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788B1 -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 Google Patents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788B1
KR970009788B1 KR1019940020629A KR19940020629A KR970009788B1 KR 970009788 B1 KR970009788 B1 KR 970009788B1 KR 1019940020629 A KR1019940020629 A KR 1019940020629A KR 19940020629 A KR19940020629 A KR 19940020629A KR 970009788 B1 KR970009788 B1 KR 97000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ir
space
scavenging structure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608A (ko
Inventor
나리야스 오키
카츠토시 시마다
카즈미 오카무라
세이지 난바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상기 자동차의 평면투시도.
제3도는 프런트패널의 팽출부(膨出部)를 차체전방쪽으로부터 본 도면.
제4도는 송기홴지지부분의 확대앞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로어패널 4 : 차실
5 : 팽출부 6 : 공간
7 : 사이드프레임 10 : 엔진
12 : 보죄기기수납실 13 : 프런트 그릴
14 : 라디에이터 15 : 라디에이터홴
18 : 터널부 19 : 송귀홴
20 : 안내부 30 : 공기통로
37,38 : 언더커버 x : 중합(重合)부
y : 연통(連通)부
본 발명은, 엔진의 소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로어패널에 차실내에 있어서 위쪽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형성되어서, 이 플로어패널의 하부면에 위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공간내부에 상부가 돌입하는 형상으로 엔진이 배치되고 있는 것에 있어서의 엔진의 소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와 같이, 엔진의 다기통화, 다밸브화, 과급기의 부가에 의한 흡기계의 대형화등이 도모되게 되면, 엔진룸내부의 공간에 여유가 없어져서 이 엔진룸내부의 열기가 도피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더하여, 차체의 공기저항이나 소음을 감소시키고, 또한 튐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하부면을 언더커버에 의해 덮는 일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한층더 열기가 도피하기 어렵게 되어서 엔진출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3-14426호 공보에는, 엔진룸내부에 환기촉진수단으로서의 전동홴을 설치하는 동시에, 언더커버에 개구부를 형성해서, 전동홴에 의해서 엔진룸내부의 과열공기를 상기의 개구부로부터 언더커버밖으로 강제배기하므로서,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원박스카와 같은 캐브오버타이프의 자동차에서는 엔진위에 캐빈이 탑재된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1-150628호 공보에는, 플로어패널의 일부를 위쪽으로 팽출시켜서 이 플로어패널의 하부면에 위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상부가 돌입하는 형상으로 엔진을 배치하므로서 차고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이 엔진보다도 앞쪽에 터널부를 통해서 연통하는 라디에이터배설실을 형성하고,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주행풍이 터널부를 통과하여 공간에 흐르도록 해서, 엔진의 냉각을 도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간은 플로어패널을 위쪽으로 팽출시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위에 또 터널부가 팽출부보다도 낮은 것이므로, 주행풍을 터널부에 인도해도 공간내의 소기가 확실치 않고, 엔진의 열기가 가득차기 쉽게 된다. 또한, 터널부를 개재해서 공간에 이르는 주행풍의 유량에는 한도가 있어, 확실한 열기배출을 기대하기 어렵고, 엔진출력이 저하하는 동시에, 엔진계통의 전장품에 악영향을 줄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차체에 언더커버가 장착될 경우에는, 언더커버에 의해서 열기의 도피가 제한되고, 이 경향이 보다 현저하게 된다.
이와같은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한 일본국 실개소 63-14426호 공보와 같이 전동홴에 의해 팽출부내의 열기를 팽출부의 밖으로 배출하는 것은 생각할 수 있지만, 팽출부내의 열기는 팽출부의 위쪽으로 가득차기 쉽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레이아웃되는 전동홴으로는 충분하게 팽출부내의 위쪽에 가득차는 열기를 배출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캐브 오버타이프의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의 열기를 효율좋게 배출할 수 있는 소기구조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차실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패널의 중앙에 위쪽으로 팽출(膨出)하는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팽출부내의 공간에 플로어패널의 하부쪽으로부터 상부가 돌입하는 형상으로 엔진이 배치되어 있는 엔진의 소기구조로서, 상기 팽출부의 비스듬히 하부쪽에 상기공간내의 위쪽을 향해서 송풍하는 송기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은, 차량의 앞면에 주행풍도입구가 형성되고, 플로어 패널의 아래쪽에는 그 도입구와 팽출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가 설치되고, 그 연통부에 송기 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은, 주행풍도입구의 뒤쪽에 배치되고, 연통부를 개재해서 상기 송기홴에 주행풍을 보내는 제2의 송기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은 제2의 송기홴이 라디에이터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은, 팽출부의 공간의 앞쪽에 위치하는 연통부에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고 엔진 수납부분에 기립하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그 터널부에 송기홴이 경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발명은, 터널의 상명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발명은, 제2의 송기홴으로부터 연통부에 걸쳐서 언더커버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발명은, 연통부의 좌우양쪽에는 차체전후 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송풍을 정류하는 정류수단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발명은, 정류수단이 플로어패널을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1발명에 의하면, 팽출부내의 위쪽에 가득차는 엔진의 열기를 아래쪽에 배설된 송기홴으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강제적으로 소기할 수 있기 때문에 위쪽에 가득차는 열기를 유효하게 바깥쪽에 배출할 수 있다.
또, 제2발명에 의하면, 주행풍을 유효하게 도입함으로써 숭풍하는 풍량을 송기홴만의 풍량보다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강제소기를 할 수 있다.
또, 제3발명에 의하면, 주행풍도입구에 도입된 주행풍을 다른 부분에 누설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보낼 수 있다.
또, 제4발명에 의하면, 종래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을 올리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었던 라디에이터홴을 제2송기홴과 겸하게함으로써 라디에이터홴에 송풍기능을 더 갖게 할 수 있다.
또, 제5발명에 의하면, 터널부에 의해 송기홴에 의한 송기방향이 어느 정도 규정되기 때문에 유효하게 송풍하고 싶은 부분에 송풍할 수 있다.
또, 제6발명에 의하면, 터널부의 상면이 비스듬히 위쪽을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송기홴의 송풍을 저해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팽출부의 위쪽에 송풍을 행할 수 있다.
또, 제7발명에 의하면, 연통부에 송풍되는 주행풍을 차체아래쪽으로 누출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인도하여, 풍량확보를 할 수 있다.
또, 제8발명에 의하면, 연통부에 송풍되는 주행풍을 차체옆쪽으로 누출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인도하여 풍량확보를 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정류작용을 종래부터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프레임에 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차체(1)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패널(2)의 차폭방향의 중앙부분으로서, 또한 좌우의 좌석장착부분(3),(3)의 사이가 차실(4)내에 있어서 상부쪽으로 팽출되고, 이 팽출부(5)에 의해서 플로어패널(2)의 하부면에 위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공간(6)이 형성되는 동시에, 플로어패널(2)의 하부쪽에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에 의해서 지지된 언더커버(8)이 배설되므로서, 상기의 팽출부(5)와 언더커버(8)의 사이에 엔진룸(9)가 형성되고, 이 엔진룸내부에 상부가 상기 공간(6)으로 돌입하는 형상으로 엔진(10)이 배치된다. 그 경우, 상기의 좌석장착부(3),(3) 및 팽출부 x가 차체전방으로부터 보아서 차체폭방향으로 엔진(10)의 상부에 맞겹쳐지는 중합부 x가 된다.
또, 상기의 플로어패널(2)의 앞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대시패널(11)보다도 차체 앞쪽이 보조기기수납실(12)가 되는 동시에, 이 보조기기수납실(12)에 주행풍을 도입하는 프런트그릴(13)이 차체앞면에 개구되고, 또한 보조기기수납실내에 도입된 주행풍이 닿는 위치에 라디에이터(14)가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14)의 후면에 라디에이터홴(15)가 장착된다. 그 경우, 상기의 라디에이트(14)는,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에 걸쳐서 가설된 프런트클로스멤버(16)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마찬가지로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에 걸쳐서 가설된 시라우드어퍼(17)에 의해서 상부가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홴(15)가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한 주행풍을 다음에 설명하는 연통부 y내를 향해서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플로어패널(2)의 중합부 x의 플로어패널(2)의 하부쪽이 연통부 y로 되는 동시에, 이 연통부 y중, 플로어패널(2)의 차폭방향중앙부분에, 팽출부(5) 보다도 키가 낮고, 또한 공간(6)에 돌입되어 있는 엔진(10)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터널부(18)이 형성되고, 이 터널부(18)내에 송기홴(전동 홴)(19)가 상기 플로어 패널(2)를 지지하고 있는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과 대략 동일한 높이위치에서, 또한 터널부(18)내부에 밀어넣은 공기를 상기 공간(6)의 내부에 비스듬히 하부쪽에서부터 송풍하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의 터널부(18)의 윗면은 송기홴(19)에 의한 송풍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일어서는 안내부(20)이 된다.
다음에, 송기홴(19)의 지지구조를 제4도에 의해서 설명하면, 상기 터널부(18)의 하부쪽에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을 연결하는 제3클로스멤버(21)이 배치되고, 이 제3클로스멤버(21)의 윗면에 좌우 1쌍의 일어선부분(22a),(22b)를 구비한 제1홴지지부재(22)가 고정된다. 또, 이 제1홴지지부재(22)의 일어선 부분(22a)와 (22b)의 사이에, 상부가 차체후방쪽으로 경사지는 제2홴지지부재(23)이 고정되고, 이 제2홴지지부재(23)의 상단부에 구멍(24)가 개설된다. 한편, 소기홴(19)의 홴케이스(19a)의 상부 양쪽에는 브래킷(25),(25)가 고정설치되고, 제1도와 같이 송기홴(19)가 경사진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이들 브래킷(25),(25)에 아래로 늘어지는 연결부재(26,27)이 장착되는 동시에, 송기홴(19)의 하부배면(송기홴에 대해서 주행풍이 상류쪽이 되는면)에 하향의 돌기(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기홴(19)는 상기의 돌기(28)을 제2홴지지부재(23)에 있어서의 구멍(24)에 끼워맞추게 한 상태에서, 상기 각 연결부재(26,27)을 제1홴지지부재(22)의 일어서기부(22a),(22b)에 얹고, 이들 일어선부분(22a),(22b)와 연결부재(26),(27)을 볼트ㆍ너트체결구(29),(29)에 의해서 고정하므로서 장착된다.
이와같이, 먼저돌기(28)과 구멍(24)의 끼워맞춤에 의해 송기홴(19)를 차체쪽에 임시지지시킨후에, 제1홴지지부재(22)와 연결부재(26),(27)와의 체결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송기홴(19)의 장착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연통부 y에는 송기홴(19)의 양쪽에 있어서, 연통부(18)에 유입한 공기가 상기 송기홴(19)를 통과하지 않고 엔진룸(9)에 도달하는 공기통로(30)이 형성된다.
또, 엔진(10)과 라디에이터(14)는 냉각수공급파이프 및 냉각수리턴파이프에 의해서 접속되게 되나, 그 경우, 각 파이프(31),(32)에 있어서의 엔지(10) 및 라디에이터(14)와의 접속부분이 각각 가요성파이프(31a),(31b),(32a),(32b)로 되고, 이들 가요성파이프(31a)와 (31b),(32a)와 (32b)를 잇는 파이프부분이 각각 강관(31),(32c)로 되어서, 이 강관부분이 차체(1)에 고정된다.
즉, 상기의 송기홴장착개소에 있어서, 한쪽의 강관(31c)의 엔진쪽단부부분이 연결부재(26)의 측면에 있어서 밴드(33)에 의해 고정되고, 또 제1홴지부재(22)에 있어서의 일어서기부(22b)에 있어서 다른쪽의 강관(32c)의 엔진쪽단부부분이 밴드(32)에 의해 고정된다. 또,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을 연결하는 제2클로스멤버(34)의 윗면에 지지부재(35)가 세워설치되는 동시에, 이 지지부재(35)의 상단부에 지지부재(36)이 장착되고, 상기 각 강관(31c),(32c)의 라디에이터쪽단부부분이 밴드(33),(33)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같이 가요성파이프(31a),(31b),(32a),(32b)에 의해서 엔진(10) 및 라디에이터(14)와 접속하고 있는 것은, 엔진(10) 및 라디에이터(14)의 진동이 강관(31c),(32c)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엔진(10)의 진동과 라디에이터(14)의 진동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제1클로스멤버(16)와 제2클로스멤버(34)의 하부면에 걸쳐서 언더커버(37)이 장착되는 동시에, 제2클로스멤버(34)와 제3클로스멤버(21)의 하부면에 걸쳐서 언더커버(38)이 장착된다.
이와같이 구조에 의하면, 프런트 그릴(13)로부터 도입된 주행풍은 라디에이터(14)를 통과한후, 라디에이터홴(15)에 의해서 연통부 y로 보내지고, 이 연통부 y를 통과해서 엔진룸(9)에 유입한다. 그리고, 그 경우, 주행풍의 일부가 터널부(18)에 유입하고, 송기홴(19)의 작용에 의해 경사진 상부쪽으로 송풍되고, 공간(6)에 유입한후 이 공간(6)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공간(6)이 소기되게 되어서, 이 공간(6)에 고이려고 하는 엔진(10)의 열기가 제거된다. 또, 다른공기는 연통부 y에 있어서, 송기홴(19)의 양쪽의 공기통로(30)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대체로 직진해서 흐르고, 엔진(10)의 둘레측면에 부딪치면서 통과해서, 엔진(10)으로부터 열을 제거한다. 그때문에, 이들의 강제소기에 의해 공간(6)에 열기가 가득차지 못하고, 또 엔진(10)의 열이 제거되게 되므로서 이 엔진(10)의 출력저하가 방지되는 동시에, 엔진계통의 전장품에의 악영향을 피하게 된다.
그 경우, 보조기기수납실(12)로부터 유입하는 주행풍의 흐름을 이용하고, 송기홴(19)에 의해서 강제 송풍하므로, 보다 많은 송풍유량을 확보할 수 있어, 엔진룸(9)이 공간(6)과 언더커버(8)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더라도, 적절한 유량의 공기를 이 엔진룸(9)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서, 효과적인 소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홴(15)에 의해서 라디에이터통과풍이 터널부(18)을 지향해서 강제적으로 송풍되므로, 송기홴(19)에 의한 송풍이 보다 효과적으로 되어서, 공간(6) 및 엔진계통 옆면주변에 밀어넣어지는 공기량도 증대하고, 소기작용 및 냉각작용이 효율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송기홴(19)는 그 일부가, 좌우의 사이드프레임(7),(7)에 의한 규제에 의해 정류되어서 후방으로 흐르는 공기를 송기홴(19)에 의해서 공간(6)에 밀어넣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터널부(18)의 윗면의 안내부(20)에 의해 공기를 공간(6)을 향해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안내하므로, 공간(6)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이 안정되고, 소기작용이 원활하게 되어서 보다 한층더 효율적인 소기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보조기기수납실(12)로부터 연통부 y에 걸쳐서 언더커버(37),(38)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라디에이터홴(15)에 의해서 송풍되는 주행풍이 정류되고 안내되어서 연통부 y에 보내지고, 연통부내에 있어서의 풍량확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터널부(18)로부터 공간(6)에 도달하는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홴(15)는 터널부(18)을 향해서 송풍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정차중에도 이 라디에이터홴(15)를 구동시켜두면, 프런트 그릴(13)로 부터 공기가 도입되어서 터널부(18)내로 송풍하는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고, 따라서 정차중에도 엔진룸(9)의 소기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에 의해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하면, 팽출부내의 위쪽에 가득찬 엔진의 열기를 아래쪽에 배설된 송기홴으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강제적으로 소기할 수 있기 때문에 위쪽에 가득차기 쉬운 열기를 유효하게 바깥쪽에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확실한 소기를 행할 수 있고, 공간에 엔진의 열기가 가득차는 일이 적게 되어서, 엔진출력저하, 전장품에의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또, 제2발명에 의하면, 주행풍을 유효하게 도입함으로써 송풍하는 풍량을 송기홴만의 풍량보다도 더욱 증가시킬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강제소기를 할 수 있다.
또, 제3발명에 의하면, 주행풍도입구에 도입된 주행풍을 다른 부분에 누설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보낼수 있다.
또, 제4발명에 의하면, 종래 라디에이터의 냉각성능을 올리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었던 라디에이터홴을, 제2송기홴과 겸하게 함으로써 라디에이터홴에 송풍기능을 더 갖게 할 수 있다.
또, 제5발명에 의하면, 터널부에 의해 송기홴에 의한 송기방향이 어느정도 규정되기 때문에 유효하게 송풍하고 싶은 부분에 송풍할 수 있다.
또, 제6발명에 의하면, 터널부의 상면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송개홴의 송풍을 저해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팽출부의 위쪽에 송풍을 행할 수 있다.
또, 제7발명에 의하면, 연통부에 송풍되는 주행풍을 차체아래쪽으로 누출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인도하여, 풍량확보를 할 수 있다.
또, 제8발명에 의하면, 연통부에 송풍되는 주행풍을 차체옆쪽으로 누출시키는 일없이 확실하게 송기홴에 인도하여 풍량확보를 할 수 있다.
또, 제9발명에 의하면, 정류작용을 종래부터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프레임에 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차실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플로어패널의 중앙에 위쪽으로 팽출(膨出)하는 팽추ㅍ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팽출부내의 공간에 플러어패널의 하부쪽으로부터 상부가 돌입하는 형상으로 엔진이 배치되어 있는 엔진의 소기구조로서, 상기 팽출부의 비스듬히 하부쪽에 상기 공간내의 위쪽을 향해서 송풍하는 송기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앞면에 주행풍도입구가 형성되고, 플러어패널의 아래쪽에는 그 도입구와 팽출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가 설치되고, 그 연통부에 송기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주행풍도입구의 뒤쪽에 배치되고, 연통부를 개재해서 상기 송기홴에 주행풍을 보내는 제2의 송기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제2의 송기홴이 라디에이터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팽출부의 공간의 앞쪽에 위치하는 연통부에, 체체전후방향으로 뻗고 엔진수납부분에 기립하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그 터널부에 송기홴이 경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터널의 상면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제2의 송기홴으로부터 연통부에 걸쳐서 언더커버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연통부의 좌우양쪽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송풍을 정류하는 정류수단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정류수단이 플로어패널을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소기구조.
KR1019940020629A 1993-08-24 1994-08-22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KR970009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52593 1993-08-24
JP93-232525 1993-08-24
JP09295494A JP3528234B2 (ja) 1993-08-24 1994-04-05 エンジンの掃気構造
JP94-92954 1994-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608A KR950005608A (ko) 1995-03-20
KR970009788B1 true KR970009788B1 (ko) 1997-06-18

Family

ID=2643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629A KR970009788B1 (ko) 1993-08-24 1994-08-22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28234B2 (ko)
KR (1) KR970009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6985B2 (ja) * 2008-02-06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608A (ko) 1995-03-20
JP3528234B2 (ja) 2004-05-17
JPH07112622A (ja) 1995-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4892B1 (en) Cool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JP4853632B2 (ja) エンジンの吸気ダクト構造
JP3882296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ラジエータ冷却装置
JPH08310256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構造
KR970009788B1 (ko) 엔진의 소기(掃畿)구조
JP2007008389A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010254023A (ja) 車両の空気抵抗低減構造
JPH08118971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3112663A (ja) 車両のエンジンアンダカバー
JP3379713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6733303B2 (ja) 建設機械
JP4038760B2 (ja) 床下エンジンの冷却構造
JP3433480B2 (ja) エンジンの掃気ファン取付構造
JP4984045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JP3355939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アンダーカバー
JP4396353B2 (ja) 冷却空気導入装置
JPH088950Y2 (ja) エンジンアンダカバー
JPH06191293A (ja) インタークーラー付車両の補機配設構造
JPH09226630A (ja) クーラーコンデンサの熱風排出構造
JP3426906B2 (ja) リヤエンジンバスのラジエータ搭載構造
JPH0655842U (ja) ラジエータの巻き返し風防止装置
JP3445113B2 (ja) 走行車両の冷却空気流通構造
JPH0683438U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632433Y2 (ja) 車両用エンジン冷却装置
JPS62160917A (ja) 産業車両の内燃機関用外気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