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47B1 -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47B1
KR970007947B1 KR1019880012963A KR880012963A KR970007947B1 KR 970007947 B1 KR970007947 B1 KR 970007947B1 KR 1019880012963 A KR1019880012963 A KR 1019880012963A KR 880012963 A KR880012963 A KR 880012963A KR 970007947 B1 KR970007947 B1 KR 970007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tom
compound
ring
low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649A (ko
Inventor
신이찌 쯔까모토
히토시 나가오까
신지 우스다
마사토미 하라다
토시나리 타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노우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노우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까 시게오 filed Critical 야마노우찌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 C07D491/048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the oxygen-containing ring being five-memb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10Spir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48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n acyclic carbon atom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10Spir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의약, 특히 신경변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치료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및 이의 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아세틸콜린은 인식기능과 정신 기능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러한 중추성 콜린기능의 저하는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형 노인성 치매, 헌팅턴 무도병, 픽크병, 만발성 운동 장해 등의 각종 신경계 및 정신병학상의 병을 유발시킨다. 이들 신경변성 질환중에서 특히 기억과 인식 등에 관한 중핵증상이 중추 아세틸콜린 신경의 기능저하에 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중핵증상의 개선에 피조스티그민 등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의 투여, 콜린이나 레시틴 등의 아세틸콜린 전구물질의 투여 또는 알레콜린 등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제의 투여가 시도되고 있다[참조 : 히라이 도시사구, 임상신경과학, 1, 200(1983)].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모두가 치료 효과를 발현하지 않거나, 약간 발현하여도 부작용이 강하거나, 치료 범위가 협소한 등 많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상기와 같은 질병의 치료에 유효하고 부작용이 적은 선택적 아세틸콜린 신경기능 부활제가 기대되고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반식(I)의 화합물은, 피페리딘 또는 특정의 가교를 갖는 피페리딘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이 스피로 결합된 화합물이며, 이와 같은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골격
Figure kpo00001
)이 공지되어 있지만[참조 : Chem. Abstr. 50, 13899i],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골격 자체가 신규한 것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Figure kpo00002
로 표시되는 화합물[참조 : Chem. Abstr. 70, 966595r] 및
Figure kpo00003
로 표시되는 화합물[참조 : Chem. Abstr. 74, 111879r]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골격을 갖는 화합물에 관련된 특허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
Figure kpo00004
일반식
Figure kpo00005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청구한 미합중국 특허 제3, 305, 556호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헌과 특허에는, 신경변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치료제로서의 용도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A 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Y는 카보닐기(
Figure kpo00007
) , 티오카보닐기(
Figure kpo00008
) , 일반식
Figure kpo00009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R5는 할로겐원자, 수산기, 머캅토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알카노일옥시기 또는 저급 알카노일티오기이다), 일반식
Figure kpo00010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R6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11
로 표기되는 기(여기서, Z1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Alk는 저급 알킬렌기이다)이고,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저급 알카노일기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반식의 정의에 있어서,「저급」이란 용어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탄소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저급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2급-부틸기, 3급-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3급-펜틸기, 1-메틸부틸기, 2-메틸부틸기, 1, 2-디메틸프로필기, 헥실기, 이소헥실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1, 1-디메틸부틸기, 1, 2-디메틸부틸기, 2, 2-디메틸부틸기, 1, 3-디메틸부틸기, 2, 3-디메틸부틸기, 3, 3-디메틸부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1, 1, 2-트리메틸프로필기, 1, 2, 2-트리메틸프로필기, 1-에틸-1-메틸프로필기, 1-에틸-2-메틸프로틸기 등이 있다.
또한, 「저급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2급-부톡시기, 3급-부톡시기, 펜틸옥시(아밀옥시)기, 이소펜틸옥시기, 3급-펜틸옥시기, 네오펜틸옥시기, 2-메틸부톡시기, 1, 2-디메틸프로폭시기, 1-에틸프로폭시기, 헥실옥시기 등이 있다.
「저급 알킬티오기」로서는, 상기한 저급 알콕시기의 산소원자가 황원자로 대체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부틸티오기, 2급-부틸티오기, 3급-부틸티오기, 펜틸티오기, 네오펜틸티오기, 2-메틸부틸티오기, 1, 2-디메틸프로필티오기, 1-에틸프로필티오기, 헥실티오기 등이 있다.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보닐기, 에톡시카보닐기, 프로폭시카보닐기, 이소프로폭시카보닐기, 부톡시카보닐기, 이소부톡시카보닐기, 2급-부톡시카보닐기, 3급-부톡시카보닐기, 펜틸옥시카보닐기, 이소펜틸옥시카보닐기, 네오펜틸옥시카보닐기, 3급-펜틸옥시카보닐기, 헥실옥시카보닐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콜과 카복시기가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기가 있다.
또한, 「저급 알카노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인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포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발레릴기, 이소발레릴기, 피발로일기, 헥사노일기 등이 있다.
「저급 알카노일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포밀옥시기, 아세톡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부티릴옥시기, 이소부티릴옥시기, 발레릴옥시기, 이소발레릴옥시기, 피발로일옥시기, 헥사노일옥시기 등이 있다.
또한, 「저급 알카노일티오기」는 상기한 「저급 알카노일옥시기」의 옥시기에 해당하는 산소원자가 황원자로 대체된 것으로,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포밀티오기, 아세틸티오기, 프로피오닐티오기, 부티릴티오기, 이소부티릴티오기, 발레릴티오기, 이소발레릴티오기, 피발로일티오기, 헥사노일티오기 등이 있다.
Alk가 의미하는「저급 알킬렌기」는
Figure kpo00012
와 함께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2개 또는 3개이며, 당해 탄소원자 1개 이상에 상기한 「저급 알킬기」가 치환될 수 있는 구조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1- 또는 2-메틸에틸렌기, 1- 또는 2-에틸에틸렌기, 1- 또는 2-프로필에틸렌기, 1- 또는 2-이소프로필에틸렌기, 1- 또는 2-부틸에틸렌기, 1, 2-디메틸에틸렌기, 1, 2-디에틸에틸렌기, 1-에틸-2-메틸렌기, 2-에틸-1-메틸에틸렌기, 1-, 2- 또는 3-메틸트리메틸렌기, 1-, 2- 또는 3-에틸트리메틸렌기, 1-, 2- 또는 3-프로필트리메틸렌기, 1-, 2- 또는 3-이소프로필트리메틸렌기, 1, 2-, 1, 3- 또는 2, 3-디메틸트리메틸렌기, 1, 2-, 1, 3- 또는 2, 3-디에틸트리메틸렌기, 1, 2, 3-트리메틸트리메틸렌기, 1, 2, 3-트리에틸트리메틸렌기 등이 있다.
「할로겐 원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요오드원자를 모두 들 수 있다.
A 환이 의미하는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는 임의의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단,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가 상기한 「저급 알킬렌기」로 피페리딘 환의 탄소원자(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탄소원자)와 가교를 형성하여 2환이 된 비사이클로형 2환식 포화환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1-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환(
Figure kpo00013
), 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 환(=퀴누클리딘환)(
Figure kpo00014
), 1-아자비사이클로[3.2.2]노난 환(
Figure kpo00015
), 1-아자비사이클로[3.1.1]헵탄 환(
Figure kpo00016
), 1-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 환(
Figure kpo00017
), 1-아자비사이클로[3.3.1]노난 환(
Figure kpo00018
), 7, 7-디메틸-1-아자비사이클로[2.2.1]헵탄 환(
Figure kpo00019
)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화합물은 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는 화합물(I)의 염이 포함되며, 이러한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등의 유기산 ;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과의 산 부가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부제 탄소원자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에는 광학이성체와 기하이성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이들 각 이성체의 혼합물이나 단리된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화합물(I)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질소원자를 갖는 헤테로 환과 옥솔란 환이 스피로 결합된 골격을 갖는 동시에 헤테로 환 질소나 옥솔란 환에 여러가지 기가 치환되어 있으며, 이들 화합구조상의 특징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합성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제법
Figure kpo00020
제2제법
Figure kpo00021
제3제법
Figure kpo00022
제4제법
Figure kpo00023
제5제법
Figure kpo00024
제6제법
Figure kpo00025
제7제법
Figure kpo00026
제8제법
Figure kpo00027
제9제법
Figure kpo00028
상기 식에서, A 환, R1, R2, R3, R4, R5, R6, R7, X, Y, Z1, Z2및 Alk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A1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이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으며, A2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카노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이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고, A3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이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임의의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으며, A4환은 환 구조로서 질소원자가 3급화되지 않은 피페리딘 환이고, Y1은 일반식
Figure kpo00029
로 표시되는 기, 일반식
Figure kpo00030
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31
로 표시되는 기이며, Z3및 Z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R8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저급 알킬기이며, R10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1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며, R12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카복시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이고, R1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킬기이며, R14는 저급 알킬기이고, R15는 수산기, 머캅토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저급 알킬티오기이며, ph는 페닐기이고, R16및 R1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다음에, 각각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제법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각종 폐환방법이 있으나, 일반식(Ia)의 화합물은 일반식(Ⅱ)의 헤테로사이클리덴 아세트산 에스테르를 일반식(Ⅲ)의 하이드록시(또는 머캅토) 알킬카복실산(또는 티오카복실산) 에스테르와 축합 폐환반응시키고,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화합물(Ⅱ)을 화합물(Ⅲ)의 알칼리염과 반응시키거나, 화합물(Ⅱ)을 염기의 존재하에 화합물(Ⅲ)과 반응시켜 수행한다. 화합물(Ⅱ)과 화합물(Ⅲ) 또는 이의 알칼리 염의 사용량은 각각 거의 등몰 또는 한쪽을 약간 과량몰로 한다. 반응은 불활성 유기용매 속에서 냉각하 내지 실온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며,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디메틸 설폭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비양자계 유기용매가 사용되지만, 특히 적절한 용매는 디메틸 설폭사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다. 화합물(Ⅲ)의 알칼리 염은 화합물(Ⅲ)을 바람직하게는 무수 조건하에서 수소화나트륨 등의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첨가되는 염기로서는 염을 제조하기 위한 염기와 동일한 염기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의 보호기로는, t-부톡시카보닐 등의 우레탄형 보호기 ; 포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등의 아실형 보호기 ; 벤질기, 벤즈하이드릴기, 트리틸기 등의 벤질형 보호기 등 일반적으로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아미노기의 보호기의 제거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며, 우레탄형 보호기는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 아실형 보호기는 산의 존재하에, 벤질형 보호기는 접촉환원에 의해 수행한다. 사용되는 산의 예를 들면, 염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브롬화수소산-아세트산 등이 있으며, 염기의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있다.
또한, 원료 화합물(Ⅱ)은 참고 실시예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기,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를 갖는 옥소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냉각하 내지 실온하에서 디메톡시에탄,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불활성 용매 속에서 디알킬포스포노아세트산 저급 알킬 에스테르와 반응시키거나, 통상적인 위티그(Wittig) 반응을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하여 쉽게 수득할 수 있다.
제2제법
일반식(Ib)의 3-요오도헤테로사이클릭스피로 화합물은 일반식(IV)의 알케닐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알콜을 요오드로 처리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인 유기 용매에 화합물(IV)을 용해시키고, 화합물(Ⅳ)에 대해 화학당량 이상의 요오드를 알칼리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한 다음, 냉각하 내지 실온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의 비양자계 유기 용매이며, 또한 알칼리의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이 있다.
보호기의 종류나 이의 제거는 제1제법에 기재한 것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이 반응에서 원료 화합물(Ⅳ)은 신규물질이지만, 다음 반응식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옥소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알케닐 할라이드와 마그네슘으로부터 제조한 그리냐르 시약을 작용시켜 쉽게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32
상기 식에서, A2환, R1, R2, R3및 R10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B는 할로겐 원자이다.
제3제법
본 발명의 화합물중에서 일반식(Ic)의 화합물은 일반식(V)의 에폭시 화합물을 폐환시키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폐환반응은 화합물(V)의 반응에 불활성인 유기 용매 용액 속에서, 사염화주석, 사염화티탄 또는 트리플루오로붕소-디에틸 에테르 착체 등의 루이스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킨 후, 염기를 첨가하여 실시한다.
유기 용매로서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의 비양자계 유기 용매가 적절하다. 또한, 염기는 생성되는 염산 또는 금속염을 트랩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며,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루티딘, 디메틸아닐린 등의 유기 염기 ;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 중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냉각하 내지 실온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보호기의 종류나 제거방법은 제1제법에 기재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제4제법
본 발명의 일반식(Ie)의 화합물은 4 위치가 카복시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인 대응 화합물(Id)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카복실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탈카복실화 반응은 산을 첨가하여 가열, 바람직하게는 가열환류하여 실시한다. 또한, 4 위치에 저급 알콕시카보닐기가 있는 경우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 속에서 화합물(Id)에 대하여 등몰 내지 과량의 염화나트륨을 가하여 가열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제법을 계속하여 본 제법을 적용할때는 제1제법의 생성물을 특별히 단리하지 않고 산성 수용액으로서 환류시켜 화합물(Ie)로 할 수 있다.
제5제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환원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환원되는 기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채용된다.
제5제법은, 3 위치가 카보닐기인 대응 화합물을 환원시켜 3 위치가 수산기인 화합물(If)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반응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 속에서 3 위치 카보닐기를 선택적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 예를 들면, 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등의 수소화 붕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실온으로 설정된다.
제6제법
일반식(Ih)의 N-저급 알킬 화합물은 N-위치에 저급 알카노일기가 치환된 원료 화합물(Ig)을 환원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반응은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유기 용매 속에서 아미드 환원제로서 잘 사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등의 수소화알루미늄 화합물로 환원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반응 온도는 실온 내지 가열하로 설정된다.
제7제법
본 발명의 화합물중에서 일반식(Ii)의 N-메틸 화합물은 일반식(Ⅲ)의 N-위치가 우레탄형 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환원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에서는, 수소화알루미늄리튬과 황산으로부터 제조된 알란(AlH3, 수소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테르, 디옥산 등의 유기 용매 속에서 이러한 환원제를 첨가하고, 실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처리하여 수행한다.
제8제법
일반식(Ik)의 사이클릭 케탈류는 사이클릭 케탈류 합성의 통상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식(Ij)의 대응 카보닐 화합물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여기에 글리콜류, 하이드록시알칸티올류 또는 알칸디티올류(Ⅷ), 또는 에폭시 화합물(Ⅸ)을 작용시켜 화합물(Ik)로 할 수 있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반응에 불활성인 유기 용매, 특히 공비 탈수에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속에서 화합물(Ij) 및 이에 대하여 등몰 내지 과량몰의 화합물(Ⅷ)을 사용하여 산 촉매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딘-스타크 공비 탈수장치 등으로 탈수시키면서 가열환류하여 실시한다. 이때 산 촉매로서는, 아디프산, 옥살산, 피리딘 염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p-톨루엔설폰산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또한,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불활성 용매 속에서 트리플루오로붕소-디에틸 에테르 착체, 사염화주석 등의 루이스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킬때는, 특히 탈수 또는 가열을 실시하지 않고 목적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Ⅸ)을 원료로 하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불활성 용매 속에서 염화제1주석 또는 트리플루오로붕소-에테르 착체의 존재하에 상온 내지 가온하에서 반응시키거나, 테트라에틸 암모늄 브로마이드의 존재하에 오토클레이브 속에서 80 내지 150℃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제9제법
3 위치가 알킬리덴 기로 치환된 일반식(Im)의 화합물은 3 위치가 카보닐기인 대응 화합물(Il)에, 대응하는 알킬트리페닐포스포란(X)을 작용시켜 제조한다.
이 방법은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테르, 디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비양자계 유기 용매 속에서 화합물(Il) 및 이에 대하여 거의 등몰 내지 과량몰의 화합물(X)을 냉각하 내지 가열하에 반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화합물(X)에 대응하는 알킬트리페닐 포스포늄 할라이드를 상기 용매 속에서 등몰 내지 과량몰의 염기와 냉각 내지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염기의 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n-부틸리튬 등이 적절하다.
그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르류는 대응하는 카복실산 또는 이의 반응성 유도체를 저급 알콜 또는 저급 알킬 할라이드 등의 알콜 성분의 반응성 유도체와, 필요에 따라, 축합제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등 통상적인 에스테르화로 제조할 수 있다. 역으로, 유리 카복실기를 갖는 본 발명이 화합물은 대응하는 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통상적인 가수분해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티오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류도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 위치가 티오카보닐기인 화합물은 상기 제1제법 이외에, 3 위치가 카보닐기인 화합물에 오황화인 또는 라엘손 시약(Lawelsson's reagent)(단, 이러한 경우 아미드와 에스테르가 공존하지 않을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을 작용시켜 제조한다.
또한, N-위치가 저급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화합물은 대응하는 N-유리 화합물에 저급 알킬 할라이드 등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N-알킬화 반응을 적용하거나, 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등의 환원제의 공존하에서 저급 알킬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N-위치가 저급 알카노일기에 의해 치환된 화합물은 대응 N-유리 화합물을 저급 알칸산 또는 이의 반응성 유도체와, 필요에 따라,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아미드화를 적용시켜 제조한다.
3 위치가 머캅토기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보호기를 가질 수 있는 3 위치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설폰화하고, 계속하여 티오아세트산(
Figure kpo00033
) 등의 티오산을 작용시킨 후, 가수분해하고,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이탈시키거나, 제6제법 또는 제7제법을 적용하여 대응하는 N-알킬 화합물로 하여 제조한다.
3 위치가 티오에테르인 화합물은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3 위치 머캅토 화합물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에, 머캅토 화합물인 경우에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저급 알킬할라이드 또는 저급 알킬 유기 설포네이트(바람직하게는 p-톨루엔 설포네이트)를 작용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3 위치가 에테르인 화합물은 보호기를 가질 수 있는 대응하는 3 위치 하이드록시 화합물에 저급 알킬 요오다이드 등의 저급 알킬 할라이드를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킨 후,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하거나, 제6제법 또는 제7제법을 적용하여 N-알킬 화합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I)은 유리된 그대로 또는 이의 염으로 단리하여 정제한다. 염을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염 형성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단리 및 정제는 분액, 추출, 농축, 결정화, 여과, 재결정 및 각종 크로마토그라피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조작을 적용하여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상기와 같이, 기하이성체, 라세미체, 광학이성체 및 부분입성이성체 등의 이성체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기하이성체는 적당한 원료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기하이성체 상호간의 이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이성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체는 적당한 원료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라세미 분할법[예를 들면, 일반적인 광학 활성 산(타르타르산)의 부분입체이성체 염으로 유도하여 광학 분할하는 방법 등]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분리법[예를 들면, 분별결정 또는 크로마토그라피 등에 의한 분리]을 적용하여 순수한 이성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제법 내지 제9제법 및 그밖의 제법에 있어서, 그중 몇개의 제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보호기의 설명이 없는 제법일 경우에도 보호기가 있는 상태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시켜 중추계 아세틸콜린 신경기능의 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해마, 편도체 및 대뇌 피질에서는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의 현저한 감소가 보이고[참조 : Davies, P., Maloney, A. J. F., Lancet, ii, 1043(1976)], 이때 글루탐산 탈카복실라제 또는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제, 도파민-β-하이드록실라제, 모노아민옥시다제 등에 유의한 변화가 없으므로, 뇌의 넓은 부위에 아세틸콜린 신경계의 기능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참조 : Davies, P., Brain Res. 171, 319(1979)]. 또한, 알츠하이머병과 노인성 치매의 기억 및 인식 손상은 뇌의 아세틸콜린 신경탈락 또는 기능저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참조 : Whitehouse, P. J. et al. Science 215, 1237, (1982), Perry, E. K. et al., Brit. Med. J. 2, 1457(1978)].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2종의 서브 타입 M1및 M2로 분류할 수 있으며[참조 : Trends Pharmacol., Sci. Suppl. (1984)], M1은 대뇌 피질, 해마, 선조체 등 소뇌를 제외한 중추 각 부위 및 자율 신경절 등의 신경조직에 많고, M2는 소뇌 및 평활근, 심근 및 선(腺) 등의 말초조직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참조 : Vickroy, T. W. et al., Fed. Proc. 43, 2785(1984)]. 동물실험에서 학습행동에 M1이 관여하고 있으며[참조 : Caulfield, M. P. et al., J. Pharm. Pharmacol. 35, 131(1983)]또한 심장억제 및 진전 등에는 M2가 관여하고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참조 : Mutschler, E., Lambrecht, G., Trends Pharmacol. Sci. Suppl., 39(1983), Palacios, J. M. et al., Eur. J. Pharmacol. 125, 45(1986)].
이상과 같이, M1선택성을 갖는 무스카린성 효능제는 노인성 치매에서의 기억과 인식 손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M1수용체에 대하여 선택적인 친화성을 가지며, 중추신경계의 변성에 기인하는 질병, 특히 아세틸콜린 기능저하에 따르는 질환,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형 노인성 치매, 헌팅턴 무도병, 픽크병, 만반성 운동장해 등의 질병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동물을 사용하여 건망증 치료 작용 및 진전 야기작용을, 랫트 뇌막 표준폼을 사용하여 표지 화합물 결합에 미치는 작용을 검토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다음에 방법의 개략을 기술하고, 대표적인 예를 표 1에서 나타낸다.
(1) 랫트에 있어서의 스코폴아민 유발 기억장해의 개선
스코폴아민 유발 기억장해의 개선은 자비크(Jarvik) 등의 방법[참조 : Jarvik, M. E. et al., Psychol. Rep. 21 221(1967)]에 준한 단계별 수동회피 테스트를 이용하여 스코폴아민 브롬화수소산 1mg/kg의 복강내 투여에 의한 랫트의 기억장해에 대한 개선효과를 측정한다. 화합물을 스코폴아민 브롬화수소산과 동시에 피하투여한다.
(2) 마우스에 있어서의 진전 야기작용
화합물을 마우스에 피하투여하고, 진전이 발현하는 최소 용량을 구한다.
(3) 수용체 결합에 대한 작용
[3H] 피렌제핀의 랫트 대뇌 피질 M1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왓슨(Watson)의 방법[참조 : Watson, M. et al., Life Science 31, 2019(1982)]을 일부 변경시키고, [3H] 퀴누클리디닐 벤질레이트(QNB)의 랫트 소뇌 M2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야마무라(Yamamura)와 스나이더(Snyder)의 방법[참조 : Yamamura, H. I., Snyder, S. H., Proc. Natl. Acad. Sci. U. S. A., 71(5), 1725(1974)]에 준하여 측정한다.
[표 1]
Figure kpo00034
상기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력한 건망증 치료작용과 진전 야기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은 그대로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와 혼합하여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주사제(정맥내, 피하, 근육내), 좌제 등의 형태로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I)의 투여량은 화합물(I)의 종류, 투여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 또는 투여경로 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성인에 대한 투여량은, 주사인 경우, 약 0.001 내지 10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mg(1회 투여량)이고, 경구 투여에서는 약 0.05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mg(1회 투여)이며, 이것을 1일 1회 내지 3회 투여한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료 화합물중에는 신규한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다.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참고예에 표시한다.
실시예 1
Figure kpo00035
온도계, 적가 깔때기 및 염화칼슘 관이 부착된 3구 플라스크에 60% 유성 수소화나트륨 4g을 가하고 헥산으로 유분을 세척한다. 무수 에테르 150ml를 가하고 교반한다. 락트산 에틸 에스테르 11.8g의 에테르 50ml용액을 5 내지 10℃에서 가한다. 실온에서 약 3시간 동안 교반하면, 수소의 발생이 중지된다. 감압하에서 에테르를 증류 제거하고 디메틸 설포사이드 80ml를 가한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약 15℃로 냉각시키고, 에틸 1-메틸-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 18.3g을 가한다. 실온에서 약 2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 물을 200ml의 빙수에 주입하고, 진한 염산을 용액의 액성(pH)이 약 4가 되도록 적가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약염기성(pH 8)으로 한다. 이 수용액에 염화나트륨을 포화될 때까지 가하고, 클로로포름 300ml로 3회 추출한 다음, 합한 클로로포름 용액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증류 제거한다.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다량 함유하는 유상 혼합물을 16g 수득한다. 이것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10 : 1 : 0.1)의 혼합 용매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에틸 2,8-디메틸-3-옥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카복실레이트(고체)를 2.9g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질량 분석치(m/z) : 255, 181, 13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500(브로드), 1672, 155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16 내지 1.48(m,6H,-OCH2CH2CH3,C-CH3), 1.7 내지 2.0(m,4H,
Figure kpo00036
), 2.32(s,3H,CH3N<), 2.3 내지 2.8(m,4H
Figure kpo00037
), 4.0 내지 4.2(m,3H,-OCH2CH3,
Figure kpo00038
)
실시예 2
Figure kpo00039
2,8-디메틸-3-옥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카복실레이트 3.08g을 1N 염산수 50ml에 용해시키고 8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빙냉 후, 빙수욕 속에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염기성으로 한다. 클로로포름(약 80ml)으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추출액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황색 잔류물을 2g 수득한다. 이것을 클로로포름-메탄올(용적비 20 : 1)으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유상)을 1.8g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결정으로서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79 내지 181℃(분해)
C10H18NO2CL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4.67, H ; 8.26, N ; 6.38, Cl ; 16.14
실측치(%) : C ; 54.40, H ; 8.27, N ; 6.31, Cl ; 16.35
질량 분석치(m/z) : 183,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500(브로드), 2400 내지 2700, 1754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30(d,3H,H=7.2Hz,C-CH3), 1.8 내지 2.5(m, 4H,
Figure kpo00040
), 2.48(s,2H,
Figure kpo00041
), 2.80(d,3H,J=5.4Hz,CH3-
Figure kpo00042
), 3.0 내지 3.5(m,4H,
Figure kpo00043
), 3.98(q,1H,J=7.2Hz,〉CH-CH3)
실시예 3
Figure kpo00044
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200mg을 에탄올 7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붕소나트륨 25mg을 실온에서 가한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로 냉각시키고, 6N 염산수를 가하여 산성(약 pH 4)으로 한다. 빙수욕을 제거하고, 약 20분 동안 교반한 후, 감압하에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한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5 : 1 : 0.1)를 사용하여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3-하이드록시-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유상)을 200mg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액(백색 결정)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74 내지 178℃
C10H20NO2Cl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4.17, H ; 9.09, N ; 6.32, Cl ; 15.99
실측치(%) : C ; 53.90, H ; 9.22, N ; 6.27, Cl ; 16.05
질량 분석치(m/z) : 185, 168, 11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25(m,3H,C-CH3), 1.6 내지 2.6(m,6H,
Figure kpo00045
), 3.74(d,3H,J=4.5Hz,
Figure kpo00046
-CH3), 3.0 내지 3.4(m,4H,
Figure kpo00047
), 3.8 내지 4.3(m,2H,
Figure kpo00048
)
실시예 4
Figure kpo00049
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730mg, 에틸렌 글리콜 2.25ml 및 p-톨루엔설폰산 1수화물 836mg을 젠젠 30ml에 가하고, 딘 스타크 공비 탈수장치를 사용하여 탈수시키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탄산수소나트륨 1.26g을 함유하는 수용액 30ml에 반응 혼합물을 주입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게 클로로포름을 증류 제거한다.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20 : 1 : 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10,14-디메틸-1,4,13-트리옥사-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유상)을 640mg 수득한다., 이것을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키고 말레산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적가하여 상응하는 말레산염으로 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에틸로 재결정화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06 내지 108℃
C16H25NO7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5.97, H ; 7.34, N ; 4.08
실측치(%) : C ; 55.81, H ; 7.14, N ; 4.04
질량 분석치(m/z) : 227, 182,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500(브로드), 2960, 2710, 159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15(d,3H,J=6.3Hz,C-CH3), 1.9 내지 2.1(m,6H,
Figure kpo00050
), 2.78(s,3H,CH3N〈), 3.0 내지 3.5(m,4H,
Figure kpo00051
), 3.8 내지 3.1(m,5H,-O
Figure kpo00052
-,-O-CH2-×2), 6.28(s,2H,
Figure kpo00053
×2)
실시예 5
Figure kpo00054
플라스크에 유성 수소화나트륨(60%) 272mg을 취하고, 아르곤 기류하에 헥산으로 유분을 세척한 다음, 감압하에서 헥산을 증류 제거한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8ml을 가하고, 60 내지 70℃에서 약 1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렇게하여 수득한 담녹색 용액을 빙냉시키고,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2.43g을 가한다. 약 40℃에서 가온하면 고체가 용해되어 황적색의 용액으로 된다. 약 30℃로 냉각시키고, 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590mg을 가한 다음, 실온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50ml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클로로포름을 증류 제거한다. 잔류물을 콜로로포름-메탄올(용적비 10 ; 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유상)을 320mg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결정으로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90 내지 191℃
C11H20NOCl+0.3H2O 에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9.21, H ; 9.31, N ; 6.27
실측치(%) : C ; 59.10, H ; 9.07, N ; 6.29
질량 분석치(m/z) : 181, 166, 9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30(d,3H,J=5.4Hz,C-CH3), 1.6 내지 2.4(m,4H,
Figure kpo00055
), 2.56(m,2H,
Figure kpo00056
), 2.76(s,3H,CH3-N〈), 2.9 내지 3.5(m,4H,
Figure kpo00057
), 4.45(m,1H,
Figure kpo00058
), 4.89(m,1H 및 = C
Figure kpo00059
중의 하나), 5.02(m,1H 및 = C
Figure kpo00060
중의 하나)
동일한 방법으로 푸마르산염을 수득한다(융점 : 104 내지 106℃).
실시예 6
Figure kpo0006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즉 온도계, 적가 깔대기 및 염화칼슘 관이 부착된 3구 플라스크에 60% 유성 수소화나트륨 1.04g을 가하고 헥산으로 유분을 세척한다. 무수 에테르 35ml을 가하고 교반한다. 티오락트산 메틸 에스테르 3.2g중의 에테르 15ml 용액을 5 내지 10℃에서 가한다. 다시 메탄올 20ml을 5 내지 10℃에서 가한다.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 에테르와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고, 디메틸 설폭사이드 20ml를 가한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약 15℃로 냉각시키고, 에틸 1-메틸-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 4.76g을 가한다. 실온에서 약 2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100ml에 주입하고, 진한 염산을 가하여 산성(pH t22 4)으로 한다. 이어서,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하여 약알칼리성(pH t22 8)으로 한다. 이 수용액을, 클로로포름 150ml를 사용하여 3회 추출하고, 합한 클로로포름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클로로포름 증류 제거한다. 등적색 유상물을 7.84g 수득한다. 이것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30 : 1 : 0.1)의 혼합 용매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에틸 2,8-디메틸-3-옥수-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4-카복실레이트(고체)를 1.89g 수득한다.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61 내지 164℃
C13H22NO3SCl+0.8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48.45, H ; 7.38, N ; 4.35
실측치(%) : C ; 48.50, H ; 7.01, N ; 4.32
질량 분석치(m/z) : 271, 238, 225, 197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540, 3470, 1660, 162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50(t,3H,J=7.2Hz,-OCH2CH3), 1.54(d,3H, J=7.2Hz,〉CH-CH3), 1.7 내지 2.0(m,4H,
Figure kpo00062
), 2.78(s,3H,CH3,-N〈 ), 2.9 내지 3.6(m,4H,
Figure kpo00063
), 4.19(q,1H,J=7.2Hz,S-
Figure kpo00064
-CH3), 4.44(q,2H,J=7.2Hz,-OCH2CH3)
실시예 7
Figure kpo00065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2,8-디메틸-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3-온(유상)을 합성하여 염산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210 내지 213℃
C10H18NOSCl+0.5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49.07, H ; 7.82, N ; 5.72
실측치(%) : C ; 49.15, H ; 7.63, N ; 5.77
질량 분석치(m/z) : 199, 166,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500, 2950, 2700, 173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4(d,3H,J=7.2Hz,C-CH3), 1.9 내지 2.8(m,4H,
Figure kpo00066
), 2.74(s,2H,
Figure kpo00067
), 2.80(s,3H,CH3-N〈 ), 2.9 내지 3.5(m,4H,
Figure kpo00068
), 3.66(q,1H,J=7.2Hz,S-CH-CH3)
실시예 8
Figure kpo00069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3-하이드록시-2,8-디메틸-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유상)을 합성하여 염산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225 내지 229℃
질량 분석치(m/z) : 201, 168,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00, 2970, 2930, 270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32(d,3H,J=7.2Hz,C-CH3), 1.8 내지 2.7(m,6H,
Figure kpo00070
), 2.77(d,3H,CH3-
Figure kpo00071
), 2.9 내지 4.2(m,5H,
Figure kpo00072
,-S-
Figure kpo00073
-CH3), 4.38(m,1H,-
Figure kpo00074
-OH)
실시예 9
Figure kpo00075
에틸 1-메틸-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 대신에 에틸 3-퀴노클리딜리덴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 5'-메틸-4'-옥소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3'-카복실레이트를 합성한다.
질량 분석치(m/z) : 268, 267, 221, 194, 16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80, 2990 내지 2890, 1745, 1675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30(t,3H,J=7.2Hz,-OH2CH3), 1.43(d,3H,J=6.3Hz,-O-
Figure kpo00076
-CH3), 1.5 내지 2.2(m,5H,
Figure kpo00077
), 2.6 내지 3.05(m,6H,〉N-CH2-×3), 4.04 내지 4.32(m,3H,-OCH2CH3,-O-
Figure kpo00078
-H-CH3)
실시예 10
Figure kpo00079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4',5'-디하이드로-5'-메틸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3'H)-푸란〕-4'-온을 합성하고, 에테르에 용해시킨 다음,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88 내지 190℃(분해)
C11H18NO2Cl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7.02, H ; 7.83, N ; 6.04, Cl ; 15.30
실측치(%) : C ; 56.72, H ; 7.76, N ; 5.95, Cl ; 15.28
질량 분석치(m/z) : 195, 138, 9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33(m3H,C=CH3), 1.65 내지 2.60(m,5H,
Figure kpo00080
), 2.48 내지 3.0(m,2H,-CH2-
Figure kpo00081
), 3.2 내지 3.7(m,6H,N-CH2×3), 3.85 내지 4.25(m,1H,O-CH-CH3)
실시예 11
Figure kpo00082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4'-하이드록시-5'-메틸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을 합성하고, 에테르에 용해시킨 다음, 염산-에탄올에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62 내지 166℃
C11H20NO2Cl+0.2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5.66, H ; 8.62, N ; 5.90
실측치(%) : C ; 55.77, H ; 8.58, N ; 5.93
질량 분석치(m/z) : 197, 180, 139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1 내지 1.3(m,3H,C-CH3), 1.5 내지 2.6(m,7H,
Figure kpo00083
), 3.5 내지 3.6(m,6H,〉N-CH2-×3), 3.8 내지 4.35(m,2H,-O-
Figure kpo00084
-)
참고예 1
Figure kpo00085
1-아세틸-4-피페리돈 19.4g을 에테르(80ml)와 테트라하이드로푸란(40ml)의 혼합액에 용해시킨다. 여기에 크로틸클로라이드와 마그네슘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제한 0.5몰의 그리냐르 시약 275ml를 10℃이하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하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빙냉시킨다. 포화 염화암모늄수 100ml를 서서히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한다. 수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각각의 유기층을 농축시킨 후, 합하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3% 메탄올을 함유하는 아세트산 에틸-n-헥산(1 : 1)의 혼합액으로 용출시켜 1-아세틸-4-하이드록시-4-(1-메틸-2-프로페닐)피페리딘 16.9g을 유상물로서 수득한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0(d,3H,〉CH-CH3), 2.10(s,3H,CH3
Figure kpo00086
-), 2.0 내지 2.3(m,1H,〉
Figure kpo00087
-H), 5.0 내지 5.24(m,2H,-CH=CH〈
Figure kpo00088
), 5.6 내지 6.0(m,1H,-
Figure kpo00089
=CH2)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36, 2988, 1622, 1278, 1250
질량 분석치(m/z) : 197(M +), 180, 154, 142
실시예 12
Figure kpo00090
1-아세틸-4-하이드록시-4-(1-메틸-2-프로페닐)피페리딘 1.78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60ml에 용해시키고 빙냉시킨다. 물 24ml를 가한 후, 교반하에 탄산수소나트륨 1.51g과 요오드 3.45g을 가한다. 빙냉하에 1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하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유기층과 수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3회 추출한다.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 그라피한다. 3% 메탄올을 함유하는 아세트산 에틸-n-헥산(1 : 1) 혼합액으로 용출시켜 8-아세틸-3-요오드-4-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을 부분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서 1.55g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와 n-헥산의 혼합물로 결정화하여 한쪽 이성체를 순수물로서 수득한다.
융점 : 135 내지 137℃
C11H18NO2I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40.88, H ; 5.61, N ; 4.33, I ; 39.27
실측치(%) : C ; 40.79, H ; 5.50, N ; 4.22, I ; 39.4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6(d,,3H,J-5.4Hz,CH-CH3), 1.3 내지 2.0(m,5H,
Figure kpo00091
), 2.10(s,3H,
Figure kpo00092
CH3), 2.6 내지 3.1(m,1H,>
Figure kpo00093
-H), 3.2 내지 4.7(m,6H,〉N-CH2-×2,-O-CH2-)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1642, 1456, 1428, 1028
질량 분석치(m/z) : FAB-MS 324
참고예 2
Figure kpo00094
1-아세틸-4-하이드록시-4-(1-메틸-2-프로페닐)피페리딘 4.76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50ml에 용해시키고, m-클로로퍼벤조산 60g을 가한다. 실온하에서 3일 동안 교반한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다. 여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한다. 수층을 합한 후, 다시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한다. 모든 유기층을 합하고,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실리카 겔 300ml를 사용하여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용출 용매에 클로로포름 및 2% 메탄올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생성물인 2종의 부분입체이성체를 분리한다. TLC상에서 극성이 작은 쪽의 부분입체이성체(A) 1.62g, 극성이 큰쪽의 부분입체이성체(B) 1.66g 및 이들 둘의 혼합물 0.14g을 각각 비결정으로서 수득한다.
1-아세틸-4-하이드록시-4-〔1-(2-옥시라닐)에틸〕피페리딘(A)의 이화학적 성상 :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d,,3H,CH-CH3), 1.24(m,1H,CH3
Figure kpo00095
-H), 1.7(m,4H,
Figure kpo00096
), 2.1(s,3H,CH3CO), 2.48(m,1H,
Figure kpo00097
), 2.8(m,2H
Figure kpo00098
)
질량 분석치(m/z) : 213(M+), 195, 170, 142, 124
1-아세틸-4-하이드록시-4-〔1-(2-옥시라닐)에틸〕피페리딘(B)의 이화학적 성상 :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2(d,3H,CH-CH3), 1.3(m,1H,CH3C-H), 1.66(m,4H,
Figure kpo00099
), 2.08(s,3H,CH3CO), 2.3 내지 3.2(m,5H
Figure kpo00100
)
질량 분석치(m/z) : 213(M+), 170, 142, 124
실시예 13
Figure kpo00101
1-아세틸-4-하이드록시-4-〔1-(2-옥시라닐)에틸〕피페리딘(B) 1.2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80ml에 용해시키고, -40℃에서 냉각시킨다. 사염화주석 1.77g을 가한 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시키고, 트리에틸아민 2ml를 가한다. 감압하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1 내지 5% 메탄올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켜 8-아세틸-3-하이드록시-4-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B) 0.83g을 비결정으로서 수득한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d,3H,CH-CH3), 1.3 내지 2.0(5H,
Figure kpo00102
, CH3-
Figure kpo00103
-H), 2.08(s,3H,CH3CO)
질량 분석치(m/z) : 213(M+), 195, 182, 170, 124
참고예 2의 생성물인 부분입체이성체(A)도 동일한 조작으로 8-아세틸-3-하이드록시-4-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A)을 수득한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2(d,3H,CH-CH3), 1.3 내지 2.1(m,5H,
Figure kpo00104
,CH3-
Figure kpo00105
-H), 2.20(s,3H,CH3CO)
질량 분석치(m/z) : 213(M+), 195, 182, 170, 124
실시예 14
Figure kpo00106
8-아세틸-3-하이드록시-4-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B) 0.83g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알루미늄리늄 1.01g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ml의 혼합액에 적가한다. 3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빙냉시키고, 물 1.1ml와 10% 수산화나트륨 1.1ml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적가한다.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불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아세트산 에틸로 잘 세척한다. 여액과 세척액을 함하여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한다. 클로로포름 : 메탄올 : 암모니아수(40 : 10 : 1)로 용출시켜 유상의 8-에틸-3-하이드록시-4-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B) 이성체를 수득한다. 이것을 염산-메탄올로 처리하여 염산염을 수득한다.
수득량 : 1.4g, 융점 : 150 내지 155℃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02(d,3H,-
Figure kpo00107
), (m,4H,-NCH2CH3CH3-C-
Figure kpo00108
), 1.8 내지 2.6(m,4H,
Figure kpo00109
)
질량 분석치(m/z) : 200(M +1), 184, 170, 138, 110, 84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388, 2948, 2688, 1418, 1034, 908
상기의 (A)이성체도 완료에 실시예 13의 생성물인 부분입체이성체(A)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다. 염산염의 이화학적 성상은 다음과 같다.
융점 : 200 내지 204℃
C11H22ClNO2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6.04, H ; 9.41, N ; 5.94
실측치(%) : C ; 55.75, H ; 9.28, N ; 5.89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16(d,,3H,CH-CH3), 1.3 내지 1.7(t 및 m,4H,NCH2CH3,CH3
Figure kpo00110
-H), 1.7 내지 2.7(m,4H,
Figure kpo00111
) 2.8 내지 3.6(m,7H,
Figure kpo00112
-CH2-×3,OH), 3.7 내지 4.1(m,2H,-O-CH2-)
질량 분석치(m/z) : 199(M+), 184, 172, 138, 124, 110, 84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364, 2948, 2672, 1428, 1062, 1050
실시예 15
Figure kpo00113
온도계, 적자 깔대기 및 염화칼슘 관이 부착된 3구 플라스크에 60% 유성 수산화나트륨 2g을 가하고 헥산으로 유분을 세척한다. 무수 에테르 75ml을 가하고 교반한다. α-하이드록시-n-락트산 에틸 에스테르 6.6g의 에테르 25ml 용액을 5 내지 10℃에서 가한다. 실온에서 약 3시간 동안 교반하면, 수소의 발생이 중지된다. 감압하에서 에테르를 증류 제거하고, 디메틸 설폭사이드 40ml를 가한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약 15℃로 냉각시키고, 에틸 1-메틸-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 9.15g을 가한다. 실온에서 약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00ml의 빙수에 주입하고, 진한 염산을 가하여 산성(pH t22 2)으로 한 후, 다시 진한 염산 4ml를 가하고, 약 6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냉각시킨 후, 빙수욕 속에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염기성으로 한다. 클로로포름 150ml로 1회 및 100ml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적갈색 유상물을 4.96g 수득한다. 이것을 클로로포름-메탄올(용적비 30 : 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유상)을 1.38g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197, 168,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76(브로드), 2980, 2728, 175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0.96(t,3H,J=7.2Hz,-CH2-CH3), 2.45(m,2H,-CH2-
Figure kpo00114
-), 2.83(s,3H,-
Figure kpo00115
-CH3), 1.5 내지 2.8(m,6H,
Figure kpo00116
), 3.0 내지 3.6(m,4H
Figure kpo00117
), 3.90(m,1H,-O-
Figure kpo00118
)
동일한 방법으로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및 옥살산염을 수득한다(융점 : 푸마르산염=77 내지 90℃, 말레산염=126 내지 128℃ 및 옥살산염=160 내지 162℃).
실시예 16
Figure kpo00119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2,8-디메틸-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3-온을 사용하여 2,8-디메틸-3-메틸렌-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을 합성하고, 에탄올 용액을 염산-에탄올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97 내지 200℃
질량 분석치(m/z) : 197, 164, 9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80(브로드), 2948, 2484, 1660, 148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2(d,,3H,J=7Hz,〉CH-CH3), 1.8 내지 2.0(m,2H,
Figure kpo00120
), 2.40 내지 3.16(m,6H,
Figure kpo00121
), 2.76(d,3H,J=6Hz,CH3-
Figure kpo00122
), 3.4 내지 3.6(m,2H,
Figure kpo00123
), 4.0(m,1H,〉CH-CH3), 4.94(m,1H 및 〉=C〈
Figure kpo00124
중의 하나), 5.0(m,1H 및 〉C=C
Figure kpo00125
중의 하나)
실시예 17
Figure kpo0012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3-에틸리덴-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을 합성하고,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킨 후,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195,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80, 1660, 1078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26(d,3H,J=5.9Hz,〉CHCH3), 1.48 내지 1.90(m,7H,
Figure kpo00127
), 2.70(s,3H,CH3-+NH), 2.21 내지 2.64(m,6H,
Figure kpo00128
), 4.26 내지 4.78(m,1H,〉CH-CH3), 5.06 내지 5.52(m,1H,=
Figure kpo00129
)
실시예 18
Figure kpo00130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1-메틸-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 대신 에틸-3-퀴누클리딜리덴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에틸 4',5'-디하이드로-5'-메틸-4'-옥소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3'H)-티오펜〕-3'-카복실레이트를 합성한다.
질량 분석치(m/z) : 283, 237, 2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48, 1748, 1728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20 내지 1.56(m,6H,-CO2CH2CH3,〉CHCH3), 1.5 내지 2.2(m,5H,
Figure kpo00131
), 2.7 내지 3.1(m,6H,〉N-CH2-×3), 4.0 내지 4.2(m,3H,〉CHCH3,-CO2CH2CH3)
실시예 19
Figure kpo0013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4',5'-디하이드로-5'-메틸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3'H)-티오펜〕-4'-온을 합성하고,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207 내지 210℃(분해)
질량 분석치(m/z) : 211, 141, 122, 9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64(브로드), 2950, 2480, 173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2,1.45(d×2,3H,J=6.3Hz,〉CHCH3), 1.8 내지 2.6(m,5H,
Figure kpo00133
) 2.68 내지 3.21(m,2H,-CH2-
Figure kpo00134
-), 3.2 내지 3.9(7H,〉
Figure kpo00135
-CH2-×3,〉CHCH3)
실시예 20
Figure kpo00136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머캅토에탄올을 사용하여 10,14-디메틸-1,13-디옥사-4-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을 합성하고,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킨 후, 당량의 말레산을 가하여 상응하는 말레산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43, 182, 15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50, 1088, 1058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22,1.24(d×2,3H,J=5.9Hz,〉CH-CH3), 1.78 내지 2.40(m,6H,
Figure kpo00137
), 2.76(s,3H,CH3-
Figure kpo00138
), 2.68 내지 3.52(m,6H,〉
Figure kpo00139
-CH2-×2,
Figure kpo00140
), 3.84 내지 4.36(m,3H,〉CH-CH3,
Figure kpo00141
), 6.28(s,2H,H,
Figure kpo00142
=C〈×2)
실시예 21
Figure kpo00143
아르곤 분위기하에 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0.5g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10ml 용액을 빙냉시키고, 1,2-에탄디티올 0.45ml를 가한다. 계속하여 액체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삼불화붕소-에테르 착체 2ml를 적가한다.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액을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30ml에 주입한다. 불용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여액을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수득한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20 : 1 : 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10,14-디메틸-13-옥사-1,4-디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을 0.46g 수득한다.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당량의 말레산의 메탄올 용액을 가하여 상응하는 말레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14 내지 115℃
C10H25NO5S2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1.18, H ; 6.71, N ; 3.73, S ; 17.08
실측치(%) : C ; 50.87, H ; 6.57, N ; 3.66, S ; 17.28
질량 분석치(m/z) : 259, 231, 187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40, 1584, 1092, 106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 TMS 내부표준)δppm : 1.23(d,3H,J=5.9Hz,〉CH-CH3), 1.60 내지 2.04(m,4H,
Figure kpo00144
), 2.49(s,2H,
Figure kpo00145
) 2.76(s,3H,CH3-+NH), 3.00 내지 3.42(m,8H,〉
Figure kpo00146
-CH2-×2,-S-CH2-×2), 4.06(q,1H,J=5.9Hz,〉CH-CH3), 6.03(s,2H,
Figure kpo00147
=C〈×2)
실시예 22
Figure kpo00148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2,8-디메틸-1-티아-8-아자스피로〔4.5〕데칸-3-온을 사용하여 10,14-디메틸-14,13-트리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을 합성하고,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킨 후, 당량의 말레산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가하여 상응하는 말레산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75, 242,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80(브로드), 2950, 1582, 147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0(d,3H,J=6.5Hz,〉CH-CH3), 2.4 내지 2.8(m,2H,
Figure kpo00149
), 2.80(s,3H,CH3-
Figure kpo00150
), 3.30(s,4H,-S-CH2-×2), 3.69(q,1H,J=6.5Hz,〉CH-CH3), 1.9 내지 3.5(상기 이외에 8H), 6.28(s,2H,
Figure kpo00151
=C〈×2)
실시예 23
Figure kpo00152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5'-메틸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티올란〕-4'-온을 사용하여 5'-메틸-4'-메틸렌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티올란]을 합성하고,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64 내지 168℃
C12H20NSC1 +0.1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8.21, H ; 8.22, N ; 5.66, S ; 12.94
실험치(%) : C ; 58.11, H ; 7.96, N ; 5.92, S ; 12.94
질량 분석치(m/z) : 209, 176, 139, 9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80(브로드), 2930, 2580, 1655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TMS 내부표준)δppm : 1.42, 1.44(d×2,3H,J=6.3Hz, 〉CH-CH3), 1.8내지 2.5(m,5H,
Figure kpo00153
), 2.7 내지 2.9(m,2H,
Figure kpo00154
), 3.18 내지 3.58(m,6H,〉N+H-CH2 -×3), 4.02(m,1H,〉CH-CH3), 4.88 내지 5.10(m,2H, 〉=CH2)
참고예 3
Figure kpo00155
유성 수소화나트륨(60%) 4g을 무수 1,2-디메톡시에탄 200ml에 현탁시키고, 디에틸포스포노아세트산 에틸 23.6g을 약 20℃에서 적가한다. 적가한 후, 약 1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용액에 N-에톡시카보닐-4-피페리돈 17.1g을 30℃ 이하에서 적가한다. 다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1,2-디메톡시에탄을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한다. 잔류물에 빙수 100ml와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100ml을 가하고, 진탕한 후, 층을 분리시킨다. 수층을 100ml의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2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한다. 유기층을 수세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에틸 N-에톡시카보닐-4-피페리딜리덴 아세테이트(무색 고체)를 25.7g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41, 212, 196, 168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90, 1718, 168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28(t×2, 6H, J=7.2Hz, -OCH2CH3×2), 2.3(m,2H,
Figure kpo00156
), 2.95(m,2H,
Figure kpo00157
), 3.55(m,4H,
Figure kpo00158
), 4.16(q×2, 4H, J=7.2Hz, -OCH2CH3×2), 5.72(m,1H,〉=〈
Figure kpo00159
실시예 24
Figure kpo0016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 8-에톨시카보닐-2-메틸-3-옥소-1-옥사-아자스피로〔4.5〕데칸-4-카복실레이트(유상)를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313, 284, 268, 239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니트)cm-1: 2990, 1776, 1738, 1704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18 내지 1.50(m, 9H, 〉CH-CH3, -OCH2CH3×2), 1.5 내지 2.1(m, 4H,
Figure kpo00161
), 4.0 내지 4.4(m, 5H, 〉CH-CH3, -OCH2CH3×2), 3.1 내지 4.1(m, 4H,
Figure kpo00162
)
실시예 25
Figure kpo00163
에틸 8-에톡시카보닐-2-메틸-3-옥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4-카복실레이트 2.74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ml에 용해시키고, 염화나트륨 512mg과 물 315μl를 가한 다음, 140 내지 150℃의 유욕 속에서 약 2시간 동안 가열 교반한다. 빙수 30ml에 주입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한다. n-헥산-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용적비 1 : 1)의 혼합 용매로 용출시키면서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8-에톡시카보닐-2-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탄-3-온(유상)을 1.54g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41, 212, 196, 14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니트)cm-1: 2990, 2960, 1764, 170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28(t, 3H, J=7.2Hz, -OCH2CH3), 1.32(d, 3H, J=7.2Hz, >CHCH3), 1.50 내지 1.90(m, 4H,
Figure kpo00164
), 2.38(s, 2H, -CH2-
Figure kpo00165
-) 3.28 내지 3.90(m, 4H,
Figure kpo00166
), 4.03(q, 1H, J=7.2Hz, 〉CHCH3), 4.15(q, 2H, J=7.2Hz, -OCH2CH3)
실시예 26
Figure kpo00167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실시하고, 용출제로서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n-헥산(용적비 1 : 1)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8-에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2-2-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유상)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44(M+1), 255, 198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64(브로드), 2948, 168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20 내지 1.36(m, 6H, -O-CH2CH3), 1.50 내지 2.24(m, 6H,
Figure kpo00168
), 3.28 내지 3.80(m, 4H,
Figure kpo00169
), 3.84 내지 4.30(m, 4H, -OCH2CH3, 〉CHCH3,
Figure kpo00170
)
실시예 27
Figure kpo00171
8-에톡시카보닐-3-하이드록시-2-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93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ml에 용해시키고, 빙냉시킨다. 유성 수소화나트륨(60%) 16.7mg을 가하고, 빙냉하에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메틸 요오다이드 26.2μl를 가하고, 실온에서 약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 5ml에 주입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수득한 잔류물을 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용적비 1:1)의 혼합 용매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8-에톡시카보닐-3-메톡시-2-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유상)을 47mg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57, 225, 180, 154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2990, 2950, 1704, 124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24(t, 3H, J=6.8Hz, -O-CH2CH3), 1.24(d, 3H, J=6.3Hz, >CH-CH3), 1.5 내지 2.0(m, 6H,
Figure kpo00172
), 3.30(s, 3H, -OCH3), 3.20 내지 3.85(m, 5H,
Figure kpo00173
Figure kpo00174
중의 하나), 3.94 내지 4.24(m, 3H 및
Figure kpo00175
중의 하나, -OCH2CH3)
실시예 28
Figure kpo00176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5ml에 수소화알루미늄리튬 1.05g을 현탁시키고, 0℃ 로 냉각시킨다. 반응액의 온도를 0 내지 7℃ 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100% 황산 0.92ml을 적가한다. 적가 후, 동일한 온도에서 다시 30분 동안 교반한다. 8-에톡시카보닐-3-메톡시-2-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711mg 중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7ml 용액을 동일한 온도에서 적가하고, 다시 1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한다. 에테르 35ml를 가하고, 다시 황산나트륨 10수화물 2.6g을 서서히 가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한다. 파라이트를 여과조제로 하여 백색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탄올-클로로포름(1 : 5)으로 세척한다. 여액과 세척액을 합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 클로로포름을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10 : 1: 1.0)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메톡시-2,8-디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을 400mg(유상) 수득한다. 이것을 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염산-에탄올을 가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199, 184, 168, 110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3480(브로드), 2960, 2675, 1640, 1475, 110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 TMS 내부표준)δppm : 1.15(d, 3H, 〉CHCH3), 1.5 내지 2.2(m, 6H,
Figure kpo00177
), 2.68(s, 3H, CH3
Figure kpo00178
), 3.22(s, 3H, -O-CH3), 2.9 내지 3.4(m, 4H,
Figure kpo00179
), 3.45 내지 3.66(m, 1H 및
Figure kpo00180
중의 하나), 3.84 내지 4.12(m, 1H 및
Figure kpo00181
중의 하나)
실시예 29
Figure kpo00182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0.53g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32ml 용액을 빙냉시키고, 2-머캅토에탄올 384μl를 가한다. 계속하여 삼불화붕소-에테르 착체 2.05ml를 가한다. 빙수욕을 없애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빙냉하에서 반응액을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ml에 주입한다. 약 15분 동안 교반한 후, 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다음, 합한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용적비 20 : 1 : 0.1)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4-에틸-10-메틸-1,13-디옥사-4-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유상)을 460mg 수득한다. 이것을 이소프로판올 속에서 말레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말레산 염을 수득한다.
질량 분석치(m/z) : 257, 196, 11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0.9 내지 1.2(m, 3H, 〉CH-CH2-CH3), 1.5 내지 2.3(m, 8H,
Figure kpo00183
), 2.78(s, 3H,
Figure kpo00184
), 2.9 내지 3.5(m, 6H,
Figure kpo00185
, -S-CH2-), 3.68 내지 4.40(m, 3H,
Figure kpo00186
, -O-CH2-), 6.28(s, 2H, 〉C=
Figure kpo00187
×2)
실시예 30
Figure kpo00188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10,14-디메틸-1,4-디옥사-13-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을 합성하고, 이소프로판올 속에서 말레산을 가하여 상응하는 말레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43 내지 145℃
C16H25NO6S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3.46, H ; 7.01, N ; 3.90, S ; 8.92
실험치(%) : C ; 53.21, H ; 6.86, N ; 3.74, S ; 8.94
질량 분석치(m/z) : 243, 21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CDCl3, TMS 내부표준)δppm : 1.24(d, 3H, J=7Hz, 〉CH-CH3), 2.08 내지 2.30(m, 6H,
Figure kpo00189
), 2.76 내지(s, 3H, CH3,
Figure kpo00190
), 2.70 내지 3.10(m, 2H,
Figure kpo00191
), 3.30 내지 3.60(m, 3H,
Figure kpo00192
), 4.0(s, 4H, -O-CH2-×2), 6.18(s, 2H, 〉C=
Figure kpo00193
×2)
실시예 31
Figure kpo00194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5'-메틸디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4',2"-〔1,3〕디옥솔란〕을 합성하고, 메탄올 속에서 푸마르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푸마르산 염을 수득한다.
융점 : 158 내지 159℃
C17H25NO7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7.45, H ; 7.09, N ; 3.94
실험치(%) : C ; 57.43, H ; 7.14, N ; 3.89
질량 분석치(m/z) : 239, 196, 139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08(d, 3H,
Figure kpo00195
), 1.4 내지 2.4(m, 7H,
Figure kpo00196
), 2.8 내지 3.3(m, 6H,
Figure kpo00197
-CH2-×3), 3.75 내지 4.05(m, 5H,
Figure kpo00198
, -O-CH2-×2), 6.48(s, 2H,〉C=
Figure kpo00199
×2)
실시예 32
Figure kpo00200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5'-메틸디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4',2"-〔1.3〕옥사티올란〕을 합성하고, 메탄올 속에서 푸마르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푸마르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34 내지 136℃
C17H25NO6S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4.97, H ; 6.78, N ; 3.77, S ; 8.63
실험치(%) : C ; 54.75, H ; 6.71, N ; 3.76, S ; 8.8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15(d, 3H,
Figure kpo00201
), 1.4 내지 2.2(m, 5H,
Figure kpo00202
), 2.2 내지 2.7(m, 2H,
Figure kpo00203
), 2.8 내지 3.4(m, 8H, 〉N+H-CH2, -×3, -S-CH2-), 3.85 내지 4.40(m, 3H,
Figure kpo00204
, -O-CH2-), 6.48(s, 2H, 〉
Figure kpo00205
×2)
실시예 33
Figure kpo00206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5'-메틸디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4',2"-〔2.3〕디티올란〕을 합성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의 혼합 용매로 용출시키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빨리 용출되는 화합물(이성체 A)과 늦게 용출되는 화합물(이성체 B)을 수득한다. 각각을 메탄올 속에서 푸마르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푸마르산 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이성체 A의 푸마르산염
융점 : 184 내지 186℃
C17H25NO5S2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2.69, H ; 6.50, N ; 3.61, S ; 16.55
실험치(%) : C ; 52.56, H ; 6.37, N ; 3.58, S ; 16.55
질량 분석치(m/z) : 271, 238, 21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27(d, 3H, J=7Hz,
Figure kpo00207
), 1.5 내지 2.2(m, 5H,
Figure kpo00208
), 2.68(s, 2H,
Figure kpo00209
), 2.8 내지 3.6(m, 6H, 〉N+H-CH2-×3), 3.3(s, 4H, -S-CH2-×2), 3.00(q, 1H, J=7Hz,
Figure kpo00210
), 6.48(s, 2H, 〉C=
Figure kpo00211
×2)
이성체 B의 푸마르산염
융점 : 196 내지 197℃
C17H25NO5S2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2.69, H ; 6.50, N ; 3.61, S ; 16.55
실험치(%) : C ; 52.47, H ; 6.42, N ; 3.52, S ; 16.59
질량 분석치(m/z) : 271, 238, 210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24(d, 3H, J=7Hz,
Figure kpo00212
), 1.5 내지 2.2(m, 5H,
Figure kpo00213
), 2.5 내지 2.9(m, 2H,
Figure kpo00214
), 2.85 내지 3.40(m, 6H, 〉N+H-CH2-×3), 3.25(s, 4H,-S-CH2×2), 4.08(q, 1H, J=7Hz,
Figure kpo00215
), 6.48(s, 2H, 〉C=
Figure kpo00216
×2)
실시예 34
Figure kpo0021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5'-메틸-4'-메틸렌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솔란〕을 합성하고, 메탄올 속에서 푸마르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푸마르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72 내지 173℃
C16H23NO5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62.12, H ; 7.49, N ; 4.53
실험치(%) : C ; 62.08, H ; 7.53, N ; 4.44
질량 분석치(m/z) : 193, 96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24(d, 3H, J=7Hz,
Figure kpo00218
), 1.40 내지 2.30(m, 5H,
Figure kpo00219
), 2.35 내지 3.00(m, 2H,
Figure kpo00220
), 2.80 내지 3.30(m, 6H, 〉N+H-CH2-×3), 4.20 내지 4.60(m, 1H,
Figure kpo00221
), 4.90(m, 1H 및
Figure kpo00222
중의 하나), 5.01(m, 1H 및
Figure kpo00223
중의 하나), 6.48(s, 2H, 〉C=
Figure kpo00224
×2)
실시예 35
Figure kpo00225
실시예 29와 동일한 방법으로 10,14-디메틸-1-옥사-4,13-디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을 합성하고, 메탄올 속에서 푸마르산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푸마르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53 내지 156℃
C16H25NO5S2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1.18, H ; 6.71, N ; 3.73
실험치(%) : C ; 50.75, H ; 6.73, N ; 3.66
질량 분석치(m/z) : 259, 226, 198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1.12 내지 1.30(d×2, 3H,
Figure kpo00226
), 1.6 내지 2.10(m, 4H,
Figure kpo00227
), 2.0 내지 2.5(m, 2H,
Figure kpo00228
), 2.4 내지 2.9(m, 7H, CH3 +NH, 〉
Figure kpo00229
-CH2-×2), 2.9 내지 3.1(m, 2H,-S-CH2-), 3.25 내지 3.75(q×2, 1H,
Figure kpo00230
), 3.84 내지 4.40(m, 2H,-O-CH2-), 6.56(s, 2H, 〉C=
Figure kpo00231
×2)
실시예 36
Figure kpo00232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2-에틸-8-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을 합성하고, 아세트산 에틸 속에서 염화수소-디에틸 에테르 용액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염산염을 수득한다.
융점 : 142℃
C12H22CIN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62.19, H ; 9.57, N ; 6.04, Cl ; 15.30
실험치(%) : C ; 61.80, H ; 9.47, N ; 5.94, Cl ; 15.15
질량 분석치(m/z) : 195, 9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cm-1: 1668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DMSO-d6,TMS 내부표준)δppm : 0.90(t, 3H, J=7.2Hz,
Figure kpo00233
), 1.16 내지 2.28(m, 6H,
Figure kpo00234
), 2.36 내지 3.51(m, 6H,
Figure kpo00235
), 2.72(s, 3H,
Figure kpo00236
), 4.08 내지 4.40(m, 1H,
Figure kpo00237
), 4.88 내지 4.96(m, 1H 및
Figure kpo00238
중의 하나), 4.98 내지 5.07(m, 1H 및
Figure kpo00239
중의 하나), 11.0(br, 1H, HCl)
실시예 37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염산염
디클로로메탄 250ml 중의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40g(0.2몰)의 용액에 디-p-톨루오일-D-타르타르산 19.6g(0.05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한다. 생성된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디-p-톨루오일-D-타르타르산(2 : 1)염을 정량적 양으로 수득한다. 이러한 염을 2-프로판올로부터 10회 재결정화하여 염(2.5g)을 수득한다. 생성된 염(1.0g)을 용출제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 (용적비 10 : 1 : 0.1)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한다. 생성된 유리 형태(0.47g)를 4N 염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0.47g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58 내지 160℃
C11H20NOCl + 0.2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6.69, H ; 9.29, N ; 6.33, Cl ; 16.01
실험치(%) : C ; 59.71, H ; 9.31, N ; 6.24, Cl ; 16.37
회전각〔α〕20-47.3°(C=1.06, 메탄올)
실시예 38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염산염
실시예 3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40g(0.2몰)과 디-p-톨루오일-L-타르타르산 38g(0.1몰)으로부터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59 내지 161℃
C11H20NOCl + 0.3H2O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9.21, H ; 9.3, N ; 6.28, Cl ; 15.89
실험치(%) : C ; 59.31, H ; 9.34, N ; 6.22, Cl ; 16.02
회전각〔α〕20 D-46.8°(C=1.06, 메탄올)
실시예 39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말레산염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14g(71mmol)과 디-p-톨루오일-L-타르타르산 1수화물(순도 97%) 29.5g(71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로 혼합한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이를 에테르로 처리하여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디-p-톨루오일-L-타르타르산(1 : 1) 염을 28.7g 수득한다. 이러한 결정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에테르의 혼합 용매로 5회 재결정화하여 결정을 3.59g 수득한다. 생성된 결정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10 : 1 : 0.1)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여 유리 염기를 1.18g 수득한다. 생성된 유리 염기를 메탄올 중의 등몰량의 말레산으로 처리하여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말레산염을 0.67g 수득한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28 내지 130℃
C15H23NO6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7.5 , H ; 7.4 , N ; 4.47
실험치(%) : C ; 57.21, H ; 7.31, N ; 4.45
실시예 40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 말레산염
재결정화된 실시예 39의 제1 및 제 2 모액을 농축 및 건조시켜 수득한 결정을 클로로포름/메탄올/진한 암모니아수(10 : 1: 0.1)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여 수많은 (+)형태를 함유하는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을 7.02g 수득한다. 생성물을 등몰량의 디-p-톨루오일-D-타르타르산 1수화물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디-p-톨루오일-D-타르타르산(1 : 1)염을 수득한다. 생성된 결정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에테르의 혼합 용매로 4회 재결정화하여 결정을 3.46g 수득한 다음, 이를 실시예 3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의 유리 염기와 말레산염으로 전환시킨다.
이화학적 성상 :
융점 : 128 내지 130℃
C15H23NO6에 대한 원소분석 :
이론치(%) : C ; 57.5 , H ; 7.4, N ; 4.47
실험치(%) : C ; 57.37, H ; 7.35, N ; 4.43
회전각〔α〕20 D-59.7°(C=0.6, 메탄올)
처방예
정제
실시예 5의 화합물 0.5중량부 및 유당 4.5중량부를 혼합 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유당 47.1중량부, 결정성 셀룰로스 22.5중량부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4중량부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타정기를 사용하여 가압성형하여 75mg/정의 정제로 한다.
캅셀제
실시예 15의 화합물 0.5중량부 및 유당 4.5중량부를 혼합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유당 14.3중량부, 옥수수전분 60중량부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중량부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것을 1캅셀당 210mg의 비율로 3호 젤라틴 경질 캅셀에 충전하여 캡셀 제제로 한다.

Claims (20)

  1. 다음 일반식(I)의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염 또는 이의 광학이성체.
    Figure kpo00240
    상기 식에서, A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도 있고, Z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Y는 카보닐기 (
    Figure kpo00241
    ), 티오카보닐기 (
    Figure kpo00242
    ), 일반식
    Figure kpo00243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R5는 할로겐 원자, 수산기, 머캅토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저급 알카노일옥시기 또는 저급 알카노일티오기이다), 일반식
    Figure kpo00244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R6및 R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245
    로 표시되는 기(여기서, Z1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Alk는 저급 알킬렌기이다)이고, R1,R2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카복시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저급 알카노일기이다.
  2. 다음 일반식(II)의 헤테로사이클리덴 아세트산 에스테르를 다음 일반식(III)의 하이드록시(또는 머캅토)카복실산(또는 티오카복실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킨 다음, 존재할 수도 있는 보호기를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Ia)의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246
    상기 식에서, A1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고, A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며, R8및 R9는 저급 알킬기이고, Z3및 Z4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다.
  3. 다음 일반식(IV)의 알케닐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알콜에 요오드를 작용시킨 다음, 존재할 수도 있는 보호기를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Ib)의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247
    상기 식에서, A2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카노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고, A3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며, R10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4. 다음 일반식(V)의 에폭시 화합물을 폐환시킨 다음, 존재할 수도 있는 보호기를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Ic)의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248
    상기 식에서, A1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저급 알콕시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레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고, A환은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기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 환인데, 단 당해 피페리딘 환의 질소원자와 스피로 결합되지 않은 탄소원자가 저급 알킬렌기를 통해 가교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 R2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며, R10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Z3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X가 산소원자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X가 황원자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A환이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 환인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Y가 카보닐기인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Y가 티오카보닐기인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Y가 〉CH-R5인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kpo00249
    인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kpo00011
    인 화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X가 산소원자이고 A환이 질소원자가 저급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 환인 화합물.
  14. 제 6 항에 있어서, Y가 카보닐기인 화합물.
  15. 제 6 항에 있어서, Y가
    Figure kpo00251
    인 화합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2,8-디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인 화합물 및 이의 염산염 또는 푸마르산염.
  17. 제 1 항에 있어서, 2-에틸-8-메틸-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3-온인 화합물 및 이의 염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또는 옥살산염.
  18. 제 1 항에 있어서, 10, 14-디메틸-1, 13-디옥사 -4- 티아 - 10 - 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인 화합물.
  19. 제 1 항에 따르는 화합물 0.001mg 내지 500mg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에서 콜린작용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한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10,14-디메틸-1,4,13-트리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 및 이의 말레산염 ; 13-에틸-10-메틸-1,13-디옥사-4-티아-10-아자디스피로〔4.1.5.2〕테트라데칸 및 이의 말레산염 ; 5'-메틸디스피로〔1-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3,2'-옥살란-4',2"-〔1,3〕-디티올란〕및 이의 푸마르산염 ; 및 2-에틸-8-메틸-3-메틸렌-1-옥사-8-아자스피로〔4.5〕데칸 및 이의 염산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KR1019880012963A 1987-10-05 1988-10-05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970007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2104/1987 1987-10-05
JP?252104/1987? 1987-10-05
JP25210487 1987-10-05
JP?286297/1987? 1987-11-12
JP286297/1987 1987-11-12
JP28629787 1987-11-12
JP?84327/1988? 1988-04-05
JP8432788 1988-04-05
JP84327/1988 1988-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649A KR890006649A (ko) 1989-06-15
KR970007947B1 true KR970007947B1 (ko) 1997-05-19

Family

ID=2730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963A KR970007947B1 (ko) 1987-10-05 1988-10-05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4940795A (ko)
EP (1) EP0311313B1 (ko)
JP (1) JPH0236183A (ko)
KR (1) KR970007947B1 (ko)
CN (1) CN1036653C (ko)
AT (1) ATE122353T1 (ko)
AU (1) AU621559B2 (ko)
CA (1) CA1337817C (ko)
DE (1) DE3853758T2 (ko)
DK (1) DK554288A (ko)
ES (1) ES2074441T3 (ko)
GR (1) GR3016995T3 (ko)
HU (1) HU211687A9 (ko)
NO (1) NO1711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4441T3 (es) * 1987-10-05 1995-09-16 Yamanouchi Pharma Co Ltd Compuestos espiro heterociclicos y su preparacion.
US5412096A (en) * 1987-10-05 1995-05-02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Hydrochloride salts of heterocyclic spiro compounds
US5075317A (en) * 1989-06-21 1991-12-24 Fisons Corporation Spirofurane derivatives
US5594000A (en) * 1989-06-21 1997-01-14 Astra Ab Spirofurane derivatives
US5534520A (en) * 1990-04-10 1996-07-09 Fisher; Abraham Spiro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US5407938A (en) * 1990-04-10 1995-04-18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Certain 1-methyl-piperidine-4-spiro-4'-(1'-3'-oxazolines) and corresponding -(1',3' thiazolines)
US5852029A (en) * 1990-04-10 1998-12-22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Aza spiro compounds acting on the cholinergic system with muscarinic agonist activity
US5073560A (en) * 1990-07-20 1991-12-17 Fisons Corporation Spiro-isoxazolidine derivatives as cholinergic agents
IE914238A1 (en) * 1990-12-19 1992-07-01 Fisons Corp Novel spirofurane derivatives
WO1992020683A1 (en) * 1991-05-15 1992-11-26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s)-2,8-dimethyl-3-methylene-1-oxa-8-azaspiro[4,5]decane l-tartrate
CA2154569A1 (en) * 1993-01-28 1994-08-04 Jeffrey J. Hale Spiro-substituted azacycles as tachykinin receptor antagonists
CA2157117C (en) * 1993-03-04 1999-01-05 Manoj C. Desai Spirocyclic piperidine derivatives
JP2983141B2 (ja) * 1993-10-06 1999-11-29 株式会社三和化学研究所 新規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脳機能改善剤
ATE254618T1 (de) 1997-05-30 2003-12-15 Neurosearch As Spiro chinuclidin-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6528529B1 (en) 1998-03-31 2003-03-04 Acadia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with activity on muscarinic receptors
SE9900100D0 (sv) * 1999-01-15 1999-01-15 Astra Ab New compounds
EP1209974A2 (en) * 1999-08-13 2002-06-05 Aventis CropScience GmbH Heterocyclic spiro compounds as pesticides
US20030060487A1 (en) * 2000-04-12 2003-03-27 Bamdad R. Shoshana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JP2003063964A (ja) * 2001-08-28 2003-03-05 Senju Pharmaceut Co Ltd ドライアイまたはドライアイを伴なう疾病の予防治療剤
US7780981B2 (en) 2004-09-13 2010-08-24 Chrono Therapeutics, Inc. Biosynchronous transdermal drug delivery
WO2007013661A1 (ja) * 2005-07-26 2007-02-01 Senju Pharmaceutical Co., Ltd. 眼科用経皮吸収型製剤
US7678363B2 (en) * 2005-08-26 2010-03-16 Braincells Inc Methods of treating psychiatric conditions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muscarinic agents in combination with SSRIs
EP2258359A3 (en) 2005-08-26 2011-04-06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uscarinic receptor modulation with sabcomelin
EP1940389A2 (en) 2005-10-21 2008-07-09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de inhibition
US20070112017A1 (en) 2005-10-31 2007-05-17 Braincells, Inc. Gaba receptor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EP1991212A1 (en) * 2006-03-08 2008-11-19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US20100216734A1 (en) 2006-03-08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MX2008014320A (es) * 2006-05-09 2009-03-25 Braincells Inc Neurogenesis mediada por el receptor de 5-hidroxitriptamina.
EP2021000A2 (en) 2006-05-09 2009-02-11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odulating angiotensin
US20100009983A1 (en) * 2006-05-09 2010-01-14 Braincells, Inc. 5 ht receptor mediated neurogenesis
ITMI20061279A1 (it) * 2006-06-30 2008-01-01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Agonisti nicotinici selettivi per il sottotipo recettoriale alfa7,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e relative composizioni farmaceutiche
EP2068872A1 (en) 2006-09-08 2009-06-17 Braincells, Inc. Combinations containing a 4-acylaminopyridine derivative
US20100184806A1 (en) 2006-09-19 2010-07-22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par agents
EP2066355A2 (en) * 2006-09-19 2009-06-10 Braincells, Inc. Combination comprising 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gent and a second neurogenic agent for treating a nervous system disorder, increasing neurodifferentiation and increasing neurogenesis
US20080103105A1 (en) * 2006-09-22 2008-05-01 Braincells, Inc. HMG CoA REDUCTASE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KR20110075044A (ko) 2007-04-02 2011-07-05 파킨슨즈 인스티튜트 처치 치료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US9034891B2 (en) 2009-01-26 2015-05-19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Bicyclic heterocyclic spiro compounds
AU2010207486B2 (en) 2009-01-26 2013-03-07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Bicyclic heterocyclic spiro compounds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ES2716049T3 (es) 2012-07-13 2019-06-07 Pain Therapeutics Inc Un método para inhibir la fosforilación de tau
US9433604B2 (en) 2013-10-08 2016-09-06 Pain Therapeutics Inc. Method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cells
CA2974324A1 (en) 2015-01-28 2016-08-04 Zita S. Netzel Drug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WO2018129304A1 (en) 2017-01-06 2018-07-12 Chrono Therapeutics Inc.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11596779B2 (en) 2018-05-29 2023-03-07 Morningside Venture Investments Limited Drug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CN115124545B (zh) * 2022-08-31 2023-01-03 南京远淑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促性腺激素释放激素受体拮抗剂中间体的合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5556A (en) * 1962-11-23 1967-02-21 Pfizer & Co C Novel hypoglycemic agents
NL124853C (ko) * 1963-07-19
SU335944A1 (ru) * 1970-12-15 1976-01-2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и Сарат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им.Н.Г.Чернышевског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оединений р да 1-окса6-азаспиро(4,4)нонана
GB1301254A (ko) * 1971-07-08 1972-12-29
US3784551A (en) * 1971-07-08 1974-01-08 Yoshitomi Pharmaceutical 2-oxo-1,4-dioxa-8-azaspiro (4.5) decanes and related compounds
US3839273A (en) * 1971-11-13 1974-10-01 Sankyo Co N-substituted piper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ir use as stabilizers
SU434735A1 (ru) * 1972-03-01 1975-12-1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и Саратов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им.Н.Г.Чернышевског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7-метил-(или 2,7диметил)-2-метокси- -пропионитрил1-окса-6-азаспиро-(4,4)-нонана
SU465399A1 (ru) * 1973-07-19 1975-03-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при Саратовско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университете им.Н.Г.Чернышевског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натриевых солей 2-метокси- -карбоксиэтил-1-окса6-азаспиро-(4,4)-нонана
IL48452A (en) * 1975-11-11 1979-07-25 Purdue Frederick Co Spiro (1,3-dioxolane-4,3') quinuclidines,their preparation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4321379A (en) * 1981-01-28 1982-03-23 American Cyanamid Company 4-Aryl-1-oxa-8-azaspiro[4,5]dec-3-en-2-ones
SU1002294A1 (ru) * 1981-08-14 1983-03-07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Тонкой 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м.А.Л.Мнджояна 2,2-Диалкил-3-тиа-8-азаспиро/5,5/ундеканы
EP0189370A3 (de) * 1985-01-16 1988-01-27 Sandoz Ag Spiro-dioxolane, -dithiolane und -oxothiolane
US4855290A (en) * 1985-05-10 1989-08-08 State Of Israel, Represented By Prime Minister's Office,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Derivatives of quinuclidine
US4981858A (en) * 1987-08-13 1991-01-01 State Of Israel, Represented By The Prime Minister's Office, Israel Institute For Biological Research Optical isomers
ES2074441T3 (es) * 1987-10-05 1995-09-16 Yamanouchi Pharma Co Ltd Compuestos espiro heterociclicos y su preparacion.
US5073560A (en) * 1990-07-20 1991-12-17 Fisons Corporation Spiro-isoxazolidine derivatives as cholinergic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41549A (en) 1991-08-20
ES2074441T3 (es) 1995-09-16
AU621559B2 (en) 1992-03-19
ATE122353T1 (de) 1995-05-15
USRE34653E (en) 1994-07-05
NO884406L (no) 1989-04-06
JPH0544948B2 (ko) 1993-07-07
HU211687A9 (en) 1995-12-28
NO884406D0 (no) 1988-10-04
DK554288A (da) 1989-05-26
AU2344988A (en) 1989-04-06
NO171109B (no) 1992-10-19
EP0311313A2 (en) 1989-04-12
CA1337817C (en) 1995-12-26
DK554288D0 (da) 1988-10-04
KR890006649A (ko) 1989-06-15
NO171109C (no) 1993-01-27
CN1033629A (zh) 1989-07-05
US4996210A (en) 1991-02-26
US4940795A (en) 1990-07-10
DE3853758D1 (de) 1995-06-14
DE3853758T2 (de) 1995-09-07
GR3016995T3 (en) 1995-11-30
EP0311313B1 (en) 1995-05-10
JPH0236183A (ja) 1990-02-06
CN1036653C (zh) 1997-12-10
EP0311313A3 (en) 199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947B1 (ko) 헤테로사이클릭 스피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E60129210T2 (de) Zyklische amid-derivate
EP0088903A2 (en) 1,4-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acid ester derivatives
US4879300A (en) Novel piperidine derivatives
US4735944A (en) Spiro-dioxolanes, -dithiolanes and -oxothiolanes, and their use in mental therapy
US5412096A (en) Hydrochloride salts of heterocyclic spiro compounds
AU2006316706B2 (en) Isoquinoline and benzo[H]isoquinoline derivatives,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 thereof as antagonists of histamine H3 receptor
EP0411912B1 (en) Coumarin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orders
US4992436A (en) Spiro-azabicyclic muscarinic agonists
US4977175A (en) 4,5,6,7-tetrahydrobenzimidazole derivatives as 5HT3 -antagonists
IE892363L (en) Tetracyclic antidepressants
US5075317A (en) Spirofurane derivatives
US6258829B1 (en) Cycloalka[b]pyridine-3-carbonylguan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WO1999038864A1 (en) Oxazole derivatives as serotonin-1a receptor agonists
US4031223A (en) Trifluoromethylthio derivatives of cyproheptadine
EP0670313A1 (en) Spiro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JPH02164882A (ja) スピロ化合物及びその中間体
US5077295A (en) Antipsychoic 4-(4-(3-benzisothiazolyl)-1-piperazinyl)buytl bridged bicycle imides
KR0128975B1 (ko) 9-아실아미노-테트라히드로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유도체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촉진제
AU607966B2 (en) Pilocarpine derivatives
PT86695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tetra-hidro-pirido{3',4':4,5}pirrolo{2,3-c}quinolinas, dos seus intermediarios
US4010161A (en) Piperazinoethyl-N-(2,3-dimethyl-5-oxo-1-phenyl-3Δ-pyrazolin-4-yl)carbamates
EP0057536A1 (e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RU2128178C1 (ru) Пиперидинилзамещенные метаноантрацены 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сол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KR820001835B1 (ko) 4-아미노-2-피페리디노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