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148B1 -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148B1
KR100461148B1 KR10-2002-0063751A KR20020063751A KR100461148B1 KR 100461148 B1 KR100461148 B1 KR 100461148B1 KR 20020063751 A KR20020063751 A KR 20020063751A KR 100461148 B1 KR100461148 B1 KR 10046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auxiliary
rotary
expa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036A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슬라이드쿠션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방식 대신에, 록킹수단이 구비된 회전형태의 회전쿠션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간단한 회전용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쿠션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그 메인쿠션과 회전쿠션 사이의 빈공간을 메움으로써, 자동차의 추돌사고 시 또는 급정거 시에 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조쿠션 적용으로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Extensible apparatus of seat-cusio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슬라이드쿠션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방식 대신에, 록킹수단이 구비된 회전형태의 회전쿠션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간단한 회전용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쿠션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그 메인쿠션과 회전쿠션 사이의 빈공간을 메움으로써, 자동차의 추돌사고 시 또는 급정거 시에 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조쿠션 적용으로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리어시트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이렇게 리어시트가 일정폭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탑승 시간이 한두시간 정도로짧은 경우에는 피로감을 느낄 수 없지만 장시간을 탑승하게 될 경우에는 그 앉은 자세에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불편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앉아 있게 하는 것 보다 눕혀 놓는 것이 안전한데 이 경우 리어시트의 시트쿠션과 프론트시트의 시트백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어린아이가 떨어질 위험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노약자의 경우에는 시트쿠션에 앉아 있는 것 보다 시트쿠션 위로 다리를 올려 놓거나 길게 뻗고 있는 것이 편리한데 대부분의 자동차는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폭이 좁기 때문에 다리를 올려 놓거나 길게 뻗을 수 없어 장거리 여행 등 자동차를 장시간 운행하게 될 때 뒷좌석에 탑승한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 편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이는 상기 시트쿠션의 안착부(200)를 횡방향으로 메인쿠션(120)과 슬라이드쿠션(110)으로 이등분하는바, 상기 슬라이드쿠션(110)이 전방으로 확장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쿠션(110)의 하단부 후면에 걸림돌기(111a)가 형성된 삽입봉(111)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쿠션(110)의 저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판부재의 가이드 커버(130)가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가이드 커버(130)의 전방 측면에는 상기 시트쿠션(100)이 확장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131a)이 형성된 튜브(1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는 슬라이드쿠션(110)을 확장한 후 상기 슬라이드쿠션(110)과 메인쿠션(120) 사이에 100㎜정도의 갭이 발생하여 허벅지 함몰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자동차의 추돌사고 시 또는 급정거 시, 슬라이드쿠션(11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종아리 뒷부분에 충격을 가하여 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리를 시트쿠션(100)에 올려 놓거나 또는 길게 뻗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의 슬라이드쿠션(110)을 전방으로 이동,확장시키는 방식 대신에, 록킹수단이 구비된 회전형태의 회전쿠션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간단한 회전용 보조쿠션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쿠션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그 메인쿠션과 회전쿠션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움으로써, 자동차의 추돌사고 시 또는 급정거 시에 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조쿠션 적용으로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 전,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기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기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쿠션 11 : 보조쿠션
12 : 베이스 패널 13a,13b : 힌지축
14 : 제1브라켓 15 : 제2브라켓
16 : 수평면 17 : 스트라이커
18 : 훅 19 : 와이어
20 : 손잡이 21 : 가이드부
22 : 힌지축 23a : 토션 스프링
23b : 복원 스프링 30 : 메인쿠션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100)의 폭을 확장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에 있어서,
메인쿠션(30)의 선단부에 회전쿠션(10)과 보조쿠션(11)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쿠션(30)의 절개부위에 설치된 베이스 패널(12)과;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선부와 후부에 상기 회전쿠션(10)과 보조쿠션(11)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축(13a,13b)을 갖는 제1브라켓(14) 및 제2브라켓(15)과;
상기 제1브라켓(14)의 힌지축(13a)에 축고정되는 동시에 한쪽으로 중심이 편향되게 형성된 회전쿠션(10)과;
상기 제2브라켓(15)의 힌지축(13b)에 축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쿠션(11)과;
상기 보조쿠션(11)의 힌지축(13b)에는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23a)과;
상기 제1브라켓(14)과 회전쿠션(1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쿠션(10)을 록킹할 수 있는 봉형상의 스트라이커(17) 및 훅(18)과;
상기 훅(18)에 형성된 힌지축(22)의 인접위치에는 복원력을 갖는 복원 스프링(23b)과;
상기 훅(18)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7)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9)가 연결된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쿠션(10)에는 상기 와이어(19)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 전,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기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기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시트쿠션을 나타낸다.
상기 시트쿠션(100)은 안착부(200)와 서포트부(3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안착부(200)는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서포트부(300)는 굴곡이 심한 노면을 주행시 탑승자의 신체가 흔들림 없이 앉아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쿠션(100)의 안착부(200)의 일부가 횡방향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된 공간에 회전쿠션(10)과 보조쿠션(11)이 장착될 수 있는 절곡된 판형상의 베이스 패널(12)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선부의 수평면(16)에는 힌지축(13a)을 갖는 제1브라켓(14)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쿠션(30)의 절개된 전면에는 힌지축(13b)을 갖는 제2브라켓(15)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절개된 빈 공간에는 상기 보조쿠션(11)이 상기 제2브라켓(15)과 힌지 결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14)은 상기 회전쿠션(10)이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브라켓(15)은 상기 보조쿠션(11)이 장착되어 있는 위치에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브라켓(14)에는 상기 회전쿠션(10)을 록킹할 수 있는 봉형상의 스트라이커(17)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17)에 록킹되는 훅(18)이 상기 회전쿠션(10) 측면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훅(18)은 와이어(19)로 연결되어 회전쿠션(10) 상부면에 돌출된 손잡이(20)에 의해 회전쿠션(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되어 그 손잡이(20)가 당기는 방향으로 와이어(19)가 당겨질 시, 상기 훅(18)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쿠션(11)은 상기 회전쿠션(10)이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 메인쿠션(30)과 회전쿠션(10) 사이에 생기는 빈 공간을 메꿔줄 수 있도록 그 빈 공간의 하단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쿠션(10)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난 후에 상기 회전용 보조쿠션(11)이 힌지축(13b)을 중심으로 메인쿠션(30) 및 회전쿠션(10)과 동일한 상부면으로 회전하여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쿠션(11)의 힌지축(13b)에는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23a)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18)에 형성된 힌지축(22)의 인접위치에 복원력을 갖는 복원 스프링(23b)이 장착되어 스트라이커(17)에 록킹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잡이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앉은 자세에 불편을 느껴 다리를 시트쿠션(100)위에 올려 놓거나 길게 뻗고자 할 경우에 먼저, 손잡이(20)를 잡아당겨 제1브라켓(14)에고정된 스트라이커(17)에서 훅(18)이 록킹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중심이 편향된 회전쿠션(10)을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회전쿠션(1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쿠션(10)의 후단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빈 공간에는 제 2브라켓(15)의 힌지축(13b)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23a)의 복원력으로 회전용 보조쿠션(11)이 상부면으로 회전하여 올라와 빈 공간에 삽입된다.
그 결과, 폭이 확장된 시트쿠션(100)의 상면은 그 전체가 평면상으로 넓게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탑승자는 그 자신이 원하는 편리한 자세로 시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임의로 시트쿠션을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회전용 보조쿠션으로 중간에 생긴 빈 공간을 메워주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추돌사고 시 또는 급정거 시에 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조쿠션 적용으로 허벅지 함몰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트쿠션(100)의 폭을 확장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에 있어서,
    메인쿠션(30)의 선단부에 회전쿠션(10)과 보조쿠션(11)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쿠션(30)의 절개부위에 설치된 베이스 패널(12)과;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선부와 후부에 상기 회전쿠션(10)과 보조쿠션(11)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축(13a,13b)을 갖는 제1브라켓(14) 및 제2브라켓(15)과;
    상기 제1브라켓(14)의 힌지축(13a)에 축고정되는 동시에 한쪽으로 중심이 편향되게 형성된 회전쿠션(10)과;
    상기 제2브라켓(15)의 힌지축(13b)에 축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패널(12)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쿠션(11)과;
    상기 보조쿠션(11)의 힌지축(13b)에는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23a)과;
    상기 제1브라켓(14)과 회전쿠션(1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쿠션(10)을 록킹할 수 있는 봉형상의 스트라이커(17) 및 훅(18)과;
    상기 훅(18)에 형성된 힌지축(22)의 인접위치에는 복원력을 갖는 복원 스프링(23b)과;
    상기 훅(18)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17)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9)가 연결된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쿠션(10)에는 상기 와이어(19)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10-2002-0063751A 2002-10-18 2002-10-18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10046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751A KR100461148B1 (ko) 2002-10-18 2002-10-18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751A KR100461148B1 (ko) 2002-10-18 2002-10-18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036A KR20040035036A (ko) 2004-04-29
KR100461148B1 true KR100461148B1 (ko) 2004-12-14

Family

ID=3733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751A KR100461148B1 (ko) 2002-10-18 2002-10-18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85B1 (ko) * 2013-07-04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쿠션 익스텐션 패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182U (ko) * 1994-06-29 1996-01-17 준 마 발 마사지 구두
JPH11151958A (ja) * 1997-11-19 1999-06-08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20020043892A (ko) * 2000-12-04 2002-06-12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030013164A (ko) * 2001-08-07 200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쿠션 인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182U (ko) * 1994-06-29 1996-01-17 준 마 발 마사지 구두
JPH11151958A (ja) * 1997-11-19 1999-06-08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KR20020043892A (ko) * 2000-12-04 2002-06-12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030013164A (ko) * 2001-08-07 2003-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쿠션 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036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3882A (ko) 일체형 부스터 좌석 및 호환 모듈을 갖는 차량용 좌석
WO2002074579A1 (en) Safety headrest for a motor vehicle
JP3619855B2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KR100461104B1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KR10046114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JP401122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112192A (ja) 座席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930006396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Head Rest) 이동장치
KR960000182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면적조절장치
JP3916763B2 (ja) バケット兼用乗降補助具付き車両用シート構造
JP2001310695A (ja) 自動車用頚部保護具
KR0132602Y1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
JPH0236753Y2 (ko)
KR200144957Y1 (ko) 시트벨트 보조장치
KR100607091B1 (ko)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960008991Y1 (ko)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JPH05220025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JP2023061235A (ja) 車載装置の固定構造
JPH0521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