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99B1 -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99B1
KR970003399B1 KR1019930028094A KR930028094A KR970003399B1 KR 970003399 B1 KR970003399 B1 KR 970003399B1 KR 1019930028094 A KR1019930028094 A KR 1019930028094A KR 930028094 A KR930028094 A KR 930028094A KR 970003399 B1 KR970003399 B1 KR 97000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ding
transmission
line memory
leakag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700A (ko
Inventor
조익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99B1/ko
Publication of KR95002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팩스의 전송데이터 유출방지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팩시밀리의 구성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송데이터의 유출방지를 위한 전송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화상입력부 22 : 화상처리부
23 : 라인메모리 24 : 코딩/디코딩부
25 : 중앙처리장치 26 : 메모리부
27 : 프린터부 28 : 모뎀
29 : 네트워크 제어부 30 : 암호화 회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장치 및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장치를 추가 장착하지 않고 전송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팩스와 같은 화상전송장치(1)상의 전송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경우 일반 사용자에게는 공급되지 않고 관공서 또는 군사적 목적 등에 보안상의 문제로 송신 및 수신측의 팩스(1)에 비화기(5)를 별도로 장치하고 팩스(1)와 비화기(5) 사이에 팩스(1)와 비화기(5)가 정합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회로(3)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즉, 일단 팩스로 문서를 보안문제상 원하는 곳 이외의 팩스에 유출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비화기와 인터페이스회로를 별도로 부착한 후 양쪽 송, 수신측이 이미 약속된 방법으로 송, 수신을 실시하였는데, 이때의 송수신 데이터는 비화기에서 시리얼(serial) 데이터를 뒤섞은 후 모뎀(modem)에서 약속된 방법으로 보내면 수신측에서 역순으로 데이터를 풀어서 수신함으로써 원하는 곳에만 양질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며, 실제 데이터뿐만 아니라 통신에 필요한 규격화된 명령어의 경우에도 모두 비화기 장치를 통하여 뒤섞고 역순으로 풀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팩스 외에 비화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사용됨으로써 가격이 높아지고, 부피가 커서 충분한 공간확보가 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가 불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통신에 필요한 명령어까지 뒤섞어버리기 때문에 일반통신에 비해 에러 및 데이터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전송장치 내부에 암호화 회로를 추가하여 별도의 외부장치 없이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화상전송장치로도 전송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 유출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암호화 회로를 화상처리부와 라인메모리 사이에 설치하거나, 라인메모리와 코딩/디코딩부 사이에 설치하거나, 상기 코딩/디코딩부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모뎀 내부나 코딩/디코딩부 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전송모드인지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 의해 확인된 모드가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이고 임의의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값이 미리 약속된 키값중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꺼내오는 방법을 셋팅하는 과정과, 셋팅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조작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입력되는 화상입력부(11)와, 상기 화상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처리하면서 기본적인 화상보상을 수행하는 화상처리부(12)와, 상기 화상처리동안 계속적으로 이를 일시 저장하는 라인메모리(13)와, 상기 화상처리부(12)와 라인메모리(13) 사이에서 상기 화상처리부(12)의 출력신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라인메모리(13)에 저장되도록 하는 암호화 회로(20)와, 상기 라인메모리(13)를 통해 라인단위로 받은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을 실시하는 코딩/디코딩부(14)와, 상기 코딩/디코딩부(14)의 처리속도나 라인메모리(13)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속도 등과 같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5)와, 실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모뎀(18)과, 사용자의 화상전송장치와 연결된 전화망을 제어하는 전화망 제어부(19)와,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프린터(7)와 메모리부(6)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화상전송장치의 상기 화상처리부(12)와 라인메모리(13) 사이에 암호화 회로(20)를 추가하여 이 암호화 회로(20)가 상기 화상처리부(12)로부터 입력된 화상정보의 순서를 바꾸어 라인메모리(13)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화상정보의 순서를 바꾸는 규칙은 사용자가 여러 가지로 셋팅(setting)이 가능하고 이 암호화된 키(key)값에 의해 수신측에서도 암호화된 과정의 역순으로 해독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암호화 회로(20)는 상기 화상처리부(12)와 라인메모리(13) 사이뿐만 아니라 라인메모리(13)와 코딩/디코딩부(14), 코딩/디코딩부(14)와 중앙처리장치(15)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모뎀(18) 내부나 코딩/디코딩부(14) 내부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별도의 암호화 회로 없이 전송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은, 약속된 키값에 의해 라인메모리(13)로부터 중앙처리장치(15)가 정보를 가져오는 순서를 바꾸어 주는 것으로 예를 들어 A4 크기의 화상정보의 경우 한 라인의 화상 도트(dot) 수는 1728개인데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1라인을 읽었으면 순차적으로 1728번까지 상기 라인메모리(13)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때 암호화 과정을 실행하려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5)가 상기 라인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순서를 1→2→3→…→1728이 아닌 키 값에 의한 순서, 예를 들면 1→1728→2→1727→3… 등의 새로운 순서로 정보를 암호화하여 가져오고, 이에 따라 수신측에서는 암호화시킨 키값이 없이는 원래의 정보를 복구할 수 없다.
즉, 본 발명의 전송데이터의 유출방지방법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전송을 위한 일반모드인지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이고 약속된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값이 본 발명의 방법개수 내에 들어오는지 확인하여 맞으면 라인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꺼내오는 방법을 셋팅한다.
이어서 셋팅 후 송신 또는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송신이면 셋팅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조작하여 송신하고, 수신이면 역시 셋팅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해독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정보의 순서만을 바꾸거나 화상전송장치 내부에 암호화 회로를 장착하므로써 가격절감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상전송장치의 통신에 관련된 명령어는 그대로 수신측에 제공되고 데이터만 암호화함으로써 정보 유실 등의 위험 감소 및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국제전신전화위원회의 규정에 위배되지 않아 규격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할 수 있는 키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정보의 유출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암호화 회로(20)를 화상처리부(12)와 라인메모리(13) 사이에 설치하거나, 라인메모리(13)와 코딩/디코딩부(14) 사이에 설치하거나, 상기 코딩/디코딩부(14)와 중앙처리장치(15)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모뎀(18) 내부나 코딩/디코딩부(14) 내부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데이터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2. 일반전송모드인지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 의해 확인된 모드가 데이터 유출방지모드이고 임의의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키값이 미리 약속된 키값중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꺼내오는 방법을 셋팅하는 과정과, 셋팅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조작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데이터 유출방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출방지모드는 송신하고자 하는 순수 데이터에 대하여만 메모리에 기록, 독출, 코드처리시 라인단위 또는 도트단위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데이터 유출방지방법.
KR1019930028094A 1993-12-16 1993-12-16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KR97000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94A KR970003399B1 (ko) 1993-12-16 1993-12-16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094A KR970003399B1 (ko) 1993-12-16 1993-12-16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00A KR950022700A (ko) 1995-07-28
KR970003399B1 true KR970003399B1 (ko) 1997-03-18

Family

ID=1937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094A KR970003399B1 (ko) 1993-12-16 1993-12-16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700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4745B1 (en) Metho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Color Image Signals
JPH07298065A (ja) 通信装置
US20040264698A1 (en) Data encrypting device, data decoding device, image data stor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574789A (en) Encryp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encryption communication
US8290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d facsimile transmission
KR970003399B1 (ko) 전송데이타 유출방지용 화상전송장치 및 유출방지방법
EP2210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d facsimile transmission
JPS63212276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69817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40087541A (ko)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JPH099075A (ja) 暗号化画像通信装置
KR920001575B1 (ko) 암호화 및 해독장치
JPH07250249A (ja) 通信機器
JPS63212275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3381591B2 (ja) 暗号化画像通信端末装置
EP0663761A2 (en) Cipher data communications apparatus
JP296530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913984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方法
JPH0711555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装置および暗号化方法
JP2000019962A (ja) 情報通信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H0711555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装置
JPH0711554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装置および暗号化方法
JPH10301490A (ja) 暗号化方法
JPH0633903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装置および暗号化方法
Craver et al. Blink: Securing information to the last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