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520B1 -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520B1
KR100240520B1 KR1019960046609A KR19960046609A KR100240520B1 KR 100240520 B1 KR100240520 B1 KR 100240520B1 KR 1019960046609 A KR1019960046609 A KR 1019960046609A KR 19960046609 A KR19960046609 A KR 19960046609A KR 100240520 B1 KR100240520 B1 KR 10024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funnel
electric field
deflection yoke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179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카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3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1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편향요크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의 저감을 도모한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연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교번전계를 저감함과 동시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부에 전자총이 봉지된 네크부, 외표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의 접지된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의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부; 내면에 형광면 막을 갖고 퍼넬부의 앞면에 퍼넬부와 일체로 마련된 페이스패널; 퍼넬부의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 외장되고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한 편향요크 및; 퍼넬본체부에서 콘부의 외표면의 도전막과 평향요크 사이에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구비하고, 편향요크와 도전성 막 사이에 간격을 두고 또한 도전성 막이 편향요크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도전성막이 배치되어 있고, 도전성 막은 그의 편향요크의 측단이 수평편향코일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를 두고 수평편향코일에 근접해서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교번전계에 의한 인체에 대한 악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절연시트를 사용하지 않아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단시간에 정밀도좋게 도포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편향요크에서 방사되는 교번전계의 저감을 도모한 음극선관장치 및 그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9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또 제10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퍼넬부로서 네크부(1a), 콘부(1b) 및 퍼넬본체부(1c)로 구성되고, 퍼넬본체부(1c)에는 고압 애노드버튼(1d)가 마련되어 있다. (1e)는 네크부(1a)와 콘부(1b)의 이음매로서 네크밀봉선이라 불리는 부분이며, 유리두께가 약간 얇고 강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약한 부분이다. 음극선관의 유리벌브(2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네크부(1a)에는 전자총(3)이 봉지된다. (2)는 유리벌브(20)의 앞면에 부착된 페이스패널로서, 그의 측면에는 방폭특성을 보증하기 위한 방폭밴드(4)가 감겨지고, 그의 네모서리에는 유리벌브(20)을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부(4a)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퍼넬본체부(1c)에 마련된 고압 애노드버 튼(1d)의 주위에는 절연을 위한 실리콘수지막(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퍼넬본체부(1c)의 외표면에는 음극선관에 정전용량을 부가하기 위한 도전막(6)이 형성된다. 이 도전막(6)은 통상 흑연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미시적으로는 반드시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28)은 네크(1a)에 평행한 직선으로서, 음극선관의 관축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한 편향요크(7)이 콘부(1b)와 네크부(1a)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다. 이 편향요크(7)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7a), 수직편향코일(7b) 및 편향요크본체부(7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편향요크(7)의 퍼넬부(1)로의 부착은 편향요크(7)의 네크부(1a)측에 마련된 부착밴드(10)을 사용해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되지만, 편향요크(7)과 퍼넬부(1)사이에는 셀프컨버젼스시스템(self-convergence system)이라 불리는 컨버젼스특성 조정을 위한 틈이 미리 마련되어 있고, 이 때 부착밴드(10)을 중심으로 해서 편향요크(7)을 진동시켜 상기 틈이 조정된다. 또, 셀프 컨버젼스 조정에 의해 완전히 조정할 수 없었던 컨버젼스의 어긋남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또한 선단에 페라이트 시트를 구비한 가늘고 긴 플라스틱판(이하, 이것을 스포일러라 한다)를 삽입하기 위해서도 상기 틈은 중요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크(1a)에 봉지된 전자총(3)에서 전자빔이 출사되면, 출사된 전자빔은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 수직편향코일(7b)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소정량 편향되고 페이스패널(2)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 막상을 주사해서 원하는 화상을 비추어 낸다. 이 때의 편향의 진동폭은 상기 애노드버튼(1d)에 인가하는 전압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그런데, 최근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문제시되고 있고, 표시모니터에 관해서도 주로 편향요크에서 발사되는 교번전계 즉 편향요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발생하는 전계에 의한 인체에 대한 영향이 염려되고 있다.
이러한 교변전계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5-7437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퍼넬부의 소정 영역 표면에 접지된 도전막을 마련하고, 이 도전막 표면을 덮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깔대기형상의 절연체 시트(9)를 거쳐서 편향요크를 장치하도록 한 것이 있다.
제13도는 전계차폐를 실시한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 제9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8)은 전계차폐면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막(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퍼넬본체부(1c)에서 콘부(1b)를 통과하여 네크부(1a)에 걸쳐 흑연을 도포해서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으로서, 편향요크(7)의 개구부 앞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9)는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과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마련된 절연시트이다. 이것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깔대기형태의 형사인 것으로서 퍼넬부의 콘부(1b)와 네크부(1a)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유리벌브(20)에 편향요크(7)이 부착되어 음극선관장치가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도전막(6)을 접지하는 것에 의해 도전막(6)이 O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도전막(6)과 도통하고 있으므로, 편향요크(7)의 앞면 영역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형성되고, 편향요크(7)에서 퍼넬부(1)을 투과해서 페이스패널(2)의 앞쪽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저감한다. 또,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부와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사이에는 절연시트(9)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와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위치적으로는 중첩되어 있지만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어 방전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절연시트(9)의 경사적인 절연성능의 저하가 염려될 뿐만 아니라, 음극선관장치의 콘부(1b)와 편향요크(7)의 틈에 절연시트(9)가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틈이 좁아져 컨버젼스 조정시에 스포일러가 삽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틈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의 방열이 나빠져 편향요크의 온도상승의 증가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서는 편향전력의 손실로 이어진다. 또, 절연시트(9)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스트로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연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교번전계를 저감함과 동시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도포범위 및 도포방법을 고려한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의 도전성 막과 수평편향코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의 도전성 막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을 도시한 측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종래의 교번전계 저감수단을 갖는 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절연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교번전계 저감수단을 갖는 음극선관의 측면도.
제14도는 종래의 교번전계 저감수단을 갖는 음극선관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퍼넬부 1a : 네크부
1b : 콘부 1c : 퍼넬본체부
1d : 에노드버튼 2 : 페이스패널
3 : 전자총 6 : 도전막
7 : 편향요크 7a : 수평편향코일
7b : 수직편향코일 7c : 편향요크본체부
8 : 도전성 막 10 : 스폰지형상로울러
13, 14 : 도통테이프 20 : 유리벌브
21 : 투명도전성 막 28 : 관축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는 내부에 전자총이 봉지된 네크부, 외표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의 접지된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상기 네크부와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부, 내면에 형광면 막을 갖고 상기 퍼넬부의 앞면에 퍼넬부와 일체로 마련된 페이스패널, 상기 퍼넬부의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 외장되고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한 편향요크 및 상기 퍼넬본체부에서 상기 콘부의 외표면의 상기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 사이에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구비한 것이다.
또, 도전성 막은 그 편향요크 측단이 수평편향코일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거리를 두고 수평편향코일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전성 막은 퍼넬본체부에 마련된 도전막과 일부 중첩부를 갖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전성 막은 퍼넬본체부에 마련된 도전막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페이스패널은 접지된 전계차폐용 투명도전성 막이 외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의 제조방법은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퍼넬부의 깔대기형상의 외면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하는 도포수단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을 동일 평면상에 배치한 상태로 도포수단을 퍼넬부의 깔대기형상의 외면에 접촉시켜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을 중심으로 음극선관을 회전시키도록 한 도전성 막을 도포하도록 하였다.
또, 도포수단은 스폰지형상의 로울러를 사용하고 있다.
또, 도포수단은 솔을 사용하고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음극선관장치의 측면도로서 제9도~제14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8)은 전계차폐면을 형성하기 위해 도전막(6)을 도포할 때와는 별도로 퍼넬본체부(1c)에서 콘부(1b)에 걸쳐 흑연을 도포해서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으로서, 그 편향요크(7)의 측단 및 페이스패널(2)의 측단 모두 대략 동심원 형상을 한 깔대기형태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리벌브(20)에 편향요크(7)이 부착되어 음극선관장치가 구성된다.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그 페이스패널(2)의 측단부에 대해서는 도전막(6)과 전기적으로 도통이 이루어지도록 약간 중첩된 영역을 갖는 정도의 위치에 설정된다. 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편향요크(7)의 측단부는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7a)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근방까지 편향요크(7)에 근접되어 있다. 실제의 설정으로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편향요크(7)의 측단은 수평편향코일(7a)의 개구부 선단에서 콘부(1b)의 외면을 따라서 페이스패널(2)측으로 약 30mm의 위치로 하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폭은 그의 편향요크(7)의 측단에서 콘부(1b)를 따라서 40mm로 하였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도전막(6)을 접지하는 것에 의해서 도전막(6)이 O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도전막(6)과 도통하고 있으므로, 편향요크(7)의 앞면의 근방영역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형성되고, 편향요크(7)에서 퍼넬부(1)을 투과해서 페이스패널(2) 전방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저감한다. 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편향요크(7)의 측단을 수평편향코일(7a)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던 절연시트는 필요없다.
다음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도포방법에 대해서 제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그 편향요크(7)의 측단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하고 있고, 또 페이스패널(2)측의 퍼넬부의 단면형상도 약간 왜곡되어 있지만 거의 원형을 하고 있는 깔대기형태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콘부(1b)를 따르는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폭방향의 곡률은 매우 크고, 도포수단에 약간의 신축성이 갖추어져 있으면 문제없이 도포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폰지형상 로울러(10)을 사용해서 도포를 실행했지만, 물론 도포수단은 스폰지형상 로울러(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솔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폭(본 실시예의 경우40mm)과 회전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값을 갖는 스폰지형상 로울러(10)을 사용하고, 스폰지형상 로울러의 회전축이 음극선관의 관축(28)과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또한 음극선관의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을 도포할 콘부(1b)를 따르도록 당접시키고, 음극선관을 관축(28)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포중에는 스폰지형상 로울러(10)을 움직이지 않고 원하는 형상의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을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요크(7) 앞면 근방에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을 OV의 등전위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7)에서 퍼넬부(1)을 투과해서 페이스패널(2)전방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종래에 비해 약 36% 저감할 수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 사용되고 있던 절연시트가 필요없으므로, 절연시트의 경시적인 절연성능의 저하, 음극선관의 콘부와 편향요크의 틈에 절연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틈이 좁아져 컨버젼스 조정시에 스포일러가 삽입되어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물론 절연시트분의 코스트는 필요없게 된다.
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형상을 깔대기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폭과 동일한 폭의 스폰지형상 로울러(10)을 고정시킨 채로 음극선관을 회전시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통상 도전막(6)을 도포하는 방법인 음극선관을 고정하고 스폰지형상 로울러를 움직여서 도전막을 도포하는 방법보다 단시간에 또한 정밀도 좋게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을 도포할 수 있다. 특히,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도포영역에 있어서의 편향요크(7)의 측단의 경계는 수평편향코일과의 방전문제가 있어 ±5mm정도의 정밀도가 필요하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것을 만족시키는 능력이 있다. 또, 스폰지형상 로울러(10)의 폭을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편향요크(7)의 측단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고, 자연히 페이스 패널(2)의 측단의 위치정밀도도 좋게 실현할 수 있어 애노드버튼(1d)와의 거리도 정밀도 좋게 재현되므로, 애노드버튼(1d)와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과의 방전의 문제에 주의할 필요도 없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제5도 및 제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퍼넬본체부(1c)에 마련된 도전막(6)과 퍼넬본체부(1c)에서 콘부(1b)에 걸쳐 마련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이 중첩되는 영역을 갖지 않고 형성되고, 양자가 도통테이프(13)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물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형상 및 도포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리벌브(20)에 편향요크(7)이 부착되어 음극선관장치가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도전막(6)을 접지하는 것에 의해 도전막(6)이 O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은 도전막(6)과 도통테이프(13)에 의해 도통되어 있으므로, 편향요크(7)의 앞면 근방영역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형성되고, 편향요크(7)에서 퍼넬부(1)을 투과해서 페이스패널(2) 전방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저감하게 된다. 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8)의 편향요크(7)의 측단을 수평편향코일(7a)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던 절연시트는 필요없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서 제7도 및 제8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 전계차폐용의 투명한 도전성 막을 마련하고, 페이스패널(2)의 표면을 투과하는 교번전계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도록 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21)은 페이스패널부(2)의 표면에 형성된 전계차폐용 투명도전성 막으로서, 도통테이프(14)에 의해서 도전막(6)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그리고,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리벌브(20)에 편향요크(7)이 부착되어 음극선관장치가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음극선관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동작에 부가해서 페이스패널(2)의 표면의 투명도전성 막(21)을 도통테이프(14)에 의해 접지하는 것에 의해서, 투명도전성 막(21)이 OV의 등전위면으로 되고 페이스패널(2)의 표면에 전계차폐효과를 갖는 면이 형성되어 교번전계의 저감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의 음극선관의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 전계차폐용 투명도전성 막(21)을 마련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실시예 2의 음극선관에 있어서도 페이스패널(2)의 외표면에 동일한 투명도전성 막(21)을 형성하고, 이것을 접지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향요크의 앞면 근방에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OV의 등전위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에서 퍼넬부를 투과해서 페이스패널의 앞쪽으로 방사되는 교번전계를 종래에 비해 약 36% 저감할 수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던 절연시트가 필요없으므로, 절연시트의 경시적인 절연성능의 저하, 음극선관의 콘부와 편향요크의 틈에 절연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틈이 좁아져 컨버젼스 조정시에 스포일러가 삽입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물론 절연시트분의 코스트는 필요없게 된다.
또한, 도전막을 도포하는 방법인 음극선관을 고정시키고 스폰지형상로울러를 움직여서 도전막을 도포하는 방법보다 단시간에 또한 정밀도좋게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할 수 있다. 또, 스폰지형상 로울러의 폭을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의 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의 편향요크의 측단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고, 자연히 페이스패널의 측단의 위치정밀도도 좋게 실현할 수 있어 애노드버튼과의 거리도 정밀도 좋게 재현되므로, 에노드버튼과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과의 방전의 문제에 주의할 필요도 없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전자총이 봉지된 네크부, 외표면의 일부에 정전용량 부가용의 접지된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퍼넬부; 내면에 형광면 막을 갖고 상기 퍼넬부의 앞면에 퍼넬부와 일체로 마련된 페이스패널; 상기 퍼넬부의 콘부에서 네크부에 걸쳐 외장되고 상기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이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한 편향요크 및; 상기 퍼넬본체부에서 상기 콘부의 외표면의 상기 도전막과 상기 편향요크 사이에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된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구비하고, 상기 편향요크와 상기 도전성 막 사이에 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도전성 막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상기 도전성 막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막은 그의 편향요크의 측단이 수평편향코일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를 두고 수평편향코일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 퍼넬부의 외면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하고, 편향요크를 외장하는 것에 의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전자총이 봉지된 네크부, 외표면의 일부에 정전용량부가용의 접지된 도전막이 마련된 퍼넬본체부 및 상기 네크부와 퍼넬본체부를 연결하는 콘부로 구성되는 상기 퍼넬부의 깔대기형상 외면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하는 도포수단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을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는 스텝; 상기 배치하는 스텝후에 상기 도포수단을 퍼넬부의 깔대형상의 외면에 접촉시키는 스텝, 상기 도포수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을 중심으로 상기 음극선관을 회전시키고, 퍼넬부의 깔대기형상의 외면에 전계차폐용 도전성 막을 도포하는 스텝 및 상기 도전성 막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거리의 간격을 두고 또한 상기 도전성 막을 덮지 않도록 상기 퍼넬부의 콘부에서 네크부의 걸쳐 상기 편향요크를 외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19960046609A 1995-11-29 1996-10-18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4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11155A JPH09153334A (ja) 1995-11-29 1995-11-29 陰極線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95-311155 1995-11-29
JP95-31155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179A KR970030179A (ko) 1997-06-26
KR100240520B1 true KR100240520B1 (ko) 2000-01-15

Family

ID=1801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609A KR100240520B1 (ko) 1995-11-29 1996-10-18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3599A (ko)
JP (1) JPH09153334A (ko)
KR (1) KR100240520B1 (ko)
NL (2) NL1004613C2 (ko)
SG (1) SG54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4635B (en) * 1999-02-12 2001-05-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with deflection unit
JP2001210260A (ja) * 2000-01-25 2001-08-03 Hitachi Ltd カラー受像管
US6800994B2 (en) * 2002-09-26 2004-10-05 Thomson Licensing S. A. Resistive primer coating for a display apparatus
ITMI20030068A1 (it) * 2003-01-17 2004-07-18 Videocolor Spa Rivestimento esterno a bassa resistenza per tubo a raggi catodic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119A (ko) * 1987-11-04 1989-07-15 로베르트 아인젤 디지탈 신호의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26555A (ko) * 1953-02-20
US3746904A (en) * 1971-05-07 1973-07-17 Rca Corp Cathode-ray tube including a glass envelope with two spaced external conductive coating and a connecting strip of a third external conductive coating thereon
JPS5738534A (en) * 1980-08-21 1982-03-03 Nec Corp Funnel processing device
JPS57212736A (en) * 1981-06-24 1982-12-27 Toshiba Corp Device used for applying conductive agent to cathode-ray tube
NL8300914A (nl) * 1983-03-14 1984-10-01 Philips Nv Elektrische ontladingsbui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lektrisch geleidende laag op een wandgedeelte van de omhulling van een dergelijke buis.
JPH07120504B2 (ja) * 1989-05-25 1995-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導電膜黒鉛の塗布装置
JPH0574374A (ja) * 1991-04-18 1993-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装置
GB2255441B (en) * 1991-04-18 1995-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JPH0513981A (ja) * 1991-06-28 1993-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デイスプレイ装置
US5300856A (en) * 1992-03-18 1994-04-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Resistive, adhesive-primer coating for 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180461B2 (ja) * 1992-09-09 2001-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JPH06275191A (ja) * 1993-03-22 1994-09-30 Hitachi Ltd ブラウン管の外装電気導電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TW395550U (en) * 1994-10-19 2000-06-21 Hitachi Ltd Cathode-ray tube display unit in which the unwanted radiant electric field from the face plate of cathode-ray tube is decreas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119A (ko) * 1987-11-04 1989-07-15 로베르트 아인젤 디지탈 신호의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4393A1 (en) 1998-11-16
KR970030179A (ko) 1997-06-26
NL1004613A1 (nl) 1997-05-30
NL1004613C2 (nl) 1998-07-27
NL1009637A1 (nl) 1998-09-01
JPH09153334A (ja) 1997-06-10
NL1009637C2 (nl) 1999-02-08
US6043599A (en) 200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5243A (en) External magnetic shield for CRT
KR100240520B1 (ko) 음극선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357166A (en) Cathode-ray tube having alternating electric field reduction device
US5451840A (en) Cathode-ray tube providing protection from alternating electric fields
US5304891A (en) Cathode-ray tube display device
KR960012417B1 (ko) 교번전계 저감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JP2001197515A (ja) 陰極線管のコンバージェンスドリフト補正装置及び陰極線管
KR950014601B1 (ko) 음극선관 장치
US4825122A (en) Color picture tube of in-line gun type operable at high horizontal scanning frequency
EP0821389B1 (en)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2693896B2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その電界シールド部材の製造方法
JP2699771B2 (ja) 陰極線管
JP3501589B2 (ja) 陰極線管
CA2360564C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JP2971665B2 (ja) 陰極線管
JPH0590797U (ja) 陰極線管
JPH0721945A (ja) 陰極線管装置
JP3054791B2 (ja) 陰極線管装置
JPH117911A (ja) 陰極線管装置
US5942846A (en) Deflection yoke with horizontal deflection coil
JPH05343005A (ja) 陰極線管装置
JPH08287848A (ja) 陰極線管装置
KR2001001803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05314928A (ja) 陰極線管装置及び陰極線管装置の使用方法及び陰極線管装置の接地方法
JPH0626144U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