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03Y1 -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03Y1
KR970003203Y1 KR2019950010554U KR19950010554U KR970003203Y1 KR 970003203 Y1 KR970003203 Y1 KR 970003203Y1 KR 2019950010554 U KR2019950010554 U KR 2019950010554U KR 19950010554 U KR19950010554 U KR 19950010554U KR 970003203 Y1 KR970003203 Y1 KR 970003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lling hole
horizontal flange
fuel tank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781U (ko
Inventor
최보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10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203Y1/ko
Publication of KR960036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구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대비한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휀더 11 : 통공
20 : 필라박스 21 : 주유구
22 : 캡 30 : 주유구 덮개
31 : 수직플랜지 32 : 수평플랜지
40 : 힌지브라켓트 50 : 밀폐고무
60 : 보강판 61 : 수평플랜지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유구를 밀폐하는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주유구 덮개를 보다 견고하고 아름답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휀더(rear fender)에 마련되는 필라박스(filler box)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유구 덮개(filler lid)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캡(22')으로 밀폐된 연료탱크의 주유구(21')가 내장된 필라박스(20')의 내전면에 힌지브라켓트(40')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주유구 덮개(30')와 리어휀더(10')의 통공(11')의 틈새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판상의 주유구 덮개(30')의 강도가 비교적 약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고, 리어휀더(10')와의 간섭 때문에 길게 형성할 수 없는 주유구 덮개(30')의 수직플랜지(31')의 길이가 짧아 힌지브라켓트(40')와의 용접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유구 덮개의 주변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유구 덮개가 외부충격에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유구 덮개의 수직플랜지에 수평플랜지를 형성하고, 그와 대응되는 수평플랜지를 갖는 보강판을 주유구 덮개의 하단에 설치하는 동시에 주유구 덮개의 수평플랜지 상단에 밀폐고무를 설치하여 차체의 통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리어휀더(10)의 통공(11)의 안쪽에 마련되고, 캡(22)으로 밀폐되는 주유구(21)가 설치되는 필라박스(20)의 전면에 주유구 덮개(30)를 힌지브라켓트(40)를 통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 덮개(30)의 수직플랜지(31)에 수평플랜지(32)를 형성하고, 이 수평플랜지(32)의 상단에 밀폐고무(50)를 설치하여 주유구 덮개(30)와 통공(11)의 사이에 생성되는 틈새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주유구 덮개(30)의 하단에 그의 수평플랜지(32)에 대응되는 수평플랜지(61)를 갖는 보강판(60)을 부착하고, 이 보강판(60)의 하단에 힌지브라켓트(40)를 부착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주유구 덮개(30)의 상단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고무(50)를 통해 리어휀더(10)의 통공(11)과 주유구 덮개(30)의 사이에 생성되는 틈새를 밀폐할 수 있게 되므로 주유구 덮개(30)의 주변미관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데다가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게 되어 필라박스(20)의 내부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주유구 덮개(30)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강판(60)을 통해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주유구 덮개(30)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외부의 사소한 충격에 의해 주유구 덮개(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리어휀더(10)의 통공(11)과 주유구 덮개(30)의 틈새를 비교적 크게 하여도 밀폐고무(50)를 통해 그로 인한 외관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힌지브라켓트(40)의 용접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리어휀더(10)의 통공(11)의 안쪽에 마련되고, 캡(22)으로 밀폐되는 주유구(21)가 설치되는 필라박스(20)의 전면에 주유구 덮개(30)가 힌지브라켓트(40)를 통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 덮개(30)의 수직플랜지(31)에 수평플랜지(32)를 형성하고, 이 수평플랜지(32)의 상단에 밀폐고무(50)를 설치하며, 주유구 덮개(30)의 하단에 수평플랜지(31)를 갖는 보강판(60)을 부착하고, 이 보강판(60)의 하단에 힌지브라켓트(4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KR2019950010554U 1995-05-18 1995-05-18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KR970003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554U KR970003203Y1 (ko) 1995-05-18 1995-05-18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554U KR970003203Y1 (ko) 1995-05-18 1995-05-18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81U KR960036781U (ko) 1996-12-16
KR970003203Y1 true KR970003203Y1 (ko) 1997-04-14

Family

ID=1941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554U KR970003203Y1 (ko) 1995-05-18 1995-05-18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2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8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7893B2 (ko)
KR970003203Y1 (ko) 자동차의 주유구 덮개 설치구조
US4350383A (en) Instrument board mounting structure
CN203345071U (zh) 加油口门底座总成结构及车辆
JP2009078665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S601026A (ja) 燃料給油口周辺構造
JP2938782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S58180316A (ja) 車両用バツクドアの上部シ−ル構造
KR20080046961A (ko) 굴삭기용 보닛의 씰링구조
CN220487360U (zh) 一种新型铰链盖板
JP7441422B2 (ja) バックドアの構造
CN215322359U (zh) 汽车后轮眉的安装结构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US6929307B1 (en) Vehicle door
JP2505898B2 (ja) リヤバンパ―サイドとリヤフェンダの接続部構造
JP3702609B2 (ja) リッドの取付構造
KR0129820Y1 (ko) 차체의 사이드패널과 실사이드의 접합보강구조
JPH05270440A (ja) 自動車のリッド部構造
JP200002564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8282280A (ja) ドアミラー部のシール構造
JPH0450090A (ja) 自動2輪車の物品収納ボックス
JPH07290961A (ja) ドア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エンドキャップ取付構造
KR19980062136A (ko) 연료주입구의 필라리드 기밀구조
JPS6374723A (ja) 自動車のバツクドア構造
JP2592934Y2 (ja) 車両用フロントリッド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