레인-5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재조합 칼리크레인-5 (R&D systems, USA)과 7-Amino-4-methylcoumarin (AMC) 형광이 결합된 칼리크레인-5의 기질인 Boc-Val-Pro-Arg-AMC (R&D systems, USA)를 반응시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2 μg/ml 재조합 칼리크레인-5 50 μl에 농도별 (10, 20, 50 μM)로 처리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먼저 반응 시킨 뒤, 800 μM 칼리크레인-5 기질 50 μl을 더하여 380 nm/480 nm 형광에서 5분간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트립신 저해제인 leupeptin (Sigam aldrich, 미국)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재조합 칼리크레인을 처리하지 않은 조건을 사용하였다. 활성정도는 각 조건 측정값의 최고 형광값에서 최저 형광값을 빼준 값을 기준으로, 무처리군의 형광값과 비교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 처리군의 형광값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인간 각질세포에서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활성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를 통한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cleavage 억제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human keratinocyte growth supplement (HKGS, Thermo Fisher, 미국)가 포함된 EpiLife™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여 72 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 시간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건별로 수집한 세포 배양액을 트리신 겔 (고마바이오텍, 한국)에 로딩 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하여 human LL-73 항체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특이적으로 절단된 LL-37 펩타이드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세포외로 분비된 칼리크레인-5에 의해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된 형태를 웨스턴 블롯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수치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Siagma aldrich, 미국)과 비교하여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인간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공동배양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미분화된 단핵구 세포주인 THP-1 (ATCC, 미국)은 8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2 × 105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500 nM PMA를 처리하여 대식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대식세포로 분화된 단핵구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한 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7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7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측정은 각각의 ELISA 키트 (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R&D systems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비만세포 탈과립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비만세포의 염증 매개인자 분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마우스 비만세포인를 공동배양하여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3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마우스 비만 세포주인 MC/9 (ATCC, 미국)은 0.4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5 × 106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1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1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만세포의 활성화로 인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측정은 Histamine ELISA 키트 (Enzo Life Science,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Enzo Life Science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 매개인자히스타민의 탈과립화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히스타민의 탈과립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5 × 104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증식 정도를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미동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각 웰이 90% 이상 차게 배양한 후 200 μl 멸균 피펫팁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자란 단일 세포층을 scratch를 가한 뒤 멸균인산완충용액으로 웰을 세척 후 배양배지를 다시 교체해 주었다.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이동 정도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검사회수(9회)
상기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이소클로로겐산 A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A
(0.5%)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A
(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0.1%)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1%)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0.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0.5%)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2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3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4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하기의 표 6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함량(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성 피부 홍반 또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피부염증 또는 피부홍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성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7.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소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PCT/KR2022/017867 2021-11-22 2022-11-14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230907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873A KR20230076874A (ko) 2021-11-22 2021-11-22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160873 2021-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781A1 true WO2023090781A1 (ko) 2023-05-25

Family

ID=863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867 WO2023090781A1 (ko) 2021-11-22 2022-11-14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6874A (ko)
WO (1) WO20230907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866A1 (en) * 2004-09-14 2008-04-24 Ajinomoto Omnichem S.A.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ylated Polyphenols
CN104546819A (zh) * 2013-10-09 2015-04-29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二咖啡酰奎宁酸在治疗系统性自身免疫性疾病中的用途
US9339521B2 (en) * 2007-04-17 2016-05-17 Bayer Consumer Care Ag Use of vernonia extract
KR20190021213A (ko) * 2016-04-26 2019-03-05 떼미시스 폴리카페오일퀴닉산의 아미드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US20210154112A1 (en) * 2018-04-13 2021-05-27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48B1 (ko) 2011-08-30 2013-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297B1 (ko) 2016-04-01 2018-06-01 (주)에스디생명공학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2510B1 (ko) 2017-08-07 2018-10-01 애경산업(주)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16271B1 (ko) 2017-08-07 2018-11-07 애경산업(주)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42400B1 (ko) 2018-08-23 2021-04-20 애경산업(주)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866A1 (en) * 2004-09-14 2008-04-24 Ajinomoto Omnichem S.A.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ylated Polyphenols
US9339521B2 (en) * 2007-04-17 2016-05-17 Bayer Consumer Care Ag Use of vernonia extract
CN104546819A (zh) * 2013-10-09 2015-04-29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二咖啡酰奎宁酸在治疗系统性自身免疫性疾病中的用途
KR20190021213A (ko) * 2016-04-26 2019-03-05 떼미시스 폴리카페오일퀴닉산의 아미드 유도체,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US20210154112A1 (en) * 2018-04-13 2021-05-27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H KYUNG-BAEG, JANG YOUNGSU, CHO EUNAE, PARK DEOKHOON, KWEON DAE-HYUK, JUNG EUNSUN: "Chlorogenic Acid Isomers Isolated from Artemisia lavandulaefolia Exhibit Anti-Rosacea Effects In Vitro", BIOMEDICINES, vol. 10, no. 2, pages 463, XP093067532, DOI: 10.3390/biomedicines1002046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874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02393A1 (ko)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21112398A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8169169A1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WO2017175909A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WO2012020989A9 (ko)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42A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WO2020040432A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02304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WO2011053007A2 (ko)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23090781A1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23375B1 (ko)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19139403A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34247A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8259B1 (ko) 콩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WO2010077093A9 (ko)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WO2010150954A1 (ko)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20070097291A (ko)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제
KR102514975B1 (ko) 이소오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WO2022092495A1 (ko) 갈락토스를 함유하는 면역과민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3796A (ko)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70087A1 (ko) 푸사리세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2255810A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6873A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59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