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713Y1 - 공조기기용실내기 - Google Patents

공조기기용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713Y1
KR200211713Y1 KR2019980012137U KR19980012137U KR200211713Y1 KR 200211713 Y1 KR200211713 Y1 KR 200211713Y1 KR 2019980012137 U KR2019980012137 U KR 2019980012137U KR 19980012137 U KR19980012137 U KR 19980012137U KR 200211713 Y1 KR200211713 Y1 KR 200211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filter
suction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347U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2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71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71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전면커버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그릴을 이루며 상기 전면커버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그릴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그릴유니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방향으로 긴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흡입그릴을 일체화하여 흡입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그릴에 필터를 장착시킴으로서, 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 고안은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흡입그릴을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흡입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흡입그릴의 내측에 필터를 장착시킴으로써, 필터의 착탈도 용이하게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외기로부터의 냉매를 열교환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조기기 중 본 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공조기기는, 히터가 장착되어 냉난방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업장소나 사무실 등 넓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대형 공조기기이다.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본체(51)내의 일영역에는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판(65)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51)는 분리판(65)에 의해 냉방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냉방열교환실(100)과, 난방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난방열교환실(90)로 분리되게 된다.
냉방열교환실(100)은 본체(51)의 하부에 구획되며, 냉방열교환실(100)내에는 증발기(52)가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52)의 본체(51)의 전방을 향한 전면에는 본체(51)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비교적 큰 부유입자를 걸르기 위한 필터(7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기(52)의 상부 영역에는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도시않은 송풍팬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은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팬케이싱(63)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송풍팬케이싱(63)는 분리판(6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난방열교환실(90)은 본체(51)의 상부에 구획되며, 난방열교환실(90)내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히터(67)가 분리판(65)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냉난방겸용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체(51)는, 사각통상의 외부케이싱(53)과, 외부케이싱(5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55)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62)을 갖는 흡입커버(58)와, 조작패널부(57)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커버(56),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1)가 형성된 토출커버(54)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55)의 하부영역에 부착되는 흡입그릴(62)은, 본체(51)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그릴유니트(62a)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공조기기의 흡입그릴(62)은 공조기기의 용량에 따라 각각 장착되는 그릴유니트(62a)의 수를 달리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그릴(62)은 사출물로 성형되는데, 분할된 흡입그릴(62)을 일체로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져서 성형물의 형태가 변형되기 쉽고, 공조기기의 용량에 따라 흡입그릴(62)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그릴유니트(62a)를 장착하여 흡입그릴(62)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흡입그릴(62)은, 복수개의 그릴유니트(62a)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흡입그릴(62)이나 필터(70)를 청소하거나 본체(51)내의 기기를 수리하기 위해 흡입그릴(62)을 본체(51)로부터 착탈하여야 하는 경우, 각 그릴유니트(62a)를 일일이 착탈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필터(70)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 그릴유니트를 일일이 탈착한 다음, 증발기의 전면에 장착된 필터(70)를 탈착하여야 하므로 필터(70)의 착탈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입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조기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공조기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그릴의 배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외부케이싱
5 : 전면커버 8 : 흡입커버
12 : 흡입그릴 12a : 그릴유니트
14 : 연결바아 16 : 필터걸림턱
20 : 필터 21 : 필터가이드
22 : 나사공 23 : 절취홈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전면커버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을 이루며 상기 전면커버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그릴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그릴유니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방향으로 긴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그릴유니트 중 가로방향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그릴유니트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걸르는 필터의 장착을 위한 필터가이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그릴유니트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필터가 하향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대형 공조기기용 실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3)과, 외부케이싱(3)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를 포함하는 본체(1)를 갖는다. 전면커버(5)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을 갖는 흡입커버(8)와, 운전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버턴을 구비한 조작패널부(7)가 형성된 패널커버(6)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가 형성된 토출커버(4)로 분리되어 있으며, 토출커버(4)와 패널커버(6) 및 흡입커버(8)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5)에 부착된 흡입그릴(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릴유니트(12a)로 이루어지며, 각 그릴유니트(12a)는 그릴유니트(12a)의 배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연결바아(14)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연결바아(14)는 각 그릴유니트(12a)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며, 각 그릴유니트(12a)에 나사결합되어 그릴유니트(12a)를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그릴유니트(12a)중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그릴유니트(12a)에는, 그릴유니트(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내공기의 흡입시 비교적 큰 부유입자를 걸르기 위한 필터(20)를 고정하기 위한 필터가이드(21)가 결합되어 있으며, 필터가이드(21)는 흡입그릴(12)의 중앙영역을 향해 상호 개방된 채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가이드(21)의 그릴유니트(12a)에 접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사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되는 면에는 나사공(22)에 나사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취홈(23)이 나사공(2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그릴유니트(12a)의 내측면의 하부에는 필터(20)의 장착시, 필터(20)가 하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걸림턱(16)이 그릴유니트(12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를 필터가이드(21)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필터(20)는 필터걸림턱(16)에 의해 슬라이딩이 저지되면서 흡입그릴(12)과 일체로 장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그릴(12)을 구성하는 그릴유니트(12a)를 연결바아(14)에 의해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흡입그릴(12)의 청소나 본체(1)내의 기기의 고장수리를 위해 흡입그릴(12)을 착탈할 경우, 한번에 흡입그릴(12)을 탈착하거나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20)를 청소할 경우에는, 흡입그릴(12)을 탈착한 다음, 필터가이드(21)에 의해 흡입그릴(12)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20)를 필터가이드(21)를 따라 슬라이딩 이탈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필터(20)의 착탈도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입그릴을 일체화하여 흡입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그릴에 필터를 장착시킴으로서, 필터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전면커버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을 이루며 상기 전면커버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그릴유니트와,
    상기 복수의 그릴유니트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그릴유니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가로방향으로 긴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니트 중 가로방향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그릴유니트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걸르는 필터의 장착을 위한 필터가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릴유니트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필터가 하향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KR2019980012137U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KR200211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7U KR200211713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37U KR200211713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7U KR20000002347U (ko) 2000-02-07
KR200211713Y1 true KR200211713Y1 (ko) 2001-11-22

Family

ID=6951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37U KR200211713Y1 (ko) 1998-07-03 1998-07-03 공조기기용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63B1 (ko) 2005-12-16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63B1 (ko) 2005-12-16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347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713Y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2003004615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7316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950012902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냉풍기
KR200204603Y1 (ko) 벽걸이형 공조기기
KR20050089191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장부구조
KR20015457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200299992Y1 (ko) 룸에어컨의 필터 장착 구조
KR200221819Y1 (ko) 공조기기
KR100225635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30038949A (ko) 공기 조화기의 흡입그릴 장착구조
KR2003004271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35748Y1 (ko) 공조기기
KR19990010649U (ko) 공조기기
KR100484931B1 (ko) 공기조화기
KR100220741B1 (ko) 공기 조화기의 전기 집진기 설치 구조
CN100487328C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200154611Y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의 지지구조
KR100289123B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100654728B1 (ko) 에어컨 흡입부의 전기집진기 장착구조
CN117213133A (zh) 一种独立散热风道以及制冰机
KR200228665Y1 (ko) 공기조화기용실내기
KR200173447Y1 (ko) 벽걸이형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스페이서고정장치
KR20010065320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분리형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