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621B1 -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621B1
KR970003621B1 KR1019930003103A KR930003103A KR970003621B1 KR 970003621 B1 KR970003621 B1 KR 970003621B1 KR 1019930003103 A KR1019930003103 A KR 1019930003103A KR 930003103 A KR930003103 A KR 930003103A KR 970003621 B1 KR970003621 B1 KR 97000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panoramic
eyepiece
panorama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177A (ko
Inventor
장승문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621B1/ko
Publication of KR94002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인더부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표시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제4도 (가)(나)는 일반 촬영시와 파노라마 촬영시의 촬영 범위도.
제5도는 종래도로서,
(가)는 파인더부의 구성도이고,
(나)는 접안렌즈를 통하여 나타나는 촬영 범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안렌즈2 : 미러렌즈
3 : 대물렌즈4 : 브라이트 프레임
5 : 반사막10 : 표시부재
11 : 절환 스위치12 : 힌지부
13 : 투시공14 : 차광판
15 : 작동판16 : 탄성부재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알바다식 투시 파인더를 사용하는 렌즈 셔터식 카메라에 있어서, 접안렌즈와 미러렌즈의 사이에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에 연동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를 개재 설치하여 일반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간의 혼동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노라마 촬영 범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카메라에 있어서, 알바다식 투시 파인더는 브라이트 프레임 파인더의 일종으로서, 시야내에 촬영 범위가 표시되는 파인더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알바다식 투시 파인더를 구성을 살펴보면 제5도(가)에서와 같이 접안렌즈(51), 미러렌즈(52), 대물렌즈(53)가 순차적으로 배열지며, 접안렌즈(51)의 내면에는 촬영 구도를 알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54)이 코팅되어진다.
따라서 사진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파인더를 통해 촬영 대상물을 투시하면 접안렌즈(51)에 코팅되어 있는 프레임(54)이 미러렌즈(52)의 코팅면(55)에 반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구도를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촬영범위를 알수 있는 프레임(54)을 코팅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일반 촬영범위(24×36)와 파노라마 촬영범위(12×36)를 표시하는 프레임(54)을 접안렌즈(51)에 코팅함으로써, 제5도(나)에서와 같이 접안렌즈(51)를 통하여 비쳐지는 일반촬영 및 파노라마 촬영범위(56)(57)가 동시에 비쳐지게 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촬영의 범위와 파노라마 촬영 범위가 동시에 비쳐지게 되면, 파인더를 투시한 상태에서 현재 일반촬영이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파노라마 촬영이 이루어지는지를 사용자 자신이 스스로 판단을 하여야 하는바, 많은 혼동을 가져오게 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카메라를 이용하기전에 반드시 현재 어떠한 촬영 상태로 조정되어 있는지를 점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충실히 수행하지 않으면 서로 뒤바뀌는 촬영범위로 사진을 촬영하는 사태까지도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간의 혼동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촬영 범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은 접안렌즈와, 후면에 반사막이 코팅된 미러렌즈와, 대물렌즈로 형성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에 있어서, 접안렌즈의 전면에 일반촬영범위를 설정하는 브라이트 프레임을 코팅하고, 상기 접안렌즈의 전측부에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와 연동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를 개개 설치하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파노라마 표시부재는 파인더부의 부피를 고려하여 볼때 상측에 힌지부를 두고 힌지식으로 동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노라마 표시부재는 힌지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측으로 힌지부를 두고 그의 하측으로 중심부에 파노라마 촬영범위를 표시하는 투시공이 형성된 차광판을 형성하고, 힌지부의 일측으로는 상기 차광판과 수직으로 작동판이 일체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파노라마 표시부재의 복귀동작이 탄발력에 의하여 이루어질수 있도록 표시부재의 힌지부에 차광판이 항시 전측 상부로 둘러져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탄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작용]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접안렌즈의 브라이트 프레임을 코팅하고, 이와는 별도로 파노라마 모양을 갖는 파노라마 표시부재를 접안렌즈의 전측에 배치함으로써, 일반 촬영 및 파노라마 촬영시 각기 다른 모양으로 비쳐져 현재의 촬영 조건을 사용자들에게 확실히 인식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일반 촬영시에는 파노라마 표시부재가 광학계의 광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접안렌즈에 코팅되는 브라이트 프레임이 대물렌즈와 미러렌즈를 통과하는 빛에 의하여 반사된후 그 빛은 다시 미러렌즈의 후면에 코팅된 반사막에 반사되어 접안렌즈를 지나 사용자들로 하여금 현재 일반촬영 조건으로 조정되어 있음을 인식케 한다.
그리고 파노라마 촬영시에는 파노라마 표시부재의 차광판이 접안렌즈의 전측면을 가리게 되므로 미러렌즈를 통과한 빛이 투시공을 제외한 부분에 반사되고, 그 빛은 다시 미러렌즈에 코팅된 반사막에 반사되어 접안렌즈를 통해 비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촬영 조건이 파노라마 촬영임을 인식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일반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시 접안렌즈를 통하여 비쳐지는 모양이 택일적으로 비쳐지므로써, 종래와 같은 혼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인더부의 구성도로서, 알바다식 투시 파인더는 공지의 접안렌즈(1)와 미러렌즈(2), 그리고 대물렌즈(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렌즈(1)(2)(3)들의 기능은 종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렌즈(1)(2)(3)들로 형성되는 파인더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접안렌즈(1)의 내면으로 일반촬영의 범위를 표시하는 브라이트 프레임(4)을 코팅하고, 이의 전측으로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에 연동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10)를 배치한 것이다.
즉, 접안렌즈(1)에 코팅되는 브라이트 프레임(4)은 공지와 같이 코팅되어 이의 브라이트 프레임(4)은 제1도에서와 같이 대물렌즈(3)와 미러렌즈(2)를 통과하는 빛에 의하여 반사된후 그 빛은 다시 미러렌즈(2)의 후면에 코팅된 반사막(5)에 반사되어 접안렌즈(1)를 지나 제4도(가)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들로 하여금 현재 일반촬영 조건으로 조정되어 있음을 인식케 한다.
상기에서 일반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브라이트 프레임(4)의 모양은 도면에 표시된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형태로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접안렌즈(1)의 전측으로 배치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10)는 접안렌즈(1)를 통하여 비쳐지는 모양이 파노라마 형태를 갖기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소정의 투시공을 갖고 접안렌즈(1)의 전측부만을 가려주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에 따라 파노라마 표시부재(10)의 작동수단은 힌지식 또는 승강식등의 어느 수단에도 구애받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힌지식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표시부재(10)는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측으로 힌지부(12)를 그의 하측으로 중심부에 파노라마 촬영범위를 표시하는 투시공(13)이 형성된 차광판(14)이 형성되고, 힌지부(12)의 일측으로는 상기 차광판(14)과 수직으로 작동판(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10)는 그의 힌지부(12)가 접안렌즈(1)의 전측 상부에 탄성부재(16)를 개재시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탄성부재(16)는 차광판(14)이 항시 전측 상부로 둘러져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파노라마 표시부재(10)의 차광판(14)은 일반 촬영상태에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파인더의 광학계 내의 광로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노라마 표시부재(10)는 작동판(15)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되는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는 미도시된 렌즈부의 파노라마 장치와 연결되어져 이의 스위치(11)를 조작하면 일반촬영 또는 파노라마 일반촬영 모드로 절환이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표시부재(10)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일반촬영 도중에 파노라마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를 도면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이의 하측단이 탄성부재(16)을 극복하면서 표시부재(10)의 작동판(15)을 일측으로 밀어주어 차광판(14)을 반시계 회전시켜 주게된다.
그러면 차광판(14)은 제3도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안렌즈(1)의 전측면을 가리게 되지만 제3도에서와 같이 미러렌즈(2)를 통과한 빛이 투시공(13)을 제외한 부분에 반사되고, 그 빛은 다시 미러렌즈(2)에 코팅된 반사막(5)에 반사되어 접안렌즈(1)를 통해 제4도(나)와 같은 모양으로 비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촬영 조건이 파노라마 촬영임을 인식케한다.
이와같은 파노라마 사진 촬영후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를 일반촬영으로 절환시키면 파노라마 표시부재(10)는 그의 힌지부(12)에 탄지된 탄성부재(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도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브라이트 프레임(4)과 파노라마 표시부재(10)의 재질은 가능한 한 반사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일예로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접안렌즈에 브라이트 프레임을 코팅하고 이의 전측부에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에 연동되는 파노라마 표시부재를 개재 설치함으로써, 일반촬영 표시와 파노라마 표시가 택일적으로 비쳐지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혼동을 유발케 하지 않고, 쉽게 파노라마 촬영 범위를 인식케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접안렌즈(1)와, 후면에 반사막(5)이 코팅된 미러렌즈(2)와, 대물렌즈(3)로 형성되는 카메라의 파인더부에 있어서, 접안렌즈(1)의 전면에 일반 촬영범위를 설정하는 브라이트 프레임(4)을 코팅하고, 상기 접안렌즈(1)의 전측부에 파노라마 절환 스위치(11)와 연동하는 투시공(13)이 형성된 차광판(14)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차광판(14)은 탄성부재(1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광판(14)은 작동판(15)이 일체로 형성되며 힌지식으로 동작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브라이트 프레임(4)과 차광판(14)은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KR1019930003103A 1993-03-03 1993-03-03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KR97000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103A KR970003621B1 (ko) 1993-03-03 1993-03-03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103A KR970003621B1 (ko) 1993-03-03 1993-03-03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177A KR940022177A (ko) 1994-10-20
KR970003621B1 true KR970003621B1 (ko) 1997-03-20

Family

ID=1935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103A KR970003621B1 (ko) 1993-03-03 1993-03-03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6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177A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478A (en) Liquid-crystal display for microscopes
JPH08271976A (ja) カメラ
US4354754A (en) Indicator device within the viewfinder of a camera
JPH01172938A (ja) 一眼レフカメラの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
US5604554A (en) Indicator with finder of single lens reflex camera
JPH049018A (ja) ファインダ装置およびファインダ装置を備えたカメラ
KR970003621B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촬영 표시장치
US4231649A (en) Viewfinder display in a single lens reflex camera
US5488446A (en) Indicator within finder of single lens reflex camera
US4519685A (en) Finder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US6516156B2 (en) Camera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5502523A (en) Inverted Galilean finder for camera
JPH04309077A (ja) 液晶ファインダ付きビデオカメラ
JP3284524B2 (ja) カメラの接写用スタンド
JPH0662287A (ja) ビデオカメラ及び映像表示装置
JP2601586Y2 (ja) アルバダ式ファインダ装置
KR100252162B1 (ko) 비디오 카메라
JPH11183990A (ja) カメラ
US20030165334A1 (en) Camera with viewfinder
JPH0470638A (ja) カメラ
JPH11153827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内表示装置
JP3372304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機構
JP3332988B2 (ja) 実像式ファインダを有したカメラ
JP3100867B2 (ja) 実像式ファインダ装置
KR100252161B1 (ko) 비디오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