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65B1 -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65B1
KR970005965B1 KR1019900700361A KR900700361A KR970005965B1 KR 970005965 B1 KR970005965 B1 KR 970005965B1 KR 1019900700361 A KR1019900700361 A KR 1019900700361A KR 900700361 A KR900700361 A KR 900700361A KR 970005965 B1 KR970005965 B1 KR 970005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cetal resin
weight
poly
resin composition
ethyl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926A (ko
Inventor
마사키 구니토미
히로미쓰 이시이
요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레이가부시끼가이샤
마에다 가쓰노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가부시끼가이샤, 마에다 가쓰노스케 filed Critical 도레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구대전방지성이 있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폴리아세탈 수지는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이 균형잡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이며 자동차 부품과 전기기기와 전자기기의 기계구조부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는 체적 고유저항과 표면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지만,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고, 따라서 정전기에 의한 장해를 받기 쉬운 전기용품이나 방진용 부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각종 대전방지제를 폴리아세탈 수지에 혼합하여 폴리아세탈 수지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N,N-비스(알콕시)아민[참조:일본국 특허공고 제46-1857호]과 글리세롤과 모노지방산 및 붕산과의 에스테르[참조: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제50-151,952호]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대전방지제로서 알려져 있다.
나일론과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에티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59-191.752호]는 고분자량 대전방지제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글리콜로서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옥솔란을 폴리아세탈 수지에 혼입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참조:일본국 공개특서공보 제51-64,560호].
저분자량 대전방지제는 일본국 특허공보 제46-1857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50-151,952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대전방지제의 블리드 현상(bleeding)이 발생하여 제품의 상품가치가 저하되며, 제품을 물로 세척하는 경우, 수세척에 의해 대전방지제가 제거되어 대전방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일론 12와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59-191,752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쇄의 대전방지성이 낮고 폴리아세탈 수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불량하며 분산된 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대전방지성과 기계적 특성이 만족스럽지 않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옥솔란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51-64,560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위에서 언급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처럼 대전방지성이 불량하고 폴리아세탈 수지와의 상용성이 불량하며, 따라서 폴리아세탈 수지의 기계적 특성의 개선효과도 작고 대전방지성도 만족스럽지 않다. 이것은 (에틸렌옥사이드)단위의쇄 이외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쇄를 사용해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대전방지성이 있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폴리에테르 성분이 특정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잔기이며, 공중합 조성이 특정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아세탈 수지에 첨가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 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근거로 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대전방지성이 있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폴리아세탈 수지(A) 100중량부와 주로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된 디카복실산 성분(a), 주로 1, 4-부탄디올로 구성된 글리콜 성분(b) 및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c)로부터 유도되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디카복실레이트 단위 함량이 20 내지 95중량%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B) 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며 체적 고유저항이 1014[Ω·cm] 이하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발명의 최선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아세탈 수지(A)는 옥시메틸렌 단독 중합체와 주쇄에 85중량% 이상의 옥시메틸렌 단위 및 인접한 탄소원자를 2 내지 8개 갖는 15중량% 이하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함유하는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와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별히 중요하지 않으며, 당해 단독중합체와 공중합체는 공지으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를 제조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서는, 실질적으로 무수인 포름알데히드를 유기 아민 등의 염기성 중합촉매를 함유하는 유기 용매에 도입하고, 중합시킨 다음, 형성된 중합체를, 예를 들면,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세틸화시킴으로써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서는, 실질적으로 무수인 트리옥산과 공중합 성분(예: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1, 3-디옥솔렌)을 직접 중합시키거나 용매(예: 사이클로헥산) 중에서 루이스산 촉매(예: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레이트)를 사용하여 중합시키고, 분해시킨 다음,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불안정한 말단을 제거하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B)는 주로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경질 세그먼트(hard segment)와 주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연질 세그멘트를 포함하는 세그먼트화 블록 공중합체이다.
경질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70몰%이상의 테레프탈산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70몰%이상이 테레프탈산과 30몰%이하의 방향족 디카복실산(예: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2, 6-디카복실산, 디페닐-4, 4'-디카복실산 또는 3-설포이소프탈산), 지환족 디카복실산(예: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산 또는 이량체산)을 포함한다. 이들 공중합 성분들 중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박산 및 도데칸산이다.
경질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은 주로 1, 4-부탄디올로 구성된다. 즉, 디올 성분은 1, 4-부탄디올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50%몰 이상의 1, 4-부탄디올과 50%몰% 이하의 공중합 성분[예: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클리콜, 1, 6-헥산디올, 1, 10-데칸디올, 1, 4-디하이드록시메틸 사이클로헥산, 비스(4-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메탄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을 포함한다.
연질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 성분은 주로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된다. 경질 세그먼트의 디카복실산 성분처럼 연질 세그먼트의 디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테레프탈산 70몰%이상과 공중합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복실산을 30%몰 이하 포함한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경질 세그먼트에 대하여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디카복실산을 언급할 수 있다.
연질 세그먼트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로서는 수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2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을 사용한다. 수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5,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이 바람직하며, 영구 대전방지성과 폴리아세탈 수지와의 상용성의 견지에서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500보다 작으면 영구대전방지성이 너무 낮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00보다 크면 경질 세크먼트의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와의 상용성이 불량해서 균질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주로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경질 세그먼트와 주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연질 세그먼트[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간의 조성비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2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중량%인 비율이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20중량%보다 작은 경우, 폴리아세탈 수지와의 상용성이 불량하고 대전방지효과도 낮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95중량%보다 큰 경우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가 중합되기 어렵고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중요하지 않으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공지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테레프탈산(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a), 1, 4-부탄디올(b)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c)올정류탑이 구비된 반응용기에 넣고 대기압 또는 상승된 압력하에 에스테르화 반응(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한 다음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중합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테레프탈산(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a)과, 1, 4-부탄디올 (b)로부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c)을 올리고모에 가한 다음 대기압 또는 감압하에 중합시키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당 1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부이다. 첨가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양이 1중량부보다 적으면 영구대전방지효과가 불량하며, 첨가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양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아세탈 수지의 특성, 특히 기계적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중요하지 않으나, 폴리아세탈 수지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와 용융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택된다. 용융혼련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롤 훈련기 또는 일축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20 내지 280℃의 온도에서 용융훈련을 수행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아세탈 수지에 평균 분산 입자 크기가 2㎛이하, 특히 1㎛ 이하인 미립자 형태로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평균 분산 크기가 2㎛를 초과하면, 영구대전방지효과가 불량하고 종종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4급 암모늄 화합물(예: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대표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나트룸 알킬벤젠설포네이트(예: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또는 나트륨 n-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또는 유기 카복실산의 금속염으로 대표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 구조를 갖는 화합물(예: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또는 폴리옥시 에틸렌 페놀 에테르)로 대표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대전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아세탈 수지 100중량부당 0.05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혼입한다. 첨가되면 계면 활성제의 양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대전방지 보조효과가 작고, 계면활성제의 양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불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방해하지 않는 한, 공지의 장애된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 방지제, 벤조페논형 또는 장애된 아민형 내후제, 포름알데히드 소거제(예: 멜라민, 디시안디아미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 이형제(예: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 자외선 차단제(예: 산화티탄 또는 카본 블랙), 보강재(예: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티탄산칼륨 섬유), 충전제(예: 실리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 핵 형성제(예: 탈크), 난연제, 가소제, 접착 조제 및 점착제를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에 혼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열가고성 중합체 또는 열가고성 탄성중합체를 혼입시켜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은 체적고유저항이 1014[Ω·cm]이하, 바람직하게는 1013[Ω·cm]이하미며 영구대전방지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은 정전기로 인한 장해를 받기 쉬운 전기 및 전자기기용 부품과 각종 방진용 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실시예에서 모든 %와 부는 중량%와 중량부이다. 상대점도(ηr)는 용매로서 o-클로로페놀 중의 농도가 0.5%인 중합체 용액에 대하여 25℃에서 측정한 값이다. 기계적 특성, 표면고유저항(ρs), 평균 입자직경, MI값 및 융점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성형:
사출용량이 5oz인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00℃, 금형온도 80℃ 및 성형 사이클 40초에서 ASTM 1호 덤벨 시험편(dumbel specimen), 아이조드 충격시험편 및 두께가 3mm인 정사각형판을 성형한다.
기계적 특성:
위에서 언급한 사출성형에서 수득한 ASTM 1호 덤벨 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638의 방법에 따라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아이조드 충격시험편을 사용하여 ASTM D-256의 방법에 따라 충격 강도를 측정한다.
전기적 특성:
위에서 언급한 사출성형에서 수득한 정사각형 판(80mm×80mm×3mm)을 사용하여 표면 고유저항과 체적 고유저항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한 정사각형 판을 사용하여, 초기 표면 고유저항과 비등수로 10시산 처리하고 건조시킨 후의 표면 고유저항을 측정한다.
분산 입자 직경 :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폴리아세탈 수지 속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을 측정한다.
MI값 :
2160g의 하중하에 190℃의 온도에서 ASTM D-1238에 따라 MI값을 측정한다.
융점 :
10℃/min의 온도상승율에서 DSC(차동주사열량계)로 융점을 측정한다.
폴리아세탈 수지 공중합체로서 에틸렌 옥사이드와 공중합되며 MI 값이 9.0g/min이고 융점이 167℃인 중합체를 사용한다. 폴리아세탈 수지 단독중합체로서 말단이 아세틸화에 의해 안정화되고 MI 값이 9.0g/10min이며 융점이 175℃인 중합체를 사용한다.
참고예 1
나선형 리본형 교반날개가 구비된 반응용기를 79.4부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수평균분자량이 8,000인 9.84부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 54.9부의 1,4-부탄디올 및 (중합체를 기준으로) 0.05%의 티탄 테트라부톡사이드 촉매로 채우고, 혼합물을 190 내지 22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한다. 이어서, 온도를 245℃로 상승시키고, 계내의 압력을 50분에 걸쳐 1mmHg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2.5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한다. 수득한 중합체를 물 속으로 스트랜드의 형태로 압출하고, 절단하여 펠릿을 수득한다. 이 중합체를 중합체 A-1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수행하여 표 1에 기재한 조성의 중합체 A-2, A-3, A-4, A-5 및 A-6을 제조한다. 수득한 각각의 중합체의 상대점도(ηr)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예 2
반응용기를 48.7부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수평균 분자량이 500인 63.5부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 및 13.5부의 1, 4-부탄디올로 채우고, 참고예 1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수행한다. 수득한 중합체를 중합체 B-1이라고 한다. 분자량이 3,000, 8,000, 15,000 및 25,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 수평균 분자량이 1,000인 폴리옥솔란 및 분자량이 1,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을 각각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 B-2, B-3, B-4, B-5, B-6 및 B-7을 제조한다. 각각의 중합체 B-1 내지 B-7에서 경질 세그먼트/연질 세그먼트 조성비는 20/80(중량부)이다. 수득한 각각의 중합체의 상대점도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6
참고예 1 또는 2에서 수득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20부를 폴리아탈 수지 공중합체 100부에 가하고, 축 직경이 30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85℃의 실린더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혼련한다. 성형품의 특성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표 3에서 실시예 3의 결과를 비교예 1의 결과와 비교하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증가하고 체적고유저항과 표면고유저항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계적 특성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내지 11 및 비교예 8
0 내지 120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A-4)를 100부의 폴리아세탈 수지 공중합체에 첨가하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련을 수행한다. 수득한 성형제품의 물리적 특성은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표 4에서 실시예 9의 결과를 비교예 1의 결과와 비교하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증가하고 체적 고유저항과 표면 고유저항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및 13
100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A-4)와 1부의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100부의 폴리아세탈 수지 공중합체 또는 단독중합체에 가하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물을 혼련한다. 수득한 성형품의 물리적 특성은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표 5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계적 특성과 대전방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20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A-4)를 100부의 폴리아세탈 수지 공중합체에 가하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물을 혼련한다. 수득한 조성물에 있어서, 평균분자 입자 직경은 1μm이고 체적 고유저항은 5.0×10 [Ω·㎝]이며 표면 고유저항은 2.4×10 [Ω]이다.
이와는 반대로, 10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B-4)를 100부의 폴리아세탈 수지 공중합체와 혼련한 비교예 4에서는,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8μm이고, PTMG를 연질 세그먼트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한 비교예 6에서는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5μm이다.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2μm이하인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정전기에 의한 장해를 받기 쉬운 전기용품(예 : 카셋트 테이프의 기어 또는 샤프트)과 각종 방진부품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아세탈 수지(A) 100중량부와 주로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는 디카복실산 성분(a), 주로 1, 4-부탄디올로 구성되는 글리콜 성분(b) 및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20,000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c)로부터 유도되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디카복실레이트 단위 함량이 20 내지 95중량%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B) 1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여 체적 고유저항이 1014[Ω·㎝]이하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체적 고유저항이 1013[Ω·㎝]이하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5,000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글리콜의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0,000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 함량이 75 내지 95중량%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카복실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80 내지 90중량%인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를 2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C) 0.05 내지 2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KR1019900700361A 1988-06-22 1989-06-22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KR970005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386/88 1988-06-22
JP154,386 1988-06-22
JP63154386A JP2503051B2 (ja) 1988-06-22 1988-06-22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PCT/JP1989/000623 WO1989012660A1 (en) 1988-06-22 1989-06-22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926A KR900701926A (ko) 1990-12-05
KR970005965B1 true KR970005965B1 (ko) 1997-04-22

Family

ID=1558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361A KR970005965B1 (ko) 1988-06-22 1989-06-22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10823A (ko)
EP (1) EP0378700B1 (ko)
JP (1) JP2503051B2 (ko)
KR (1) KR970005965B1 (ko)
DE (1) DE68911122T2 (ko)
WO (1) WO1989012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83B2 (ja) * 1990-04-16 1995-04-1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H048769A (ja) * 1990-04-27 1992-01-13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帯電防止性及びイオン導伝性樹脂組成物
JPH07138467A (ja) * 1993-11-15 1995-05-30 Nippon G Ii Plast Kk 帯電防止性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US6140405A (en) * 1998-09-21 2000-10-31 The B. F. Goodrich Company Salt-modified electrostatic dissipative polymers
JP2001262073A (ja) * 2000-03-01 2001-09-26 Clariant Gmbh 着色粉体塗装材料の製造
KR100553396B1 (ko) * 2002-12-31 2006-02-16 주식회사 코오롱 자동차의 스피커 그릴용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EP1494207B1 (de) * 2003-06-17 2005-10-19 Hans-Peter Wilfer Wandhalter für wenigstens einen Hals oder eine ähnliche Verjüngung aufweisendes Musikinstrument, insbesondere eine Gitarre oder Bassgitarre
US20090220719A1 (en) * 2005-09-16 2009-09-03 Jeremy Klug Low fuel-permeable thermoplastic vessels based on polyoxymethylene
JP2010241939A (ja) * 2009-04-03 2010-10-2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16B2 (ko) * 1974-05-31 1982-03-31
DE2449343B2 (de) * 1974-10-17 1978-06-08 Hoechst Ag, 6000 Frankfurt Formmasse auf der Basis von Oxymethylenpolymeren
US4117033A (en) * 1976-12-10 1978-09-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oxymethylene/copolyether-ester blends
DE2818240A1 (de) * 1978-04-26 1979-11-08 Hoechst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oxymethylenen
JPS59191752A (ja) * 1983-04-15 1984-10-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アセタ−ル樹脂組成物
US4605591A (en) * 1983-10-27 1986-08-12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film laminate and production thereof
US4596616A (en) * 1984-06-05 1986-06-24 Tokyo Men's Apparel Corp. Method of basting in the tailoring of clothes
JPS6131453A (ja) * 1984-07-24 1986-02-13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JPH0737557B2 (ja) * 1986-08-21 1995-04-2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JPS63110245A (ja) * 1986-10-28 1988-05-14 Toray Ind Inc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
US4983660A (en) * 1987-12-25 1991-01-08 Mitsubishi Rayon Company Lt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10823A (en) 1994-05-10
JP2503051B2 (ja) 1996-06-05
KR900701926A (ko) 1990-12-05
JPH024849A (ja) 1990-01-09
WO1989012660A1 (en) 1989-12-28
EP0378700A1 (en) 1990-07-25
EP0378700A4 (en) 1990-10-10
DE68911122T2 (de) 1994-03-31
EP0378700B1 (en) 1993-12-01
DE68911122D1 (de) 199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1879A (en) Poly(alkylene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oligomeric polyester and segmented copolyester-polyether elastomer
GB1580348A (en) Filler reinforced moulding compositions
KR100238505B1 (ko) 고 충격 폴리에스테르/에틸렌 코폴리머 블렌드
KR970005965B1 (ko)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KR20060134052A (ko) 블록 코폴리에터에스터 엘라스토머 및 그의 제조방법
EP0528462A1 (en) Solvent-resistant polycarbonate-polyester blends with improved impact properties
KR20040061766A (ko)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2020003625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58941B2 (ko)
US5780574A (en) Flame-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S63264661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1999047604A1 (en) A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polyester moulded articles, and said moulded articles
KR960011008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116860B2 (ko)
KR940000632B1 (ko)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H02199159A (ja)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3061797B1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960001226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H04168144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H04366161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9990081314A (ko) 폴리옥시메틸렌의 수지조성물
JPH02166150A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S5916805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1000207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JP200032788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