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541A -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541A
KR20040087541A KR1020030021979A KR20030021979A KR20040087541A KR 20040087541 A KR20040087541 A KR 20040087541A KR 1020030021979 A KR1020030021979 A KR 1020030021979A KR 20030021979 A KR20030021979 A KR 20030021979A KR 20040087541 A KR20040087541 A KR 2004008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ocument
password
encrypted
encry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석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541A/ko
Publication of KR2004008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복합기의 화상 편집 및 가공 기능을 이용해 보안문서를 암호화 및 광학 마크화하여 출력함으로써, 보안을 위한 특수 재질의 용지나 비밀 잉크 등의 사용없이 안전하게 우편, 팩스나 기타 운송업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본 데이터 또는 광학 마크화된 보안문서의 화상 데이터와, 패스워드를 포함한 사용자의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키데이터에 따라 암호화 모드 또는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광학 마크로 변환한 후 상기 패스워드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보안문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보안문서의 암호화시 암호화된 데이터를 광학 마크화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서의 보안성을 극대화하고 문서 복원시 데이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Encryption Method of Secret Document using Digital Composite Apparatus}
본 발명은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복합기의 화상 편집 및 가공 기능을 이용해 송신측에서 보안문서의 데이터를 암호화 및 광학 마크화하여 출력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복호화하여 원본문서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위한 특수 재질의 용지나 비밀 잉크 등의 사용없이 안전하게 우편, 팩스나 기타 운송업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복합기는 스캐너와 프린터 및 모뎀과 데이터 처리부 등을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스캐너로부터 스캔된 데이터 또는 모뎀을 통하여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혹은 데이터 처리부내의 저장장치 또는 기억장치에 저장함으로써, 팩스 기능과 프린터 기능 스캐너 기능 및 복사기 기능 등을 갖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하여 보안문서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특수한 재질의 용지를 사용하거나 비밀잉크를 사용하여 해당 문서를 출력한 다음 발송 또는 배달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문서의 내용에 보안을 설정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디지털 복합기의 이미지 데이터 편집 및 가공 기능을 이용하여 보안문서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여 출력함으로써,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보안문서의 암호화시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광학 마크화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서의 보안성을 극대화하고 문서 복원시 데이터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문서의 데이터 변환 과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암호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복호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키입력부 12 : 화상 입력부
13 : 화상 가공부 14 : 기억 장치부
15 : 출력부 16 : 제어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은, 원본 데이터 또는 광학 마크화된 보안문서의 화상 데이터와, 패스워드를 포함한 사용자의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키데이터에 따라 암호화 모드 또는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광학 마크로 변환한 후 상기 패스워드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광학 마크상에 기삽입된 패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광학 마크화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복합기의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는 키입력부(11)와 화상 입력부(12), 화상 가공부(13), 기억 장치부(14), 출력부(15) 및 제어부(16)로 구성된다.
키입력부(11)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암호화/복호화 모드 설정 정보 및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필요한 패스워드 등의 키데이터를 입력받고, 화상 입력부(12)는 암호화 또는 복호화 등의 잡(job) 수행을 위한 화상 데이터, 즉 보안을 위해 암호화가 요청되는 원본 문서의 데이터 또는 복호화가 요청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화상 가공부(13)는 화상 데이터의 편집 및 가공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상기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비밀키 알고리즘이나 단일키 알고리즘 등의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해 데이터 변환하여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이때, 암호화 키 및 복호화 키는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
기억 장치부(14)에는 상기 화상 가공부(13)에서 암호화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며, 출력부(15)는 상기 암호화 또는 복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부(16)는 키입력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암호화/복호화 모드 설정 정보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암호화 모드 또는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고, 암호화 모드인 경우 화상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즉 보안문서의 원본 데이터를 화상 가공부(13)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이를 암호화하고 다시 광학 마크로 변환한 후, 상기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코드화하여 상기 광학 마크에 삽입하여 기억 장치부(14)에 일시 저장하였다가출력부(15)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복호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6)는 상기 화상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된 데이터, 즉 광학 마크상에 코드화되어 삽입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상기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광학 마크화된 데이터를 화상 가공부(13)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이를 복호화하여 기억 장치부(14)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출력부(15)를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또는 복호화시 화상 가공부(13)의 데이터 변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암호화시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원본문서의 화상데이터(a)는 먼저 디지털 데이터(b)로 변환되고, 대칭키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c)로 변환된 다음 최종적으로 광학 마크(d)로 변환된다. 상기 광학 마크(d)는 2D 바코드와 같이 광학적으로 매트릭스 또는 셀 단위의 모자이크 방식으로 출력되는데 이는 복호화를 위한 화상 입력시 데이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문서 열람권이 없는 사람이 보더라도 판독이 불가능하여 문서의 보안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복호화시 데이터 변환 과정은 상기 암호화시 데이터 변환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광학 마크(d)는 먼저 암호화 상태의 디지털 데이터(c)로 변환되고, 대칭키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b)로 변환된 다음 최종적으로 원본 데이터(a)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문서 암호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제어부(16)는 키입력부(11)를 통해 모드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1).
그리고, 화상 가공부(13)를 통해 상기 입력된 원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S32),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암호화하고(S33), 다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광학 마크로 변환한다(S34).
그 후, 상기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코드화하여 상기 광학 마크상에 삽입하여 출력한다(S35,S3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문서 복호화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문서 암호화 장치의 제어부(16)는 화상 입력부(12)를 통해 광학 마크화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1)를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S41).
그리고,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를 상기 광학 마크화된 화상 데이터에 코드화 되어 삽입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복호화 과정을 진행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에러 메시지 출력과 함께 해당 동작을 종료한다(S42).
즉, 상기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6)는 화상 가공부(13)를 통해 상기 광학 마크화된 데이터를 암호화 상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S43),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데이터를 원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44,S4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복합기의 이미지 편집 및 가공 기능을 이용해 송신측에서 보안문서를 암호화하여 출력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복호화하여 원본문서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위한 특수 재질의 용지나 비밀 잉크 등의 사용없이 안전하게 우편, 팩스나 기타 운송업체를 이용하여 보안문서를 발송 또는 배달할 수 있게하여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보안문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안문서의 암호화시 암호화된 데이터를 광학 마크화하여 출력함으로써, 문서의 보안성을 극대화하고 문서 복원시 데이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본 데이터 또는 광학 마크화된 보안문서의 화상 데이터와, 패스워드를 포함한 사용자의 키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키데이터에 따라 암호화 모드 또는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원본 데이터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광학 마크로 변환한 후 상기 패스워드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마크로의 변환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셀 단위로 분리하여 모자이크 형태의 바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광학 마크상에 기삽입된 패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광학 마크화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KR1020030021979A 2003-04-08 2003-04-08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KR20040087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79A KR20040087541A (ko) 2003-04-08 2003-04-08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79A KR20040087541A (ko) 2003-04-08 2003-04-08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41A true KR20040087541A (ko) 2004-10-14

Family

ID=3736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979A KR20040087541A (ko) 2003-04-08 2003-04-08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54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68B1 (ko) * 2008-11-28 2011-05-19 주식회사 마크애니 팩스에 의해 통신되는 문서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942024B1 (ko) 2017-12-05 2019-01-31 대한민국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101942021B1 (ko) 2017-12-19 2019-01-31 대한민국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101985364B1 (ko) 2017-11-30 2019-06-04 대한민국 보안 칼라 패턴 생성 방법
KR20190066547A (ko) 2018-11-15 2019-06-13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20190074206A (ko) 2018-11-15 2019-06-27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102198965B1 (ko) 2019-12-27 2021-01-05 대한민국 색상을 이용한 전자 도면 보안 관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868B1 (ko) * 2008-11-28 2011-05-19 주식회사 마크애니 팩스에 의해 통신되는 문서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985364B1 (ko) 2017-11-30 2019-06-04 대한민국 보안 칼라 패턴 생성 방법
KR101942024B1 (ko) 2017-12-05 2019-01-31 대한민국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101942021B1 (ko) 2017-12-19 2019-01-31 대한민국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20190066547A (ko) 2018-11-15 2019-06-13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20190074206A (ko) 2018-11-15 2019-06-27 대한민국(국방부 국군인쇄창장) 보안 문서 관리 방법
KR102198965B1 (ko) 2019-12-27 2021-01-05 대한민국 색상을 이용한 전자 도면 보안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22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or receiving a secure fax
JP4217146B2 (ja) スキャナ装置、ビューア装置、画像保護方法、
US5692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ecure facsimile transmissions and certified facsimile transmissions
US20050097335A1 (en) Secure document access method and apparatus
JP200731202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2901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d facsimile transmission
KR20040087541A (ko) 디지털 복합기를 이용한 보안문서 암호화 방법
US2009013603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210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d facsimile transmission
JPH08179689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2008061164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33404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문서 보안방법
JPH099075A (ja) 暗号化画像通信装置
JP2000324095A (ja) 暗号鍵入力システム
JPH10303879A (ja) 暗号化方法
JPH06164951A (ja) 画像処理装置
KR970019336A (ko) 팩시밀리시스템의 데이타 암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80054977A (ko) 화상형성장치의 비밀문서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화상형성장치
JPH07154612A (ja) 暗号通信機能付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296990A (ja) 印刷装置
JPH10301490A (ja) 暗号化方法
JP200503348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711555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暗号化装置および暗号化方法
JP2000341538A (ja) 通信端末装置
JPH08289160A (ja) 画像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