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77B1 -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77B1
KR970006277B1 KR1019930007007A KR930007007A KR970006277B1 KR 970006277 B1 KR970006277 B1 KR 970006277B1 KR 1019930007007 A KR1019930007007 A KR 1019930007007A KR 930007007 A KR930007007 A KR 930007007A KR 970006277 B1 KR970006277 B1 KR 97000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witching
cam
finder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두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277B1/ko
Priority to US08/226,947 priority patent/US5751400A/en
Priority to GB9608338A priority patent/GB2299175B/en
Priority to DE4412978A priority patent/DE4412978A1/de
Priority to GB9407419A priority patent/GB2277164B/en
Priority to MYPI94000911A priority patent/MY117564A/en
Priority to CN94104494A priority patent/CN111079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77B1/ko

Links

Landscapes

  • Viewfind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인더부 절환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a,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 플레이트 및 배리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인더부 촬영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종래 기술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기술의 파인더부 시야테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종래 기술의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환노브 3 : 절환레버
6 : 연장부 6a : 고정홀
7 : 캠 플레이트 7a : 고정돌기
8, 9 : 배리어(Barrier) 10, 11 : 캠홀
12, 13, 17a, 17b, 18a, 18b : 가이드홀
14 : 파인더부 15a, 15b, 16a, 16b : 가이드 돌기
P1, P2 : 가이드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파노라마 촬영 절환 장치가 내장되어 선택적으로 절환될 때 파인더부가 함께 연동되어 피사체의 구도 범위 결정이 용이함은 물론 촬영모드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파노라마식 카메라는 옆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피사체를 시네마스코프 화면처럼 촬영하기 위한 초광시야의 카메라로 군중, 풍경, 시가지 사진 등의 촬영에 알맞도록 수평각이 100도∼160도까지 촬영할 수 있는 렌즈 회전식과, 360도 둘레를 단번에 촬영할 수 있는 반사격 회전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노라마식 카메라는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수요가 제한됨은 물론 2중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초래됨으로써 근자에는 일반 카메라에 파노라마 촬영이 구비된 카메라의 개발이 실현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제4도는 종래 기술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로서, 촬영렌즈(50)의 후단부에 필름(51)이 안내되도록 카메라 본체(52)의 상,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벽(53a)(53b)에 안착되는 파노라마 아답타(54)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파노라마 아답타(54)는 양측이 굴곡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탄성력이 구비된 고정부(54a)(54b)가 형성되어 장착시 카메라 본체(5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종래 기술의 파인더부 시야테 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야테 렌즈(55)의 중앙부에 초점조절마크(56)가 형성됨은 물론 가장자리에 브라이트 프레임(57)이 형성되어 일반 촬영시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파노라마 아답타(54) 장착시 피사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는 파노라마 프레임(5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은, 촬영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파노라마 촬영을 하고자 할 때에는 백커버(도시생략)을 개방한 후 필름(51)을 장전하기 전에 별도로 마련된 파노라마 아답타(54)를 카메라 본체(52)의 가이드 벽(53a)(53b)에 안착시킨후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면 파노라마 아답타(54)의 고정부(54a)(54b)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51)을 장전시켜 백 커버를 닫고 파인더부를 통해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여 촬영을 하게 되는 바, 파인더부의 시야테 렌즈(55)의 파노라마 프레임(58)에 맞추어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피사체의 구도 범위가 결정되면 셔터 버튼을 작동시켜 사진을 촬영하게 되는 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이 파노라마 아답타(54)에 의해 상,하측 부분이 트리밍되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와 같이 촬영자가 파노라마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필름(51)을 장전하기 전에 별도로 마련된 파노라마 아답타(54)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함은 물론 일반 촬영 도중에 파노라마 촬영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에 찬스 포착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파노라마 아답타(54)를 장착시에는 장전된 필름(51) 전체를 파노라마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자의 의도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게다가 파노라마 촬영에 따른 파인더부에 시야테 렌즈(55)에 브라이트 프레임(57)와 파노라마 프레임(58)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복잡하기 때문에 피사체 구도 범위 설정시 눈의 피로도가 증대됨은 물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현상태의 촬영모드가 어떤 상태인가를 확인할 수 없어 구도 범위 설정의 혼선을 초래하는 제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 파노라마 절환장치가 제안되어 일반촬영 및 파노라마 촬영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파노라마 촬영 절환시 파인더부가 동시에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촬영자의 촬영모드를 확인할 수 없거나 피사체 구도 범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혼선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에 파노라마 촬영 절환장치가 내장되어 선택적으로 절환될 때 파인더부가 함께 연동되어 피사체의 구도 범위 결정이 용이함은 물론 촬영모드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절환 가능한 파노라마 촬영 절환장치가 내장된 카메라에 있어서, 절환노브에 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파노라마 촬영 절환장치가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절환레버와; 상기한 절환레버와 연계되어 직선 안내됨은 물론 캠 홀이 마주보게 형성된 캠 플레이트와; 상기한 캠 플레이트의 캠 홀에 안내되어 파인더부의 촬영모드를 절환시키는 한쌍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를 제공한다.
[작용]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인더부 절환장치는, 일반촬영 상태에서 파노라마 촬영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절환노브를 파노라마 촬영위치로 절환하면, 이 절환노브에 의해 절환레버가 연동되어 카메라에 내장된 파노라마 촬영장치가 절환됨과 동시에 연장부와 연계된 캠 플레이트가 직선 안내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에 형성된 캠 홀이 원거리측에서 근거리측으로 한쌍의 배리어를 안내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한 배리어는 파인더부의 가이드 홀에 수직 안내되어 대향 작동됨에 따라 파인더부에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형성함으로써 시야테 렌즈에 파노라마 촬영모드가 나타나게 되어 피사체의 구도 범위 설정이 용이하고 현재 상태의 촬영모드가 어떤 상태인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부호(1)은 절환노브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절환노브(1)는 카메라 본체(도시생략)에 돌출되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그 일측에 돌기(2)가 형성되어 카메라에 내장된 파노라마 절환장치(도시생략)을 연동시키도록 하는 절환레버(3)와 연계되어 있다.
상기한 절환레버(3)는 카메라 본체에 마련된 가이드 핀(도시생략)에 직선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홀(4)(5)이 형성됨은 물론 일측에 후술하는 캠 플레이트 연동시키도록 연장부(6)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캠 플레이트(7)는 절환레버(3)의 연장부(6)와 연계되어 직선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한쌍의 배리어(8)(9)를 안내하도록 캠 홀(10)(11)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 플레이트(7)가 직선 안내되도록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에 마련된 가이드 핀(P1,P2)에 안내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12)(13)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본체에 가이드 홈을 상,하측에 형성하여 직선 안내하거나, 캠 플레이트(7)에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카메라 본체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여 직선 안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절환레버(3)와 캠 플레이트(7)의 연계는 캠 플레이트(7)의 일측에 절곡된 고정 돌기(7a)를 형성하여 절환레버(3)의 연장부(6)에 형성된 고정 홀(6a)에 끼워 고정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절환레버(3)의 연장부(6) 선단에 고정 돌기를 마련하여 캠 플레이트(7)에 고정 홀 등의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연계시켜도 된다.
상기한 캠 플레이트(7)의 캠 홀(10)(11)은 원호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한쌍의 배리어(8)(9)가 대향 안내되도록 일측은 멀고 타측은 근접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캠 플레이트(7)의 캠 홀(10)(11)에 안내되는 한쌍의 배리어(8)(9)는 파인더부(14)에 위치하여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표시하는 것으로, 배리어(8)(9)의 양측에 가이드 돌기(15a,15b)(16a,16b)가 마련되어 제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인더부(14)의 가이드 홀(17a,17b)(18a,18b)에 수직 안내되도록 함과 아울러 배리어(8)(9)의 일측 가이드 돌기(15a)(16a)는 캠 홀(10)(11)에 삽입 안내되도록 하여 캠 플레이트(7)의 직선 안내에 따라 배리어(8)(9)는 수직 대향 작동됨으로써 파인더부(14)의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렌즈, 20은 프리즘, 21은 브라이트 프레임(22)이 형성된 시야테 렌즈를 나타내고 있으며, 파인더부(14)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는, 촬영자가 일반 촬영을 실시하다가 파노라마 촬영을 하고자 할때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절환노브(1)를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절환시키면, 이에 연계된 절환레버(3)가 직선 안내되어 카메라에 내장된 파노라마 촬영장치가 절환됨과 동시에 절환레버(3)의 연장부(6)와 연계된 캠 플레이트(7)가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선의 위치에서 가이드 핀(P1,P2)에 의해 직선 안내되어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7)의 캠 홀(10)(11)에 삽입된 배리어(8)(9)의 가이드 돌기(15a)(16a)는 캠 홀(10)(11)의 원거리에서 근거리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파인더부(14)의 가이드 홀(17a,17b)(18a,18b)을 따라 배리어(8)(9)는 수직 대향 작동됨으로써 제2b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자는 파인더부(14)를 통해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게 되는 바, 시야테 렌즈(21)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배리어(8)(9)에 의해 일반 촬영의 브라이트 프레임(22)을 가리우고 파노라마 촬영모드가 나타나게 됨으로써 피사체의 구도 범위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는,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된 파노라마 절환장치를 외부에서 절환함과 동시에 절환레버와 연동되는 캠 플레이트의 작동에 따라 파인더부에 마련된 한쌍의 배리어가 대향 수직 안내되어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형성함으로써 파인더부를 통해 피사체의 구도 범위 설정이 용이함은 물론 촬영중 현 상태의 촬영모드가 파인더부를 통해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모드의 혼선을 야기시키지 않아 정확한 촬영을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외부에서 절환 가능한 파노라마 촬영 파노라마 촬영 절환장치가 내장된 카메라에 있어서, 절환노브(1)와 연계되어 이 노브의 이동과 함께 촬영절환 위치로 이동하는 절환레버(3)와; 1쌍의 캠홀(10)(11)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한 절환레버(3)와 연계되어 함께 직선 이동하는 캠 플레이트(7)와; 상기한 캠 플레이트(7)의 캠홀(10)(11)에 안내되어 파인더부(14)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한쌍의 배리어(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레버(3)는 캠 플레이트(7)를 연동시키도록 연장부(6)가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캠 플레이트(7)는 일측에 절곡된 고정돌기(7a)가 형성되어 절환레버(3)의 연장부(6)에 형성된 고정홀(6a)에 끼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 플레이트(7)는 직선 안내되도록 카메라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가이드 핀(P1,P2)에 안내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홀(12)(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캠 플레이트(7)의 캠홀(10)(11)은 한쌍의 배리어(8)(9)가 대향 안내되도록 일측은 멀고 타측은 근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캠홀(10)(11)은 원호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배리어(8)(9)는 파인더부(14)의 가이드 홀(17a,17b)(18a,18b)에 수직 안내되도록 함과 아울러 캠홀(10)(11)에 일측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15a,15b)(16a,16b)가 양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KR1019930007007A 1993-04-16 1993-04-26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KR97000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007A KR970006277B1 (ko) 1993-04-26 1993-04-26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US08/226,947 US5751400A (en) 1993-04-16 1994-04-13 Conversion system for a camera
GB9608338A GB2299175B (en) 1993-04-16 1994-04-14 A finder conversion system for a camera
DE4412978A DE4412978A1 (de) 1993-04-16 1994-04-14 Umstellungssystem für eine Kamera
GB9407419A GB2277164B (en) 1993-04-16 1994-04-14 A conversion system for a camera
MYPI94000911A MY117564A (en) 1993-04-16 1994-04-15 A conversion system for a camera
CN94104494A CN1110790A (zh) 1993-04-16 1994-04-16 照相机的照相模式变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007A KR970006277B1 (ko) 1993-04-26 1993-04-26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277B1 true KR970006277B1 (ko) 1997-04-25

Family

ID=1935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007A KR970006277B1 (ko) 1993-04-16 1993-04-26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27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1673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JP2580828Y2 (ja) カメラの撮影画面および視野枠サイズの切換連動機構
JP2580829Y2 (ja) 画面サイズ切替え機構を有するカメラ
JPH10268387A (ja) ファインダーの視野切替機構
US5500704A (en) Apparatus for partially intercepting light in finder of camera
KR100424570B1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KR200160373Y1 (ko) 카메라 파인더 내의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US6181881B1 (en) Field-of-view frame switching device
KR200170158Y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KR0132274Y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사진 촬영장치
JP3752036B2 (ja) ファインダの視野枠切換装置
KR101417814B1 (ko) 디지털 촬영장치
JP2562092Y2 (ja) 一眼レフカメラのファインダ構造
JPH0725790Y2 (ja) パノラマ撮影装置付きカメラ
KR970001573B1 (ko) 카메라의 하이비젼 및 파노라마 촬영 절환장치
JP2803815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装置
JPH0734419Y2 (ja) アルバダ式逆ガリレオファインダー
KR100231921B1 (ko) 비디오 카메라
JP2001343682A (ja) 外装カバーを備えた機器
JPH07175124A (ja) セルフタイマ連続撮影モードを有するカメラ
JPH04138433A (ja) カメラ
JPH0678945U (ja) 画面サイズ切替え機構を有するカメラ
JPH05142626A (ja) パノラマ撮影機能付カメラのフアインダ構造
JPH0968739A (ja) ファインダ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