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39Y1 -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39Y1
KR0132839Y1 KR2019960024208U KR19960024208U KR0132839Y1 KR 0132839 Y1 KR0132839 Y1 KR 0132839Y1 KR 2019960024208 U KR2019960024208 U KR 2019960024208U KR 19960024208 U KR19960024208 U KR 19960024208U KR 0132839 Y1 KR0132839 Y1 KR 0132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guide rod
locking plate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749U (ko
Inventor
박재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4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3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시이트 백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안내로드를 따라 전0f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30)내부에 개구부(31)를 형성하여 안내로드(10)가 수납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로드(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1)이 반복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안착부(33)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11)에 고정되는 걸림홀(23)이 형성된 걸림판(22)과, 상기 걸림판(22)의 상단에는 부착된 버튼(21)과, 상기 걸림판(22)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판(22)을 밀어주도록 구성된 탄발스프링(24)으로 구성된 릴리즈조립체(20)가 구비되어 승객의 신체조건 및 자세에 따라 암레스트를 전0f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되어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본 고안은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리어시이트 백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안내로드를 따라 전0f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그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이트는 양측 또는 일측에 암레스트가 설치되어서 차석시 편의를 도모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가 일정길이(d)를 가지고 고정되어서 사람의 체구 크기에 따라 또는 앉은 사람의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가 없으므로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람의 체형에따라 암레스트를 전0f후로 이동가능케하여 앉은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레스트가 장착된 시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의 전개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릴리즈조립체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내로드 11: 걸림홈
20: 릴리즈 조립체 21: 버튼
22: 걸림판 23: 걸림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시이트 백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부로부터 전개가능하게 구성된 암레스트에 있어서, 암레스트내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안내로드가 수납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로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반복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안착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에 고정되는 걸림홀이 형성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상단에는 부착된 버튼과, 상기 걸림판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판을 밀어주도록 구성된 탄발스프링으로 구성된 릴리즈조립체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의 전개상태 사시도로써, 본 고안은 크게 암레스트(30), 안내로드(10), 릴리즈조립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레스트(30)의 내부에는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레스트(30)의 쿠션을 고려하여 상기 개구부(31)는 하부측에 가깝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31)의 입구를 통하여 안내로드(10)가 삽입된다. 상기 안내로드(10)는 대략 ㄷ형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하단부가 안착부(33)양측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로드(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1)의 평면형상은 대략 반원형으로 직선부분이 안착부(33)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1)에 일부가 삽입되는 걸림판(22)이 구비된 릴리즈조립체(20)가 상기 개구부(31) 입구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바, 상기 릴리즈조립체(20)의 구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하우징(25)의 내부에 걸림판(22)이 스프링(24)에 의하여 상부로 밀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22)의 중앙에는 걸림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홀(23)은 하부에 직선부를 지닌 반원형의 구멍으로써 걸림홀(23)의 반경은 상기 안내로드(10)의 반경보다 조금 크다.
한편, 상기 걸림판(22)의 상단에는 버튼(21)이 부착되어있다. 따라서, 버튼(21)을 누르게 되면 걸림홀(23)의 직선부가 걸림홀(11)에서 분리되어 상기 안내로드(10)가 걸림홀(23)의 내부에서 활주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발 스프링(24)기 걸림판을 상부로 밀어올려 걸림홀(23)과 걸림홈(11)의 일부분이 맞닿게 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암레스트(30)는 상기 안내로드(10)를 따라, 전0f후로 활주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적용하게 되면 승객의 신체조건 및 자세에 따라 암레스트를 전0f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되어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리어시이트 백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착부로부터 전개가능하게 구성된 암레스트에 있어서, 암레스트(30)내부에 개구부(31)를 형성하여 안내로드(10)가 수납되게 설치하되 상기 안내로드(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1)이 반복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안착부(33)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11)에 고정되는 걸림홀(23)이 형성된 걸림판(22)과, 상기 걸림판(22)의 상단에는 부착된 버튼(21)과, 상기 걸림판(22)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판(22)을 밀어주도록 구성된 탄발스프링(24)으로 구성된 릴리즈조립체(20)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KR2019960024208U 1996-08-12 1996-08-12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KR0132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208U KR0132839Y1 (ko) 1996-08-12 1996-08-12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208U KR0132839Y1 (ko) 1996-08-12 1996-08-12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749U KR19980010749U (ko) 1998-05-15
KR0132839Y1 true KR0132839Y1 (ko) 1998-12-15

Family

ID=1946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208U KR0132839Y1 (ko) 1996-08-12 1996-08-12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749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740B2 (en) Articulated headrestraint system
US4109973A (en) Vehicle seat slide adjuster including integrally formed pawl and pawl lever
JPH0717312A (ja)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JPH08308680A (ja) 乗物用座席のレグレスト
KR0132839Y1 (ko) 연장가능한 시이트 암레스트
GB2037154A (en) Head restraints for vehicle seats
US6935686B1 (en) Mounting device for an infant's safety chair
JPH11321419A (ja) 車両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S628771Y2 (ko)
JPH0246754Y2 (ko)
KR0119895B1 (ko) 자동차용 섭동식 시트의 레버장치
JPH0220101Y2 (ko)
KR100373121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JPH03124943U (ko)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JPH0429817Y2 (ko)
KR0127068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장치
KR200162684Y1 (ko) 자동차용 가변식 실내손잡이
KR900009323Y1 (ko) 자동차용 보조석의 등받이 높이 조절 장치
KR0158182B1 (ko) 자동차의 위치 가변 콘솔박스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950008605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도어팔걸이
KR0131023Y1 (ko) 자동차시트용 아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0114457Y1 (ko) 팔걸이가 장착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