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075Y1 -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075Y1
KR970004075Y1 KR2019950010686U KR19950010686U KR970004075Y1 KR 970004075 Y1 KR970004075 Y1 KR 970004075Y1 KR 2019950010686 U KR2019950010686 U KR 2019950010686U KR 19950010686 U KR19950010686 U KR 19950010686U KR 970004075 Y1 KR970004075 Y1 KR 970004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seat
cushion member
guide hole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871U (ko
Inventor
박수용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10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075Y1/ko
Publication of KR960036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Leg Rest)장치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레그레스트가 자동차 시트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c)는 수납된 상태로부터 레그레스트가 전방으로 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그레스트장치 12 : 시트(Seat)
14 : 수납공간 16 : 스크류봉
18 : 쿠션부재 20 : 관통공
22 : 안내공 24 : 가이드브라켓
26 : 고정핸들 26a : 원통보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의 레그레스트(Leg Rest)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 하부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탑승자 스스로 앞쪽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30∼50cm의 높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무릅이 세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장시간 자동차를 이용하는 경우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탑승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하부에 전후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탑승자 스스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장시간 탑승시에 탑승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하부에 전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에는 전단부가 하향절곡되며, 후단 양측면에는 바깥쪽으로 스크류봉이 돌설된 육면체 형태의 쿠션부재가 수납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시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그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면상에 상기 쿠션부재상의 스크류봉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상의 안내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스크류봉에는 고정핸들이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레그레스트장치(10)는 자동차 시트(12)의 하부에 전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수납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4)에는 전단부가 하향절곡되며 후단양측면에는 바깥쪽으로 소정길이의 스크류봉(16)이 돌설된 육면체형태의 쿠션부재(18)가 수납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4)을 형성하는 시트(12)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14)과 연통되는 관통공(20)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그 관통공(2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면상에 상기 쿠션부재(18)상의 스크류봉(16)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안내공(22)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24)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24)상의 안내공(22)을 통하여 끼워지는 스크류봉(16)에는 고정핸들(26)의 내면에 돌설된 원통보스(26a)가 나사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안내공(22)은 그 선단부에 뒷쪽으로 향하는 소정기울기의 경사부(22a)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자동차 시트(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4)의 내부에 쿠션부재(18)가 수납되고, 그 쿠션부재(18)의 양측면 후단으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시트(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0)과 상기 (12)의 외측 양측면에 장착된 가이드브라켓(24)상의 안내공(22)을 통하여 끼위진 스크류봉(16)에는 바깥쪽으로부터 장착되는 고정핸들(26)의 내면에 돌설된 원통보스(26a)가 나사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제2도 및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4)의 내부에 선단부가 하향절곡된 육면체형태의 쿠션부재(18)가 수납되고, 그 쿠션부재(18)의 양측면 후단으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시트(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0)과 상기 시트(12)의 외측 양측면에 장착된 가이드브라켓(24)상의 안내공(22)을 통하여 끼워진 스크류봉(16)에는 바깥쪽으로부터 장착되는 고정핸들(26)의 내면에 돌설된 원통보스(26a)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초기 상태에서 탑승자가 필요에 의하여 쿠션부재(18)를 앞쪽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탑승자가 상기 고정핸들(26)을 정해진 방향으로 돌려 그 고정핸들(26)의 내면과 가이드브라켓(24)의 외측면사이의 밀착정도를 완화시키면, 쿠션부재(18)가 미끄럼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상기 고정핸들(26)을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상기 쿠션부재(18)상의 스크류봉(16)과 고정핸들(26)의 원통보스(26a)사이의 결합부분이 가이드브라켓(24)상의 안내공(22)을 따라 앞으로 미끄럼이동되어 쿠션부재(18) 전체가 앞쪽으로 인출되고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핸들(26)을 잠그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탑승자가 쿠션부재(18) 전체를 앞쪽으로 완전히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약간 풀어진 상태의 고정핸들(26)을 잡고 앞쪽으로 완전히 당기면 상기 쿠션부재(18)상의 스크류봉(16)과 고정핸들(26)의 원통보스(26a) 사이의 결합부분이 안내장공(22)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부(22a)을 따라 윗쪽으로 이동되고, 이상태에서 다시 고정핸들(26)을 잠그면,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18)가 차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위치되고 탑승자가 그 쿠션부재(18)상에 다리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사용상태에서, 다시 쿠션부재(18)를 원래위치로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고정핸들(26)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뒷쪽으로 밀면 쿠션부재(18)가 인출시와는 반대로 뒷쪽으로 미끄럼이동 되어 수납공간(14)내부에 완전히 수납되고, 다시 고정핸들(26)을 잠그면 수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쿠션부재가 자동차의 시트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후 자유자재로 미끄럼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간편하며, 장시간 탑승시에 탑승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12)의 하부에 전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수납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4)에는 전단부가 하향절곡되며 후단양측면에는 바깥쪽으로 소정길이의 스크류봉(16)이 돌설된 육면체형태의 쿠션부재(18)가 수납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4)을 형성하는 시트(12)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14)과 연통되는 관통공(20)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그 관통공(2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면상에 상기 쿠션부재(18)상의 스크류(16)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안내공(22)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24)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24)상에 안내공(22)을 통하여 끼워지는 스크류봉(16)에는 고정핸들(26)의 내면에 돌설된 원통보스(26a)가 나사결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22)은 그 선단부에 윗쪽으로 향하는 소정기울기의 경사부(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KR2019950010686U 1995-05-19 1995-05-19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KR970004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686U KR970004075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686U KR970004075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871U KR960036871U (ko) 1996-12-16
KR970004075Y1 true KR970004075Y1 (ko) 1997-04-29

Family

ID=1941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686U KR970004075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1087A1 (en) * 2019-06-25 2022-02-1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1087A1 (en) * 2019-06-25 2022-02-1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US11679707B2 (en) * 2019-06-25 2023-06-20 Yanfeng Adient Seating Co., Ltd. Inbuilt seat leg support an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87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561B2 (en) Device comprising a removable sliding central console
KR960033882A (ko) 일체형 부스터 좌석 및 호환 모듈을 갖는 차량용 좌석
CN101442923B (zh) 人形儿童汽车安全座椅
KR20210121165A (ko) 어린이 안전 시트 조립체
KR970004075Y1 (ko) 자동차 시트의 레그레스트장치
JP200316538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GB2266839A (en) Safety seat for children
JP2550172Y2 (ja) 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カバー
JPH11321419A (ja) 車両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装置
KR100483127B1 (ko) 자동차용 매트리스
JPH0333535Y2 (ko)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JPH0333534Y2 (ko)
KR0132839Y1 (ko)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JPS6332063Y2 (ko)
KR10046114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960000182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면적조절장치
JP2001270361A (ja) 車両用シート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JPH063572Y2 (ja) 身体障害者等用自動車における乗席の足置板
KR0129875Y1 (ko) 버스시트의 풋레스트 거리조절장치
KR19990006424U (ko) 자동차의 승객용 풋 레스트 장치
KR0139650Y1 (ko) 자동차용 발판구조
JPH0746633Y2 (ja) ジェット推進艇の背もたれ構造
KR960009591Y1 (ko) 자동차 의자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