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393A - 매체 분배기 - Google Patents

매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393A
KR19990007393A KR1019980024395A KR19980024395A KR19990007393A KR 19990007393 A KR19990007393 A KR 19990007393A KR 1019980024395 A KR1019980024395 A KR 1019980024395A KR 19980024395 A KR19980024395 A KR 19980024395A KR 19990007393 A KR19990007393 A KR 1999000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sing
bodies
valve bod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리췌
에스터 아만
Original Assignee
슈쯔 한스 요세프
잉크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쯔 한스 요세프, 잉크 에리히 파이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쯔 한스 요세프
Publication of KR1999000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3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6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the piston being deformable and its deformation allowing opening of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4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having inlet or outlet valves not being actuated by pressure or having no inlet or outlet valve

Abstract

분배기 (1) 또는 추력 피스톤 펌프의 유입구 밸브 (10) 는 압력 종속부를 작동시키는 펌프 챔버 (20) 에 가까운 밸브 볼 (35) 및 중력 종속부를 작동시키는 이러한 챔버 (20) 로부터 먼 밸브 볼 (36) 을 구비한다. 상기 분배기 (1) 가 역전될 때, 볼 (35) 이 저장기 (9) 내의 공백으로 인해 시트 (33) 에 견고하게 착좌된 채로 남아 있다면 볼 (36) 은 그 시트 (33) 로부터 볼 (35) 을 밀어낸다. 두 개의 밸브 볼 (35, 36) 용 시트 (33, 34) 는 방사상으로 변형가능한 벽 (54) 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벽 (54) 은 볼 (35, 36) 에 단단히 밀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매우 신뢰할만 하고, 빠른 밸브 성능이 분배기 (1) 의 모든 종방향으로 또는 기울어진 위치에서 획득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분배기
본 발명은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체, 분말, 반죽물 및/또는 액체일 수 있는 유동성 매체용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배기는 단독으로 유지되고, 작동되어 매체를 배출한다. 이러한 분배기는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또는 상부로 위치된 출구를 포함하여 사용 가능하다. 밸브 조립체 또는 밸브 유니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밸브 유니트는 밸브 상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분배기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한 밸브 유니트는 출구 밸브 (outlet valve) , 배기 밸브 (vent valve), 혼합 밸브 (mixing valve) 등이 될 수 있다. 밸브 유니트 운반 챔버, 압력 또는 펌프 챔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밸브 유니트가 입구 밸브 (inlet valve) 일 때는, 체적적으로 변화가능한 압력 챔버는 팽창되거나 또는 비워지는 동안 저장기로부터 이러한 밸브를 통해서 매체로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유동 방향은 펌프 또는 밸브 축선등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밸브 유니트는 두 개의 밸브 또는 밸브 몸체 및 유동 방향을 따라 밸브 시트 (valve seat) 를 구비하고 있다. 상류 밸브 몸체는 오직 중력에 의해 그 닫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압력 챔버에 근접하게 위치된 하류 밸브 몸체는 그 챔버내의 초과 압력에 의해 닫힌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후자에 역으로 밸브 또는 밸브 몸체의 배열이 고려될 수도 있다.
그러한 분배기에 있어서는, 밸브가 끝 위치, 예를 들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차단되거나 또는 지연되도록 반응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밸브 몸체는 감압등에 의해 그 시트 (seat) 로 끌어 당겨짐으로써,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더 높은 감압조차 밸브 몸체를 빼내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특히, 이것은 홀링 챔버(hauling chamber) 내의 초과 압력상에서는 폽 밸브 (pop valve) 또는 백 밸브 (back valve) 로서 닫히고, 이러한 챔버가 비어있을 때는 챔버를 채우기 위해서 즉시 열려야 하는 제 1 밸브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또는 전술한 구성의 결점을 방지하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매우 얇은 벽을 갖는 구성 요소를 구비한 소형화된 분배기 설계를 위해서 매우 신뢰할 만한 밸브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는 하나의 밸브 몸체의 운동 에너지의 질량이 또 다른 하나의 밸브 몸체를 그 정지 위치, 특히 닫힌 위치로부터 들어 올리거나 또는 밀어내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먼저, 제 1 또는 제 2 밸브 시트 또는 밸브 스톱 (valve stop) 이 횡단으로 또는 방사상으로 탄력적으로 항복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지 또는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 또는 밸브 스톱은 관련된 밸브 몸체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좋은 중심맞추기 및 더욱 신뢰할 만한 실을 제공하게 된다. 제 1 또는 제 2 밸브 시트의 벽 두께는 1.5 또는 0.8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와 0.6 mm 사이일 수 있다. 방사상 유격상에서, 이러한 벽은 밸브 몸체의 접촉 압력을 쉽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그 전체 외주에 걸쳐 시트와 접촉하도록 밸브 구성요소의 형태를 밀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언급된 벽의 두께는 벽의 외주에서 홀링 챔버를 한정하는 벽의 두께 보다 얇다. 밸브 벽은 외부 몸체내의 방사상 간격을 가지면서 운추형으로 넓어진다. 제 1 또는 제 2 밸브 몸체를 위해, 가이드 (guide) 가 제공되어 있다. 거의 또는 완전히, 밸브 몸체에는 전체 밸브 운동에 걸쳐 방사상 운동 유격이 없다. 따라서, 밸브 몸체는 하나의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정지 위치로 횡단 운동 없이 매우 빨리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세 개 또는 다섯 개 이상의 외주상으로 분산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의 종방향 가장자리 표면은 밸브 몸체의 전체 운동 경로에 걸쳐서 연장하며, 가이드의 모든 운동에 걸쳐서 이러한 몸체와 영구적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연동한다. 매체는 관련된 밸브 챔버를 통해서 입구로부터 출구 까지 돌출부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2 밸브 몸체를 따른 유동 저항 및 유동 속도는 제 1 밸브 몸체를 따른 것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밸브 몸체는,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은 금속을 함유하여, 매체 보다 큰 비중량을 갖는다.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밸브 몸체는 그 코어내에서 오직 금속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밸브 몸체상에서 언급된 탄력성 있는 충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해서, 충격 표면 또는 외주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분배기 케이싱 또는 피스톤 유니트의 모든 나머지 벽과 같은 밸브 시트 또는 그 벽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밸브 몸체들은 체결부를 경유해서 영구적으로 서로 직접 체결됨으로써 조립체 유니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는 밸브 시트에 대해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와 공동으로 이동 가능하다. 밸브 몸체 대신에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볼 (ball) 등이 완전히 독립될 수 있다.
매체 유동을 위한 가이드 수단이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가 그 무게힘 (weight force) 에 반대 방향으로 매체에 의해 시트로부터 빠져나와, 다른 하나의 시트와 접촉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홀링 챔버로부터 원격이거나 또는 상류로 위치된 제 2 밸브 몸체에 사용한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은 기저 영역에 맞대어 유도된 매체 유동의 직접 충격에 대해 기저 영역의 대부분에 걸쳐 밸브 몸체를 덮고 있는 쉬일드 (shield) 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밸브 몸체 주위로 이러한 매체 유동을 오직 고리형 덕트로 우회시킨다. 매체 유동은 이러한 밸브 몸체의 밸브 챔버로 횡단하여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러한 유동은 관련된 벽에 맞대어, 또한 그 돌출부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직접 유도된다. 그럼으로써, 매체는 오직 단일 구멍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이러한 구멍은 180°또는 90°이하의 호형 각도를 덮고 있다. 구멍은 그 전체 원주에 걸쳐 일체형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면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또한 쉬일드는 이러한 밸브 챔버의 벽과 일체형일 수 있다.
제 1 밸브 몸체용으로서, 밸브 몸체용 시트 또는 스톱은 양쪽 밸브의 모든 다른 시트로부터 독립된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방사상 간격을 가지면서 밸브 축선을 중심으로 곡선을 이룬 스톱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헬리컬 압착 스프링 (helical compression spring) 과 같은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의 단부 권선이 스톱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피스톤 유니트용 귀환 스프링, 밸브 닫음 스프링, 또는 귀환 스프링 및 밸브 닫음 스프링이다. 두 개의 밸브 몸체의 각각에는 그 닫힌 위치 또는 열린 위치를 향해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각각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유동, 중량 및 압력의 조건에 의해서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속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증될 것이다.
도 1 은 축방향 단면 및 직립 위치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2 는 구동된 최종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역전 위치에서 다소 변형되어 도시된 도 1 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분배기 2, 3:유니트
4:케이싱 5, 6, 7:몸체
8:피스톤 유니트 9:저장기
10:조절 유니트 11:축선
12:유동 방향 13:평면
14:플랜지 15, 41:셸
16:피스톤, 플런저 17:립
18:스템 19:구동기
20:압력 챔버 21:덕트
22, 24, 26:밸브 25:구멍
27:스톱 28:러그
31:제 1 밸브 32:제 2 밸브
33:제 1 밸브 시트 34:제 2 밸브 시트
35, 36:볼 40:쉬일드
도 1 은 구동되지 않은 초기 위치 또는 정지 위치에 있는 직립 분배기 (1) 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배기는 구동을 위해 서로 대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두 개의 유니트 (2, 3) 를 포함하고 있다. 작용 행정시 분배기는 축소되고, 귀환 행정시 재신장된다. 고정 유니트 (2) 는 추력 피스톤 펌프 (thrust piston pump) 와 같은 펌프의 케이싱 (4) 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 (4) 은 종방향으로 이웃한 몸체부에 서로 인접해 있는 최대한 세 개의 몸체부 (5, 6, 7) 로 구성되어 있다. 유니트 (3) 는 유니트 (2)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니트 (3) 는 피스톤 유니트 (8) 및 (도시되지 않은) 배출 헤드 또는 구동기 헤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는 핸들 및 분무기 노즐과 같은 방사상 매체 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유니트 (2) 는 저장기 (9) 상에 또는 플라스크의 제한된 넥 (neck) 상에 견고하게 착좌되어 배열되어야 한다. 케이싱 (4) 은 저장기 (9) 내에서 그 길이의 대부분 만큼 돌출한다. 매체는 저장기 (9) 로부터 몸체 (4) 로 두 개의 독립된 덕트 경로를 경유해서 흡입된다. 이러한 오직 하나의 덕트 경로용으로 조절 유니트 (10) 가 제공되어 있다. 유니트 (10) 는 직립으로 조절된 압력을 작용시키는 입구 밸브를 형성한다. 180°역전된 위치에서, 유니트 (10) 는 이러한 덕트 경로를 닫기 위해 조절된 중력을 작용시킨다. 언급된 모든 구성요소 (2-10) 는 공동 축선 (11) 에 위치되고 대개 치수 고정이며 축선 (11) 에 평행한 방향이어서, 유니트 (10) 로부터 유니트 (8) 까지 유도된 오직 단일 유동 방향 (12) 으로 유동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저장기 (9) 외부에 위치된 그 단부와 중간 몸체부 (5) 는 스냅식 연결에 의해 몸체부 (6) 에 분리할 수 없게 연결된다. 부분 (6) 은 전체적으로 저장기 (9)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부분 (6) 은 외주 및 내주에서 부분 (5) 의 셸의 관련 단부를 단단히 접촉해서 둘러싸고 있다. 상류 단부에서, 부분 (6) 은 고리형 지지면과 방사상 외부로 돌출한 플랜지 (flange, 14) 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평면 (13) 에서, 이러한 면은 스크류 캡, 스크림프 (scrimp) 링등에 의해 저장기 넥의 단부 표면에 대해 밀봉하여 신장된다. 평면 (13) 은 축선 (11) 과 교차하는 직각 방향으로 연장한다. 부분 (5) 의 셸 (15) 의 내주상으로 탄력성 있는 피스톤 (16) 이 피스톤 (16) 의 상류를 형성하는 립 (17) 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또한 밀봉하여 안내된다. 하류 피스톤 단부는 수축된 슬리브 형태 스템이다. 립 (17) 으로부터 원격인 스템 단부위는 플러그-삽입에 의해 고정되게 치수 고정 구동기 (19) 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 에서, 스템 (18) 및 구동기 (19) 는 고리형 케이싱 덮개에 의해 한정된 중앙 통로를 영구적으로 횡단한다. 스템 (18) 은 케이싱 (4) 내에 영구적으로 완전히 위치되어 있다. 구동기 (19) 는 케이싱 (4, 6) 으로부터 영구적으로 돌출한다. 구동기 (19) 의 하류로 수축된 단부는 구동기 헤드상에 끼우거나 또는 삽입하도록 되어, 이러한 구동기 헤드를 고정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 매체 출구는 디스펜서 (1) 로부터 개구부내로 통하여 케이싱 (4) 의 내부와 연통한다.
이러한 덕트 연결은 체적적으로 가변성의 압력 챔버 (20) 와 존재한다. 챔버 (20) 는 유니트 (10) 로부터 출구 밸브 (22) 까지 연장한다. 챔버 (20) 는 오직 부분 (5), 립 (17) 및 유니트 (3) 의 코어 몸체 (23) 에 의해 한정된다. 하류로 유니트 (3) 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횡단하는 출구 덕트 (21) 는 밸브 (22) 와 인접해 있다. 여기에 인접한 덕트 (21) 는 오직 구동기 (19) 의 내주에 의해 한정된다. 몸체 (23) 부근에서, 덕트 (21) 는 플런저 (plunger, 16) 의 내주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피스톤 (16) 의 내주가 밸브 (22) 의 이동 가능한 밸브 몸체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22) 의 원뿔형 밸브 시트는 몸체 (23) 의 칼라의 외주이다. 몸체 (23) 는 더욱 슬림형 스템에 의해 스템 (18) 을 횡단하고, 구동기 (19) 의 내주와 고정되어 맞물린다. 스템 (18) 은 탄력적으로 압축가능하거나 또는 축소 가능한 밸브 (22) 의 밸브 스프링을 형성한다. 스템 (18) 은 립 (17) 과 일체형이다.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유니트 (3, 8) 를 이동시킴으로써 펌프 챔버 (20) 는 축소되고, 반면에 반대 방향으로 확장된다.
챔버 (20) 의 외부로 또는 립 (17) 의 하류로 위치된 고리형 케이싱 공간을 위해서, 또 다른 밸브 (24) 가 제공되어 있다. 열린 밸브 (24) 는 이러한 케이싱 공간을 덮개 (6) 의 통로에 연결하여, 외부 공기에 연결될 때, 밸브 (24) 는 케이싱 (4) 의 내부를 통해 저장기 (9) 의 저장기 공간에 출구 구멍을 만들고, 정지 위치에서 꽉 닫힌다. 밸브 구성요소는 피스톤 (16) 의 원뿔형 외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는 부분 (5) 으로 돌출한 덮개 (6) 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유니트 (3) 의 구동을 시작할 때, 밸브 (24) 는 열린다. 이러한 밸브 (24) 는 오직 정지 위치에 도달했을 때 닫힌다.
저장기 공간 또는 저장기 넥의 내부에서 셸 (15) 은 방사상 덕트 또는 개구부 (25) 에 의해서 횡단된다. 정지 위치에서, 구멍 (25) 은 챔버 (20) 내로 나타나 있다. 작용 행정을 시작할 때, 구멍 (25) 은 수축되어 즉시 닫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밸브 (26), 즉 게이트 또는 슬라이드 밸브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 몸체는 립 (17)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정지 위치에서, 립 (17) 은 구멍 (25) 의 오직 일부분만을 덮고 있다. 우선, 극히 작은 부분의 행정 립 (17) 이 구멍 (25) 을 통과한다. 이때, 구멍 (25) 은 챔버 (20) 에 상류로 인접한 케이싱 공간내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밸브 (24) 가 열린 상태로 배출 또는 압력 보정은 정상 위치 또는 역전 위치 양쪽에서 오직 구멍 (25) 을 경유해서 허용된다. 반대 또는 역전 위치에서, 구멍 (25) 은 챔버 (20) 를 채우기 위해 언급된 제 2 덕트 경로를 형성하고, 밸브 (26) 는 관련 입구 밸브를 형성한다. 따라서, 챔버 (20) 는 오직 유니트 (3) 의 귀환 행정이 끝날 때, 우회된 유니트 (10) 로 채워진다. 정상 또는 직립 위치에서 작동할 때, 챔버 (20) 채우기는 귀환 행정이 시작되면서 오직 유니트 (10) 를 경유해서, 우회된 구멍 (25) 을 갖는 밸브 (26) 의 개구부까지 발생한다.
작용 행정의 끝 위치 또는 귀환 행정의 시작 위치는 케이싱 (4) 내에 위치된 스톱 (27) 에 의해 한정된다. 스톱 (27) 은 부분 (5) 의 고리형 쇼울더이다.
카운터스톱 (counterstop) 은 립 (17) 이다. 만약 맞댄후에 유니트 (3) 가 방향 (12) 의 반대 방향으로 더욱 이동된다면, 밸브 (22) 는 열린다. 그럼으로써, 스템 (18) 이 축소되면서, 밸브 몸체 (23) 는 립 (17) 및 피스톤 (16) 의 밸브 몸체에 대해 램 (ram;19) 과 이동된다. 밸브 (22) 는 챔버 (20) 내의 상응하게 높은 초과 압력에 노출될 때, 이러한 멈춤 작용에 앞서 역시 열릴 수 있다.
내부 쇼울더 (27) 의 부근에서, 셸 (15) 의 확장된 길이 부위는 방향 (12) 의 반대 방향으로 슬림형 러그 (lug; 28) 에 인접한다. 러그 (28) 는 챔버 (20) 보다 길고, 부분 (7)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 부분 (5, 6, 28) 과 같은 부분 (7) 은 온길이 중공부 또는 셸형 몸체이다. 부분 (7) 은 덮개 (6) 삽입 방향에 반대 방향, 즉 방향 (12) 으로 부분상에 고정되게 끼워져 장착된다. 부분 (7) 은 쇼울더 (27) 의 상류로 완전히 위치된다. 러그 (28) 는 그 내부에서 챔버 (20) 의 더욱 축소된 부위 (29) 를 한정한다. 부위 (29) 는 쇼울더 (27) 에 인접하고, 립 (17) 용 이동 표면보다 더욱 슬림형이다. 부분 (7) 의 내부 및 러그 (28) 의 안쪽에 어버트먼트 (abutment; 30) 가 스프링 (55) 의 상류 단부를 위해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 (55) 은 전체적으로 챔버 (20)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 유니트 (3) 및 밸브 몸체 (23) 용 귀환 스프링이다. 지지부 (30) 는 러그 (28) 의 내주의 고리형 쇼울더이다. 지지면 (30) 은 유니트 (10) 의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유니트 (10) 는 챔버 (20) 에 직접 인접한 제 1 밸브 (31) 및 밸브 (31) 의 상류로 또는 챔버 (20) 로부터 더 원격으로 위치된 제 2 밸브 (32) 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31) 는 제 1 밸브 구성요소로 제 1 밸브 시트 (33) 및 제 1 밸브 볼 (valve ball; 35) 을 구비한다. 밸브 (32) 는 닫힌 위치에서 상호 접촉하기 위한 제 2 밸브 볼 (36) 과 제 2 밸브 시트 (34) 를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의 열린 위치에서 볼 (35, 36) 을 접촉시키기 위해, 스톱 또는 시트 (37, 38) 가 제공되어 있다. 정지 위치 및 모든 중간 위치에서, 볼 (35, 36) 은 축선 (11) 과 동축 방향에 있다. 정반대로, 뾰족하게 원뿔형으로 확장된 밸브 시트 (33, 34) 는 매체 통로 (39) 를 한정한다. 덕트 (39) 는 축선 (11) 방향으로 위치되며, 어떤 리세스 (recess) 또는 그루우브 (groove) 도 구비되어 있지 않다. 시트 (33, 34) 사이에서, 덕트 (39) 는 그 직경 또는 반경 및 볼 (35, 36) 의 직경 및 반경 보다 짧은 가장 좁은 길이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두 개의 시트 (33, 34) 는 셸 (15, 28) 과 일체형이고, 서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볼이 그 시트와 접촉하고 있을 때, 다른 하나의 볼은 그 시트에 도달하기 전에 이러한 볼에 맞대어 있다. 따라서, 다른 하나의 볼은 통로 (39) 를 밀봉하여 닫을 수 있다.
밸브 (31) 로부터 원격인 밸브 (32) 의 측부상으로, 쉬일드 (shield, 40) 가 볼 (36) 을 위해 제공되어 있다. 쉬일드 (40) 는 방향 (12) 으로 공급된 매체 유동을 볼 (36) 주위 외부로 우회시킨다. 따라서, 직립 위치에서 이러한 유동이 볼 (36) 을 그 정지 시트 (38) 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시트 (34) 까지 또는 닫힌 위치까지 볼 (36) 을 옮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부분 (7) 의 셸 (41) 은 러그 (28) 의 외주에 밀접하게 인접한다. 그럼으로써, 셸 (28, 41) 은 상호 보강된다. 그 상류 단부에서, 셸 (41) 은 고리형 단부 벽 (42) 까지 통과한다. 가요성 라이저 튜브 (44) 용 고리형 수용부 (reception; 43) 가 방향 (12) 으로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다. 흡입 튜브 (44) 는 방향 (12) 으로 쉬일드 (40) 까지 마운트 (43) 내로 삽입된다. 튜브 (44) 는 방향 (12) 으로 벽 (42) 을 넘어 연장한다. 분배기 (1) 가 직립 상태로 사용될 때, 튜브 (44) 는 넥으로부터 원격인 저장기 (9) 의 바닥부로부터 매체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다.
셸 (43) 은 셸 (41) 의 내주보다 더욱 슬림형이고, 관형 러그 (45) 를 형성한다. 러그 (45) 는 방향 (12) 으로 벽 (42) 을 넘어 셸 (41) 내로 돌출한다. 러그 (45) 는 셸 (41) 과 고리형 공간을 한정한다. 내부 단부에서, 러그 (45) 는 단부 까지 통과하거나, 또는 쉬일드 (40) 의 벽을 횡단한다. 그 두 개의 원격 표면으로부터 또는 축방향 횡단면으로 도시된 전체적 벽 (46) 은 둔각으로 원뿔꼴로 뾰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벽의 측부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시트 (38) 를 형성한다. 내부 벽면은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뾰족한 원뿔로 돌출하고, 유니트 (10) 를 향해 유동하는 유동용 가이드 면 (49) 을 형성하고 있다. 벽 (46) 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갖고, 셸 (41) 내에서 접촉 없이 지지 부위 (45) 처럼 형성되어 있다. 벽 (41, 42, 43, 45) 은 서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언급된 벽들과 일체형일 수 있는 덕트 (44) 의 양쪽 단부는 동일한 형태이다. 각각의 단부는 평탄하지 않은 단부 표면 (47, 48) 을 갖고, 방사상으로 볼 때, 표면 (47, 48) 은 단일의 둔각을 이룬 V 형태 홈이다. 홈의 측면은 외주까지 연장하고, 오목하고 둥글게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단부 (47) 가 표면 (49) 과 접촉한다. 따라서, 그 홈은 벽 (42) 의 내측부까지 최대로 연장한다. 다른 하나의 단부 (48) 는 저장기 (9) 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전이 구멍 (50) 은 벽 (42) 의 내측부 및 표면 (49) 과 인접한다. 매체용 출구 (50) 는 방사상으로 벽 (45) 을 통과한다. 구멍 (50) 은 경사진 표면 (49) 에 의해 방향 (12) 으로 계속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구멍 (50) 을 둘러싼 경계 가장자리부는 축선 (10) 에 평행한 평면에 완전히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축방향 견지에서 벽 (45, 46) 은 200°내지 250°를 초과하는 호형 각도를 갖는 고리형 또는 원형 부위를 형성한다.
단일의 매체용 출구 (50) 는 방사상으로 향해 있거나 또는 벽 (41) 의 내주를 향해 일정 방향 (12) 으로 다소 기울어져 있다. 러그 (45) 주위의 고리형 공간을 채우는 액체는 방향 (12) 으로 벽 (41) 에 편향되어 있고, 도달 통로 (39) 에서 볼 (36) 을 따라 유동한다. 그럼으로써, 볼 (36) 은 시트 (38) 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볼 (36) 의 원형으로 곡선을 이룬 표면은 볼 직경보다 상당히 작은 원에 의해서만 통로 (39) 와 접촉해 있다. 접촉 원의 직경은 거의 볼 직경의 절반이며, 축선 (11) 과 동축 방향이다. 따라서, 볼 (36) 은 더 깊은 컵형 수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 위치에서 시트 (38) 에 억지로 끼워질 수 없다. 밸브 (31, 32) 가 열림으로써, 몸체 (35) 에 의해서 한정된 고리형 유동 횡단면은 항상 몸체 (36) 에 의해 한정된 고리형 유동 횡단면보다 더 작다. 케이싱 (4) 에 대해, 각각의 볼 (35, 36) 은 독립된 가이드에 의해 축선 (11) 에 평행한 방향으로 있는 그 전체 운동 경로에 걸쳐 정확하게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여섯 개의 돌출부 (52) 또는 축방향 립은 벽 (41) 의 내주 중심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립 (52) 은 일체형으로 벽 (41, 42, 45, 46) 에 인접해 있으며, 축선 (11) 과 정반대편의 종방향 가장자리 면에 의해 볼 (36) 을 안내한다. 따라서, 러그 (52) 는 서로에 대해 벽 (41, 42, 43, 45, 46) 을 보강한다. 러그 (52) 사이에서, 볼 (36) 주위의 회전 유동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볼 (36) 이 유동내에 동반되어 끌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러그 (52) 는 대개 최근접 시트 (34) 까지 연장한다. 볼 (35) 용 해당 가이드는 시트 (33) 의 하류 단부로부터 시트 (37) 까지 연장한다. 여기서, 러그는 거의 돌출하지 않는다. 립 (53) 은 구멍 (50) 에 대해 반대편 직경 방향으로 있다. 이러한 립은 상호 벽 (45, 46) 을 보강하여, 표면 (49) 에 직접 연결하고, 또한 회전 또는 와류 유동을 방지한다. 러그 (28) 의 상류 단부위 (54) 의 외주 및 내주는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수축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어버트먼트 (20) 가 수축된다. 따라서, 부위 (54) 는 그 자유 단부로부터, 그리고 벽 (41) 의 내주 및 가이드 (51) 에 대해 시트 (30, 33, 37) 를 넘어 방향 (12) 으로 접촉이 없게 된다.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시트 (33) 를 포함한 셸 벽 (54) 은 더 슬림형이다. 이때, 벽 (54) 은 조금 두껍고, 시트 (34) 부근에서는 다시 얇게 되어 있다. 따라서, 벽 (54) 은 볼 (35, 36) 의 접촉 압력에 상응하게 가역적으로 또는 탄력적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벽 (54) 은 부분 (7) 에 맞댐으로써 방해 받지않고, 볼 (35, 36) 에 맞대어 밀봉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는 시트 (33, 34) 간의 중간 간격은 볼 직경의 1/2 또는 1/3 보다 작다. 이 직경은 5mm 보다는 작고, 2mm 보다는 크다. 서로 마주보는 시트 (37, 38) 간의 간격은 최대로 볼 직경의 3 내지 4배 보다 크다. 따라서, 밸브 (31, 32) 의 최단 조절 경로가 제공된다. 하지만, 볼 (35) 의 조절 경로는 볼 (36) 의 조절 경로 보다는 매우 작다. 볼 (35, 36) 간의 최대 중심 간격은 그들 직경 보다 2 내지 3 배 작다. 양쪽 볼은 동일하거나 또는 크기가 동일하다. 따라서, 양쪽 볼은 상호 교체 가능하다. 귀환 스프링 (55) 은 그 단부 권선 시트 (end winding seat; 37) 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하류 단부에서, 스프링 (55) 이 표면 (30) 상으로 지지하고 있듯이, 스프링 (55) 은 영구적으로 축방향으로 프리텐션된 표면 (23) 상으로 지지한다.
직립 위치에서, 저장기 (9) 가 구동기 헤드 아래로 위치되기 때문에 유동 (12) 은 상부로 향해 있다.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수동 구동을 실행할 때, 밸브 (26, 31) 는 챔버 (20) 내의 초과 압력 또는 추력 운동에 의해 우선 닫힌다. 그럼으로써, 챔버 (20) 내의 매체는 압축된다. 밸브 (22) 를 개방한 후에, 이러한 매체는 덕트 (21) 를 경유해서 구동기 헤드로, 노즐을 통과해서 주위로 배출된다. 완전한 전진 행정동안, 대기의 공기가 밸브 (24) 및 구멍을 경유해서 저장기 (9) 로 흡입될 수 있다. 귀환 행정을 시작할 때, 밸브 (22) 는 닫힌다. 따라서, 챔버 (20) 가 비워진다. 그럼으로써, 밸브 (31) 는 열린다. 매체는 계속해서 튜브 (44), 구멍 (50), 밸브 챔버 (56), 통로 (39) 및 시트 (37) 를 통해 챔버 (20) 로 흡입된다. 볼 (36) 을 영구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는 볼 (35) 을 영구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따라서 상이한 통로 횡단면이 획득될 수 있다. 완전한 전진 및 귀환 행정중에, 볼 (36) 은 시트상에 남아 있다. 귀환 행정이 끝날 때, 밸브 (26) 가 먼저 열리고, 즉시 밸브 (24) 는 닫힌다. 이러한 종류의 또 다른 펌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다.
역전 위치에서, 구동기 헤드는 저장기 (9) 아래로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볼 (36) 은 자체 무게힘에 의해 시트 (38) 로부터 시트 (34) 로 강하하고, 볼 (35) 은 자체 무게힘에 의해 시트 (33) 로부터 시트 (37) 까지 강하한다. 이때, 밸브 (32) 는 닫히고, 밸브 (31) 는 열린다. 행정의 끝 위치까지 전진 행정할 때, (도 2 ), 몸체 (23) 는 챔버 (29) 로 돌출하고, 밸브 (31) 는 챔버 (20) 내의 압력으로 인해 닫힌다. 그럼으로써, 볼 (35) 은 시트 (34) 로부터 볼 (36) 을 빼낸후, 시트 (33) 에 도달시킨다. 매체는 전술한 방법으로 다시 배출된다. 그럼으로써, 완전한 전진 행정동안, 볼 (36) 은 무게힘하에서 볼 (35) 과 점 접촉하면서, 볼 (35) 상에 착좌한다. 도 2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귀환 행정을 시작할 때, 비록 밸브 (31) 가 시트 (33) 로부터 빠져나온 볼 (35) 에 의해 먼저 열리지만, 동시에 볼 (36) 은 시트 (34) 와 연동할 때 까지 자체 중량이 작용된다. 오직 이러한 제 1 운동 경로후에, 볼 (35) 이 볼 (36) 로부터 해제된 후, 시트 (37) 에 착좌할 때 까지, 제 1 경로와 가장 근접한 제 2 운동 경로를 운행한다. 유동 방향 (12) 이 하부로 향해 있을 때, 유니트 (10) 는 밸브 (32) 에 의해 닫힌다. 따라서, 튜브 (44) 를 경유해서 챔버 (56) 로 어떤 매체도 흡입될 수 없다. 그 대신에, 밸브 (26) 가 열리고, 매체가 밸브 유니트 (10) 를 경유하는 것 보다 훨씬 더 높은 유동 속도로 오직 구멍 (25) 을 경유해서 셸 (15) 을 통과해서 챔버 (20) 로 직접 흡입될 때 까지, 챔버 (20) 는 비워져 건조된다. 따라서, 그 후에 전진 및 배출 행정이 시작된다.
시트 (34, 35) 는 또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오직 단일 밸브 몸체 또는 볼이 교대로 한번에 오직 하나의 시트를 닫기 위해 시트간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또는 원형 충격체가 이웃한 또는 병렬 시트로부터 밸브 볼을 밀기 위해 시트의 하류 또는 상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시트 (37) 는 밸브 닫힘 시트일 수 있다. 연관된 충격체는 챔버 (29 또는 56)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분배기 (1) 가 도 2 에 위치된 위치로부터 도 1 에 도시된 위치로 역전될 때, 볼 (35, 36) 은 자체 중량에 의해 각각 시트 (33, 38) 로 되돌아온다. 또한, 가이드 (51) 로 인해, 밸브 (31, 32) 는 분배기 (1) 또는 축선 (11) 의 어떤 기울어진 위치에서도 작동한다.
부분 (7) 의 하류 단부는 셸 (41) 보다 두꺼우며, 그 외주를 넘어서만 돌출한 고리형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플랜지는 부분 (5) 의 외부 쇼울더 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쇼울더 면은 면 (27) 과 동일한 고리형 연결부 또는 벽 부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위는 축선 (11) 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셸 (15, 28) 에 체결한다. 또한 이러한 부위는 그 외부 측면에서 주변으로 분포된 돌출부 또는 립 (57) 을 형성한다. 립 (57) 은 상호 거리를 두고 있으며, 중간 그루우브 (groove) 를 한정한다. 따라서, 립 (57) 의 가장자리 면에서 셸 (41) 단부 면의 매우 신뢰할만한 접촉이 확보된다. 또한, 공구는 방향 (12) 의 반대 방향으로 부분 (5) 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부분 (7) 을 구속시키기 위해 립 (57) 사이에서 맞물려 사용될 수 있다.
조립체 볼 (35) 은 방향 (12) 의 반대 방향으로 래칭 (latching) 또는 스냅 점 (snap point) 을 극복할 필요없이 러그 (28) 로 먼저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스프링 (55) 및 피스톤 유니트 (8) 뿐만 아니라, 덮개 (6) 가 작동할 준비가 된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조립 단계 이전이나 또는 이후에, 볼 (36) 은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부분 (7) 에 삽입된다. 그 후에, 부분 (7) 은 러그 (8) 상에 걸쳐 방향 (12) 으로 미끄러졌다. 저장기 (9) 로 상기와 같이 조립된 분배기 (1) 를 삽입한 후에, 모든 밸브 (10, 22, 24, 26) 뿐만 아니라, 챔버 (20) 및 부분 (25) 은 평면 (13) 의 상류로 위치된다. 이 때, 저장기 공간에 출구를 만든 고리형 통로는 저장기 넥 및 셸 (15) 에 의해 한정된다. 부분 (5, 6, 7, 19, 35, 36) 은 슬리브 (54) 를 제외하고는 치수 고정되어 있다.
독립된 덮개 (6) 에 의해 이러한 경우에 형성된 케이싱 (4) 의 단부위는 플랜지 (14) 를 형성하는 부분 (5) 과 일체형일 수 있다. 언급된 모든 특징, 특성 및 효과는 상세하게 또는 간단히 설명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의 필요성에 따라 크게 다를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용 분배기에는 매우 슬림형의 벽을 갖는 구성 요소를 구비한 소형화된 분배기 설계를 위해서 신뢰할 만한 밸브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용 분배기는 직립 위치 및 역전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우수한 성능 및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21)

  1. 매체용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케이싱 (4);
    상기 케이싱 (4) 내에 위치되고, 유동 방향 (12) 을 형성하는 매체 통로를 포함한 홀링 챔버 (20);
    상기 매체 통로를 조절하고, 두 개의 밸브 (31, 32), 즉 제 1 밸브 (31) 및 상기 제 1 밸브 (31) 의 상류로 위치된 제 2 밸브 (32) 를 포함한 밸브 수단 (10)을 포함하며;
    작동시 상기 분배기 (1) 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상기 유동 방향 (12) 으로 직립 위치 및 역전 위치를 한정하고, 상기 역전 위치에서 상기 제 2 밸브 (32) 는 상기 매체 통로를 방해하고,
    상기 밸브 수단 (10) 은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 (33, 34) 와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를 조작하여 변위하는 조종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는 상기 조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는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및 상기 케이싱 (4) 에 대해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용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변위 가이드 (51) 가 실질적으로 방사상 운동 유격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를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위 가이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 (33, 34) 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가이드 (51) 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와 직접 맞물리는 원주상으로 분포된 돌출부 (52)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가 실질적으로 방사상 운동 유격 없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 (33, 34) 에 대해 영구적으로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는 제 1 밸브 시트 (33) 및 상기 제 1 밸브 시트 (33) 로부터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제 2 밸브 시트 (3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시트 (33, 34) 는 밸브 통로 (39) 에 의해 횡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밸브 자켓 (54) 이 포함되어, 상기 제 2 밸브 시트 (34) 와 상기 제 1 밸브 시트 (33) 를 밀봉 연결하고, 상기 제 1 밸브 (31) 가 닫히고, 상기 제 2 밸브 (32) 가 닫힐 때, 상기 밸브 자켓 (54) 은 상기 홀링 챔버 (20) 에 대해 밀봉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31) 가 닫힐 때, 제 1 닫힘 상태를,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 (32) 가 닫힐 때, 제 2 닫힘 상태의 경계를 더 한정하고, 상기 제 1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는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가 상기 제 2 닫힘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며, 상기 제 2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는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가 상기 제 1 닫힘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의 몸체 비중 및 매체의 매체 비중을 더 한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의 상기 몸체 비중이 상기 매체 비중보다 커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는 매체중에서 가라앉을 때, 부유 침하 몸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가 원형 표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는 작동적으로 상호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면서 제 1 및 제 2 충격면을 포함한 독립된 몸체이고,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의 상기 제 1 충격면이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를 변위시키고 상기 제 2 밸브 (32) 를 열기 위해 상기 제 2 충격면과 작동적으로 맞물려 있으며,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의 상기 제 2 충격면이 상기 제 1 밸브 몸체 (35) 를 변위시키고 상기 제 1 밸브 (31) 를 열기 위해 상기 제 1 충격면과 작동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가 금속성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통로를 통과하는 매체 유동을 더 한정하고, 상기 매체 유동에 대해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를 보호하기 위한 쉬일드 (40) 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4) 은 상기 케이싱 (4) 의 길이 부위의 경계를 한정하는 케이싱 자켓 (41) 을 포함하고, 상기 쉬일드 (40) 는 상기 케이싱 자켓과 일체형이며, 상기 제 2 밸브 몸체 (36) 는 상기 쉬일드 (40) 의 하류로 영구적으로 위치된 중심부의 경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면 (49)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면 (49) 은 상기 유동 방향 (12) 에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고, 상기 유동 방향 (12) 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면 (49) 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밸브 챔버 (56) 와 상기 밸브 챔버 (56) 로 자유롭게 돌출한 돌출부 (4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45) 는 돌출부 단부 및 상기 쉬일드 (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를 향해 돌출한 돌출부 (4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4) 이 내부의 경계를 한정하는 단부 벽 (42)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45) 는 상기 내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돌출하며 상기 케이싱 (4) 의 내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를 착좌시키기 위한 접촉 면 (3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 (38) 은 축방향 횡 단면이 실질적으로 V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매체를 상기 밸브 수단 (10) 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이 구멍 (5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이 구멍 (50) 은 상기 유동 방향 (12) 과 교차하고 있으며, 상기 전이 구멍 (50) 은 튜브 자켓 (45) 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4) 을 횡단하고, 상기 밸브 수단 (10) 의 하류로 상기 홀링 챔버 (20) 에 연결된 횡단 덕트 (25) 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 밸브 (26) 가 상기 횡단 덕트 (25) 를 수축시키고 확장시키기 위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횡단 덕트 (25) 가 매체로 상기 홀링 챔버를 채우것과, 상기 케이싱 (4) 외부로 영역 (9) 을 배출시키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4) 은 축방향으로 상호 연결된 제 1 및 제 2 케이싱 셸 (15, 41)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싱 셸 (15) 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 (33, 34)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케이싱 셸 (41) 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중의 하나 이상의 밸브 몸체를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면 (38)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 (35, 36) 를 접합시키기 위한 대향 접합면 (37, 3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시트 (33, 34) 는 상기 접합면 (37, 38)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KR1019980024395A 1997-06-27 1998-06-26 매체 분배기 KR19990007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7356.4 1997-06-27
DE19727356A DE19727356B4 (de) 1997-06-27 1997-06-27 Spender für Medi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393A true KR19990007393A (ko) 1999-01-25

Family

ID=783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395A KR19990007393A (ko) 1997-06-27 1998-06-26 매체 분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27415B1 (ko)
EP (1) EP0887112B1 (ko)
JP (1) JPH1179224A (ko)
KR (1) KR19990007393A (ko)
CN (1) CN1111495C (ko)
AT (1) ATE258081T1 (ko)
BR (1) BR9802222A (ko)
DE (2) DE19727356B4 (ko)
DK (1) DK0887112T3 (ko)
ES (1) ES221466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2083A1 (it) * 2003-10-24 2005-04-25 Microspray Delta Spa Pompa invertibile semplificata per l'erogazione di liquidi atomizzati
KR100896459B1 (ko) 2008-09-05 2009-05-14 주식회사 카노 음식물 진공 압축팩의 진공전환장치
CN101799080B (zh) * 2009-11-09 2012-11-14 陈广强 双球刚柔变形密封阀
MX362372B (es) 2012-02-28 2019-01-14 Procter & Gamble Metodo para formar envases.
US10259602B2 (en) 2012-02-28 2019-04-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forming packages
IN2015DN00608A (ko) 2012-07-24 2015-06-26 Procter & Gamble
US9783330B2 (en) 2014-03-06 2017-10-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webs in a vertical form, fill, and sealing system
US9643812B2 (en) 2014-03-06 2017-05-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leating or shaping a web
WO2018091264A1 (en) * 2016-11-15 2018-05-24 Unilever N.V. Applicator device for fluids
US10723716B2 (en) 2016-12-21 2020-07-28 New York University Alpha-helix mimetics as modulators of Abeta self-assembly
US11124479B2 (en) 2017-07-14 2021-09-21 New York University Oligopyrroles as antagonists of islet amyloid polypeptide oligomerization
US10500197B2 (en) 2017-07-18 2019-12-10 New York University Use of oligopyridylamides to inhibit mutant p53 amyloid formation and restore its tumor suppressor function
CN109941598A (zh) * 2019-03-15 2019-06-28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多级密封的容器封盖
WO2022094198A1 (en) * 2020-10-30 2022-05-05 Plastek Industries, Inc. Pump dispenser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A (en) * 1850-05-14 Stove
US2318685A (en) * 1939-11-16 1943-05-11 Gross Henry Emmett Portable marine foundation
US2390213A (en) * 1940-12-02 1945-12-04 Nineteen Hundred Corp Floating supporting structure for automatic washers
US3447551A (en) * 1967-06-14 1969-06-03 Arthur R Braun Upside-downside aerosol dispensing valve
US3936468A (en) * 1969-10-27 1976-02-03 Sumitomo Chemical Company, Ltd. Phenylbutanol derivatives
JPS56176746U (ko) * 1980-05-31 1981-12-26
JPS58110866A (ja) * 1981-12-18 1983-07-01 ダグラス・エフ・コ−セツト 液体分配ポンプ
JPS58159861A (ja) * 1982-03-19 1983-09-22 Tokushu Aerosol Kk 流体分与装置
JPS58170562A (ja) * 1982-03-31 1983-10-07 Tokushu Aerosol Kk 流体分与装置
EP0201701A2 (de) * 1985-05-15 1986-11-20 Ing. Erich Pfeiffer GmbH & Co. KG Handbetätigte Ausgabeeinrichtung für Medien
US5346104A (en) * 1992-12-24 1994-09-13 Jeong Sang Hyen Discharging path open/close shifting valve for liquid stor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052Y2 (ko) * 1975-07-21 1981-05-13
NL179791C (nl) * 1977-05-12 1986-11-17 Yoshino Kogyosho Co Ltd Zowel rechtop als in omgekeerde stand te gebruiken verstuiver.
DE3636509A1 (de) * 1985-11-05 1987-06-11 Hans Dipl Ing Grothoff Vorrichtung zum stellungsunabhaengigen applizieren und zerstaeuben von fluessigkeiten
DE3712327A1 (de) * 1987-04-11 1988-10-20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FR2627708B1 (fr) * 1988-02-26 1990-06-08 Valois Sa Dispositif pour permettre l'emploi en toutes positions d'une valve de vaporisateur
DE3936468C2 (de) * 1989-11-02 1996-10-31 Hans Dipl Ing Grothoff Flüssigkeitsspender
US5615806A (en) * 1996-05-31 1997-04-01 Calmar-Albert Gmbh Plunger lock-up dispens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A (en) * 1850-05-14 Stove
US2318685A (en) * 1939-11-16 1943-05-11 Gross Henry Emmett Portable marine foundation
US2390213A (en) * 1940-12-02 1945-12-04 Nineteen Hundred Corp Floating supporting structure for automatic washers
US3447551A (en) * 1967-06-14 1969-06-03 Arthur R Braun Upside-downside aerosol dispensing valve
US3936468A (en) * 1969-10-27 1976-02-03 Sumitomo Chemical Company, Ltd. Phenylbutanol derivatives
JPS56176746U (ko) * 1980-05-31 1981-12-26
JPS58110866A (ja) * 1981-12-18 1983-07-01 ダグラス・エフ・コ−セツト 液体分配ポンプ
JPS58159861A (ja) * 1982-03-19 1983-09-22 Tokushu Aerosol Kk 流体分与装置
JPS58170562A (ja) * 1982-03-31 1983-10-07 Tokushu Aerosol Kk 流体分与装置
EP0201701A2 (de) * 1985-05-15 1986-11-20 Ing. Erich Pfeiffer GmbH & Co. KG Handbetätigte Ausgabeeinrichtung für Medien
US5346104A (en) * 1992-12-24 1994-09-13 Jeong Sang Hyen Discharging path open/close shifting valve for liquid stor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27356A1 (de) 1999-01-07
EP0887112A2 (de) 1998-12-30
EP0887112A3 (de) 1999-11-17
CN1111495C (zh) 2003-06-18
EP0887112B1 (de) 2004-01-21
JPH1179224A (ja) 1999-03-23
ATE258081T1 (de) 2004-02-15
ES2214660T3 (es) 2004-09-16
US6227415B1 (en) 2001-05-08
DK0887112T3 (da) 2004-04-26
CN1205967A (zh) 1999-01-27
DE19727356B4 (de) 2006-04-20
BR9802222A (pt) 1999-11-03
DE59810617D1 (de)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393A (ko) 매체 분배기
AU740121B2 (en) Media dispenser having a plurality of flow operating states
US6131820A (en) Discharge valv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4986453A (en) Atomizing pump
EP0179853B1 (en) Pump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container
US6168050B1 (en) Hand-operated pump with a trigger, for dispensing liquids
US7311227B2 (en) Trigger sprayer venting system with reduced drag on vent piston
JPH09225360A (ja) 媒体吐出装置と吐出装置等の製造方法
KR20040012928A (ko) 기액혼합물 배출용 벨로우즈펌프
US5316198A (en) Media dispenser with elastically deformable plunger
JP4327276B2 (ja) 媒体ディスペンサー
US5671874A (en) Miniature dispenser pump and outlet valve for same
US7967171B2 (en) Air foaming pump trigger sprayer
US5085353A (en) Actuator for liquid ejection
KR19980080987A (ko) 직립/역전 분사기
EP1083002B1 (en) Pump mechanism
US5205443A (en) Actuator for liquid ejection
JPH04282084A (ja) 媒体用のディスペンサ
KR100578778B1 (ko) 매체배출용분배기
JP5099676B2 (ja) 泡噴出容器
JPH0336779Y2 (ko)
US5553757A (en) Cream dispenser head
WO1994013408A1 (en) Relief valve
WO2023223580A1 (ja) ポンプ、および、噴出容器
JP2816179B2 (ja) 指作動式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