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34B1 -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34B1
KR970003234B1 KR1019930017351A KR930017351A KR970003234B1 KR 970003234 B1 KR970003234 B1 KR 970003234B1 KR 1019930017351 A KR1019930017351 A KR 1019930017351A KR 930017351 A KR930017351 A KR 930017351A KR 970003234 B1 KR970003234 B1 KR 97000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funnel
electric field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955A (ko
Inventor
후미오 아베
고지 신가이
히로시 오꾸다
데쯔야 야마구찌
도모끼 다끼자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해결수단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에 의한 다른 형태의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음극선관장치의 전계차폐용 투명도전막에 인가하는 역위상의 교번전압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에 의한 다른 형태의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제6도의 음극선관장치의 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음극선관장치의 본체부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8도의 음극선관장치에 부착하는 편향요크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음극선관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편향요크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차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8도∼제10도를 참조해서 종래의 음극선관장치를 설명한다. 제9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본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퍼넬(1)은 네크부(1a), 콘부(1b), 고압애노드 버튼(1d)을 갖는 퍼넬본체부(1c)로 구성된다. 네크부(1a)와 콘부(1b)의 이음매는 네크실라인(1e)이라 불리운다. 퍼넬(1)의 앞쪽에는 페이스패널(2)가 플릿접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리밸브(20)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네크부(1a)에는 전자총(3)이 봉해져 있다. 상기 페이스패널(2)의 바깥둘레쪽면에는 방폭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폭밴드(4)가 감겨지고, 그 네모서리에는 유리밸브(20)을 도시하지 않은 샤시에 매달기 위한 부착 귀부(4a)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퍼넬본체부(1c)에 마련된 고압애노드 버튼(1d)의 주위에는 절연을 위한 실리콘 수직막(5)이 형성되어 있다. 또, 퍼넬본체부(1c)의 바깥쪽면에는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전막(6)은 통상 흑연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28)은 네크부(1a)와 평행한 직선으로 음극선관의 관축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해서 구성된 음극선관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한 편향요크(7)이 콘부(1b)와 네크부(1a) 사이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향요크(7)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7a), 수직편향코일(7b), 편향요크본체부(7c)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크부(1a)로 봉해진 전자총(3)에서 전자빔이 출사되면 이 출사된 전자빔은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 수직편향코일(7b)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소정량 편향되어 페이스패널(2)의 안쪽면에 형성된 형광체막상을 주사해서 바라는 화상을 비추어낸다.
또, 제11도에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한다. 이 음극선관의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는 투명도전막(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전막(21)은 도통테이프(18)에 의해 방폭밴드(4)에 또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6)에 접속된다.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6)은 접지선(29)을 통해서 접지되어 있으므로, 도전막(21)의 전위도 0V이다.
이러한 도전막(21)은 페이스패널(2)의 표면상의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사 등의 눈의 어지러움 방지를 위해서 및 편향요크(7)에서 앞쪽으로 방사되는 전파를 저감하기 위해서 마련된다(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화 61-101950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3-131180호). 그런데, 편향요크는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페이스패널의 내표면을 주사하도록 교번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이지만 그것과 동시에 교번전계를 방사하는 것이다.
근래,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니터에 관해서도 주로 편향요크에서 발사되는 교번전계에 의한 인체로의 영향이 염려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1991년에 스웨덴 국립계량 시험평의회(MPR)나 스웨덴 중앙노동평의회(TCO) 등에서는 디스플레이모니터에서 발사된 전자파에 관한 규격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 규격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써 종래의 음극선관장치는 편향요크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발생하는 교번전계를 충분히 차폐하는 조치가 취해져 있지 않고 CRT 앞면에서의 교번전계[VLF대역]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발명자 자신의 측정에 의하면 이들 교번전계[VLF대역]은 수평주파수에 의존하고 있어 수평주파수가 올라가면 교번전계[VLF대역]도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CRT의 퍼넬부 및 페이스패널부를 빠져나와 시청자에게 악영향을 주게되는 교번전계가 방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표 2](CRT : 16인치)
대전방지처리형 : 페이스플레이트상에 2.6×109 의 코팅처리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책이 곤란한 2kHz∼400kHz(이하, VLF대역이라 한다)에서의 교번전계를 저감한 CR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해결수단은 퍼넬부의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친 소정의 영역에 전계차폐용 도전막을 마련하고, 편향요크의 코일에 대해서 상기 도전막을 전기절연하기 위해 편향요크와 도전막의 간극에 자연경화 수지를 충전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은 페이스패널의 외표면에 마련된 전계차폐용 투명도전막에 바라는 전위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은 퍼넬부의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친 소정의 영역에 전계차폐용 도전막을 마련하고, 또 페이스패널의 외표면에 전계차폐용 투명도전막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해결수단에 의해 편향요크에서 방사형상으로 발사되어 관축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앞쪽으로 진행하는 교번전계는 퍼넬부에 마련한 전계차폐용 도전막으로 발산하는 즉기 차폐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에 의해 편향요크에서 발사되어 페이스패널에 도달한 교번전계는 이것을 최적하게 차폐하도록 선택된 전위에 있는 전계차폐용 도전막에 의해 양호하게 차폐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에 의해 편향요크에서 발사되어 앞쪽으로 진행하려고 하는 교번전계는 2종류의 전계차폐작용을 받아서 충분히 차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해결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퍼넬, (1a)는 네크부, (1b)는 콘부, (1c)는 퍼넬본체부, (1d)는 고압애노드 버튼, (2)는 페이스패널, (3)은 전자총, (4)는 방폭밴드, (4a)는 부착 귀부, (5)는 실리콘수지막, (6)은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 (7)은 편향요크, (28)은 관축선이다. 이들은 제8도에 도시한 종래의 음극선관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17)은 전계차폐용 도전막이다. 이 도전막(17)은 콘부(1b)에서 네크부(1a)의 바깥쪽면에 흑연을 도포해서 마련되고, 편향요크(7)의 열린구멍부를 덮는 소정의 구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막(17)은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6)에 연결되어 있고, 접지선(29)에 의해서 방폭밴드(4)를 거쳐서 접지되어 전계차폐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전막(17)과 편향요크(7)의 간극에는 전기절연을 위해 자연경화수지(30)이 충전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방폭밴드(4)를 접지하는 것에 의해서 도전막(17)의 0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편향요크(7)에서 앞쪽으로 진행하는 교번전계에 대해서 전계차폐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해서 편향요크(7)에서 발사하는 교번전계는 도전막(17)에 의해서 감쇄된다. 또,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와 도전막(17) 사이에는 자연경화수지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수평편향코일(7a)과 도전막(17)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어 방전 등의 문제나 티끌, 먼지 등에 의한 경시적인 절연성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자연경화수지로써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절연성의 것이라면 좋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퍼넬, (1a)는 네크부, (1b)는 콘부, (1c)는 퍼넬본체부, (1d)는 고압애노드 버튼, (2)는 페이스패널, (3)은 전자총, (4)는 방폭밴드, (4a)는 부착귀부, (5)는 실리콘수지막, (6)은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 (7)은 편향요크, (21)은 투명도전막, (29)는 접지선이다.
이들은 제11도에 도시한 종래의 다른 음극선관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 마련된 투명도전막(21)은 방폭밴드(4)에 접속되어 접지되어 있지 않으며 투명도전막(21)의 한쪽끝은 도선(12)을 통해서 직류전원(13a)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도선(14)을 통해서 소정의 값을 갖는 저항(15)을 거쳐서 접지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장치에서는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 마련한 투명도전막(21)에 직류전원(13a)에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투명도전막(21) 상에 바라는 등전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라는 전위는 전원(13a)와 저항(15)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종래의 투명도전막(21)은 접지되어 있었으므로 0V의 균일 전위로밖에 설정할 수 없었다. 이것에 비해서 본 발명에서는 편향요크(7)이 발사하는 교번전계의 강도, 교번주파수 및 음극선관의 동작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한 전계차폐면을 형성하기 위해 투명도전막(21)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투명도전막(21)은 투명하며, 또한 도전성이면 좋지만 페이스패널(2)의 전면에 인듐의 미립자를 첨가제로 하는 도료를 도포해서 마련해도 좋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은 제2도의 직류전원(13a) 대신에 교류전원(13b)을 사용해서 투명도전막(21)에 교번전위를 부여하도록 이룬 것이다. 이 교번전위는 제4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다. 이것은 제4도의 (a)에 도시한 편향요크(7)이 발사하는 교번전계에 대해서 역위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교번전위가 부여된 투명도전막(21)은 편향요크(7)로부터의 교번전계를 효율 좋게 차폐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퍼넬, (1a)는 네크부, (1b)는 콘부, (1c)는 퍼넬본체부, (1d)는 고압애노드 버튼, (2)는 페이스패널, (3)은 전자총, (4)는 방폭밴드, (4a)는 부착귀부, (5)는 실리콘수지막, (6)은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 (7)은 편향요크, (18)은 도통테이프, (29)는 접지선이다.
이들은 제11도에 도시한 것과 같다. (17)은 제1의 전계차폐면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막(6)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콘부(1b)에서 네크부(1a)에 걸친 소정의 구역에 흑연을 도포해서 마련된 제1의 전계차폐용의 도전막으로 편향요크의 열린구멍부 전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10)은 깔때기형상의 절연시트로써 도전막(17)과 편향요크(7)의 코일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도전막(17) 상에 뒤집어져 마련된다. 편향요크(7)는 이 깔때기형상 절연시트(7)를 거쳐서 퍼넬(1)에 부착된다. (21)은 페이스패널의 전면에 산화인듐의 미립자를 첨가제로 하는 도료를 도포해서 마련된 제2의 전계차폐용의 투명도전막이다.
이 투명도전막(21)은 도통 테이프(18)에 의해서 방폭밴드(4)에 접속되어 접지선(29)에 의해 접지된다. 상기 도전막(17)도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6)을 거쳐서 접지선(29)에 의해 접지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방폭밴드(4)를 접지하는 것에 의해 투명도전막(21) 및 도전막(17)은 0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편향요크(7)의 앞면 영역과 페이스패널(2)의 표면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각각 형성된다. 편향요크(7)에서 발사하는 교번전계는 퍼넬(1)에 형성된 제1의 전계차폐면에 의해서 감쇄되고, 또 페이스패널(2)에 형성된 제2의 전계차폐면에 의해서 감쇄된다. 또,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의 도전막(17) 사이에는 절연시트(10)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수평편향코일(7a)와 도전막(17)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어 방전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요크(7)에서 발사되는 교번전계는 퍼넬(1)과 페이스패널(2)에 형성된 다단의 전계차폐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퍼넬(1)을 투과해서 페이스패널(2)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는 발명자 자신의 측정에 의하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미대책 CRT(표 2에 도시)에 비해서 1/10 이하로 저감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을 이용해도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3](crt : 16인치)
페이스패널상에 6×104 의 코팅+퍼넬도전막처리품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퍼넬(1)의 네크부(1a)와 콘부(1b)의 이음매인 네크실라인(1e)의 부분을 피해서 콘부(1b)의 소정의 장소에만 도전막을 형성한 것이다. 즉, 제7도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면 (17)은 전계차폐면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 도전막이고, 이 도전막(17)은 흑연을 도포한 것으로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의 최대 직경(7d) 보다도 적어도 큰 직경을 갖는 퍼넬 외표면상의 원주와 네크실라인(1e)에서 관축(28) 방향으로 적어도 5mm, 페이스패널(2) 근처의 퍼넬 외면상의 원주에 대해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형성된 것이다. 또, 도전막(17)은 도통테이프(18)에 의해서 도전막(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깔때기형상의 절연시트(10)이 상기 도전막(17)을 완전히 덮는 형태, 크기로 설계되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7)와 도전막(17) 사이에 개재된다.그 위에 편향요크(7a)이 부착된다. 또, 제7도에 있어서의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의 최대 직경(7d)라는 것은 제10도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7a)을 Y-Y 평면으로 잘랐을때의 단면에 있어서의 코일 최대 직경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코일의 X-Y 단면이 타원형이라면 그 타원의 긴 직경을 가리키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방폭밴드(4)를 접지하는 것에 의해서 투명도전막(21) 및 도전막(17)은 0V의 동전위면으로 되고 편향요크(7)의 앞면 영역과 페이스패널(2)의 표면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형성된다. 편향요크(7)에서 발사하는 교변전계는 퍼넬(1)에 형성된 제1의 전계차폐면에 의해서 감쇄되고, 또 페이스패널(2)에 형성된 제2의 전계차폐면에 의해서 감쇄된다.
또,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와 도전막(17) 사이에는 절연시트(10)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수평편향코일(7a)와 도전막(17)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어 방전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요크(7)에서 발사되는 교번전계는 퍼넬부와 페이스패널부에 형성된 다단의 전계차폐의 상승효과에 의해 퍼넬부를 투과해서 페이스패널부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는 미대책 CRT에 비해서 1/10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도전막(17)의 끝부, 즉 페이스패널측은 적어도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의 최대 직경(7d) 보다도 적어도 큰 원주로 되어 있으므로 편향요크(7)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충분히 차폐할 수 있는 전계차폐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전막(17)은 네크실라인(1e)에서 관축(28) 방향으로 적어도 5mm, 페이스패널(2) 근처의 장소까지 있으므로, 네크실라인(1e)는 전기저항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해결수단에서는 편향요크에서 발사된 교번전계는 발산하는 즉시 퍼넬에 마련한 전계차폐용 도전막으로 차폐됨과 동시에 자연경화수지의 충전에 의해 절연성능이 장기적으로 충분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해결수단에서는 페이스패널 표면상의 전계차폐용의 투명도전막에 적절한 전위가 부여되므로 양호한 차폐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해결수단에서는 편향요크에서 발사된 교번전계는 퍼넬부와 페이스패널부에 형성된 다단의 전계차폐의 상승효과에 의해 충분한 차폐효과가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내부에 전자총이 봉해진 네크부, 바깥쪽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상기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된 퍼넬, 안쪽면에 형광체막을 갖고, 상기 콘부가 연결된 상기 퍼넬본체부의 한쪽끝과 대향하는 상기 퍼넬본체부의 다른쪽 끝에 연결되는 페이스패널, 상기 퍼넬에 상기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 끼워 만들어지고,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내장한 코일에 의해서 편향하는 편향요크, 상기 퍼넬의 바깥쪽면으로써 상기 편향요크가 끼워 만들어지는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소정의 영역에 마련된 전계차폐용 도전막,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수단 및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내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편향요크의 간극에 충전되는 자연경화수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의 전기적인 접속 및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 마련된 접지선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또, 상기 페이스패널의 바깥둘레측면에 방폭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폭밴드를 마련하고,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서 상기 방폭밴드를 거쳐서 접지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4. 내부에 전자총이 봉해진 네크부, 바깥쪽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상기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 안쪽면에 형광체막을 갖고, 상기 콘부가 연결된 상기 퍼넬본체부의 한쪽 끝과 대향하는 상기 퍼넬본체부의 다른쪽 끝에 연결되는 페이스패널, 상기 퍼넬에 상기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끼워 만들어지고,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내장한 코일에 의해서 편향하는 편향요크, 상기 페이스패널의 외표면에 마련된 투명도전막 및 상기 투명도전막에 상기 편향요크에서 발사된 교번전계를 차폐하기 위한 최적한 전위를 부가하는 전위부가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부가수단은 상기 투명전도막의 한쪽 끝에 접속된 직류전원 및 상기 투명도전막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며, 또한 접지되어 있는 소정의 값을 갖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부가수단은 상기 투명도전막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상기 편향요크에서 발사되는 교번전계에 대해서 역위상의 교번전위를 부여하는 교류전원 및 상기 투명도전막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며, 또한 접지되어 있는 소정의 값을 갖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
  7. 내부에 전자총이 봉해진 네크부, 바깥쪽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상기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 안쪽면에 형광체막을 갖고, 상기 콘부가 연결된 상기 퍼넬본체부의 한쪽끝과 대향하는 상기 퍼넬본체부의 다른쪽 끝에 연결되는 페이스패널, 상기 퍼넬에 상기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끼워 만들어지고,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내장한 코일에 의해서 편향하는 편향요크, 상기 퍼넬의 바깥쪽면으로써 상기 편향요크가 끼워 만들어지는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소정의 영역에 마련된 전계차폐용 도전막, 상기 페이스패널의 외표면에 마련된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 및 상기 투명도전막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의 전기적인 접속 및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 마련되고, 상기 투명도전막과 간접적으로 접속된 접지선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또, 상기 페이스패널의 바깥둘레측면에 방폭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폭밴드를 마련하고, 상기 투명도전막은 도통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방폭밴드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서 상기 방폭밴드를 거쳐서 접지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내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상기 절연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의 간극에 마련된 절연시트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는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으로 덮여지고, 깔때기형상을 하고 있는 음극선관장치.
  12. 내부에 전자총이 봉해진 네크부, 바깥쪽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상기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 안쪽면에 형광체막을 갖고, 상기 콘부가 연결된 상기 퍼넬본체부의 한쪽끝과 대향하는 상기 퍼넬본체부의 다른쪽 끝에 연결되는 페이스패널,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소정량 편향시키는 수평편향코일 및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소정량 편향시키는 수직편향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퍼넬에 상기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서 끼워 만들어지는 편향요크, 상기 퍼넬의 바깥쪽면으로써 상기 편향요크내의 수평편향코일의 최대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상기 퍼넬 외표면상의 제1의 원주 및 상기 네크부와 콘부의 이음매에서 5mm 콘부로 치우친 상기 퍼넬 외표면상의 제2의 원주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영역에 마련된 전계차폐용 도전막, 상기 페이스패널의 외표면에 마련된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 및 상기 투명도전막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수단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의 전기적인 접속은 도통테이프에 의해서 실행되는 음극선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은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의 전기적인 접속 및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 마련되고, 상기 투명전도막과도 간접적으로 접속된 접지선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또, 상기 페이스패널의 바깥둘레측면에 방폭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폭밴드를 마련하고, 상기 투명도전막은 도통테이프에 의해서 상기 방폭밴드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선은 상기 정전용량 부가용 도전막에서 상기 방폭밴드를 거쳐서 접지되어 있는 음극선관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내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의 간극에 마련된 절연시트를 갖는 음극선관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는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막으로 덮여지고, 깔때기형상을 하고 있는 음극선관장치.
KR1019930017351A 1992-09-09 1993-09-01 음극선관장치 KR970003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41692A JP3180461B2 (ja) 1992-09-09 1992-09-09 陰極線管装置
JP92-240416 1992-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955A KR940007955A (ko) 1994-04-28
KR970003234B1 true KR970003234B1 (ko) 1997-03-15

Family

ID=1705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351A KR970003234B1 (ko) 1992-09-09 1993-09-01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51840A (ko)
JP (1) JP3180461B2 (ko)
KR (1) KR970003234B1 (ko)
DE (1) DE433095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3334A (ja) * 1995-11-29 1997-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785566A1 (en) * 1996-01-19 1997-07-23 Capetronic (Kaohsiung) Corp. Low varying electric field and radiation CRT
JPH1092344A (ja) * 1996-07-25 1998-04-10 Toshiba Corp 陰極線管及び陰極線管装置
JP2000156183A (ja) * 1998-06-29 2000-06-06 Samsung Sdi Co Ltd 陰イオン発生手段が備えられたディスプレ―システム
KR100274883B1 (ko) * 1999-03-19 2000-12-15 김순택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6555A (ko) * 1953-02-20
JPS4411922Y1 (ko) * 1966-09-06 1969-05-19
US4217521A (en) * 1977-12-21 1980-08-12 Zenith Radio Corporation High potential static discharge means for television cathode ray tubes
JPS61101950A (ja) * 1984-10-23 1986-05-2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
US4786973A (en) * 1987-08-19 1988-11-22 Rca Licensing Corporation Mounting sleeve for video apparatus deflection yoke
US4853601A (en) * 1987-11-02 1989-08-01 Tektronix, Inc. Multiple beam electron discharge tube having bipotential acceleration and convergence electrode structure
JP2804049B2 (ja) * 1988-09-19 199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陰極線管
US4916358A (en) * 1988-10-25 1990-04-10 Rca Licensing Corporation Kinescope grounding system
JPH03131180A (ja) * 1989-10-16 1991-06-04 Fujitsu Ltd 陰極線管表示装置
CA2041089C (en) * 1990-05-10 1995-01-17 Yasuo Iwasaki Coating film for the faceplate of a colour cathode ray tube
US5260626A (en) * 1991-02-20 1993-11-09 Nanao Corporation Apparatus for suppressing field radiation from display device
JPH0513981A (ja) * 1991-06-28 1993-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デイスプレイ装置
DE4123565C1 (ko) * 1991-07-16 1992-09-17 Tandberg Data A/S, Oslo, 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30952C2 (de) 2002-02-14
KR940007955A (ko) 1994-04-28
JP3180461B2 (ja) 2001-06-25
US5451840A (en) 1995-09-19
JPH0689673A (ja) 1994-03-29
DE4330952A1 (de) 199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234B1 (ko) 음극선관장치
EP0523741A1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950008407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
KR960012417B1 (ko) 교번전계 저감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EP0708474B1 (en)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KR100240520B1 (ko)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354665B2 (ja) 画像表示装置
KR960011770B1 (ko) 전자파 차폐용 도전층을 갖는 음극선관
JPH09219161A (ja) 陰極線管装置
KR100224939B1 (ko) 음극선관 및 음극선관 장치
JPH05283020A (ja) 陰極線管
JP2882498B2 (ja) 陰極線管用装置
JP3501589B2 (ja) 陰極線管
JPH06162966A (ja) 陰極線管装置
US6054804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9213228A (ja) 陰極線管装置からの漏洩電場調整方法および陰極線管装置
JP2744698B2 (ja) 陰極線管
JPH0574374A (ja) 陰極線管装置
JP2597553Y2 (ja) 帯電防止型陰極線管
JPH05207404A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陰極線管画像表示装置
JP254648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
JP2002044567A (ja) 陰極線管装置
KR100250856B1 (ko) 음극선관
JPH0721945A (ja) 陰極線管装置
JPH08115685A (ja) 陰極線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