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921B1 -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921B1
KR100231921B1 KR1019970050629A KR19970050629A KR100231921B1 KR 100231921 B1 KR100231921 B1 KR 100231921B1 KR 1019970050629 A KR1019970050629 A KR 1019970050629A KR 19970050629 A KR19970050629 A KR 19970050629A KR 100231921 B1 KR100231921 B1 KR 100231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eye cup
video camera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082A (ko
Inventor
문삼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0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9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피사체 확인 장치인 뷰파인더와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이 한가지 장치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액정표시부 몸체와 아이컵부 몸체로 분리 형성하고, 아이컵부 몸체는 힌지장치를 통해 액정표시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액정표시부 몸체 내부의 선단부에는 액정표시장치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눈의 피로감을 덜어 주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을 수행할 경우에는 아이컵부 몸체를 회전시켜 액정표시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또한, 아이컵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는 아이컵부 몸체를 액정표시부 몸체에 고정시켜 촬영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 뷰파인더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부품이 감소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어 촬영시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뷰파인더를 액정표시부와 아이컵부로 분리 형성하여 촬영시 액정표시장치와 아이컵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에는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2)와 뷰파인더(10)의 두 종류가 있다.
여기서, 뷰파인더(10)는 크게 비디오 카메라(1)에 틸트(tilt)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형 액정표시장치(미도시) 혹은 소형 브라운관이 설치된 몸체(11)와, 몸체(11)의 선단부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아이렌즈가 설치되고 그 단부에는 아이컵(eye cup)(13)이 부착된 아이렌즈 케이스(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비디오 카메라(1)의 촬영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정표시장치(2)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는, 촬영자의 눈을 액정표시장치(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액정표시장치(2)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면서 촬영 하게 되며, 이 방법은 촬영자의 눈이 액정표시장치(2)와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므로 촬영자의 피로감을 덜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반해, 주간에 촬영을 할 경우에는 광선에 의해 피사체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뷰파인더(1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는, 촬영자가 임의대로 뷰파인더(10)를 틸트시켜 촬영이 편리하도록 위치시키면서 촬영자의 눈을 아이컵(13)에 밀착시켜 몸체(11)의 액정표시장치에 나타난 화면을 보면서 촬영을 하게 된다. 즉, 뷰파인더(10)를 이용한 촬영은 별도 설치되는 액정표시장치(2)와 동일한 기능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뷰파인더(10)는 촬영시 촬영자의 눈을 아이컵(13)에 붙인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게 되므로 촬영자의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에 반해, 광선의 방해를 받지 않게 되어 주간에도 피사체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비디오 카메라(1)에 의하면, 피사체를 확인하게 위한 액정표시장치가 뷰파인더(10)의 내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비디오 카메라(1)에 별도 설치되는 바, 액정표시장치의 2중 장착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1)에 별도의 액정표시장치(2)와 뷰파인더(10) 두가지 장치가 설치되어 제품의 사이즈가 커짐은 물론, 중량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디지인시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아울러, 촬영시 또는 이동시 사용자로 하여금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되는 2개의 액정표시장치를 1개로 감소하며, 이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와 뷰파인더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 피사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 확인을 위한 액정표시장치와 뷰파인더중 하나의 장치를 통해 두 장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한가지의 장치를 감소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사이즈 축소 및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촬영 또는 이동을 위한 편이성을 향상시키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의 피사체 확인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뷰파인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뷰파인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뷰파인더의 록킹 장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3을 A 방향으로 바라본 확대 사시도.
도 5는 촬영시 뷰파인더의 아이컵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뷰파인더의 측면도.
도 6은 촬영시 뷰파인더에 내장된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뷰파인더의 측면도.
도 7과 도 8은 아이컵부 몸체의 결합을 위한 록킹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아이컵부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뷰파인더의 부분 절결 횡단면도이며,
도 8은 아이컵부 몸체의 회전을 위한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뷰파인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20 : 액정표시장치 30 : 액정표시부 몸체
31,43 : 힌지 보스 32 : 통공
33,74 : 스프링 고정 보스 40 : 아이컵부 몸체
41 : 아이렌즈 42 : 아이컵
44 : 걸림턱 50 : 힌지핀
60 : 코일스프링 70 : 록킹플레이트
71 : 돌출부 71a : 가이드경사면
71b : 이탈방지용턱 72 : 체결홈
80 : 조절레버 81 : 고정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에 틸트가능하게 결합되는 뷰파인더를 액정표시부 몸체와 아이컵부 몸체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 내부의 선단부에는 액정표시장치를 장착하며, 상기 아이컵부 몸체는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에 힌지수단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아이컵부 몸체와 액정표시부 몸체에 각각 형성된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보스에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에는 상기 아이컵부 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아이컵부 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의 내부에 탄설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의 외부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끼워지는 이탈방지용턱이 구비된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록킹을 해제하는 조절레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고정부를 돌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을 수행할 경우에는 아이컵부 몸체를 회전시켜 액정표시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또한, 아이컵을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는 아이컵부 몸체를 액정표시부 몸체에 고정시켜 촬영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 뷰파인더를 통해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부품이 감소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어 촬영시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되는 뷰파인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아이컵부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영시 뷰파인더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아이컵을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뷰파인더에 내장된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수행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과 도 8은 아이컵부 몸체의 결합을 위한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아이컵부 몸체의 결합을 위한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뷰파인더의 부분 절결 횡단면도이며, 도 8은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기 위해 아이컵부 몸체를 회전시킬 경우를 보인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뷰파인더는, 본체에 틸트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의 선단부에는 액정표시장치(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액정표시부 몸체(30)에 힌지장치를 통해 결합되며 내부에는 아이렌즈(41)가 장착되고 선단부에 아이컵(42)이 부착된 아이컵부 몸체(40)로 구성된다.
힌지장치는 액정표시부 몸체(30) 선단부 상측에 형성된 제 1힌지보스(31)와, 제 1힌지보스(31)와 형합되도록 아이컵부 몸체(40)에 형성된 제 2힌지보스(43)와, 각 힌지보스(31)(43)에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지는 힌지핀(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아이컵부 몸체(40)에는 아이컵부 몸체(40)를 액정표시부 몸체(30)에 결합하기 위한 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이 록킹 장치는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접촉되는 아이컵부 몸체(40)의 테두리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44)과, 액정표시부 몸체(30)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0)에 의해 탄설되며 일측 단부에는 액정표시부 몸체(30)의 외부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걸림턱(44)에 록킹 또는 해제되는 돌출부(71)가 구비된 록킹플레이트(70)이다.
돌출부(71)의 일측에는 가이드경사면(71a)이 형성되며, 가이드경사면(71a)의 단부에는 이탈방지용턱(71b)이 구비된다.
액정표시부 몸체(30)의 일측에는 록킹플레이트(7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조절레버(80)가 설치된다.
조절레버(80)의 일측에는 액정표시부 몸체(30)의 일측면에 천공된 통공(32)을 관통하면서 록킹플레이트(70)의 체결홈(72)에 끼워지는 고정부(81)가 형성된다.
조절레버(80)의 고정부(81)는 록킹플레이트(70)의 체결홈(72)에 끼워짐과 동시에 그 접촉부가 융착 결합된다.
록킹플레이트(70)와 액정표시부 몸체(30)에는 코일스프링(60)의 고정을 위한 스프링 고정 보스(74)(33)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뷰파인더에 의한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아이컵부 몸체(40)의 초기 결합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장치(30)(40)의 상부가 힌지핀(50)을 통해 고정됨과 동시에, 액정표시부 몸체(30)에 고정되어 있는 록킹플레이트(70)의 이탈방지용턱(71b)이 아이컵부 몸체(40)의 걸림턱(44)에 걸려 있게 된다. 즉,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아이컵부 몸체(40)는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선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를 통해서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아이컵부 몸체(4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촬영자의 눈을 아이컵(43)에 밀착시켜 아이렌즈(41)를 통해 액정표시부 몸체(30)의 액정표시장치(20)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면서 촬영한다.
촬영자는 촬영의 편이를 위해 액정표시부 몸체(30)를 틸트시켜 뷰파인더를 촬영자가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다.
한편, 액정표시장치(20)를 통해 촬영을 할 경우에는 액정표시부 몸체(30)에 아이컵부 몸체(40)를 고정시키고 있는 록킹장치를 해제한다.
이 작업은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80)를 누르게 되면 록킹플레이트(70)가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이컵부 몸체(40)의 걸림턱(44)에 끼워져 있는 이탈방지용턱(71b)이 걸림턱(44)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아이컵부 몸체(40)는 액정표시부 몸체(30)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아이컵부 몸체(40)를 C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아이컵부 몸체(40)는 힌지핀(50)을 중심으로 C 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이컵부 몸체(40)를 회전시킨 후 조절레버(80)를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록킹플레이트(70)와 조절레버(80)는 B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컵부 몸체(40)를 완전히 젖히게 되면 액정표시부 몸체(30)의 내부에 장착된 액정표시장치(2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20)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촬영자는 액정표시장치(20)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면서 촬영을 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촬영자의 임의대로 액정표시부 몸체(30)를 틸트시켜 그 각도를 조절하면서 촬영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20)를 보면서 촬영을 한 후, 다시 아이컵(42)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거나 혹은, 비디오 카메라를 보관할 경우에는 아이컵부 몸체(40)를 액정표시부 몸체(30)에 고정시킨다.
그 방법은 아이컵부 몸체(40)를 C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아이컵부 몸체(40)의 걸림턱(44)은 돌출부(71)의 가이드경사면(71a)을 따라 회전하면서 록킹플레이트(70)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록킹플레이트(70)가 이동하다가 이탈방지용턱(71b)이 아이컵부 몸체(40)의 걸림턱(44)에 위치되면 록킹플레이트(70)는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A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이탈방지용턱(71b)이 걸림턱(4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부 몸체(30)와 아이컵부 몸체(40)를 고정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컵(42)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거나 또는, 비디오 카메라를 보관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촬영시 액정표시부 몸체(30)의 액정표시장치(20)에 나타난 화면을 직접 보면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액정표시장치(20)에 나타난 화면을 아이컵(42)의 아이렌즈(41)를 통해 보면서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 본체에 별도의 액정표시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 뷰파인더에 의해 종래 액정표시장치를 보면서 촬영하는 기능이 수행되므로 비디오 카메라 본체에 별도의 액정표시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그 중량이 감소되므로 촬영시 또는 이동시 사용자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액정표시장치가 없어지므로 인하여 디자인의 제약이 감소되어 디자인 작업이 간편하고 쉬워지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카메라 본체에 틸트가능하게 결합되는 뷰파인더를 액정표시부 몸체와 아이컵부 몸체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 내부의 선단부에는 액정표시장치를 장착하며, 상기 아이컵부 몸체는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에 힌지수단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아이컵부 몸체와 액정표시부 몸체에 각각 형성된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보스에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에는 상기 아이컵부 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아이컵부 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의 내부에 탄설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액정표시부 몸체의 외부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끼워지는 이탈방지용턱이 구비된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록킹을 해제하는 조절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고정부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KR1019970050629A 1997-09-30 1997-09-30 비디오 카메라 KR10023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629A KR100231921B1 (ko) 1997-09-30 1997-09-30 비디오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629A KR100231921B1 (ko) 1997-09-30 1997-09-30 비디오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82A KR19990028082A (ko) 1999-04-15
KR100231921B1 true KR100231921B1 (ko) 1999-12-01

Family

ID=1952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629A KR100231921B1 (ko) 1997-09-30 1997-09-30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9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82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020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모니터 장착기구
US5739859A (en) Video camera with a rotatably mounted viewfinder
EP1001617A2 (en) Video camera
KR930004317Y1 (ko) 광학식 · 전자식 겸용 뷰파인더
JPH04287574A (ja) 液晶ファインダ付きビデオカメラ
EP1089558A1 (en) Prompter
KR100231921B1 (ko) 비디오 카메라
JP3500819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00252162B1 (ko) 비디오 카메라
JPH04309077A (ja) 液晶ファインダ付きビデオカメラ
JP3270584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装置
KR100252161B1 (ko) 비디오 카메라
KR100267239B1 (ko) 비디오 카메라
KR20030014537A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KR960009604Y1 (ko) 켐코더의 모니터겸용 뷰파인더
JPS5910847Y2 (ja) カメラ支持装置
JPH07107377A (ja) 画像入力装置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KR930008022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양방향 사용이 가능한 뷰파인더
KR970003621B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JP2001296601A (ja) アタッチメントレンズ装置
KR200160373Y1 (ko) 카메라 파인더 내의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KR100245026B1 (ko) 비디오 카메라
JPH10186456A (ja) ファインダー装置
JPS61205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