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34B1 - 유체수동도포기 - Google Patents

유체수동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34B1
KR940004234B1 KR1019890700421A KR890700421A KR940004234B1 KR 940004234 B1 KR940004234 B1 KR 940004234B1 KR 1019890700421 A KR1019890700421 A KR 1019890700421A KR 890700421 A KR890700421 A KR 890700421A KR 940004234 B1 KR940004234 B1 KR 94000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luid
pump
pist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226A (ko
Inventor
훅스카알-하인쯔
Original Assignee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바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페터 파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73722470 external-priority patent/DE3722470A1/de
Application filed by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바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페터 파이터 filed Critical 잉그 에리히 파이퍼 게엠바하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9070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05B11/1018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and the controlling element cooperating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le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수동도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배출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배출장치의 제1도에 의한 축방향 단면의 확대도.
제3도는 다른 피스톤 장치 위치에서의 제2도의 상세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배출노즐 부근을 더욱 확대한 상세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4도와 동일도.
제6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제4도와 동일.
제7도는 또 다른 배출노즐의 축방향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으로써, 외부노즐캡을 제외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IX-IX 선을 따라 취한 대응 단면도.
제10도는 배출노즐의 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
제11도는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제2도와 유사도.
제12도는 배출장치를 다른 실시예의 제2도와 동일도.
제13도는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의 확대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13도와 동일도.
본 발명은 유체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완전한 작동에너지가 수동작동으로 부여되는 배출장치에서 유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아주 미세하게 분무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예컨대, 고압가스로 충전된 배출 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미세한 분무가 지금껏 가능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요지는 현재까지 것 보다 더욱 미세하게, 특히 30 내지 70㎛ 이하의 크기로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작동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동작동배출 장치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2단의 분무기를 구비하여 또한 이로써 노즐공기 유동이나 별도의 가스유동에 의해 배출 노즐의 주위에서 예비분무된 유체 흐름이 더욱 미세하게 분무된다.
따라서 예비분무된 유체는 큰 가속처리를 받아 유체의 방울들은 부여된 에너지하에서 더욱 작은 방울들로 된다. 라발효과(Laval effect)가 적용되는 경우, 초음속으로 가속시킬 수 있으며, 이는 유체를 극히 미세하게 분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압축 공기는 유체에 앞서 적어도 매우 짧은 시간동안 배출 노즐을 통하여 적당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압축 공기가 미리 유동한 배출노즐의 주위에서 유체는 예비분무된 상태로 별도의 파이프에 의해 공급된다. 또한 먼저 유체의 유동을 정지한 다음, 블로우잉에 의해 배출노즐을 세정한 후, 압축공기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것도 분무공정에 있어서 유익하다.
1 또는 2 노즐단에서 분무작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대응 노즐 형상체(pro file), 선회 수단과 배출방향으로 좁아지거나 및/또는 넓어지는 파이프나 관부 그리고 유사한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허 유익한 점은 배출노즐과 조합되고 상기 배출노즐에 압축공기관으로 접속되는 수동 압축공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며, 두개의 펌프는 두손으로, 바람직하기로는 한손으로 별도로 작동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배출장치는 매우 콤팩트(compact)하고, 작동적으로 신뢰적이며, 높은 배출에너지의 경우에는 유체의 극히 미세한 분무를 보장한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예비 분무하는 것 대신에 또는 거의 예비분무되지 않은 상태로 단지 압축공기 유동에 의해 유체를 실질적으로 분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것들과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량 형태는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알 수 있으며, 이에 의한 각각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타분야에서 단독 또는 조합형태로 실현할 수 있으며, 그들 자체로써 유리한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 개량형태에 대해서는 보호가 청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기술하고자 한다.
제1도 내지 4도에서 도시한 배출장치(1)는 저장기를 이루는 용기(5)의 목에 캡(4)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 케이싱(3)을 갖춘 추력 피스톤 펌프(2)를 갖는다. 실린더 케이싱(3)은 환상의 플랜지(6)로 용기목 단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한편 환상 플랜지(6) 외부에 이하 설명된 실린더 헤드 또는 커버(7)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의 단부의 주위에, 실린더 케이싱(3)이 반경 방향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분할면(8)을 경유하여 이를 둘러싸고 또한 반대 끝에 환상 플랜지(6)가 설치된 슬리브 속으로 연장된다.
2개의 동축적으로 끼워넣은 작동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조립체(9) 즉, 외부 펌프 피스톤(10)과 동일위치의 가흡입 피스톤(11)은 실린더 케이싱(3) 내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기(5) 속으로 돌출하는 실린더 케이싱(3) 내부 단부는, 펌프 피스톤(10) 단부상의 두 밀폐 립(lip)에 대한 피스톤 주행로(13)와 함께 실린더를 형성한다. 실린더 내부(12)에는 환상 바닥벽(18)에서 피스톤 조립체(9)에 대해 자유롭게 돌입하고 또한 입구 통로와 연결된 가흡입 실린더(15)를 설치하며, 이는 바닥벽(18)에서 반대 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입한다. 가흡입 실린더(15)의 외주는 가흡입 실린더와 접하는 가흡입 피스톤(11)의 피스톤 주행로(16)를 형성한다.
피스톤주행로(13,16) 사이의 공간은 펌프실(14)을 이루며, 그 내부에 가흡입 실린더(15)와 가흡입 피스톤(11)에 의해 포위된 가흡입실(17)이 동축적으로 위치하며, 또한 피스톤 조립체(9)에 시작 위치를 향해 힘을 가하는 복원 스프링(20)이 배치된다.
펌프 피스톤(10)의 외부 또는 후단부에는 축내에 위치되고 또한 실린더 커버(7)를 관통하여 밖으로 안내된 피스톤 샤프트가 설치되며, 이는 출구 밸브(23)을 끼우는 한편 펌프실(14)에 연결된 출구통로(24)를 포위한다. 출구통로(24)는 핸들(22) 내의 배출노즐(25) 쪽으로, 피스톤 샤프트(21) 외부 단부에 위치한 작동헤드(head)의 형태로써 연결된다. 그리고 피스톤 샤프트는 각 위치에서, 작은 틈을 두고 실린더 케이싱(3) 슬리브와 맞물린다.
가흡입실(14)에 대면하는 가흡입 피스톤(11)의 단부 벽은 출구밸브부(23)의 절두형 밸브 밀폐부(26)을 형성하며, 밸브 시이트(27)가 펌프 피스톤(10)의 접속단부벽에 설치된다. 출구밸브(23)를 개방하기 위한 샤프트(28)는 가흡입 피스톤(11)에서 피스톤 샤프트(21) 쪽으로 변위 가능하게 돌입한다. 펌프 피스톤(10)에 연결된 피스톤 샤프트(21) 부는 탄성적이며 압축 가능한 목(29)을 형성한다.
핸들(22)를 아래로 눌러 배출장치는 작동할 때,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면 출구밸브(23)는 이 압력차로 인해 열린다. 피스톤 조립체(9)의 복귀 행정중에 펌프실(14)을 충전하도록 변위에 의한 방식으로, 출발위치로 신장하는 피스톤 조립체의 복귀행정의 마지막 부분에서만 개방되는 반면에, 펌프행정의 말단부로 신장하는 펌프행정의 대부분에서 폐쇄되는, 패스오버(pass-over) 밸브(32)를 설치하여, 이 슬라이드 밸브의 닫힘부(33)는 가흡입 피스톤(11)의 전방 피스톤 립(lip)에 의해 형성되며, 가흡입 실린더(15)의 자유단에서, 축방향 밸브 구멍(39)과 연결되어서 밸브 개구부를 이룬다. 가흡입 피스톤(11)이 펌프 행정방향에서, 밸브 밀폐 모서리(34)로 설치된 밸브구멍(39)의 끝모서리에 도달하자마자, 패스-오버밸브(32)가 닫혀지고, 또 가흡입 피스톤(11)의 복귀행정중에 또한 진공이 펌프실(14) 내에 형성된 뒤에 급속히 재개방된다. 펌프행정 말기에, 펌프 피스톤(10)과 가흡입 피스톤(11)의 2개의 끝면(30,31)은, 선택적으로는 펌프실(14)을 통풍하기 위하여 출구 밸브(23)가 개방되도록 바닥면(18)에 대해 시간차(Time-delayed) 방법으로 충돌할 수 있다. 컵형의 가흡입 피스톤(11)은 끝면(30)을 형성하는 피스톤 슬리브(35)를 가지며, 이 피스톤 슬리브는 펌프 피스톤(10)의 피스톤 슬리브(36)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신장된다.
피스톤 샤프트(21)는 축(28) 단부와 한정된 간극으로 마주하는 드라이버 즉 돌리개(dog)(40)를 가지며, 펌프 피스톤(10)이 펌프 행정 말기 위치에서 축(28)과 충돌한 후에 짧게한 목(29) 상을 지니고 또한 결과적으로 출구 밸브(23)를 개방한다. 추력 피스톤 펌프(2)도 역시 변위에 의하고 밸브로 조정되는 용기(f)의 통풍 수단을 갖는다. 펌프 피스톤(10)의 두곳의 피스톤 립 사이에서 실린더 케이싱(3) 표면상에 통풍 관통구멍(43)을 설치하는데, 이는, 실린더 케이싱(3)의 바깥 원주와 가스킷(42)으로 포위된, 환상의 간극공동 부근의 가스킷(42) 외부에 바로 근접하고 있다.
통로구멍을 길이방향의 홈(44)에 설치하여서, 펌프 피스톤(10)의 뒤쪽 립으로부터 최소한 펌프행정의 끝까지 외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통풍이 되도록 한다. 배출장치(1)는, 특히 상기 부품들 또는 조립체에 대해서는, 독일 특허출원 P 37 15 301.3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더 상세한 내용과 작동설명을 알기 위하여는 이를 참조해야 한다. 그러나, 펌프는 완전히 다른 구성의 수동조작 펌프, 즉 예로써, 벨로우(bellows), 다이어프램(diaphragm), 기구(balloon) 또는 유사한 펌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초기에 용기(5) 내에서 가압축된 압력을 낼 수 있도록 매체펌프 (medium pump)를 구성하여서, 매체가 라이저(riser)를 경우하여 출구통로와 배출노즐(25)로 운반되도록 한, 즉 예로써, 독일 특허출원 P 37 12 327.0에서 기술한 매체 펌프의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매체 펌프(2)와는 달리, 바람직하기로는 수동조작 압축 공기 펌프(50)가 압축공기원으로써 배출장치(1)에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펌프(2) 또는 용기(5)로부터 분리되거나, 선택적으로는 발로 조작 가능한 펌프로 구성되고 배출장치(1)의 일부나 용기에 가요성 호스와 같은 라인 수단으로 적당히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압축 공기 펌프는 또한 다른 펌프 타입으로, 예로써, 매체 펌프로써 설명한 타입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유리한 실시예의 경우는, 압축 공기 펌프(50)는 추력 피스톤 펌프로써 구성되며, 구조적으로 배출장치(1)에 결합되며, 사실상 매체펌프(2)와 동일한 핸들(22)로 동시에 작동되며, 매체펌프(2)에 동축상으로 또는 축상으로 바로근접하게 그리고 매체펌프 외부 단부에 적당히 연속하여 설치한다. 비록 압축공기 펌프(50)를, 압력탱크를 중간에 두어 수동조작 밸브 수단으로 함께 실리도록 한, 배출노즐(25) 또는 배출통로(24)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만약 압축공기 펌프(50)를 직접 연결한다면 특히 가난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는 본질적으로 작동중에만 이동한다.
압축공기 펌프(50)는 펌프 피스톤(51), 이를 수용하는 펌프 실린더(52), 펌프 피스톤(51)과 통합된 공기 입구 밸브(53), 펌프 실린더(52)와 구조적으로 결합된 공기 출구밸브(54)를 가지며, 이들은 서로 동축이며, 캡형상 핸들(22)의 외부 경계내에서 또한 매체 펌프(2)의 중앙축에 위치된다. 매체펌프(2)로선 특히, 용기(5)에 고정 또는 설치된 케이싱에 대한 작동으로 펌프 피스톤을 이동함을 생각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로써는, 펌프 피스톤(51)은 상기 케이싱 또는 실린더 케이싱(3)에 대해 고정되고 또한 펌프 실린더(52)는 핸들(22)과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이다.
매우 유사한 구조로써, 압축공기 펌프(50)에 필요한 별도의 실린더 케이싱 없이, 펌프 실린더(52)는 바로 실린더 케이싱(3)의 슬리브(46) 상에 인접하는 핸들(22)의 캡 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케이싱의 길이의 일부상의 내주는, 핸들(22)의 캡 단부벽 쪽으로 예각으로 원추상으로 넓혀진 펌프 피스톤(51)의 반경방향 바깥립(56)의 피스톤 주행로(55)를 형성한다. 원추상으로 동방향으로 테이퍼(경사)진 펌프 피스톤(51)의 대응하는 반경방향 안쪽의 피스톤 립(57)은 목(29)에 접속되어, 거의 핸들(22)과 연결하도록 연장된 피스톤 축(21) 부의 원통형 바깥원주상을 활주한다.
고정목적으로써, 펌프 피스톤(51)은 피스톤 립(56,57)로 부터 떨어진 그의 단면에 거의 환상의 스냅 요소(58)를 가지며, 이는 슬리브(46)의 연장으로써 분할면(8) 측부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돌출하여 펌프 피스톤(51)이 분할면(8) 상에 구속되도록 내부홈으로써 이루어진 기둥형의 쇼울더 상의 환상 간극내에 삽입하여, 펌프 압력에 대해 펌프 피스톤(51)이 축상으로 지지된다.
상기 펌프 피스톤(51)의 끝면 상에는 또한, 펌프축에 대하여 일정하게 분포되며, 실린더 케이싱(3)의 실린더 구멍에 연속된 확장부 공동속으로 리브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실린더 커버(7)를 설치한다. 이는 실린더 케이싱(3)이나 또는 상대적으로 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펌프 피스톤(51)과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펌프 피스톤(10)의 출발위치에서 매체펌프(2)는 그 뒤에 피스톤 립과 함께 실린더 커버(7)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행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캡 주변표면 또는 펌프 실린더(52)가 밀폐 립 등으로 슬리브(46)에 대해 밀폐하는 식으로 주행하여, 실린더 케이싱(3)의 케이싱 또는 관련부분이 바로 일체로 하나의 펌프 피스톤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싱(3)과 펌프 실린더(52) 사이의 적당한 틈은 용기(5)의 공기 통풍을 위해 또는 압축공기 펌프(50)의 공기흡입을 위한 입구구멍이 된다. 이 틈은 스냅 요소(58) 내 브레이크 또는 막힘사이의 펌프 피스톤(51) 외주상의 적당한 상부에 설치하여, 피스톤 립(56,57)에서 멀리 떨어진 그의 반대쪽 면에서부터 펌프 피스톤(51)을 통하여 흡입 공기를 빨아들인다.
이 목적을 위해, 피스톤 립(56, 57)을 연결하고 있는 링 디스크 형상의 바닥면 내에는 링 분산식의 공기 통로구멍이 설치되며, 이 구멍은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링 디스크형의 밸브본체(60)를 사용하여 예장력(non-pretensioned)을 주지 않은 체크 밸브식으로 닫을 수 있다. 밸브 본체(60)는 피스톤 립(56,57) 사이의 바닥벽 안쪽상에 위차하며 개구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특히 2개의 동축 토리(tori)(61)로써 정지-제한되며, 이는 피스톤 립(56,57)의 원주 측부를 면하는 쪽에, 밸브 본체(60) 두께 보다 약간 큰 간격으로 바닥벽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더 작은 직경 그러나 유사하게 구조된 출구밸브(54)는 예장(Pretensioned)된 과압 밸브식으로 작동하여 펌프 즉 압축실(62) 내에서 소정의 과압에 도달했을 때에만 열려 압축 공기의 배출노즐(25)로의 통로를 준다. 핸들(22)의 캡끝벽에서 거의 전 원주에 걸쳐, 캡원주 표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시(63) 내에는 프랜지형의 칼러와 함께 칼러 슬리브형 삽입부재(64)를 삽입하고 스냅연결로 구성하여 칼러는 부시(63)의 자유단면으로써 거의 편평하게 종료한다. 삽입 부재(64) 칼러의 링 디스크형상 부위에 통로구멍을 링으로 설치하고 링디스크 형상 밸브본체(65)로써 폐쇄할 수 있다. 밸브본체(65)는 헬리컬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밸브스프링(66)의 장력으로 압축실(62)에서 떨어진 삽입칼러(64)의 단면상을 속박하며, 이 헬리컬 압축 스프링은 부시(63)와 마찬가지로 동축상으로 위치한 핸들(22)의 또 다른 플러그 부시(67)와 부시(63) 사이 환상 간극 내에 설치한다. 상기 플러그 부시(67) 내에는 삽입부재(64)의 슬리브 부위가 삽입되고, 그 뒤 피스톤 샤프트(21)의 연속된 작은 외경끝을 압축끼움식으로 삽입하여 피스톤 샤프트(21)와 핸들(22) 사이를 사실상 고정연결하고, 삽입부재(64)의 슬리브 부와 피스톤 샤프트(21)의 자유단면은 상호 핸들(22)의 캡단면에 인접하게 같은 높이로 위치되고 또한 도그(40)를 피스톤 샤프트(21)의 관련 단부에 설치한다.
배출노즐(25)은 사실상 4개의 몸체로써 동축적으로 그리고 매체펌프(2) 또는 압축공기 펌프(50)의 중앙측에 직각으로 이루어진 즉 자리잡은 노즐캡(70,71) 내부노즐캡(71)안에 구속된 내부몸체(72), 외경상에 외부노즐캡(70)을 수용하고 있는 외부 부시(73)로 이루어지며, 또한 외부노즐캡은 내부몸체(72)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핸들과 함께 내부몸체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부시(63)의 원주표면과 핸들(22)의 캡 끝벽 양쪽에 적당히 연결토록 할 수 있다.
배출 노즐(25)은 노즐 끝판(74,75)을 갖는 2개 이상의 인접하는 노즐체를 가지고, 상기 노즐끝판은 노즐채널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노즐 끝판 사이에 압축된 보조매체 채널부(89)의 결합 단부 또는 선회실(86)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노즐끝판은 공축의 노즐캡(70,71)의 말단벽에 의해 형성된다.
노즐축(69)에 본질적으로 직각인 노즐캡(70,71)의 끝벽은 노즐 끝판(74, 75)을 형성하며, 노즐 끝판은 상호 거의 전 표면상을 구속하고, 내부 몸체(72)의 단면(76)은 뒤쪽 노즐 끝판(75)의 안족 끝면상을 거의 전 표면에 걸쳐서 구속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앞쪽 노즐 끝판(74)은 노즐캡(70)의 외경에 해당하는 앞쪽 단면의 내경을 반 이하로 바깥부시(73)의 앞쪽단면(77)에 대해 뒤쪽에 설치한다. 노즐 끝판(75)은 노즐축쪽으로 바깥단면(78)이 볼록하게 돌출하는 구조로 두껍게 되고 또한 노즐끝판(74)의 내부단면의 오목한 해당 부위상에 사실상 전 표면에서 바깥단면(78)과 인접한다.
외부로 나있는 노즐 끝구멍(80)은 노즐 끝판(74) 바깥 끝면내에 적당히 위치하거나 평편한 침하부(79)의 바닥면에서 노즐 끝판의 뒤쪽에 위치하여서, 노즐 끝구멍(80)이 바깥부시(73)의 앞쪽 끝에 대해 후퇴되고 또한 바깥부시에 의해 앞 전방이 방어된다. 배출노즐(25)의 노즐통로는 필연적으로 2개의 분리된 각각의 통로 또는 노즐(81, 82)이 형성되며 이 노즐들은 서로 마주보면 동축적으로 위치된다.
노즐 끝판(74) 내의 해당 노즐통로에 의해 형성된 앞노즐(81)과 노즐 끝구멍(80)에 의해 형성된 그의 노즐출구 구멍은 노즐구멍의 중앙 즉 노즐구멍의 최소폭 보다 작은 길이이며 또한 노즐끝판(74)의 내부 끝면 공동내의 노즐입구 구멍(83)에서 노즐 출구구멍으로 전 길이에 걸쳐 예각으로 연속적으로 원추형으로 확장된다.
노즐 끝판(75)내 노즐통로에 의해 형성된 후방노즐(82)은 그곳 중앙직경과 비교해 더 큰 길이를 가지고, 중앙 직경은 그의 가장 큰 직경과 비교해서는 작은 길이로써 유동방향 또는 역류 노즐(81) 방향으로 축소된다. 후방의 긴 부위는 노즐 끝판(75)의 안쪽단면에 위치 연결된 노즐입구 구멍(85)에서부터 그의 가장 작은 직경쪽으로, 예각으로써 원추형으로 테이퍼지며 그의 가장 작은 직경의 일정폭 또는 단면(78)에 위치 연결된 노즐 출구 구멍(84)까지 전개하는 직경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82)은 연속적으로 계단지면서 수축(축소)되며 최소폭으로써 노즐(81)의 가장 작은 폭 보다 약간 작다.
2개의 각 노즐(81, 82) 사이에는 상기노즐 끝판, 특히 앞판(74)에 최소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 선회장치(86)를 설치하는데, 이는 입구구멍(83)과 출구구멍(84)을 면하는 또 다른 회전실로 이루어지고, 그의 축방향 신장(길이)은 하나의 노즐, 특히 더 짧은 노즐(81) 보다 현저하게 작다. 또한, 후방 노즐(82)의 노즐 입구구멍(85)과 선회장치(87)가 연결되며, 이 장치는 사실상 노즐측에 위치된 플래터(flatter) 회전실로써도 역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래터 회전실은 입구 구멍(85)를 면하고 상기 각 노즐의 길이 보다 훨씬 더 납짝하며, 내부몸체(72) 또는 노즐끝판(75)의 일방 또는 양방과 일체로써 구성될 수 있다.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해, 선회장치(86, 887) 및 관련된 이송라인은 하나의 단일 노즐몸체로써 구성하여, 단지 이것은, 미끄러운 모양에서 갈라지는 해당모양 즉 상응하는 오목부 형상으로 연결된 노즐끝판(75)의 안쪽 및 바깥끝면상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요소만 변경하여도, 배출노즐(25)이 분무될 유체의 특성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예로써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유체 유동체 송급시키도록 또는 매체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유체를 각각 분리된 유동으로써 배출노즐(25)에 송금하기 위해, 셋 이상의 노즐을 설치하는 것도 또한 수용될 수 있다.
후방의 각 노즐(82) 또는 그 선회장치(87)는 단부로써 설치한 채널부(88)에 의해 유체 출구채널(24)에 연결하고 한편, 전방의 단일노즐(81) 또는 그의 선회장치(86)는 단부로 이루어진 채널부(89)에 의해 출구밸브(54)에 연결된 압축공기 채널(90)에 연결될 수 있다. 단면으로서 각을 이룬 유체 채널부(88)는 내부 노즐캡(71)의 안쪽 단면상과 내부원주 표면상에 그리고 내부 주변 표면상에 해당홈이 형성되어 이들과 내부몸체(72)로써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중간 채널에 의해 피스톤 샤프트(21) 바깥단부 또는 채널(24) 출구에 연속되며, 중간채널은 내부몸체(72)와 핸들(22)의 캡 끝벽 사이의 압축공기 통로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압축 공기 채널부(89)는 또한 각을 이루고 그리고 채널부(88)에 대한 노즐축 주위의 캡원주 표면과 노즐캡(70, 71)의 노즐 끝판(74, 75) 사이를 대칭적으로 적당히 변위하고, 해당 축 둘레에 반경 방향의 홈을 이루는데, 이 홈은 노즐캡(71)의 바깥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예에서는 노즐캡(70)의 안쪽면에 위치한다. 압축공기 채널(90)내에는 밸브 스프링(66)을 수용하는 환상 간극을 주는데, 이 간극은 그의 축부를 갖는 거의 압축공기 채널부(89)까지 이어진다.
채널부(88, 89)의 반경단부는 사실상 각 경우 연결된 선회실에 반경으로 즉 접선으로 연결하며, 이송된 유체는 연결된 노즐 입구 구멍(85, 83) 공동내의 노즐축 주위를 회전식으로 유동하면서 해당노즐 채널로 들어간다.
설명된 구조는 적어도 2단 또는 다단 분무기(100)를 이루고, 유체유동이 선회장치(87)와 개별노즐(82)의 공동내에서 예로써 50 내지 70㎛ 크기의 유체 미립자로 예비 분무되고 그리고 압축공기의 가속으로 적어도 한 번은 더욱 미세하게 미립화되며 연속적인 공기분무의 결과로 유체미립자 또는 분자크기는 약 10배 줄어든다. 이것은 특히, 만약 라발(Laval) 효과를 얻는 치수일 경우, 압축공 흐름은 유체 미립자 또는 분자를 음속에 가깝게 또는 그 이상으로 가속시켜 그들은 충격력을 동반하여 떨어져 나가는 노즐구멍(80) 상에서 대기와 직접 접촉하여 더욱 미립화된다. 라발효과에 의한 앞(전방) 쪽 노즐(81)의 노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선 노즐 입구구멍 공동내에 비교적 작은 폭을 갖고 그 다음에 완만하고, 트럼펫 모양의 변이면 또는 원추형 표면을 지나서는 매우 넓게 되도록 함이 적당하다. 단일 노즐(81)의 가장 작은 폭은 2 또는 1.5㎜ 이하가 적당하고, 0.1㎜ 이상 1㎜ 이하로 하면 더욱 좋고, 0.5㎜가 가장 좋다. 따라서, 움푹 파인 콘 노즐로 구성된 단일노즐(82)은 더 작은 최소폭을 가지는데, 즉 노즐(81)의 최소폭의 약 반 또는 그 이하이며, 0.1㎜ 보다 작게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는 0.1∼1.2㎜이다. 2 바아 압력, 10m/s로 공기를 송급할 경우, 상기한 구조에서 거의 음속으로써 노즐(81) 출구에 도달하여 0.632㎛까지 미립화된 유체 미립자를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으나, 사실상 공기 압축 가능성 때문에 약 5㎛까지의 밸브만 가능하다.
압축공기를 위한 선회장치(86)를 주는 대신, 선회장치(86) 위치에 챔버(실)를 설치하는 구조로써, 압축공기는 노즐축에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덩어리로 즉 집중된 형태로 노즐(81) 속으로 유입하는 방식 그리고 외부마찰 손실로 약화된 형태로 유입하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또는 선회실의 축으로의 신장은 단일노즐(82)의 가장 작은 폭크기와 동일한 치수로 하거나 또는 예로써 노즐(81)의 가장 작은 폭의 약 1/5, 적당하기는 1㎜ 또는 0.5㎜ 이하, 그리고 가장 좋은 것은 약 0.1㎜이다.
더 미세하게 또는 추가로 미립화하기 위해, 충격부재를 노즐 끝 구멍(80)에 대하여 마주보며 역류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유체는 충격부재로 압출되어, 연속적으로 미립화되고 노즐축에 대해 직각으로 편향된 뒤, 음속 또는 초음속으로 가속된 압축공기 유동은, 예로써 라발효과로써, 공급될 수 있다. 압축공기의 노즐출구 구멍은 이 경우 예로써, 유체 노즐출구 주위에 또는 판형의 충격부재 주위에 설치하여, 압축공기는 충격부재 모서리에서 가미립화된 액체를 넘겨맡아 다시 노즐 축방향에 평행하게 편향하며, 압축공기에 의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속된 유체 미립자는 대기에 대해 분무작용을 하는데 발생압력의 파열로 인해 더욱 분해된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서 압축공기는 단일노즐(81)의 혼합된 역류 이어서, 유체 압축공기 혼합물은 하나의 노즐(81) 또는 단부를 통해 유출한다. 속이빈 콘 노즐로 구성된 중간노즐 대신, 예로써 편평한 제트노즐, 직사각형의 콘노즐, 속이 비지 않은 꽉찬 콘 노즐 또는 예로써, 축방향 선회노즐 또는 두개 이상의 재질로된 노즐, 작동될 유체가 요구하는 기능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2중으로 속이빈 콘노즐의 구조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만약 배출노즐이 종 또는 원형 표면장력파를 갖는 초음파 노즐로써 구성되었다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한 배출장치는 이하 기술한 공정에 따라서 작동한다. 손가락으로 핸들(22)을 아래로 눌러, 아니면 보유용기(5)를 손가락으로 눌러, 매체펌프(2)와 압축공기 펌프(50)가 하나의 접촉복원 스프링(20) 작동에 대응하여 펌프행정을 시작한다. 밸브 스프링으로써의 복원 스프링은 또한 출구밸브(23)가 닫혀져 있도록 한다. 최초 행정후, 예로써 총행정의 1/4에 해당하는 행정후 흡입 또는 패스-오버 밸브(32)가 닫히고 토출될 유체를 충입하면 펌프실(14) 내에 유체의 과압이 생기한다.
압축 가스원으로 설치한 상부 펌프의 압축실(62) 내에 과압이 발생함과 동시에 압축 가스는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압축 시스템은 여전히 상호간에 완전히 밀폐 즉 시일된다. 행정운동이 더욱 진행될 때, 2개의 분리된 별도의 밸브 스프링력의 작용으로, 한편으로는 출구밸브(23)가 열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가스 출구밸브(54)가 열린다. 이들 두 밸브는 중간출구 밸브(23)가 압축가스 출구밸브(54)에 앞서 열리거나 또는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열리도록 설치하여, 압축공기가(도달하여) 배출밸브(25)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에 이어서 동시에 또는 유체에 앞서 유출한다.
유체가스와 압축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2개의 펌프흐름은, 별도의 파이프 수단을 사용하며 배출노즐(25)로 각각 통하도록하여, 유체는 중간구역내에서 이미 가미립화된 뒤에 선회실(86)의 공동내에서만 혼합된다. 곧바로 두 압력유동의 합류에 바로 이어 파동가속이 방출방향으로 발생되며, 노즐끝 구멍(80)을 통한 방출직후엔 유체방울을 더욱 미세하게 미립화시키며 고밀도의 또한 그로 인해 비교적 멀리 나아가는 분무분사를 가능하게하며, 또한 고밀도의 다발 또는 집중분사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방출장치는 예로써 흡입제와 같은 약용 활성물질에 그리고 래커 즉 예로써 수용성 페인트, 오일의 분무 기술분야, 화학물질 기타등에 있어, 용기(5) 내에 추진가스를 저장할 필요없이 미립화하는데 적합하다. 압축된 가스원은 선택적으로 예로써, 조작핸들(22)로 적당히 열리는 출구밸브가 있는 카트리지형의 압축가스 저장고일 수 있다.
펌프의 행정말기 바로직전에 핸들(22)이 열리고, 유체 출구밸브(23)는 복원 스프링(20)의 장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압축된 가스출구 밸브(54)는 유체출구밸브 (23)보다 전에 또는 동시에, 함께 또는 그 후에 닫히게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계속 유동하는 압축공기는 유체 잔여분이 배출노즐(25)에 남는 것을 제거(청소)할 수 있다. 체크밸브(23)가 닫힌 후, 복원스프링(20)은 피스톤 조립체(9) 전부와 압축공기 펌프실린더(52)를 복원 스프링과 함께 처음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펌프실(14) 내는 진공이 형성되어 유체는 입구통로(19)에 설치되어 용기하단까지 신장된 라이저(47)에 의해 가흡입실내로 빨려들어간다.
압축실(62) 내의 진공과 동시에 압축공기 흡입밸브(53)가 열려서, 출구밸브(54)가 닫힌 경우에, 공기가 피스톤 조립체(9) 또는 펌프 피스톤(10)의 뒤쪽끝과 압축공기 펌프 피스톤(51)의 뒷부분 사이로 압축실(62)내로 빨려가며, 또한 압축공기 펌프 피스톤 뒷부분으로 들어간다. 밸브구멍(39)의 열림에 따라 밸브(32)가 열리면, 액체가 가흡입실(17)로 부터 펌프실(14)로 들어가, 펌프실은 다시 채워지고, 분출장치는 다음 행정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이 준비위치에서, 용기(5)로의 통풍연결은 펌프 피스톤(10)의 뒷쪽 피스톤 립에 의해 밀폐되고, 이와 반면에, 펌프행정중 패스오버밸브(32)의 열림의 직후에 이 피스톤 립이 열리게 된다. 전술한 구성은 매펌프 행정마다 분출되는 유체량의 주사량을 아주 정확하게 할 뿐 아니라, 분출장치는 간단하고 소형으로써 실질적으로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방향과 오베헤드위치에서 균일하게 작동하며 그리고 출발위치에서 피스톤장치를 갖춘 후자의 경우 용기에서의 유출이 분출장치에 의해 방지된다.
제5도 내지 제14도에 있어서, 동일한 해당부위는 앞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나 다른 글자를 이어 붙여 사용한다. 그러므로 앞선 설명은 이후에서도 역시 해당하며, 특징과 효과도 거의 차이가 없다.
제5도에 의한 실시예에서, 끝노즐(81a)의 노즐채널은 역시 계단형 단면이고 일정폭을 가지며 입구 구멍(83a)에 이어지며, 입구 구멍은 대략 동일한 길이의 원추형으로 둔갑으로 되며, 그의 넓은 끝은 노즐 끝구멍(80a)을 이룬다. 노즐(82)의 노즐출구 구멍(84a)은 단면구조로, 노즐측(69a)에 평행한 내부 플랭크를 갖는 예각의 링모서리를 갖는다. 압축 공기 유동 또는 채널부(89a)는 유동 분리(tear-off) 모서리의 부근에서 유출되며, 모서리는 단일노즐(81a)과 마주보는 혼합실(86a) 끝면의 평면에 위치하며, 또한 단면구조로 둔각으로 되어있고 V형의 환상홈으로 둘러져서 한측면 플랭크는 분리(tear-off) 모서리(91)의 링 외부 프랭크를 이룬다. 이 환상홈(92)은 암축공기의 선회장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결과 선회장치는 압축공기를 분리 모서리(91) 또는 그 링외부 플랭크 주위를 회전하게 한다. 분리 모서리(91)는 앞쪽의 단일 노즐의 입구 영역 뿐 아니라, 끝모서리 또는 반경방향 내향의 완만한 모서리도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시, 노즐(81a)의 축방향으로의 신장(길이)은, 선택적으로 챔버(86a)의 축방향 신장을 포함하며, 노즐(82a)의 신장보다 훨씬 작다. 한편, 입구 구멍(83a) 직경은 개략 환상홈(92)의 가장 낮은 지점의 직경과 일치된다.
제6도에 따르면, 압축 가스 채널의 구멍은 챔버(86b)로써 노즐축(96b)을 둘러싸서, 두개의 압축 유동이 단지 노즐(81b)의 노즐 채널 주위에서 및/또는 동 배출 방향에서 만나도록 하고, 가분무화된 유체 유동 주위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 흐름은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감싸는 식으로 노즐축(69b)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유동한다. 이 경우에 노즐출구(84b)의 둘레에는 노즐축(96b)에 직각으로 각 노즐(82b)의 환상 단면(9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에서의 상기 단면은 관련단면(78b)의 형상을 하는 환상홈(92b)에 의해 형성된 챔버(86b)의 링 내부 플랭크로 통한다. 단면(91b)의 외측폭은 출구(84b) 주위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입구(83b)이 내측폭보다 작다. 또한 둔각의 절두체 형상으로 될 수 있는 단면(91b)이 입구(83b)의 면에 적어도 근접하여 위치되며, 이로써 각 노즐(81b)의 통로의 두말단이나 마주한 외측 말단사이 또는 구멍(80b)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된 출구(84b)의 위치로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배출노즐(25b)은 노즐축(69b)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되고 및/또는 대략 동심인, 바로 인접한 각각의 노즐(81b, 82b)을 대략 적어도 2개 정도 갖는다. 그중 끝노즐(81b)는 노즐 끝 구멍(80b)을 형성하고 단지 중간 출구통로에 연설된 다른 중간노즐(82b)은 노즐끝 구멍(80b)에 대해 후방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노즐(82b)이 다른 노즐(81b)에 동심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 두 노즐에 의해 형성된 환상의 노즐통로는 외방 또는 배출방향으로 적당하게 원추형으로 경사져서 내측노즐의 외부와 외측노즐의 내주가 모두 경사짐으로써, 이 두 주면의 원추각은 압축 기류용으로 구비된 환상 노즐통로의 통로단면적이 약간 감소하는 식으로 다를 수 있다. 특히 이 경우나 다른 경우에, 중간노즐의 노즐통로는 관련출구를 형성하고 깔때기 형상의 넓은 단부를 가지므로써, 상기 노즐통로는 그 말단들 간에서 압축되고 이는 양 말단을 향해 원추형 및/또는 계단적으로 넓어진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배출노즐(25c) 상의 두개의 선회장치(86c, 87c)를 나타내며, 제6도와 유사한 구성을 한다. 채널부(89c 또는 88c)가 노즐축(69c) 주위의 링채널의 공간에서 관련 선회장치(86c 또는 87c)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이 관련 선회방향에 방사상으로 또는 접선적으로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압축기류는 링채널(93 또는 94)에서 선회방향으로 로우터리식으로 회전한다. 이는 링채널(93 또는 94) 또는 그의 내주의 관(95 또는 96)으로 부터 안쪽으로 뻗어 있으며, 주위에 관련 노즐체와 일체로 구성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링채널(93 또는 94) 보다 훨씬 좁은 채널 단면을 가지며 관련기류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경사지거나 일정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선회장치에 있어서, 중심축에 하나 이상의 관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관들(95 또는 96)의 통로단면적의 합은 관련 링통로(93 또는 94)보다 적당히 더 크다. 관(95 또는 96)은 주위가 관련가이드체로 되어 있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체는 선회장치(87c)의 경우에는 노즐(82c)의 노즐 채널의 후단주위의 환상공간에 해당하며 또한 다른 선회장치(86c)의 경우에서는 노즐(82c)이나 노즐(81c)의 입구영역 주위의 환상 공간에 해당한다.
관(95,96)은, 모든 압력 유동의 선회회전 방향이 동일 또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식으로 상기 관련내면에 접선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방향인 경우, 특히 가속을 크게할 수 있으며 반대방향인 경우, 특히 현저한 선회작용을 얻을 수 있다. 선회장치(86c,87c)나 가이드체 및 관(95,96)의 측면경계가 이 경우에 노즐끝판(75c)이나 노즐캡(71)의 멀리 떨어진 말단면의 대응형상에 의하여 배타적으로 형성되어, 내부몸체(72c) 및 노즐끝판(74c)의 마주한 끝단면이 판상의 구조를 할 수 있으며 일측에서 통로와 챔버를 경계짓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선회실을 경유하는 액체를 안내만하고 공기가 직접 노즐에서 환상통로를 경유하여 유동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선회실을 경유한 공기를 안내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0도는 이중회전 배출노즐(25d)을 나타내며, 여기서 유체는 제1단계로 동일한 유동방식으로써 미립화 또는 선회장치(87d) 내에서 미립화를 가져오고 그리고, 제2의 선회 즉 분무(미립화) 장치(86d)로써,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선회유동을, 특히 가속을 동반하여 발생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노즐(82d)의 노즐 채널의 출구 구멍(84d)이 노즐축(69d) 외측 및/또는 동 반대적으로 경사식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축(69d)에 대해 약 45°또는 그 이상 경사지는 노즐 채널이 있으며, 그의 입구 구멍(85d)은 노즐축(69d)에 대해 편심적 또는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압축공기의 공급은 선회실(86d) 또는 후속하는 별도의 챔버에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1도는 배출장치(1e)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펌프 행정과 관련된 작동경로의 초기에 핸들(22e)이 압축공기 펌프(50e) 만을 작동한 다음, 매체 펌프(2e)를 작동하고 바람직하게는 양 펌프에 피스톤 로드(21e)에 의해 형성된 작동로드가 있으며, 이는 중간 펌프(2e)의 작동이나 이동시에 스톱-한정 아이들(stop-limited idle) 운동을 한다. 이것 대신이나 이것에 부가하여, 매체펌프(2e)의 펌프 행정의 끝에서 그리고 압축공기 펌프(50e)의 후속작동까지 핸들(22e)은 후속 또는 여분의 경로를 가져서, 펌프(50e)가 이미 수행된 펌프 행정에 연속하여 펌프(2e)행정 끝에서 후속하는 여분의 행정으로 더 작동될 수 있다.
첫번째 경우에서, 매체 펌프(2e) 행정의 개시전 또는 입구나 패스오버밸브의 밀폐전이나 후 그리고 적어도 압력실(62e)에서, 아이들 운동으로 인하여 과압이 형성되거나, 또는 스프링 부하 플레이트 밸브로서 구성되는 대응 출구 밸브(54e)의 경우에서 조차도 중간 출구밸브(23e)의 개방에 앞서 압축공기는 배출노즐(25e)로 이송된다. 두번째의 경우에서, 매체펌프(2e)의 행정 끝에 후속하여 압축공기는 배출노즐(25e)로 더 공급되고 또한 그 결과 잔여유체입자가 없도록 세정, 또는 블로우잉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11도의 예에서, 피스톤로드(21e)는 신장된 위치로 스프링 부하된 관상의 텔레스코픽로드(telescopic rod)로서 구성되며, 외부로드부(97)는 펌프 피스톤(10e)의 요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다른 내부 로드부(97)는 펌프 피스톤(10e)의 요소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다른 내부로드부(98)는 삽입부재(64e)에 의해 핸들(22e)에 견고하게 연설된다. 두개의 로드부(97,98)는 압축 공기 펌프 피스톤(51e)과 부시(63e)의 단면 사이의 압축실(62e)의 부근에서 서로 인접하고, 내부로드부(98)의 단면을 헬리켈 압축스프링의 형태로 스트레칭 스프링(99)의 일단에 의해 지지되며, 다른 말단의 면은 로드부(97)에 의해 지지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가흡입피스톤(11e) 또는 유체 출구 밸브(23e)의 밸브 밀폐부(26e)에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트레칭 스프링(99)은 밸브스프링에 상반되게 작동하며 또한 소정의 스프링인장력에 도달했을 때, 출구밸브(23e)가 실질적으로 이동에 의존하여 개방되기 시작할 수 있다.
스스로 또는 로드부(97,98)의 소정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에 있어서, 스트레칭 스프링(99)은, 제1단계에서 스프링(99)에 의해 형성된 저항력이 매체펌프(2e)의 복원스프링의 인장력에 비해 작아서, 핸들(22e)의 작동경로의 초기에서 압축공기 펌프(50e) 만이 작동되고, 반면에 선회 매체펌프(2e)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남는 방식인, 단계적 스프링특성을 갖는다. 제2단계에서, 스트레칭 스프링(99)의 저항력은 압축공기 펌프(50e)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작동되도록 매체펌프(2e)의 복원스프링의 인장력 정도로 급격히 증가한다. 매체 펌프(2e)의 행정의 끝에서, 잔여 경로는 스트래칭 스프링(99)의 상승된 저항력에 대하여 압축공기 펌프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압축 공기 펌프(50e)의 펌프 행정의 말단 위치는 피스톤 장치(9e)나 피스톤로드(21e)의 로드부(97)의 단면에 타격되는 핸들(22e)에 의해 적당히 한정되며, 여기서 부시(63e)나 삽입부재(64e)의 단면을 타격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예에서, 출구채널(24e)이 축(28)의 외주에 구비되지만, 제11도에서는 관상의 축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예에서, 매체물로 충전되지 않는 상태의 펌프실(14)은 비교적 용이하게 통풍될 수 있고, 매체펌프(2)의 행정 말기에서 펌프피스톤(10)이 중지-고정된 후, 도그(40)로 핸들(22)을 더 가압함으로써 출구밸브(23)는 기계적으로나 이동 의존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1도의 예에서는 그러한 배치를 하지 않지만, 도그가 압축공기 펌프(50e)의 펌프 행정의 말단위치의 직전에 축(28e)의 말단에 도달한다면 상기한 것이 가능하다. 축(28e)은 로드부(98)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또한 그 둘레에는 로드부(97) 내에 위치된 스트레칭스프링(99)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압축 공기 펌프(50e)나 핸들(22e)은 케이싱부, 특히 매체펌프(2e)이 실린더 케이싱(3e)의 슬리이브(46e)나 스톱부(59e)에 대하여 스톱-한정된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펌프피스톤(52e)은 말단에서 스톱부(101)로서의 내측방향의 칼러를 구비하며 또한 이것은 외주로 돌출한 실린더 케이싱의 칼러인 대응스톱부(102)과 관련되며 스냅요소(58e)용 대응부재의 주변에 위치한다. 스톱부(101) 및 대응스톱부(102)는 공기가 압력공기 펌프(50e)로 공급되고 용기의 통풍이 외측으로 기밀 밀봉되는 초기위치에서 서로 밀봉계합될 수 있다.
제11도의 예에서, 유체 출구 밸브(23e)가 펌프 피스톤(10e)의 주변이나 관련 실린더 하우징(3e)에서 수평적으로 위치되며, 후방의 유동방향에서의 중간출구통로가 축(28e)에서의 가로 구멍을 통하여 축(28e)과 로드부(97e) 사이의 환형으로 형성된 출구밸브(23e)에 연설되며, 제12도의 예에서, 유체출구 밸브(23f)는 압축공기 펌프(50f)의 공간이나 핸들(22f)의 핀부시(67f) 내에서 실린더 하우징(3f)의 외측에 구비되며 또한 이 경우에 핸들이나 압축공기 펌프 실린더(52f)는 피스톤 축(21f)의 일 성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출구 밸브(23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이들이나 핀 밸브식으로, 첵밸브 분리되며 유체압력에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 작동밸브 및 특히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29 02 624호에 따른 호오스 밸브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 밸브(53f)는 배출노즐(25f)에 매우 밀접하게 혹은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부몸체(72f)의 측부의 바로옆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와 노즐채널간에 각을 이룬 채널부(88f)이 구비되며, 여기서 소량의 유체 잔류물만이 남고, 압축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용이하게 세정이나 블로우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압축공기 출구밸브(54f)는 스프링부하 보올 밸브이며, 압축공기 펌프나 핸들(22f)의 실린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밸브 케이싱은 이것이 압축공기 채널부(89f)의 하나의 다리에 직접 연설되는 형태로 펌프축과 배출노즐(25f) 사이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압축공기 펌프실린더(52f)는 칼러 형상부(59f)의 내부에서 작은 간극과 계합하며, 칼라형상부는 분할면(8f)과 유사하게 스크루우캡으로서 구성된 한 조각의 캡(4f)으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 매체 펌프(2f)는 이중 피스톤을 갖지 않으며 대신에 피스톤장치 (9f) 상에 단일 펌프피스톤(10f)을 가지며, 이는 필수적으로 환형의 피스톤 디스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정면 및/또는 후면말단은 절두체형으로 넓어지는 피스톤립으로 돌출되어 있다. 펌프 스트로크의 끝위치에서 정면피스톤립은 오프셋링 쇼울더에 의해서 형성된 바닥면(18f)에 계합되고 또한 입구채널(19)을 향한 방향으로, 복수의 오프셋으로, 외주가 감소되는 실린더 케이싱(3f)의 단부로 이동한다. 상기 단부에서, 흡입밸브(32f)로서 보올밸브의 형태인 첵밸브는 구형의 밸브 밀폐부(33f)와 원추형의 밸브시트(34f)를 구비한다.
실린더 케이싱(3f)은 이것의 외측말단에서 외주에 걸쳐 돌출한 링플랜지(6f)와 한조각으로 구성되며, 또한 이는 분할면(8f)에 자유단면으로 지지되며 그리고 용기의 목에 대해 멀리 떨어져 있는 환상의 단면으로 지지되어 가스킷(42)에 대응하는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외측 말단에서, 실린더(12)나 실린더 케이싱(3f)은 피스톤 축(21f)에 의해 이동되는 링이나 부시형 실린더 커버(7f)에 의해 밀폐되고 또한 외주에 걸쳐 돌출한 칼러에 의하여 분할면(8f)에서 축 방향 지지된 형태로 링플랜지(6f)의 내부홈에도 밀봉된다. 실린더 케이싱(3f)의 주변표면 및 펌프피스톤(10f)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펌프피스톤의 뒤에 피스톤립에 대응하는 외주에 돌출한 실린더 커버(7f)의 내부 절두형 말단은 스톱부로서 펌프피스톤(10f)이나 피스톤 디스크의 후면의 단면에 비교적 날카로운 링가장자리와 계합하여, 밀봉의 압축공기 펌프(50f)에 대해 또한 얻어진다.
피스톤 축(21)은 아이들 운동에 의해 펌프피스톤(10f)에 대하여 출발위치로부터 이동자재하고, 이로서 펌프(50f)가 작동되고, 반면 매체펌프(2f)는 정적인 펌프피스톤(10f)을 통하여 작동되지 않는다. 아이들 운동의 끝에서, 피스톤 축(21f)은 펌프피스톤(10f)의 피스톤디스크 위를 도그로 가격하고, 이것을 행정 말단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실린더 커버(7f) 내의 출발위치에서, 압축공기펌프(50f)의 외측에 위치된 도그(103)는 피스톤 축(21f)의 링 쇼울더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은 펌프실린더(52f)나 핸들(22f)에 연결되거나 그들중 하나에 형성된 로드부(98f)의 말단면에 의하여 번갈아 형성되고 또한 이것은 소켓이나 부시(67f)의 외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유체출구밸브(23f)의 밸브 밀폐부(26f)를 이동가능하게 탑재하는 경우에, 피스톤 축(21f)은 텔레스코픽 로드의 형태로 구성되며, 출구채널(24f)을 형성하는 내부의 관상로드부(28f)는 밸브 밀폐부(26f)의 관련말단의 부근에 형성된다. 피스톤 축(22f)이나 로드부(28f)는 피스톤 디스크에서의 통로 개구부의 부근에서 펌프피스톤(10f)를 통과하고, 이로써 펌프피스톤(10f)의 내주에는 상기로드부(28f)의 외주에 밀봉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립이 있다. 펌프실(14f) 내에 위치된 말단에서, 로드부(28f)는 외주에 걸쳐 돌출한 로드칼러(105) 또는 펌프피스톤(10f)의 후퇴행정을 위한 구동부재를 가지며, 이것은 피스톤 디스크의 관련단면을 가격할 수 있고 복원 스프링(40f)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압축공기 펌프(50f)의 펄르피스톤(51f)의 외부 및 내부 피스톤립(56f 및 57f)은 매체펌프(2f)나 압축공기 펌프(50f)보다 더욱 축방향으로 왕복이동되고, 내부 피스톤립(57f)는 실질적으로 링플랜지(6f)나 실린더 케이싱 (3f)내에 위치되며, 반면에 외부 피스톤립(56f)는 외방으로 가동되고 적어도 칼러(59f)의 외측말단이나 그 뒤까지 확장될 수 있다. 펌프피스톤(51f)의 외측말단이나 그 뒤까지 확장될 수 있다. 펌프피스톤(51f)은 실린더 커버(7f)나 링플랜지 (6f) 및 분할면(8f)의 중앙에 위치하며, 또한 공기 공급을 제외하고 밀봉방식으로 삽입되며, 이 목적을 위하여 바닥벽과 피스톤립(56f)간에 외주에 복수의 계단식으로 프로필된 주면부를 갖는다.
제13도는 핸들(22h)의 이동에 대해 지연되는 유체출구 채널(24h)이나 압축공기 채널(90h) 혹은 상기 두채널의 개방을 위한 제어장치(106)의 양호한 구성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 밸브 본체(27h 또는 65h)를 작동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압축공기실(62h)에 압축공기의 압축에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107)이 있다. 밀폐방향에 스프링 부하된 제어피스톤(107)이 압축공기 출구밸브(54h)의 밸브본체(65h)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컵형상의 칼러슬리브를 형성하며, 일단에 구비된 그의 칼러는 밸브본체(65h)를 형성하고 또한 이것은 링디스크형 바닥면에 의해 다른 말단에서 밀폐되며, 피스톤축(21h)에서의 유동방향의 반대로 돌출한 쇼올더를 갖는 링디스크형 바닥면은 밸브시트(27h)를 형성하고, 이는 피스톤축 (21h)에 견고히 위치된 부분인 밸브밀폐부(26h)와 연관될 수 있거나 축(28h)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제어피스톤(107)의 주면은 피스톤축(21h)의 관련 말단의 외주에 가이드 되거나 통상의 밸브스프링(66h)에 관하여 두개의 밸브의 개구경로에서 주위에 삽입부재 (64h)의 슬리브에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두 통로경로, 즉 채널부(88h)와 다른 채널부(89h) 및 압출 공기통로(90h)의 상호의 밀폐에 대하여 제어피스톤(107)이 바닥벽의 부근에 위치된 밀봉립(108)와 함께 부시(63)의 진행 경로에 밀봉적으로 가이드되며, 상기 진행경로는 밸브 스프링(66h)에 대한 환형틈새에 따라 제공된다.
압력실(62h)에서 소정의 압력에 도달했을 때 배출노즐(25h)에 대한 분리와 관련하여 가압가스와 이에 관한 유체의 접촉제어용 제어장치(106)는 초기에 상기 초과압에 의해 출구밸브(54h)의 밸브밀폐부(65h)는 개방위치로 움직이기 때문에, 동시에 그리고 연속하여 양 노즐을 모두 개방한다. 따라서 제어피스톤(107)과 밸브밀폐부(65h)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따라서 밸브시트(27h)는 동시에 또는 지연되는 식으로 밸브밀폐부(26h)로부터 상승하고 이어서 개방된다. 동일하거나 또는 반대의 방식으로 매체 출구 밸브(23h)는 압축공기 출구밸브(54h)와 동시에 또는 그에 앞서 다시 밀폐된다. 따라서 제어장치(107)는 매체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압축공기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바람직하기로는 다른 밸브의 앞에서 개방되고 및/또는 뒤에서 밀폐되는 압축공기노즐에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갖는다. 제14도는 적어도 압축실의 일부에서, 특히 배출노즐(25i)에서 혹은 그의 말단부에서, 압축실로부터의 압축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역류시키기 위한 제어장치(106i)를 나타내며,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압축공기압에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107i)은 작동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한 밸브본체를 구비한다. 이것 대신에 혹은 부가적으로 매체출구채널(24i)에서 압력을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압축공기 출구밸브(54i)가 플레이트 밸브가 아닌 슬라이드 밸브로서 구성되고, 또한 링 밀봉립의 형태인 슬리브형 밸브 밀폐부가 제어피스톤 (107i)의 외주에 슬라이드 밸브로서 구비되며 또한 밸브 스프링(66i)에 대해 링간극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채널(90i)의 내주면상에의 밸브슬롯의 면으로 그리고 면으로부터 양쪽 모두 이동 가능하다. 밸브슬롯(109)은 삽입부재(64i)의 칼러형 케이싱에 단순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공기 펌프(50i)의 압축공기실에서 압력이 초과하는 경우, 밸브밀폐부(65i)가 압력실의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환형의 제어피스톤(107i)은 밸브 스프링(66i)의 인장력에 반대로 이동하여 밸브밀폐부(65i)의 밀봉립이 밸브 슬롯이 없는 영역에서 밸브 슬롯(109)이 있는 영역으로 통과하며, 따라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실에서 압축공기 채널(90i)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 방향으로 돌출하는 그리고 밸브밀폐부(65i)와 유사한 해당 슬리브형 밸브밀폐부(111)를 제어피스톤(107i)의 원주내면 상에 설치하여서, 제어장치(106i) 또는 콘트롤 피스톤(107i)은 또 다른 공기밀폐 밸브(110)를 작동시킨다. 상기 밸브밀폐부(111)는 바깥 원주면상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밸브구멍(112)의 링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밸브구멍(112)은 삽입부재(64i)의 슬리이브내에 반경구멍 형태로 간단히 설치되고 또한 슬리이브부로서 뿐 아니라 피스톤샤프트(21i)의 접속단부 사이의 환상 채널 속으로 나있으며, 유체 채널부(88i) 속으로 통한다.
시작 위치에서, 압축공기 출구밸브(54i)와 슬라이드 밀폐 밸브(110)는 결합된 밸브밀폐부(65i, 111)에 의해 닫힌다. 상승하는 압축공기 과압하에서, 제어피스톤(107i)은 초기에 통로의 일부를 지나고 이어서 공기 밀폐밸브(110)가 열리고, 따라서 압축공기는 액체통로 즉 채널부(88i)내로 유동한다. 압축공기가 유체 채널부내에 동시에 운반된 액체에 대하여 타격함으로써, 역류가 발생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압축공기실 내에서 더욱 상승하는 압력으로, 제어피스톤(107i)이 밸브 스프링(66i) 장력에 대응하여 더욱 역으로 이동하여, 초기에 밀폐된 압축공기 출구밸브(54i)가 열리고 압축공기는 채널부(89i)로 흐를 수 있다. 만약 액체 흐름이 방해되면, 예로써, 유체펌프 행정끝에서 방해되면, 출구밸브(54i)는 역류 또는 역압 부족으로 인해 닫히게 되고, 따라서, 제어피스톤(107i)이 해당하는 일부 주행로에서 후퇴한다. 그러나 밀폐밸브(110)는 열려있는 상태로 남아 있고, 따라서 여전히 압축공기실내의 압력하에 존재하는 공기가 결합된 액체경로 또는 채널부로 유동하고 또한 배출노즐(25i)을 포함하여 세정 또한 이를 기계적 또는 변위-의존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두개의 별도의 유체 즉 예로써, 배출할 액체와 압축 가스 또는 다른 유체를 위한, 앞서 설명한 두개의 별도의 입력원의 조합외에, 배출장치의 각 요소 예로써, 펌프들, 그의 구성요소, 밸브, 제어 수단, 및 배출노즐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를 이루고 있다.

Claims (20)

  1. 핸들로서 작동되는 매체 펌프(2)를 가지며, 상기 매체펌프는 배출 노즐(25)로 유도하는 유체 출구채널(24)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노즐은 외부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 구멍(80)을 가지는 유체 수동 도포기에 있어서, 배출노즐(25)의 부근에서 보조매체의 제2노즐 유동으로 예비 분무된 유체 유동을 부가적으로 분무하기 위한 2단 이상의 분무기(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는 유체용이며 다른 하나는 부가적으로 압축공기용의 2개 이상의 인접한 개별노즐(81,82)이 분무기(100)의 하나 이상의 압축공기 채널부(89)와 연결된 배출노즐(25)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 또는 제2노즐 유동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울 위하여 하나 이상의 선회장치(87,8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을 위하여 서로 인접하거나 연속하는 형태로 위치되고 또한 중간 채널(82d)에 의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선회장치(87d, 86d)가 설치되고, 상기 두 선회장치(87d, 86d)는 공통의 선회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5.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예비분무된 유체 유동에 압축된 제2유동의 공급은 유체 유동의 주위 외측에서 수행되며 또한 노즐 끝 구멍(80) 그리고 선회장치 상호간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전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 또는 동축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인 2개 이상의 개별 노즐(81,82)이 있으며, 하나의 말단 노즐(81)은 노즐말단 구멍(80)을 형성하고, 유체출구 채널(24)에 연결된 다른 유체 노즐(82)은 노즐말단 구멍(80)에 대해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7. 제6항에 있어서, 유체 노즐(82)의 출구 구멍(84)과 그와 넓이가 같거나 더 넓은 인접 노즐(81)의 입구 구멍(83) 사이에 중간 챔버에 의해 형성된 중간 공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8. 제1항에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개별 유체 노즐(82)의 노즐 채널이 출구방향으로, 그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 원추형 또는 계단식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방식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9. 제2항에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전방의 개별 노즐(81)의 노즐 채널이 출구방향으로, 그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 원추형 또는 계단식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방식으로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0.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된 제2유동이 유체 노즐(82)의 노즐 채널의 가장 좁은 부분과 역류 노즐(81)의 노즐 채널의 가장 좁은 부분과의 사이의 배출노즐(25)의 노즐 채널의 가장 좁은 위치의 부근에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1.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출 노즐(25)이 노즐 끝판(74,75)을 갖는 2개 이상의 인접하는 노즐체를 가지고, 상기 노즐끈판은 노즐 채널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노즐 끝판 사이에 압축된 보조매체 채널부(89)의 결합 단부 또는 선회실(86)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노즐 끝판은 공축의 노즐캡(70,71)의 말단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출구 채널(24) 또는 압축된 제2유동을 위한 채널(90)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개방을 지연시키기 위한 조절장치(106)를 가지며,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제어피스톤(107)이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밸브체(27h,65h)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출구 채널(24i)의 하나 이상의 단부 또는 배출 노즐(25i)에서 압축된 제2유동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역류시키기 위한 조절 장치 (106i)를 가지며, 유체 출구 채널(24i)에서의 압력 또는 압축공기의 압력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의해 영향받는 제어피스톤(107i)이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밸브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하나 이상의 압축된 보조 매체 노즐 및 유체 노즐로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를 가지며, 또한 압축된 보조매체 노즐-공급밸브가 다른 밸브 이전에 개방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밸브 이후에 밀폐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밸브 이전에 개방되고 이후에 밀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5.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된 보조 매체용 채널부(89)에 연결된 수동 제2펌프(50)는 매체펌프(2)와 결합되고, 상기 제2펌프(50)는 매체펌프(2)와 구조적으로 조합되고, 상기 제2펌프(5)는 매체펌프(2)와 동일한 핸들(22)로 작동되거나 또는 드러스트 피스톤 펌프의 형태의 매체 펌프로 구성되거나 또는 매체 펌프와 동일한 핸들로 작동되고 매체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작동 경로의 시작에서 핸들(22e)이 단지 압축공기 펌프(50e)를 작동시킨 후에 단지 유체 펌프(2e)를 작동시키고, 또한 유체 펌프(2e)의 피스톤 장치(9e)의 피스톤 축(213)이 그의 이동시에 매체 펌프(2e)의 피스톤 장치(9e)와 관련하여 스톱 한정 아이들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7. 제4항에 있어서, 제2노즐 유동의 공급은 마지막 유체 선회장치(86d)에 유동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8. 제7항에 있어서, 압축된 제2유동용의 채널부(89)는 선회장치(86)로서 형성된 중간 챔버에까지 노즐측(69)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19.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예비 분무된 유체에 유체 미립자의 가속을 위한 제2노즐 유동의 공급은 음속이상이고, 또한 노즐끝 구멍(80)의 부근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20.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조 매체는 가스상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동 도포기.
KR1019890700421A 1987-07-08 1988-07-05 유체수동도포기 KR940004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22470 DE3722470A1 (de) 1987-07-08 1987-07-08 Handbetaetigbare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DEP3722470.0 1987-07-08
PCT/EP1988/000598 WO1989000086A1 (en) 1987-07-08 1988-07-05 Hand-operated applicator for med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26A KR890701226A (ko) 1989-12-19
KR940004234B1 true KR940004234B1 (ko) 1994-05-19

Family

ID=6774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21A KR940004234B1 (ko) 1987-07-08 1988-07-05 유체수동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85Y1 (ko) * 2011-11-18 2014-08-20 마이크로 베이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부압구조를 갖는 무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85Y1 (ko) * 2011-11-18 2014-08-20 마이크로 베이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부압구조를 갖는 무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26A (ko) 198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563B1 (ko) 유체 수동 배출장치
US4219159A (en) Foam device
US6056213A (en) Modular system for atomizing a liquid
AU647988B2 (en) Liquid jet blower
JP3285949B2 (ja) 噴霧分与装置
US8979002B2 (en) Venturi-effect spraying device and its use in cosmetology and in perfumery
MX2007010876A (es) Distribuidor de aerosol.
EP0784512B1 (en) Pump device with collapsible pump chamber and including dunnage means
EP1644127B1 (en) Nozzle arrangements
US20100108718A1 (en) Dome pump spray assembly
EP0613727A1 (en) Dispensing apparatus
JPH0661513B2 (ja) 変形自在な容器のためのスプレ−放出装置
CN1255196C (zh) 挤压式喷雾器的喷头
US6341735B1 (en) Receptacle fitted with a dispenser head
JP3401267B2 (ja) 媒体用排出ノズル
US5443185A (en) Dispenser for media
CZ299238B6 (cs) Tryska rucního rozprašovace
KR940004234B1 (ko) 유체수동도포기
JPH0131038B2 (ko)
JPH029912Y2 (ko)
JP3040024U (ja) 耐薬品性に優れた押圧式取出容器
CA2201899C (en) Assembly process including severing part of integral collapsible pump chamber
JPH1110032A (ja) 噴霧器
JPH08324616A (ja) 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