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563B1 - 유체 수동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수동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563B1
KR970009563B1 KR1019890700420A KR890700420A KR970009563B1 KR 970009563 B1 KR970009563 B1 KR 970009563B1 KR 1019890700420 A KR1019890700420 A KR 1019890700420A KR 890700420 A KR890700420 A KR 890700420A KR 970009563 B1 KR970009563 B1 KR 97000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fluid
piston
outle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225A (ko
Inventor
로트하르 그라프
카알-하인쯔 훅스
레오 메르테
Original Assignee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70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05B11/1018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and the controlling element cooperating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체 수동 배출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기술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배출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배출장치로부의 제1도에 의한 축방향 단면의 확대도.
제3도는 다른 피스톤 조합위치의 제2도와 같은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배출노즐부근을 더욱 확대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해당하는 것의 다른 실시예.
제6도는 제4도에 해당하는 또다른 실시예.
제7도는 다른 배출노즐의 정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으로서, 외부노즐갭을 제외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배출노즐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
제11도는 제2도와 비슷한 것으로서,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2도는 제2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3도는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정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해당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유체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출장치가 오버헤드위치에 있을 경우 펌프작업하거나 또는 별도의 용기밖으로 제2의 유체를 펌프질하는데 있어 예로써, 유체 펌프의 또 다른 펌프가 부가설치된 많은 종류의 배출장치는 이미 나와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용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원을 추가한 압력원을 가지고 압출된 가스흐름을 이용하여, 그 결과 간단한 방법으로 배출 노즐 주의에 배출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식의 배출장치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압력원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압축공기실과 연결된 압축공기펌프를 압축공기관의 수단으로 배출노즐에 연결한다.
압축공기 펌프는 바로 라인 즉 파이프연결을 통하여 배출 노즐로 연결, 또는 예로써, 유체 수용용기로 이루어진 압력탱크 또는 별도의 압력탱크로 연결하여, 여기에 배출노즐을 설치하여, 압력탱크내의 압력은 동시에 용액을 용기에서부터 배출노즐로 이동시키게 하는데 이용된다.
만약 압축 가스원을 유체 접속라인 세척용, 밸브조정용 등의 아주 미세한 분무용으로 사용한다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파이프 수단으로서 배출장치를 압력원 또는 펌프로 연결한 경우에만 가능한 여러 가지의 다양한 기능을, 한손안에 완전히 넣을 수 있는 또는 바로 잡아서 한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 크기의 수동 작동 배출장치로서도 상기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배출장치는 외부 압력원고 상관없는 완전히 독자적인 장치로서, 단지 특별한 방식(overhung maner)일 경우에 한하여 하나의 용액 저장용기, 캡 등을 가지고도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압력원을 가지며, 또한, 예로서 단일 작동 헤드 형태의 자동 조립체로 극히 소형의 규격과 작동성능이 우수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 내지 4도에서 도시한 배출장치(1)는 실린더 케이싱(3)과 함께 미는 유체 배출기인 피스톤 펌프(2)를, 캡(4)으로서 저장기를 이루는 용기(5)의 목에 고정한다. 실린더 케이싱(3)은 환상의 플랜지를 갖는 용기목 단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한편 환상 플랜지(6)바깥쪽에 축방향으로 끼운 가스킷(42)에는 이하 기술할 커버(7) 즉 실린더 헤드를 설치한다. 상기 외측단부의 주위는 실린더 케이싱(3)이 반경 방향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분할면(8)을 경유하여 이를 둘러싼 슬리브 속을 지나며, 반대 끝에 환상플랜지(6)가 설치된다.
2개의 동축적으로 끼워넣은 작동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조립체(9) 즉, 외부펌프 피스톤(10)과 동일위치의 가흡입 피스톤(11)은 실린더 케이싱(3)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5)속으로 돌출하는 실린더 케이싱(3) 내부 단부는, 펌프 피스톤(10)단부상의 두 밀폐 립(lip)을 위한 피스톤 주행로(13)와 함께 실린더를 형성한다. 실린더 내부(12)에는 환상의 바닥벽(18)에서 입구 통로(19)가 난쪽으로, 피스톤 조립체(9)에 대해 자유롭게 돌입하는 가흡입 실린더(15)를 설치하며, 이는 바닥벽(18)에서 반대방향에서 안쪽으로 돌입한다. 가흡입 실린더(15)의 외부주변은 실린더를 덮어 구속하고 있는 가흡입 피스톤(11)의 피스톤 주행로(16)를 이룬다.
피스톤 주행로(13,16) 사이의 공간은 펌프실(14)을 이루며, 가흡입 실린더(15)와 가흡입피스톤(11)에 의해 경계진 가흡입실(17)이 동축적으로 위치하며, 피스톤 조립체(9)에 힘을 가하는 복원 스프링(20)이 신장된 위치가 되게 설치된다.
펌프 피스톤(10)의 바깥 또는 후단은 축내에 위치하는 관상 피스톤 샤프트를 설치하여 실린더 커버(7)를 관통하여 밖으로 안내되도록 되었는데, 이는 펌프실(14)에 연결된 출구통로(24)를 경계지우며, 한편 출구밸브(23)를 끼운다. 바깥통로(24)는 핸들(22)내의 배출노즐(25)쪽으로, 피스톤 샤프트(21) 바깥단부에 위치한 작동헤드의 형태로써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위치에, 작은 틈으로서 실린더 케이싱(3) 슬리브위를 체결한다.
가흡입실(17)를 마주보는 가흡입 피스톤(11)의 단부 벽은 출구밸브부(23)의 원추형 밸브 밀폐부(26)를 이루며 밸브시이트(27)를 펌프 피스톤(10)의 접속단부벽면에 설치한다. 출구밸브(23)를 열기위한 샤프트(28)는 가흡입 피스톤(11)에서 피스톤 샤프트(21)쪽으로, 변위 가능하게 돌입한다. 펌프 피스톤(10)에 연결된 피스톤 샤프트(21)부는 탄성적이며 압축 가능한 목(29)을 구성한다.
핸들(22)을 아래로 눌러 배출장치를 작동시,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면 출구밸브(23)는 이 압력차로 인해 열린다. 피스톤 조립체(9)의 되돌아가는 행정중에 펌프실(14)을 채우도록 패스 오버(pass-over)밸브(32)를 설치하여, 변위에 의한 방식으로, 출발위치로 퍼지는 피스톤 조립체의 후퇴행정의 마지막 부위를 넘어서만 열리도록 한다. 그러나 거의 펌프행정의 말단부에 달하는 펌프행정을 넘어가는 닫힌다. 이 미끄럼 밸브의 닫힘부(33)는 가흡입 피스톤(11)의 피스톤의 앞쪽 가장가리로 이루어지며, 가흡입 실린더(15)의 자유단에 축 밸브 구멍(39)과 근접하게 연결시켜 밸브 구멍을 이룬다. 가흡입 피스톤(11)이 펌프 행정방향으로, 밸브 밀폐모서리(34)에 주어진 밸브구멍(39)의 끝모서리에 도달하자마자, 페스-오버밸브(32)가 닫혀진다. 따라서, 밸브는 가흡입 피스톤(11)의 복귀행정중에 진공이 펌프실(14)내에 형성된 뒤 파도같이 밀어닥치는 방식으로 다시 열린다. 펌프행정 말기에, 펌프 피스톤(10)의 2개의 끝면(30,31)과 가흡입 피스톤(11)은 바닥벽(18)에 대해 시간-지연(time-delayed)방법으로 왕복하여, 선택적으로 펌프실(14)을 통풍하도록 출구밸브(23)가 열린다. 컵형의 가흡입 피스톤(11)은 끝면(30)을 이루는 피스톤 슬리브(35)를 가지며, 펌프 피스톤(10)의 피스톤 슬리브(35)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전개한다.
피스톤 샤프트(21)는 축(28)단부와 한정된 간극으로 마주보는 드라이버 즉 돌리개(dog)(40)를 가지며, 펌프피스톤(10)이 펌프 행정의 말기에 위치한 밀어진 축(28)이 된 후에, 짧게한 목(29)위를 지나면서 연속해서 출구밸브(23)를 연다. 미는 피스톤펌프(2)도 역시 변위에 의해 밸브-조정되는 용기의 통풍수단을 갖는다. 펌프 피스톤(10)의 두곳의 피스톤 립 사이에의 실린더 케이싱(3) 표면상에 통풍 관통구멍(43)을 설치하는데, 이는 환상의 간극공동내의 가스킷(42)바깥쪽에 바로 근접하고 있으며, 실린더 케이싱(3)의 바깥원주와 가스킷(42)으로 경계(주위)를 이루고 있다.
통로구멍을 길이방향의 홈(44)에 주어 펌프 피스톤(10)의 뒷쪽립으로부터 최소한 펌프행정의 끝까지 외부에 대해 자유롭게 통풍을 주도록 한다. 배출장치(1)는 특히 상기 부품들 또는 조립체에 대해서는 독일 특허출원 P37 15 301.3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더 상세한 내용과 작동설명을 알기 위하여는 이를 참조해야 한다. 그러나, 펌프는 완전히 다른 구성의 수동조작 펌프식으로 즉 예로써, 벨로우(bellows), 다이어프램(diaphrams), 기구(balloon)펌프 등의 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유체펌프(medium pump)식으로 하여 초기에 용기(5)내에서 가압축된 압력을 낼 수 있도록, 유체는 라이저를 경유하여 출구통로와 배출노즐(25)로 운반되도록 한 즉 예로써, 독일 특허출원 P 37 12 327.0에서 기술한 유체펌프의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유체 펌프(2)와는 달리, 바람직하기로는 수동조작 가능한 압축공기 배출기인 압축공기 펌프(50)를 압축 공기원으로서, 배출장치(1)와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펌프(2) 또는 용기(5)로부터 분리하거나, 선택적으로는 발로 조작가능한 펌프로 구성하여 설치된 배출장치(1)의 부품이나 용기에 가요성 호스와 같은 라인 수단으로 적당히 연결할 수도 있다. 이 압축공기 펌프는 또한 다른 펌프 타입으로 예로써, 유체 펌프로써 설명한 타입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유리한 실시 경우는, 압축공기 펌프(50)는 드러스트(추력)피스톤 펌프로서 구성되어 구조적으로 배출장치(1)와 연결하며, 사실상 유체펌프(2)와 동일하게 동 핸들(22)과 동시에 작동하고 유체 펌프(2)내에 동축상으로 또는 축상으로 바로 근접하게 그리고 유체 펌프 바깥 단부에 적당히 연속하여 설치한다. 비록 압축공기 펌프(50)를 압력탱크를 중간에 두어 수동조작 밸브 수단으로 함께 실리도록 한, 배출통로(24)로의 연결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만약 압축공기 펌프(50)를 직접 연결한다면 특히 간단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는 작동중엔 필연적으로 단지 이동만 한다.
압축공기 펌프(50)는 펌프 피스톤(51), 동 수용 펌프 실린더(52), 펌프 피스톤(51)과 통합된 공기 입구 밸브(53), 펌프 실린더(52)와 구조적으로 조합된 공기 출구밸브(54)를 가지며, 서로 동축상으로, 캡과 같은 핸들(22)의 바깥 경계내에 사실상 전체적으로 유체 펌프(2)의 중앙축에 위치한다. 유체 펌프(2)로선 특히, 용기(5)에 고정 또는 설치된 케이싱에 대한 작동으로 펌프 피스톤을 이동함을 생각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펌프 피스톤(51)은 상기 케이싱 또는 실린더 케이싱(3)에 대해 고정되고 펌프 실린더(52)는 핸들(22)과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이다.
매우 유사한 구조로서, 압축공기 펌프(50)에 필요한 별도의 실린더 케이싱이, 펌프 실린더(52)는 바로 실린더 케이싱(3)의 슬리브(46)를 덮어 구속하는 핸들(22)의 캡 표면으로 형성되며, 케이싱의 길이를 넘는 부분의 내부 주변은, 핸들(22)의 캡 단부벽 쪽으로 예각으로 원추상이 넓혀진 펌프 피스톤(51)의 반경방향 바깥 립(56)의 피스톤 주행로(55)를 형성한다. 원추상으로 동 방향으로 테이퍼(경사)진 펌프 피스톤(51)의 해당 반경방향 안쪽의 피스톤 립(57)은 목(29)에 접속되어, 거의 핸들(22)과 연결되도록 전개되는 피스톤(축) 샤프트(21)부의 원통형 바깥원주상을 활주한다.
고정목적으로서, 펌프 피스톤(51)은 피스톤 립(56,57)으로부터 떨어진 그 단면에 거의 환상의 스냅요소(58)를 가지며, 이는, 슬리브(46)의 연장으로써 분할면(8)측부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돌출하여 펌프 피스톤(51)이 분할면(8)상에 구속되도록 내부홈으로서 이루어진 기둥형의 쇼울더상의 환상간극내에 삽입하여, 펌프 압력에 대해 펌프 피스톤(51)이 축상으로 지지된다.
상기 펌프 피스톤(51)이 끝면상에는 또한, 펌프축 주위에 일정하게 분포되며(나뉘며), 실린더 케이싱(3)의 실린더 구멍에 연속된 확장부 공동속으로 리브가 반경반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실린더 커버(7)를 설치한다. 이는 실린더 케이싱(3)이나 또는 상대적으로 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펌프피스톤(51)과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펌프 피스톤(10)의 출발위치에서 유체 펌프(2)는 그 뒤의 피스톤 립과 함께 실린더 커버(7)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행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캡 주변표면 또는 펌프실린더(52)가 밀폐 립(lip)등으로 슬리브(46)에 대해 밀폐하는 식으로 주행하여, 실린더 케이싱(3)의 케이싱 또는 관련 부분이 바로 일체의 하나의 펌프 피스톤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싱(3)과 펌프 실린더(52)사이의 적당한 틈은 용기(5)의 공기통풍을 위해 또는 압축공기 펌프(50)의 공기흡입을 위한 입구구멍(틈)이 된다. 이 틈은 스냅요소(58)내 브레이크 또는 막힘 사이의 펌프 피스톤(51)외주상의 적당한 위쪽에 설치하여, 피스톤 립(56,57)에서 멀리 떨어진 그의 반대쪽면에서부터 펌프 피스톤(51)을 통하여 흡입 공기를 빨아들인다.
이 목적을 위해 피스톤 립(56,57)을 연결하고 있는 링 디스크와 같은 형상의 바닥벽내에는 링 분산식의 공기 통로구멍을 주어,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링 디스크형의 밸브본체(60)를 사용하여 예장력을 주지 않은 (non-pretensioned)체크밸브식으로 닫을 수 있다. 밸브 본체(60)는 피스톤 립(56,57) 사이의 바닥벽 안쪽상에 위치하며 개구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그리고 특히 2개의 동축 토리(tori)(61)로서 정지-제한되며, 이는 피스톤 립(56,57)의 원주 측부를 면하는 쪽에, 바닥벽에서 밸브본체(60)두께보다 약간 큰 간격으로 간격진식으로 설치한다.
더 작은 직경 그러나 유사하게 구조된 출구밸브(54)는 예장(pretensioned)된 과압(overpressure)밸브식으로 작동하여, 펌프 즉 압축실(62)내에서 소정의 과압에 도달했을때에만 열려 압축공기의 배출노즐(25)로의 통로를 설치한다. 핸들(22)의 캡끝벽에서 거의 전원주에 걸쳐, 캡원주 표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시(63)내에는 플랜지형의 칼라와 함께 칼러 슬리브형 삽입부재(64)를 삽입하고 스냅 연결로 고정하여 칼러는 부시(63)의 자유단면으로서 거의 평평하게 종료한다. 삽입부재(64)칼러의 링 디스크 형상부위에 통로구멍을 링으로 설치하고 링 디스크와 같은 밸브본체(65)로서 폐쇄할 수 있다. 밸브본체(65)는 핼리컬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밸브스프링(66)의 장력으로 압축실(62)에서 떨어진 삽입칼러(64)의 단면상을 속박하며 부시(63)와 마찬가지로 동축상으로 위치한 핸들(22)의 또 다른 플러그 부시(67)와 부시(63)사이 환상간극내에 설치한다. 상기 플러그 부시(67)내에는 삽입부재(64)의 슬리브 부위가 삽입되고, 그 뒤 피스톤 샤프트(21)의 연속된 작은 외경끝을 압축끼움식으로 삽입하여 피스톤 샤프트(21)와 핸들(22)사이를 사실상 고정연결하고, 삽입부재(64)의 슬리브부와 피스톤 샤프트(21)의 자유단면은 상호 핸들(22)의 캡단면에 인접하게 같은 높이로 위치되고 도그(40)를 피스톤 샤프트(21)의 관련 단부에 설치한다.
배출 노즐(25)은 사실상 4개의 몸체로서 동축적으로 그리고 유체 펌프(2) 또는 압축공기 펌프(50)의 중앙축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즉 자리잡은 노즐캡(70,71), 내부 노즐캡(71)안에 구속된 내부 몸체(72), 외경상에 외부 노즐캡(70)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부시(73)로 이루어지며 또한 내부몸체(72)와 함께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핸들과 함께 후자와 같이 구성되어 부시(63)의 원주표면과 핸들(22)의 캡 끝벽 양쪽에 적당히 연결토록 할 수 있다. 노즐축(69)에 반드시 직각인 노즐캡(70,71)의 끝벽은 노즐 끝판(74,75)을 형성하여, 상호 거의 전 표면상을 구속하는 식으로 구속하고, 내부 몸체(72)의 단면(76)은 뒷쪽 노즐끝판(75)의 안쪽 끝면상을 거의 전 표면에 구속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앞쪽 노즐끝판(74)은, 노즐캡(70)의 외경에 해당하는 앞쪽 단면의 내경의 반보다 적게 바깥부시(73)의 앞쪽단면(77)에 대해 뒷쪽에 설치한다. 노즐 끝판(75)은 노즐축쪽으로 바깥단면(78)이 볼록하게 돌출하는 구조를 두껍게 하고 노즐끝판(74)의 내부단면의 오목 해당 부위상에 사실상 전 표면내에 후자와 구속한다.
구멍속으로 나있는 노즐끝 구멍(80)은 노즐끝판(74)의 바깥끝면내에 적당히 위치하며 즉 편평하게 들어간 바닥면에서 약간 들어가게 위치하며 노즐끝 구멍(80)이 바깥부시(73)의 앞쪽 끝에 대해 후퇴되어 후자에 의해 앞 전방이 방어된다. 배출 노즐(25)의 노즐통로는 필연적으로 2개의 분리된 각각의 통로 즉 노즐(81,82)이 형성되며 이 노즐들은 서로 마주보며 동축적으로 위치된다.
노즐끝판(74)내의 해당 노즐통로에 의해 형성된 앞노즐(81)과 노즐끝 구멍(80)에 의해 형성된 그의 노즐 출구 구멍은 노즐 구멍의 중앙 즉 노즐구멍의 최소폭 보다 작은 길이이며 노즐끝판(74)의 내부끝면 공동내의 노즐입구 구멍(83)에서 노즐 출구구멍으로 전 길이에 걸쳐 예각으로 연속적으로 원추형으로 확장된다.
노즐끝판(75)내 노즐통로에 의해 형성된 후방노즐(82)은 그곳 중앙직경과 비교해 더 큰 길이를 가지고 그의 가장 큰 직경과 비교해서는 더 작은 길이로써 유동방향으로 즉 역노즐(81)방향으로 축소된다. 후방의 더 긴 부위는 노즐끝판(75)의 안쪽 단면에 위치 연결된 노즐입구구멍(85)에서부터 그의 가장 작은 직경쪽으로, 예각으로서 원추형으로 테이퍼지며 그의 가장 작은 직경은 일정폭 즉 단면(78)에 위치 연결된 노즐 출구 구멍(84)가지 전개하는 직경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82)은 연속적으로 계단지면서 수축(축소)되어 최소폭으로서는 노즐(81)의 가장 작은 폭보다 약간 작다.
2개의 각 노즐(81,82)사에에는 상기 노즐 끝판 특히 앞판(74)에 최소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 선회장치(86)를 설치하는데 이는 입구 구멍(83)과 출구 구멍(84)을 면하는 또 다른 회전실(방)로 이루어지고 그의 축방향 신장(길이)은 최소한 하나 특히 더 짭은 노즐(81)하나 보다 극히 작다. 또한, 후방노즐(82)의 노즐입구구멍(85)으로서 선회장치(87)와 연결되며 이 장치는, 사실상 노즐축에 위치된 플래터(flatter)회전실로서도 역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구구멍(85)을 면하고 상기 각 노즐의 길이보다 훨씬 더 납짝하며, 내부 몸체(72)와 함께 또는 노즐끝판(75)과 함께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구조를 간다히 하기 위해, 선회장치(86,87) 및 관련된 이송라인은 하나의 단일 노즐몸체로서 구성하여, 단지 이것은, 미끄러운 모양에서 갈라지는 해당 모양 즉 상응하는 오목부와 함께 연결된 노즐끝판(75)의 내부 그리고 바깥끝면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요소만 변경하여도, 배출 노즐(25)이 유체의 분무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로써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유체 유동에 이동시키도록 또는 매체 즉 둘 이상의 다른 유체를 각각 분리된 유동으로서 배출 노즐(25)에 이동하기 위해 셋 또는 그 이상의 노즐을 설치하는 것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후방의 각 노즐(82) 또는 그의 선회수단(87)은 단부로서 설치한 채널부(88)수단으로서 유체 출구채널(24)에 연결하고 한편, 후방의 단일노즐(81) 또는 그의 선회수단(86)은 단부로 이루어진 채널부(89)수단으로 출구밸브(54)에 연결된 압축공기채널(90)에 연결될 수 있다. 단면으로서 각을 이룬 유체 채널부(88)는 내부 노즐캡(71)의 안쪽 단면상과 내부 원주 표면상에 그리고 내부 주변 표면상에 해당홈이 형성되어 이들과 내부 몸체(72)로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유체 채널수단으로서 피스톤 샤프트(21)바깥단부 또는 채널(24)출구에 연속되며 유체 채널은 내부몸체(72)와 핸들(22)의 캡 끝벽사이의 압축공기 통로를 완전히 밀폐 할 수 있다. 압축공기 채널부(89)는 또한 각을 이루고 그리고 채널부(88)에 대한 노즐축 주의는 캡원주 표면과 노즐캡(70,71)의 노즐끝판(74,75)사이를 정반대로 (대칭적으로)적당히 변위하면서, 해당 축 둘레에 반경방향의 홈을 이루는데, 이 홈은 노즐캡(71)의 바깥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예에서는 노즐캡(70)의 안쪽면에 위치한다. 압축공기채널(90)내에는 밸브 스프링(66)을 수용하는 환상 간극을 주는데 이 간극은 그의 축부를 갖는 거의 압축공기 채널부(89)까지 이어진다.
채널부 (88,89)의 반경단부는 사실상 각 경우 연결된 선회실에 반경으로 즉 접선으로 연결하며, 이송된 유체는 연결된 노즐 입구 구멍(85,83)공동내의 노즐축 주위를 회전식으로 유동하면서 해당 노즐 채널로 들어간다.
기술한 구조는 적어도 2단 또는 다단 분무기(100)를 이루고, 유체유동이 선회장치(87)와 개별노즐(82)의 공동내에서 예로써 50내지 70㎛ 크기의 유체 미립자로 가분분무화되고 그리고 압축공기의 가속으로 적어도 한 번은 더욱 미세하게 미립화되며 연속적인 공기분무의 결과로 유체 미립자 또는 분자크기는 약 10배 줄어든다. 이것은 특히, 만약 라발(laval)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수일 경우 압축공기 흐름은 유체 미립자 또는 분자를 음속에 가깝게 또는 그 이상으로 가속시켜 그들은 충격력을 동반하여 떨어져 나가는 노즐 구멍(80)상에서 대기와 직접 접촉하여 더욱 미립화된다. 라발효과에 의한 앞(전방)쪽 노즐(81)의 노즐 형상을 이루기 위해선 노즐 입구 구멍 공동내에 비교적 작은 폭으로서 그리고 완만하고, 트럼펫 모양의 변이면 또는 원추면 표면을 지나서는 매우 넓게 되도록 함이 적당하다. 단일 노즐(81)의 가장작은 폭은 2 또는 1.5mm이하가 적당하고 0.1mm이상 1mm이하로 하면 더욱 좋고 0.5mm가 가장 좋다. 따라서, 움푹파인 콘 노즐로 구성된 단일 노즐(82)은 더 작은 최소폭을 가지는데 즉 노즐(81)의 최소폭의 약 반 또는 그 이하이며 0.1mm 보다 작게도 할 수 있으며적당하기는 0.1~0.2mm이다. 2바아 압력, 10㎧로 공기 이동할 경우, 상기한 구조에서 거의 음속으로서 노즐(81)출구에 도달하여 0.632㎛까지 미립화된 유체 미립자들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으나, 사실상 공기 압축가능성 때문에 약 5㎛까지의 밸브만 가능하다.
압축공기를 위한 선회장치(86)를 주는 대신 선회장치(86)위치에 챔버(실)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압축공기는 노즐축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덩어리로 즉 집중된 형태로 노즐(81)속으로 유입하는 방식 그리고 외부마찰 손실로 약화된 형태로 유입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또는 선회실의 축으로의 신장은 단일노즐(82)의 가장 작은 폭 크기와 적당히 동일한 치수로 하거나 또는 예로써 노즐(81)의 가장 작은 폭의 약 1/5 적당하기는 1mm 또는 0.5mm이하 그리고 가장 좋은 것은 0.1mm이다.
더 미세하게 또는 추가로 미립화하기 위해, 충격부재를 노즐끝 구멍(80)을 마주보게 역(upstream)설치하여 유체는 충격부재로 압출되어 연속적으로 미립화되고 노즐축에 대해 직각으로 편향된 뒤 음파 또는 초음파로 가속된 압축공기 유동은 예로서 라발효과로서 공급할 수 있다.
압축공기의 노즐출구 유동은 이 경우 예로서, 유체 노즐출구 주위에 또는 판형의 충격부재 주위에 설치하여, 압축공기는 충격부재 모서리에서 가미립화된 액체를 넘겨맡아 다시 노즐 축방향에 행하게 하며, 압축공기에 의해 이와같은 방식으로 가속된 유체 미립자는 대기에 대해 분무작용을 하는데 발생압력의 파열로 인해 더욱 분해된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서 압축공기는 단일노즐(81)의 뒤에서(역류로) 혼합되어, 유체압축 공기 혼합은 하나의 노즐(81)단부를 통해 유출한다. 속이 빈 콘 노즐로 구성된 중간 노즐 대신, 예로서 편평한 제트노즐, 직사각형의 콘 노즐, 속이 비지 않은 꽉찬 콘 노즐 또는 예로써, 축방향 선회노즐 또는 두개 이상의 재질로된 노즐 등 기타 작동될 유체가 요구하는 기능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2중으로 속이 빈 콘 노즐의 구조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만약 배출노즐이 종 또는 원형 표면장력과를 갖는 초음파 노즐로서 구성되었다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한 배출장치는 이하 기술한 공정에 따라서 작동한다. 손가락으로 핸들(22)을 아래로 눌러 아니면 유체 펌프(2)와 함께 보유용기(5)를 손가락으로 눌러, 압축공기 펌프(50)가 하나의 접촉복원스프링(20)작동에 대응하여 펌프행정을 시작한다. 밸브 스프링으로서의 후자는 또한 출구밸브(23)가 닫혀져 있도록 한다. 최소 행정후, 예로서 총 행정의 1/4에 해당하는 행정후 흡입 또는 패스-오버 밸브(32)가 닫히고 토출될 유체를 충입하면 펌프실(14)내에 유체의 과압이 생긴다.
압축가스원으로 설치한 상부펌프의 압축실(62)내에 과압이 발생함과 동시에 압축 가스는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압축시스템은 여전히 상호간의 완전히 밀폐 즉 시일된다. 행정운동이 더욱 진행될 때, 2개의 분리된 별도의 밸브 스프링력의 작용으로, 한편으로는 출구밸브(23)가 열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 가스 출구밸브(54)가 열린다. 이들 두 밸브는 유체 출구밸브(23)가 압축 가수 출구밸브(54)에 앞서 열리거나 또는 동시에 또는 그후에 열리도록 설치하여, 압축 공기가 이르러(도달하여) 배출밸브(25)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에 이어서 동시에 또는 유체에 앞서 유출한다.
유체가스와 압축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2개의 펌프 흐름은, 별도의 파이프 수단을 사용하며 배출노즐(25)로 각각 통하도록 하여, 유체는 중간구역내에서 이미 가미립화된 뒤에 선회실(86)의 공동내에서만 혼합된다. 곧바로 두압류의 합류에 바로 이어 파동가속이 방출방향으로 발생되며 노즐끝 구멍(80)을 통한 방출직후엔 유체방울을 더욱 미세하게 미립화시키며 고밀도의 또한 그로인해 비교적 멀리 나아가는 분무분사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고밀도의 다발(가늘게) 즉 집중분사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방출장치는 예로서 흡입제와 같은 약용 활성물질에 그리고 래커 즉 예로써 수용성 페인트, 오일의 분무기술분야, 화학물질 기타 등에 있서, 용기(5)내에 추진가스를 저장할 필요없이 미립화하는데 적합하다. 압축된 가스원은 선택적으로 예로써, 조작 핸들(22)로 적당히 열리는 출구밸브가 있는 카트리지형의 압축가스 저장고일 수 있다.
펌프의 행정말기 바로직전에 핸들(22)이 열리고, 유체 출구밸브(23)는 복원스프링(20)의 장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압축된 가수 출구밸브(54)는 유체출구밸브(23)보다 전에 또는 동시에, 함께 또는 그후에 닫히게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계속 유동하는 압축 공기는 유체잔여분이 배출노즐(25)에 남는 것을 제거(청소)할 수 있다. 첵밸브(23)가 닫힌 후, 복원스프링(20)은 피스톤 조립체(9)전부와 압축공기 펌프 실린더(52)를 복원 스프링과 함께 처음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로인해 펌프 챔버(14)내에는 진공이 형성되어 유체는 입구통로(19)에 설치되어 거의 용기 밑부분까지 전개하는 라이저(47)에 의해 가흡입실내로 발려들어간다.
압축실(62)내의 진공과 동시에 압축공기 흡입밸브(53)가 열리며 출구밸브(54)가 닫힌 경우는 공기가 피스톤 조립체(9) 또는 펌프피스톤(10)의 뒷쪽끝과 압축공기 펌프 피스톤(51)의 뒷부분 사이로 압축실(62)내로 빨려들어가거나 압축공기 펌프 피스톤 뒷부분으로 들어간다. 밸브구멍(39)의 열림에 따라 밸브(32)가 열리면 액체가 가흡입실(17)로 부터 펌프실(14)로 들어가 펌프실은 다시 채워지고 분출장치는 다음 행정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이 준비위치에서, 용기(5)로의 통풍연결은 펌프 피스톤(10)의 뒷쪽피스톤 립에 의해 꼭 닫히게 되고 이와 반면에, 펌프 행정중 패스 오버밸브(32)의 열림의 직후 이 피스톤 립이 열리게 된다. 전술한 구성은 매 펌프 행정마다 분출되는 유체량의 주사량을 아주 정확하게 할 뿐 아니라 분출장치는 간단하고 소형으로서 대게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 방향과 오버헤드위치 그리고 후자의 경우 출발위치에서의 피스톤 조립체에 의한 용기에서의 유출이 분출장치에 의해 방지된다.
제5 내지 14도에 있어서, 동일한 해당부위는 앞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나 다른 글자를 이어 붙여 사용한다. 그러므로 앞선 설명은 이후에서도 역시 해당하며, 특징과 효과도 거의 차이가 없다.
제5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끝노즐(81a)의 노즐통로는 역시 단면구조로 단층으로 되어 있고, 입구구멍(83a)에 이은 일정폭 간격으로 대략 동일한 길이의 원추형으로 둔각으로 되며, 넓은 끝은, 노즐끝 구멍(80a)을 이룬다. 노즐(82)의 노즐출구구멍(84a)은 단면구조로, 노즐축(69a)에 평행한 내부 플랭크를 갖는 예각의 링모서리를 갖는다. 압축공기 흐름 또는 채널부(89a)는, 단일 노즐(81a)과 마주보는 혼합실(86a)끝면의 평면에 위치하며, 단면구조로 둔각 으로 되어있고 V형의 환상홈으로 둘러져 있으며 한측면 플랭크 박리(tear- off)모서리(91)의 링 외부 플랭크를 이루는 유동박리 모서리부근에서, 발생한다. 이 환상홈(92)은 압축공기의 선회장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결과로 압축공기는 박리모서리(91) 또는 그 링외부플랭크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박리 모서리(91)는 앞쪽의 단일 노즐의 입구영역 및 끝모서리 또는 반경방향안을 가르키는 완만한 모서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시, 노즐(81a)의 축방향으로의 신장(길이)은, 선택적으로 챔버(86a)의 축신장을 포함하여, 노즐(82a)의 신장보다 훨씬 적다. 한편, 입구 구멍(83a)직경은 개략 환상홈(92)의 가장 낮은 지점의 직경정도된다.
제6도에 따르면, 압축공기의 채널의 구멍은 챔버(86b)로서 노즐축(69b)을 둘러싸 두개의 압축유동이 단지 노즐(81b)의 노즐 채널 주위에서만 만나도록 그리고 또는 동 배출방향으로 만나도록 하고, 가분무화된 유체유동 주위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흐름은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감싸는 식으로 노즐축(69a)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유동한다. 이 경우에 노즐출구(84b)의 둘레에는 노즐축(69b)에 오른각으로 각 노즐(82b)의 환상 단면(9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외주에서의 상기 단면은 관련단면(78b)의 형상을 하는 환상홈(92b)에 의해 형성된 챔버(86b)의 링 내부 플랭크로 통한다. 단면(91b)의 외측폭은 출구(84b)주위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입구(83b)의 내측폭보다 작다. 둔각의 프러스텀(frustum)의 형상일 수 있는 단면(91b)이 입구(83b)의 면에 적어도 근접하여 위치되며, 이로써 각 노즐(81b)의 통로의 두말단이나 마주한 외측 말단 사이의 또는 구멍(80b)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된 출구(84b)의 위치는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배출노즐(25b)은 노즐축(69b)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되고 및 또는 대략 동심인 바로 인접한 각각의 노즐(81b,82b)을 대략 적오도 2개 정도 갖는다. 그중 끝 노즐(81b)은 노즐끝 구멍(80b)을 형성하고 단지 유체 출구통로에 연설된 다른 유체노즐(82b)은 노즐끝 구멍(80b)에 대해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82b)이 다른 노즐(81b)에 동심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두 노즐에 의해 형성된 환상의 노즐통로는 외방 또는 배출방향으로 적당하게 원추형으로 경사져서 내측 노즐의 외주와 외측노즐의 내주가 모드 경사짐으로서 이 두 주면의 원추각은 압축 기류용으로 구비된 환상노즐통로의 통로단면적이 약간 감소하는 식으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이 경우나 다른 경우에 중간노즐의 노즐통로는 관련출구를 형성하고 깔때기 형상의 넓은 단부를 가지므로서 상기 노즐통로는 그 말단들간에서 압축되고 이는 원추형이며 및 또는 양 말단을 향해 계단적으로 넓어진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배출노즐(25c)상의 두개의 선회장치(86c,87c)를 나타내며, 제6도와 유사한 구성을 한다. 통로부(89c 또는 88c)가 노즐축(69c)주위의 링통로의 공간에서 관련 선회장치(86c 또는 87c)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이 관련 선회방향에 방사상으로 또는 집선적으로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압축가류는 링통로(93 또는 94)에서 선회방향으로 로우터리식으로 회전한다. 이는 링통로(93 또는 94) 또는 그의 내주의 관(95 또는 96)으로부터 안쪽으로 뻗어있으며, 주위에 관련 노즐체와 일체로 구성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링통로(93 또는 94)보다 훨씬 좁은 통로단면을 가지며 관련기류방향에서 연속적으로 경사지거나 일정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선회장치에 있어서, 중심축에 하나이상의 고나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관들(95 또는 96)의 통로 단면적의 합은 관련 링통로(93 또는 94)보다 적당히 더 크다. 관(95 또는 96)은 주위가 관련가이드체로 되어 있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선회장치(87c)의 경우에서 노즐(82c)의 노즐통로의 후단주위의 환상공간에 해당하며 다른 선회장치(86c)의 경우에서는 노즐(82c)이나 노즐(81c)의 입구영역 주위의 황상공간에 해당한다.
관(95,96)은 모두 압류의 선회회전 방향이 동일 또는 반대방향을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관련내면에 접선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방향인 경우, 특히 가속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반대방향인 경우, 특히 현저한 선회작용을 얻을 수 있다. 선회장치(86c,87c)나 가이드체 및 관(95,96)의 측면경계가 이 경우에 노즐끝판(75c)이나 노즐캡(71)의 멀리 떨어진 말단며의 대응형상에 의하여 배타적으로 형서되어, 내부몸체(72c) 및 노즐끝판(74c)의 마주한 끝단면이 판상의 구조를 할 수 있으며 일측에서 통로와 챔버를 경계짓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선회실을 경유하는 액체를 안내만하고 공기가 직접 노즐에서 환상 통로를 경유하여 유동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선회실을 경유한 공기를 안내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0도는 이중회전 배출노즐(25d)을 나타내며, 여기서 유체는 제1단계로 당해 유동방식으로서 미립화 즉 선회장치(87d)내에서 미립화를 가져오고 그리고, 제2의 선회 즉 분무(미립화)장치(86d)로서 동일 또는 반대방향으로 선회유동을 발생하게 하며 특히 가속을 동반하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노즐(82d)의 노즐통로의 출구구멍(84d)이 노즐축(69d)외측으로 및 또는 동 반대적으로 경사식으로 형사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축(69d)에 대해 약 45° 또는 그 이상 경사지는 노즐채널이며, 그의 입구구멍(85d)은 노즐축(69d)에 대해 편심적으로 즉 간격식으로 위치한다. 압축공기의 공급은 선회실(86d) 또는 후속 및 별도의 챔버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1도는 배출장치(1e)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펌프행정과 관련된 작동경로의 초기에 핸들(22e)이 압축공기펌프(50e)만을 작동한 다음, 유체 펌프(2e)를 작동하고 바람직하게는 양 펌프에 피스톤 로드(21e)에 의해 형성된 작동로드가 있으며, 이는 유체 펌프(2e)의 작동이나 이동시에 스톱-한계 아이들(idle)운동을 한다. 이것 대신이나 이것을 더하여, 유체 펌프(2e)의 펌프행정의 끝에서 그리고 압축공기 펌프(50e)의 후속작동까지 핸들(22e)은 후속 또는 여분의 경로를 거쳐서 펌프(50e)가 이미 수행된 펌프행정에 연속하여 펌프(2e)의 행정끝에서 후속하는 여분의 행정으로 더 작동될 수 있다.
첫 번째의 경우에서, 유체 펌프(2e) 행정의 개시전 또는 입구나 패스오버밸브의 밀폐전이나 후 그리고 적어도 압력실(62e)에서 아이들 운동으로 인하여 초과압이 형성되거나 스프링하중 플레이트 밸브로서 구성되는 대응 출구밸브(54e)의 경우에서도 유체 출구 밸브(23e)의 개방에 앞서 압축공기는 배출노즐(25e)로 이송된다. 두 번째의 경우에서 유체 펌프(2e)의 행정 끝에 후속으로 압축공기는 배출노즐(25e)로 더 공급되고 그 결과 잔여유체 입자가 없도록 세정, 또는 블로우잉될 수 있다.
제11도의 예에서, 피스톤 로드(21e)는 직선위치로 스프링 하중된 관상의 신축자재로드로서 구성되며 외부 로드부(97)는 펌프 피스톤(10e)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 로드부(98)는 삽입부재(64e)에 의해 핸들(22e)에 견고하게 연설된다. 두개의 로드부(97,98)는 압축공기펌프피스톤(51e)과 부시(63e)의 단면 사이의 압축실(62e)의 공간에서 서로 계합되고 내부 로드부(98)의 단면을 핼리컬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스트레칭 스프링(99)의 일단에 의해 지지되며, 다른 말단의 면은 로드부(97)에 의해 지지되고, 로드부(97)는 가흡입 피스톤(11e) 또는 유체 출구밸브(23e)의 밸브밀폐부(26e)에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트레칭 스프링(99)은 밸브 스프링에 상반되게 작동하며 소정의 스프링 인장력에 도달했을 때, 출구밸브(23e)가 실질적으로 이동에 의존하여 개방되기 시작할 수 있다.
스스로 또는 로드부(97,98)의 소정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에 있어서, 스트레칭 스프링(9)은 제1단계에서 스프링(99)에 의해 형성된 저항력이 유체 펌프(2e)의 복원스프링의 인장력에 비해 작아서 핸들(22e)의 작동경로의 초기에서 압축공기펌프(50e)만이 작동되고, 선회유체 펌프(2e)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남는 방식인 단계적 스프링 특성을 갖는다. 제2단계에서 스트레칭 스프링(99)의 저항력은 압축공기펌프(50e)와 실질적으로 동기하여 작동되는 유체펌프(2e)의 복원스프링의 인장력 정도로 급격히 증가한다. 유체펌프(2e)의 이동의 끝에서 잔여경로는 스트레칭 스프링(99)의 상승된 저항력에 대하여 압축공기 펌프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압축공기펌프(50e)의 펌프행정의 말단위치는 피스톤 장치(9e)나 피스톤로드(21e)의 로드부(97)의 단면에 타격되는 핸들(22e)에 의해 적당히 한정되며, 여기에 부시(63e)나 삽입부재(64e)의 단면을 가격한다.
제1도 내지 3도의 예에서, 출두통로(24e)나 축(28)의 외주에 구비되지만, 제11도에서는 관상축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 내지 3도의 예에서, 유체물로 충전되지 않는 상태의 펌프실(14)은 비교적 용이하게 통풍될 수 있고 유체 펌프(2)의 행정 말기에서 펌프 피스톤(10)이 중지, 고정된 후, 도그(40)에 의해 핸들(22)을 더 가압함으로서 출구 밸브(23)는 기계적으로나 이동 의존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1도의 예에서는 그러한 배치를 하지 않지만, 도그가 압축공기 펌프(50e)의 펌프행정의 말단위치의 직전에 축(28e)의 말단에 도달한다면 상기한 것이 가능하다. 축(28e)은 로드부(98)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그 둘레에는 로드부(97)내에 위치된 스트레칭 스프링(99)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압축공기펌프(50e)나 핸들(22e)은 케이싱부, 특히 유체 펌프(2e)이 실린더 케이싱(3e)의 슬리이브(46e)나 스톱(59e)에 대하여 한정적으로 중지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펌프 피스톤(52e)은 말단에서 스톱(101)으로서 내측방향의 칼러를 구비하며 이것은 외주로 돌출한 실린더 케이싱의 칼러인 대응스톱(102)과 관련되며 스냅요소(58e)용 대응부재의 공간에 위치한다. 스톱(101) 및 대응스톱(102)는 공기가 압력공기펌프(50e)로 공급되고 용기의 통풍이 외측으로 기밀 밀봉되는 초기위치에서 서로 밀봉계합될 수 있다.
제11도의 예에서, 유체출구밸브(23e)가 펌프피스톤(10e)의 공간이나 관련 실린더 하우징(3e)에서 수평적으로 위치되며, 후방의 유동방향에서의 유체출구통로가 축(28e)과 로드부(97)사이에서 축(28e)에서의 가로공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출구밸브(23e)에 연설되며, 제12도의 예에서, 유체출구밸브(23f)는 압축공기밸브(50f)의 공간이나 핸들(22f)의 핀부시(67f)내에서 실린더하우징(3f)의 외측에 구비되며 이 경우에 핸들이나 압축공기펌프 실린더(52f)는 피스톤 축(21f)의 일 성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밸브(23f)는 니들이나 핀 밸브, 첵밸브, 유체압력에 영향을 받는 제어 피스톤 작동밸브 및 특히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9 02 624호에 따른 호오스 밸브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밸브(53f)는 배출노즐(25f)에 매우 밀접하게 혹은 그로부터 멀리떨어진 내부 몸체(72f)의 측부의 바로 옆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와 노즐 채널간 각을 이룬 채널이 구비되며, 여기서 소량의 유체잔류물만이 남고, 압축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용이하게 세정이나 블로우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압축공기출구밸브(54f)는 스프링하중 보올 밸브이며, 압축공기 펌프나 핸들(22f)의 실린더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밸브 케이싱은 이것이 압축 공기 채널부(89f)의 하나의 다리에 직적 연설되는 형태로 펌프축과 배출 노즐(25f)사이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압축공기 펌프 실린더(52f)는 칼러형상부(59f)의 내주에서 작은 간극과 계합하며, 유사하게 분할면(8f)은 스크로우캡으로서 구성된 한 조각의 캡(4f)으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 유체펌프(2f)는 이중피스톤을 갖지 않으며 대신에 피스톤장치(9f) 상에 단일 펌프피스톤(10f)을 가지며, 이는 필수적으로 환형의 피스톤 디스크에 의해 형성되고, 정면 및 또는 후면 말단은 원추형으로 넓어지는 피스톤립으로 돌출되어 있다. 펌프 스트로크의 끝 위치에서 정면 피스톤립은 오프셋링 쇼울더에 의해서 형성된 바닥면(18f)에 계합되고 입구채널(19)을 향한 방향으로, 복수의 오프셋으로, 외주로 감소되는 실린더 케이싱(3f)의 단부로 이동한다. 상기 단부에서 흡입밸브(32f)로서 보올밸브의 형태인 첵밸브는 부분(33f)를 밀폐하는 구상의 밸브와 콘형의 밸브시트(34f)를 구비한다.
실린더 케이싱(3f)은 이것의 외측말단에서 외주에 걸쳐 돌출한 링플랜지(6f)와 한조각으로 구성되며 바닥벽에서의 자유단면으로 지지되며 그리고 용기목에 대해 멀리떨어지고 있고 환상의 단면으로 지지되어 가스킷(42)에 대응하는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외측말단에서 실린더(12)나 실린더 케이싱(3f)은 피스톤 축(21f)에 의해 이동되는 링이나 부시형 실린더 커버(7f)에 의해 밀폐되고 외주에 걸쳐 돌출한 칼러에 의하여 분할면(8f)에서 축방향 지지된 형태로 링플랜지(6f)의 내부홈에도 밀봉된다. 실린더 케이싱(3f)의 주변 표면 및 펌프피스톤(10f)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펌프피스톤의 뒤의 피스톤립에 대응하는 외주에 돌출한 실린더 커버(7f)의 내부 원추형 말단은 스톱으로서 펌프피스톤(10f)이나 피스톤 디스크의 후면의 단면에 비교적 날카로운 링가장자리와 계합하여 밀봉이 압축공기 펌프(50f)에 대해 또한 얻어진다.
피스톤 축(21)은 아이들 운동에 의해 펌프피스톤(10f)에 대하여 출발위치로부터 이동자재하고 이로써 펌프(50f)가 작동되고, 반면 유체펌프(2f)는 펌프피스톤(10f)을 통하여 작동되지 않고 정적으로 남는다. 아이들 운동의 끝에서 피스톤 축(21f)은 펌프피스톤(10f)의 피스톤디스크 위를 도그로 가격하고, 이것을 행정말단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실린더 커버(7f)내의 출발위치에서, 압축공기펌프(50f)의 외측에 위치된 도그(103)는 피스톤축(21f)의 링쇼울더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은 펌프실린더(52f)나 핸들(22f)에 연설된 로드부(98f)의 말단면에 의하여 번갈아 형성되거나 한 조각으로 구성되고 소켓이나 부시(67f)의 외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할 수 있다.
특히 유체출구밸브(23f)의 부분(26f)을 밀폐하는 밸브가 이동자재인 장치의 경우에서, 피스톤 축(21f)은 신축 자재로드의 형태로 구성되며, 출구 채널(24f)을 형성하는 내부의 관상로드부(28f)는 밸브밀폐부(26f)의 관련말단의 부근에 형성된다. 피스톤축(22f)이나 로드부(28f)는 피스톤 디스크에서의 통로 개구부의 부군에서 펌프피스톤(10)을 통과하고, 이로서 펌프피스톤(10f)의 내주에는 상기 로드부(28f)의 외주에 밀봉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립이 있다. 펌프실(14f)내에 위치된 말단에서 로드부(28f)는 외주에 걸쳐 돌출한 로드칼러(105) 또는 펌프피스톤(10f)의 후퇴행정을 위한 구동부재를 가지며 피스톤 디스크의 관련단면을 가격할 수 있꼬 복원스프링(40f)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압축공기펌프(50f)의 펌프피스톤(51f)의 외부 및 내부 피스톤립(56f 및 57f)은 유체펌프(2f)나 압축공기펌프(50f)보다 더욱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적이고, 내부 피스톤립(57f)는 실질적으로 링플랜지(6f)나 실린더 케이싱(3f)내에 위치되며, 반면에 외부피스톤립(56f)은 외방으로 기동되고 적어도 칼라(59f)의 외측말단이나 그 뒤까지 확장될 수 있다. 펌프피스톤(51f)은 실린더 커버(7f)나 링플랜지(6f) 및 분할면(8f)의 중앙에 위치하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닥벽과 피스톤립(56f)간의 외주에 복수의 계단식으로 프로필된 주면부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밀봉의 형태로 삽입된다.
제13도는 핸들(22h)의 이동에 대해 지연되는 유체출구 채널(24h)이나 압축공기채널(90h) 혹은 상기 두 채널의 개방을 위한 제어장치(106)의 양호한 구성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 밸브본체(27h 또는 65h)를 작동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압축공기실(62h)에 압축공기의 압축에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107)이 있다. 밀폐방향에 스프링하중을 받는 제어피스톤(107)이 압축공기출구밸브(54h)의 밸브본체(65h)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컵형상의 칼러슬리브를 형성하며, 일단에 구비된 칼러는 밸브본체(65h)를 형성하고 링디스크형 바닥면에 의해 다른 말단에서 밀폐되며, 피스톤축(21h)에서의 유동방향과 반대로 돌출한 쇼울더와 함께 밸브시트(27h)를 형성하고, 이는 피스톤축(21h)에 견고히 위치된 부분인 밸브밀폐부(26h)와 연관될 수 있거나 축(28h)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제어피스톤(107)의 주면은 피스톤축(21h)의 관련말단의 외주에 가이드되거나 통상의 밸브스프링(66h)에 관하여 두개의 밸브의 개구경로에서 주위에 삽입부재(64h)의 슬리브에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두 통로경로, 즉 채널부(88h)와 다른 채널부(89h) 및 압축 공기통로(90h)의 상호의 밀폐에 대하여, 제어피스톤(107)이 바닥벽의 부근에 위치된 밀봉립(108)과 함께 부시(63)의 진행경로에 밀봉적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진행경로는 밸브스프링(66h)에 대한 환형틈새에 따라 제공된다.
가압가스와 이에 관한 유체의 접촉제어용 제어장치(106)는 압력실(62h)에서 소정의 압력에 도달했을 때 배출노즐(25h)에 대하여 가압가스와 유체의 제어를 동시에 하는 제어장치(106)는 동시에 성공적으로 양 노즐을 모두 개방하며, 여기서 초기에 상기 초과압에 의해 출구밸브(54h)의 밸브밀폐부(65h)는 개방위치로 움직인다. 따라서 케어피스톤(107)과 밸브밀폐부(65h)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밸브시트(27h)는 동시에 또는 지연되는 식으로 밸브 밀폐부(26h)로부터 상승하고 이로서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유체 출구밸브(23h)는 압축공기출구밸브(54h)와 동시에 또는 그에 앞서 다시 밀폐된다. 따라서 제어장치(107)는 유체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압축공기 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바람직하기로는 다른 밸브의 앞에서 개방되고 및 또는 뒤에서 밀폐되는 압축공기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갖는다.
제14도는 적어도 압축실의 일부에서 압축실로부터의 압축기류의 적으도 일부분을 역류시키기 위한 제어장치(106i)에 나타나며, 특히 배출노즐(25i)에서 혹은 그 뒤에서 따르는 말단부나 바람직하기로는 압축공기압에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107i)은 작동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밸브본체를 구비한다. 이것 대신에 혹은 부가적으로 유체출구채널(24i)에서 압력에 영향을 받는 제어펌프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압축공기출구밸브(54i)나 플레이트밸브가 아닌 슬라이드 밸브로서 구성되고 링 밀봉립의 형태인 슬리브형 밸브밀폐부가 제어피스톤(107i)의 외주에 슬리이브 밸브로서 구비되며, 밸브스프링(66i)에 대해 링간극을 포함하는 압축공기채널(90i)의 내주면상에의 밸브슬롯의 면으로 그리고 면으로부터 양쪽 모두 이동가능하다. 밸브슬롯(109)은 삽입부재(64i)의 칼러형 케이싱에 단순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공기펌프(50i)의 압축공기실에서 압력이 초과하는 경우, 밸브 밀폐부(65i)가 압력실의 방향에서 돌출하여 있는 환형의 제어피스톤(107i)은 밸브 스프링(66i)의 인장력에 반대로 이동하여 밸브 밀페부(65i)의 밀봉립이 밸브 슬롯이 없는 영역에서 밸브슬롯(109)이 있는 영역으로 통과하며, 따라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실에서 압축공기 채널(90i)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동 방향으로 돌출하는 그리고 밸브 밀폐부(65i)와 유사한 해당 슬리브형 밸브 밀폐부(111)를 제어 피스톤(107i)의 원주 내면상에 주어, 제어장치(106i) 또는 콘트롤 프시톤(107i)은 또 다른 공기밀폐밸브(110)를 작동시킨다. 상기 밸브 밀폐부(111)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밸브구멍(112)링의 적어도 하나에, 바깥원주면상에 연결시키며, 상기 밸브구멍(112)은 삽입부재(64i)의 슬리이브내에 반경구멍형태로 간다히 주어지는데 이는 피스톤 샤프트(21i)의 접속단부 사이의 환상채널속으로 나 있으며, 그의 슬리이브로서 유체채널부(88i)속으로 통한다.
시작위치에서, 압축공기 출구밸브(54i)와 미끄럼밀폐밸브(110)는 연결된 밸브밀폐부(65i,111)에 의해 닫힌다. 상승하는 압축공기 과압하에서, 제어피스톤(107i)은 초기에 통로의 일부를 지나자마자 공기 밀폐밸브(110)가 열리고 따라서 압축공기는 액체통로 즉 채널부(88i)내로 유동한다. 유체채널부 내에 동시에 운반된 액체에 대한 압축공기행정으로서, 역류가 발생하고 선택적으로 압축공기실내에 더욱 상승하는 압력으로, 제어피스톤(107i)은 밸브스프링(66i)장력에 대응하여 더욱 역으로 이동하여 초기에 밀폐된 압축공기 출구밸브(54i)가 열리고 압축공기는 채널부(89i)로 흐를 수 있다. 만약 액체흐름이 방해되면, 예로서, 유체펌프 행정단부에서 방해되면, 출구밸브(54i)는 역류 즉 역압(맞서는 압력)부족으로 인해 열기게 있고 따라서, 제어피스톤(107i)이 해당 일부 주행로에 후퇴한다. 그러나 밀폐밸브(110)는 열려 있는 상태로 남아있고 따라서 여전히 압축공기실내의 압력존재하는 공기가 해당 유체통로속으로 즉 채널부로 유동하여 마찬가지로 배출노즐(55i)을 포함하여 깨끗하게 한다. 또한 이를 기계적으로 역으로 변위에 의한 식으로 조절함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두개의 별도의 유체 즉 예로써, 배출할 액체와 압축가스 또는 또 다른 유체를 위한, 앞서 설명한 두개의 별도의 압력원 조합외에, 배출장치의 각 요소예로서, 펌프들, 그의 구성요소, 밸브, 제어(조정)수단, 그리고 배출노즐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특징적인 조합을 이루고 있다.

Claims (19)

  1. 배출출구(25)로 안내하는 유체 출구 채널(24)에 연결된 압축실(14)을 가지며 기본 지지체(4,46)를 포함하며 핸들(22)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유체 배출기(2)와, 하나 이상의 압축 공기 채널(90)에 의하여 배출 출구(25)에 최소한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압축 공기실(62)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수동 작동가능 압축공기 배출기(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배출기(50)는 상기 유체 배출기(2)의 작동축(24)에 의하여 관통되고 상기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배출 피스톤(51)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51)은 상기 기분 지지체(4,46)에 대향하여 축방향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공기실(62)에서의 공기압에 대향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상기 유체 배출기(2)와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특히 핸들(22)과 동시에 작동 가능한 유체 수동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유체 배출기(2)에 대하여 거의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체 배출기와 비교할 때 바람직하기로는 펌프 일 행정당 더 많은 송출량 특히, 더 큰 피스톤 또는 실린더직경을 갖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유체 배출기(2)의 거의 연장된 지점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기로는 핸들(22)과 대면하는 그 측면상에 배치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와 상기 유체 배출기(2)중의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두개의 펌프는 트러스트 피스톤 펌프로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핸들(22)로 작동가능하며, 배출 출구(25)을 운반하며 작동 헤드로서 구성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유체 배출기(2)에 바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체 배출기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일체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유체 배출기(92)의 피스톤 샤프트(21)에 의하여 관통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상기 캡형 핸들(22)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기로는 그 캡 원주 표면이 펌프 행정위를 이동 가능한 압축 공기 배출기(50)의 펌프 실린더(52)를 행성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의 특히 환상의 배출 피스톤(51)은 유체 배출기상에, 바람직하기로는 유체 배출기(2)의 실린더 케이싱(3)의 접속 단부상에 스냅 연결부에 의하여 배열되고, 특히 실린더 케이싱(3)의 연결 기둥형 단부는 핸들(22)에 의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돌출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그 바깥 단부에서 유체 배출기(2)의 펌프 케이싱(3)을 닫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압축 공기 배출 피스톤(51)은 유체 배출기(2)용의 실린더 커버(8)를 형성하며, 두 펌프의 두 실린더 구역을 왕복 운동 가능한 밀폐식으로 분리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배출기(50)는 압축 공기 배출 피스톤(51)과 대면하는 피스톤 샤프트(21)주위의 핸들(220)에 바람직하기로는 삽입되는 과압 밸브 형상의 배출 밸브(54)를 가지며, 특히 압축 공기실(62)는 압축 공기 배출실(50)의 압축실로 이루어지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배출기(50)내에 설치된 캡슐로 보호된 입구 밸브(53)는 외부로부터 공기 흡입을 위하여 제공되고, 입구 밸브(53)는 바람직하기로는 배출 피스톤(51)에 배열되고 특히 가동 밸브 밀폐 요소(60)의 형상으로 부가 요소에 의하여 단지 형성된 유체 수동 배출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배출기 행정의 초기 위치의 유체 배출기(2)의 압축실(14)은 압축 해제 목적을 위하여 특히 미끄럼 밸브로서 구성된 입구 밸브(32)를 거쳐 개방되고 그리고 유체 출구 밸브(23)가 개방될때까지 다음의 행정에서 닫혀지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배출기(50e)의 배출밸브(54e)는 유체배출기(2e)의 출구밸브(33e)에 앞서 열리고 그리고 유체 배출기(2e)의 출구 밸브(23e)뒤에 닫히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채널(90) 또는 유체 출구채널(24)이 늦게 열리도록 한 조정장치(106)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바람직하기로는 압축 공기압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조정 피스톤(107)이 하나 이상의 가동 밸브체(27h,65h)를 작동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출구(25i)에서 또는 유체 출구 채널(24i)에서의 압축 공기 흐름의 일부분 이상을 역전시키기 위한 조정 장치(106i)에 의하여 바람직하기로는 유체 출구 채널(24i)의 압력 또는 압축 공기압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조정 피스톤(107i)이 하나이상의 가동 밸브체(65i,111)를 작동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106i)는 돌이상의 분리된 압축 공기 밸브(54i,110)를 작동하며, 이는 바람직하기로는 동일한 채널부(88i,89i)를 거쳐 배출 출구(25i)의 노즐 채널의 상이한 부분으로 안내하며, 상기 동일한 채널부(88i,89i)를 거쳐 노즐 채널부는 또한 특정 연결 펌프에 연결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의 복원 스프링(20)은 두 펌프를 위하여 제공하고, 이는 바람직하기로는 또한 유체 배출기(2)의 배출 밸브(23)의 밸브 스프링을 형성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배출채널(24)과 압축 공기 채널(90)은 배출 출구(25)로 분리되어 안내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압축 공기 채널(90)이 배출 출구(25)의 노즐 채널로 유체 유출 채널(24)을 지난 후의 배출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19. 배출 출구(250)로 안내하는 유체 출구채널(24)에 연결된 압축실(14)을 가지며 핸들(22)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유체 배출기(2)와, 하나 이상의 압축 공기채널(90)에 의하여 상기 배출 출구(25)에 최소한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압축 공기실(62)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수동 작동 가능한 압축 공기 배출기(50)로 이루어지며, 조정 장치(106)는 상기 핸들(22)을 작동하는데 대하여 상기 압축 공기 채널(90)과 상기 유체 배출채널(24)중 하나 이상의 채널이 늦게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조정장치(106)는 하나 이상의 가동 밸브체(27h,65h)를 작동하기 위한 압축 공기압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조정 피스톤(107)을 포함하는 유체 수동 배출장치.
KR1019890700420A 1987-07-08 1988-07-05 유체 수동 배출장치 KR970009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22469.7 1987-07-08
DE19873722470 DE3722470A1 (de) 1987-07-08 1987-07-08 Handbetaetigbare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19873722469 DE3722469A1 (de) 1987-07-08 1987-07-08 Handbetaetigbare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PCT/EP1988/000597 WO1989000085A1 (en) 1987-07-08 1988-07-05 Hand-operated applicator for med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25A KR890701225A (ko) 1989-12-19
KR970009563B1 true KR970009563B1 (ko) 1997-06-14

Family

ID=2585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20A KR970009563B1 (ko) 1987-07-08 1988-07-05 유체 수동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147087A (ko)
EP (4) EP0309010B1 (ko)
JP (2) JP2841202B2 (ko)
KR (1) KR970009563B1 (ko)
AT (2) ATE134166T1 (ko)
AU (2) AU622620B2 (ko)
CA (2) CA1337721C (ko)
DE (4) DE3722470A1 (ko)
ES (1) ES2083362T3 (ko)
RU (2) RU2067896C1 (ko)
WO (2) WO1989000085A1 (ko)
ZA (1) ZA88490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84B1 (ko) * 2013-03-29 2014-08-12 이중우 공기 압축 및 배출 조절 모듈이 구비된 무전원 휴대용 구강 세정기
WO2017171238A1 (ko) * 2016-03-28 2017-10-05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5527C2 (de) * 1990-02-22 2003-04-30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mit einer handbetätigten Pumpe
DE3911510A1 (de) * 1989-04-08 1990-10-11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8907977U1 (ko) * 1989-06-30 1990-10-31 Wella Ag, 6100 Darmstadt, De
FR2656900B1 (fr) * 1990-01-10 1994-01-28 Oreal Pompe manuelle a precompression pour la pulverisation d'un liquide, notamment d'un parfum.
DE4042708C2 (de) * 1990-02-22 2003-06-12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mit einer handbetätigten Pumpe
DE4005529A1 (de) 1990-02-22 1991-08-29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kopf fuer medien
DE4011537A1 (de) * 1990-04-10 1991-10-17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indestens ein medium
DE4015367A1 (de) * 1990-05-12 1991-11-1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indestens ein medium
DE4027749A1 (de) * 1990-09-01 1992-03-05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CA2073256C (en) * 1990-11-07 1999-01-26 Shoji Uehira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DE4035688A1 (de) * 1990-11-09 1992-05-1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4108646A1 (de) * 1991-03-16 1992-09-17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4110302A1 (de) * 1991-03-28 1992-10-01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US5348189A (en) * 1991-04-10 1994-09-20 Bespak Plc Air purge pump dispenser
FR2677617B1 (fr) * 1991-06-17 1995-01-06 Oreal Dispositif pour la pulverisation d'un liquide susceptible de durcir en sechant, en particulier d'une laque, et bouton-poussoir pour un tel dispositif.
FR2684081B1 (fr) * 1991-11-26 1994-01-28 Oreal Pompe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et recipient distributeur equipe d'une telle pompe.
US5397059A (en) * 1992-03-20 1995-03-14 L'oreal Dispenser equipped with a liquid pump and a pressurized gas/liquid nozzle
FR2688714B1 (fr) * 1992-03-20 1994-06-17 Oreal Distributeur de liquide equipe d'une pompe de distribution et pompe de distribution pour un tel distributeur.
FR2688711A1 (fr) * 1992-03-20 1993-09-24 Oreal Buse de distribution.
CN1059361C (zh) * 1993-02-09 2000-12-13 埃尔赫南·塔沃尔 雾化器
US5458289A (en) * 1993-03-01 1995-10-17 Bespak Plc Liq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reduced clogging
US5350116A (en) * 1993-03-01 1994-09-27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JPH0669161U (ja) * 1993-03-05 1994-09-27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出し容器
GB9311215D0 (en) * 1993-05-29 1993-07-14 Metal Box Plc Spacer
FR2708908B1 (fr) * 1993-08-11 1995-10-13 Oreal Bouton-poussoir à buse de pulvérisation destiné à être monté sur un distributeur et distributeur équipé d'un tel bouton-poussoir.
DE4331279A1 (de) * 1993-09-15 1995-03-16 Siemens & Co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Aerosols
DE4227899A1 (de) * 1993-09-24 1994-02-24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eeinrichtung für fließfähige Medien
US5664706A (en) * 1994-10-13 1997-09-09 Bespak Plc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in aerosol spray form
US5570840A (en) * 1994-10-14 1996-11-05 Fourth And Long, Inc. Hand-held spraying apparatus
IT1274467B (it) * 1995-05-10 1997-07-17 Guala Spa Dispositivo di pompaggio per spruzzatori nebulizzatori di liquidi utilizzanti aria come fluido nebulizzatore
FR2737198B1 (fr) * 1995-07-24 1997-09-26 Oreal Tet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sous forme d'aerosol et distributeur muni d'une telle tete
US6050457A (en) * 1995-12-06 2000-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pressure manually-actuated spray pump
US5756155A (en) * 1996-01-22 1998-05-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Combination nozzle and vacuum hood that is self cleaning
DE19606701A1 (de) * 1996-02-22 1997-08-28 Caideil M P Teoranta Tourmakea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FR2748407B1 (fr) * 1996-05-07 1998-08-28 Valois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u type biphasique pour un produit fluide ou pateux
GB2318737B (en) * 1996-10-30 2000-06-14 Bespak Plc Improved inhalers
DE19723134A1 (de) * 1997-06-03 1998-12-10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EP0930102B1 (en) * 1997-08-13 2006-08-09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 liquid sprayer
DE19813078A1 (de) * 1998-03-25 1999-09-30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enders
JP3906953B2 (ja) * 1998-03-30 2007-04-18 株式会社資生堂 噴霧容器
US5992765A (en) * 1998-04-24 1999-11-30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Mechanical break-up for spray actuator
US6446840B2 (en) 2000-05-18 2002-09-10 Ophardt Product Kg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foam
US6612468B2 (en) 2000-09-15 2003-09-02 Rieke Corporation Dispenser pumps
FR2827528B1 (fr) 2001-07-20 2004-07-09 Oreal Tete de distribution comportant deux buses
ATE459427T1 (de) 2002-05-27 2010-03-15 Pecoso S L Dosierventil und -pumpe für fluidstoffe
ES2235564B1 (es) * 2002-05-27 2007-02-01 Pecoso, S.L. Valvula dosificadora de substancias fluidas.
DE10244795A1 (de) * 2002-09-26 2004-04-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AU2003295088A1 (en) * 2002-12-13 2004-07-09 Incro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mp-action nozzle devices
DE10306686A1 (de) * 2003-02-12 2004-08-26 Ing. Erich Pfeiffer Gmbh Austragvorrichtung zur manuellen Erzeugung eines Volumenstroms
AU2004213216A1 (en) * 2003-02-18 2004-09-02 Incro Limited Dispenser pump
FR2852934B1 (fr) * 2003-03-27 2005-12-23 Rexam Dispensing Sys Distributeur de produit comprenant une pompe a actionnement par poussoir
GB2400839B (en) * 2003-04-22 2005-10-19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US6971557B2 (en) * 2003-06-19 2005-12-06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for a pressurized material dispenser
US7004356B1 (en) * 2003-07-28 2006-02-28 Joseph S. Kanfer Foam producing pump with anti-drip feature
GB0328003D0 (en) * 2003-12-03 2004-01-07 Quill Internat Ind Plc A mist-spraying apparatus
US7802701B2 (en) * 2005-01-14 2010-09-28 Rieke Corporation Up-lock seal for dispenser pump
NL1031092C2 (nl) * 2006-02-07 2007-08-08 Airspray Nv Zelfreinigende schuimafgifteinrichting.
NL1033149C2 (nl) * 2006-12-29 2008-07-01 Afa Polytek Bv Doseerinrichting die bestaat uit een houder met een hals en een door een klikkoppeling daarmee verbonden doseerkop.
WO2009038452A1 (en) * 2007-09-17 2009-03-26 Rexam Airspray N.V. Foam dispensing assembly
CN104353162A (zh) 2007-11-29 2015-02-18 葛兰素集团有限公司 配给设备
US8205809B2 (en) * 2008-01-30 2012-06-26 Gojo Industries, Inc. Atomizing foam pump
CN102046053B (zh) * 2008-05-28 2014-11-05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液体饮料制备设备的泵
RU2452585C2 (ru) * 2009-06-03 2012-06-10 Макнейл Аб Карман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276832B2 (en) * 2009-07-22 2012-10-02 S.C. Johnson & Son, Inc. Multiple spray actuator overcap
FR2949762B1 (fr) * 2009-09-10 2011-12-09 Rexam Dispensing Sys Bouton poussoir pour un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ous pression.
FR2952360B1 (fr) * 2009-11-06 2011-12-09 Rexam Dispensing Sys Bouton poussoir pour un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ous pression
DE102011101898A1 (de) * 2011-05-18 2012-11-22 Meadwestvaco Calmar Gmbh Fluidaustragkopf
US9101952B2 (en) * 2011-06-06 2015-08-11 Gojo Industries, Inc. Modular pump
US9120109B2 (en) * 2012-02-29 2015-09-01 Universidad De Sevilla Nozzle insert device and methods for dispensing head atomizer
US8800824B2 (en) 2012-02-29 2014-08-12 Alfonso M. Gañan-Calvo Sequential delivery valve apparatus and methods
US8881956B2 (en) 2012-02-29 2014-11-11 Universidad De Sevilla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for emitting atomized spray
US9387977B1 (en) * 2012-05-22 2016-07-12 William Sydney Blake Dual functioning combination non clog actuator with valve assembly for bag-valve and canister-on-valve assembled systems utilizing compressed air or gases
FR2990931B1 (fr) * 2012-05-23 2015-07-24 Rexam Dispensing Sys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DE102012217082B4 (de) * 2012-09-21 2016-06-16 Trumpf Laser Gmbh Laserbearbeitungskopf mit einer Ringdüse
KR20150063079A (ko) 2012-09-28 2015-06-08 엘리스 클라인 감염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글리코시다아제 요법
WO2014113641A1 (en) 2013-01-18 2014-07-24 Kline Ellis Selective glycosidase regimen for immune programming and treatment of cancer
WO2015038692A1 (en) * 2013-09-13 2015-03-19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s for non-collapsing containers and venting pumps
US9648992B2 (en) 2013-12-19 2017-05-16 Gojo Industries, Inc. Pumps with vents to vent inverted containers and refill units having non-collapsing containers
US10160590B2 (en) 2014-02-24 2018-12-25 Gojo Industries, Inc. Vented non-collapsing containers, dispensers and refill units having vented non-collapsing containers
WO2016018974A1 (en) 2014-07-30 2016-02-04 Gojo Industries, Inc. Vented refill units and dispensers having vented refill units
EP3177405B1 (en) 2014-08-06 2020-05-06 S.C. Johnson & Son, Inc. Spray inserts
CN104743276A (zh) * 2015-01-16 2015-07-01 胡勋芳 一种卫浴清洁瓶
FR3033844B1 (fr) * 2015-03-20 2018-08-10 Aptar France Sas Pompe manuelle.
CN204994473U (zh) * 2015-08-03 2016-01-27 上海爱农机电设备有限公司 便携式超细雾化机
DE102016113673A1 (de) * 2016-07-25 2018-01-25 Friedrich Fischer Dosierspendersystem
JP2018015685A (ja) * 2016-07-25 2018-02-01 株式会社丸一 バネ蓄圧式噴霧ポンプ
TWI672157B (zh) * 2016-11-06 2019-09-21 微邦科技股份有限公司 高壓液體傳輸裝置
US10370177B2 (en) * 2016-11-22 2019-08-06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Dual component insert with uniform discharge orifice for fine mist spray
RU175003U1 (ru) * 2017-06-05 2017-11-15 Иностран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АЛКОПАК" Дозирующий насос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или геля из ёмкости
US11583871B2 (en) * 2017-10-11 2023-02-21 Michel MIKSE Spray bottle assembly for use with an atomized-spray disp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3884A (en) * 1947-08-01 1952-04-22 Lucas Ltd Joseph Oil burner nozzle
FR1144776A (fr) * 1956-02-06 1957-10-17 Brûleur à mazout à grande variation de débit
US3945574A (en) * 1972-07-24 1976-03-23 Polnauer Frederick F Dual orifice spray nozzle using two swirl chambers
US4057176A (en) * 1975-07-18 1977-11-08 Plastic Research Products, Inc. Manually operated spray pump
AU1577776A (en) * 1975-07-18 1978-01-12 Plastic Research Products Manually operated spray
US4179049A (en) * 1977-04-29 1979-12-18 Avon Products, Inc. Pump dispenser
FR2397341A1 (fr) * 1977-07-12 1979-02-09 Oreal Recipient destine a la distribution d'un liquide pulverise avec injection de gaz additionnel
FR2407752A2 (fr) * 1977-11-07 1979-06-01 Step Soc Tech Pulverisation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vaporisateurs
US4203552A (en) * 1978-09-05 1980-05-20 Ethyl Corporation Pressurized atomizer
US4516727A (en) * 1983-05-26 1985-05-14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ly-operated sprayer
DE8621135U1 (ko) * 1985-09-02 1987-01-29 Callahan, George Edgar, Pr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84B1 (ko) * 2013-03-29 2014-08-12 이중우 공기 압축 및 배출 조절 모듈이 구비된 무전원 휴대용 구강 세정기
WO2017171238A1 (ko) * 2016-03-28 2017-10-05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41202B2 (ja) 1998-12-24
JP2841203B2 (ja) 1998-12-24
RU2032482C1 (ru) 1995-04-10
KR890701225A (ko) 1989-12-19
RU2067896C1 (ru) 1996-10-20
DE3855004D1 (de) 1996-03-28
DE3880934D1 (ko) 1993-06-17
ATE89195T1 (de) 1993-05-15
AU622620B2 (en) 1992-04-16
EP0306066B1 (de) 1993-05-12
EP0309010B1 (de) 1996-02-14
EP0306066A1 (de) 1989-03-08
ES2083362T3 (es) 1996-04-16
US5147087A (en) 1992-09-15
EP0309010A1 (de) 1989-03-29
DE3722470A1 (de) 1989-01-19
WO1989000085A1 (en) 1989-01-12
ATE134166T1 (de) 1996-02-15
AU1990288A (en) 1989-01-30
ZA884905B (en) 1989-03-29
AU2072188A (en) 1989-01-30
DE3722469A1 (de) 1989-01-19
CA1336972C (en) 1995-09-12
CA1337721C (en) 1995-12-12
WO1989000086A1 (en) 1989-01-12
EP0365575A1 (de) 1990-05-02
EP0366695A1 (de) 1990-05-09
JPH02504599A (ja) 1990-12-27
JPH02504007A (ja) 1990-11-22
AU619200B2 (en) 1992-01-23
US5110052A (en) 199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563B1 (ko) 유체 수동 배출장치
AU647988B2 (en) Liquid jet blower
EP3219395B1 (en) Three piece pump
JP3285949B2 (ja) 噴霧分与装置
KR100462302B1 (ko) 액체·기체혼합물분출용노즐
EP1912744B1 (en) An atomising nozzle and an aerosol canister comprising an atomising nozzle
MX2007010876A (es) Distribuidor de aerosol.
EP1644127B1 (en) Nozzle arrangements
KR101826634B1 (ko)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EP0613727A1 (en) Dispensing apparatus
US6997353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JPH0661513B2 (ja) 変形自在な容器のためのスプレ−放出装置
RU2007102489A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жидкости ( варианты)
KR19990087033A (ko) 공기와류통로와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한 분무장치
CN100471579C (zh) 流体产品分配泵
JP3401267B2 (ja) 媒体用排出ノズル
US5443185A (en) Dispenser for media
JP2003520663A (ja) 圧搾供給器の供給ヘッド
KR19990007393A (ko) 매체 분배기
KR940004234B1 (ko) 유체수동도포기
KR20230064621A (ko) 액체 분배 스프레이 노즐 조립체
US5992703A (en) Dispenser for discharging media
WO2005005053A1 (en) Nozzle arrangements
JPH04154575A (ja) 蓄圧式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液体の流出方法
JP6395661B2 (ja) 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