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30651A -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치 스크라이브 라인 - Google Patents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치 스크라이브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30651A
KR970030651A KR1019960055747A KR19960055747A KR970030651A KR 970030651 A KR970030651 A KR 970030651A KR 1019960055747 A KR1019960055747 A KR 1019960055747A KR 19960055747 A KR19960055747 A KR 19960055747A KR 970030651 A KR970030651 A KR 97003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face
pattern
forming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더블류 오커트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이. 힐러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이. 힐러,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이. 힐러
Publication of KR97003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cing (AREA)

Abstract

반도체 웨이퍼(21)상의 칩에 선을 그어서 분리하는 방법은 웨이퍼(21)를 패턴하여 반도체 웨이퍼(21)의 선택된 면에 임의의 패턴, 즉 그리드 패턴이 되게 교차 홈의 패턴을 에칭해서 해당면에 칩 영역을 정한다. 그 후에 패턴 형태로 트랜치(27)를 형성하고 선택된 면에 테이프(29)를 접착한다. 그 후에 상기 패턴으로부터 테이프(29) 및 반도체 웨이퍼(21)를 통해 광을 통과시켜 웨이퍼(21)를 통과한 광과 교차하는 톱니형 절결부 혹은 홈(28)의 패턴이 일치되게 형성한다. 톱니형 절결부(28)는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웨이퍼(21)의 면에서 연장되어 교차 트랜치(27)의 패턴에 정렬된다.

Description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렌치 스크라이브 라인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반도체 칩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 처리 흐름도.

Claims (12)

  1.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면상에 교차 트랜치의 패턴을 에칭해서 상기 면상에 칩 영역을 정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일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홈을 상기 교차 트랜치의 상기 패턴과 일치되게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을 상기 교차 트랜치의 패턴까지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을 마스킹해서 그리드 패턴을 정하고 그 후에 상기 그리드 패턴을 에칭해서 상기 트랜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치로부터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통해 검출가능한 에너지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트랜치를 통과한 상기 에너지와 일치되게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치로부터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통해 검출 가능한 에너지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트랜치를 통과한 상기 에너지와 일치되게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 투과성이 있는 주파수를 가진 광이며,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퍼를 통해서 광을 통과시키기 전에 상기 주파수를 가진 광에 투과성이 있는 테이프에 상기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에 투과성이 있는 주파수를 가진 광이며, 상기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퍼를 통해서 광을 통과시키기 전에 상기 주파수를 가진 광에 투과성이 있는 테이프에 상기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선택된 면에 대향하는 상기 웨이퍼의 상기 면을 접착면에 고정시키고 교차 트랜치의 상기 홈과 상기 패턴 사이의 상기 웨이퍼의 반도체 재료의 영역을 분리하여 개개의 칩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에서 상기 개개의 칩을 떼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상의 칩 분리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55747A 1995-11-21 1996-11-20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치 스크라이브 라인 KR970030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0295P 1995-11-21 1995-11-21
US60/007,402 1995-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651A true KR970030651A (ko) 1997-06-26

Family

ID=2172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747A KR970030651A (ko) 1995-11-21 1996-11-20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치 스크라이브 라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76029B1 (ko)
JP (1) JPH09171979A (ko)
KR (1) KR970030651A (ko)
CN (1) CN1159075A (ko)
DE (1) DE69621107T2 (ko)
SG (1) SG67365A1 (ko)
TW (1) TW347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755A (ja) * 1999-10-04 2001-04-20 Tokyo Seimitsu Co Ltd 半導体チップ製造方法
JP3368876B2 (ja) * 1999-11-05 2003-01-20 株式会社東京精密 半導体チップ製造方法
TWI228780B (en) * 2000-05-11 2005-03-01 Disco Corp Semiconductor wafer dividing method
JP2001345289A (ja) * 2000-05-31 2001-12-14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6140276A (ja) * 2004-11-11 2006-06-01 Yamaha Corp 半導体ウェーハ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及びチップサイズ・パッケージ並びに半導体ウェーハの製造方法、半導体ウェーハの検査方法
US7518217B2 (en) 2004-11-11 2009-04-14 Yamaha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wafer, chip size packag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therefor
US8292690B2 (en) * 2008-09-08 2012-10-2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Thinned semiconductor wafer and method of thinning a semiconductor wafer
CN101745993B (zh) * 2008-12-10 2012-04-18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形成风车形划片槽结构的方法
JP5637330B1 (ja) * 2013-07-01 2014-1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半導体片の製造方法、半導体片を含む回路基板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89208B2 (ja) * 2013-12-26 2017-08-30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16031986A (ja) * 2014-07-28 2016-03-07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ェーハの加工方法
CN104860260A (zh) * 2015-04-16 2015-08-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Mems圆片级封装的划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161A (en) * 1985-05-02 1986-08-05 Xerox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arrays
US4814296A (en) * 1987-08-28 1989-03-21 Xerox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dies for use in assembling arrays
JPH04107155A (ja) * 1990-08-28 1992-04-08 Alps Electric Co Ltd サーマルヘッドの製造方法
US5272114A (en) * 1990-12-10 1993-12-21 Amoco Corporation Method for cleaving a semiconductor crystal body
US5418190A (en) * 1993-12-30 1995-05-23 At&T Corp. Method of fabrication for electro-optic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7555B (en) 1998-12-11
CN1159075A (zh) 1997-09-10
EP0776029B1 (en) 2002-05-08
DE69621107T2 (de) 2002-10-31
JPH09171979A (ja) 1997-06-30
SG67365A1 (en) 1999-09-21
DE69621107D1 (de) 2002-06-13
EP0776029A1 (en)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548A (en) Trench scribe line for decreased chip spacing
KR970030651A (ko) 칩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치 스크라이브 라인
KR920005249A (ko) 집적된 실리콘 및 비-실리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870004523A (ko) 반도체 장치의 유전체 매입형 소자 분리홈의 형성방법
KR870003575A (ko) 반도체장치의 형성방법
KR910016061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880009415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89001236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S56107563A (en) Dividing method for semiconductor wafer
JPH064543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3002251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70072295A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막 형성방법
JPH0216275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26575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940022800A (ko) 반도체장치의 휴즈 형성방법
KR970052660A (ko) 반도체 소자의 아이솔레이션 방법
KR890002997A (ko) 반도체칩의 테이퍼진 금속배선구조와 이의 제조방법
KR970008495A (ko) 리드온 칩 웨이퍼용 마스크 및 그를 이용하여 웨이퍼상에 접착제를 형성시키는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웨이퍼의 구조
KR960026127A (ko) 고집적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어레이 형성 방법
KR970053429A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 방법
KR930020637A (ko) 화합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30017139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10020953A (ko) 광소자 장치의 제조방법
KR950021395A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막 형성방법
KR970052745A (ko) 웨이퍼내에 비활성화층이 없는 반도체 칩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