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96A -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796A
KR20140013796A KR1020120082313A KR20120082313A KR20140013796A KR 20140013796 A KR20140013796 A KR 20140013796A KR 1020120082313 A KR1020120082313 A KR 1020120082313A KR 20120082313 A KR20120082313 A KR 20120082313A KR 20140013796 A KR20140013796 A KR 20140013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ginsenoside
lotion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용
최운용
서용창
송치호
이춘근
임혜원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796A/ko
Publication of KR2014001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지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도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f gingenoside F1 for Improving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혐기성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Propionebacterium acne)의 리파제(lipase)에 의해 생성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과 각종 저분자 물질들의 자극에 의한 염증 반응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경구제 또는 외용제 형태의 약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항-남성 호르몬제를 사용한 피지생성의 억제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의 항염증 작용에 의한 치료제, 레소치놀, 유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레티노익산이나 이소트레티노인과 같은 항균제 및 각질 박리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메크로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의 활성억제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아젤리아산을 이용한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사용성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억제나 기타 호르몬 남용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레티노익산과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각질박리제는 각질박리에 따른 피부의 자극성과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있으며,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물질은 내성균의 출현 및 광과민작용의 가능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소트레티노인은 태아에 최기성 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여드름 피부에 있어서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여드름 치료효과가 우수한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아토피는 아토피 유발인자를 보유하고 있는 개인에게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점막 등에 나타나는 일련의 알레르기 증상을 의미한다. 아토피 유발인자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곰팡이와 같은 특정한 물질과 접촉하였을 때 가려움증, 피부발작, 두드러기, 혈관부종, 재채기, 콧물, 코막힘, 결막충혈,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아토피 유발인자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이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요인, 환경, 연령 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피지막의 층상 구조가 손상되어 표피를 통한 수분 증발과 감염으로 인해 표피의 건조화와 과증식 및 염증의 증상을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된 질환으로 현재 일반인의 0.7%, 5세 이하 소아의 3-5%가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매년 그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메커니즘을 보면 알레르겐이 각질층을 통해 침입해서 표피세포에 이르게 되면 마크로파지가 이를 포식하여 분해하게 된다. 이때 침입한 알레르겐의 양이 많아 마크로파지가 모두 처리하지 못한 경우에는 미처 처리되지 못한 알레르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T 세포에 보내주고 T 세포는 그 정보를 호산구에 전하여 혈중에 널리 분포된 호산구를 알레르겐이 침입한 장소로 불러모으게 된다. 이렇게 환부에 집적된 호산구가 화학전달물질을 과잉으로 방출시켜 염증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소양증으로서, 이로 인하여 피부를 자주 반복적으로 긁게 되어 이차적 찰과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손바닥, 눈꺼풀 아래 등 피부의 여러 부위에 홍반이 생기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에 의한 피부 감염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피부 건조, 색상 변화, 각화를 비롯한 피부의 비정상적 소견이 나타나고 혈중 IgE 수치가 상승한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 및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 또는 합성의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 다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로는 싸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FK506(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Wasik 등, Immunopharmacology 20:57-61, 1990)와 SDZ ASM981(피메크로리무스, Pimecrolimus; Grassberger 등, Br. J. Dermatology 141:264-273, 1999)이 각광받고 있다.
반면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외용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환자들에 있어서 피부가 엷어지는 현상 및 골다공증의 유발, 어린이의 경우 성장 저해 등 그에 따른 국소 및 전신 부작용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으며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 C.A. Mayer)의 주요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사포닌 진세노사이드는 임삼, 백삼, 수삼, 미삼, 산삼배양근 등과 같은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약 20여 개의 Triol 과 Diol 계열의 진세노사이드로 분류가 된다. 그 중, Rb1, Rb2, Rh1, Rh2, Rg1, Rg2, Rg3등의 진세노사이드 계열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으며, 이들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의 아토피 피부염 및 여드름 생성 완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아토피 피부염 및 여드름과 같은 피부 염증성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을 찾고자 모색하던 중, 진세노사이드 F1에 주목하여 그것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F1이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지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에도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0072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410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염증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 염증질환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염증질환은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크스 아아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지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도 가지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진세노사이드 F1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은 인삼, 홍삼, 백삼, 수삼, 미삼 및 산삼배양근 등에 함유되어 있는 인삼 사포닌(Saponin)의 일종으로 (3b,6a,12b)-3,6,12-Trihydroxydammar-24-ene-20-yl beta-D-glucopyranoside로 나타낼 수 있으며, 분자식은 C36H62O9이고, 분자량은 638.87이다(도 1 참조).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아토피 피부염 및 여드름과 같은 피부 염증성질환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을 찾고자 모색하던 중, 진세노사이드 F1에 주목하여 그것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F1이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지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에도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F1이 피부에 여드름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균주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임상시험을 통해 여드름 개선/피지 분비감소/자극 유무를 측정한 결과, 여드름 개선 효과와 더불어 피지 분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3에서는,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진세노사이드 F1를 1%로 하여 사용할 경우 약 90%가 효과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아토피 피부염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진세노사이드 F1이 여드름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은 인삼, 홍삼, 백삼, 수삼, 미삼 및 산삼배양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즉, 먼저 인삼, 홍삼, 백삼, 수삼, 미삼 및 산삼배양근과 같은 식물로부터 인삼 사포닌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수득한 후, 여기에 산, 염기, 효소 또는 이러한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진세노사이드 F1을 제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인삼의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10 배의 유기용매를 인삼에 넣어, 상온에서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한 후 10 내지 20℃에서 1 내지 7일간 침적시킨 다. 그 후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다. 수층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1 내지 5회 추출한 후, 수득한 유기용매층을 KOH로 처리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뒤, 감압·농축하여 유기용매 엑기스를 얻으며, 본 엑기스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후,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유기용매는 무수 메탄올, 함수 메탄올, 무수 에탄올 및 함유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순수용매이거나 상기 메탄올의 1종과 상기 에탄올의 1종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득한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은 산, 염기,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F1을 제조할 수 있다.
산을 이용 시, 산은 염산, 황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산, 또는 상기 산과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50%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에 0.1N~2N 농도, 바람직하게는 1N 농도의 산 또는 산 및 알코올의 혼합용매를 가한 후, 50~100℃, 바람직하게는 80℃ 수욕조에서 0.5~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염기를 이용 시,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 또는 상기 염기와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코올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염기와 알코올의 혼합용매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50% 부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에 0.1N~2N 농도, 바람직하게는 1N 농도의 염기 또는 염기 및 알코올의 혼합용매를 가한 후, 50~100℃, 바람직하게는 100℃ 수욕조에서 1~1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효소를 이용 시,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 펙티나아제(pectinase) β-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α,β-아라비노시다아제(α,β-arabinosidase),α,β-람노시다아제(α,β-rhamnosidase), β-글루쿠로니다아제(β-glucuronidase),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및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glucosid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을 5~100배의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효소를 첨가하여 약 37~40℃ 수욕상에서 약 1~6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의 소거율을 확인하여 기질이 완전히 소실되면 열수(80~100℃)중에서 5~15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종료시키고 반응액을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을 이용 시, 미생물은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속, 바실러스(bacillus)속,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 리조푸스(rhizopus)속, 리조무코르(rhizomucor)속, 탈라로마이세스(talaromyce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모르티에렐라(mortierella)속,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을 5~1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121℃에서 30분간 멸균하여 30℃로 냉각한다. 미리 배양된 미생물을 액체량의 중량대비 5~10중량%로 접종하여 30℃에서 2 내지 5일 배양 시킨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기질의 소거율을 확인하여 기질이 완전히 소실되면 반응을 종료시키고, 5,000 내지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침전물을 증류수로 3회 세척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산, 염기 또는 효소나 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한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1종의 알코올을 가하여 1~5회 교반시킨 후, 침전된 염들을 여과를 통하여 제거하고, 여과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진세노사이드 F1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1에서는, 인삼(홍삼, 백삼, 수삼, 또는 미삼) 1kg에 50% 메탄올 10L을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6일간 침척시킨 후 여과 및 원심분리를 통해 남은 인삼과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엑기스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시킨 후, 에테르 1L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5% KOH로 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뒤,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을의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을 40~80g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인삼 정제 사포닌 10g을 시트레이트 완충용액(pH 4.0) 100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페니실리움속에서 분리한 나린지나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펙티나제 효소 15g을 첨가하여 40℃에서 교반시키면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면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반응액은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농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얻은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프(크로로포름:메탄올=9:1)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F1 1.5g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진세노사이드 F1 이외에, 진세노사이드 F1과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항염증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진세노사이드 F1에 의한 염증 개선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염증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염증질환으로는 여드름, 과민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및 두드러기(urticaria) 등을 들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F1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키면, 진세노사이드 F1의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추출물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0~500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nm이다.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3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안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1.0~30.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2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며, 천연 인지질(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인지질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40중량%일 수 있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bar의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을 나노리포좀 충 중량 기준으로 0.1~2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피부 염증질환으로는 여드름, 과민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및 두드러기(urticaria) 등을 들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F1의 분리 및 제조
홍삼, 백삼, 수삼 또는 미삼 1㎏에 50% 메탄올 또는 메탄올 10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6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남은 인삼과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에 현탁한 후에, 에테르 1L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5% KOH로 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뒤,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엑기스를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인삼 정제 사포닌 추출물 40∼80g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인삼 정제 사포닌 10g을 시트레이트 완충용액(pH 4.0) 1000㎖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페니실리움속에서 분리한 나린지나제 또는 아스퍼질러스속에서 분리한 펙티나제 효소 15g을 첨가하여 40℃에서 교반시키면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면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반응액은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하여 농축하였다. 얻은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크로로포름:메탄올=9:1)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F 1 1.5g을 얻었다.
<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F1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고, 임상시험을 통해 여드름 개선/피지 분비감소/자극 유무를 측정하였다.
<2-1>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 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의 항균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여드름균과 화농균에 대한 항균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여드름균과 화농균을 브레인 하트 인퓨전(brain heart infusion, BHI) 배지 상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첨가한 배지에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ebacterium acne)와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각각 별개로 5%(10ul) 농도로 접종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고, 균주의 현미경 관찰을 통해 균체수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F1의 농도에 따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 및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향균력 측정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
(%)
Propionebacterium acne
(ppm)
Propionebacterium acne
(ppm)
0.1 <19 <12
0.5 <9 <10
1 <6 <9
2 <6 <3
5 <2 <1
10 <1 <1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F1이 피부에 여드름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균주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여드름 개선/피지 분비감소/자극 유무 측정
여드름을 보유하고 있는 15명에게 상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한 달간 사용하게 하였다. 여드름 개선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12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여드름 소멸 시기는 소멸이 판독된 일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드름 재발은 유무로 1개월 뒤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피지 분비감소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15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반응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보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에 따른 여드름 개선과 피지분비 및 자극 유무 측정결과
진세노사이드 F1 농도(%) 여드름 개선 피지분비 감소 자극 유무
0.1 3.0 3.5 0/15
0.5 3.7 3.8 0/15
1 4.0 4.0 1/15
2 4.4 4.2 2/15
5 4.8 4.1 3/15
10 4.9 4.5 2/15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F1을 사용하여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을 개발할 경우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지분비에 대해 일부 감소가 있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피부 자극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농도에서만 일부에서 자극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드름 개선에 대해 평균 4점 이상, 피지분비 감소에 대해 평균 4점 이상을 획득하여, 여드름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장 적합한 농도로는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가 약 1% 이상의 경우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F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성인 남녀 전체 20명 중 10명은 진세노사이드 F1의 농도를 1%로 하여 도포하였고, 나머지 10명은 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도포하였다. 1일 2회 1 ml씩 또는 1g씩 화장솜에 적셔 환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10일간 시험하였다. 10일간 도포 후 개선 효과는 매우 효과, 약간 효과, 효과 없음, 악화의 4단계로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F1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시료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평균(%)
물(대조군) 매우 좋음 0 0
좋음 0 0
효과 없음 9 90
악화 1 10
F1 1% 매우 좋음 3 30
좋음 6 60
효과 없음 1 10
악화 0 0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F1를 1%로 하여 사용할 경우 약 90%가 효과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아토피 피부염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물을 사용된 대조 처방에서는 대부분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를 1% 이상으로 하여 사용할 경우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한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4-1> 유연화장수( skin )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한 유연화장수(skin)를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1
(단위: 중량%)
제조예2
(단위: 중량%)
진세노사이드 F1 0.3 12.0
글리세린 5.0 5.0
1,3-부틸렌글리콜 3.0 3.0
REG 1500 1.0 1.0
알란토인 0.1 0.1
DL-판테놀 0.3 0.3
EDTA-2Na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5.0
에탄올 10.0 10.0
옥틸도데세스-16 0.2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2
유니사이드-유 13 0.01 0.01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4-2> 영양화장수( lotion )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한 영양화장수(lotion)를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3
(단위: 중량%)
제조예 4
(단위: 중량%)
진세노사이드 F1 0.3 1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1.5
세테아릴알콜 1.5 1.5
라놀린 1.5 1.5
폴리솔베이트 60 1.3 1.3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5 0.5
경화식물유 4.0 4.0
광물유 5.0 5.0
트리옥타노인 2.0 2.0
디메치콘 0.8 0.8
초산 토코페롤 0.5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0.12
글리세린 5.0 5.0
1,3-부틸렌글리콜 3.0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0.02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4-3> 영양크림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5
(단위: 중량%)
제조예 6
(단위: 중량%)
진세노사이드 F1 0.3 1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1.5
세테아릴알콜 1.5 1.5
스테아린산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6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5.0
스쿠알란 5.0 5.0
광물유 35.0 35.0
디메치콘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0.12
글리세린 6.0 6.0
트리에탄올아민 0.7 0.7
유니사이드-유13 0.02 0.02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4-4> 팩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한 팩을 아래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7
(단위: 중량%)
제조예 8
(단위: 중량%)
진세노사이드 F1 0.3 12
글리세린 10.0 10.0
베타인 5.0 5.0
REG 1500 2.0 2.0
알란토인 0.1 0.1
DL-판테놀 0.3 0.3
EDTA-2Na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0.18
옥틸도데칸올 0.3 0.3
옥틸도데세스-16 0.4 0.4
에탄올 6.0 6.0
유니사이드-유13 0.01 0.01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 실시예 5>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위해 상기 실시예 4에서 제형한 화장료 조성물을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의 변색 정도는 다음 6등급 (0 :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색 및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화장제의 제형의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피부 안정성 시험
온도 제형의 변색 정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45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 실시예 6>
피부 안전성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에서 제형한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6-1> 피부 일차 자극성 시험
등 쪽 피부의 털을 제거한 수컷 백색종 토끼의 피부에 상기 화장료 제조물을 1일 1회, 주 5회, 두께 2㎎/㎠ 이상이 되도록 도포했다. 도포는 2주간 수행하였으며, 털의 제거는 매주 최종 도포일에 수행하였다. 판정은 적용 후 24, 48, 72 시간에 일차 자극성 평정법으로 홍반 및 부종을 지표로 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모든 실험 군에서 홍반 및 부종이 나타나지 않아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6-2> 피부 누적 자극성 시험
등 쪽 피부의 털을 제거한 수컷 백색종 토끼의 피부에 상기 화장료 제조물을 1일 1회, 주 5회, 두께 2㎎/㎠ 이상이 되도록 도포했다. 도포는 2주간 수행하였으며, 털의 제거는 매주 최종 도포일에 수행하였다. 판정은, 각 도포일 및 최종 도포일의 다음날에 일차 자극성 평정법으로 홍반 및 부종을 지표로 해서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모든 시험 군에서 제조물의 반복 도포에 의한 피부 자극성 반응은 관찰되지 않아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진세노사이드 F1(ginsenoside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F1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염증질환은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네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ebacterium acne) 및 화농균인 스태필로코크스 아아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2313A 2012-07-27 2012-07-27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3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13A KR20140013796A (ko) 2012-07-27 2012-07-27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13A KR20140013796A (ko) 2012-07-27 2012-07-27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96A true KR20140013796A (ko) 2014-02-05

Family

ID=5026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13A KR20140013796A (ko) 2012-07-27 2012-07-27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34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0093A (ko) * 2018-08-29 2018-09-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34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0093A (ko) * 2018-08-29 2018-09-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352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MX2011003940A (es) Proceso para extraer glucosidos cardiacos y composiciones.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CN113694115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101460569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57117B (zh) 包含胶原蛋白水解物的组合物的用途
KR102144568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3796A (ko)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3736682B (zh) 用于增强皮肤屏障、保湿皮肤或抗老化的组合物
KR102152407B1 (ko)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0303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2545792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02053477A (ja) 皮膚外用剤
JP2005015375A (ja) Alteromonasmacleodiiから得られる外分泌性ポリサッカライド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
KR20040079051A (ko) 피부외용제
CN107115383A (zh) 具有防治皮肤干燥综合征功效的皮肤养护/治疗组合物
EP251249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tandardised extract of quercetin an 3-o-methylquercetin from flowers of macela (achyrocline satureioide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
KR20170098191A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84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