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158Y1 -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158Y1
KR200170158Y1 KR2019970003163U KR19970003163U KR200170158Y1 KR 200170158 Y1 KR200170158 Y1 KR 200170158Y1 KR 2019970003163 U KR2019970003163 U KR 2019970003163U KR 19970003163 U KR19970003163 U KR 19970003163U KR 200170158 Y1 KR200170158 Y1 KR 200170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ver
camera body
slide
slid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13U (ko
Inventor
황재복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0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1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1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카메라의 촬영 화면 크기를 조절하는 파노라마 구동장치로서, 원활한 구동작용으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성을 지녀 제작상의 편리향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메라 몸체 일측부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노브와; 상기 카메라 몸체 다른 일측부에 상기 작동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하는 슬라이드 레버와; 이 슬라이드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노브의 슬라이드 운동시, 상기 슬라이드 레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컨넥션 플레이트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상기 슬라이드 레버와 연결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는 회전 레버와; 이 회전 레버의 양단으로 각기 연결 설치되어 이 회전 레버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에서 상,하 운동하게 되는 상,하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레버의 일단 및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운동시,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본 고안은 카메라의 촬영 크기 화면을 일반 모드에서 파노라마 모드로 전환시키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의해 촬영 사진 중, 파노라마 사진은 넓은 장면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촬영한 넓은 초광각 사진으로, 이러한 사진을 찍기 위해 사용자의 통상 파노라마식 카메라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파노라마식 카메라는 수평이나 수직으로 펼쳐져 있는 피사체를 시네마스코프처럼 찍기 위한 초광각의 화각을 갖는 카메라로서, 이는 크게 수평각 100~160°까지 찍을 수 있는 렌즈 회전식과 260°를 단번에 찍을 수 있는 반사경 회전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한 파노라마식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파노라마식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다.
즉, 통상의 카메라도 기능을 가지게 되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노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파노라마 기능은 통상 사용자가 촬영 화면을 일반 모드에서 파노라마 모드로 절환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몸체로 설치되는 파노라마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파노라마 구동장치에 대한 종래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시된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사용자가 파노라마 선택 노브(1)를 좌,우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상,하 파노라마라 쉴드 플레이트(3,5)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촬영 화면의 크기를 일반 모드에서 파노라마 모드 또는, 파노라마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의 상,하 이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노라마 선택 노브(1)를 도면을 기준으로 해서 볼 때,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우선 이 파노라마 선택 노브(1)에 결합되어 있는 파노라마 메인 플레이트(7)가 연동되어 상기 선택 노브(1)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파노라마 메인 프렐이트(7)의 슬라이드로 이 파노라마 메인 플레이트(7)에 결합됨은 물론, 카메라 몸체(9)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 파노라마 작동 레버(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중, 상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의 하방 운동시, 상기 하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5)는 상방으로 운동하게 되는데, 이 하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5)의 상방 운동은, 상기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에그 양단을 각기 연결하고 또한, 그 중심부를 역시 상기 카메라 몸체(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파노라마 슬라이드 레버(13)가 상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의 하방 운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연동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가 상,하 운동되면 카메라의 촬영화면 크기는 일반 모드에서 파노라마 모드로 전환되어지게 되며, 다시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가 반대 방향으로 운동되어 위치 변경되면, 촬영화면의 크기는 파노라마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바뀌게 된다.
상기에서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3,5)의 반대 방향운동은, 사용자가 상기 작동 노브(1)를 상기한 반대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볼때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상기 작동 노브의 구동에 의한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의 움직임으로 촬영화면의 크기를 조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카메라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를 구동시킴에 있어, 상기 상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는 상기 파노라마 작동 레버로, 또한 상기 하측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는 상기 파노라마 슬라이드 레버로 구동시키는 구조를 갖고있기 때문에, 그 구성은 복잡하여 카메라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될 뿐더러 상기 작동 노브로부터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켜 상기 상,하 파노라마 쉴드 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결과를 갖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 그 구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활한 구동으로 사용자의 파노라마 기능 선택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한 구성을 지녀 카메라 제작이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메라 몸체 일측부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노브와; 상기 카메라 몸체 다른 일측부에 상기 작동 노브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버와; 이 슬라이드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노브의 슬라이드 운동시, 상기 슬라이드 레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컨넥션 플레이트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슬라이드 레버와 연결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 레버의 움직에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는 회전 레버와; 이 회전 레버의 양단으로 각기 연결 설치되어 이 회전 레버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에서 상,하 운동하게 되는 상,하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레버의 일단 및 상기 카메라 몸체의 일측부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운동시, 이를 탄성적으로 지자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노라마 구동장치가 카메라 몸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노라마 구동장치가 카메라 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노라마 구동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명확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가 카메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20은 카메라 몸체를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중심부에는 사진 촬영 화면 크기를 나타내는 개구부(20a)가 형성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의한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이 개구부(2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설치되게 된다.
즉, 이의 구성에는 먼저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상,측부로 형성된 가이드 홀(20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노브(30a)가 포함되는 바, 이 작동 노브(30a)는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일측부(카메라의 후방측에 해당됨)로부터 그 양스톱핀(300a)이 상기 가이드 홀(20b)에 삽입되도록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밀착된다.
상기에서 양 스톱핀(300a)의 사이에는 나사 결합홈(320a)이 형성된 돌출부(304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또한 상기 가이드 홀(20b)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다른 일측부(카메라의 전방측에 해당됨)로 상기 작동 노브(30a)에는 슬라이드 레버(30b)와 함께 컨넥션 플레이트(30c)가 고정결합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와 컨넥션 플레이트(30c)의 내부면에는 각기 상기 스톱핀(300a)의 삽입홀(300b,300c)과 상기 나사 결합홀(302a)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 삽입홀(302b,302c)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 노브(30a)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 및 상기 컨넥션 플레이트(30c)의 상호 결합은, 우선 상기 작동 노브(30a)가 상기 몸체(20)의 일측부로 그 스톱핀(300a) 및 상기 돌출부(304a)를 상기 가이드홀(20b)에 삽입하여 상기 카메라 몸체에 밀착되면,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 및 상기 커넥션 플레이트(30c)가 그 삽입홀(300b,300c)로 상기 스톱핀(300a)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다른 일측부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 결합홀(302a)로는 상기 나사 삽입홀(302b,302c)를 통해 나사가 결합되어지므로, 이에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 및 컨넥션 플레이트(30c)는, 상기 작동 노브(30a)의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되어 이와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상기 컨넥션 플레이트(30c)의 일측단으로는 그 일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부(300d)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지지부(300d)는, 상기 작동 노브(30a)의 슬라이드 운동시, 탄성적으로 상기 카메라 몸체(20a)에 형성된 경사홈(20c)에 이동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슬라이드 레버(30b)는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레버(30d)와 연결되어지게 된다.
이 연결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의 하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04b)을 상기 회전 레버(30d)의 원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00d)에 치합시킴으로써 이루게 된다.
이에 상기한 결합 관계에 따라 상기 회전 레버(30d)는, 상기 작동 노브(30a)의 슬라이드 운동시 회전 운동을 이룰 수 있게 되는데, 이 회전 운동은 이 회전 레버(30d)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0d)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02d)이 움직임에 의해 그 회전 범위를 한정받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30d)는 상기와 같은 결합 관계를 갖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지 상태를 이루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302d)의 일측 및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형성된 고정돌기(20e)에 지지되어 장착된 탄성부재(30e)의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그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회전 레버(30d)는, 상기 개구부(20a)의 주위로 배치되는 한쌍의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관계를 위해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의 내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02d)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300f,300g)이 각기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의 일측 내부면에는, 그 상,하 운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핀(20f)이 삽입돌 수 있는 장홀(302f,302g)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와 형성되는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는, 먼저 상측 쉴드 플레이트(30f)가 그 결합홀(300f)에 상기 결합돌기(302d)를 삽입하고, 상기 장홀(302f)에는 상기 강드 핀(20f)을 삽입하여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일측부에 밀착되고 나서, 상기 하측 쉴드 플레이트(30g)가 이에 덮여져 상기 몸체(20)에 결합하게 되는데, 물론, 이때 상기 하측 쉴드 플레이트(30g)의 결합홀(300g)에는 상기와 다른 결합돌기(302d)가, 또한 그 장홀(302g)에는 상기 가이드 핀(20f)이 삽입되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는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개구부(20a)에 상응하는 개구부(300h)를 보유하여 상기 하측 쉴드 플레이트(30f)로 후방으로 덮여져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나삭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30h)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다음의 작용으로서 촬영 화면 크기를 조정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파노라마 구동장치가 카메라 몸체(20)에 장착된 상태를 카메라의 전방측에서 보고 도시한 정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한 가이드 플레이트(30h)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시된 상기 파노라마 구동장치의 상태는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가 형성하는 개구부의 크기를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개구부(20a)의 크기와 같은 즉, 카메라 촬영 화면이 일반 모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파노라마 모드로 전환하여 이루고자할 때에 사용자는 상기 작동 노브(30a)를 도면을 기준으로해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는 바, 그러면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 및 컨넥션 플레이트(30c)는 상기 작동 노브(30a)와 더불어 슬라이드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시, 상기 회전 레버(30d)는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에 의해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도면 기준)으로 회전되게 됨은 물론,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는 상기 회전 레버(30d)에 연동되면서 역시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화방및 상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한 모든 움직임은, 상기 작동 노브(30a)의 슬라이드되면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움직임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가 형성하는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한 일반 모드 크기에서 파노라마 모드에 대응하는 크기로 축소되므로, 이에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상태로서 사진 촬영을 파노라마식으로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파노라마 구동장치에 의한 파노라마 모드에서 일반모드로의 전환은, 상기한 파노라마 모드 전환 상태에서 다시 상기 작동 노브(30a)를 좌측 방향(도면기준)으로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상기한 반대 작용으로 원위치하게 됨에 따라, 이에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가 형성한느 개구부의 크기가 다시 일반 모드에 대응하게 되므로, 이에 사용자는 사진 촬영을 일반 모드식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작동 노브에 연동되는 회전 레버가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를 동시에 구동시켜 사진 촬영 화면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과에 따라 작동 노브로부터 비롯한 구동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사진 촬영 화면 크기를 조절하게 되므로, 그 전체적인 구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파노라마 구동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파노라마 기능을 갖는 카메라의 제작시, 그 제작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Claims (6)

  1. 카메라 몸체(20) 일측부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노브(30a)와; 상기 카메라 몸체(20) 다른 일측부에 상기 작동 노브(30a)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버(30b)와; 이 슬라이드 레버(30b)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 노브(30a)의 슬라이드 운동시,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를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컨넥션 플레이트(30c)와;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와 연결 설치도어 이 슬라이드 레버(30b)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하게 되는 회전 레버(30d)와; 이 회전 레버(30d)의 양단으로 각기 연결 설치되어 이 회전 레버(30d)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몸체(20)이 일측부에서 상하, 운동하게 또는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와; 상기 회전 레버(30d)의 일단 및 상기 카메라 몸체(20)의 일측부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레버(30d)의 회전 운동시,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0e)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노브(30a)는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형성된 가이드 홀(20b)에 그 일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좌,우 스톱핀(300a)이 삽입되도록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302b)는 그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300b)로 상기 각 스톱핀(300a)을 삽입시켜 상기 작동 노브(30a)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와 상기 회전 레버(30d)의 상호 결합은, 상기 슬라이드 레버(30b)의 하측면로 형성된 나사산(304b)과 상기 회전 레버(30d)의 원주 형태로 형성된 나사산(300d)이 치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의 내부면에는 상기 회전 레버(30d)의 양단에 마련된 결합돌기(302d)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300f,300g)이 각기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이 일측 내부면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핀(20f)이 삽입될 수 있는 장홀(302f,302g)이 각기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몸체(20) 일측부에는 상기 상,하 쉴드 플레이트(30f,30g)를 지지하면서 이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30h)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KR2019970003163U 1997-02-26 1997-02-26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KR200170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63U KR200170158Y1 (ko) 1997-02-26 1997-02-26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63U KR200170158Y1 (ko) 1997-02-26 1997-02-26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13U KR19980058713U (ko) 1998-10-26
KR200170158Y1 true KR200170158Y1 (ko) 2000-03-02

Family

ID=1949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163U KR200170158Y1 (ko) 1997-02-26 1997-02-26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58B1 (ko) 2009-12-1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컬 플레인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258B1 (ko) 2009-12-18 2012-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컬 플레인 셔터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US8287196B2 (en) 2009-12-18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cal plane shutter and camera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13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68983A (ja) カメラ
KR200170158Y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KR20100093781A (ko)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US5565942A (en) Camera with built-in flash
JP3500819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KR100444579B1 (ko) 캠코더의 뷰파인더 초점 조절장치
JPH0557971U (ja) 電子的撮像装置
KR100424570B1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KR100229531B1 (ko) 프로젝션 티브이
JP2580829Y2 (ja) 画面サイズ切替え機構を有するカメラ
KR200151976Y1 (ko) 캠코더의 작동키장치
JP3752037B2 (ja) ファインダの視野枠切換機構の操作装置及び中立位置を有する回動操作部材の操作装置
JP3332821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のモード切換え装置
JPH06303496A (ja) レンズカバー駆動機構
KR970006277B1 (ko) 카메라의 파인더부 절환장치
KR200150460Y1 (ko) 카메라 파인더용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JP3752036B2 (ja) ファインダの視野枠切換装置
KR200160373Y1 (ko) 카메라 파인더 내의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KR100253741B1 (ko) 에이피에스카메라의파인더내화면크기조절장치
JPH06289474A (ja) レンズの開閉機構
JPH11308489A (ja) ビューファインダの支持構造
KR20040095816A (ko) 캠코더용 뷰파인더 초점조절장치
KR19980063816U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KR200170156Y1 (ko) 카메라 파인더 내의 파노라마 전환장치
KR950024208A (ko) 프로젝터내장형 비디오카세트레코오더(v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