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98B1 - 자기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98B1
KR970006398B1 KR1019940700248A KR19940700248A KR970006398B1 KR 970006398 B1 KR970006398 B1 KR 970006398B1 KR 1019940700248 A KR1019940700248 A KR 1019940700248A KR 19940700248 A KR19940700248 A KR 19940700248A KR 970006398 B1 KR970006398 B1 KR 97000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gnetic disk
battery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따까 히요시
히로유끼 다나까
다까오 하까마따니
마사유끼 고리가와
히로시 쓰루미
데쓰로오 구도
유우이찌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133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06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33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0622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기디스크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장착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착구성의 후면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제2도의 전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5도는 제1도의 전원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6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장착구성을 로커밖으로 꺼내어 전개하여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일예의 장착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을 위한 백-업의 기본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전원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회로블록도.
제10도는 제8도의 배터리유니트의 일실시예의 회로블록도.
제11도는 제9도의 정전시의 충전완료통고의 판단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ck트.
제12도는 제9도의 전원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13도는 제9도에 있어서, 정전감시처리를 서브루틴으로 갖는 플로우차트.
제14도는 제8도의 전원시스템을 나타내는 다른예의 회로블록도.
제15도는 제14도에서 정전시의 충전완료 통지 신호의 판단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제16도는 제14도의 전원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17도는 배터리를 내장한 종료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18도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정전시에 잘못 발행된 충전완료 통지신호의 타이밍차트.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백-업제어의 기본 구성도.
제20도는 제19도의 전원시스템을 나타내는 일예의 회로블록도.
제21도는 제19도의 백-업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제22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본구성도.
제23도는 종래의 백-업제어의 기본구성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제어의 원리설명도.
제25도는 제24도에 의한 기동제어의 일실시예의 타이밍차트.
제26도는 제24도의 기동제어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밍차트.
제27도는 제24도의 기동제어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밍차트.
제28도는 제24도에 의한 기동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타이밍차트.
제29도는 제24도의 기동제어의 플로우차트.
제30도는 자기디스크모듈의 유니트당의 기동시간 및 변화들의 설명도.
제31도는 종래의 기동제어의 일예의 타이밍차트.
제32도는 종래의 기동제어의 다른 예의 타이밍차트.
제3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감시의 기본구성도.
제34도는 제33도의 배터리패트롤의 타이밍차트.
제35도는 제33도의 배터리감시와 시스템 결합의 타이밍차트.
제36도는 제33도에서 경합시의 배터리패트 롤의 타이밍차트.
제37도는 제33도의 처리루틴의 플로우차트(1).
제38도는 제33도의 처리루틴의 플로우차트(2).
제39도는 제33도의 처리루틴의 플로우차트(3).
제40도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파워유니트의 기본구성도.
제41도는 종래의 배터리감시와 시스템결합의 타이밍차트.
제4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단제어의 기본구성도.
제43도는 제42도의 구성의 크로스콘트롤회로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제44도는 제42도에서의 배터리테스트 개시 플로우차트.
제45도는 종래의 전원절단제어의 구성도.
제4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단 원인을 분석하는 기본 구성도.
제47도는 제46도의 전원절단처리의 플로우차트.
제48도는 종래의 전원절단 원인분석의 기본구성도.
제49도는 제48도의 전원절단 처리의 플로우차트.
제5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수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본구성도.
제51도는 제50도에 있어서의 보수작업 처리의 플로우차트.
제52도는 자기디스크제어장치의 기본구성도.
제53도는 제52도의 전원주변의 기본구성도.
제54도는 종래 전원보수 디스플레이패널의 기본구성도.
제55도는 제54도의 보수작업처리의 플로우차트.
제5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외관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백-업전원을 내장한 중형호스트 컴퓨터시스템 및 제어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소형화 및 밀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백-업 전원을 내장한 록커형 자기디스크 장치의 소형화 및 밀도를 증가하는 내부구성과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갖는 자기디스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정전중에 배터리유니트로 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 제어시스템이 있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기 디스크 장치의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기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하나의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간의 절환을 제어하는 전원과 이 두시스템에 부착된 백-업 배터리들을 감시하는데 관한 것이며,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절단 제어에 관한 것이며,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시스템들의 신뢰성에 대한 요구들은 극히 높다. 컴퓨터시스템의 전원설비의 차단 또는 낙뢰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정전되었을 때에도 정상적인 시스템 동작을 계속할 수 있는 시스템, 허용정도 이상으로 정전되었을 때에도 현재 진행중인 처리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자기디스크 장치내에 기입된 데이타의 안전을 보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서브시스템으로 설비된 자기 디스크 장치일지라도 입력전원을 정전시에 효율적으로 또 저가로 백-업 할 수 있는 전원제어가 필요하다.
통상 예를들어 대형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된 60~360Gbyte 자기디스크 장치는 대형 컴퓨터와 함께 무정전 전원설비를 설비한 컴퓨터센터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자기디스크 장치 그자체에는 배터리가 설비되지 않는다.
즉, 대형 컴퓨터시스템 및 자기디스크 장치는 공통전원 설비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에 전원 설비에는 외부전원 및 백-업 배터리 그리고 또 비상발전기가 설비된다. 통상 백-업 배터리는 용량이 크고, 따라서 소방법 규칙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구성과 외관에 여러가지 제약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설치공간이 커진다.
한편, 일반 사무실등에 설치되는 중형 컴퓨터시스템을 예를들어 5~20Gbyte 용량의 중형 자기디스크 장치를 사용한다. 이와같은 중형 컴퓨터시스템의 경우에는 대형 컴퓨터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은 무정전 전원은 없고, 상용 전원을 사용할 뿐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자기디스크 장치용 백-업 배터리를 설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중형 컴퓨터시스템에서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백-업 배터리를 설비하는 경우에 배터리 설치공간을 가능한 적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소방법하의 제약에서 벗어난 전원용량 범위로 배터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배터리용량이 아무리 작을지라도 백-업 전원은 필요하고 보증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정전 또는 전원의 순간 절단시에 배터리의 소비(방전)은 매우 크다. 배터리가 충분히 빨리 충전될 수 없는 경우에는 백-업 전원은 얼마안가서 시스템을 위하여 보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중형 컴퓨터시스템용으로 사용하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주가되는 문제는 여하히 가능한 백-업 배터리의 소비를 억제 하느냐는 것이다.
한편, 자기디스크 장치는 단일 록커(locker)에 내장된 복수의 콤팩트 자기디스크 모듈을 대동한다. 이 모든 모듈이 일시에 기동하면 통상 동작상태의 수배의 레벨의 전류가 흘러서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들은 러슈전류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기동된다. 그러나 더욱 전원설비들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욱 기동을 미세 제어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 전원감시, 배터리테스트, 정전시의 원인분석, 전원보수용표시등에 개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자기디스크 장치의 내부장착 구성의 개량에 있다. 즉, 자기디스크 장치의 하우징(록커)내에 장착되는 자기디스크 모듈의 수를 증가시켜 정착밀도를 개량하는데 있다. 또, 사용하는 케이블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복수의 파워유니트와 백-업 배터리 유니트 및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를 설비할 때에 높은 장착밀도를 달성할 수 있는 록커 스토리지형 자기디스크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정전시의 제어를 개선하는데 있다. 즉, 배터리의 충전완료전에 정전이 발생된 경우에도 시스템의 이상 종료 또는 데이타파손을 일으키지 않고 전원 절단을 적절히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백-업 제어를 개선하는데 있다. 즉, 장치자체에 배터리를 설비한 경우에 정전시에 입력되는 백-업제어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방법으로 개선하는데 있다. 즉, 기동전원을 억제하고 가동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전원을 감시하는데 있다. 즉, 적절한 시간들에 전원감시시간들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배터리와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2개의 시스템간의 경합을 제어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목적은 배터리를 감시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경우에는 배터리테스트중에 경합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7목적은 전원절단을 제어하는데 있다. 즉, 전원절단 원인을 용이하게 분석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목적은 보수작업 종료시에 자기디스크 장치와 전원장치와의 R/L 스위치의 절환을 빠트리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특히 상용전원을 사용하고, 백-업 전원을 갖지 않는 중형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렉터(directors), 복수의 디렉터로 부터 공통접속되는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 복수의 디렉터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디렉터배터리, 자기디스크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기디스크 모듈배터리 및 복수의 디렉터들과 자기디스크 모듈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복수의 디렉터배터리와 자기디스크 모듈 배터리들로 부터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파워콘트롤러가 설비된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특히 상용전원을 사용하고 백-업 전원을 갖지 않는 중형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고, 개별 유니트들 및 자기디스크 모듈로 소정의 DC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전원유니트를 하우징에 수납하는 구성을 갖고, 이들 복수의 전원유니트가 단일모반(mother board)에 접속되어 공통전원을 형성하는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모반이 전원 유니트에 접속되는 동시에 백-업 배터리유니트에 접속되어 있다.
일실시예로는 전원 유니트에 모반의 한쪽에 접속되고, 백-업 배터리 유니트들은 다른쪽에 접속되어 있다.
일실시예로는 전원 유니트들로서 배터리유니트들이 그 DC전압을 출력한다.
일실시예는 배터리유니트들이 플러그삽입에 의해서 모반에 접속되어 있다.
일실시예로는 복수의 전원유니트가 접속된 복수의 모반이 설비되고, 이 복수의 모반간의 전원선이 공통으로 접속되어 공통전원을 형성하고 있다.
일실시예는 전원유니트들로 부터의 입력 전압을 소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으로써 공급하는 DC/DC콘버트들을 자기디스크 모듈이 내장하고 있다.
일실시예로는 자기디스크 모듈, 전원유니트 및 모반이 이 자기디스크 모듈과 단일 하우징내에 장착되어 있다.
일실시예는 자기디스크 모듈 및 자기디스크 제어장치에는 DC 입력전압을 받아 특정 DC전압을 출력하는 DC/DC콘버터들이 설비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자기디스크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접속되는 자기디스크 제어수단, 외부전원으로 부터의 입력전압을 소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자기디스크 모듈들로 공급하는 전원유니트를 전원유니트들로써 자기디스크 모듈에 DC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들 및 전원유니트들 및 자기디스크 모듈들의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이 설비되어 있고, 배터리유니트들에 충전완료 검출수단이 설비되어 수납된 배터리의 충전전류가 소정치 이하로 되면 배터리 충전완료로 판단하고,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전원 제어수단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정전을 검출했을 때에 충전완료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부효화하고, 전원제어수단에 설비된 충전완료 부효화수단이 더 설비되어 충전완료전에 정전결과로 충전전류가 저하되는 동안에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되면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충전완료 검출수단으로 부터 충전완료 제어수단에 공급하고, 배터리충전완료전에 발생한 정전으로 인하여 충전전류가 강하되는 동안에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될 때에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전원제어수단의 정전검출시간후에 지연수단에 의해서 지연되어 수신하여 정전 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되지 않음을 판단하는 지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일실시예는 전원제어수단에 설비되어 소정시간에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리드인하여 보지하고, 정전검출전 소정시간전에 검출된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독출하여 충전완료의 존재를 판단하고, 충전완료전에 정전으로 인하여 충전전류가 강하하는 동안에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될 때에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는 충전완료 판단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는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됨이 판단될 때에 전원제어수단은 자기디스크 제어수단에 소정의 백-업시간(T1)이 경과되었을 때에 자기디스크 모듈을 절단하도록 지시하고, 자기디스크 제서수단으로 부터 절단허가 응답을 수신할 때에 전원유니트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일예로는 전원제어수단이 절단요구시 부터 소정시간(T2) 경과된 후에도 자기디스크 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절단허가 응답을 수신함이 없이 전원유니트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또, 본 발명은 입력으로써 AC전원을 받아 DC전압으로 변환하는 메인전원유니트, 전원유니트의 DC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유니트, 메인전원 유니트로 부터 전원을 받아서 동작하는 자기디스크 모듈들, 메인전원 유니트로 부터 전원을 받아 자기디스크 모듈들을 제어하는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 및 메인전원 유니트로부터의 전원의 자기디스크 모듈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의 투입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가 설비되어 있고, 전원제어유니트에는 AC전원의 입력정지를 검출하는 정전검출수단, 정전검출수단이 정전을 검출하였을 때에 기동하여 전원입력이 정지된 동안의 시간을 감시하고, 소정의 백-업시간(T1)이 도달되었을 때에 타이머출력을 생성하는 제1타이머, 및 제1타이머의 타이머출력전에 상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원절단 명령에 따라서 자기디스크 모듈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처리를 실행하고, 상위 장치로 부터 전원 절단명령을 받지 않았으나, 제1타이머 출력을 얻었을 때에 자기디스크 모듈들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 처리를 실행하는 백-업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자기디스크 모듈들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처리로써 백-업 제어수단이 전원절단제어신호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 출력되어 자기디스크 유니트의 입출력동작을 중지하고,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부터 입출력동작의 종료에 따른 절단통지신호를 수신할 때에 자기디스크 모듈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한다.
일실시예는 전원절단 제어신호가 백-업 제어유니트로 부터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 출력되는 동시에 기동되어 자기디스크 모듈의 입출력동작의 종료를 감시하여 소정시간(T2)에 도달할 때에 타이머 출력을 생성하는 제2타이머가 설비되고, 백-업 제어수단이 제2타이머의 타이머 출력전에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원절단 허가통지에 따라서 자기디스크 모듈들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하고,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로 부터 전원절단 허가통지를 수신하지 않았으나, 제2타이머의 타이머출력을 얻었을 때에 자기디스크 모듈들과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한다.
일실시예는 백-업 제어수단이 정전 검출후에 전원투입의 복귀가 검출되었을 때에 제1타이머를 클레어시킴으로써 백-업 동작을 정지하고, 장치의 동작을 계속하게 한다.
일실시예는 제2타이머의 기동후에 전원투입의 복귀를 검출하였을 때에 백-업 제어수단이 제2타이머를 클레어시키고,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 부터의 전원절단 허가통지에 따른 절단동작을 금지한다.
또, 본 발명은 동일수의 유니트들로 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이들의 그룹이 각 그룹을 위한 시간간격을 바꾸어 연속적으로 기동하는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의 전원투입에 의해서 기동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적어도 시간(△T)에 의해서 그들을 쉬프트하여 연속적으로 그룹들이 기동된다.
일실시예로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정확하게 시간(△T)에 의해서 그들을 쉬프트함으로써 첫째 2그룹이 연속적으로 기동되고, 뒤이은 그룹들이 제2기동그룹의 기동종료후에 중첩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기동된다.
일실시예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정확하게(△T)에 의해서 그들을 쉬프트함으로써 2그룹을 연속적으로 기동하도록 처리가 반복되고, 마찬가지로 제2기동그룹의 기동후에 다음 2그룹을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유니트수들로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의 전원투입에 의해서 기동되고, 이들 그룹이 유니트들의 수가 많은 그룹순서로 연속적으로 기동되는 자기디스크의 기동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이들 그룹은 각각 대략 기동시간의 1/2에 의해서 그들을 쉬프트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유니트수로 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의 전원투입에 의해서 기동되고, 이들 그룹이 각 그룹을 위한 기동시간 간격을 바꿈으로써 연속적으로 기동되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기동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적어도 시간(△T)에 의해서 그들을 쉬프트함으로써 그룹들이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일실시예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정확하게 시간(△T)에 의하여 그들을 쉬프트함으로써 2그룹을 연속적으로 기동하도록 처리가 반복되고, 그런후에 마찬가지로 제2기동그룹의 기동종료후에 다음 2그룹을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시스템으로 된 전원유니트와 전원유니트에 부수된 배터리유니트들을 갖고, 다른 시스템과 공용인 전원유니트와 배터리들을 갖고 있고, 하나의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와 다른 시스템의 전원 제어 유니트간에 배터리 감시동작중에 신호와 공용전원 부착된 기능을 감시하는데 사용되어 배터리감시에 대한 우선권을 제공하고, 자기디스크장치에 결합된 경우에는 배터리들의 동시 감시와 배터리들의 결합시간을 자기디스크 장치내로 제어하는 패트를 제어수단을 설비하고 있다.
일실시예는 전원제어장치가 적절한 시간에 배터리들의 레디상태를 감시하고, 배터리가 백-업 가능한 레디상태임을 검출할 때에, 즉시 배터리의 감시동작을 개시하고, 배터리 기능 들이 적절하면 시스템으로 배터리를 결합시킨다.
일실시예는 그 장치자체가 감시를 할 때에 전원제어수단은 패트를 제어수단에 매스터신호를 송출하고, 패트를 제어수단은 상기 매스터신호를 받지 않은 쪽의 전원제어장치에 대해서 다른 시스템이 배터리 감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다른 시스템 패트를 신호를 송출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시스템, 전원유니트 및 전원유니트들에 부수된 배터리들을 갖고, 다른 시스템들과 공용인 전원유니트들과 배터리들을 갖고, 하나의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와 다른 시스템의 전원제어시스템간의 공용전원 및 배터리들로의 연결을 크로스 제어하는 크로스 제어수단이 설비되고 전원제어장치들의 각각에 자기소유 장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수단을 설비하고 있다.
크로스제어수단을 선택된 하나의 시스템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절환되고, 공용전원유니트 및 부대배터리들이 2시스템에 공용으로 된다.
일실시예는 배터리테스트와 감시가 어드레스 설정수단에 의해서 자기소유 시스템의 어드레스를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만 행해진다.
본 발명은 적어도 메인전원유니트와 기능유니트를 더 설비하고, 전원절단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니트와 정전시에 전원을 백-업하는 배터리유니트가 각 드라이브모듈에 설비되고, 한편 기능유니트내에는 브레크다운 발생 등 이력을 기록하는 제1기억수단과 전원사용 상태의 로그를 얻는 제2기억수단을 설비하고 있다.
시스템의 전원이 절단되었을 때 메인전원 유니트는 정전으로 인하여 백-업 배터리가 사용된 것을 나타내는 백업신호와 배터리로 절환된 후에 최대 방전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전원이 자동적으로 절단됨을 나타내는 자동절단신호를 기능유니트로 송출한다.
다음에 메인전원 유니트로 부터 기능유니트로 절단요구신호가 송출되고, 기능유니트가 전원절단요구 신호를 수신할 때에 기능유니트는 전원절단을 위한 준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에 메인전원유니트로 전원절단신호를 송출한다. 기능유니트의 제2기억 수단은 백-업 신호와 자동절단신호를 전원절단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2기억수단은 다음 전원투입시에 앞서의 전원절단 등의 전원사용 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일실시예는 자동절단신호가 배터리의 최대 방전시간의 경과후에 전원이 자동적으로 절단된 사실을 통지할 때에 고레벨로 설정되고, 최대 방전시간의 경과전에 전원이 강제로 절단될 때에 저레벨로 설정된다.
일실시예는 제2기억수단은 제1기억수단의 메모리영역의 일부를 사용한다.
일실시예는 제1 및 제2 기억수단이 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은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보수패널에 설비되고,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보수작업시에 수동으로 조작되는 전원 ON/OFF 스위치는 상위의 장치로 부터의 전원제어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전원투입 및 절단을 행한다.
원격위치에서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이 가능한 쪽(REMOTE)과 개별적으로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이 가능한 쪽(OLCAL)간을 절환하는 R/L 스위치와, R/L 스위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자기디스크 장치의 보수작업시 중에 R/L 스위치는 LOCAL쪽으로 두어 전원 ON/OFF 스위치가 전원절단에 사용되고, 보수작업 후에는 R/L 스위치는 REMOTE로 두어 표시수단이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모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과 문제점들을 도면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7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일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은 투명상태의 로커장착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100은 자기디스크 장치의 로커이고, 예를들어 로커(100)에는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102)이 회로반(106)에 플러그 삽입되어 있다. 자기디스크 모듈들(102)은 모듈용 NFB108로 부터 사용전원 AC100V를 공급받아 자기디스크 모듈들(102)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DC±5V 및 DC±12V를 발생하는 AC-DC 콘버터를 내장하고 있다.
자기디스크 모듈들(102)은 착탈가능한 플러그 삽입방식에 의해서 회로반(106)에 부착되어 고장시에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원이 내장된 DC-DC 콘버터(104)로 공급되나 케이블 접속에 의해서 공급된다.
한편,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을 제어 하는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은 그들의 제어하에 8개의 유니트로 배치되어 있는 자기디스크 모듈들(102)을 갖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자기디스크 제어장치가 별개의 로커들에 수납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별개의 로커들의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로 전력을 공급하는 2개의 AC-DC콘버터들(112)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같이 로커(100)내에 설비되어 있다. 제어용 NFB114로 부터 AC100V의 공급을 받아 전술한 DC전압을 생성하여 전력케이블을 사용하여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로 공급한다. 여기서 도면에서 116은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102)을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보지복스이다.
한편 자기디스크 모듈들의 더욱 소형화나 더큰 밀도에 대한 강한 즉, 하나의 로커내에 함께 장착되는 유니트의 증가에 대한 강한 시장요구가 있다.
고밀도를 저해하는 인자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로커에 내장되고 있었던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를 자기디스크 모듈들과 같이 동일 로커내에 장착함으로써 더욱 소형화의 달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결과 전원 유니트로 부터 자기디스크 모듈들과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들의 양이 증가된다. 따라서 이것이 고밀도장착을 저해하는 인자로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보통 상용전원은 대형 컴퓨터시스템의 전원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과도한 전원설비가 설비된다. 이 전원설비들은 백-업 배터리들과 비상발전기를 갖는다. 대형 컴퓨터 자체에는 백-업 배터리가 설비되지 않는다. 또, 자기디스크장치의 로커내장형은 대형 컴퓨터시스템들의 서브시스템들로 사용된다. 따라서, 백-업 전원이 외부에 설비된다.
그러나 사무실등용으로 사용되는 중형 컴퓨터시스템들에는 대형 컴퓨터시스템들에서와 같은 외부전원이 설비되지 않고, 보통 상용전원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외부전원 설비에 의한 백-업이 불가능하다. 한편 최근에는 중형 컴퓨터시스템들에 있어서도 로커내장형 자기디스크 장치들이 대형 시스템들에서와 같이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자기디스크 장치들의 로커들내에 백-업 전원을 장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전원케이블의 양이 로커내에 배터리를 내장함으로 인해서 증가되고, 이것이 고밀도를 저해하는 인자로 된다.
요약하면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을 내장하고, 중형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써 사용되는 로커형 자기디스크 장치내에 백-업 배터리를 수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의 사용량이 증가되고 그것이 자기디스크 모듈들의 소형화에 수반되는 유니트수의 증가로 인해서 고밀도화를 저해하는 인자로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은 투명상태로 로커타일 자기디스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는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148-1~148-8)를 내장한 로커(150), AC 입력전압을 소정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자기디스크 모듈들(148)과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152)로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유니트(AC/DC 콘버터들)(112-1~112-4), 및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전원유니트(112-1,112-2)는 전원모반(160-1)에 접속되어 있고, 한편 2개의 전원유니트(112-3, 112-4)는 전원모반(160-2)내에 플러그 삽입되어 있다. 또, 모반들(160-1, 160-2)는 백-업 배터리유니트들(114-1, 114-2)에 접속되어 있다. 모반들(160-1, 160-2)의 한쪽에는 전원 유니트들(112-1~112-4)이 접속되어 있고, 다른한쪽에는 백-업 배터리유니트들(114-1~114-12)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 유니트(112)와 배터리유니트(114)는 착탈가능한 플러그삽입 방식으로 모반(160)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모반(160-1, 160-2)을 설비할 때에 그들간의 전원선들은 통상 공용전원에 접속되어 공용전원을 만든다.
또,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8)에는 전원유니트(112-1~112-4)로 부터의 DC입력전압을 전원공급용 소정 DC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콘버터들(116-1~116-4)이 설비되어 있다.
이들 자기디스크 모듈들(148), 전원유니트들(112), 모반들(160) 및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는 단일로커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자기디스크 모듈들(148)과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에는 DC 입력전압을 받아 그들 고유의 DC전압을 출력하는 DC/DC 콘버트들(116)이 설비되어 있다.
그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모반(160)에 의해서 복수의 전원유니트(112)이 접속됨으로써 전원유니트들(112)을 공용화하고, 따라서 전원을 중첩시킨다. 또 배터리유니트들(114)에 모반(160)이 접속되므로써 전원고장 또는 정전시에 전원을 백-업할 수 있다.
또, 전원유니트(112)는 배터리유니트들(114)과 같은 DC전원을 출력하므로, 동일 전원선들을 사용할 수 있어 케이블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동시에 고전압의 AC 전력을 공급하는데 비해서 저전압의 DC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낮은 절연저항의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어 케이블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 플러그 삽입방식으로 전원유니트들(112)을 접속함으로써 유니트들의 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삽입방식으로 배터리 유니트들(114)을 접속함으로써 유니트들의 수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와 자기디스크 모듈들(148)에 동일 입력전압을 공급하는 DC/DC 콘버터들(116)을 내장함으로써 전원유니트들(112)로 부터 단일 전력선으로 충분하고, 케이블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케이블 접속작업이 개선될 수 있다.
제1도에서 자기디스크장치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로커(150)가 이 예에서는 그안에 장착되어 8개의 자기디스크(148-~148-8)을 갖고 있다. 각각 4개씩 2열 배치되어 있다. 또, 제어모반(154)은 거기에 장착된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를 갖고 있다.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에는 후술하는 2개의 디렉터들(directors)과 공용캐슈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모반(154)의 반대쪽에는 DC/DC 콘버터들(116-1~116-4)이 장착되어 있다. DC/DC 콘버터들(116)의 양쪽에는 전원제어의 2개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어패널들(124-1, 124-2)이 설비되어 있다.
전원모반(160-1)에는 2개의 AC/DC 콘버터(112-1, 112-2)가 장착되어 있다. 또 전원모반(160-2)에는 2개의 AC/DC 콘버터(112-3, 112-4)가 장착되어 있다. 전원모반(160-1)의 반대쪽에는 5개의 유니트(114-1, 114-5~114-8)가 장착되어 있고, 한편 전원모반(160-2)의 반대쪽에는 5개의 배터리유니트(114-3, 114-7~114-12)가 장착되어 있다.
로커(150)의 저부에는 부레커 하우징 복수(134), 인터페이스 하우징복수(156) 및 AC 전력선인입복스(158)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로커장착 구성의 후부를 마찬가지로 투명상태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2도에는 후측에 있는 2개의 드라이브모반(162-1, 162-2)에 대해서 각각 장착된 4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4)을 나타내고 있고, 또 전원모반들(160-1, 160-2)의 후측에는 5개의 배터리유니트(114-1, 114-5~114-8)과 배터리유니트(114-9~114-1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전원모반들(160-1, 160-2)에는 AC-DC 콘버터들(112-1~112-4)과 배터리 유니트들(114-1~114-12)이 착탈가능하게 플러그 삽입구조로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제3도에서 136은 4개 채널들(138-1~138-4)을 갖는 채널프로세서이다.
자기디스크 장치의 로커에는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들로써 가능하는 디렉터들(118-1, 118-2)이 설비되어 있다. 이들은 BMC반들(142-1~142-4)에 의해서 BMC 인터페이스(block multiplexer channel interface)(140)을 거쳐서 채널들(138-1~138-4)에 접속되어 있다.
디렉터들(118-1, 118-2)에 대해서는 스트링 콘트롤러들(114-1, 114-2)가 설비되고, 스트링 콘트롤러(144-1, 144-2)로 부터 예를들면 디바이스인터페이스(146)에 의해서 각각 2시스템 합계 4시스템의 버스들을 인출하고 있다.
또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8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8)이 장착되어 있다. 나머지 자기디스크 모듈들(148-9~148-16)은 증설분으로써 별개의 로커에 장착되어 있다.
채널프로세서(136)은 서브시스템으로써 CPU와 주기억유니트(MSU)를 설비한 컴퓨터시스템 주기억제어장치(MSU)의 채널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의 전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회로의 블록도이다.
제4도의 제1전원제어유니트(180-1)와 제2전원제어 유니트(180-2)가 제1도의 자기디스크 제어장치(152)내에 설비되어 있다. 또 제1드라이브유니트(182-1)가 4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4)에 대응하여 설비되고,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가 자기디스크 모듈들(148-5~148-8)에 대응하여 설비되어 있다.
제1전원제어유니트(180-2)에는 파워콘트롤러(110-1)가 설비되어 다른 부품으로의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한다. 파워콘트롤러(110-1)는 상위 인터페이스(112-1)을 거쳐서 단자(128-1)에 의해서 예를들면 외부의 서비스프로세서(SVP)등에 접속되어 서비스프로세서가 전원투입지령을 발행하고 그것을 받았을 때에 장치 전체의 전원투입 제어를 개시한다.
또, 파워콘트롤러(110-1)에는 보수패널(124-1)이 설비되고 보수패널에는 파워콘트롤러(110-1)의 제어하에 수동으로 전원을 투입 및 절단하는 스위치와 전원유니트들의 아람상태를 나타내는 7세그멘트 표시기가 설비되어 있다.
파워콘트롤러(110-1)로 부터의 제어라인은 개별적으로, 디렉터(118-1), DC-DC 콘버터들(116-1, 116-2), AC-AC 콘버터(112-1) 및 배터리유니트들(114-1, 114-2)에 할당되어 있다. 파워콘트롤러(110-1)로부터 배터리유니트들(114-1, 114-2)로의 제어라인들은 인터페이스 콘트롤러(126-1)를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2전원제어유니트(180-2)쪽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드라이브유니트(182-1)에 설비된 배터리유니트들(114-5~114-8)과 DC-DC 콘버터들(116-5~116-8)은 파워콘트롤러들(110-1, 110-2)로 부터 2시스템의 제어라인이 주어져 있다.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에 설비된 배터리유니트들(114-9~114-12)과 DC-DC 콘버터들(116-9~116-12)은 파워콘트롤러들(110-1, 110-2)로부터 2시스템의 제어라인이 주어져 있다.
또,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에 설비된 AC-DC 콘버터들(112-3, 112-4)에도 파워콘트롤러들(110-1, 110-)로 부터 2시스템의 제어라인이 주어져 있다.
따라서 파워콘트롤러(110-1)는 제1드라이브유니트(182-1)에 설비된 유니트들과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에 설비된 AC-DC 콘버터(112-3)를 제어한다. 한편 파워콘트롤러(110-2)는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에 설비된 AC-DC 콘버터(112-3)이외의 유니트들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파워콘트롤러들(110-1, 110-2)에 의해서 제어되는 부품들은 사전에 결정되나 만약 어느 한쪽이 고장이면 정상적인 쪽이 모든 전원유니트를 그 제어하에 두어 그들에 대한 전원의 투입-절단을 제어하여 2중제어를 한다.
공용캐슈메모리(120)는 파워콘트롤럴(110-1, 110-2)에 의한 전원제어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전원시스템을 끌어내어 나타낸 회로의 블록도이다.
제5도에서 전원공급시스템은 전원제어유니트(152)와 제1 및 제2드라이브유니트들(182-1, 182-2)로 나누어져 있다.
전원제어유니트내의 전원공급시스템은 공용 캐슈메모리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설비되어 있다. 예를들면 공용 캐슈메모리(120)의 상부에서 보아 AC 입력단자(130-1)로 부터의 AC입력은 노이즈필터(112-1)와 브래커(134)를 거쳐서 AC-DC 콘버터(112-1)로 입력되어 예를들면 DC29V를 출력한다.
AC-DC 콘버터(112-1)는 파워콘트롤러(110-1)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시 동작상태화 할 수 있다. 또, AC-DC 콘버터(112-1)의 DC29V의 출력은 DC-DC 콘버터(116-1)에 의해서 예를들면 DC±5V 및 ±12V로 변환되어 디렉터(118-1)로 공급된다. 또, DC-DC 콘버터에서 마찬가지로 DC±5V 및 DC±12V로 변환되어 공용캐슈메모리(120)로 공급된다.
또, 공용캐슈메모리(120)의 하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AC 입력단자(130-2)로 부터 입력된 AC입력이 노이즈필터(132-2) 및 브레커(134-2)를 거쳐서 AC-DC 콘버터(112-2)에 의해서 DC29V로 변환되고 DC콘버터들(116-3, 116-2)에 의해서 소정의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디렉터(118-2) 및 공용캐슈메모리(120)로 공급한다.
또, AC-DC 콘버터(112-2)에 의해서 파워콘트롤러(110-2)로 공급된다.
AC-DC 콘버터들(112-1, 112-2)의 전원라인들에는 배터리유니트들(114-1∼114-4)가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유니트들(114-1∼114-4)은 정상상태에서 AC-DC 콘버터들(112-1, 112-2)로 부터 DC29V를 공급 받아 그들의 내장셀들을 충전상태로 하고 있다. AC전원이 정전 또는 순시적 단전에 의해서 절단되면 DC 콘버터들(116-1∼116-3)로 AC-DC 콘버터들(112-1, 112-2)와 같이 DC29V를 공급하여 디렉터들(118-1, 118-2) 및 공용캐슈메모리(120)를 백-업한다.
한편 드라이브유니트(182-1)에는 DC-DC 콘버트들(116-5∼116-8)이 설비되어 있다. 이들은 공통으로 전원제어유니트(152)에 설비된 2개의 AC-DC 콘버트(112-1, 112-2)로 부터 DC29V를 받아 대응하는 디스크인클로지들(136-1∼136-4)로 DC±5V 및 DC±12V를 공급한다. 여기서 DC-DC 콘버터들(116-5∼116-8) 및 디스크인클로저들(136-1∼136-4)은 제3도에 나타낸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4)에 내장되어 있다.
또, 제1드라이브유니트(182-1)에는 AC-DC 콘버트들(112-1, 112-2)로 부터의 전원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예를들면 AC입력의 정전 또는 순시단전시에 DC24V를 공급하여 콘버터들(116-5∼116-8)을 백-업하는 배터리유니트들(114-5∼114-8)이 설비되어 있다.
제2드라이브유니트(182-2)는 노이즈필터(132-3)과 2시스템으로 나누어진 브래커들(134-3, 134-4)을 거쳐서 AC-DC 콘버터들(112-3, 112-4)로 AC 입력단자(130-3)로 부터의 AC 입력을 공급한다. AC-DC 콘버터들(112-3, 112-4)은 AC100V를 DC29V로 변환하여 DC-DC 콘버터들(116-9∼116-12)로 공용전원으로써 공급한다. DC-DC 콘버터들(116-9∼116-2)는 디스크인클로저들(136-5∼136-8)로 DC±5V 및 DC±12V를 공급한다. 또, AC-DC 콘버터들(112-3, 112-4)의 출력라인들은 그들에게 공통으로 접속된 배터리유니트들(112-9∼112-12)를 갖고 있어 정전 또는 순시 단전시에 백-업을 제공한다.
또, 제1도 및 제2도의 장착구성에 있어서 제5도의 전원제어유니트(152)에 설비된 배터리유니트들(114-2∼114-4)은 장착되어 있지 않다. 이에는 나머지 10개의 배터리유니트를 장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장착구성을 꺼내어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5도에 나타낸 전원공급시스템의 회로의 블록도에 상당하는 제6도의 전개도이며, 모반들로의 유니트들의 접속상태와 모반들과 유니트들간의 케이블 접속상태를 명백히 하고 있다.
제6도에서 전원모반들(160-1, 160-2)에는 AC콘버터들(11-1, 112-3)과 AC콘버터들(112-2, 112-4)이 플러그 삽입되어 있다. 이 플러그 삽입상태는 유니트들에 부착된 코넥터들(66)을 모반들의 코넥터(164)에 삽입하여 실현된다.
전원모반들(160-1, 160-2)의 반대쪽면에는 배터리유니트들(114-1, 114-5∼114-8)과 배터리유니트들(114-3, 114-9∼114-12)이 코넥터들(164, 166)을 사용한 플러그 삽입구성에 의해서 플러그 삽입되어 있다.
또, 드라이브모반들(162-1, 162-2)에는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4)와 자기디스크 모듈들(148-5∼148-8)이 플러그 삽입되어 있고, 또 자기디스크 모듈들(148-1∼148)에는 DC-DC 콘버터들(116-5∼116-12)을 내장하고 있다.
또, 제어모반(54)에는 4개의 DC-DC 콘버터들(116-5∼116-12)이 플러그 삽입되어 있다.
전원모반들(160-1, 160-2)는 전원케이블들(170-1, 170-2)에 의해서 접속되어 제5도의 전원시스템에 나타낸 것과같이 전원이 공용된다. 또 전원모반(160-1)과 드라이브모반(162-1)은 전원케이블(172-2)에 의해서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전원모반(160-2)과 드라이브모반(162-2)는 전원케이블(172-2)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도 마찬가지로 제5도의 전원시스템에 의해서 나타낸 것과 같은 전원이 공급된다.
또, DC-DC 콘버터들(116-1, 116-2)과 전원콘버터들(116-6, 116-4)로는 전원모반들(160-1, 160-2)로 부터 개별적으로 전원케이블들(170-3, 170-4)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전원유니트들을 모반에 접속함으로써 전원케이블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전원유니트가 공용될 수 있어 전원케이블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장치내에 고밀도 장착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전원유니트들이 장착되는 모반의 뒤쪽면에 배터리유니트들을 장착함으로써 전원의 단전 또는 정전시에 백-업을 실현시킬 수 있고, 배터리유니트들이 마찬가지로 케이블에 의해서 접속될 필요가 없으므로, 고밀도의 장착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전원유니트들 및 배터리유니트들이 착탈가능하게 플러그삽입되는 구성으로 만듦으로서 자기디스크 모듈들의 추가 설치에 필요한 전원용량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자기디스크 제어장치 및 자기디스크 모듈들에 DC-DC 콘버터들을 설비하여 요구되는 DC전압으로의 변환을 행함으로써 모반들에 설비된 전원유니트들로 부터 공급되는 DC전압을 만들 수 있어 단일전원 케이블에 의한 접속으로 충분하므로 전원케이블들의 양을 더줄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시에 배터리에 의하여 백-업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 시스템과 그 문제점들을 설명하겠다.
제17도는 배터리유니트를 내장한 자기디스크 장치의 요부의 구성도이다.
제17도에서 212는 전원유니트로써 기능하는 AC-DC 콘버터이다. 이것은 AC100V를 입력하여 예를들어 DC29V로 변환한다. AC-DC 콘버터(212)로 부터의 전원이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로써 기능하는 디렉터(218)와 디렉터(218)의 제어하에 접속되는 자기디스크 모듈로 공급된다.
또, 디렉터(218)와 자기디스크 모듈(248)에는 그들에게 필요한 DC전압을 생성하는 DC-DC 콘버터들(216)을 대동하고 있다. 수개의 자기디스크 모듈들(248)이 실제로 설치되지만 설명의 간단화 목적으로 1개만 나타냈다.
AC-DC 콘버터(212)로 부터의 전원라인에는 배터리유니트(214)가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유니트(214)에는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를 검출하여 충전전류가 소정치 이하로 강하하면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가 설비되어 있다.
배터리유니트(214)는 AC-DC 콘버터로 부터의 DC29V로 충전된다. 배터리유니트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 정전이 발생하면 배터리용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보증된 백-업시간(T1)에 걸쳐서 전원공급을 보증할 수 있다.
파워콘트롤러(210)는 상위장치로 부터 지령을 받아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한다. 또 정전이 검출되면 디렉테(214)는 배터리유니트(218)에 의해서 보증되는 백-업 시간내에 자기디스크 모듈(248)의 I/O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AC-DC 콘버터(212) 및 DC-DC 콘버터들(216)의 동작을 정지하고 전원을 절단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백-업 기능이 설비된 자기디스크 장치에는 배터리유니트의 충전이 완료되기전 상태에 정전이 발생하면 잘못된 배터리유니트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정전으로 인해서 송출도어 전원 백-업시간이 보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완료시와 같은 백-업 처리가 행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제18도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8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아래에 설명하겠다. 배터리유니트(214)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고, 충전완료 신호가 L레벨인 시각(to)에 정전이 발생하면 전원 전압(Vcc)이 서서히 강하하기 시작한다. 충전전류가 소정치이하로 강하할 때에 배터리유니트(212)의 충전완료가 검출된다. 전원전압(Vcc)이 시각(to)에 정전과 함께 기준전압(Vref)으로 강하할 때에 충전전류 역시 소정치 이하로 강하한다. 그리하여 시각(t1)에 충전완료가 잘못 검출되어 파워콘트롤러(210)로의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H레벨로 된다.
다음에 시각(t1)에 파워콘트롤러(210)는 전원전압(Vcc)이 기준전압(Vref)이하로 강하됨으로써 정전을 검출한다.
파워콘트롤러(210)가 시각(t2)에 정전을 검출하면 그때에 얻은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리드하여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에 실제로는 충전미완료 이지만 충전완료통지 신호는 완료를 나타내는 H레벨에 있으므로 충전완료로 판정되어 보증된 전원 백-업시간(T1)에 걸쳐서 통상의 I/O처리를 계속시킨 후에 전원절단을 위한 I/O처리의 종료를 지시하고 응답을 기다려 전원을 절단한다.
그러나 배터리유니트(214)는 충전부족이고, 전원 백-업시간(T1)중에 배터리유니트(214)로 부터의 전원전압이 디렉터(218)와 자기디스크모듈(248)의 동작레벨 이하로 강하하므로, 서브시스템이 정지하고, 따라서 컴퓨터시스템이 이상 종료되거나 데이타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행해지고 그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완료전에 정전이 발생해도 시스템의 이상 종료 또는 데이타 파괴없이 전원을 적절히 절단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시에 배터리에 의한 백-업의 기본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자기디스크 장치에는 자기디스크 제어장치(디렉터)(218)의 제어하에 접속되는 자기디스크 모듈(248), 외부전원으로 부터의 입력전압을 수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자기디스크 모듈(248)로 공급하는 전원유니트(AC-DC 콘버터)(212), 정전시에 전원유니트(212)와 같은 DC전압을 정전과 동시에 자기디스크 모듈(248)로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214) 및 전원유니트(212)와 자기디스크 모듈(248)오의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파워콘트롤러)(210)이 설비되어 있다.
이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배터리유니트(214)에 내장된 셀의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전류가 소정치 이하로 강하될 때에 충전완료통지신호를 전원제어수단(210)으로 출력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충전완료 검출수단(2112)이 설비되어 있고, 또, 전원제어수단(210)에는 정전 검출시에 충전완료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충전 완료 검출신호를 무효화하는 충전완료 무효화수단이 설비되어 정전검출시에 충전완료전에 발생한 정전으로 인하여 충전전류가 강하하면서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될 때에 충전이 미완료임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충전완료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전원제어수단(210)으로 공급하는 지연수단(카운터)이 설비되어 배터리유니트(214)의 충전완료전에 정전 발생으로 인한 충전완료의 강하로 인해서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될 때에 정전검출 시간후 전원제어수단(210)에 의해서 지연수단(286)에 의해서 생긴 지연으로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정전 검출시에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음을 검출 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이 지연수단(286) 대신에 일정주기마다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리드하여 보지하고, 정전 검출시에는 소정시간 전에 검출되어 있는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독출하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충전완료 판정수단을 전원제어수단(210)에 설비해도 좋다.
충전완료 판정수단을 사용하여 정전 검출시에 배터리유니트(214)의 충전완료전의 정전으로 인한 충전완료 통지신호 출력시에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제어수단(210)은 정전검출타이밍에 충전이 완료된 것을 판정한 경우에 자기디스크 제어수단(218)에 소정 백-업시간(T1)이 경과된 후에 자기디스크 모듈(248)을 절단하라는 지령을 하여 자기디스크 제어수단(218)으로 부터 절단허가 응답을 전원유니트(212)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또,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되지 않음을 판정한 경우에는 소정 백-업시간(T1)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자기디스크 제어수단(218)에 자기디스크 모듈(248)을 절단할 것을 지시하고, 자기디스크 제어수단(218)으로 부터의 절단허가 응답을 받았을 때에 전원유니트(212)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한다.
그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유니트(214)의 충전완료전에 정전이 발생되어 정전에 수반되는 충전전류 강하로 인한 잘못된 충전완료가 검출되고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출력되어도 지연수단(286)에 의해서 소정시간 지연된 후에 전원제어수단(210)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전원제어수단(210)에 의해서 정전이 검출되고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송출되어도 이시간에 아직 충전이 완료되지 않음을 충전완료 통지신호가 나타낸다. 따라서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고, 정전검출시에 실제의 충전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소정 백-업시간(T1)에 걸쳐 통상의 I/O동작을 계속하지 않고, 즉시 자기디스크 제어수단(218)으로 자기디스크 모듈(248)의 절단을 지시한다. 따라서 자기디스크 모듈(248)에 의한 새로운 I/O 요구의 수신이 금지된다. 현재 처리중의 I/O 처리가 종료되면 절단을 행하여 전원제어수단(210)으로 절단허가가 통지된다.
이 절단허가 응답에 따라서 전원제어수단(210)은 자기디스크 모듈로의 전원공급을 절단하여 서브시스템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정전으로 인하여 잘못된 충전완료신호가 송출되어도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 I/O 처리가 즉시 종료되고, 전원이 절단된다. 따라서 정전시에 시스템의 이상 종료와 데이타의 파괴를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제9도는 제4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내의 전원시스템 및 제어시스템을 파워콘트롤러쪽을 거내어 나타내고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AC-DC 콘버터(212-1)(112-1), DC-DC 콘버터(216-5), (116-5) 및 배터리유니트(214-5), (114-5)만 꺼내어 나타내고 있다.
제9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60)가 파워콘트롤러(210-1)내에 설비되어 있다. 정전시에 통상의 I/O 처리를 보증하는 백-업시간(T1)을 측정하는 제1타이머(275-1)와 백-업시간(T1)경과후의 절단처리시간(T2)을 감시하는 제2타이머(275-2)를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서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60)로 부터의 내부버스(262)에서 RAM(264), ROM(266) 다른 파워콘트롤러(210-2)에 대한 인터페이스유니트(268) 디렉터(218-1)에 대한 디렉터 인터페이스유니트(210), 보수패널(224-1)에 대한 패널 인터페이스유니트(272), 호스트컴퓨터의 서비스프로세서에 대한 호스트 인터페이스유니트(274), 자기디스크 모듈(248-1)에 대한 디스크 인터페이스유니트(276), AC-DC 콘버터(212-1) 및 DC-DC콘버터(216-5)에 대한 콘버터 인터페이스유니트(278) 및 배터리유니트(214-5)에 대한 배터리 인터페이스유니트(248)를 설비하고 있다.
배터리 인터페이스유니트(284)로 부터 충전제어신호(E1) 및 재터리 테스트신호(E2)가 출력된다. 또 배터리유니트(214-5)로 부터 충전완료통지신호(E2) 및 배터리이상통지신호(E4)가 출력된다.
여기서 배터리유니트(214-5)로 부터의 충전완료통지신호(E1)는 지연수단으로 사용되는 카운터(286)에 입력된다. 입력시부터 계수동작이 개시된다. 소정시간 후에 지연된 충전완료 통지신호(E30)가 배터리인터페이스유니트(284)로 출력한다.
제10도는 제9도의 배터리유니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0도에서 정 및 부의 단자들(288-1, 288-2)은 DC 콘버터(212-1)로 부터 전원라인에 접속되어 있어 DC29V를 공급받는다. 입력된 DC29V는 충전전류검출회로(290)를 안정화회로(292), 다이오드(294) 및 브레커(296)를 거쳐서 배터리(298)로 공급되어 배터리(298)가 충전된다.
안정화회로(292)는 배터리(298)로의 충전전류를 일정하게 보지하여 충전개시시의 러슈전류를 억제한다. 충전전류 검출회로(290)는 배터리(298)로의 충전전류를 검출한다. 더구체적으로는 충전전류를 저항을 통과시킴으로써 충전전류에 대응한 전압을 검출한다.
충전전류검출회로(290)의 검출신호는 충전완료 검출회로(2112)로 주어져 충전전류에 대응한 검출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Vref)와 비교하고, 검출전압이 기분전압(Vref)이하가 되었을 때에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인터페이스회로(2110)로 부터 충전완료 통지신호(E3)을 출력한다.
충전전류 검출회로(290), 안전화회로(292) 및 다이오드(294)의 직렬회로들에 병렬로 배터리(298)로 부터 방전제어스위치(2100)가 다이오드(2102)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접속된다. 충전제어스위치(2100)는 인터페이스회로(210)를 위한 방전제어신호(E1)를 받아 ON시켜 배터리(298)의 정측을 다이오드(2102)를 거쳐서 외부전원라인에 접속한다.
따라서 방전제어스위치(2100)가 페로되면 AC-DC콘버터(212)로 부터의 DC29V가 정전으로 인해서 절단되어도 배터리에 충전된 DC29V가 브레커(296), 방전제어스위치(2100) 및 다이오드 (2102)를 거쳐서 외부로 공급된다.
또, 테스트스위치(2104)와 방전저항들(2106, 2108)이 배터리(298)와 병렬로 직렬접속되어 있다. 테스트스위치(2104)를 거쳐서 테스트신호(E2)가 주어져 테스트스위치(2104)가 ON되어 방전전류가 배터리(298)로 부터 방전저항들(2106, 2108)로 흘러 배터리(298)의 방전테스트가 행해진다. 또 방전테스트시에 방전제어스위치(2100)는 OFF로 된다.
방전테스트에 있어서, 배터리(298)가 이상이면 소정시간 방전전류가 방전저항들(2106, 2108)을 통과할 때에 배터리의 전압을 상당히 강하한다. 이 배터리(298)의 전압은 방전저항들(2106, 2108)의 분압전압으로써 배터리 이상 검출회로(2114)으로 입력된다. 방전테스트시에 소정전압 이하로 검출된 전압이 강하하면 배터리이상 검출회로(2114)는 배터리가 이상인 것을 검출하여 배터리이상통지신호(E4)를 출력한다.
제11도는 파워콘트롤러(210-1)에 있어서 배터리유니트(214-5)의 충전완료전에 정전발생시의 충전완료통지신호와 파워콘트롤러(210-1)에 있어서의 정전검출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11도에서 배터리유니트(214-5)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카운터(286)을 거쳐서 얻어진 충전완료통지신호(E30)이 L레벨상태에 있는 시각(to)에 정전이 발생했다하면 제10도에 나타낸 배터리유니트(214-5)에 있어서는 배터리(298)의 충전도중에 정전으로 인해서 입력되는 DC 전압이 강하하므로 충전전류가 강하하고, 충전전류검출회로(290)에 의해서 검출되는 전압이 강하한다. 충전전류의 검출된 전압이 기준전압(Vref)이하로 강하하면 충전완료검출회로(2112)는 정전으로 인한 검출전압의 강하에 상관없이 정상으로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인터페이스회로(2110)를 거쳐서 충전완료통지신호(E3)를 출력한다.
그러나 배터리유니트(214-5)로 부터의 충전완료통지신호(E3)는 카운터(286)로 입력된다. 카운터(286)에서 일정시간 예를들면 제11도에 있어서 시각(to)에 정전이 발생하여 파워콘트롤러(210-1)에 의해서 정전이 검출된 시각(t2)까지의 시간을 초과하는 일정시간(△T)만큼 지연시킨 후에 파워콘트롤러(210-1)의 배터리 인터페이스유니트(284)로 입력된다.
이 때문에 시각(t2)에 파워콘트롤러(210-1)에 설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260)가 콘버터 인터페이스유니티(279)를 거쳐서 AC-DC 콘버터(212-1)의 DC출력전압이 기준전압(Vref)이하로 강하될 때에 검출되어도 이 정전검출시에는 충전완료통지신호(E30)는 충전이 완료되지 않음을 나타낸 L레벨이므로 배터리유니트(214-5)의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음을 판정할 수 있다.
충전미완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충전완료상태로 보증되어 있는 백-업시간(T1)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디렉터로 자기디스크 모듈의 절단을 지시하고, 디렉터(218-1)는 새로운 I/O요구의 접수를 금지하고, 또 이미 접수한 I/O처리의 완료를 기다려 자기디스크 모듈을 절단하여 절단허가 응답을 들여 보낸다. 이 응답을 받으면 파워콘트롤러(210-1)는 AC-DC 콘버트(212-1)와 DC-DC 콘버터(216-5)의 동작을 정지하고, 디렉터(218-1)과 자기디스크 모듈(248-1)의 전원을 절단한다.
또, 제9도의 실시예에서 자기디스크 모듈(248-1)의 DC-DC 콘버터(216-5)와 배터리유니트(214-5)의 예로 들었으나 파워콘트롤러(210-1)의 제어하의 다른 자기디스크 모듈(248-2, 248)에 대해서도 동일 처리를 행하여 디렉터(218-1)에 대해서도 전원절단을 행한다.
또, 파워콘트롤러(210-1)와 마찬가지로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다른 시스템의 파워콘트롤러(110-2)도 똑같다.
제12도는 제9도에 나타낸 파워콘트롤러(210-1)에 설비된 프로세서(260)에 의한 전원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12도에서 먼저 스텝 S1에서 서비스프로세서 또는 기타상위 장치로 부터 시스템 전원에 대한 투입명령이 있다고 판정하면 스텝 S2에서 계수치(n)를 n=1로 세트하고, 4대의 자기디스크 모듈(248-1∼248-4)에 설비된 4대의 DC-DC 콘버터중의 최초의 1대의 파워 ON을 지시하고, 스텝 4에서 계수치(n)가 n=4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4미만이면 스텝 S5에서 1을 증분하고, 스텝 S3의 파워 ON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서 파워콘트롤러(210-1)의 제어하의 4대의 DC-DC 콘버터가 연속적으로 가동된다.
다음에 스텝 S6에서 n=1로 하고, 이어서 스텝 S7에서 N=1로 지정되는 첫번째 배터리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면 스텝 S8에서 스텝 S6에서 n=1로 한 첫번째 배터리유니트에 파워 ON를 지시한다. 이 파워 ON 지시에 의해서 방전제어신호(E1)가 대응하는 배터리유니트로 보내진다. 제10도에 배터리유니트가 방전가능 상태로 들어간다.
이런후에 스텝 S10, 스텝 S7 및 스텝 S8의 처리가 4번째 배터리유니트가 스텝 S9에서 ON되도록 까지 반복된다.
또, 스텝 S7에서 배터리가 미장착미면 스텝 S16으로 진행하여 예를들면 알람처리를 행하여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스텝 S9 까지의 처리에 의해서 4대의 배터리유니트의 파워 ON이 종료되면 스텝 S11에서 배터리 테스트 주기를 결정하는 타이머를 가동한다. 그 다음에 스텝 S12에서 배터리테스트주기를 결정하는 타이머의 타임업의 유무를 판별하고, 타임업전이면 스텝 S14의 정전감시 처리가 타임업시까지 반복된다.
스텝 S12에서 타임없이 판별되면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배터리테스트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3에서의 배터리테스트처리는 제10도의 배터리유니트에 설비되어 있는테스트스위치(2104)가 ON 되는 동시에 방전제어스위치(2100)를 OFF하고, 방전전류가 소정시간 배터리(298)로 부터 방전저항들(2106, 2108)의 분압전압을 배터리이상 검출회로(2114)에 의해서 판정하고, 소정전압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298)가 인상인 것으로, 판정하여 인터페이스회로(2110)로 부터 배터리 이상 통지신호(E4)가 파워콘트롤러(210-1)로 송출된다.
스텝 S14에서 정전감시처리는 제9도의 서브루틴에 나타낸 처리로 되어 있다.
제13도의 플로우차트에서 먼저 스텝 S1에서 파워콘트롤러(210-1)가 정전을 검출하면 스텝 S2로 진행하고, 이때에 카운터(286)으로 부터 얻어진 충전완료 통지신호(E30)를 리드하여 스텝 S3에서 충전완료를 판정한다. 충전완료면루틴은 스텝 S4로 진행하여 백-업시간(T1)을 계수하는 제1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5에서 상위 장치로 부터 절단요구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스텝 S6에서 제1타이머의 타임업을 체크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도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위시스템이 정전을 검출하고, 소정시간 서브시스템에 대해서 I/O 요구가 계속된 후에 절단요구를 하므로, 이 경우에는 백-업시간(T2)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스텝 S7로 진행하여 디렉터(218-1)로 절단요구를 송출한다.
또, 상위장치로 부터 절단 요구지시가 없어서 스텝 S6에서 제1타이머의 기동에 의한 백-업시간(T2)의 경과에 의한 타임업을 판정하면 스텝 S7로 진행하여 디렉터(218-1)에 대해서 절단요구를 한다. 이어서 스텝 S8에서 절단요구에 대한 처리시간(T2)를 감시하는 제2타이머를 기동한다.
절단요구를 받은 디렉터(218-1)는 새로운 I/O 요구의 접수를 금지하고, 자기디스크 모듈에 대해서 현재 접수중의 I/O 처리를 종료시킨다. 자기디스크 모듈에의 I/O처리가 종료되면 디렉터(218-1)는 자기디스크 모듈을 절리하고, 전원절단 상태를 만듦으로 절단허가가 파워콘트롤러(210-1)로 응답한다.
스텝 S9에서 디렉터(218-1)로 부터의 절단허가가 응답됨을 판정하면 스텝 S11로 진행하고, 그 제어하에 있는 AC-DC 콘버터 및 DC-DC 콘버터의 동작을 정지하여 전원절단을 행한다.
또, 스텝 S9에서 디렉터(218-1)에 의해서 절단허가 응답이 없었을 경우에는 자기디스크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스텝 S10에서 제2타이머의 설정시간(T2)의 타임업을 기다려 스텝 S11에의 전원절단을 행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유니트(214-5)로 부터의 충전완료 통지신호(E3)를 카운트(286)를 통과시킴으로써 지연시켰으나 제14도의 실시예의 있어서는 카운터(286)를 제거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60)에서 정전검출시에 소정시간 이상전에 리드하여 보지하고, 있었던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체크하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파워콘트롤러(2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260)는 제16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소정의 주기마다 배터리(214-5)로 부터의 충전완료통지신호(E30)을 리드하여 RAM(264)에 복수주기분 보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시각(To)에 정전이 발생되면 정전에 의한 전원전압(Vcc)의 강하로 시각 (T1)에 배터리유니트(214-5)로 부터 충전전류가 규정치 이하로 강하한 것에 따라서 충전완료신호(E3)가 H레벨로 된다.
다음에 전원전압(Vcc)가 기준전압(Vref2)이하로 강하하면 파워콘트롤러(210-1)는 정전된 것을 검출한다.
이때의 충전완료 통지신호(E3)는 화살표(2118)로 나타낸 타이밍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H레벨로 되어 충전완료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정시간전에 예를들면 화살표(2116)로 나타낸 전회에 검출된 충전완료 통지신호(E3)를 독출하여 판단함으로써 충전완료 통지신호(E3)가 L레벨이고,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16도는 제14도의 파워콘트롤러에 설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정전감시 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에서 정전이 검출되면 소정시간 이상이전에 RAM(64)에 보지되어 있었던 충전완료 통지신호를 리드하여 스텝 S3에서 충전완료로 판정되어 제1타이머의 기동에 의한 백-업시간(T1)을 기다리지 않고 스텝 S7로 진행하여 즉시 디렉터(218-1)에 절단요구를 행하여 디렉터(218-1)로 부터의 절단허가의 응답을 기다려 전원절단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전에 대한 백-업 제어에 의하면 정전시에 배터리유니트로 부터 충전완료 신호가 잘못 송출되어도 파워콘트롤러 쪽에서 정확하게 배터리유니트의 충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상태에 알맞는 백-업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정전시의 시스템의 이상 종료나 데이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원투입을 정지할 때의 백-업 제어를 설명하겠다.
제22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 서브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자기디스크 장치(3120)는 호스트컴퓨터등의 상위장치(3110)에 설비되어 있다. 이 자기디스크 장치(3120)에는 디렉터등의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와 자기디스크 모듈(348)에 설비되어 있다. 통상 수개의 자기디스크 모듈(348)이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로 부터의 경로에 접속되어 있다.
제23도는 종래의 전원 백-업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대용량 배터리장치(3150)가 컴퓨터센터(3130)에 설비된 상위장치(3110) 및 자기디스크 장치(3120)와 전원배전설비(3140)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어 전원공급이 정지시에도 시스템에 배터리장치(3150)로 부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그와같은 종래의 백-업 시스템에 있어서는 컴퓨터시스템의 장치와 독립된 대용량의 배터리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여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교류전원을 백-업하는데 원가면에서도 불리했다.
또, 배터리장치와 시스템측의 장치들은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양장치간의 긴밀한 인터페이스를 취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효율이 좋은 백-업시스템을 얻을 수 없었다.
즉, 배터리장치와 시스템쪽의 장치들간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시스템이 백-업을 요구되지 않은 상태에 상관없이 백-업 동작이 계속되거나 배터리장치가 그 백-업 한계에 도달됨에 상관없이 시스템 동작이 계속되었다.
이들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디스크 장치 자체에 백-업 배터리를 내장하여 장치들로의 전원입력의 정지시에도 I/O동작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나, 이 백-업 동작을 실싱하는데 있어서 다음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1) 자기디스크 장치가 정전을 검출한 후, 상위장치 측에서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가능한 한 백-업을 속행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 신속하게 백-업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2) 자기디스크 장치만 정전을 검출한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백-업 동작은 속해되는 동시에 허용치 이상의 정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자기디스크 장치가 상위장치로 부터 이미받은 I/O 처리는 완료시키는 동시에 자기디스크상의 기입중의 데이타를 도중에 중단함이 없이 최후까지 기입할 필요가 있다.
(3) 자기디스크 장치가 정전을 검출한 후, 자기디스크 장치 측에서 어떤 이상이 발생되어 I/O 처리가 완료불가하더라도 백-업 시간이 배터리의 허용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배터리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업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4) 자기디스크 장치가 정전을 검출한 후, 백-업 동작중에 입력전원이 복구된 경우에는 백-업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장치 동작을 속행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자기디스크 장치 자체에 배터리유니트를 설비한 경우에 전원입력 정지시에 적절한 백-업제어가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백-업 제어의 기본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외부전원을 입력하여 소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유니트 (AC-DC 콘버터)(312)와 전원유니트(312)의 DC전압으로 충전되고, 정전시에 DC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유니트(312), 메인 전원유니트(300)로 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동작하는 자기디스크 모듈(348), 메인 전원유니트(300)으로 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자기디스크 모듈(348)을 제어하는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디렉토리)(318) 및 자기디스크 모듈(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로의 전원유니트(300)으로 부터의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파워콘트롤러)(310)가 설비된 자기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전원제어유니트(310)에는 외부전원의 정지를 검출하는 정전검출수단(3102), 정전검출수단(3102)에 의한 정전검출시에 기동하여 전원입력의 정지시간을 감시하여 소정의 백-업시간(T1)에 도달된 때에 타이머 출력을 발생하는 제1타이머(3104), 및 제1타이머(3104)의 타이머 출력전에 상위장치로 부터 전원절단지시를 받은 경우에는 이 절단지시에 따라서 자기디스크 유니트(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부(318)의 전원절단처리를 실행하는 백-업 제어수단(3100)이 설비되어 있다.
여기서 백-업 제어부(3100)에 의한 자기디스크 유니트(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부(318)의 전원절단처리로서는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에 전원절단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자기디스크 유니트(348)의 I/O 동작을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로 부터 I/O 동작종료에 따른 절단허가 통지신호를 받았을 때에 자기디스크 유니트(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의 전원을 절단한다.
더 상세하게는 전원제어유니트(310)에는 백-업 제어유니트(3100)로 부터 자기디스크 유니트(318)로 전원절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기동하고, 자기디스크 유니트(348)의 I/O 동작의 종료를 감시하여 소정시간(T2)에 도달했을 때에 타이머출력을 발생하는 제2타이머(3106)가 설비되어 있다. 백-업 제어수단(3100)은 제2타이머(3106)의 타이머출력전에 자기디스크 제어장치(318)로 부터 전원절단 허가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이 허가통지에 따라서 자기디스크 유티트(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의 전원을 절단한다. 또, 자기디스크 제어장치(318)로 부터 전원절단 허가통지를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타이머(3106)의 타이머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 자기디스크 유니트(348)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의 전원을 절단한다.
백-업 제어수단(3100)은 정전검출후에 전원입력의 복구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1타이머(3104)를 클레어시킴으로써 백-업 동작을 정지하여 장치동작을 속행한다.
또, 제2타이머(3106)의 기동후에 전원입력의 복구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2타이머(3106)를 클레어시키는 동시에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로 부터의 전원절단 허가통지에 따른 절단동작을 금지하여 장치 동작을 속행한다.
이와같이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다음 작용들(1)∼(4)이 얻어진다.
(1)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제어유니트(310)는 정전검출수단(3102)에서 전원입력의 정지를 검출한 경우에 배터리 유니트(314)에 의한 내부전원공급을 개시한다. 그리고 자기디스크 제어부(318) 및 자기디스크 유니트(348)은 상위장치와의 I/O동작을 속행한다.
상위장치도 어떤 수단에 의해서 정전검출을 행하면서 I/O처리를 속행하고 있고, 전원정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소정치에 도달한 경우에 실행할 I/O처리를 완료하고,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해서 전원제어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전원절단을 지시한다.
전원절단을 지시받은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제어유니트(310)는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 및 자기디스크 유니트(348)로의 전원을 절단하여 배터리유니트(314)에 의한 백-업 동작을 정지한다.
(2) 자기디스크 장치만이 전원입력의 정지를 검출하고, 상위장치로 부터의 전원절단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제어 유니트(310)는 정전 검출시에 제1타이머(3102)를 기동하여 백-업 시간을 감시하고, 백-업시간이 어느시간(T1)을 초과한 시점에 자기디스크 제어부(318)에 대해서 전원절단의 요구를 한다.
전원절단 요구를 받은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318)는 상위장치로 부터의 새로운 I/O처리를 완료시켜 전원제어유니트(310)에 대해서 전원절단 허가응답을 한다.
전원절단허가를 받은 전원제어유니트(310)는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크(318) 및 자기디스크 유니트(348)로의 전원공급을 절단하여 배터리유니트(314)에 의한 백-업동작을 정지한다.
(3) 전원제어유니트(310)가 자기디스크 제어장치(318)에 전원절단 요구를 행하였으나, 자기디스크 모듈(348)의 어떤 이상으로 인하여 I/O동작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또는 전원절단허가를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원제어부(310)는 절단요구시에 기동한 제2타이머(3106)에 의해서 응답시간을 감시하여 전원절단 요구의 발행시로 부터 어느시간(T2)을 초과한 시점에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크(318) 및 자기디스크 유니트(348)에 대한 전원공급을 강제적으로 절단한다.
(4) 자기디스크 장치의 전원제어유니트(310)는 배터리유니트(314)에 의한 백-업 동작의 실시중에 상위장치로 부터의 전원절단지시전 또는 제1타이머가 소정시간(T1)을 초과하기전에 정전검출수단(3102)에서 전원입력외 복구를 검출한 경우에 제1타이머(3104)를 클레어하여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장치 동작을 속행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를 사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제20도에 있어서 전원제어수단으로 작용하는 파워콘트롤러(310-1)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360)가 설비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60)에는 백-업제어유니트(3100), 정전검출유니트(3102), 제1타이머(3104), 및 제2타이머(3106)가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게 설비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60)으로 부터 인출된 내부버스(362)에 RAM(364), ROM(366), 다른 파워콘트롤러(310-2)에 대한 인터페이스유니트,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로 작용하는 디렉터(318-1)에 대한 디렉터인터페이스유니트(370), 보스패널(324-1)에 대한 패닐인터페이스유니트(372), 서비스프로세서(SVP)등의 상위장치에 대한 호스트인터페이스(374), 자기디스크 모듈(348-1)에 대한 디스크인터페이스(376), AC-DC 콘버터(312-1) 및 DC-DC 콘버터(316-5)에 대한 콘버터인터페이스유니트(378) 및 배터리유니트(314-5)에 대한 배터리인터페이스유니트(384)가 접속되어 있다.
백-업제어유니트(3100)에 의한 정전시의 백-업제어는 파워콘트롤러(3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60)의 기능으로써 제21도이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백-업제어를 제21도의 플로우챠트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1) 호스트 장치로 부터 전원절단지시를 받은 경우
본 발명의 자기디스크 장치에 대한 AC입력이 정지되면 콘버터인터페이스유니트(378)를 거쳐서 취해진 전원전압이 규정전압으로 강하했을 때에 마이크로프로세서(360)에 설비된 정전검출유니트(3102)에서 제21도의 스텝 S1에 나타낸 것과같이 정전검출이 행해진다.
여기서 AC 입력이 정지된 경우에 그때까지 AC-DC 콘버터(312-1)로 부터의 DC29V를 받아서 충전상태에 있었던 배터리유니트(314-5)로 부터 같은 DC29V가 출력되어 백-업 상태로 된다.
스텝 S1에서 정전검출이 행해지면 스텝 S2에서 제1타이머(3104)를 기동하여 정전검출시로 부터의 경과시간이 배터리유니크(314-5)의 용량에 따라서 보증된 소정의 백-업시간(T1)에 도달되었는지를 감시한다.
한편 자기디스크 장치의 정전과 동시에 상위장치측에 있어서도 정전이 생겼던 경우에는 상위장치에 있어서도 어떤 수단에 의해서 정전검출을 행하는 동시에 I/O 처리를 속행하고, 전원정지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실행할 I/O 처리를 완료하고, 자기디스크 장치의 파워콘트롤러(310-1)에 대해서 호스트인터페이스유니트(374)를 거쳐서 전원절단을 지시한다.
이 상위장치로 부터의 전원절단의 요구의 지시는 제21도의 스텝 S3에서 판별되고, 절단요구를 받으면 프로세서(360)의 백-업제어부(3100)은 스텝 S5로 진행하여 디렉터(318)로 전원절단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절단요구를 하고 동시에 스텝 S6에서 제2타이머(3106)를 가동한다.
파워콘트롤러(310-1)로 부터 전원절단요구를 받은 디렉터(318-1)에 있어서는 상위장치로 부터의 새로운 I/O 처리의 접수를 정지하고, 또 그 시점까지 접수되었던 I/O 처리의 자기디스크 모듈(348-1)에 있어서의 처리를 완료시켜 자기디스크 모듈(348-1)로 부터 완료통지를 받으면 파워콘트롤러(310-1)의 디렉터 인터페이스유니트(370)를 거쳐서 프로세서(360)의 백-업제어부(3100)에 전원절단의 허가를 응답통지한다.
이 디렉터(318-1)로 부터의 허가응답은 스텝 S7에서 판별되어 스텝 S9로 진행하고, 콘버터인터페이스유니트(378)를 거쳐서 AC-DC 콘버터(312-1) 및 자기디스크 모듈(348-1)에 내장하고 있는 DC-DC 콘버터(316-5)의 동작을 정지하여 전원공급을 절단한다.
(2) 자기디스크 장치 쪽에만 정전이 발생한 경우
이 경우에는 상위장치로 부터 전원절단 요구의 지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텝 S1에서 정전검출이 행해지면 스텝 S2에서 제1타이머(3104)를 기동하고, 소정의 백-업시간(T1)에 도달하여 타임업한 것을 스텝 S4에서 판별하면 스텝 S5로 진행하여 디렉터(318-1)에 전원절단 요구를 행하여 상위장치로 부터의 새로운 I/O 처리의 접수를 정지하는 동시에 그때까지 접수되어 있었던 I/O 처리의 자기디스크 모듈(348-1)에 있어서의 처리를 완료시킨다.
또, 스텝 S5의 디렉터(318-1)에 대한 절단요구에 이어서 스텝 S6에서 제2타이머(3106)를 기동한다.
디렉터(318-1)쪽에서 정상으로 I/O 처리가 완료되면 파워콘트롤러(310)에 대해서 디렉터(318-1)로 부터 전원절단의 허가응답이 행해지고, 이 허가응답을 스텝 S7에서 판별하면 스텝 S9에서 AC-DC 콘버터(312-1) 및 DC-DC 콘버터(316-5)의 동작을 정지하고 전원을 절단한다.
(3) 파워콘트롤러(310)로 부터 디렉터(318-1)로 전원절단 요구를 행하였으나, 이상으로 인하여 I/O 동작이 완료하지 않던지 또는 전원절단의 허가응답을 할 수 없었던 경우
상기 (1) 및 (2)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스텝 S5에서 디렉터(318-1)에 대해서 전원절단요구를 행하였으나 디렉터(318-1) 또는 자기디스크 모듈(348-1)의 어떤 이상으로 인하여 I/O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나 I/O 동작이 완료해도 전원절단의 허가응답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스텝 S6에서 기동한 제2타이머(3106)에 의해서 디렉터(318-1)에 대해서 해안 전원절단요구에 대한 허가응답시간을 감시하여 소정시간(T2)에 도달하여 타임업 한 것을 스텝 S8에서 판별하면 디렉터(318-1)로 부터의 절단허가 응답이 없어도 스텝 S9로 진행하여 콘버터의 동작을 정지하여 전원을 절단한다.
(4) 정전후에 전원입력이 복구된 경우
자기디스크 장치의 파워콘트롤러(310)에 있어서 정전검출에 의해서 상기(1) 또는 (2)에 나타낸 것과같이 백-업동작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전원절단 요구지시를 받기 전에 또는 정전검출로 기동한 제1타이머(3104)가 소정 시간의 백-업시간(T1)에 도달하기 전에 정전검출유니트(3102)에 있어서 전원입력이 복구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1타이머를 클레어하여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강제적으로 백-업제어유니트(3100)에 의한 백-업 제어를 중단시켜 자기디스크 장치를 계속적으로 동작시킨다.
또, 스텝 S5에서 디렉터(318-1)에 대해서 절단요구를 행하고, 또 스텝 S6에서 제2타이머(3106)를 기동한후에 디렉터(318-1)로 부터의 전원절단의 허가응답을 받기 전에 또는 제2타이머(3104)가 소정시가(T2)에 도달하기 전에 정전검출유니트(3102)에서 전원입력의 복구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2타이머(3106)를 클리어 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그후에 디렉터(318-1)로 부터의 전원절단의 허가응답을 받아도 콘버터 동작을 하지 않고 정지 동작을 속행시킨다.
이와 같은 전원복구 검출에 따른 백-업 동작의 정지처리는 제21도의 플로우차트에 대한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실행된다.
제20도의 실시예는 제어부하로써 AC-DC 콘버터(312-1), DC-DC 콘버터(316-5) 및 배터리유니트(214-5)를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지만 실제로는 파워콘트롤러(310-1)의 제어하에 있는 제4도에 나타낸 모든 유니트에 대해서 동일한 백-업제어가 행해진다. 이점은 파워콘트롤러(310-2)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 제20도의 실시예에서는 정전검출유니트(3102), 제1타이머(3104) 및 제2타이머(3106)를 마이크로프로세서(360)의 프로그램제어에 의해서 실현되고 있으나 전용팜웨어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내부버스(362)에 접속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디스크 장치의 내부에 배터리유니트를 설비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용량의 배터리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설치공간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어 배터리의 원가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정전시에 자기디스크 장치의 내부동작 및 시스템 동작을 가능한 한 보증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백-업 시간을 억제하고 있고, 효율좋은 전원 백-업을 실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 시스템의 기동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시스템과 그 문제점들을 설명하겠다.
종래에는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이 장착된 자기디스크 서브시스템에 있어서의 러슈전류를 저하시키는데 사용되는 기동방법은 하나하나씩 연속적으로 모듈들을 기동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동완료시까지 긴 기동시간 이었다. 따라서 자기디스크 모듈들을 수개의 유니트로 된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들을 연속적으로 기동시키는 방법도 있었다.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고 하면 제30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유니트당 자기디스크 기동전류는 2A이고, 30초의 기동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동완료후의 정상 전류는 0.5A이다.
제31도는 종래의 그룹화 한 기동방법과 합계시간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먼저,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은 각각 4개의 유니트로 된 그룹(#1∼#4)로 나누었다. 제1그룹(#1)의 4개의 유니트가 기동된 후에 다음 그룹들(#2∼#4)이 연속적으로 소정시간(△T)(△T=2초)마다 연속적으로 기동된다. 러슈전류는 기동직후에 최대로 된다.
이 경우에 기동완료를 위한 시간은 36초로 짧으나 합계 전류의 최대치가 32A로 많아진다.
제31도의 가동방법에서 러슈전류를 더저하시키려고 하면 제3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그룹들(#1∼#4)을 30초의 기동시간만 엇갈리게 하면서 연속적으로 기동하면 되고, 이 경우에는 기동완료를 위한 시간은 240초로 긴 시간이 된다. 그러나 러슈전류의 최대치는 1/2인 16A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기동방법에 있어서는 기동시간을 단축하면 러슈전류의 최대치가 커져 전원용량을 저감할 수 없고, 또 전원용량을 억제하여 기동하면 기동시간이 길어진다는 모순된 문제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동러슈전류를 억제하고 동시에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기동을 제어하는데 있다.
제2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동방법의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제24a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복수의 자기디스크 유니트의 전원을 투입하여 기동할 때에 복수의 자기디스크 유니트를 동일 대수의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마다 시간간격을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여기서 각 그룹은 적어도 기동직후의 최대 러슈전류가 흐르는 시간(△T) 만큼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또 제24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에 2개의 그룹을 기동직후의 러슈전류가 흐르는 시간(△T) 만큼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고, 2번째로 기동한 그룹의 기동완료 후에 후속되는 그룹의 기동을 중복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또, 제24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의 그룹을 기동직후의 돌입전류가 흐르는 시간(△T) 만큼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고, 2번째의 기동한 그룹의 기동완료후에 다음 2개의 그룹을 마찬가지로 연속기동하는 처리를 반복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기동방법은 제24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자기디스크 유니트를 서로다른 대수의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대수가 많은 그룹순으로 그룹마다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이 경우에 각 그룹의 기동시간의 약 1/2씩 엇갈리게 하여 기동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유니트수가 다른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기동시간 간격을 변화시켜서 연속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그룹들은 적어도 기동직후의 러슈전류가 흐르는 시간(△T) 만큼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고, 2번째의 기동한 그룹의 기동완료후에 다음 2개의 그룹을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기동하는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같은 수준에 의한 본 발명의 자기 디스크 장치의 기동방법에 의하면 그룹간의 기동간격을 변화킴으로써 기동중에 있어서의 러슈전류의 최대치를 억제하여 전원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각 그룹중의 유니트들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러슈전류를 그다지 증가시키지 않고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그룹들간의 기동간격을 변화시키고 그룹들중의 유니트들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러슈전류의 최대치를 억제하는 동시에 기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동방법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16개의 자기디스크모듈이 4개의 그룹(#1∼#4)로 나누어져 있고, 그룹들간의 간격을 변화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한다.
먼저, 제25도에서 제1그룹(#1)은 시각(t1)에 기동되고, 이에 의해서 합계전류 8A가 생성된다. 그룹(#2)의 4개의 유니트는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일정시간(△T)(△T=2초)후의 시각인 시각(t2)에 기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8개의 유니트가 기동된 상태이므로 합계전류는 16A이다.
1번째 기동시각(t2)부터 30초의 기동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그룹(#1)의 4개의 유니트의 기동이 종료되어 4개의 유니트의 정상전류 2A로 된다. 그룹(#2)이 추가되면 합계전류는 10A로 저하된다.
다음에 30초의 기동시간의 경과후에 그룹(#2)이 기동을 종료한 시각(t3)에 다음 그룹(#3)의 4개의 유니트가 기동된다. 이 시각(t3)에는 그룹(#2)의 기동이 완료되는 동시에 그룹(#3)이 기동하여 그룹(#3)의 기동전류 8A가 그룹(#1)과 그룹(#2)의 합계8개 유니트의 정상전류 4A에 가산되어 합계 12A로 된다.
그룹(#3)이 30초 경과하여 기동종료하는 시각(t4)에는 다음에 그룹(#4)을 기동한다. 시각(t4)에는 그룹(#1)∼그룹(#3)의 12개의 유니트의 정상전류 6a에 새롭게 기동한 그룹(#4)의 기동전류 8A가 가산되어 합계전류 14A로 된다. 최종적으로 시각(t5)에 그룹(#4)의 기동이 완료되면 16개의 유니트분의 정상전류의 합계치인 8A로 된다.
제25도의 기동방법에 있어서는 시각(t1)로부터 시각(t5)까지의 기동시간은 92초이고, 기동중에 합계전류의 최대치는 16A로 되고, 제32도에 나타낸 종래 방법의 기동전류 최대치인 32A에 대해서 1/2인 16A로 된다.
한편 기동시간은 36초에 대해서 92초로 길지만 제32도에 나타낸 최대 전류의 종래의 방법의 240초에 비하면 그 1/2이하인 92초로 된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즉, 제25도의 실시예에서는 △T=2초 엇갈리게 하여 그룹(#1)과 그룹(#2)을 기동한 후에 그룹(#2)의 기동완료 후는 그룹(#3), 그룹(#4)가 중복되지 않도록 기동하고 있으나, 제26도의 실시예에서는 그룹(#3), 그룹(#4)에 대해서도 최초의 그룹(#1), 그룹(#2)의 경우와 같이 △T=2초를 띠어 마찬가지로 기동한다.
제26도의 실시예에서는 합계전류의 최대치가 20A로 커지지만 기동시간은 64초로 2/3로 단축할 수 있다.
제2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그룹(#1)이 6개, 그룹(#2)이 3개, 그룹(#3)이 5개, 그룹(#4)가 2개인 그룹들로 각 그룹의 유니트수를 상이하게 하고, 유니트수가 많은 순서로 각 그룹의 기동시간 30초의 1/2인 15초씩 엇갈린 열정간격으로 연속기동 한다.
제27도의 실시예에서는 기동중에 있어서의 러슈전류의 최대치는 19A이고, 또 시각(t1)로 부터 시각(t5)까지의 기동시간은 75초로 되고 기동시간에 대해서는 제25도의 실시예 보다 더 효과적이고, 또 러슈전류의 최대치에 대해서는 제26도의 실시예 보다도 작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타임차트이고, 이 실시예는 제25도의 실시예와 제27도의 실시예를 조합한 것이다.
즉,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동시에 그룹(#1∼그룹#4)의 유니트수를 6개, 3개, 5개, 2개로 상이하게 하고, 그룹(#1)과 그룹(#2)의 기동에 대해서는 △T=2초 엇갈리게 하여 기동하고, 그룹(#2)의 기동이 종료된 시점에 마찬가지로 그룹(#3)과 그룹(#4)을 △T=2초 엇갈리게 하여 기동한다.
제28도의 실시예에서는 기동중에 있어서의 러슈전류의 최대치는 18.5A로 되고, 또 시각(t1) 부터 시각(t5)까지는 66초로 된다. 따라서 제25도∼제27도의 실시예들에 비해서 제28도의 실시예가 러슈전류의 최대치 및 기동시간의 점에서 가장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제29도는 파워콘트롤러들(110-1, 110-2)에 의해서 행해지는 제25도∼제28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기동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29도에서 상위장치로 부터 파워콘트롤러에 대해서 디스크모듈의 전원투입지시를 수령하면 스텝 S2로 진행하고, 자기디스크 모듈의 그룹수(X)를 입력한다. 예를들면 그룹수(X)는 X=4의 4그룹을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그룹번호를 나타내는 카운터(n)를 n=1로 세트하고, 스텝 S4∼S6의 처리에 의해서 각 그룹에 할당한 자기디스크 모듈의 수를 입력한다.
즉, 스텝 S4에서 n=1로 설정된 제1그룹에 포함되는 자기디스크 모듈의 수를 입력하고, 스텝 S5에서 카운트(n)를 1씩 증분증가시켜 스텝 S6에서 카운트(n)의 치가 그룹수(X)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하고, 설정된 그룹수(X)에 도달할 때까지 S4∼S6의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들면 X=4 그룹의 경우에는 제1그룹에 A1유니트, 제2그룹에 A4유니트를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 S7에서 카운트(n)를 n=1로 세트한 후에 스텝 S8∼S10에서 그룹들에 대한 시간간격을 입력한다.
즉, 스텝 S8에서 그때의 카운트(n)치로 설정되는 제n 그룹으로 부터 다음 n+1 그룹까지의 시간(Tn)을 입력하고, 스텝 S9에서 카운트(n)를 1씩 증분증가하고, 스텝 S10에서 카운트(n)가 그룹수(X)에 도달될 때까지 스텝 S8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에 의해서 예를들면 제1그룹에 시간(T1), 제2그룹에 시간(T2), 제3그룹에 시간(T3), 제4그룹에 시간(T4)이 입력된다.
그룹마다의 유니트수입력 및 시간간격의 입력을 마치면 스텝 S11로 진행하여 재차 카운트(n)를 n=1로 세트하고, 스텝 S12∼S15에서 기동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 S12에서 이때의 카운트(n)로 지정되는 제n그룹에 전원투입 신호를 송출하고, 스텝 S13에서 카운트(n)가 그룹수(X)에 일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불일치면 스텝 S14에서 이미 입력된 시간(Tn)까지 타이머로 계수하여 계수를 종료하면 스텝 S15로 진행하여 카운트(n)를 1씩 증분증가시키고 재차 스텝 S12에서 다음 그룹에 대한 전원투입들 행한다. 모든 그룹의 전원투입을 종료하면 스텝 S13에서 카운트(n)는 그룹수(X)에 일치하고, 투입을 종료한다.
제29도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4 및 스텝 S8에서 입력되는 그룹마다의 자기디스크 모듈의 수, 및 그룹마다 투입시간간격(Tn)는 제25도∼제28도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예를들면 RAM등에 테이블 데이타로써 준비되어 있고, 전원투입제어시에 이 테이블 데이타를 입력하여 기동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16개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4그룹으로 나누어 기동제어하는 경우를 예로들었으나, 자기디스크 모듈의 개수 및 그룹수는 필요에 따라서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 러슈전류의 피크치가 생기는 시간(△T)및 30초의 기동시간도 자기디스크 모듈에 따라서 적합하게 결정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자기디스크 모듈을 그룹으로 나누어 기동제어하는 경우에 그룹들간의 기동간격 및 또는 그룹에 포함된 유니트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동중에 있어서의 러슈전류의 최대치를 억제하는 동시에 기동개시부터 기동종료까지의 기동시간을 가능한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원감시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감시방식을 설명하겠다.
제40도의 자기디스크 장치의 메인전원유니트들의 구성도이다. 즉, 공용배터리들을 갖는 2시스템의 메인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파워콘트롤러들(1, 2)은 전원제어장치들이다. 전원유니트들(A, B, a)은 개별전원 유니트이다. 배터리유니트들(A, B, 0, 1, a, b)는 이들 전원유니트에 부대된 배터리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터리들(0, 1)을 파워콘트롤러(0, 1)에 대해 공용인 배터리들이다. 이 구성에서는 배터리들은 시스템(자기디스크 장치)에 결합하기 위하여 감시된다.
제41도는 종래의 감시 및 배터리 결합의 타이밍차트이다. 도면에 M1, M2, M3는 배터리 감시시점들을 나타낸다. 배터리들의 레디신호들은 배터리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시스텝에 결합될 수 있는 상태(도면에서 H)로 된 것을 나타낸다. 또, 레디신호상의 굵은 선은 배터리들이 시스템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배터리 감시시점들(M1, M3)는 일정하다. 감시시간(M1)에는 배터리 1이 기동하고, 감시시점(M2)에는 배터리 1은 이미 시스템에 결합되고, 배터리 2가 결합될 수 있는 상태이다. 배터리 3의 레디신호는 아직 상승되지 않아(도면에서 L)이 배터리는 백-업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있지 않다.
패트롤이 행해질 때 배터리는 그 감시시점의 그 상태에 따라서 시스템에 결합된다. 예를들면 배터리 3이 감시시점(M2)직후에 백-업 가능한 상태에 있더라도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같이 감시시점(M3)이 되기까지는 시스템에 결합되지 않는다. 감시시점(M1)은 전원투입 직후의 패트롤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배터리 기능을 실제로 관계된 배터리전원을 소비하여 테스트 된다. 따라서 공용배터리가 동시에 2시스템(즉, 제40도의 파워콘트롤러(0,1))으로 부터 감시될 것이다. 어느시간 동안 감시가 계속되면 배터리 자체가 백-업을 제공할 수 없는 상태로 소모 또는 감소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백-업불가 상태부터 백-업 가능상태까지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을 때까지 소정시간이 소요된다. 이 충전시간은 배터리에 따라서 상이하다. 따라서 감시에 의해서 백-업 가능한지를 판단하는데 배터리가 정상인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감시를 예를들면 제4도의 M1, M2, M3와 같은 소정간격의 감시로는 장치내에서의 사용개시 가능시기(굵은 선으로 나타낸 시스템으로의 결합)가 지연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시간들로 감시시간들을 제공하여 시스템내로의 배터리를 신속하게 결합시키고 2시스템으로 부터의 경합을 제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스템 예를들면 2시스템의 각각에 전원유니트들과 그들에 부수되는 배터리들을 갖고 다른 시스템과 공통의 전원유니트들과 배터리들을 갖는 공통 전원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시스템의 파워콘트롤러(0)와 다른 시스템의 파워콘트롤러간에 배터리 감시동작중의 신호 및 배터리감시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패트롤제어수단(PC)이 설비되고, 공통전원에 부수되는 배터리의 기능을 감시하고, 또 시스템으로의 결합시에 배터리의 동시감시 및 배터리시스템으로 결합타이밍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제어장치는 적시에 배터리의 레디상태를 감시하고, 배터리가 백-업 가능한 레디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면 즉시 당해 배터리의 감시동작을 개시하여 배터리 기능이 적절하면 당해 배터리의 결합을 행한다.
또, 전원제어장치는 자체 장치가 감시를 행할때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매스터신호(MAS)를 패트롤제어수단으로 송출하고, 패트롤제어수단은 매스터신호를 받지 않은 쪽의 전원제어장치에 대해서 다른 시스템이 배터리감시 동작중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0~TST)를 송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감시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을 서로 판단 가능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2시스템간에서 감시기능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백-업불가상태의 배터리에 대해서 상시 충전완료신호를 체크하게 하여 감시기능을 신속하게 실시하여 백-업 가능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3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용배터리를 갖는 2시스템의 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같이 배터리들(0, 1)은 파워콘트롤러들(0, 1)에 공용된 배터리들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패트롤 제어수단(PC)이 파워콘트롤러들(0, 1)간에서 공용배터리유니트들(0, 1)의 감시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비되어 있다. MAS는 매스터신호이고 이 예에서는 파워콘트롤러(0)쪽이 공용배터리의 패트롤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고 있다. O-TEST는 다른 시스템의 패트롤신호이다. 이 신호가 H레벨일때에는 다른 시스템이 패트롤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신호는 어느것이나 파워콘트롤로들(0, 1)로부터 패트롤 제어수단(PC)로 입력된다. 이 패트롤제어수단은 후술하는 것과같이 패트롤개시시간을 제어하여 우선권에 따라서 한쪽으로 패트롤 개시를 지시한다.
제34도는 배터리패트롤의 신호타이밍의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O-TEST는 다른 시스템의 패트롤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신호이다. 한편 B-TEST는 배터리의 패트롤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이 패트롤제어수단(PC)에 의해서 다른 시스템의 패트롤신호 O-TEST를 제어함으로써 다른 시스템의 패트롤을 억제할 수 있는 공용배터리에 대한 연속적인 패트롤을 방지할 수 있다.
B-ALM은 배터리경보신호이고 도시한 것과 같이 배터리패트롤시간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배터리 패트롤시간이 경과되면 충전 보증시간으로 되고 이 시간은 다른 시스템패트롤신호(O-TEST)가 H레벨의 기간까지 취할 수 있다. 즉, 다른 시스템패트롤신호(O-TEST)가 H레벨의 기간은 한쪽 시스템으로부터의 패트롤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의 H레벨기간이 경과하면 시스템내의 패트롤간격을 보증하는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제35도는 본 발명의 배터리의 감시 및 결합 타이밍차트이다. 제41도에서와 같이 M1, M2...는 감시 시점이고 레디신호상의 굵은 선은 시스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레디신호는 L는 백-업 불가능상태(즉 충전중)를 나타내고 H는 백-업 가능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감시시점(M1)에 패트롤하고 배터리(BTU-1)만을 시스템에 결합시킨 후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일정시간간격의 패트롤은 행하지 않고 배터리(BTU-2) 및 배터리(BTU-3)의 레디신호만 감시한다.
즉, 레디신호의 ON(H)을 검출하면 감시시점(M4)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즉시 배터리(BTU-2)의 패트롤을 실시하여 배터리가 백-업 가능상태이면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즉시 시스템내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배터리(BTU-3)에 대하여도 레디신호의 H를 검출하면 감시시점(M4)에 나타낸 것과같이 즉시 패트롤을 실시하여 배터리가 백-업가능 상태이면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같이 즉시 시스템내에 결합된다. 또 감시시점(M1)은 전원 ON직후이고, 감시시점(M2)는 감시시점(M1)으로부터 일정시간후이고, 감시시점(M3)은 감시시점(M2)으로부터 일정시간후이다. 또 감시시점(M2)으로부터 일정시간후이다. 또 감시시점(M4)은 레디신호의 H의 검출직후이고, 감시시점(M5)은 감시시점(M4)으로 부터 일정시간후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레디신호만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레디신호의 ON을 검출하면 즉시 배터리의 패트롤을 실시하므로 배터리의 시스템으로의 결합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제3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합시의 배터리패트롤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도면에 2시스템에 있어서의 패트롤제어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MAS는 매스터신호이고 ON 즉 H레벨(H)로 되어 있는 쪽이 패트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O-TEST는 다른 시스템의 패트롤신호이고 이 신호가 H레벨쪽이 패트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B-TEST는 배터리 패트롤지시신호이고 H레벨일때에는 배터리 패트롤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시점[1]에 나타낸 것과같이 0시스템과 1시스템이 동시 타이밍이 아닌 경우에는 일정한 시퀸스를 취하지만 시점[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시에 패트롤을 개시하려고 할때 또는 시점[2]에 나타낸 것과같이 다른 시스템이 이미 실행중인 경우에 개시하려고 했을때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같이 제어한다. 이 제어는 파워콘트롤러들(0, 1)에 의해서 행해진다.
패트롤을 개시하는 경우에 우선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가 H인지 L인지를 검출하고 다른 시스템에서 패트롤이 실행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이미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가 ON이고 다른 시스템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다른 시스템이 종료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패트롤 개시시간을 엇갈리게 한다. 이것은 도면중에 철회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양시스템이 동시에 패트롤을 개시하려고 한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낮은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를 OFF 즉 L로 하고 우선권을 갖고 있는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가 OFF되는 것을 기다려 패트롤을 개시한다.
제37도∼제39도는 본 발명의 전원감시 장치의 처리수순의 플로우차트이다. 배터리패트롤의 개시를 지시하면(스텝 S1), 먼저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장착불량을 보고한다(스텝 S3), 다음에 배터리 그 자체가 이사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4)이상이면 배터리 이상을 보고한다(스텝 S5), 다음에 배터리의 레디신호가 H(1)인지 또는 L(0)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6), L이면 다음에 4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7), 초과하고 있으면 충전이상을 보고한다 (스텝 S8), 4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레디신호의 감시를 계속한다(스텝 S9).
스텝 S6에 있어서 레디신호가 H이면 배터리레디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S10), 최초의 플래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1), 2시간을 세트하고 최초의 플래그 리세트한다(스텝 S12), 다음에 2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3), 초과하지 않았으면 대기하지만 초과하고 있으면 다른 시스템 패트롤신호(O-TEST)가 H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4), 초과하고 있으면 딜레이 타이머를 세트하여(스텝 S15)대기한다.
O-TEST가 H가 아니면 이것을 세트하고(스텝 S16)재차 O-TEST가 H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7), H가 아니면 일정시간이 경과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8).
스텝 S18에 있어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있으면 배터리테스트를 행하고(스텝 S19),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0), 경과되어 있으면 O-TEST를 리세트하고(스텝 S21), 패트롤에 에러가 없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2), 에러가 있으면 패트롤의 에러를 보고하고(스텝 S23), 없으면 배터리를 등록하고(스텝 S24), 2시간 타이머를 초기화하여(스텝 S25)수순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17에 있어서 O-TEST가 H일때에는 매스터 신호가 판정되고(스텝 S26), 매스터신호가 없으면 O-TEST를 리세트하고(스텝 S27), 딜레이타이머를 세트하고(스텝 S28)대기한다. 매스터신호가 있으면 타이머를 초기화하고(스텝 S29), 시간이 경과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30),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배터리테스트를 행한다(스텝 S19).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패트롤에 있어서 한쪽 시스템과 다른쪽 시스템에 의한 공용 배터리의 동시제어를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오동작에 의한 불량판정의 방지 및 연속패트롤로 인한 이상 소비에 의한 백-업 불가능 상태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환제어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제45도는 공용배터리들을 갖는 종래의 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파워콘트롤러(0)에는 배터리유니트들, 전원유니틀, 팜웨어에 의해서 제어되는 콘버터콘트롤러들을 설비하고 있다. 파워콘트롤러(1)도 동일구성이다.
그와같은 구성에서 종래의 전원제어의 수순은 다음과 같다. 파워콘트롤러(0)측, 즉 0시스템의 전원의 ON지시가 행해진 경우에 파워콘틀로러 (0)는 팜웨어에 의해서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전원유니트(00)→(02)→콘버터콘트롤러(00)→(02)→배터리유니트(00)→(02)의 순서로 배터리유니트제어회로, 전원유니트제어회로 및 파워콘트롤러로의 지시에 의해서 전원투입 지시를 행한다. 한편 파워콘트롤러(1)측, 즉 시스템(1)측이 시스템(0)측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파워콘트롤러(1)은 전원유니트(10)→(12)→콘버터콘트롤러(10)→(02)→배터리유니트(10)→(12)→의 순서로 전원 투입지시를 행한다. 따라서 콘버터콘트롤러(02)는 0 및 1의 양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로부터 제어를 받기 위한 회로구성이 필요하게 되고 0시스템만 또는 1시스템만의 콘버터콘트롤러(00, 10)과는 상이한 회로구성으로 된다.
상기 종래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콘버터콘트롤러(2)는 양시스템의 파워콘트롤러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회로구성을 갖고 있어서 0 시스템만 또는 1시스템만의 콘버터콘트롤러들(00, 10)과는 상이한 복잡한 회로구성으로 되어 버린다. 그리고 공통설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부품공용화에 한도가 있어 높은 원가로 되었다.
또 0시스템의 배터리유니트(02)가 정상이고 1시스템의 배터리유니트(12)가 이상 상태인 경우에 예를들면 단시간의 정전이 발생해도 1시스템은 배터리유니트(12)가 이상이므로 백-업가능상태로 볼 수 없고 배터리유니트(02)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1시스템은 시스템 전원 OFF상태로 되어 파워콘트롤러(0)의 단일시스템만의 운용으로 된다.
또 도시한 것과같이 공용전원을 갖는 장치의 백-업을 행하는 경우에 각 시스템에 배터리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공통부분에서는 배터리를 2중으로 갖게되고(도면에서 배터리유니트(02)와(12)) 장착공간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공용배터리를 갖는 경우에 2시스템의 전원제어를 갖으므로 인해서 배터리 테스트가 전원 ON동시에 행해짐으로써 배터리가 불량인 것으로 검출되든지, 필요이상으로 배터리가 소모되어 배터리얼화가 빨리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용전원과 배터리를 각 시스템마다 설비하지 않소 각각 1개씩 설비하여 2전원제어장치간에 이들과 전원 및 배터리간의 접속을 절환제어하는 크로스제어회로를 설비하여 전원 및 배터리수의 삭감을 행하고 또 어느쪽의 배터리의 테스트를 행하느냐를 설정하는 어드레스설정회로를 설비하여 배터리테스트의 경합을 방지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스템 예를들면 2시스템의 각각에 전원유니트와 전원유니트에 부수되는 배터리유니트를 갖으며 또 다른 시스템과 공용인 전원유니트와 그에 부수되는 배터리유니트를 갖고 시스템(0)의 파워콘트롤러(0)와 다른 시스템(10)의 파워콘트롤러(1)간에 공용전원 및 배터리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크로스제어수단(X)을 설비하고 또 각각의 전원제어장치내에 자기장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설정수단(AD)를 설비한 자기디스크장치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한다.
공용전원유니트 및 부수배터리유니트는 선택된 한쪽 시스템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크로스제어수단(X)을 절환함으로써 2개의 시스템을 위하여 공용된다.
또 어드레스 설정회로에 의한 자체시스템의 어드레스설정에 의해서 배터리테스트 및 감시가 단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행해진다.
본 발명은 2개의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간에 크로스제어회로를 설비함으로써 전원유니트(02)와 배터리유니트(02)의 제어를 파워콘트롤러(0, 1)로부터 공통으로 가능하고 이에 의해서 공통제어를 받는 시스템으로의 배터리, 콘버터콘트롤러, 전원공급등을 단일로하여 부품수의 감소 공용 또는 2시스템에 어드레스설정수단을 갖게 함으로써 배터리 테스트개시시간을 각각 바꾸어 2시스템으로부터 동시에 배터리테스트를 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4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환제어의 원리도이다.
파워콘트롤러(0)에는 팜웨어에 의해서 제어되는 배터리유니트, 전원유니트 및 콘버터콘트롤러가 설비되어 있다. 또 시스템들로 부터 동시에 배터리테스트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설정회로(AD)가 설비되어 있다. 파워콘트롤러(1)는 동일구성을 갖고 있다.
또 2시스템의 전원제어회로들과 공용전원간의 접속을 전환하는 크로스제어회로(X)가 별개로 설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전원유니트들(02, 12) 및 배터리유니트들(02, 12)이 필요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일 전원유니트(02) 및 단일 배터리유니트(02)로 되어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파워콘트롤러(0, 1)에 접속된 크로스제어회로(X)를 통하여 제어가 행해진다.
또 파워콘트롤러들(0, 1)로부터의 전원 ON지시에 의해서 전원유니트(02) 및 배터리유니트(02)는 전원 ON 지시를 받고 파워콘트롤러들(0, 1)양쪽으로부터 전원 OFF지시가 발행됨으로써 전원유니트(02)와 배터리유니트(02)가 전원 OFF지시를 받게 된다. 또 배터리유니트(02)의 상태를 양쪽 파워콘트롤러(0, 1)로부터 크로스제어회로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그와같은 구성으로 전원유니트, 콘버터콘트롤러 및 배터리유니트의 제어가 완전히 동일 하므로 공통서용부품이 가능하게 된다.
제43도는 제42도에 나타낸 제어회로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크로스제어회로(X)는 3개의 OR 게이트(OR1, OR2, OR3)로 구성되고 각 OR 게이트의 입력에는 2시스템의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한쪽 입력이 ON 이면 ON 신호가 출력된다. 예를들면 배터리유니트(02)는 파워콘트롤러(0)시스템 또는 파워콘트롤러(1)시스템으로부터 ON 지시가 있으면 배터리유니트(02)는 ON된다. 나머지 구성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4도는 본 발명의 배터리테스트개시의 플로우차트이고 특히 타이머치의 플로우차트을 나타내고 있다.
전원 ON의 배터리테스트의 경합시에 파워콘트롤러(0) 및 파워콘트롤러(1)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팜웨어에 어드레스를 리드시켜 그에 의해서 배터리테스트를 개시하는 시간을 파워콘트롤러(0) 및 파워콘트롤러(1)에 상이하게 되게 타이머를 초기화시킴으로써 경합을 방지할 수 있다.
제44도에서 배터리테스트의 개시를 지시하면(스텝 S1), 전원이 ON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 또 어드레스가 파워콘트롤러(0) 및 파워콘트롤러(1)인지를 판정하고(스텝 S3), 파워콘트롤러(0)이면 타이머를 M초로 세트하고(스텝 S4), 파워콘트롤러(1)이면 타이머를 N초로 세트한다(스텝 S5), 다음에 파워콘트롤러(0)시스템의 M초와 파워콘트롤러(1)시스템의 N초의 각각에 대해서 타이머가 이설정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스텝 S6), 초과했으면 배터리테스트를 실행하고(스텝 S7), 소정의 테스트를 종료한다(스텝 S8),여기서 M《N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크로스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시스템당의 배치수를 감소시켜 시스템구성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전원부의 공통설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배터리테스트의 동시 동작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수명이 향상되고 어느쪽 시스템으로부터도 공용부품이 마찬가지로 보이므로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백-업시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샹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단 원인분석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 구성과 그 문제점들에 관한 설명을 하겠다.
제48도는 종래의 전원과 절단제어의 기본 구성도이다.
제49도는 제48도이 구성의 전원절단제어시스템의 플로우챠트이다. 제48도에서는 자기디스크제어장치(720)는 설명의 간단을 위하여 메인전원유니트(721)와 기능유니트(722)로 개략적으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전원유니트와 배터리유니트들은 제47도의 구성의 메인전원유니트(721)내에 포함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기능유니트(722)내에 포함되어 있다. 제1기억장치(723)는 시스템의 동작정지등의 고장발생이력을 기록하는 기억장치이다. IF는 상위장치(710)과 자기디스크제어장치(720)간의 전원제어 인터페이스이다. AC는 AC전원, DC는 DC전원이다. 또 제49도에서 설명하겠으나 RS는 전원유니트(721)로부터 송출된 전원절단요구신호이고 AS는 기능유니트(722)로부터 송출된 전원절단허가신호이다.
제49도에서 메인 전원유니트(721)가 호스트컴퓨터등의 상위장치로(710)로부터 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서 전원제어인터페이스(IF)를 거쳐서 전원부(721)가 정전 또는 전원절단의 검출을 위한 지시를 받으면(스텝 S1), 먼저 메인전원유니트(721), 기능유니트(722)로의 전원을 배터리들로 전환한다(스텝 S2), 메인전원유니트(721)은 소정기간 배터리출력을 보지한다(스텝 S3), 즉 이 구성은 백-업배터리의 사용으로 정전중에 소정시간 시스템의 전원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메인전원유니트(721)는 기능유니트(722)로 정전요구신호(R2)를 송출하여 전원절단을 원함을 통지한다.
전원절단요구신호를 수신하면 기능유니트(722)는 전원절단을 위한 준비등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S5), 또 소정의 처리를 종료하면 메인전원유니트(721)로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송출하여(스텝 S6) 메인 전원유니트(721)로 전원을 절단해도 좋음을 통지한다.
이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수신하면 메인전원유니트(721)는 먼저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7), 수신했으면 전원을 절단하는 처리를 행하고(스텝 S8), 그후에 전원절단을 종료한다. 또 스텝 S7에서 기능유니트(722)로부터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수신하지 않았을때엔 스텝 S7의 판정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메인전원유니트(721)가 정전을 검출하면 전원공급용 배터리로 절환한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통상의 전원절단지시를 받았을때와 동일수순에 의해서 배터리를 자동적으로 절단한다. 또 다음 전원투입시에 소비된 배터리를 충전하여 다음 정전을 위하여 준비한다.
그러나 종래 구성의 제1기억장치는 전술한 바와같이 시스템 동작의 정지등 고장 발생의 이력을 기록만하고 전원절단등 전원 사용상태의 이력을 기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문제점들이 있다.
[1] 정전으로 인하여 전원이 절단도면 상위 장치 또는 조작자에게 무슨 이유로 전원이 절단되었는지를 통지할 수 없었다.
[2] 다음 전원 투입시에 충전상태에 배터리가 있을때에 왜 충전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3] 배터리가 열화시기를 예상할 수 없다. 따라서 배터리의 교환시기를 판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절단 원인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는데 있다.
제4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절단원인을 분석하는 원리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위장치, 자기디스크장치 및 그들간에 설비된 자기디스크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파일제어시스템내에 전원절단제어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메인 전원유니트(721)에는 정전중에 전원을 백-업하기 위한 드라이브모듈들 및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유니트가 설비되어 있다. 한편 기능유니트(722)에는 전원의 이력을 기록하는 제1기억장치(723)와 전원사용상태의 로그를 얻는 제2기억장치(724)도 설비되어 있다.
메인 전원유니트는 시스템으로의 전원이 절단되었을때에 정전에 의해서 백-업용 배터리를 사용할 것을 지시하는 백-업신호(BS)와 배터리로의 절환후에 최대장전시간의 경과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전원을 절단할 것을 지시하는 자동절단신호(CS)를 기능유니트로 송출하고 다음에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 기능유니트로 전원절단요구신호(RS)를 기능부로 송출하고 기능부는 전원절단요구신호를 받으면 전원절단의 준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처리후에 전원부로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송출하고 또 기능부이 제2기억장치는 백-업신호와 자동절단신호를 전원절단요구신호를 받았을때에 로그하고 제2기억장치를 참조함으로써 다음 전원 투입시에 전회의 전원절단등의 전원사용상황을 판정한다.
여기서 자동절단신호(CS)는 배터리의 최대방전시간의 경과후에 자동적으로 전원절단한 것을 통지할 때에는 H레벨로 최대방전시간의 경과이전에 강제적으로 전원절단을 하였을때에는 L레벨로 설정한다.
또 제2기억장치는 제1기억장치의 메모리영역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전으로 인해서 배터리를 사용한 것을 통지하는 백-업신호와 배터리로 절환한후에 소정시간(배터리의 최대방전시간)이 경과되었으므로 자동적으로 전원을 전단한 것을 통지하는 자동절단신호를 전원절단요구신호를 송출할때에 기능유니트로 송출하고 기능유니트는 전원사용 상황을 기록하는 제2기억수단을 설비하고 이들의 신호를 제2기억수단으로 로그한다. 따라서 다음 전원투입전에 이 제2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전원의 사용상황이나 전원절단의 요인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 제2기억수단은 별도로 설비하지 않고 제1기억수단의 일부의 메모리영역을 이용할 수 있고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제47도는 제46도의 구성의 처리수순의 플로우차트이다.
제47도에서 제46도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부(722')내에 전원정지등 전원사용상황의 이력을 기록하기 위한 제2기억장치(724)를 설비하고 있다. 또 BS는 메인전원유니트(721)로부터의 배터리 백-업 신호이고 CS는 메인 전원유니트(721)로부터의 자동절단신호이다.
제47도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호스트컴퓨터등 상위장치(710)로부터 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서 전원제어인터페이스(IF)를 거쳐서 전원유니트(721)가 정전검출과 전원절단지시를 받으면(스텝 S1), 먼저 메인전원유니트(721)는 기능부(722')로의 전원공급을 전원유니트로부터 배터리로 절환하고(스텝 S2), 메인전원유니트(721)는 이 배터리출력을 소정시간 보지한다(스텝 S3),즉 백-업용 배터리에 의해서 정전시에는 소정시간만 시스템의 전원을 유지한다. 다음에 메인전원유니트(721)는 기능유니트(722')에 대해서 정전으로 인하여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는 백-업신호(BS)와 배터리의 최대 방전시간에 도달하였으므로 자동적으로 전원을 절단한 것을 통지하는 자동절단신호(CS)를 송출한다. 그리고 메인전원유니트(721)는 다음에 전원절단요구신호(RS)를 기능유니트(722')로 송출한다.
기능유니트(722')는 전원절단요구신호(RS)를 받으면 전원절단의 준비등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S6), 다음에 백-업신호(BS)와 자동절단신호(CS)를 제2기억장치(724)로 로그한다(기억한다)그리고 제2기억장치(724)로의 로그가 종료했다고 메인전원유니트(721)에 대해서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송출한다(스텝 S8), 메인전원부(721)는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신호(AS)를 받었으면 이제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배터리출력을 절단하고(스텝 S10), 전원절단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1), 또 상술한 바와같이 배터리의 최대방전시간이 경과되었으므로 자동적으로 전원을 절단할 경우에는 자동절단신호(CS)를 H레벨로 하고 배터리사용중에 강제적으로 전원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자동절단신호(CS)를 L레벨로 함으로써 어느 경우에도 제2기억장치(724)로 기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백-업신호, 자동절단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로그하는 제2기억수단을 설치하고 후에 제2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다음 효과가 있다.
[1] 전원절단시에 배터리가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
[2] 정전으로 인해서 전원유니트가 자동적으로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3] 전원투입시에 배터리가 충전상태에 있을때에 전회의 전원절단으로 배터리를 사용한 것에 의한 충전인지 또는 열화에 의한 자기방전을 한 것인지를 알아서 배터리 교환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4] 배터리의 최대방전회수를 조사함으로써 배터리의 열화를 예상할 수 있고 그 교환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수표시수단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설명하겠다.
제52도는 파일제어시스템의 기본구성 특히 자기디스크장치의 요부들의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자기제어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메인전원유니트(821) 및 기능유니트(822)로 되어 있다. 메인전원유니트(821)은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여 기능유니트로 공급하는 전원유니트와 정전중에 백-업을 제공하는 배터리유니트로 되어있다. 또 기능유니트(822)는 주로 드리이브모듈(도시하지 않음)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IF는 상위장치(810)과 전원유니트(821)간에 있는 전원제어인터페이스이다. RS는 배터리들이 사용되었을때에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 기능유니트로 송출하는 전원절단요구신호이다. 그리고 AS는 기능유니트로부터 메인전원유니트로 송출되는 전원절단허가신호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그와같은 파일제어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가동할때에 통상 상위장치 또는 원격위치로부터 1회 모든 유니트에 전원투입 또는 그들로부터 전원절단을 한다. 한편 시스템의 보수 및 검사중에 개별유니트를 위한 전원을 절단할 수 있어야 한다.
제53도는 제52도의 시스템내의 전원주변의 영역의 요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811은 전술한 바와같이 상위장치(810)와 전원유니트간에 있는 전원제인터페이스이다. 812는 REMOTE와 LOCAL간의 절환을 위한 R/L스위치이다. 813은 전원투입절단을 위한 전원제어유니트이다. 814는 각종스위치들을 구비한 전원보스패널이다. 815는 시스템을 위한 각종 스위치를 구비한 장치 전면패널이다.
도면에서 C1은 전원제어인터페이스(811)로 부터의 전원 ON 신호이다. C2는 전원보수패널로부터의 ON신호이다. C3은 R/L 스위치(812)로부터의 R/L신호이다. 그리고 C4는 전원 ON신호이다. 신호들(C3, C4)은 전원제어유니트(813)로 입력된다. 한편 전원투입신호(C5)는 전원유니트(821)로 송출된다. 그결과 메인전원유니트(821)는 기능유니트(82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1은 전원제어유니트(813)로부터 패널들(14, 15)로 송출되는 데이타를 위한 데이타버스이다.
이 경우에 상위장치로부터 전원투입을 지시받을때, R/L스위치(812)는 REMOTE측에 있어야 한다. 한편 개별유니트를 위한 전원투입을 지시받을때 R/L 스위치(812)는 LOCAL쪽에 있어야 한다.
제54도는 종래의 전원보수패널의 요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REMOTE와 LOCAL간의 절환을 위한 R/L스위치가 설비되어 있다. 또 전원투입절단을 위한 ON/OFF 스위치이다. 통상 REMOTE쪽에 있어 한번에 모든 유니트들로 전원의 원격투입이 가능하게 한다.
유니트들의 개별 보수 및 검사시에 R/L 스위치는 LOCAL쪽으로 절환되어 전원의 개별절단을 가능하게 한다.
제55도는 종래의 보수수순의 플로우차트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전원은 상위장치(810)에 의해서 전원제어인터페이스(811)를 거쳐서 장치로 투입 또는 장치로부터 절단한다. 즉 R/L스위치(812)는 REMOTE쪽에 있고, 그리고 전원이 ON/OFF스위치에 의해서 투입 또는 절단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원격위치로 부터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할 수 있다.
한편 장치에 보수작업을 개시할때에(스텝 S1) 보수작업자는 R/L스위치를 LOCAL쪽으로 절환한다(스텝 S2). 그리고 전원 ON/OFF 스위치를 전원절단으로 절환한다(스텝 S3), 이것은 보수작업중에 원격위치로부터 잘못하여 장치로의 전원투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작업자는 보수작업을 행하고(스텝 S4), 소정보수작업의 종료되었을때에 전원 ON/OFF스위치를 사용하여 장치들로의 전원투입을 하고(스텝 S5), 장치가 정상적으로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정상적으로 조작되었을때에는 장치들로의 전원을 절단하고 R/L스위치를 REMOTE쪽으로 절환하여 장치들을 정상상태로 복귀시켜 보수작업을 완료한다(스텝 S8).
상술한 스텝 S8에서와 같이 보수작업완료시에 보수작업자는 R/L 스위치를 REMOTE쪽으로 절환하게 되어 있으나 보수작업자는 이렇게 하는 것을 때때로 잊어버린다. 그런 경우에 R/L스위치 LOCAL쪽에 둔채로 보수작업을 종료한다. 따라서 R/L스위치가 REMOTE쪽에 있지 않으므로 다음에 원격위치로부터 전원투입을 하려고 할때에 전원을 장치들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작업 종료시에 R/L스위치의 절환을 빠뜨리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제5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수패널의 요부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파일제어시스템내의 자기디스크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시스템의 보수패널은 보수작업시에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전원제어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상위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원을 투입 또는 절단하는 전원 ON/OFF스위치.
전원의 원격입력 및 절단이 가능한 쪽(REMOTE)와 전원의 로칼 투입 및 절단이 가능한쪽(LOCAL)간의 절환을 하는 R/L스위치.
R/L스위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R/L스위치를 LOCAL쪽으로 절환하고 전원 ON/OFF스위치는 장치에 대한 보수작업중에 전원을 절단하는데 전원 ON/OFF스위치가 사용되고 보수작업 종료후에 R/L스위치는 REMOTE쪽으로 절환하고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보수패널에 있는 R/L스위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설비하고 있다.
전원제어유니트(813)에는 R/L스위치의 상태, 즉 REMOTE쪽에 있는지 또는 LOCAL쪽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설비되어 있다. LOCAL쪽에 있으며 그 상태가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보수작업자에게 REMOTE쪽으로 바꾸라고 경고한다.
제51도는 본 발명의 보수작업의 처리수순의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S1∼스텝 S6은 제55도에 나타낸 과거의 수순과 동일하다. 즉 장치의 보수작업을 개시할때에(스텝 S1), 보수작업자는 전원보수패널의 R/L스위치를 LOCAL쪽으로 절환하여 전원 ON/OFF스위치에 의해서 전원을 절단한다(스텝 S3). 그리고 보수작업자는 보수작업을 행한다(스텝 S4). 소정의 보수작업을 종료하면 보수작업자는 전원 ON/OFF스위치에 의해서 전원을 ON 시키고(스텝 S5),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기동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스텝 S5에서 전원 ON/OFF스위치에 의해서 장치들의 전원이 ON된 것을 예를들면 전원보수패널의 표시수단에 부호로 표시한다(스텝 S7).
스텝 S6에서 보수작업자가 장치가 정상적으로 기동한 것을 확인하면 그는 장치들의 전원을 절단하여 R/L 스위치를 REMOTE쪽으로 절환하고(스텝 S8), 전원보수패널의 표시를 체크한다(스텝 S9), 그리고 보수작업을 종료한다(스텝 S10).
이 경우에 제53도에 나타낸 전원제어유니트(813)은 R/L스위치(812)의 상태를 판정한다. LOCAL상태에 있으면 즉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따라서 R/L스위치(812)의 상태를 판정한다. LOCAL상태에 있으면 즉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따라서 R/L스위치(812)가 아직 LOCAL위치에 있는 것을 알고 REMOTE로 절한한다. 내부 전원제어유니트(813)가 REMOTE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표시수단은 부호를 표시하게 지시받는다. 표시수단의 표시수단은 REMOTE상태로 절환되었을때에 0이고 LOCAL상태로 절환되었을때에 11인 것과 같이 적합한 방법이면 된다.
제5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제51도에서 설명한 수순의 결과들이 제50도에 나타내 전원보수패널(814)의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또 부수패널은 제56도의 전면패널상부에 설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보수패널표시는 R/L스위치의 상태를 보수작업후에 한눈에 알수있게 하므로 작업 잘못을 감소할 수 있고 또 상위장치로부터 전원이 투입되지 않을때에 전원투입불가의 원인을 즉시 발견할 수 있어 보수시간을 단축시킨다.
[산업상의 응용]
본 발명에 의한 사무실등에서 사용되는 충형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써 사용되는 자기디스크장치에는 디렉터유니트들 및 자기디스크모듈들의 시스템을 위하여 개별독립적인 백-업배터리들이 설비되어 있고 전원이 디렉터 유니트들의 동작상태에 따라 공급되고 제어되므로 백-업 배터리들을 더소형화할 수 있어 소형이고 고밀도로 자기디스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산업에 이용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Claims (41)

  1.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디스크에 복수의 디렉터들(118), 상기 복수의 디렉터들로부터 공통 접속되는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148), 상기, 복수의 디렉터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디렉터배터리들(114-m), 상기 자기디스크모듈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자기디스크모듈배터리들(114-n), 및 상기 복수의 디렉터들과 자기디스크모듈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디렉터배터리와 자기디스크모듈배터리로 부터의 전원공급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파워콘트롤러(110)가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2. 컴퓨터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되고 하나의 하우징내에 독립된 유니트들과 소정의 DC전압을 자기디스크모듈로 출력하는 복수의 전원유니트(112)을 내장한 구성을 갖는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원유니트가 다일 모반(mother boad)(160)에 접속되어 공용전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반(160)이 전원유니트들(112)에 더하여 백-업 배터리유니트들(114-m, n)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언유니트들(112)이 상기 모단(160)의 한쪽에 접속되고 상기 백-업 배터리유니트들(114)이 모반의 다른쪽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유니트들(112)이 전원유니트들(112)로써 같은 DC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니트들(112)이 플러그 삽입에 의해서 상기 모잔(16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유니트들(114)이 플러그 삽입에 의해서 상기 모잔(16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유니트들(112)가 접속된 복수의 상기 모반(160)이 설비되어 복수의 모반(160)간의 전원라인들이 공통으로 접속되어 공용 전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디스크모듈들(148)이 상기 전원유니트들(112)로부터의 DC입력전압을 소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으로써 공급하는 DC/DC콘버트들(116)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디스크모듈들(148)이 상기 전원유니트들(112) 및 상기 모반(160)이 자기디스크모듈의 자기디스크제어장치(152)와 함께 단일 하우징(150)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디스크모듈들(148)이 상기 자기디스크제어장치(152)에는 DC입력전압을 받아 특정 DC전압을 출력하는 DC/DC콘버트들(116)이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2. 자기디스크제어수단(218)의 제어하에 접속되는 자기디스크모듈들(148),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입력전압을 소정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자기디스크모듈들로 공급하는 전원유니트(212), 전원유니트들로써 같은 DC전압을 자기디스크모듈들에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들(214) 및 전원유니트들과 자기디스크모듈들의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수단(210)을 설비하고 상기 자기디스크장치에 상기 배터리유니트들(214)에 설비되어 내장된 배터리들의 충전완료를 판정하고 충전전류가 초정치이하로 되었을때에 전원제어수단으로 충전완료통지신호를 출력하는 충전완료검출수단(2112) 및 상기 전원제어수단(210)에 설비되어 정전검출시에 상기 충전완료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충전완료검출시호를 무효화하는 충전완료무효화수단이 설비되어 충전완료전에 정전발생결과로 충전전류가 강하하는 동안에 충전완료통지신호가 출력된 경웨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완료검출수단(2112)으로부터의 충전완료통지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전원제어수단(210)으로 공급하는 지연수단(286)을 더 설비하여 충전완료전에 정전발생으로 인하여 충전전류가 강하하는 동안에 충전완료통지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이 충전완료통지신호가 상기 전원제어수단(210)의 정전검출시각후 상기 지연수단에 의해서 생긴 지연시간에 수신되어 충전이 정전검출시에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수단(210)에 설비되어 소정시간 간격으로 충전완료통지신호를 리드하여 보지하고 정전검출시 소정시간전에 검출된 충전완료검출신호를 독출하여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 것을 판정하는 충전완료 판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충전완료전에 생기는 정전으로 인하여 충전전류가 강하하는 동안에 충전완료통지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을 판정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5. 제12~14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완료된 것을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전원제어수단(210)이 자기디스크제어수단(218)에게 소정의 백-업시간(T1)이 경과되었을때에 자기디스크모듈들(248)을 절리할 것을 지시하고 자기디스크에저수단(218)으로부터 절단허가 응답을 받았을때에 전원유니트들(212)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6. 제12~14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정전검출시에 충전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전원제어수단(210)은 자기디스크제어수단(218)에 소정의 백-업시간(T1)이 경과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자기디스크모듈들(248)을 절리할 것을 지시하고 자기디스크에저수단(218)으로부터 절단허가 응답을 받았을 때에 전원유니트들(212)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7. 제15항에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절단 요구를 한때로부터 소정시간(T2)경과후에도 자기디스크에저수단(218)으로부터 절단허가 응답을 받지 않았을때에 절단허가응답을 받지않고 전원유니트들에 의한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18. 전원유니트들(312)이 설비되어 입력으로써 AC전원을 받아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유니트들(312) 및 전원유니트들의 DC전압에 의해서 충전되고 정전시에 같은 DC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유니트들(314)를 설비한 메인전원유니트(300),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 전원을 바다 동작하는 자기디스크모듈들(348),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 전원을 받아 자기디스크모듈들을 제어하는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318), 및 자기디스크모듈들로의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의 전원투입 및 절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유니트(310)를 설비한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디스크장치에 전원제어유니트(310), AC전원 입력정지를 검출하는 정전검출수단(3102), 정전검출수단이 정전을 검출하였을때에 기동하여 전원입력이 정지된 동안의 시간을 감시하여 소정의 백-업시간(T1)에 도달했을때에 타이머 출력을 생성하는 제1타이머(3104), 및 제1타이머의 타이머출력전에 상위장치로 부터 받는 전원절단 명령에 따라서 자기디스크모듈들 및 자기디스크 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 처리를 행하고 사위장치로부터 전원전달명령을 받지 않았으나 제1타이머출력을 얻었을때에 자기디스크모듈들 및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처리를 행하는 백-업제어수단(3100)을 더 설비한 자기디스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자기디스크모듈 및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의 전원절단처리로써 백-업 제어수단이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로 전원절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자기디스크유니트의 입출력동작을 종료하게 하고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로부터 입출력동작의 종료에 따라 절단허가통지신호를 받았을 때에 자기디스크모듈 및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310)에는 백-업제어유니트로부터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로 전원절단제어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기동하고 자기디스크모듈들의 입출력동작의 종료를 감시하고 소정시간이 도달되었을때에 타이머출력을 생성하는 제2타이머(3106)를 설비하여 백-업수단이 제2타이머의 타이머출력전에 자기디스크제어장치로부터 받은 전원절단허가통지에 따라서 자기디스크모듈들 및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하고 자기디스크제어장치로부터 전원절단허가통지는 받지 않았으나 제2타이머의 타이머출력을 얻었을때에 자기디스크모듈들 및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의 전원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제어수단(3100)은 백-업동작을 정지하고 정전검출후에 전원입력의 복구가 검출되었을때에 제1타이머를 클레어하여 장치의 동작을 계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이머의 기동후에 전원입력의 복수를 검출할때에 상기 백-업제어수단(3100)은 제2타이머를 클레어하고 자기디스크제어유니트로부터의 전원절단허가통지에 따른 전원절단동작을 금지하여 장치의 동작을 계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23.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의 전원 투입에 의해서 기동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을 동일유니트수로 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들의 각각의 시간간격을 바꾸어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들을 기동직후에 적어도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T)으로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일예로써 먼저 2그룹이 기동직후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T)만큼 엇갈리게 연속적으로 기동한후에 다음 그룹이 두번째 기동되는 그룹기동종료후에 중복되지 않게 연속적으로 반복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2그룹을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T)만큼 정확하게 엇갈리게 처리를 반복하고, 다음 2그룹을 두번째 기동되는 그룹의 기동종료후에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7.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의 전원의 투입에 의해서 기동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을 서로 다른 유니트수로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유니트들수가 많은 그룹순으로 각그룹이 소정시간 간격으로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들은 각각 기동시간의 대략 1/2만큼 엇갈리게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29.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의 전원의 투입에 의해서 기동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디스크모듈을 서로 다른 유니트수로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기동시간간격을 바꾸어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들을 적어도 기동직후에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T)만큼 엇갈리게 하여 연속적으로 기동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2그룹들을 기동직후에 흐르는 러슈전류가 흐르는 동안의 시간(△T)만큼 정확하게 엇갈리게 하여 기동한후에 두번째 기동되는 그룹의 기동종료후에 다음 2그룹을 마찬가지로 기동하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기동방법.
  32. 복수의 시스템의 전원유니트들 및 전원유니트들에 부수된 배터리유니트들을 갖고, 이 파워유니트들과 배터리들이 다른 시스템들과 공용인 자기디스크방치에 있어서, 하나의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0)와 다른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1)과의 사이에 배터리감시동작중에 신호와 배터리감시의 우선순위를 제공하고 공용전원에 부속된 배터리들의 기능을 감시하고 또 자기디스크장치에 결합될때에 배터리들의 동시감시와 자기디스크장치로의 배터리들의 결합시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패트롤제어수단(PC)이 더 설비되어 있는 자기디스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장치가 적합한 시간들에 배터리들의 레디상태를 감시하고 배터리가 백-업 가능한 레디상태에 있으면 즉시 배터리의 감시동작을 개시하여 배터리의 기능들이 적합하면 배터리를 시스템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자체장치가 감시를 행할때에 전원제어수단은 매스터신호(MAS)를 패트롤제어수단으로 송출하고 패트롤제어수단은 상기 매스터신호를 받지 않은 쪽의 전원제어장치에 대해서 다른 시스템이 배터리감시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다른시스템 패트롤신호(O-TST)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5. 복수의 시스템의 각각에 전원유니트들과 전원유니트에 부수되는 배터리유니트들을 갖고 다른 시스템들과 공용으로 전원유니트들과 배터리들을 갖는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시스템의 전원제어장치(0)와 다른 시스템의 전원제어유니트(1)간에 공용전원과 배터리들로의 접속을 크로스제어하는 크로스제어수단(X)을 설비하고 전원제어장치들의 각각에 자체장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설정수단(AD)을 설비하고, 상기 크로스제어수단이 선택된 하나의 시스템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절환하여 공용전원유니트들과 그에 부수된 배터리들을 2시스템에 공용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배터리테스트 및 감시가어드레스설정수단에 의해서 자체 소유시스템의 어드레스를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7. 적어도 메인전원유니트와 기능유니트가 설비되고 전원의 절단제어를 행하는 자기디스크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원유니트(720)에는 그 드라이브모듈들의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니트, 정전시에 전원을 백-업하는 배터리유니트를 설비하고 한편 기능유니트(722')에는 장해 발생등의 이력을 기록하는 제1기억수단(723)과 전원사용상태의 로그를 얻는 제2기억수단을 설비하고 시스템의 전원이 절단된때에 메인 전원유니트는 기능유니트로 백-업배터리가 정전으로 인하여 사용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BS)와 배터리로 절환한 후에 최대방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전원이 자동적으로 절단된 것을 지시하는 자동절단신호(CS)를 송출하고 다음에 메인전원유니트로부터 기능유니트로 전원절단요구신호(RS)가 송출되고 기능유니트가 전원절단의 준비를 포함하는 소정의 처리를 행한후에 전원절단허가신호(AS)를 메인파워유니트로 송출하고 기능유니트의 제2기억수단이 전원절단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백-업신호와 자동절단신호를 로그하고 제2기억수단을 참조함으로써 다음 전원투입시에 전회의 전원절단등의 전원의 사용상태를 판정하도록 자기디스크제어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단신호(CS)가 배터리의 최대방전시간의 경과후에 전원이 자동적으로 절단된 것을 통지할때에 H레벨로 설정되고 최대방전시간 경과전에 전원이 강제로 절단될때에는 L레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억수단이 상기 제1기억수단의 메모리영역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억수단이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디스크장치.
  41. 자기디스크장치의 보수판넬에 설비되어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자기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보수작업시에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또는 상위장치로부터 전원제어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을 행하는 전원 ON/OFF스위치.
    원격위치로부터 전원을 투입 및 절단할 수 있는 쪽(REMOTE)와 로칼로 전원을 투입 및 절단할 수 있는 쪽(LOCAL)간을 절환하기 위한 R/L스위치 및 R/L스위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자기디스크장치의 보수작업중에는 R/L스위치는 LOCAL쪽으로 하고 전원 ON/OFF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절단하고 보수작업후에는 R/L스위치를 REMOTE쪽으로 하고 표시수단이 표시하는 자기디스크장치.
KR1019940700248A 1992-05-26 1993-05-26 자기디스크 장치 KR97000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33891 1992-05-26
JP13389192 1992-05-26
JP92-133354 1992-05-26
JP92-133890 1992-05-26
JP13335292 1992-05-26
JP13335592 1992-05-26
JP4133787A JPH06180621A (ja) 1992-05-26 1992-05-26 電源状態表示装置
JP92-133353 1992-05-26
JP92-133352 1992-05-26
JP4133872A JPH06180622A (ja) 1992-05-26 1992-05-26 電源切断制御装置
JP92-133872 1992-05-26
JP13389092 1992-05-26
JP92-133787 1992-05-26
JP92-133355 1992-05-26
JP13335492 1992-05-26
JP13335392 1992-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398B1 true KR970006398B1 (ko) 1997-04-28

Family

ID=275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248A KR970006398B1 (ko) 1992-05-26 1993-05-26 자기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915122A (ko)
JP (1) JP3242407B2 (ko)
KR (1) KR970006398B1 (ko)
DE (4) DE4345477C2 (ko)
WO (1) WO1993024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801B1 (ko) * 1997-03-12 1999-08-02 윤종용 Usb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E29707960U1 (de) * 1997-05-02 1997-07-17 Freecom Computer Peripherie GmbH, 10997 Berlin Externes Peripheriegerät für Personalcomputersysteme
US6233693B1 (en) * 1998-05-06 2001-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DASD spin-up
EP1215672A1 (de) * 2000-12-13 2002-06-19 Markus Färber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interaktiven Lernverfahrens
US6668305B1 (en) * 2001-01-16 2003-12-2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taggered startup of hard disk drives
US7444532B2 (en) * 2001-12-03 2008-10-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power sequencing
US6888692B2 (en) * 2002-02-04 2005-05-03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ntelligent spin-up for a disk drive
JP4230189B2 (ja) 2002-10-03 2009-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その電源供給方法
JP4391192B2 (ja) 2003-10-09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2005115771A (ja) * 2003-10-09 2005-04-28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4409262B2 (ja) * 2003-11-26 2010-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制御装置、及びストレージ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4642347B2 (ja) * 2003-12-10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4497918B2 (ja) * 2003-12-25 2010-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005227988A (ja) 2004-02-12 2005-08-25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の電源バックアップ方法
JP4614050B2 (ja) * 2004-04-27 2011-01-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05346321A (ja)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のバッテリ出力制御方法
US7484055B1 (en) * 2005-06-13 2009-01-27 Sun Microsystems, Inc. Fast handling of state change notifications in storage area networks
CN201036001Y (zh) * 2007-04-13 2008-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磁盘阵列装置
JP2009129418A (ja) * 2007-11-28 2009-06-11 Hitachi Ltd ディスク制御装置とストレージシステム
CN103124376B (zh) 2008-02-25 2016-12-07 Tivo有限公司 可堆叠通信系统
JP4985750B2 (ja) * 2009-12-01 2012-07-25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8755176B2 (en) * 2011-10-12 2014-06-17 Xyratex Technology Limited Data storage system, an energy module and a method of providing back-up power to a data storage system
EP2624412A1 (de) * 2012-02-06 2013-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versorgung
JP2013168869A (ja) * 2012-02-16 2013-08-29 Ricoh Co Ltd 電子機器、画像処理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JP2016096672A (ja) * 2014-11-14 2016-05-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データ蓄積システム及び蓄電装置
US10346044B2 (en) * 2016-04-14 2019-07-0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Preloading of directory data in data storag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714A (en) * 1974-07-31 1977-08-30 Macleod Donald A Remote switch control and status indicator system
US4279020A (en) * 1978-08-18 1981-07-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ower supply circuit for a data processor
US4233666A (en) * 1978-10-19 1980-11-11 Sperry Rand Corporation Drive power sequencing
US4365290A (en) * 1979-03-12 1982-12-21 Medtronic, Inc. Computer system with power control circuit
US4312035A (en) * 1979-06-18 1982-01-19 Greene Richard E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S5794803A (en) * 1980-12-05 1982-06-12 Hitachi Ltd Adjusting meter
US4429231A (en) * 1981-11-25 1984-01-3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system for interrogation of the status of a switch
JPS59191631A (ja) * 1983-04-13 1984-10-30 Fujitsu Ltd 電源順次投入/切断装置
US4747041A (en) * 1983-06-27 1988-05-24 Unisys Corporation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which automatically activates and deactivates power to selected peripheral devices based upon system requirement
JPS608914A (ja) * 1983-06-29 1985-01-17 Fujitsu Ltd 情報記憶装置
US4620302A (en) * 1984-01-06 1986-10-28 Burroughs Corporation Programmable digital signal testing system
JPS6197730A (ja) * 1984-10-17 1986-05-16 Fujitsu Ltd 計算機システムの停電処理方式
US4649491A (en) * 1984-12-20 1987-03-10 Pitney Bowes Inc. Modular battery powered business systems
JPH0833790B2 (ja) * 1986-12-26 1996-03-29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ユ−タにおける電源遮断装置
JP2687520B2 (ja) * 1988-12-12 1997-12-08 富士通株式会社 補助バッテリのバッテリ保守装置
JP2809661B2 (ja) * 1989-01-05 199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駆動型情報処理装置、電池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
GB9016833D0 (en) * 1989-09-19 1990-09-12 Ibm Disk storage apparatus
JP2771297B2 (ja) * 1990-01-19 199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デイスク装置
US5206772A (en) * 1989-10-02 1993-04-27 Hitachi, Ltd. Magnetic disk apparatus having improved arrangement of head disk assemblies
US5317752A (en) * 1989-12-22 1994-05-31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Fault-tolerant computer system with auto-restart after power-fall
FR2659460B1 (fr) * 1990-03-08 1992-05-22 Bull Sa Sous-systeme peripherique de memoire de masse.
JP2892785B2 (ja) * 1990-07-13 1999-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起動方法
US5341493A (en) * 1990-09-21 1994-08-23 Emc Corporation Disk storage system with write preservation during power fail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45360A1 (de) 1996-06-27
US5915122A (en) 1999-06-22
DE4345360B4 (de) 2004-04-29
DE4392439C2 (de) 2002-06-13
JP3242407B2 (ja) 2001-12-25
DE4345477C2 (de) 2000-11-23
WO1993024878A1 (en) 1993-12-09
DE4392439T1 (de) 1997-07-31
US6094725A (en)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398B1 (ko) 자기디스크 장치
US5675816A (en) Magnetic disk subsystem with failsafe battery charging and power shut down
US5982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ing a power controller and a redundant power controller
US7634667B2 (en) User-configurable power architecture with hot-pluggable power modules
US73309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595718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2차 배터리 연결장치 및 방법
US8185753B2 (en) Storage medium for storing power consumption monitor program, power consumption monitor apparatus and power consumption monitor method
US5458991A (en) UPS with auto self test
US7567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power management
US7254742B2 (en) Disk array device and battery output control method for disk array device
US20100299548A1 (en) Blade server
US20100244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power states of a power device
US8049365B2 (en) Power device and power device power supply method
US95957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P381718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module, power supply device and system
US635605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esting a powerability characteristic of a backup power supply
CN111864885B (zh) 一种硬盘供电控制装置和方法
US20130198537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and computer system
CN115885327A (zh) 用于与多个电源兼容的烟雾检测器的集成电路
JP4642347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
EP0146377A1 (en) Battery testing circuit
JPH03118727A (ja) 電源装置
EP41608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voidance of undesired oscillations in an electrical grid
CN115033090A (zh) 一种电源的管理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H06335172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