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1566A -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1566A
KR970061566A KR1019970003330A KR19970003330A KR970061566A KR 970061566 A KR970061566 A KR 970061566A KR 1019970003330 A KR1019970003330 A KR 1019970003330A KR 19970003330 A KR19970003330 A KR 19970003330A KR 970061566 A KR970061566 A KR 97006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ehicle
control stage
sta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4299B1 (ko
Inventor
야스히코 미시오
도시유키 고바야시
미츠히코 모리타
도모미 나카야마
도모코 다시로
마사히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와다 아키히로
도요타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키히로, 도요타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키히로
Publication of KR97006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being combined with other vehicl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황, 서스펜션의 개체차이나 경시 변화등에 관계없이 서스펜션을 항상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쇽 압소버(shock absorber; 16)의 감쇄력이 스카이훅(skyhook) 제어블록(12)에 의해 스카이훅 이론에 근거한 액추 에이터(18)를 통해 제어된다. 스카이훅 제어블록에 있어서의 제어법칙은 GA 제어블록(14)에 의해 유전적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된다. GA 제어블록은 제어법칙의 제어 파라미터를 유전자로 하는 개체를 교배시켜, 차량의 상태량에 근거한 평가함수에 의해 개체를 평가하고, 평가가 가장 낮은 개체를 말소시킨다.

Description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스카이훅 이론에 의한 각 차륜의 쇽 압소버 감쇄력을 제어하는 감쇄력 제어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개체군을 도시한 설명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개체 교배의 세가지의 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감쇄력 제어의 메인루틴을 도시한 제너럴 흐름도.
제5도는 제4도의 스텝 100에 있어서의 스카이훅 이론에 의한 감쇄력 제어의 서브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9)

  1. 소정의 제어법칙에 따라서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의 제어 파라미터를 유전자로 하는 개체를 교배시키며, 차량의 상태량에 의거한 평가함수에 의해 개체를 평가하며, 평가가 가장 낮은 개체를 말소시키는 유전적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어법칙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스카이훅(skyhook) 이론에 근거한 목표 감쇄 계수를 구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쇽 압소버(shock absorber)의 제어단을 상기 목표 감쇄계수에 대응하는 목표 제어단으로 제어하는 제어법칙으로서, 상기 유전자는 감쇄계수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는 교배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개체를 포함하는 신세대의 개체를 시행함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평가함수는 차체의 진동 감쇄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평가가 가장 높은 개체의 유전자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어법칙을 최적화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스카이훅 감쇄계수 및 상기 목표 제어단을 구하기 위한 각 제어단의 감쇄계수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함수는 적어도 차체의 상하 가속도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배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개체의 각 제어단 감쇄게수가 미리 설정된 상한치 보다 큰 경우 및 미리 설정된 하한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객체의 유전자 값을 각각 상기 상한치 및 상기 하한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후 새로운 개체의 특정 제어단 감쇄계수가 그 상한치 또는 하한치인 상황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될 때에는 상기 제어 시스템 혹은 상기 쇽 압소버가 이상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후의 새로운 개체의 특정 제어단 감쇄계수가 그상한치 또는 하한치인 상황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될 때에는 상기 교배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특정 제어단의 감쇄계수를 상기 상한치보다도 큰 값 또는 상기 하한치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함수는 차량의 승무원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스카이훅 감쇄계수 및 상기 쇽 압소버의 각 제어단에 대한 상기 쇽 압소버의 스트로크 속도와 감쇄력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복수의 개체군으로 구분되어, 차체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최적의 개체군이 선택되며, 상기 유전적 알고리즘은 선택된 개체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법칙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각 차륜의 스프링위의 속도를 차체의 히브모드(heave mode) 및 피치 모드(pitch mode) 혹은 롤모드로 분해하여, 각 모드에 대하여 중량 부가하는 것에 의해 보정한 후 각 차륜의 스프링위의 속도를 연산하며, 상기 보정후 스프링위의 속도를 사용하는 스카이훅 이론에 근거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쇽 압소버의 감쇄력을 제어하는 제어법칙으로, 상기 유전자는 스카이훅 감쇄계수 및 각 모드의 무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차량의 상태량에 근거하여 쇽 압소버의 목표 제어단을 구하여 제어 시스템에 의해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상기 목표 제어단에 제어하는 제어법칙으로, 상기 유전자는 차량의 상태량에 따라 상기 목표 제어단을 구하기 위한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어법칙의 파라미터는 교배에 의한 탄생된 새로운 개체의 파라미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배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개체의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상한치보다 큰 경우 및 미리 설정된 하한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개체의 파라미터를 각각 상기 상한치 및 상기 하한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차체의 상하 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제어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각 제어단마다 한계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차체의 전후 가속도를 예측하는 상태량에 근거하여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 제어단으로 변환함으로써 차체의 스커트를 억제하는 제어법칙이며, 상기 유전자는 차체의 전후 가속도를 예측하는 상태량과 상기 목표 제어단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함수는 차량의 가속시에 있어서 차체의 상하 가속도의 저감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차체의 전후 가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상태량에 근거하여 전륜 및 후륜의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 제어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차체의 노즈 다이브(nose-dive)를 억제하는 제어법칙이며, 상기 유전자는 차체의 전후 가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상태량과 상기 목표 제어단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함수는 차량의 감속시에 있어서의 차체의 상하 가속도의 감소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차체의 횡가가속도를 예측하여 상기 횡가속도에 따라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 제어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차체의 롤을 억제하는 제어법칙이며, 상기 유전자는 차체의 횡가가속도에 따라서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 제어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각 제어단마다 한계치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함수는 차속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차체의 목표 롤 비율과 차체의 실제의 롤 비율과의 편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배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개체의 특정 제어단의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하한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개체의 유전자의 상기 특정 제어단의 임계치를 상기 하한치로 보정하며, 보정후의 새로운 개체의 특정 제어단의 임계치가 상기 하한치인 상황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될 때에는 상기 특정 제어단의 임계치를 한 단계위의 제어단 임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한 단계위의 제어단 임계치로 설정되는 특정 제어단의 수가 소정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쇽 압소버의 감쇄력 발생 한계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법칙은 차체와 차륜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율에 근거하여 상기 쇽 압소버의 제어단을 목표 제어단으로 변환함으로써 차체에의 충격을 감소하는 제어법칙이며, 상기 유전자는 상기 쇽 압소버의 현재 제어단과 상기 힘의 변화율과 상기 목표 제어단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3330A 1996-02-14 1997-02-04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KR100254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050930A JP3075170B2 (ja) 1996-02-14 1996-02-14 車輌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
JP96-50930 199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566A true KR970061566A (ko) 1997-09-12
KR100254299B1 KR100254299B1 (ko) 2000-05-01

Family

ID=1287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330A KR100254299B1 (ko) 1996-02-14 1997-02-04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28297A (ko)
JP (1) JP3075170B2 (ko)
KR (1) KR100254299B1 (ko)
DE (1) DE197055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7569A0 (en) 1998-09-16 1999-10-28 Comsense Technologies Ltd Interactive toys
US6463371B1 (en) * 1998-10-22 2002-10-08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intelligent control of a vehicle suspension based on soft computing
KR20000027739A (ko) * 1998-10-29 2000-05-15 밍 루 전자 제어 현가 장치
WO2000027658A1 (en) * 1998-11-11 2000-05-18 Kenmar Company Trust Suspension control unit and control valve
US6212466B1 (en) * 2000-01-18 2001-04-0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Optimization control method for shock absorber
EP1063108B1 (en) * 1999-06-24 2006-03-01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emiactive suspensions of motor vehicles
GB0013352D0 (en) * 2000-06-01 2000-07-26 Nycomed Imaging 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agnostic imaging
US6477444B1 (en) 2000-07-07 2002-11-05 Fuji Xerox Co., Ltd. Method for the automated design of decentralized controllers for modular self-reconfigurable robots
US20040111707A1 (en) * 2000-12-15 2004-06-10 Bliss Andrew L. Debugger for multiple processors and multiple debugging types
DE60118149T2 (de) * 2001-04-04 2007-04-19 Stmicroelectronics S.R.L., Agrate Brianza Auf der Sky-Hook-Theorie basierend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Fahrzeugaufhängung
US20040153226A1 (en) * 2003-02-05 2004-08-05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Vehicle suspension control system
US6873890B2 (en) * 2003-04-23 2005-03-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requency domain suspension control system
US7219087B2 (en) * 2003-07-25 2007-05-1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oft computing optimizer of intelligent control system structures
US7512520B2 (en) * 2003-08-19 2009-03-31 Tramanco Pty Ltd. Method for logging the performance of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7251638B2 (en) 2004-03-03 2007-07-3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Intelligent robust control system for motorcycle using soft computing optimizer
US8321177B2 (en) * 2004-08-19 2012-11-27 Tramanco Pty Ltd. Method for logging the performance of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060224547A1 (en) * 2005-03-24 2006-10-05 Ulyanov Sergey V Efficient simulation system of quantum algorithm gates on classical computer based on fast algorithm
US20060218108A1 (en) * 2005-03-24 2006-09-28 Sergey Panfilov System for soft computing simulation
US20060293817A1 (en) * 2005-06-23 2006-12-28 Takahide Hagiwara Intelligent electronically-controlled suspension system based on soft computing optimizer
WO2008050749A1 (fr) * 2006-10-25 2008-05-02 Kabushiki Kaisha Fine Rubber Kenkyuusho Fantôme de corps entier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lui-ci
FR2909591B1 (fr) * 2006-12-11 2009-01-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optimisation de la logique de commande d'un systeme de suspension
JP4882848B2 (ja) * 2007-04-23 2012-02-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統合車体挙動制御装置
US9527364B2 (en) 2014-12-08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damper temperature
FR3047467B1 (fr) * 2016-02-09 2018-03-09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Procede d'optimisation du confort dans un vehicule ferroviaire
JP2021017168A (ja) * 2019-07-22 2021-0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制御システム、車両、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1614215B (zh) * 2020-05-11 2021-11-12 东南大学 一种基于生成对抗网络的电动汽车用驱动电机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9506B (en) * 1989-12-08 1993-08-25 Toyota Motor Co Ltd Suspension control system
US5200895A (en) * 1989-12-13 1993-04-06 Atsugi Unisia Corporatio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enhanced response characteristics
US5490068A (en) * 1991-07-30 1996-02-06 Atsugi Unisia Corporation Suspension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includ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ck absorber damping force coefficient
FR2683185B1 (fr) * 1991-11-01 1995-07-07 Atsugi Unisia Corp Appareil de reglage du coefficient d'amortissement des amortisseurs d'un vehicule.
US5248015A (en) * 1991-12-09 1993-09-28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suspension
JP3049136B2 (ja) * 1991-12-09 2000-06-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083114B2 (ja) * 1991-12-19 2000-09-04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US5438514A (en) * 1991-12-27 1995-08-01 Atsugi Unisia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damping coefficient for vehicular shock absorber
JP3342719B2 (ja) * 1992-02-03 2002-11-11 トキコ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5294122A (ja) * 1992-04-17 1993-11-09 Toyota Motor Corp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係数制御装置
DE69312371T2 (de) * 1992-04-17 1998-01-15 Toyota Motor Co Ltd Radaufhängungs-Regelsystem mit variablem Dämpfungskoeffizient, abhängig von der Frequenz der Erregerkraft
DE19509853C2 (de) * 1994-03-18 2002-01-17 Tokico Ltd Aufhängungs-Regel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28297A (en) 1999-07-27
JP3075170B2 (ja) 2000-08-07
DE19705562A1 (de) 1997-08-21
KR100254299B1 (ko) 2000-05-01
DE19705562C2 (de) 2001-01-11
JPH09216509A (ja) 199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1566A (ko)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KR100451288B1 (ko) 서스펜션 제어장치
US5432700A (en) Adaptive ac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
JP4648126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110127127A1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apparatus for damping-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KR100226127B1 (ko) 자동차 현가 장치 제어 시스템
KR101833064B1 (ko) 서스펜션 제어 장치
US8914193B2 (en) Damping force control apparatus
JP2002331817A (ja) 電気的に調節可能なセミアクティブダンパの制御
JPH0527022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5365432A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ly controlling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of front and rear suspension units of four-wheeled vehicle
KR20080043784A (ko) 차량용 전자제어식 감쇠 시스템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방법및 전자제어식 감쇠 시스템
KR100324348B1 (ko) 서스펜션제어장치
JP2007040497A (ja) 可変減衰力ダンパの制御装置
JPH06247126A (ja) 自動車シャシを閉ループおよび/または開ループ制御するシステム
EP1557304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thermal protection
KR101122865B1 (ko) 공기 부양식 차량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JP2003104024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CN113199916A (zh) 磁流变半主动悬架阻尼力约束线性分段控制方法
JP3183141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3183140B2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2004182031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9254624A (ja) 車輌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JP2733420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0726600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와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