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44B1 -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44B1
KR970010844B1 KR1019940008793A KR19940008793A KR970010844B1 KR 970010844 B1 KR970010844 B1 KR 970010844B1 KR 1019940008793 A KR1019940008793 A KR 1019940008793A KR 19940008793 A KR19940008793 A KR 19940008793A KR 970010844 B1 KR970010844 B1 KR 970010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nit
treatment
treatment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신도
우사부로 야마구찌
가즈오 이오까
도시오 스즈끼
아끼히로 미나가와
쇼이찌 기따바따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065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49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39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453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5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vertic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55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vertic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the material going from platform to plat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제1도는 발명의 1실시예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부분단면 개략도.
제2도는 외부박스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P방향에서 본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배면도.
제4도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조의 주요부의 정면 종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P방향에서 본 외부박스와 공기공급수단을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배면도.
제6도는 외부박스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처리조의 정면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종단면도.
제9도는 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사용된 처리조의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에 사용된 기체 및 액체 처리 유닛의 정면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처리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개략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16도는 교반암이 회전축상에 탑재된 위치가 원주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탈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엌쓰레기(부엌가비지), 도시폐기물, 음식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바이오매스 등의 고형유기폐기물을 호기성 발효에 의해 전반적으로 처리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가정용, 업무용, 공공용 및 공업규모용으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근래, 호기성 발효 또는 폐기물을 퇴비로 만드는 기술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이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처리방법과 폐기물의 재이용 및 폐기물의 자연으로의 환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재평가받고 있다.
특히, 다량의 남은 밥을 소비하는 축산업 등이 쇠퇴함에 따라서 악취오염을 해결하면서 고속, 고분해율로 부엌쓰레기 즉 소위 부엌가비지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농산폐기물, 하수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진흙) 등의 대부분의 고형폐기물을 적극적인 관리없이 장기간동안 야적의 상태로 두어 자연적으로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퇴비로 만들었다.
한편, 발효장치의 사용에 의해 폐기물을 교반하거나 산소공급을 부분적으로 관리해서 발효를 고속화하는 개발예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그 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145388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부엌쓰레기등과 같은 대량의 폐기물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고온에서 실행되는 발효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할 때, 원료에 부가해서 수분조정재로서 기능하는 톱밥, 쌀겨 등의 부원료를 첨가해야 했다. 원료를 그대로 처리하면, 평균 수분함량이 80%정도이므로, 재료가 처리되는 공정에서 수분이 과잉존재하여 원료를 발효시킬 수가 없었다. 부원료를 첨가하는 경우, 원료의 안정한 조달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부가된 부원료의 양에 따라 원료의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생성되는 퇴비의 양이 증가한다.
또, 종래의 처리장치는 소위 배치시스템을 채용하므로, 한번 폐기물을 투입하면 소정의 처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다음 폐기물을 투입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 장치는 연속적으로 생성된 폐기물을 처리하는 폐기물 처리장치로서는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또, 종래의 장치는 환경오염의 문제에 대한 배려가 없었기 때문에 주위로 악취 및 다량의 수증기를 분산시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악취나 다량의 수증기를 주위로 분산시키지 않고, 또 수분조정재로서 톱밥이나 쌀겨 등이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언제라도 투입이 가능하고 고속, 고분해율의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을 해소함과 동시에 부엌쓰레기의 연속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고속, 고분해율, 고처리효율이고 또한 처리물의 생성량을 소량화할 수 있는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기물을 파쇄, 교반 및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을 처리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는 교형유기폐기물을 수용하여 파쇄하는 파쇄유닛과 파쇄된 폐기물을 교반하고 발효시키는 처리유닛이 마련된 처리조를 구비한 고형유기물 처리부, 고형유기물 처리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고형유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내의 수증기를 응축해서 수증기를 액체로 액상변화시켜 액체를 배출하는 열교환기, 고형유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의 내부가 열교환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고형유기물 처리부의 처리조내의 가스가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가스순환로를 형성하는 가스순환수단을 포함하고, 열고환기내에서 처리된 대부분의 가스를 고형유기물 처리부로 되돌려 보내고, 또 열고환기에서 처리된 가스의 일부 또는 고형유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의 일부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탈취하고, 탈취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거나 적어도 열교환기에 의해 처리된 가스의 일부를 탈취하고, 탈취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탈취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열교환기에 의해 실행되는 공정에서 생성된 물을 중화시키는 액체정화유닛을 더 구비하고, 액체정화유닛에 의해 생성된 중화된 물은 탈취처리유닛으로 공급되고, 중화된 물에 함유된 유기물은 탈취처리유닛에서 제거하고 또한 중화된 물은 탈취처리유닛내의 물을 소정레벨로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열교환기에 의해 처리된 가스의 일부를 파쇄유닛 또는 파쇄유닛 근방으로 공급하고 파쇄된 고형유기폐기물의 탈수를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연결부재가 처리조내에서 실행되는 교반동작을 촉진하고 고형유기폐기물이 처리조에 고착되지 않도록, 연결부재에 의해 여러개의 교반암의 끝부를 연결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장치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도록 소정기간 연속적으로 가스순환수단만을 가동시킨 후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응축된 액체는 열교환된 가스를 처리조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통로에 배치된 배수관(드레인관)을 거쳐서 배출되고, 빗형상(comb-shape) 고정암은 파쇄유닛의 처리조의 측면 또는 바닥부에 배치되고, 교반암은 파쇄유닛과 처리유닛의 회전축에 각각 탑재되고, 회전축은 파쇄유닛을 거쳐서 처리유닛을 통과하고, 파쇄유닛에 위치한 교반암의 각각은 회전시에 고정암과 매우 근접해서 고정암의 인접하는 암사이를 통과하여 고형유기폐기물을 파쇄하는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가스순환수단은 열관된 가스를 처리조로 되돌려 보내는 통로, 가스를 처리조로 순환시키는 통로에 배치된 순환팬 및 처리조내의 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통로를 갖고,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를 열교환기로 흡입하는 수단이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처리조가 단일조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장치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서 조를 여러개의 다단조로 세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를 여러개의 조로 세분하면 최상단의 조는 고형유기폐기물의 투입구와 처리유닛이 마련된 파쇄유닛을 갖는 처리조로 이루어지고 하단의 조는 주로 처리유닛으로 이루어진 처리조로 구성되며, 또 피처리물은 각 처리조의 끝부를 오버플로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끝판을 오버플로우하는 처리된 물질(건조한 분말상태)이 저장유닛으로 회수되도록 저장유닛을 종단의 조의 끝판 근방에 배치한다. 소정량의 처리된 물질을 회수하면 배출문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저장유닛을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 적어도 처리조의 처리유닛내에 중간 간막이를 배치하여 처리조의 내부를 실질적으로 여러개의 조로 분리하고, 피처리물에 댐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축에 탑재된 교반암의 배치구성을 설명하면, 파쇄유닛내의 교반암은 다각형의 바형상(원형 또는 타원형상을 포함)으로 형성하고, 또 파쇄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반암과 고정암이 근접하도록 처리조의 바닥부에 배치된 빗형상의 고정암에 아주 가까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유닛의 교반암은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회전암에 탑재되어도 좋지만, 피처리물이 처리유닛의 바닥부에 머무르지 않고 요동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탑재되어도 좋다. 교반암을 회전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탑재하면 교반암은 일반적으로 바형상, 스트립형상 또는 상하의 끝부의 폭이 각각 다른 바 및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교반암은 회전축 주위에 방사형상으로 배치된다. 또, 교반암을 회전암에 대해서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는 또 원반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교반암은 소정의 각도(바람직하게는 30°∼90°의 범위)로 원주방향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탈구시켜 회전암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교반암을 회전시키면 고형유기폐기물이 파쇄유닛에서 이동한다.
가열수단은 처리조의 외벽 예를 들면 조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처리조는 항상 50∼80°로 가열되어 있으므로, 피처리물이 조의 바닥부에 있으면 페이스트 상태로 조의 바닥부에 소결되어 부착해서 열전도상태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교반암에 의해 피처리물을 요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처리조에 배치된 가열수단은 U자 형상의 외장(sheath) 히터 또는 판형상의 히터를 갖는다. 판형상의 히터는 일정하게 조의 벽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하튼, 처리유닛내에서 발효가 충분히 실행되도록 가열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온도조정을 위한 온도조정기에 의해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조내에서 교반암을 회전시키는 회전방향과 회전계획에 대해서 설명하면, 일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정의 시간동안 정회전, 정지, 역회전의 3개의 순서로 각각 구동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 처리조는 각각 원호형상의 단면부를 갖는 2개의 만곡된 바닥면을 평행하게 연결하여 얻어진 바닥부를 갖는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만곡된 바닥면의 각각의 원호의 중심에 처리조의 긴쪽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2개의 회전축, 교반암과 간섭하지 않도록 처리조의 벽면에 배치된 고정암 및 파쇄유닛과 처리유닛을 분리하는 간막이를 구비하며, 2개의 만곡된 바닥면의 연결위치는 회전축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조정탱크과 처리탱크를 구비한 응축액 정화유닛이 마련되어도 좋다. 조정탱크에는 약알칼리성 재료(예를 들면, 석회암 등)가 충전되어 조정탱크를 통과하는 액체를 중화시키고, 처리탱크에는 액체내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미생물을 고착시키는 캐리어가 충전된다.
탈취처리유닛은 미생물이 고착된 캐리어가 혼합되어 있는 액체(예를 들면, 물)가 충전되고 조정탱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탈취조 및 이 탈취조(840)의 액체수위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배출관(880)을 갖고 탈취조(84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위탱크(870)을 구비하며, 상기 미생물은 응축액 정화유닛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송풍기(245)를 갖는 연락관(240)을 거쳐서 고형유기물처리부A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처리된 배출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250) 및 연결관과 스프링클링수단(275,280,290)을 거쳐서 액체정화유닛에 연결된 물저장 탱크(270)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특징은 부엌쓰레기에 평균 80%정도 함유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파쇄유닛을 거쳐서 발효조(처리조)내에 함유된 피처리물을 효율적으로 파쇄해서 박테리아 시료와 혼합하고, 처리유닛내의 호기성 박테리아 시료에 의해 충분히 발효시키고 건조시키는 것에 있다.
처리조내는 예를 들면 호기성 박테리아 시료에 의해 발효가 충분하게 실행되는 온도인 50-80℃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처리조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 공기를 처리조로 되돌려 보내는 공기귀환관 및 이 공기귀환관과 공기흡입관에 연결된 열교환기가 마련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마련해도 좋다.
열교환기를 처리조와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처리조내의 피처리물을 가열해서 생긴 수증기를 공기흡입관을 거쳐서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열교환기의 오부를 저온의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시켜 수증기에 함유된 물을 응축하고 응축된 물을 액적화하여 배수관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수분이 제거된 대부분의 공기는 공기귀환관을 거쳐서 처리조(처리유닛)으로 되돌려 보내진다.
공기귀환관의 일부분에 탈취연락관을 배치하고 탈취연락관에 연결된 탈취처리유닛에 배기관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수분이 제거된 공기의 일부가 탈취처리유닛으로 공급되어 탈취처리유닛내의 박테리아에 의해 냄새분자가 분해되고 악취가 없는 상태로 공기가 배출된다. 그러나, 수분이 제거된 공기의 일부를 직접 배출해도 좋다. 처리조의 압력은 배출된 공기의 양에 비례해서 낮이지므로, 신선한 공기가 별도로 마련된 공기흡입구에서 유입된다. 흡입된 공기의 양은 피처리물이 처리유닛에서 발효될 때 필요로 되는(소비되는) 공기에 상당한다.
이러한 처리를 순환적으로 반복하면, 처리조의 공기에서 수분을 효율좋게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배출공기에서 냄새도 제거됨고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처리조내로 유입되므로, 호기성 발효를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처리조를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하고, 기기의 배치를 고려해서 장치의 점적률을 최적화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저코스트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처리조는 [1] 부엌쓰레기를 파쇄하는 것, [2] 투입된 부엌쓰레기와 발효 박테리아를 혼합하는것, [3] 발효 박테리아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 [4] 피처리물을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의 4가지의 기능을 실행한다.
특히, 발효 박테리아(호기성 박테리아 시료)를 사전에 처리조의 하부에 마련한 상태에서 폐기물 투입구에서 처리조로 부엌쓰레기가 투입 되면, 우선 투입 쓰레기를 조의 바닥부에서 연장하는 고정암과 교반암 사이에 유지하고 교반암이 회전할 때 폐기물 투입구 아래에 위치한 파쇄유닛에서 파쇄한 후, 교반암이 회전할 때 쓰레기를 발효 박테리아와 혼합한다. 동시에, 교반에 의해 발효 박테리아에 공기를 공급한다.
부엌쓰레기가 폐기물 투입구에서 투입되고 쓰레기가 오버플로우하고 또 간막이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오버플로우한 쓰레기는 간막이의 상부에서 다음 영역으로 유입되고, 또 끝판을 오버플로우하여 낙하하여 배출물 저장유닛으로 유입되고 이송된다. 장치가 2단의 처리조로 이루어지고 간막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피처리물은 상단 처리조의 끝판을 오버플로우하여 하단의 처리조로 낙하한다.
이러한 배치는 매우 합리적이고 우수한 점적률을 가지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저코스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장치가 2개의 회전축을 갖고 2개의 만곡된 바닥면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가 회전축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처리조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피처리물을 조내에서 빈번하게 이송시켜 발효 박테리아가 혼합되거나 공기가 공급되는 영역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형유기물 처리부와 기체 및 액체처리부를 개별적으로 조립하고 최종공정 또는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서 그들을 조립하면, 장치의 조립과 운반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도는 박스형상의 단일조로 구성된 처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1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처리조(1)은 파쇄유닛(1a)과 처리유닛(1b)로 구성되어 있다. 파쇄유닛(1a)에는 조의 바닥부에 고정된 빗형상의 고정암(24)가 마련되어 있고, 처리부(1b)에는 그의 종단부에 배치된 끝판(16)이 마련되어 있다. 처리조(1)에 있어서의 파쇄유닛(1a)상에는 폐기물 투입구(15)가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물 저장유닛(18)은 처리유닛(1b)의 끝판(16)의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저장유닛(18)을 빼내기 위한 배출문(26)이 처리조(1)의 벽면에 마련된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파쇄유닛(1a)와 처리유닛(1b)를 관통하고 끝부가 구동수단(22)에 접속된 회전축(20)이 처리조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여러개의 교반암(23)은 소정간격으로 회전축(20)에 방사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가열수단으로서 히터(13)이 처리조의 바닥부의 외벽에 배치되어 있어 처리조의 폐기물이 효율좋게 충분히 발효될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된다.
열교환기(6)은 공기흡입관(4)와 공기귀환관(5)를 거쳐서 처리조(1)의 파쇄유닛(1a)와 처리유닛(1b)에 접속되어 있고, 공기흡입구(27)은 열교환기(6)의 고온축을 거쳐서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물 배출관(11)이 열교환기(6)의 저온측에 배치되어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수증기에서 생성된 물을 배출하고, 공기귀환관(5)의 도중에 순환팬(14)를 배치하여 공기를 강제적으로 처리유닛(1b)로 되돌려 보낸다. 따라서, 처리조내의 가스는 순환계로서 기능하는 공기흡입관(4), 열교환기(6) 및 공기귀환관(5)를 거쳐서 순환하고, 적당량의 신선한 공기가 순환계의 도중의 공기흡입구(27)을 거쳐서 순환계내로 흡입되어 처리유닛(1b)의 발효를 효과적으로 촉진시킨다. 열교환기(6)은 송풍기(7)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탈취연락관(28)은 순환팬(14)와 처리유닛(1b) 사이의 공기귀환관(5)에서 분기되고, 펌프(33)이 탈취연락관(28)의 도중에 배치된다. 펌프(33)은 소정의 압력하에서 가스를 탈취처리유닛(29)로 공급하여 활성슬러지가 충전된 탈취조(31)내로 가스를 분출하고, 탈취처리유닛(29)가 탈취처리를 실행하여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한다. 외부로 배출된 공기량은 실질적으로 공기흡입구(27)을 통해 흡입된 공기 즉 처리조(1)내의 발효에 의해 소비되는 공기량에 상당한다.
처리조(1)의 폐기물 투입구(15)에는 투입문(25)를 배치하고 배출문(26)에는 배출물 저장유닛(18)을 마련하여 외부공기와 조내를 분리하고 열과 냄새의 방산을 방지한다.
이 장치의 동작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처리조(1)의 폐기물 투입구(15)에서 부엌쓰레기가 투입되면, 고형물은 파쇄유닛(1a)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되어 처리유닛(1b)로 순차 이송된다. 처리유닛(1b)에는 장치의 최초 운전시에만 퇴비에서 채취한 호기성 박테리아 시료가 소정량 충전된다. 파쇄된 피처리 유기물이 처리유닛(1b)에서 호기성 시료에 의해 발효되고 분해된다. 발효와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처리조는 가열수단(13)의 온도조절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항상 적절한 온도 50∼80℃로 유지된다. 처리물(퇴비)은 소정량 조내에 축적되면, 끝판(16)에서 오버플로우하여 저장유닛(18)로 낙하해서 회수된 후, 배출문(26)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 추출된다.
이하, 처리조(1)내와 열교환기(6)을 연결하는 가스순환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온과 고습의 가스(주로 냄새를 갖는 공기로 구성된다)는 공기흡입관(4)를 거쳐서 파쇄유닛(1a)에서 열교환기(6)의 고온측으로 흡입되고(이 때, 소정량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흡입구(27)에서 순환계로 흡입된다), 수증기는 열을 공기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냉각 응축되어 물로 되고, 이 물은 열교환기(6)의 저온측에서 물배출관(11)을 기쳐서 외부로 배수된다. 또, 공기흡입구(27)에서 순환계로 흡입된 공기에 상당하는 공기량은 탈취처리유닛(29)에 탈취되어 배기된다. 그러므로, 순환계의 내부는 항상 거의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비교적 소형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또한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장치내로 투입할 수 있으며, 이 장치를 용이하게 운전하고 보수할 수 있으므로, 항상 부엌쓰레기가 발생하는 식품가공산업, 외식산업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쓰레기 처리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으며, 이 처리에 의해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가 발생하는 지역의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퇴비는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거의 무취의 건조한 분말형상으로서, 농작물, 원예, 그밖의 일반식물 육성용의 비료로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 장치는 쓰레기의 재이용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2단 처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를 제2도 및 제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외부박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P방향에서 본 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 이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1)은 수평으로 긴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처리조로서, 상다의 처리조(2)와 하단의 처리조(3)으로 구성되어 있다.
(4)는 상단의 처리조(2)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이고, (5)는 공기를 하단의 처리조(3)으로 되돌리는 공기귀환관이다. 공기흡입관(4)와 공기귀한관(5)는 처리조(1)의 외측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처리조(1)의 외부에 배치된 열교환기(6)에 연결되어 있다.
(7)은 외부공기를 열교환기(6)으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수단이다. 열교환기(6)은 공기흡입관(4)에 연결되는 수직 원통형상의 입구관(8), 공기귀환관(5)에 연결되는 수직 원통형상의 출구관(9) 및 입구관(8)과 출구관(9)에 연결되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여러개의 열교환관(10)으로 구성된다.
물배출관(11)은 출구관(9) 아래에 배치되고, 이 장치의 하부에 있어서 외부로 개구된 배수구멍(12)를 갖는다.
처리조(1)에는 가열수단(13)과 보온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온도조절기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어 처리조(1)의 내부가 항상 50℃∼60℃로 유지된다.
순환팬(14)는 공기귀환관(5)의 도중에 배치되어 처리조(1)내의 공기를 열교환기(6)으로 순환시킨다.
제4도는 처리조(1)의 주요부 정면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배면도)와는 좌우가 반대이다. 처리조(1)의 구성을 제4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단의 처리조(2)의 기능을 그의 기능에 의해 상단의 처리조에 인접한 파쇄유닛(2a)와 처리유닛(2b)로 분할할 수 있다. 폐기물 투입구(15)는 파쇄유닛(2a)상에 배치되고, 상부 끝판(16)은 폐기물 투입구(15)의 반대측의 처리조(2b)의 끝판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부 끝판(16)은 처리조(2b)에서 피처리물을 소정량 저장하는 댐 역할을 하고, 상부 끝판(16)의 높이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해 피처리물이 하단의 처리조(3)으로 오버플로우될 때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발효를 위해 각각 상단의 처리조(2)와 하단의 처리조(3)의 바닥부에 박테리아 시료(17)을 마련한다. 단, 장치가 최초로 기동될 때에만 박테리아 시료(17)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고, 장치가 안정하게 가동될 때에는 자기증식하는 호기성 박테리아가 항상 충분히 존재한다. 그러므로, 박테리아 시료(17)을 새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
상단의 처리조와 하단의 처리조 사이의 차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배출물 저장유닛(18)은 상단의 처리조(2)의 하부(특히, 파쇄유닛(1a)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 끝판(19)는 하단의 처리조(3)의 배출물 저장유닛(18)측에 배치된다.
상단의 처리조(2)에는 회전축(20)과 베어링(21)이 마련되고, 하단의 처리조(3)에는 회전축(20')와 베어링(21)이 마련되고, 또 구동수단(22)가 마련되어 회전축(20),(20')를 구동시킨다.
회전축(20),(20')의 각각에는 여러개의 교반암(23)이 마련된다. 또한, 조의 바닥부에서 연장하는 고정암(24)는 상단의 처리조(2)의 폐기물 투입구(15)의 아래쪽에 위치한 파쇄유닛(2a)에 배치되고, 고정암(24)은 각각은 각 쌍의 여러개의 교반암(23) 사이에 배치된다.
투입된 폐기물은 파쇄부(2a)의 교반암(23a)와 고정암(24) 사이에 유지되어 파쇄되고, 또한 서서히 압축되어 처리부(2b)로 유입되고 교반암(23b)의 회전에 의해 조의 바닥부에 마련된 박테리아 시료(17)과 혼합된다.
투입된 폐기물에 의해 서서히 압축되어 유입된 피처리물은 상단의 처리조(2)의 상부 끝판(16)을 오버플로우하여 하단의 처리조(3)으로 낙하한다. 충분하게 발효되지 않는 물질은 하단의 처리조(3)에서 완전히 발효된다. 처리조(3)을 거쳐서 흐른 피처리물은 처리조(3)의 하부 끝판(19)를 오버플로우하여 배출물 저장유닛(18)로 낙하해서 유용한 분말퇴비로서 회수된다.
처리조(2)의 폐기물 투입구(15)에는 투입문(25)가 배치되고, 하단의 처리조(3)의 배출물 저장유닛(18)에는 배출문(26)이 배치되어 외부공기와 조의 내부를 격리하고 열이나 냄새의 방산을 방지한다.
제5도는 제3도와 마찬가지로 제2도의 P방향에서 본 외부박스와 송풍수단을 제거한 처리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은 주로 열교환기(6)을 처리조(1)에 연결하는 배관관계와 탈취처리유닛(29)의 구성예를 상사헤가 설명하는 것이다.
공기흡입관(4)와 공기귀환관(5)와 그것에 연결되는 열교환기(6)을 연결하는 통로의 도중에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27)이 마련된다.
처리조(1)과 순환팬(14)(제2도 참조) 사이의 공기귀환관(5)(열교환기(6)의 저온측에 연결되어 있다)의 일부에는 탈취연락관(28)이 배치되고, 탈취연락관(28)에는 탈취처리유닛(29)가 연결되어 있다. 공기배출관(30)은 탈취처리유닛(29)에 연결되어 있다.
탈취처리유닛(29)는 활성슬러지가 함유된 탈취조(31), 탈취연락관(28)에서 나온 공기를 활성슬러지로 송풍하는 공기송풍관(32) 및 펌프(33)을 포함한다. 활성슬러지에 공급된 공기는 공기배출관(30)을 거쳐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2단의 처리조(1)을 갖는 처리장치는 단일조를 마련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처리용량을 저감하는 일없이 소형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부엌쓰레기를 실시예 2의 처리장치에 투입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실행되는 폐기물 처리예를 실시예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3
제6도은 실시예 2의 제2도와 마찬가지로 외부박스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장치는 처리조(1)을 독립된 부프레임(35)에 의해 지지하고, 열교환기(6) 등의 다른 부품을 주프레임(36)에 탑재하여 부품의 조립성과 장치의 서비스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공기흡입관(4)와 공기귀환관(5)는 처리조(1)에서 제거가능하도록 관 연결수단(34)를 거쳐서 처리조(1)에 연결된다.
처리조(1)은 열교환기(6), 송풍수단(7) 및 탈취수단(29)를 지지하는 주프레임(36)과는 별도로 형성된 부프레임(35)에 의해 지지된다.
부프레임(35)에는 처리조(1)의 상단(2)와 하단(3)의 회전축(20),(20' ), 베어링(도시하지 않음), 상하의 회전축(20),(20')를 연결하는 스프로킷(37)과 체인(38) 및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됨과 동시에 외부박스의 일부(39)도 연결되어 있다.
(40)은 프레임 연결수단으로서, 서비스, 보수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 부프레임(35) 및 그것에 연결되는 부품을 주프레임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4
제7도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실시예 2의 처리조(1)을 개량하여 얻은 처리조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이 장치는 처리부내에 중간 간막이(41)이 배치되고, 처리유닛의 교반암(23)이 회전축(20),(20')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교반폭을 더욱 증가시켜 피처리물이 처리존의 바닥부에 정체해서 소결에 의해 조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회전축(20),(20')에는 상단의 처리조(2)와 하단의 처리조(3)이 각각 마련되고, 여러개의 교반암(23)이 회전축의 방사방향에 대해서 3℃∼45℃의 범위의 경사각으로 회전축(20),(20')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유닛의 교반암(23)을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20),(20')의 회전시에 교반암의 경사 정도에 따라서 교반폭이 증가하고, 교반암은 수직의 교반암에 비해 보다 폭넓은 교반운동을 실행할 수 있어 피처리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간막이(41)은 상단의 처리조(2) 또는 하단의 처리조(3)에 마련되어 있다. 각 1개의 중간 간막이가 이들 조에 마련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중간 간막이를 여러개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발효조(1)내의 피처리물은 중간 간막이(41)을 오버플로우하여 다음 구역으로 이송되므로, 대량의 폐기물을 폐기물 투입구(15)에서 투입할 때 피처리물이 상부 끝판(16)에서 한번에 하단의 처리조(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과 하단의 교반암(23)이 본 실시예와 동일방향으로 경사져 있지만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질 필요는 없고, 교반암(23)이 이동하는 영역을 실질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향이면 어떤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실시예 1∼4의 장치에 있어서, 교반암(23)의 회전방향 즉 회전축(20)(20')의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 소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축을 회전시키고, [2] 소정의 정지기간동안 간헐적으로 축을 회전시키고, [3] 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소정의 기간동안 축을 정지시킨 후 역방향으로 축을 회전시키는 등의 3가지 회전제어 시퀸스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교반암(23)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교반암을 축상에 탑재하면(예를 들면 30°) 피처리물을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방법 [3]은 레스토랑에서 생성되는 부엌쓰레기를 사용해서 실험을 실시할 때 특히 우수하며, 다음의 실시예 5에서 설명하는 처리예는 이 방법 [3]에 따라서 실행된다.
실시예 5
레스토랑에서 생성되는 부엌쓰레기로 이루어진 고형유기폐기물은 제2도∼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 2의 장치에 의해 처리되고, 이 부엌쓰레기는 평균적으로 쌀밥 20%, 면 10%, 육류 및 후라이드음식 20%, 야채 및 과일 20%로 이루어지고, 수분 함유율은 70∼75%이다. 폐기물 투입구(15)에서 하루 평균 16kg의 폐기물을 투입한 경우 20일동안의 총 폐기물 양은 325kg이었다.
주위의 온도조건으로서, 외부공기 온도는 5∼15℃이고, 처리조(1)내는 55∼65℃로 유지된다. 또, 교반암(23)은 구동수단(22)에 의해 정방향으로 3분동안 회전하고,3분동안 정지하고, 그 후 역방향으로 3분동안 회전한다.
처리조는 상,하단의 총합으로서 200리터의 내용적(상단의 용적과 하단의 용적은 4 : 3의 비율로 분배된다)을 갖는다. 운전개시전에 대략 60℃의 온도 조건에 적합한 토양 박테리아를 함유하는 퇴비(호기성 박테리아)의 총 50kg을 상,하단의 처리조의 바닥면에 박테리아 시료(17)로서 일정하게 깔았다.
테스트기간동안 하루에 평균 3kg의 퇴비를 배출하고, 20일 동안 58kg의 퇴비를 배출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로서, 부엌쓰레기의 용적은 원래의 용적의 대략 1/6로 감소하고, 성분 분해율은 30∼40%이고, 또 배출물은 15%이하의 낮은 수분을 함유하였다. 따라서, 부패하거나 악취가 거의 나지않기 때문에 퇴비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탈취에 대해서는 정수장의 물처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활성슬러지를 탈취조(31)에 채우고, 처리조(1)에서 생성된 가스를 탈취조(31)에 공급하여 상기와 동일한 기간동안 동일한 외부온도 조건하에서 탈취시킨다. 탈취조(31)로 공급해야할 가스의 양은 발효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의 보충을 위해 공급해야할 공기의 양(신선한 공기흡입량)과 동일하다. 또, 대기로 배출된 가스는 악취가 매우 적고, 활성슬러지가 본래 갖는 냄새 이외의 악취는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제8도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실시예 6의 주요부의 정면 종단면도이고, 제9도는 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는 고형유기물 처리부A와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로 이루어진다.
고형유기물 처리부A는 투입구(151)이 상부에 개구된 처리조(150)을 구비한다. 처리조(150)은 2개의 반원형의 원호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면을 갖는 대략 그리스문자 ω형상의 만곡된 바닥면(152)를 갖고, 만곡된 바닥면(152)는 제1의 만곡된 바닥면(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22)로 분리되어 있는 상자체이다. 제1의 만곡된 바닥면(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22)는 각각 중심이 0이고 반경이 r인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의 만곡된 바닥면(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22)가 연결된 연결점(525)는 바닥면의 하부에서 대략 2/3r의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스문자 ω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된 바닥면(152)의 외벽에는 처리조(150)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의 여러개의 밴드형상의 전기히터가 부착되어 있다. 처리조(150)의 바닥부는 히터(153)에 의해 60∼80℃의 온도로 유지되어 그 안에 함유된 폐기물을 효율좋게 충분히 발효시킬 수가 있다.
처리조(150)은 투입구(151)에 연속하는 파쇄유닛(110)과 파쇄유닛(110)에 인접하는 처리유닛(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쇄유닛(110)에는 처리조(150)의 측면에 배치된 빗형상의 암(112)가 고정되어 있고, 투입측 간막이(114)에 의해 처리유닛(120)과 분리되어 있다. 투입측 간막이(114)는 처리조(150)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걸려있고, 갭(116)은 간막이(114)와 처리조(15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갭(116)의 크기는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간막이(114)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 투입측 간막이(114)는 그의 상부에 구멍(117)이 마련되어 있고, 파쇄유닛(110)과 처리유닛(120) 사이로 공기를 유통시킨다.
처리유닛(120)의 중앙부에서는 조의 바닥부에 고정된 끝판측 간막이(124)가 마련되어 있고, 갭은 간막이(124)의 상부와 처리조(150)의 내부벽 사이에 형성된다. 끝판(125)는 처리유닛(120)의 끝부에 배치되고, 끝판(115)는 파쇄유닛(110)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고형유기물 처리부A의 처리조(150)의 양끝이 폐쇄된다. 개폐 가능한 뚜껑이 폐기물 투입구(151)에 배치되어 있다.
파쇄유닛(110)과 처리유닛(120)을 관통하는 2개의 회전축(140),(145)는 양끝판(115),(125)에 의해 지지되어 처리조(150)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축(140),(145)의 각각의 끝부는 구동부(130)에 연결되어 있다. 제1회전축(140)은 대략 만곡된 바닥면(반원형상)(521)의 중심 0에 위치하고, 제2회전축(145)는 대략 만곡된 바닥면(522)의 중심 0에 위치한다. 교반암(142)는 소정의 간격으로 회전축(140),(145)에 방사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회전축(140)의 교반암과 제2회전축(145)의 교반암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 파쇄유닛(110)의 고정암(112)와도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러개의 교반암(142)는 파쇄유닛(110)과 처리유닛(120)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회전축(140)과 제2회전축(145)는 처리조(150)의 외부에서 스프로킷과 체인이나 기어에 의해서 연결되고, 또 모터(133)을 갖는 구동유닛(130)과도 연결되어 있다.
배출구는 처리유닛(120)의 끝판(125)에 마련되어 있고, 배출관(155)는 배출구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배출관(155)는 원통형상이고, 그의 하단은 저장유닛(160) 쪽으로 개구되어 있다. 저장유닛(160)은 고형유기물 처리부A 아래에 배치된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의 한쪽 끝부에 배치되어 있고, 처리조(150)에서 처리되는 물질(퇴비)는 배출관(155)를 거쳐서 저장유닛(160)으로 낙하하여 퇴적된다.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는 고형유기물 처리부A 아래에 프레임(135)를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는 열교환유닛(170), 탈취처리유닛(180), 정수유닛(190) 및 저장유닛(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유닛(160)에는 그의 벽면에 개폐 가능한 배출문(163)이 마련되어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처리된 물질을 꺼내고, 배출문(163)은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의 외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열교환유닛(170)은 열교환기(172)와 송풍기(174)를 구비한다. 열교환기(172)는 여러개의 통풍관이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열교환기(172)의 상류측은 처리조(150)의 파쇄유닛(110)에 연결된 가스흡입관(176)에 연결되고, 열교환기(172)의 하류단은 공기귀환관(178)을 거쳐서 처리유닛(120)에 연결되어 있다. 가스순환기(175)는 공기귀환관(178)의 도중에 배치되고, 열교환기(172)는 처리유닛(120)에 연결되어 있다. 가스순환기(175)는 처리유닛(120)의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순한기(175)의 기동시, 조내의 가스는 가스흡입관(176)을 거쳐서 파쇄유닛(110) 측에서 열교환기(172)의 통풍관으로 흡입되어 공기귀환관(178)을 거쳐서 확실하게 처리유닛(120)으로 공급되고 순환된다. 이 기간동안 파쇄유닛(110)에서 공급되어 통풍관을 통과하는발효에 의한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는 공기통로에 배치된 송풍기(174)에 의해 취입되는 저온의 외부공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수증기내에함유된 물(수분)을 액적화 한다. 그후,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귀환관(178)을 거쳐서 처리유닛(120)으로 되돌아간다.
가스흡입관(176)에서 분기된 탈취연락관(182)는 가스순환기(175)에 의해 가스가 순환하는 통로의 일부에 배치되어 탈취처리유닛(180)에 연결되어 있다.
탈취처리유닛(180)은 탈취조(184), 탈취조 연락관(182)의 통로에 배치된 탈취송풍기(186), 탈취조(184)의 상부측에 한쪽끝이 개구되고 다른쪽 끝이 외부공기에 대해 개구된 배출관(188)을 구비한다. 탈취유닛(184)에는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충전한다. 탈취유닛(180)이 탈취송풍기(186)의 운전시에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를 탈취연락관(182)에서 탈취조(184)로 유입시키고 액체내에서 산화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가스를 미생물과 접촉시켜 가스내의 악취성분을 분해하고, 그 후 악취가 없는 공기를 배출관(188)을 거쳐서 이 장치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 탈취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된 공기량 즉 송풍기(186)에 의해 전송된 공기량은 대략 처리조(150)에서 발효에 의해 소비되는 공기량에 상당하고, 이들 공기는 처리조(150)과 투입구(151) 사이의 간극이나 저장유닛(160)과 배출문(163)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공급된다.
액체정화유닛(190)은 열교환유닛(17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수증기에서 생성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92)를 구비하고, 이 배수관(192)에는 조정탱크(194)와 처리탱크(196)이 연결되며, 이 조정탱크(194)에는 약 알칼리성 재료(193)(석회암,석회 등)이 충전되고, 처리탱크(196)에는 미생물을 고정하는 캐리어(195)가 충전되고, 또 처리탱크(196)의 후단에는 장치의 외부로 개구된 물배출관(198)이 배치되어 있다. 미생물(박테리아)을 고정하는 캐리어(195)는 수생의 박테리아가 함유된 다수의 벌집형상의 구멍을 갖는 본체에 형성되며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져 있다. 처리부(120)에서의 발효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는 지방산, 아세트산 등의 약산을 동반하므로, 열교환유닛(170)에 의해 액적화한 수분은 약산성을 나타낸다. 이 산성의 수분은 조정탱크(194)내에 충전된 약알칼리성 재료(193)에 의해 중화된다. 또, 액정화된 수분 중에 어기물질이 부유하더라도 조정탱크(194)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미생물을 고정한 캐리어(195)가 충전되어 있는 처리탱크(196)에서 분해되므로, 유기물을 제거하고 중화시킨 액체가 배출관(198)에서 배출된다.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내에 배치된 액체정화유닛(190)의 조정탱크(194)와 처리탱크(196)의 각각은 기체 및 액체처리부B내에 배치된 각 기구의 공간효율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관의 형상을 적어도 한쪽 끝이 개폐가능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탱크 또는 관의 한쪽끝을 개폐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약알칼리성 재료(193)과 미생물을 고정한 캐리어(195)를 관내에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탱크들이 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탑재공간의 관점에서 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탑재 할수있다.
다음에, 고형유기폐기물의 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효를 위한 박테리아 시료(100)을 사전에 처리조(150)의 만곡된 바닥부(152)에 투입한다. 박테리아 시료로서는 예를 들면 퇴비 등에서 모은 호기성 박테리아 시료 등이 있다. 우선, 구동유닛(130)을 구동시켜 회전축(20),(20')를 회전시키고, 피처리물인 부엌쓰레기를 투입구(151)로 부터 투입한다. 고형물은 파쇄유닛(110)내의 고정암(112)와 교반암(142) 사이에서 파쇄되고, 산소는 교반암(142)에 의해 퍼 올려진 부엌쓰레기로 공급된다. 이 때, 제1의 만곡된 바닥면(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22)가 연결되는 연결부(525)는 2/3r의 높이로 되고, 교반암(142)는 경사진 상태에서 연결부(525)를 통과하므로, 교반암(142)에 의해 교반되는 물질이 제1의 만곡된 바닥부(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부(52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물질의 교반, 혼합 및 파쇄가 촉진된다. 진흙상태로 된 피처리물은 간막이(114) 아래의 갭(116)을 거쳐서 처리유닛(120)으로 순차 유입된다.
처리부(120)에서는 파쇄된 피처리 유기물을 교반암(142)에 의해 또 교반하고, 박테리아시료(100)과 균일하게 혼합한다. 호기성 박테리아는 피처리물을 발효시키고 분해한다. 이 때, 바닥부의 바깥면에 배치된 히터(153)은 50∼80℃의 적절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온도조절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고, 이것에 의해 처리조(150)내의 피어리물의 발효와 분해의 촉진을 조장한다. 박테리아시료는 유기폐기물을 먹는 것에 의해 자기증식하므로, 이들은 최초의 장치의 기동의 개시시에만 필요로 되고, 장치가동중에는 항상 획성 박테리아가 존재하여 다음에 투입될 박테리아 시료로 되므로 새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음의 부엌쓰레기가 투입구(151)에서 투입되면, 이들은 오버플로우하고, 오버플로우된 쓰레기는 투입측 간막이(114) 위의 갭과 끝판측 간막이(124) 아래의 갭을 거쳐서 다음 영역으로 유입된다. 처리조(150)의 하류측으로 이동한 피처리물에 함유된 물(수분)은 증발하여 분말형상의 퇴비로 된다. 피처리물(퇴비)이 소정량 처리조(150)에 저장되어 있므면, 퇴비는 끝판(125)에서 저장유닛(160)으로 낙하하여 배출문(163)에서 회수된다.
쓰레기 발효시에 처리조(150)내에서 발생한 수분을 함유한 가스는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에 의해 처리된다.
고온, 고습의 가스(주로 악취와 수증기를 수반하는 공기로 이루어짐)는 가스순환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파쇄유닛(110)에서 가스흡입관(176)을 거쳐서 열교환기(172)의 고온측(상류측)으로 취입되어 통풍관을 거쳐서 흐른다. 열교환기(172)를 통과하는 동안 가스내의 수증기는 송풍기(174)에 의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서 열교환되고 응축되어 물로 되고, 열교환기(172)의 저온측(하류측)에서 배수관(192)를 거쳐서 배출된다. 한편,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귀환관(178)을 거쳐서 처리조(150)내로 되돌려 보내져 처리조(150)내의 물(수분)을 다시 흡수한다.
배수관(192)에서 낙하한 물은 조정탱크(194)로 공급되어 약알칼리성 재료(석회암, 석회)에 의해서 중화되고, 또 물에 함유된 유기물질은 처리탱크(196)의 미생물(195)에 의해 분해된다. 따라서, 이 물은 무해하게 되어 배출관(198)에서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가스순환로의 가스흡입관(176)을 거쳐서 하류측으로 유입하는 가스는 관(176)에서 분기된 탈취연락관(182)로 부분적으로 공급된다. 가스는 탈취조(180)으로 흡입되고, 가스의 악취는 조내의 미생물과 접촉해서 분해되고 무취의 공기로 되어 배출관(188)에서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의 양에 비례해서 처리조(150)내의 공기압이 감소하므로, 공기는 처리조(150)과 투입구(151)의 투입문 사이 또는 저장유닛(160)과 배출문(163) 사이의 간극 등을 거쳐서 공급된다. 따라서, 장치의 순환계내는 전체적으로 거의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된다.
처리조(150)의 제1의 만곡된 바닥면(52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22)가 연결되는 연결부(525)는 회전축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처리조(150)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황의 크기 W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2개의 회전축(140),(150)에 의해 동시에 대량의 물을 교반하고 혼합할 수 있으므로, 처리능률의 향상 및 고속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장치는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연속적으로 펴기물을 장치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용이하게 가동시키고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을 부엌쓰레기가 발생되는 산업분야에 적용하면, 쓰레기 처리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이 장치에 의해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를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액체는 무해하고 무취이므로, 주위의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최초로 마련한 박테리아 시료(100)은 부엌쓰레기(고형유기폐기물)을 먹는것에 의해 자기증식하므로 이들은 최초의 장치의 동작개시 시에만 필요로 되고, 장치의 가동중에는 항상 호기성 박테리아가 존재하여 다음에 투입될 박테리아시료로 되기 때문에 새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
또, 고형유기폐기물의 발효시에 발생되는 물은 열교환기(170)에 의해 제거되고 또 응축된 물은 정수되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회수한 퇴비는 수분흡수를 위해 종래와 같은 톱밥이나 쌀겨 등의 수분조정재를 투입하지 않아도 건조하고 거의 무취인 분말상태료 된다. 따라서, 퇴비를 농작물, 원예, 그외의 일반적인 식물육성용의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비료로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 장치는 폐기물의 재이용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본 실시예는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의 탈취처리기구가 배수될 물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능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1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의 주요부 단면도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는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체 및 액체 처리부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열교환유닛(700)이 마련되어 있다. 조정탱크(940)은 열교환유닛(700)의 하류측에 위치한 배수관(920)에 연결되어 있다. 조정탱크(940)에는 약알칼리성재료(980)(석회암, 석회)이 충전되어 있다. 탈취처리유닛(180)은 가스순환로의 일부에서 분기된 탈취연락관(820)을 갖고, 탈취연락관(820)은 탈취조(840)의 하부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탈취조(840)에는 미생물을 고정하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캐리어(850)이 충전되어 있고 이 미생물에 의해 악취가 분해된다.
또, 수위탱크(870)은 탈취조(84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탈취조(840)은 그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관(865)를 거쳐서 수위탱크(870)과 연통되어 있다. 또, 물배출관(880)은 탈취조(840)내의 수위와 동일한 위치에서 수위탱크(870)에 부착되어 있고, 장치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수위탱크(870)의 물배출관(880)이 탈취조(840)의 수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탈취조(840)내의 수위는 변동하지 않고, 캐리어(850)은 항상 탈취연결관(820)에서 공급되는 산화작용될 기체와 좋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정탱크(940)과 연결된 적하관(950)은 탈취조(840)의 상부로 개구되어 조정탱크(940)을 통과한 물을 탈취조(840)으로 적하한다. 탈취조(840)으로 유입된 물내의 유기물은 캐리어(850)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기체를 열교환기(700)의 관내로 유입하고, 바깥공기를 취입하는 것에 의해 가스를 냉각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고형유기물 처리부로 되돌려보냄과 동시에 가스내에 함유된 수분을 액적화한다. 열교환에 의한 수증기의 응축에 의해 발생한 수분은 배수관(920)을 거쳐서 약알칼리성 재료(930)(석회암, 석회)이 충전된 조정탱크(940)으로 공급되어 약알칼리성 재료(930)에 의해 중화되고, 적하관(950)을 거쳐서 탈취조(840)내에 저장된다. 또, 탈취송풍기(860)에 의해 탈취연락관(820)에서 공급된 악취를 포함하는 기체는 탈취조(840)의 액체내에서 산화되어 탈취조(840)내에 충전되어 있는 미생물을 고정한 캐리어(850)과 접촉한다. 그 결과 가스의 악취성분은 분해되고 가스는 무취의 공기로 됨과 동시에, 조정탱크(940)을 거쳐서 배출된 물내에 함유된 약간의 유기물은 탈취조(840)내에 충전되어 있는 미생물을 고정한 캐리어(850)에 의해서 분해된다. 그 후, 탈취조(840)내의 물은 탈취조(840)으로 공급된 물에 상당하는 양만틈 수위탱크(870)으로 이행되고, 물배출관(880)이 수위탱크(870)에 부착된 위치를 오버플로우하는 물은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는 가스를 탈취함과 동시에 탈취처리수단(탈취조)(840)에 의해 배출되는 물에 함유된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소형의 장치로 가스를 탈취하고 액체를 정화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고형유기물 처리부A의 처리조를 보다 견고하게 배치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처리조의 구성을 제12도에 도시한 고형유기물 처리부A의 주요부 단면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처리조(500)은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프레임(350)에 고착된 측부 앵글강철(side angle steel)(360)에 볼트(3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양 측벽(520),(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의 만곡된 바닥면(55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52)의 연결부분은 프레임(350)에 고착된 바닥부 앵글강철(38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연결부는 제1의 만곡된 바닥면(55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52)의 연결부(555) 아래에 위치한다. 바닥부 앵글강철(380)은 만곡된 바닥면(551),(552)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들 측부 앵글강철(360)과 바닥부 앵글강철(380)은 처리조(500)의 중량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제1의 만곡된 바닥면(551)과 제2의 만곡된 바닥면(552)로 힘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면구조가 변형되지 않게 되고, 제1 및 제2의 만곡된 바닥부(551) 및 (552)를 갖는 조의 반원형상의 내벽의 변형에 의해 2개의 회전축에 고정된 교반암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처리조를 앵글강철 대신에 채널강철에 의해 지지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는 비가 적은 지역, 물이 불충분한 지역, 사막 등에 배치하는데 적합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처리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은 퇴비저장장치(250)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인 고형유기물 처리부A와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에 배치되어 있다.
퇴비가 퇴적되고 저장되는 퇴비저장장치(250)은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의 고형유기물 처리부A는 퇴비배출관(240)에 의해 퇴지저장장치(250)에 연결되고, 송풍기(245)는 퇴비배출관(240)의 반송로에 배치되어 퇴비의 반송을 촉진한다.
또, 물저장탱크(270)은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에 인접해서 배치되고,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의 기체 및 액체 처리부B로 부터의 물이 탱크(270)내로 적하하도록 물저장탱크(270) 쪽으로 배출관(260)이 개구되어 있다. 또, 스프링클링기구를 갖는 관개유닛(290)에 연결된 송수관(280)은 펌프(275)를 거쳐서 물저장탱크(27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의 고형유기물 처리부A에서 배출된 퇴비는 퇴비배출관(240)을 거쳐서 퇴비저장장치(250)으로 배출된다. 퇴비저장장치(250)에 퇴적된 퇴비는 비료를 필요로 하는 농장으로 트럭(220)에 의해 운반되어 산포된다.
기체 및 액체 처리부B에서 배출되는 물은 배출관(260)을 거쳐서 물저장탱크(270)에 저장된다. 그후, 펌프(275)에 의해 퍼올려진 물은 송수관(280)을 거쳐서 관개유닛(290)에 의해 주변으로 산포되어 주변의 건조한 토양을 관개(灌漑)한다.
고형유기폐기물(부엌쓰레기)를 황무지나 모래땅에 직접 뿌리면 토양중에서 부패되고 발효되어 열을 발생하고 또 식물의 뿌리에서 산소를 빼앗기 때문에 식물이 소위 뿌리부패상태로 되어 발육이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200)과 관개유닛(290)등을 조합하고, 건조되어 분말형상으로 된 퇴비를 황무지에 뿌리면 황무지가 비옥하게 되고, 또 부엌쓰레기의 중량의 80wt%를 차지하는 물을 무취와 무해상태로 정화해서 건조지대에 산포하면 황무지와 모래땅에 나무를 심을 수 있어, 부엌쓰레기의 폐기에 의해 자연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고 호나경보호 및 녹화를 촉진할 수 있다.
실시예 10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 10의 특징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수위탱크(870)의 기능과 조정탱크(940)의 기능을 단일의 조정탱크(1010)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0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7과 동일하므로, 조정탱크(1010)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조정탱크(1010)은 배수관(920)에 연결되고, 약알칼리성 재료(석회암 등)로 충전되어 있다. 배수관(920)의 끝부는 조정탱크(1010)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물을 조정탱크(1010)으로 도입한다. 미생물을 함유하는 캐리어(850)이 실시예 7과 같이 수용되어 있는 탈취조(1020)은 조정탱크(1010)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조정탱크(1010)의 상부는 연락관(1030)을 거쳐서 탈취조(1020)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정탱크(1010)에서 탈취조(1020)으로 공급된 물은 탈취조(1020)내의 미생물에 의해 정화된다. 물배출관은 탈취조(10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소정량 이상으로 정화된 물을 배출한다. 실시예 7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탈취연락관(820)의 끝부가 탈취조(1020)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배출관(1050)이 탈취조(102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탈취연락관(820)에서 탈취조(1020)으로 공급된 가스는 탈취되어 배출관(1050)을 거쳐서 배출된다.
이하, 실시예 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교환기에서 생성되고 유기물을 함유하는 물은 조정탱크(1010)으로 공급되어 약알칼리성 재료(980)(석회암 등)에 의해 중화되고, 중화된 물은 연락관(1030)을 거쳐서 탈취조(1020)의 바닥부로 도입되고, 탈취조(1020)내에 함유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재기된 후 배출관(1040)을 통해 배출된다. 또, 악취를 함유하고 탈취연락관(820)에서 공급되는 가스는 탈취조(1020)내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탈취되어 배출관(1050)에서 배출된다.
실시예 11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 11은 분리된 공기귀환관(1100)의 한쪽 끝부가 펌프(33)의 하류측에 배치된 관에 연결되고 그의 다른쪽 끝부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파쇄유닛(1a)쪽으로 개방되고, 또 펌프(33)에 의해 배출된 공기의 일부가 공기귀환관(1100)을 거쳐서 파쇄유닛(1a)로 공급되어 파쇄유닛(1a)내에서의 탈수를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1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주위로 악취와 다량의 수증기를 분산시키지 않고 또 수분조정재로서 톱밥이나 쌀겨 등의 첨가도 필요로 하지 않고 항상 부엌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으며, 또 고속, 고분해율로 부엌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레스토랑의 부엌 등에 설치할 때 매우 작은 공간에 설치가능한 소형의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퇴비를 식물육성용의 비료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부엌쓰레기를 가치있는 물질로서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환경보호의 측면에서 산업상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이 장치는 구동기구가 간단하며, 박테리아가 장치의 가동시에 유기물을 먹고 자기발효증식을 하기 때문에 최초의 장치 기동시에만 박테리아 시료의 공급을 필요로 하고,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장치를 용이하게 운전, 보수할 수 있다. 이 장치를 항상 부엌쓰레기를 발생하는 음식 처리산업, 음식 서비스산업 등의 산업분야에 적용하면, 폐기물 처리업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이 장치를 사용해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을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및 액체는 무취, 무해하여 주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이 장치를 폐기물이 발생되는 근방에 설치하여 폐기물을 버리고 퇴비나 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고형유기폐기물이 발효될 때 생성된 물은 열교환기에 의해 제거되고 정화되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분 흡수를 위해 종래와 같은 톱밥이나 쌀겨 등의 수분조정재를 투입하지 않아도, 퇴비는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거의 무취의 건조한 분말형상으로서, 농장물, 원예 및 그밖의 일반적인 식물 육성용 비료로서 회수할 수 있어 이 장치는 폐김루의 재이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수분이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처리조로 되돌려 보내지므로, 처리해야할 물질을 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부엌쓰레기를 직접 땅에 버리면, 유기물이 발효할 때 발생하는 열과 발효시 필요한 산소의 소비로 인해 식물육성이 파괴되어 자연이 파괴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건조한 퇴비와 무공해물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 스프링클링수단 및 퇴비저장수단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건조지대, 불모지 등에 나무를 심는데 도움이 된다.

Claims (29)

  1. 폐기물을 파쇄, 교반 및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고형유기폐기물을 수용하여 파쇄하는 파쇄유닛과 파쇄된 폐기물을 교반하고 발효시키는 처리유닛이 마련되 처리조를 구비한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내의 수증기를 응축하고 이 수증기를 액체로 액상 변화시켜 액체를 배출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의 내부가 상기 열교환기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의 처리조내의 가스가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가스순환로를 마련하는 가스순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내에서 처리된 대부분의 가스는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로 되돌려 보내지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처리된 가스의 일부 또는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의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의 일부는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처리조에서 공급된 가스의 일부를 탈취하는 탈취처리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탈취처리유닛은 상기 탈취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적어도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처리된 가스의 일부를 탈취한 후, 상기 탈취된 가스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내의 물을 중화시키는 액체정화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체정화유닛에서 생성된 중화된 물은 이 중화된 물내의 유기물이 제거되는 상기 탈취처리유닛으로 공급되고, 상기 중화된 물을 사용하여 상기 탈취처리유닛내의 물을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고 또한 유기물이 제거된 과잉의 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4. 제1항∼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처리된 가스의 일부를 상기 파쇄유닛 또는 상기 파쇄유닛 근방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은 고형유기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를 갖고, 상기 처리유닛은 파쇄된 피처리물을 호기성 박테리아 시료의 존재하에서 교반하여 충분히 발효시키는 소정의 처리온도로 상기 처리유닛을 유지하는 가열유닛을 갖고, 상기 가스순환수단은 상기 처리조내의 수증기를 함유하는 가스가 파쇄유닛측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처리된 가스가 상기 처리조의 처리유닛으로 되돌려 보내지도록 가스순환을 실행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고온측에 상기 처리유닛내의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실행되는 발효처리에 소비되는 공기의 양에 상당하는 양만큼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를 갖고, 상기 탈취처리유닛은 상기 공기흡입구를 거쳐서 흡입된 공기의 양에 상당하는 가스가 탈취되어 탈취조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저온측에서 상기 처리조로 열교환된 가스를 되돌려 보내는 통로에서 분기된 탈취연락관을 갖고, 상기 처리조는 또 상기 처리조에 의해 처리된 물질을 회수하는 저장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된 가스를 상기 처리조로 되돌려 보내는 통로에 배수관을 배치하여 열교환시에 응축된 수증기에서 생성된 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기 파쇄유닛내의 바닥부에는 빗형상의 고정암이 배치되고, 상기 파쇄유닛과 상기 처리유닛의 회전축에는 각각 교반암이 탑재되고, 상기 파쇄유닛에 위치한 상기 교반암의 각각은 상기 고정암과 매우 근접해서 상기 고정암중 인접하는 암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고형유기폐기물을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교환된 가스를 상기 처리조로 되돌리는 통로에 순환팬이 배치되어 가스를 상기 처리조로 순환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외부공기도입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교반암중 적어도 한쌍의 끝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처리조에서 교반을 촉진하여 고형유기폐기물이 상기 처리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유기폐기물이 상기 파쇄유닛에설 분리되는 방향으로 축이동하도록, 회전축에 탑재된 교반암의 각각의 원주각을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연속적으로 탈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투입구를 갖는 파쇄유닛을 구비한 상부 처리조와 처리유닛이 마련된 하부 처리조가 수직으로 배치된 다단의 조로 세분되고, 처리된 물질은 상기 각각의 처리조의 끝판을 순차 오버플로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내를 분리하도록 적어도 상기 처리조의 처리유닛내에 중간 간막이가 배치되고, 피처리물에 대해 댐효과를 갖는 여러개의 조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내의 교반암은 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내의 교반암은 상기 회전축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고, 또한 바형상, 스트립형상, 원판형상 또는 각각 상하단의 폭이 다른 바형 및 스트립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구동기구가 접속되어 상기 처리조내의 교반암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은 정방향회전, 정지, 역방향회전의 순서로 각각 소정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는 상부의 박스형상 처리조, 2단으로 배치된 하부의 박스형상 처리조, 상기 상단 처리조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 및 상기 하단 처리조로 공기를 되돌려 보내는 공기귀환관을 갖고, 상기 관은 모두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귀환관에 접속되고, 외부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공기공급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기에는 상기 공기흡입관에 연결된 관형상의 수직으로 배치된 입구관, 상기 공기귀환관에 연결된 관형상의 수직으로 배치된 출구관 및 상기 입구관과 상기 출구관에 접속되어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여러개의 열교환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출구관 아래에는 배수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처리조는 상기 처리조내가 호기성 박테리아가 활동하는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온도유지수단과 가열수단을 갖고, 상기 가스순환수단은 상기 처리조내의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시키는 상기 공기귀환관의 도중에 배치된 순환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처리조에는 폐기물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ㄱ 폐기물투입구의 반대측의 상기 상부 처리조에는 상부 끝판이 배치되며, 처리된 물질은 상기 끝판을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하단의 처리조로 낙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처리조는 상기 상단 처리조보다 짧게 형성되고, 하부 끝판은 상기 하부 처리조의 한쪽 끝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 처리조의 하부 끝판을 오버플로우한 처리물이 상기 배출물 저장유닛으로 낙하하도록 상기 상단 처리조의 아래에는 상기 상단 처리조와 상기 하단 처리조 사이의 차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 배출물 저장부가 배치되고, 회전축, 베어링 및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2단으로 배치된 상기 상하단의 각각에 배치하고 회전축에는 교반암을 마련하고, 상기 여러개의 교반암 사이 및 상기 처리조의 폐기물 투입구 아래에는 상기 상단처리조의 바닥부에서 연장하는 고정암을 배치하고, 투입된 폐기물이 상기 고정암과 교반암에 의해 파쇄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순환수단은 상기 공기흡입관, 상기 공기귀환관 및 상기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귀환관에 접속된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통로의 도중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순환수단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이 마련되고, 상기 탈취처리부에는 상기 순환팬과 상기 처리조 사이에 위치한 상기 공기귀환관에 접속된 탈취연락관, 탈취된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 활성슬러지가 봉입된 탈취조, 상기 탈취연락관에서 활성슬러지 및 펌프로 공급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관이 마련되고, 활성슬러지로 부터의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관을 거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에는 연결수단에 의해 공기흡입관과 공기귀환관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처리조를 지지하는 보조프레임은 상기 열교환기, 공기공급수단 및 탈취수단을 지지하는 주프레임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에는 상기 상단과 하단의 회전축, 베어링, 상기 상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을 연결하는 스프로킷과 체인, 절연부재 및 외부박스의 일부가 모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프레임과 이것에 연결된 부품을 서비스 및 보수시에 용이하게 상기 주프레임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탑재된 교반암은 축방향으로 3°∼45°의 범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처리조의 발효부와 상기 하단 처리조의 적어도 한쪽에 중간 간막이를 마련하고, 상기 처리조내의 처리된 물질이 상기 중간 간막이를 오버플로우해서 순차 인접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응축된 액체에서 유기물을 제거하고 액체를 중화시키는 액체정화부를 또 포함하고, 액체 유기물 처리부의 상기 처리조에는 호기성 박테리아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처리조의 외벽 표면에는 가열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탈취처리유닛의 각각은 프레임을 거쳐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부는 원호형상의 단면부를 각각 갖는 2개의 만곡된 바닥면을 병렬로 연결한 바닥부를 각각 갖는 장방형 박스형상의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긴쪽방향에 배치되고 여러개의 교반암이 고정되어 있는 2개의 회전축, 상기 처리조의 벽면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암과 간섭하지 않는 고정암 및 처리유닛과 파쇄유닛을 분리하는 간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조내의 회전축의 각가은 만곡된 바닥면의 원호의 중심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만곡된 바닥면이 연결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회전축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간막이는 상기 처리조의 내벽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4. 제3항에 있어서, 기체 및 액체 처리유닛의 액체정화유닛은 약알칼리성 재료가 충전된 조정탱크와 상기 조정탱크에 접속되고 미생물을 고정하는 캐리어가 충전된 처리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탱크를 통과하는 액체를 중화시켜 상기 조정탱크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기물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기체 및 액체 처리유닛의 탈취처리유닛은 냄새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갖고, 가스를 미생물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정화유닛은 약알칼리성 재료가 충전되는 조정탱크, 미생물을 고정하는 캐리어와 혼합된 액체가 충전되는 탈취조 및 상기 탈취조의 액체표면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 배출관을 갖는 수위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탱크는 상기 탈취조에 연결되고, 상기 수위탱크는 하부위치의 관을 거쳐서 상기 탈취조에 연결되고, 상기 탈취조내의 캐리어에 고정된 미생물은 상기 처리유닛에서 도입된 가스의 냄새와 상기 조정탱크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기물을 모두 분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송풍기를 구비한 연결관을 거쳐서 상기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처리되어 배출된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연결관을 거쳐서 액체 정화부에 연결되어 있는 물저장탱크 및 펌프를 갖는 물배출관을 거쳐서 상기 물저장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처리되어 배출된 물질과 물을 상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주위로 공급하는 스프링클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8. 퇴비화 공기를 공급하여 고형유기폐기물을 발효시키는 장치로서 폐기물을 파쇄, 교반 및 퇴비화하기 위한 폐기물용 상부 투입구를 갖는 처리조, 상기 조의 외부에 배치되고 퇴비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하는 열교환기, 상기 종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또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조로의 공기순환로를 마련하는 공기순환수단 및 상기 장치로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장치에서 처리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조의 한쪽 끝에 마련되고, 상기 투입구 아래쪽에는 파쇄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조의 다른쪽 끝에 퇴비 저장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조를 거쳐서 상기 파쇄유닛에서 상기 저장유닛으로 상기 폐기물을 이송하는 반송유닛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처리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기순환수단만을 계속 작동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KR1019940008793A 1993-04-27 1994-04-26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KR970010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00659 1993-04-27
JP10065993A JP3504958B2 (ja) 1993-04-27 1993-04-27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27339593A JPH07124538A (ja) 1993-11-01 1993-11-01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93-273395 1993-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44B1 true KR970010844B1 (ko) 1997-07-01

Family

ID=2644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793A KR970010844B1 (ko) 1993-04-27 1994-04-26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70010844B1 (ko)
DE (1) DE4414387C2 (ko)
TW (1) TW31391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184B1 (ko) * 2006-12-15 2007-07-10 황금수 액체 비료 제조기
KR100983679B1 (ko) * 2009-12-21 2010-09-24 주식회사 한국휴먼기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9668A1 (de) * 2000-06-23 2002-01-03 Biosal Anlagenbau Gmbh Bioreaktor zur mikrobiellen Konvertierung stückiger und/oder pastöser Stoffe
DE10148278A1 (de) * 2001-09-28 2003-04-17 Ehms Thomas Abfallentsorgungsvorrichtung
DE10253024B4 (de) * 2002-11-14 2008-02-21 SATTLER, Jörg Verfahren zur mikrobiellen aeroben Konversion von biogenen organischen Frisch- und/oder Abfallmaterialien
CN113477660A (zh) * 2021-06-25 2021-10-08 刘永东 一种城市有机垃圾资源化综合利用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9344C2 (de) * 1978-03-03 1984-01-19 Gebrüder Weiss KG, 6340 Dillenburg Verfahren zum Kompostieren von organischen Abfällen und/oder Klärschlamm
AU1626588A (en) * 1987-04-03 1988-11-02 Hermann Hofmann Process for composting organic materia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DE3743651A1 (de) * 1987-12-22 1989-07-06 Wolf Gerae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postierung
DE4021868C3 (de) * 1990-05-09 1996-07-04 Herhof Umwelttechnik Gmbh Verfahren zur Kompostierung von Rottegut
DE4034400C2 (de) * 1990-10-29 1994-05-26 Grabbe Klau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postierung von mikrobiell abbaubaren Abfallstoffen
DE4208390C2 (de) * 1992-03-16 1994-03-31 Herhof Umwelt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kühlung feuchter und warmer Abluft aus einem Kompostierungsproze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184B1 (ko) * 2006-12-15 2007-07-10 황금수 액체 비료 제조기
KR100983679B1 (ko) * 2009-12-21 2010-09-24 주식회사 한국휴먼기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14387A1 (de) 1994-11-03
DE4414387C2 (de) 1996-07-11
TW313915U (en) 199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7320A (en) Solid organic waste processing apparatus
CN1471409B (zh) 淤浆分离和沼气生产的方案
JP2975286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US6224646B1 (en) Waste treatment system
JP2011156491A (ja) 密閉式生ゴミ処理システム
JP2002101865A (ja) 有機物の発酵飼料化装置
KR970010844B1 (ko) 고형유기폐기물 처리장치
CN1953826A (zh) 垃圾处理装置
JP3504958B2 (ja)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0354897A (ja) 有機固形廃棄物の好気発酵方法とその装置
KR20030085130A (ko) 물질 순환계를 이용한 유기물 처리방법 및 유기물 처리시스템
JP3527174B2 (ja) 有機質物の発酵処理方法及び装置
JPH01145388A (ja) 有機物の高速発酵装置
KR10087322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시스템의 발효장 어셈블리
JPH07148479A (ja) 脱臭処置を伴う有機廃棄物の発酵乾燥装置及びその方法
KR0182839B1 (ko) 가축분뇨의 밀폐형 층상 반응조 퇴비화 시스템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JPH09174027A (ja) 有機物の処理装置
KR100203924B1 (ko) 하수.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JP2000237731A (ja) 有機性廃棄物又は汚泥の高速無機化装置
KR101743883B1 (ko) 돈뇨의 증발처리 방법 및 장치
KR0182838B1 (ko) 가축분뇨의 밀폐 종형 반응조 퇴비화 시스템
JP3491803B2 (ja) 生ゴミの微生物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8133879A (ja) し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