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343B1 -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343B1
KR970007343B1 KR1019940018097A KR19940018097A KR970007343B1 KR 970007343 B1 KR970007343 B1 KR 970007343B1 KR 1019940018097 A KR1019940018097 A KR 1019940018097A KR 19940018097 A KR19940018097 A KR 19940018097A KR 970007343 B1 KR970007343 B1 KR 97000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mula
compound
mixture
chlo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449A (ko
Inventor
오세화
박수열
정재윤
김태경
김주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강박광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4001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343B1/ko
Publication of KR96000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4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55/50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to carbon atoms of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내광성의 합성섬유응 형광증백제 CI 형광 199와 유사한 백도및 형광능을 지니는 대체 염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합성 단계가 많고 고가의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수율이 적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기존의 합성법에 비해 구입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는 간단한 반응공정으로 형광증백제 CI 형광 199의 대체물질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형광증백제 CI 형광 199의 대체물질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I) 및 (Ⅱ)의 두가지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상기에서 구조식(Ⅱ)로 표시되는 비스스티릴계 화합물은 보라색 계통의 내광성이 좋은 폴리에스테르 합성 섬유용 형광증백제인데, 종래에는 이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각각 다른 치환기, 즉 시아노메틸기 및 클로로메틸기가 도입된 방향족 메틸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즉, 선행 문헌(참조:미합중국특허 제 4,380,514호)에 따르면 각각 다른 치환기가 도입된 방향족메틸화합물을 우선 자유 라디칼 반응조건에서 염소화시켜 2-클로로-1-클로로메틸벤젠 및 2-시아노-1-클로로메틸벤젠을 제조하고, 계속하여 이를 트리에틸포스파이트로 포스폰화시킴으로써 하기 구조식(Ⅲ) 및 (Ⅲ')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하기 구조식(Ⅳ)의 화합물과 최종적으로 축합반응시켜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각 단계별로 살펴보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염소화를 위한 자유 라디칼 반웅에서는 반응온도가 170℃ 정도로 높고 염소화 반응 후 반응물이 상온에서 굳어짐에 의해 화합물을 순수하게 얻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부생성물인 벤젠핵 치환체가 많이 생성되어 이에 따라 반응 수율도 50%로 낮다고 기재되어 있다.
둘째, 포스폰화 반응에서는 160℃의 온도에서 2-클로로-1-클로로메틸벤젠 및 2-시아노-1-클로로메틸벤젠에 대하여 각각 2몰배량의 트리에틸포스파이트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72 내지 75%의 낮은 수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상기 구조식(Ⅳ)의 방향족디알데히드 화합물과 각각 치환기가 다른 상기 구조식(Ⅲ) 및 (Ⅲ')의 포스포네이트 유도체가 축합 반응하여 목적하는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보관상 문제가 있는 나트륨메톡사이드와 고가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과량 사용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반면에 수율은 72 내지 78%로 낮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살펴볼때, 상기 문헌에 따라 구조식(Ⅱ)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원료의 수급이 원할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가격 또한 고가여서 목적화합물의 제조원가를 크게 높이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또한 구조식(Ⅱ) 화합물까지의 총수율이 30% 정도로 낮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선행의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적절한 조성비를 갖는 구조식(I) 및 (Ⅱ)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들은 구조식(Ⅱ)의 화합물이 섬유의 형광증백제로 사용되는 비스스틸계 화합물중에서도 우수한 형광 증백제로 널리 사용됨에 따라, 상기에 열거되어 있는 제조 단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고순도 및 고수율의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오랜시간 모색하고 연구하던 중에, 상기 구조식(I) 및 (Ⅱ)의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이 기존의 비스스틸계 형광증백제 화합물들과 백도 및 형광능 면에서 유사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적고 원료의 수급이 원할하며 가격이 저렴한 물질을 출발물질로 하여 간단한 반응공정을 거쳐 고수율 및 고순도로 상기 화합물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국적으로 구조식(I) 및 (Ⅱ)의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새로운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구조식(I) 및 (Ⅱ)의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은 각각 별개의 반응 경로에 의해 제조한 다음 혼합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중, 마지막 단계의 반응에서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일정한 조성비를 갖는 혼합물 형태로서 하나의 반응경로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출발 물질인 p-크실렌은 자유라디칼 반응조건에서 염소화하여 하기 구조식(V)의 디클로로-p-크실렌을 제조한다.
상기의 공정에서는 공업적으로 사용이 용이하고 비교적 경제적인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염화탄소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단순한 여과 과정만으로도 순수하게 원하는 생성물을 최대의 수율로 얻을 뿐 아니라, 반응액이 굳어지는 것을 해결하고, 부산물인 벤젠핵 치환체의 생성을 1% 이내로 감소시켰다. 또한 반응 주생성물이 30 내지 34% 생성된 후, 여과에 의해 여액을 회수하여 다음 염소화 반응에 재사용함으로써 유기용매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반응을 계속 진행시킴으로써 반응물이 굳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반응은 통상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진행시킬 수 있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7℃의 온도에서 진행시킬 수 있는데, 특히 용매로서 사염화탄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염화탄소의 끓는점인 95 내지 97C로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염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반응속도로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반응 물질로 트리에틸포스파이트를 사용하여 구조식(V)의 화합물을 포스폰화시킴으로써 구조식(Ⅵ)의 p-크실렌-테트라에틸포스파이트를 제조하였으며, 반응은 1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이때는 구조식(V)의 화합물에 대해 2.0 내지 2.5몰배량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바람직하게는 2.2몰배량의 트리에틸포스파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응 물질의 양을 줄였고,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매 절약 및 비용 절감 효과가 있었으며, 반응 후 미반응의 잔류 트리에틸포스파이트는 회수하여 그대로 다음 반응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응물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들은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수율 및 고순도로 구조식(V) 화합물 및 구조식(Ⅵ) 화합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을 거쳐 수득된 구조식(Ⅶ)의 화합물은 o-클로로벤즈알데히드와 축합반응시켜 하기 구조식(Ⅶ)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이용하였다. 반응은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상기의 축합 반응을 통해 구조식(Ⅶ)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들은 반응용매로 고가의 나트륨메톡사이드 대신에 값이 저렴하고 다루기 쉬운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사용량을 줄여 반응공정상의 번거로움과 제조원가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반응물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고수율 및 고순도로 구조식(Ⅶ)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식(Ⅶ)의 화합물은 시아노 반응을 통해 상기 구조식(I) 및 (Ⅱ)로 표시되는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 및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의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반응은 240 내지 255℃, 바람직하게는 250℃ 정도의 온도 조건에서 구조식(Ⅶ)의 화합물에 대해 3 내지 3.5몰배량, 바람직하게는 3몰배량의 구리(Ⅰ)시안화물을 사용함으로써 수행한다. 또한, 반응 용매로는 이와같은 반응을 수행하여 목적하는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N-메틸피롤리디논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N-메틸피롤리디논 등의 반응 용매는 증류, 회수한 후 특별한 재처리 과정없이 그대로 다음 시아노 반응에 재사용함으로써 반응물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켰다.
또한, 상기 공정에 의하면 치환 반응시의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여러가지의 조성 비율로서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구조식(I) 및 (Ⅱ)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들면 250℃의 온도 및 상기한 반응 조건에서 4시간 내지 4시간 30분간 반응시킬 경우에는 구조식(I) 및 구조식(Ⅱ) 화합물의 조성비가 각각 40% 및 60%인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었으며, 반응 시간을 3시간 내지 3시간30분으로 할 경우에는 조성비가 각각 20% 및 80%인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형광증백제를 제조하는 경우, 그때그때의 사용목적에 따라 일정한 조성 비율을 갖는 혼합물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제조방법을 확립함으로써 형광증백제 CI 형광 199와 유사한 백도 및 형광능을 지니는 대체 염료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구조식(Ⅰ) 및 (Ⅱ)의 혼합물의 형광증백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식(Ⅰ) 및 (Ⅱ)의 혼합물(40:60% 혼합물 및 20:80% 혼합물)과 구조식(Ⅶ)의 화합물, 구조식(I)의 화합물에 대한 최대 흡수 파장, 최대 방출 파장, 및 각 파장에서의 형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형광도는 DMF 1ℓ에 각각의 화합물을 0.4mg 용해시킨 시료를 형광광도계(LS50;Perkin Elmer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대 방출 파장이 장파장 쪽을 갈수록 형광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그 최대 방출 파장이 구조식(Ⅶ)의 화합물과 유사하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형광도는 더욱 높아 구조식(Ⅶ)의 화합물에 비해 형광능이 탁월하며, 구조식(Ⅰ)의 CI 형광 199 보다는 형광능이 조금 떨어지지만 충분히 그의 대체염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광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및 구조식(Ⅰ)의 CI 형광 199를 섬유에 염색하여 백도를 측정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조식(I) 화합물과 백도 및 형광능이 유사하며 합성법 및 정제법이 보다 용이한 구조식(Ⅰ) 및(Ⅱ)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은 상기 구조식(I) 화합물의 대체 염료로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 및 1,4-비스(2-시아노스티릴) 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각 단계의 조작이 간편하고, 반응 조건의 조절이 용이하며, 원료의 수급과 용매의 재활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수율이 높아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법과 다른 경로를 거쳐 보다 효과적이고도 공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제법을 확립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4-디클로로-p-크실렌의 제법
p-크실렌 245ml(2몰)와 사염화탄소 245ml(2.53몰)를 가스분사기가 장착된 반응 용기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90℃로 반응액의 온도를 조절한다. 가스분사기를 통해 염소 가스를 주입한다. 반응물의 온도를 97℃로 승온시키고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하여(GC:Hewlett Packard 5890, 컬럼:HP-1(100%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출기 : 수소이온화검출기, 온도 : 초기온도 80℃, 최종온도 250℃, 검출기온도 250℃, 캐리어 기체 : 질소, 유속 60ml/분, 시료량 : 아제톤에 용해시킨 시료 3μl 주입, internal standard : o-클로로로-p-크실렌) 1,4-디클로로-p-크실렌이 30 내지 34% 생성되며 반응을 중지시키고 10℃ 이하로 냉각시켜 여과시킨다. 여과 후 얻은 여액은 사염화탄소, 5%의 p-크실렌, 60%의 1-클로로-p-크실렌, 각각 10%씩의 1,1-디클로로-p-크실렌, 1,4-디클로로-p-크실렌, 트리클로로-p-크실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성비는 이들 중 1-클로로-p-크실렌을 증류, 회수하여 재사용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하다. 여과후 얻은 케익은 사염화탄소로 세척하여 잔류물인 1-클로로-p-크실렌을 최대한 씻어준 뒤 건조시킨다.
[실시예 2]
p-크실렌-테트라에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반응기 주위를 100℃로 가열하고 반응기 내에 질소 가스를 통과시켜 가능한한 수분을 제거시킨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1,4-디클로로-p-크실렌 17.5g(0.1몰)과 트리에틸포스파이트 36.6g(0.22몰)을 반응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반응액의 온도를 140 내지 150℃로 승온하여 4 내지 5시간 더 반응시킨다. 교반을 중지시키고 반응액을 90 내지 110℃로 냉각시킨 후 감압 장치로 미반응의 트리에틸포스파이트를 증류하여 재사용한다. 생성된 목적 화합물을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연속 반응시킴으로써 다음 반응에 그대로 사용한다.
순도: 97.35% 수율 : 92.44%
[실시예 3]
1,4-비스(2-클로로스티릴)벤젠의 합성
건조기로 수분을 제거시킨 반응기에 수산화칼륨 30.8g(0.55몰)과 디메틸포름아미드 100ml(1.3몰)를 가하고 1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와 2-클로로벤즈알데히드 17.6g(0.125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잘 혼합하여 상기 반응액에 1시간 동안 적가하는데, 이때, 반응물의 온도를 40내지 50℃로 유지시킨다. 반응물을 80 내지 90℃로 유지하면서 2 내지 3시간 더 교반한다. 교반을 중지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30ml을 가하여 잔류된 수산화칼륨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뒤 건조시킨다.
순도 : 94.7% 수율 : 84.4%
[실시예 4]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및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법
실시예 3에서 수득한 1,4-비스(2-클로로스티릴)벤젠 35g(순도 98%,0.1몰)과 구리(I)시안화물 26.9g(0.3몰), N-메틸피롤리디논 140ml(밀도 1.033,1.37몰)을 고압반응기에 가하여 밀폐시킨 후 반응액을 250℃로 승온하여 4 내지 4시간 30분 동안 가열, 교반시킨다. 교반을 중지하고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 장치로 N-메틸피롤리디논을 감압 증류시킴으로써 회수하여 재사용한다. 반응액에는 디메틸포름아미드80ml(밀도 0.944,1.16몰)를 가하고 140℃로 승온하여 30분간 가열 교반한 다음 고온상태에서 여과하여 불용 성분을 분리한다. 여기서 수득한 케익에 물 150ml 가하여 풀어주면서 교반한 후 석출된 결정을 여과시킴으로써 수용성 무기염을 분리시킨다. 여과하여 수득한 케익은 염산 및 물의 혼합물 400ml로 2회에 나누어서 세척함으로써 생성물과 구리염의 혼합물로 분리하여 구리염을 용해시킨 후 석출된 결정을 여과한다. 여과하여 얻은 케익에 디메틸포름아미드 40ml(밀도 0.944, 0.58몰)를 가하여 풀어주면서 교반한다. 반응액을 120 내지 130℃로 승온하여 가열, 교반 후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면서 아세톤을 부어 결정을 세척해준다. 여과하여 수득한 케익을 7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순도 : 98% 수율 : 84%

Claims (14)

  1. 하기 구조식(Ⅶ)의 화합물을 용매 존재하에 구리(Ⅰ)시안화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구조식(I) 및 (Ⅱ)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는 N-메틸피롤리디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는 240 내지 25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조식(I) 및 (Ⅱ) 화합물로 구성된 혼합물의 조성비를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250℃에서 4 내지 4시간 30분간 반응시킴으로써 구조식(I) 화합물과 구조식(Ⅱ) 화합물이 각각 40% 및 60%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250℃에서 3 내지 3시간 30분간 반응시킴으로써 구조식(I) 화합물과 구조식(Ⅱ) 화합물이 각각 20% 및 80%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구조식(Ⅶ)의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Ⅰ)의 화합물을 유기용매 존재하에 o-클로로벤즈알데히드와 축합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80 내지 90℃의 반응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구조식(Ⅵ)의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V)의 화합물을 트리에틸포스파이트로 포스폰화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140 내지 150℃의 반응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트리에틸포스파이트를 구조식(V)의 화합물에 대해 2.0 내지 2.5몰배량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구조식(V)의 화합물이 p-크실렌을 용매 존재하에 자유라디칼 반응조건에서 염소화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용매는 사염화탄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018097A 1994-07-26 1994-07-26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KR97000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097A KR970007343B1 (ko) 1994-07-26 1994-07-26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097A KR970007343B1 (ko) 1994-07-26 1994-07-26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49A KR960004449A (ko) 1996-02-23
KR970007343B1 true KR970007343B1 (ko) 1997-05-07

Family

ID=1938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097A KR970007343B1 (ko) 1994-07-26 1994-07-26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3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49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343B1 (ko) 1-(2-클로로)스티릴-4-(2-시아노)스티릴벤젠과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0286578B1 (ko) 2-치환된-5-클로로이미다졸-4-카보알데히드의 제조방법
KR0146349B1 (ko) 5-아미노-1,2,4-트리아졸-3-설폰아미드의 제조방법
US5756724A (en) High-yielding ullmann reaction for the preparation of bipyrroles
KR0156961B1 (ko) 1,4-비스(2-시아노스티릴)벤젠의 제법
JP2931393B2 (ja) 2−アミノベンゼン−1,4−ジスルホン酸の製法
SU72871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триазоло-тиено- диазепин-1-онов
KR970001535B1 (ko) N-[3-[(2-시아노에틸)-2-프로펜일아미노]-4-치환된 페닐]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EP085307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lkyl 3-amino-4-substituted benzoates
KR970006242B1 (ko) 신규한(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옥시)-아세토니트릴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05518B1 (ko) 1-아미노-4-[[2-(치환된아미노)메틸-4-메틸-6-술포페닐]아미노]-9,10-디히드로-9, 10-디옥소-2-안트라센술폰산의 제조방법
KR0163344B1 (ko) 아세토니트릴을 용매로 사용하는 3-니트로-9-에틸카바졸의 제조방법
KR0127251B1 (ko) 4,4'-비스클로로메틸비페닐의 제조방법
RU206544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3-фенилтиоантра[1,9-cd]-изоксазол-6-она
SU172822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9,9-бис/4-аминофенил/-флуорена
KR910006903B1 (ko) 2,2'-디히드록시-4,4'-디알콕시벤조페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0155176B1 (ko) 신규한 알파-할로-알파-(4-치환된페닐)아세토니트릴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4044B1 (ko) 벤조디푸라논 화합물의 제조방법
KR950002837B1 (ko) 3-아미노-4-메톡시아세트아닐리드의 제조방법
KR0131038B1 (ko) 벤조디푸라논 화합물의 제조방법
KR930003757B1 (ko) 치환된 β-페닐아크릴산의 제조방법
JP2500316B2 (ja) 1,4,5,8―テトラキス(ハロゲノメチル)ナフタレ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79647A (ja) 1,4−ジアミノアントラキノン−2,3−ジスルホン酸及び1,4−ジアミノアントラキノン−2,3−ジニトリルの製造方法
SU1634669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4-амино-5-тозилимидазо(1 @ ,2 @ :1,6)пиридо(2,3- @ )-пиразина
RU207610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5,6-фталилфенотиаз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