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297B1 - 음향체감기 - Google Patents

음향체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297B1
KR970007297B1 KR1019940702394A KR19940072394A KR970007297B1 KR 970007297 B1 KR970007297 B1 KR 970007297B1 KR 1019940702394 A KR1019940702394 A KR 1019940702394A KR 19940072394 A KR19940072394 A KR 19940072394A KR 970007297 B1 KR970007297 B1 KR 97000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rtition
speaker
partition wal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미 이시가키
마사코 타무라
Original Assignee
캅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스지모토 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086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16582A/ja
Application filed by 캅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스지모토 켄조 filed Critical 캅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음향체감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음향체감기의 1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음향체감기의 종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각종 음향기기나 업무용 게임기, 혹은 가정용 게임기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람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향체감기(音響體感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피커가 발하는 음향의 음압에 의해, 이 스피커를 내장하는 용기의 외벽을 진동시켜 이 진동을 신체에 전달하는 형식의 음향체감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상기 형식의 음향체감기는, 일반적으로 용기 내부에 그 내부공간을 이분하도록 간막이 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이 격벽에 설치된 개구부에 스피커를 부착한 기본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피커가 구동되면, 이 스피커가 발하는 음향의 음압에 의해 용기의 외벽이 진동된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출원 특개평 2-266797호 공보에는 상기 형식의 음향체감기의 예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동 공보의 제4도에 기재된 것은, 스피커를 내장하는 용기가 합성수지를 접시형으로 성형한 한쌍의 진동판을 겹쳐서 편평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이 용기의 내부를 두께 방향으로 이분하도록 구획하는 격벽이, 목재 등의 비교적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이것에 설치한 개구에 스피커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음향체감기와 같이, 용기의 내부를 격벽으로 구획하면 용기의 외벽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없어, 만족한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격벽에 부착하는 스피커로서, 대구경(大口徑) 대출력의 것을 사용하면, 용기의 외벽에 생기는 진동을 크게 할 수 있고, 또 저음의 진동도 좋아지나, 이와 같이 하는 경우는 대구경의 스피커를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 전체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음향체감기의 전체로서의 중량이 증가하며, 또, 제조원가도 높아진다. 그 때문에 염가인 텔레비젼 게임용의 주변기기로서의 음향체감기에는 적합치 않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소구경 소출력의 스피커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체감 진동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저음의 진동도 충분히 신체에 전달할 수 있는 음향체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음향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소형 경량이며,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음향체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음향체감기는 용기와 이 용기의 내부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둘로 나누는 격벽과, 이 격벽에 설치한 개구부에 부착된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벽은 바람직하게는 휘임진동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격벽에는 상기 제1실과 제2실간의 공기 유통을 허용하는 투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그 둘레 가장자리가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격벽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전체 혹은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격벽과 대향하는 부위, 즉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부위는, 휘임진동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제1국면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있어서 스피커가 부착되는 격벽이 휘임진동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가 구동되었을때, 그 콘(cone) 용지의 진동에 수반하여 격벽 전체가 진동되며, 흡사 스피커의 구경이 확대된 형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스피커가 발하는 음향의 음압이 높아져, 소구경의 스피커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음향, 특히 저음의 음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의 증대 효과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하여 상기 격벽의 둘레 가장자리를 탄성부재를 통하여 용기 내벽에 지지하게 함으로써 보다 높아진다. 왜냐하면, 스피커의 콘 용지의 진동에 수반되는 격벽의 진동을 저해하는 요인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하여 상기 격벽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탄성부재를 통하여 용기 내벽에 지지하도록 하면, 용기에 대한 필요없는 직접 진동전달이 경감되므로 음향의 선명도가 대단히 높아진다고 하는 효과도 생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국면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둘로 나누는 격벽에 제1실과 제2실간의 공기 유통을 허용하는 투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스피커의 진동에 수반하는 격벽의 휘임진동이 더욱 증진되는 동시에, 격벽의 진동에 수반하여 공기가 투과 구멍을 통과할 때에 생기는 음의 퓨넬링(funnelling) 효과에 의해 음압이 더욱 높여지며, 이 음압에 기인된 용기 외벽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본원 발명의 제1곡면 및 제2곡면의 종합적인 결과로서, 소구경의 스피커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진동을 용기 외벽에 발생시킬 수 있고, 특히 저음의 진동이 충분하게 되는 동시에 음향의 선명도도 높아진다. 그리고, 음향체감기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첨부 도면에 따라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음향체감기는 용기(1)와 이 용기의 내부공간을 제1실(5)과 제2실(6)로 이분하는 격벽(4)과, 이 격벽(4)의 개구에 부착한 스피커(7)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1)는 반경질의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유저(有底) 원통형으로 성형된 두개의 반분할 케이스(2,3)를 합체시켜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각 반분할 케이스(2,3)의 원통부분의 내면에는 원통형상의 이음매(12)가 안쪽으로 끼워져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각 반분할 케이스(2,3)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상기 반분할 케이스(2,3)는 각각은 반경질의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외부압력에 의한 변형이 가능하나, 원통형상 측벽부에 관해서는 상기 원통형상 이음매(12)가 안쪽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강성이 높여지고 있다. 그러나 각 반분할 케이스(2,3)의 원형 바닥면부는 휘임변형이 가능하며 뒤에 설명하는 스피커(7)가 발하는 음압에 의해 휘임 진동케된다.
상기 격벽(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1)를 형성한 재질과 동일하게 강인하며 진동발생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 등의 반경질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격벽(4)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설치되며, 이 개구에 맞추도록하여 비교적 소구경의 스피커(7)가 부착된다.
상기 격벽(4)은 또한 용기(1)의 원통형상 측벽의 내면, 즉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통형상 이음매(12)의 내주면(內周面)에 대하여, 탄성부재(10)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10)는 기밀성이 높은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등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격벽(4)의 주연부를 끼워 맞춤 유지하는 고리형상 홈(11)을 가지며, 외주 부분이 상기 원통형상 이음매(12)의 내면에 대하여 접착제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격벽(4)에는 이것이 이분하는 용기(1)내의 제1실(5)과 제2실(6)과의 사이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는 투과 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1)의 제2실(6)내에는 주파수 반감 회로를 구비한 스피커 구동용 앰프(13)와 전원 코드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4)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스피커(7)가 구동되면 스피커(7)가 부착되는 격벽(4) 그 자체가 휘임 변형가능하며, 더우나 이 격벽(4)의 외주부는 탄성부재(10)를 통하여 용기(1)의 내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격벽(6)이 스피커(7)의 콘 용지(8)의 진동에 수반하여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스피커(7)의 구경이 작아도 흡사 스피커(7)의 구경이 확대된 것과 동일한 음압 발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충분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스피커(7)의 구경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중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음의 선명도도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된다.
더구나 상기 격벽에는 용기내의 제1실(5)과 제2실(6)를 연통시키는 투과 구멍(9)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피커(7)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콘 용지(8)의 진동에 수반되는 격벽(4)의 진동이 더욱 증진되는 한편, 격벽(4)의 진동시에 투과 구멍(9)을 통과할 때에 생기는 소리의 퓨넬링 효과에 의해 음향의 음압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용기의 외벽 즉, 각 반분할 케이스(2,3)의 바닥면부에 생기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높여진다. 그 결과 용기(1)에 신체를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스피커(7)를 구동시켰을때, 충분한 음향, 특히 중저음을 충분히 체감할 수 있고, 더구나 그 음향 선명도가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음향체감기에 있어서는 스피커를 소구경화 하여도 충분히 또한 양질의 체감 음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저렴화할 수 있는 동시에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 실시예와 같이 용기(1)를 반경질(半硬質)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하면,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은 강인성과 유연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피커가 발하는 음향을 충실 또한 선명하게 신체에 전달할 수 있으며 신체에 대한 친숙도도 양호하며, 또한 난폭한 사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수명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용기(1)를 형성하는 경우 블로성형(blow forming)도 용이하고 제조원가도 대단히 염가이며, 경량이라고 하는 여러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의 음향체감기의 경량화와 그 가격의 저렴화를 보다 한층 촉진할 수 있다.
물론 본원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정신 밑에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가령, 격벽(4)은 반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외에 판지(cardboard)등으로 성형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 격벽(4)은 휘임 변형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격벽(4)의 주연부를 탄성부재(10)를 통하여 용기 내벽에 지지하는 것이면,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어도 지장은 없다.
반대로 격벽(4)으로서 휘임 진동할 수 있는 유연성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면 그 주연부를 탄성 부재(10)를 통함이 없이 용기의 내면에 연결하여도 상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격벽(4)에 설치되는 투과 구멍(9)은 스피커(7)로부터 이간(離間)시켜서 될 수 있는 한 격벽(4)의 외주부에 근접된 장소에 설치하고 또한 복수개소보다도 1개소만에 설치하는 쪽이 음향 효과가 양호하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Claims (4)

  1. 용기와 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이분하는 격벽과, 이 격벽에 설치한 개구부에 부착시킨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벽은 휘임 진동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격벽에는 상기 제1실과 제2실간의 공기 유통을 허용하는 투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체감기.
  2. 제1항에 있어서, 격벽이 그 둘레 가장자리가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체감기.
  3. 용기와 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제1실과 제2실로 이분하는 격벽과 이 격벽에 설치한 개구부에 부착시킨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실과 제2실간의 공기 유통을 허용하는 투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격벽은 그 둘레 가장자리가 탄성 부재를 통하여 상기 용기 내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체감기.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격벽과 대항하는 부위가 휘임 진동 가능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체감기.
KR1019940702394A 1992-11-18 1993-08-23 음향체감기 KR970007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8674A JPH05316582A (ja) 1991-12-17 1992-11-18 音響体感器
JP92-308674 1992-11-18
PCT/JP1993/001178 WO1994012001A1 (en) 1992-11-18 1993-08-23 Speaker enclo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297B1 true KR970007297B1 (ko) 1997-05-07

Family

ID=1798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394A KR970007297B1 (ko) 1992-11-18 1993-08-23 음향체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6195A (ko)
EP (1) EP0614326A4 (ko)
KR (1) KR970007297B1 (ko)
TW (1) TW245874B (ko)
WO (1) WO1994012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6611A1 (fr) * 1992-09-28 1994-04-08 Stamp Sa Transducteur électro-acoustique à volume diffusant.
DE10015751B4 (de) * 1999-03-31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utsprecherbox
AU7388200A (en) * 1999-07-23 2001-02-13 Digital Sonics, Llc Flat panel speaker
US6195442B1 (en) * 1999-08-27 2001-02-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ssive vibroacoustic attenuator for structural acoustic control
US6741718B1 (en) 2000-08-28 2004-05-25 Gn Jabra Corporation Near-field speaker/microphone acoustic/seismic dampening communication device
NO331450B1 (no) * 2009-06-17 2012-01-02 E Scape As Høyttaleranordning
JP5190150B1 (ja) * 2012-07-25 2013-04-24 株式会社シマシステム スピーカユニット内蔵品
US20230009327A1 (en) * 2021-07-09 2023-01-12 Touraj Torabi Sound e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29407Y1 (ko) * 1955-12-09 1957-08-22
JPS582516B2 (ja) * 1978-05-31 1983-01-17 ボデイソニツク株式会社 機械的振動発生装置
US4354067A (en) * 1978-05-17 1982-10-12 Bodysonic Kabushiki Kaisha Audio-band electromechanical vibration converter
US4232204A (en) * 1978-06-22 1980-11-04 Comercial E Industrial Sound-Tronic Ltd. High fidelity loudspeaker
JPS582516A (ja) * 1981-06-29 1983-01-08 Miyamoto Kogyosho:Kk 火葬装置
JPS59149789A (ja) * 1983-02-08 1984-08-27 Toshiba Corp セルビウス装置
JPS59149789U (ja) * 1983-03-24 1984-10-06 ヤマキ電器株式会社 スピ−カシステム
JPS6168600A (ja) * 1984-09-12 1986-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性廃液処理装置
JPS6168600U (ko) * 1984-10-04 1986-05-10
JPH065560B2 (ja) * 1984-10-31 1994-01-19 株式会社東芝 搬入車輌管制装置
JPS61111299U (ko) * 1984-12-06 1986-07-14
JPS62231663A (ja) * 1986-04-01 1987-10-12 林原 健 振動刺激装置
JPH01202099A (ja) * 1988-02-08 1989-08-15 Toyo Tire & Rubber Co Ltd 振動装置
JPH01288092A (ja) * 1988-05-13 1989-11-20 Toyo Tire & Rubber Co Ltd 振動装置
JPH01288096A (ja) * 1988-05-13 1989-11-20 Toyo Tire & Rubber Co Ltd 振動装置
JPH02266797A (ja) * 1989-04-07 1990-10-31 Toyo Tire & Rubber Co Ltd 体感音響振動装置
JPH0385096A (ja) * 1989-08-28 1991-04-10 Pioneer Electron Corp 体感音響装置用スピー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6195A (en) 1996-12-17
WO1994012001A1 (en) 1994-05-26
EP0614326A1 (en) 1994-09-07
EP0614326A4 (en) 1996-04-17
TW245874B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133B2 (en) Headphone
KR100703122B1 (ko) 이어폰
US730607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membrane with a middle area comprising stiffening grooves
US6064746A (en) Piezoelectric speaker
US6522759B1 (en) Speaker
CN109831716B (zh) 一种骨传导扬声器
KR970007297B1 (ko) 음향체감기
US10779077B2 (en) Microphone cavity
JP2019033465A (ja) ヘッドホン
US5896460A (en) Speaker
US6130951A (en) Speaker having multiple sound bodies and multiple sound openings
JPH0822110B2 (ja) 音響体感器
US11317194B2 (en) Speaker
CN111147984B (zh) 发声模块及电子设备
CN112738664A (zh) 弹性箱体及音箱
JPH02195797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H05316582A (ja) 音響体感器
US6108429A (en) Speaker adapted for use as a center woofer in 3-dimensional sound system
JP3999181B2 (ja) ピエゾスピーカー
JP3561530B2 (ja) 音響体感器
KR200382038Y1 (ko) 입체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소형스피커유닛
CN212231669U (zh) 弹性箱体及音箱
CN217486643U (zh) 双单元扬声器及电子装置
WO2024111227A1 (ja) マイクロホン
WO2024111228A1 (ja) マイクロホ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