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814B1 -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814B1
KR101417814B1 KR1020080019307A KR20080019307A KR101417814B1 KR 101417814 B1 KR101417814 B1 KR 101417814B1 KR 1020080019307 A KR1020080019307 A KR 1020080019307A KR 20080019307 A KR20080019307 A KR 20080019307A KR 101417814 B1 KR101417814 B1 KR 10141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liding member
projection
display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662A (ko
Inventor
황규은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촬영자가 자신을 직접 촬영하기 용이하고, 동시에 슬림형으로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일면에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그루브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제1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1그루브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부재를 갖는다.
최근,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촬영자가 피사체의 이미지 확인이 용이하도록 디지털 촬영장치 본체로부터 잡아 빼 내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디스플레이 부재가 별도의 지지용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이 지지용 부재의 타단이 촬영장치의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 디스플레이 부재의 일측이 촬영장치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구조, 및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가 본체에서 일평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 등이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부재가 별도의 지지용 부재에 연결된 구조나, 디스플레이 부재의 일측이 촬영장치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구조는 결합 구조를 위한 물리적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여, 소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결합 구조 자체 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슬림형 카메라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가 본체에서 일평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는 디스플레이 부재가 일평면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하기 때문에 촬영자가 자신을 직접 촬영(self-camera)하기 어렵고, 다각도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관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부재의 화면에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시 화면에 손상이 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촬영자가 자신을 직접 촬영하기 용이하고, 동시에 슬림형으로도 제조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그루브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제1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1그루브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그루브의 단부에 상기 제1그루브보다 깊게 형성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의 단부는 장방형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루브 내측에 상기 제1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루브의 단부에 상기 제1그루브보다 깊게 형성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루브는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상기 제2그루브들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를 눈 높이 이상으로 들고 촬영하거나, 눈 높이 아래로 내려 촬영할 때에 피사체의 이미지 확인이 더욱 용이해진다. 따라서, 공연장에서 손을 들어 무대를 찍거나, 높이 있는 물건을 찍을 때, 키가 작은 아이들을 그 눈높이에 맞게 촬영하거나 낮은 곳에 있는 물건을 찍을 때 피사체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해진다.
뿐만 아니라, 촬영자가 자신을 촬영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재의 회전을 위한 구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슬림형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기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카메라는 케이스(1), 슬라이딩 부재(2) 및 디스플레이 부재(3)를 구비한다.
케이스(1)는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에는 광학계, 각종 제어 및 저장수단들이 탑재되는 데,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구성들이 탑제될 수 있다.
케이스(1) 외면에는 파워 버튼(14), 셔터 릴리즈 버튼(15) 및 다양한 기능 버튼(16) 등 조작용 버튼 부재들이 노출되어 있고, 또,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렌즈부(17), 플래쉬(18), 및 수광부(19)가 노출되어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케이스(1)에는, 특히, 배면에 케이스(1)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된 인입부(11)를 갖는다. 상기 인입부(11)에는 슬라이딩 부재(2) 및 디스플레이 부재(3)의 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부(11)의 크기 및 형상은 슬라이딩 부재(2) 및 디스플레이 부재(3)의 조립체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입부(11)는 디스플레이 부재(3)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11)는 케이스 (1)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가 케이스 (1) 본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입부(11)의 양측 벽면에는 이 벽면을 따라 연장된 제1그루브(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그루브(12)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그루브(12)는 인입부(11)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구비되고, 인입부(11)의 전체 길이 중 일측에 위치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재(2)는 상기 인입부(11)에 안착된다. 이 슬라이딩 부 재(2)에는 양측에 한 쌍의 돌기(22)가 구비되며, 이 돌기(22)가 제1그루브(12)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는 상기 돌기(22)를 중심으로 상기 제1그루브(12)를 따라 인입부(11)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2)의 적어도 일면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라운딩부(21)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가 상기 돌기(22)를 중심으로 회동하기 쉽도록 한 것이다.
슬라이딩 부재(2)는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31)과 디스플레이 패널(3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1)은 상기 인입부(11)에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1)은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2)은 LCD패널 또는 OLED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기 제1그루브(12)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제1그루브(12)의 단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의 Ⅲ-Ⅲ, Ⅳ-Ⅳ, 및 Ⅴ-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그루브(12)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내측 바닥에 소정 깊이로 더 인입된 가이딩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부(121)는 제1그루브(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1그루브(12)의 전체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가이딩부(121)와 제1그루브(12)의 측벽 사이는 제1지지면(122)이 구비되며, 이 제1지지면(122)은 완만한 곡률의 아아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부(121)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에 형성되는 돌기(22)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다.
제1그루브(12)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제2그루브(13)가 구비된다.
제2그루브(13)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그루브(12)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돌기(22)가 이 제2그루브(13)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그 움직임을 단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그루브(13)는 제1그루브(12) 저면의 가이딩부(121)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그루브(13)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둘 이상의 장방형 그루브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그루브(13)는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가 서로 십자 형태로 교차되어 있다.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의 교차된 각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부재(3)의 회동 각도에 대응되도록 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가 90도의 각도로 교차되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부재(3)는 케이스(1)로부터 90도의 각도로 회동한다. 따라서,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의 교차된 각도를 90도 이외의 각도로 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 부재(3)의 케이스(1)로부터의 회동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는 그 폭이 가이딩부(121)의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에 후술하는 돌기(22)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제 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에서 돌기(22)의 회전이 단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는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딩부(121)의 저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에 돌기(22)가 삽입되어 돌기(22)의 회전이 단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의 사이에는 제2지지면(133)이 구비되며, 이 제2지지면(133)은 완만한 곡률의 아아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133)에 의해 돌기(22)의 단부가 제1 장방형 그루브(131)와 제2 장방형 그루브(132)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그루브(12)의 표면에는 내마모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내마모 부재를 이용해 제1그루브(12)를 포함하도록 가이드 레일부를 만들어 상기 인입부(11)의 측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슬라이딩 부재(2) 및 디스플레이 부재(3)의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은 슬라이딩 부재(2) 및 디스플레이 부재(3)의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돌기(22)의 일 예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2)는 그 양단에 한 쌍의 돌기(22)를 갖는다. 이 돌기(22)는 슬라이딩 부재(2)에 스프링(23)을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돌기(22)는 슬라이딩 부재(2) 내로 탄성 왕복 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2)의 본체(21) 단부에는 일정한 공간(2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간(212)에 돌기(22)의 단부를 결합한다.
돌기(22)는 제1부재(221), 스토퍼(223), 제2부재(224), 및 제3부재(225)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부재(221), 스토퍼(223), 제2부재(2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의 원통형 부재인 제3부재(225) 내로 제2부재(224)가 삽입되어, 제1부재(221), 스토퍼(223), 제2부재(224)가 일체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통형 부재인 제1부재(221)와 제2부재(224)의 사이에는 스토퍼(223)가 개재되며, 이 스토퍼(223)의 일면은 스프링(23)에 의해 지지되고, 타면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2) 본체(21)의 공간(212)을 형성하는 내측 벽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22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 본체(21)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3부재(225)는 슬라이딩 부재(2) 본체(21)의 공간(212) 일측의 결합부(21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기(22)의 단부, 예컨대 제1부재(221)의 단부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장방형 면(222)으로 구비되고, 이 장방형 면(222)으로부터 제1부재(221)로 이어지는 측면(223)은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22)의 단부의 장방형 면(222)의 폭은 전술한 제1그루브(12)의 가이딩부(121) 및/또는 제1,2 장방형 그루브(131)(132)의 폭에 대응되고, 돌기(22) 단부의 측면(223)은 제1그루브(12)의 제1지지면(122) 및/또는 제2지지면(133)에 대응된다.
따라서, 돌기(22)가 제1그루브(12) 내에서 제1그루브(12)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상기 장방형 면(222)이 제1그루브(12)의 가이딩부(121)에 안착되거나, 상기 돌기(22) 단부의 측면(223)이 제1그루브(12)의 제1지지면(122)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 부재(3)가 요동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돌기(22)가 제2그루브(13)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장방형 면(222)이 제1,2 장방형 그루브(131)(132)에 안착되거나, 상기 돌기(22) 단부의 측면(223)이 제2지지면(133)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 부재(3)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단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부재(2)의 본체(21)에는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홀(214)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홀(214)을 따라 각종 배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3)의 디스플레이 하우징(32)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회전축 부재(33)를 포함하며, 회전축 부재(33)는 베어링(미도시) 등을 개재하여 슬라이딩 부재(2)의 대략 중간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33)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32)용 배선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디스플레이 패널(32)용 배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32)은 회전축 부재(33)를 중심으로 180도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딩 부재(2)의 본체(21)에는 외부로 통하는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2)용 배선 또는 FPC 등이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딩 부재(2)가 돌기(22)를 중심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그루브(12)를 따라 슬라이딩해 케이스(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디스플레 이 부재(3)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를 눈 높이 이상으로 들고 촬영하거나, 눈 높이 아래로 내려 촬영할 때에 피사체의 이미지 확인이 더욱 용이해진다. 따라서, 공연장에서 손을 들어 무대를 찍거나, 높이 있는 물건을 찍을 때, 키가 작은 아이들을 그 눈높이에 맞게 촬영하거나 낮은 곳에 있는 물건을 찍을 때 피사체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해진다.
뿐만 아니라, 도 8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2)의 화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방으로 90도 접게 되면 도 9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의 전방을 향해 디스플레이 패널(32)의 화면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에는 촬영자가 자신을 촬영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32)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32)의 회전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도 180도로 뒤집어지도록 할 수 있어 촬영자가 이미지의 확인이 더욱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재(3)의 회전을 위한 구조인 슬라이딩 부재(2) 및 제1그루브(12)가 디플레이 부재(3)가 안착되는 인입부(11) 내에 배치될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슬림형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하기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인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 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고, 디지털 캠코더, 모바일 영상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1그루브의 단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슬라이딩 부재 및 디스플레이 부재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돌기의 일 예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디스플레이 부재를 회전시킨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디스플레이 부재를 회전시킨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7)

  1. 일면에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그루브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제1그루브에 삽입되고 상기 제1그루브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중간 위치에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단부에 상기 제1그루브보다 깊게 형성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의 단부는 장방형 단면을 갖도록 구비된 디지털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 내측에 상기 제1그루브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단부에 상기 제1그루브보다 깊게 형성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그루브는 상기 제1돌기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장방형으로 구비된 디지털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는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상기 제2그루브들은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된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장착된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80019307A 2008-02-29 2008-02-29 디지털 촬영장치 KR10141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07A KR101417814B1 (ko) 2008-02-29 2008-02-29 디지털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07A KR101417814B1 (ko) 2008-02-29 2008-02-29 디지털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62A KR20090093662A (ko) 2009-09-02
KR101417814B1 true KR101417814B1 (ko) 2014-07-09

Family

ID=413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307A KR101417814B1 (ko) 2008-02-29 2008-02-29 디지털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8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41Y1 (ko) * 2003-12-10 2004-02-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식 휴대폰단말기 및 회전 기구
KR20070039247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41Y1 (ko) * 2003-12-10 2004-02-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회전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식 휴대폰단말기 및 회전 기구
KR20070039247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62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965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07002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having multi-position movable display
JP2005156975A (ja) レンズ移動装置
JP2007258198A (ja) 蓋部材の支持構造及び電子機器
JP2020027178A (ja) 撮像装置および保持部
JP4481673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194735A (ja) 撮像装置
KR101417814B1 (ko) 디지털 촬영장치
JP4110268B2 (ja) カメラ
JP2015154223A (ja) 撮影装置
JP2021069129A (ja) 撮像装置
JP6911966B2 (ja) 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JP4862672B2 (ja) エレクトリック・ビュー・ファインダー装置を有する撮像装置
JP6828798B2 (ja) 撮像装置
KR101013702B1 (ko) 휴대용단말기
KR100424570B1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JP2009284082A (ja) 電子機器
JP6565520B2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4515234B2 (ja) 携帯情報端末
JP2014170151A (ja) 電子機器
JP200522738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6634751B2 (ja) 撮像装置
JP4507816B2 (ja)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付き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
JP3092543U (ja) 写真撮影装置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