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651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651B1
KR970002651B1 KR1019940023596A KR19940023596A KR970002651B1 KR 970002651 B1 KR970002651 B1 KR 970002651B1 KR 1019940023596 A KR1019940023596 A KR 1019940023596A KR 19940023596 A KR19940023596 A KR 19940023596A KR 970002651 B1 KR970002651 B1 KR 97000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inlet
showcase
wall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192A (ko
Inventor
히데야 이께다
도시아끼 구보따
가즈오 데쯔까와
Original Assignee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쇼케이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사시도.
제 2 도는 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종단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단열벽 하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쇼켸이스의 내외총 흡입구 부분의 확대 종단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흡입구 카버의 사시도.
제 6 도는 흡입구 카버를 벗겨낸 상태의 본 말명의 쇼케이스의 내외층 흡입구 부분의 확대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2 : 단열벽
4 : 구획판 7 : 내층 덕트
8 : 외층 덕트 9 : 저판
11 : 저장실 18 : 내층 흡입구
19 : 외층 흡입구 21 : 슬릿
22 : 흡입구 카버 53 : 플랜지
59 : 필터 63 : 하단부
66 : 전방변 67 : 후방벽
본 발명은 단열벽의 개구 상부 모서리의 토출구로부터 냉기를 토출하고, 개구 하부 모서리의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쇼케이스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 공개 평4-129084호 공보 F25D 17/0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의 내측에 간극을 두어 구획판과 저판을 설치하고, 이들의 내측을 저장실로 이루는 동시에 의측 단열벽과의 사이를 덕트로 하고 있는 한편, 단열벽의 개구 상하 모서리에는 덕트에 연통한 토출구와 흡입구를 각각 형서하는 동시에 배면에 위치하는 덕트 내에는 냉각기를, 하방에 위치하는 덕트 내에는 송풍기를 각각 배치하고, 이 송풍기에 의해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토출구로부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하고, 흡입구로부터 흡입한으로써 개구에 에어 커탠을 형성하면서 저장실을 냉각하고 있었다.
또,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중의 먼지를 한유하고 있으며, 또 흡입구로부터는 가격표 등의 이물이저관 하방의 단열벽상으로 낙하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공보에서는 흡입구에 평판형 필터를 설치하여 면지나 이물이 흡입구로부터 덕트 내로 침입하지 않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련 종래의 평판형 필터에서는 먼지 등이 전면적으로 대략 균등하게 부착되어가기 때문에 이들이축적되면 필터의 전체에 눈막힘이 생기고, 흡입구로부터 냉기를 흡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 흡입구는 토상 복수의 통기 구멍이 뚫린 흡입구 카버로 피복되지만, 이 흡입구 카버가 고정식이였기때문에 저판 하방의 단열벽 상면에 통상 형성되는 드레인 받침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저판을 벗겨서 행하는 수 밖에는 없었다. 그 때문에 이런 청소를 행할 때마다 저판상에 진열한 상품을 하나하나 절거할 필요가있으며, 작업성의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련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흡입구에 설치되는 필터에 눈막힘이 발생하는 결한을 억제할 수 였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쇼케이스의 저판 하방의 단열벽 상면의 청소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단열벽(2)의 개구(12) 상부 모서리에 형성한 토출구(16,17)로부터 냉기를토출하고, 개구(12) 하부 모서리에 헝성한 흡입구(18,19)로부터 흡입하는 것이며, 복수의 통기 구멍(슬릿)(21)을 구비하여 흡입구(18,19)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22)와, 이 흡입구 카버(22)에 부착된 필터(59)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필터(59)는 하단부(63)로부터 상호 격리되면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후방벽(66,67)로 구성한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의 쇼케이스(1)은 단열벽(2)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구획판(4)와 저판(9)를 설치한으로써 저장실(11)과 덕트(7)을 구획 형성하고, 덕트(7)내에 냉각기(27)과 송풍기(24)를 설치하는 동시에, 단열벽(2)의 개구(12) 상하 모서리에는 덕트(7)에 연통한 토출구(16) 및 흡입구(18)을 각각 형성하고, 냉각기(27)과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기(24)에 의해 토출구(16)으로부터 토출하여 흡입구(18)로부터 흡입한으로써 복수의 통기 구멍(슬릿)(21)을 구비하는 흡입구(18)을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22)를 저판(9) 전방단과 단열벽(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흡입구 카버(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3)이 저판(9)와 한께 상품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쇼케이스(1)에 따르면, 흡입구(18,19)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22)에 필터(59)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필터(59)는 하단부(63)으로부터 서로 격리되면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후방벽(66,67)로 구성하였으므로 흡입구(18,19)로부터 덕트(7,8)로 침입하려 하는 먼지나 이물은 필터(59)에 의해 침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덕트(7,8)에의 먼지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터(59) 상면에서 지지된 먼지나 이물은 그 후 필터(59)의 전후방벽(66,67)에 따라 낮은 쪽으로 낙하하므로 먼지나 이물은 필터(59)의 하단부(63)상에 또인다. 따라서, 필터(59)의 전면이 먼지나 이물로 막히지 않으므로 냉기의 흡입을 비교적 장기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의 쇼케이스(1)에 따르면 흡입구(18)을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22)가 저판(9) 전방단과 단열벽(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흡입구 카버(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3)이 저판(9)와 한께 상품 적재면을 형성하므로 흡입구 카버(22)를 부착한으로써 저판(9) 전단과 단열벽(2) 사이가 비교적 크게 개방된다. 따라서, 저판(9)를 제거하지 않고 저판(9)의 전방단과 단열벽(2) 사이의재방 부분으로부터 저판(9) 하방의 단열벽(2) 상면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면을 기초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1)의 사시도, 제 2 도는 쇼케이스(1)의 종단 측면도, 제 3 도는 쇼케이스(1)의 단열벽(2) 하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 4 도는 내외층 흡입구(18,19) 부분의 쇼켸이스(1)의 확대 종단 측면도, 제 5 도는 흡입구 카버(22)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1)은 대략 단면 ㄷ자형 단열벽(2)와 단열벽(2)의 양측에 부착된 측관(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벽(2)의 내측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구획판(4,6)을 부착하고, 이들 구획판(4 및 6)사이를 내층 덕트(7), 의측 구획판(6)과 단열벽(2) 사이를 외층 덕트(8)로 하고 있다.
내측의 구획판(4)를 구성하는 배면 구획판(l0)의 하단 전방에는 저판(9)가 단열벽(2)의 저벽(2A)와의 사이에 덕트용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구획판(4) 및 저판(9)의 내측을 저장실(11)로 하고 있다.단열벽(2)의 전면 개구(12)의 상부 모서리에는 하니컴 부재(13,14)가 각각 부착된 내층 토출구(l6) 및 외층토출구(17)이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내층 토출구(l6) 및 외층 토출구(17)은 내층 덕트(7) 및 외층 덕트(8)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개구(12)의 하부 모서리에는 내층 흡입구(18)과 외층 흡입구(19)가 병설되어 있으며, 양 흡입구(18,19)에는 복수의 슬릿(21...)(된칭 구멍)이 뚫려 있는 흡입구 카버(22)에 의해 덮혀 있다.
한편, 저판(9) 하방 후부에는 단열벽(2)의 저벽(2A)상에 팬 케이스(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팬 케이스(23)에는 송풍기(24)가 내층용 및 외층용으로 복수대 부착되어 있다. 또, 저판(9) 하방의 공간은 구획 부재(26)(제 3 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두개의 덕트로 구휙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 흡입구(18)은 내층용송풍기(24)를 거쳐서 내층 덕트(7)에 상기 외층 흡입구(19)는 외층용 송풍기(24)를 거쳐서 외층 덕트(8)에연통되어 있다.
배면 구획판(10) 후방의 내층 덕트(7)내에는 냉각 장치의 냉각기(27)이 세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용 송풍기(24)가 운전되면 냉각기(27)과 열교환한 냉기는 제 2 도중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덕트(7)내를 상슬하고, 내층 토출구(16)으로부터 내층 흡입구(18)을 향해 트출된다. 그리고, 내층 흡입구(18)로부터 흡입된 냉기는 다시 송풍기(24)에 의해 가속된다. 한편, 상기 외층용 송풍기(24)가 운전되면 외층 덕트(8)내외 공기는 제 2 도중 실선 화살표와 같이 외층 덕트(8)내를 상승하여 외층 토출구(17)로부터 외층 흡입구(19)를 향해 토출된다. 그리고, 외층 흡입구(19)로부터 공기는 다시 송풍기(24)에 의해 가속된다.이로써 개구(12)에는 전후 이중의 에어 커텐이 형성되고, 내측의 냉기 에어 커텐의 일부가 저장실(11)내로순환되어 저장실(11)은 냉각된다.
저장실(11)의 양측 배면부에는 사이드 프레임(28)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사이드 프레임(28)의 후방벽의 전방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결한 구멍(29)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한 구멍(29...)에는 복수의 브래킷(31‥·)의 후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한되어 있으며, 좌우 한쌍의 브래킷(31,31)상에는 각각 선반(32)가 부착되어 저장실(11)내에 가설되어 있다. 또, 단열벽(2)의 천장벽(2B)의 전방단에는 반사판(33)이 부착되어 있으며,이 반사판(33)에는 브래킷(34)에 의해 상하 두개의 형광등(36,37)이 좌우에 걸쳐서 부착되고, 반사판(33)의 전방면에는 온도계(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형광등(36,37)의 전방에는 반투명 셰이드(39)가 부착되고,형광등(36,37)은 점등되어 저장실(11)내를 조명하는 동시에 전방의 셰이드(39)를 후방으로부터 조사한다.
한편, 단열벽(2)의 저벽(2A) 상면에는 팬 케이스(23)의 전방을 향해 낮게 경사져 있으며, 그 최하부에 드레인 받침(41)이 형성되고, 드레인 받침(41)에는 배수 흐스(42)와 연통된 배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냉각기(27)에 성장된 착상은 도시하지 받침 서리 제거 히터에 의해 가열 융해되지만 이 서리 제거수는 저벽(2A) 상면을 흘러 내려서 드레인 받침(41)에 또이고, 배수 구멍(43)으로부터 배수 호스(42)로 유입하여 폐기된다. 또, 내층 흡입구(18) 및 외층 흡입구(19)로부터 흘러 내린 결로수 등도 그 하방의 드레인 방침(41)에 또이고, 마찬가지로 배수된다.
상기 배면부 구획판(l0)의 하부 모서리에는 제 3 도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단면 대략 직사각형 홈(51)이좌우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판(9)는 도장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은 소경 곡률 반경으로 상방으로 세워져서 그 구석부를 만곡부 R로 되어 있으며, 이 만곡부 R의 상부 모서리는 후방으로 절곡되고,또 하방으로 굴곡되어 굴곡부(44)로 되어 있다. 이 저판(9)의 전방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떨어진 단차부(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저판(9)는 후방 굴곡부(44)를 배면부 구휙판(10)의 홈(51)내에 삽임하여 결한함과 동시에 좌우 모서리부를 상기 사이드 프레임(28)의 일부에 적재한으로써 저벽(2A) 상방에 부착된다. 이때 전방단의 단차부(46)은 저부벽(2A)의 드레인 받침(41) 상방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흡입구 카버(22)는 스텐레스 강판 등의 절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격벽(56)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격벽(56)의 전후에 슬릿(21...)은 일렬씩 뚫려서 내외층 흡입구(18,19)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흡입구 카버(22)의 전방벽(57)은 후방으로 후퇴하여 하단을 전방으로 굴곡시킨형상을 하고 있으며, 흡입구 카버(22)의 후방벽 하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그 구석부를 만곡부 R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만곡부 R로부터는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3)이 형성되고, 이 플랜지(53)의 선단은 하방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4)로 되어 있다.
또, 이 흡입구 카버(22)의 내측에는 먼지 제거용 필터(59)가 부착되어 있다(제 3 도에는 도시 않음). 이 필터(59)는 주위 프레임(61)내에 망(62)이 결쳐져서 구성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대략 V자형으로 굴곡됨으로써 하단부(63)과 그 하단부(63)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면서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하는전후방벽(66,6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필터(59)는 제 5 도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삽탈 가능하게 흡입구 카버(22)의 내측에 삽입되고, 전방변(66)의 상단이 전방벽(57)의 내면에 맞닿고 후방벽(67)의 상단이 후방벽(52)의 내면에 부착된 유지편(69)에 유지시킴으로써 흡입구 카버(22)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흡입구 카버(22)는 단열벽(2)의 개구(12)의 하부 모서리에 부착된 핸드 레일(71)의 내면 하단의 절곡부(72)에 전방벽(57)을 밀어 붙이고, 좌우 모서리부를 상기 사이드 프레임(28)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위치 결점핀(73)에 적재하는 동시에, 후단의 절곡부(54)를 상기 저판(9)의 단차부(46)에 적재한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외층 흡입구(18,19)를 피복한다. 이때, 흡입구 카버(22)의 들랜지(53)은저판(9)와 같은 면이 되며, 저판(9)와 한꼐 상품의 적재면을.형성한다. 또, 제 4 도와 같이 격벽(56)은 구휙부재(26)을 향해 돌출하고, 전후의 슬릿(21,21) 및 필더(59)의 전방변(66), 후방벽(67)은 외층 흡입구(19)및 내층 흡입구(18)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송풍기(24)가 운전되면 내외층 토출구(16,17)로부터 냉기 및 공기가 내외층 흡입구(18,19)를 향해 토출되고, 에어 커텐을 구성하여 흡입구 카버(22)의 슬릿(21...) 및 필터(59)를 통과하고, 내외층흡입구(18,19)로부터 흡입된다. 이때 흡연되는 냉기, 혹은 공기에 혼합된 먼지의 대부분은 필터(59)의 전후방벽(66,67)에 걸리게 된다. 또, 저장실(11)로부터 슬릿(21)을 통과하여 흡입구 카버(22)내로 낙하한 가격표등의 이물도 필터(59)의 전후방벽(66,67)상에 낙하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내외층 흡입구(18,19)로부터 단열벽(2)의 저벽(2A)상, 즉 드레인 받침(41)상에 침입하는 먼지 등은 현저히 적어지게 되며, 이들을 청소하는 수도로 현저히 경감된다.
또, 필터(59)상에 저지된 먼지나 이물은 전후방벽(66,67)의 경사에 따라 낮은 쪽으로 낙하하고, 하단부(63)상에 접중한다. 따라서, 필터(59) 전체가 먼지 등에 의해 눈이 막히기 어렵게 되며, 비교적 장기간 내외층 흡입구(18,19)로부터의 냉기 등의 흡입이 확보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필터(59)에 먼지 등이 축적되면흡입구 카버(22)를 제 6 도중 화살표와 같이 들어 올려서 벗겨낸 후 측방으로 필터(59)를 빼내어 청소한으로써 폐기한다.
또, 흡입구 카버(22)를 제 6 도와 같이 분리해내면 저판(9)의 전방의 플랜지(53)도 한깨 철거되고, 샌드 레일(7l)로부터 저판(9)에 결쳐시 비교적 크게 개방하므로 이 개방 부분으로부터 손을 삽입한으로써 드레인받침(41)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53)상에 적재된 상품을 후방의 처판(9)상에 약간 엇갈리고, 흡입구 카버(22)를 벗겨내는 것만으로 드레인 받침(4l)을 청소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저판(9)상의 상품 전부를 철저하고, 저판(9)를 벗겨내어 청소한 경우에 비해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내외 이층의 덕트(7,8)을 형성하여 개구(l2)를 2개층의 에어 커텐을 형성하였으나, 이에한하지 않고 덕트(7)만으로 일층의 에어 커텐을 형성해도 지장은 없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청구항 l의 발명에 따르면, 흡입구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에 필터를 부착하였으므로 흡입구로부러 덕트에 침입하려 하는 먼지나 이물을 필터에 의해 저지하고. 덕트에의 먼지나 이물의 점입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필터를 하단부로부터 서로 격리시키면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후방벽으로 구성하였으므로 필러 상면에서 저지된 먼지나 이물은 그후 필러의 전후변에 따라 낮은 쪽으로 낙하한다.따라서, 먼지나 이물을 필터의 하단부 상에 집중시킬 수 있고, 필터의 전체면이 먼지나 이물에 의해 눈막힘을 억제한 수 있게 되며, 그로써 냉기의 흡입를 비교적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흡입구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가 저판 선단과 단열벽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흡입구 카버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가 저판과 한게 상품 적재면을 힝성하도륵 구성하였으므로 흡입구 카버를 제거한으로써 저판 선단과 단열벽 사이가 비교적 크게 개방된다. 따라서, 저판을 분리해 내지 않고 저판 선단과 단열벽 간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저판 하방의 단열벽 상면 등올용이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쇼케이스의 청소 작업성이 현저히 한상하는 것이다.

Claims (2)

  1. 단열벽의 개구 상부 모서리에 형성한 토출구로부터 냉기를 토출하고, 개구 하부 모서리에 형성한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와, 이 흡입구 카버에 부착된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하단부로부터 상호 격리되면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전후방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2. 단열벽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구휙판과 저판을 설치한으로써 저장실과 덕트를 구휙 형성하고, 덕트내에 냉각기와 송풍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단열벽의 개구 상하 모서리에는 상기 덕트에 연통한 토출구 및흡입구를 각각 형성하고,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상기 송풍기에 의해 토출구로부티 토출하여 상기 횹입구로부터 흡입하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 구엉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구를 피복하는 흡입구 카버를 저판 전방단과 단열벽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구 카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상기 저판과 한께 상품 적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19940023596A 1993-09-21 1994-09-16 쇼케이스 KR970002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257785A JP3139660B2 (ja) 1993-09-21 1993-09-21 ショーケース
JP93-257785 1993-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92A KR950009192A (ko) 1995-04-21
KR970002651B1 true KR970002651B1 (ko) 1997-03-07

Family

ID=173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596A KR970002651B1 (ko) 1993-09-21 1994-09-16 쇼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9660B2 (ko)
KR (1) KR970002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9489B1 (en) 1999-12-20 2001-12-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reactive silane oligomers
JP2010117043A (ja) * 2008-11-11 2010-05-27 Okamura Corp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5401958B2 (ja) * 2008-12-09 2014-01-29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倉庫
JP6148930B2 (ja) * 2013-08-12 2017-06-1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6442840B2 (ja) * 2014-03-12 2018-12-26 富士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1820A (ja) * 1987-03-10 1988-09-14 Eiken Kogyo Kk フイルタエレメント
JPS6417308U (ko) * 1987-07-17 1989-01-27
JPH02254238A (ja) * 1989-03-27 1990-10-15 Toshiba Corp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H0731107Y2 (ja) * 1991-05-13 1995-07-19 富士電機冷機株式会社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91807A (ja) 1995-04-07
JP3139660B2 (ja) 2001-03-05
KR950009192A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6041A (en) Air filter inlet and positioning guide for an air conditioner
US3736768A (en) Machine compartment arrangement for a refrigerating device
KR970002651B1 (ko) 쇼케이스
KR100954047B1 (ko) 공기 조화 증발기 유닛
KR20050083412A (ko)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착탈 구조
KR100679710B1 (ko) 공기조화기
JP3694191B2 (ja) ルーバ構造
KR20030045442A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CN218672579U (zh) 空调器组件
KR1005332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부구조
KR200152317Y1 (ko) 버스의 쿨러용 에어 인테이크 그릴의 조립구조
JP731768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975859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3677430B2 (ja) 冷却貯蔵庫
JP6065465B2 (ja) ショーケース
KR200146304Y1 (ko) 쇼케이스의 조립식 흡입판
JP5736542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9298967A (ja) 動物ケージ収容ラック
JPS6244253Y2 (ko)
KR0127613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10043614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145554B2 (ja) 空気調和機
JPS5838901Y2 (ja) 空気調和機
KR200211713Y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JPH03345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