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72B1 -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72B1
KR970002172B1 KR1019890000302A KR890000302A KR970002172B1 KR 970002172 B1 KR970002172 B1 KR 970002172B1 KR 1019890000302 A KR1019890000302 A KR 1019890000302A KR 890000302 A KR890000302 A KR 890000302A KR 970002172 B1 KR970002172 B1 KR 97000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lement
locking
lamp
releasing
lam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119A (ko
Inventor
마리스 몬테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마르 레메이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마르 레메이르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89001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6Wire spring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의 개방위치에 있어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램프홀더의 폐쇄위치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3a도 내지 3f도는 스프링요소를 램프홀더에 계지시키거나 그것으로부터 이탈시켜서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의 제2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홀더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홀더 2 : 반사체
3 : 개구 4 : 원형당접면
6 : 스프링요소 41, 42 : 고정지지요소
61, 62 : 절곡다리부 65 : 오메가형상부
71: 경사안내면 72 : 걸림턱
81 : 경사이탈면
본 발명은 램프홀더에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조명 또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조명 또는 표시장치는 반사경의 역할을 하는 케이싱 내부에 반사경의 후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조립되어 램프홀더에 쇄정되는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는 램프홀더상에 형성된 원형 칼라로 구성되며, 이 원형 칼라에는 램프의 원형 플랜지가 설치된다. 램프는 강선으로 된 스프링요소로 고정시킨다. 램프홀더에는 스프링요소를 축지하는 수단이 형성되는 한편, 이 축지수단의 대략 직경 방향 반대쪽의 램프홀더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요소를 계지 및 이탈시키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요소를 구성하는 강선의 양단은, 반사경내의 램프조립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들 양단부를 누르면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쇄정 및 해제 수단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단은 효과적이고 그 외형이 단순하며, 예를 들면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1,313,934호 및 동 제2,036,783호(영국 특허 제1,256,48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스프링용소를 구성하는 강선의 양단이 램프조립축에 대하여 편위되어 있고 램프를 쇄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해서는 손 또는 공구로 강선의 양단을 압축시켜야 하기 때문에, 램프의 후방에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더우기,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스프링요소가 그 자중에 의해서 쇄정 및 해제수단 위로 낙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램프가 고정된 것으로 오인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홀더에 램프를 해제가능하게 쇄정할 수 있고 최소한의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하여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원형플랜지를 가진 램프를 끼워서 설치하기 위한 원형 개구가 후미부분에 형성된 반사체와, 상기 개구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램프홀더와, 스프링요소로 구성되어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요소의 일단부는 램프홀더에 축지되고, 상기 스프링요소의 타측자유 단부는 상기 개구의 대략 직경 방향 반대쪽 부분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요소의 중앙부는 상기 램프를 눌러서 상기 램프의 원형플랜지를 상기 램프홀더의 지지면에 지지시키도록 된 램프홀더에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장치, 특히 자동차용 조명 또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수단은, 스프링요소 취부점의 반대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은 경사안내면과, 걸림턱과, 이 걸림턱에 대향하는 오목한 형상의 경사이탈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안내면은, 쇄정작업시 상기 램프의 조립축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제1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요소가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계지되어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될때까지 상기 스프링요소의 자유단부를 안내하면서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경사이탈면은, 해제작업시 상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의 압력과 유사한 제2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요소가 자유로운 상태로 될 때까지 당해 스프링요소를 안내하면서 변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스프링요소의 축지단부는 당해 스프링요소를 개방위치로 자동귀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한정적인 실시태양에 관하여 설명한다.
램프홀더(1)는 후미부분에 개구(3)를 가진 반사체(2)와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하거나 상기 반사체(2)에 부착되는 것으로,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축(5)을 따라 개구(3)에 조립할 때 반사체(2)의 내부에 수납되는 램프의 원형 플랜지를 지지하는 원형지지면(4)을 구비하고 있다. 램프는 성형와이어, 바람직하게는 강철로된 스프링요소에 의해서 한 위치에 쇄정된다.
스프링요소(6)는 직선형 베이스(66)를 포함하는 오메가형상의 자유단부(65)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2개의 절곡다리부(61)(62)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요소(6)를 구성하는 성형와이어의 절곡다리부(61)(62)의 양단(6a)(6b)은 지지면(4)상에 램프홀더(1)와 같은 재료로 또는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L자형 고정지지요소(41)(42)를 개재하여 램프홀더(1)에 취부된다. 각 고정지지요소(41)(42)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공에는 스프링요소(6)의 일단부(6a)가 끼워지게 되는바, 이 스프링요소의 단부는 절곡다리부(6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고정지지요소(41)(42)를 통해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요소의 타단부(6b)는 고정지지요소(42)의 아암(42a)과 상기 일단부(6a) 사이에서 후자에 대하여 수직하게 고정된다. 스프링(63)(64)은 각 고정지지요소(41)(42)의 아암(41a)(42a)위에 탄지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권회하여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스프링은 축지부를 구성하여 평상시 상기 스프링요소(6)를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개방위치로 귀환시켜 그 상태로 유지한다.
스프링요소(6)를 걸어서 계지하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수단은, 고정지지요소(41)(42)의 대략 직경방향 반대쪽 영역(7)에 있는 지지면(4)상에서 램프홀더(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안내면(71), 걸림턱(72) 및 이 걸림턱(72)에 대향하는 오목한 형상의 경사이탈면(81)을 포함하는 부착물(80)로 구성된다. 상기 쇄정 및 해제 수단은 스프링요소(6)를 계지하여 그것의 절곡다리부(61)(62)가 램프의 원형플랜지를 누르도록 함으로써 램프를 램프홀더(1)에 쇄정시키기도 하고, 스프링요소(6)를 이탈시켜서 램프를 램프홀더(1)에서 해제하기도 한다.
다음은 제3a도 내지 3f도를 참조하여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일련의 단계를 설명한다.
램프의 원형플랜지(9)를 지지면(4)에 설치하여 램프를 램프홀더내에 위치시킬 경우(제3a도), 스프링요소(6)는 개방위치에 있게 되며, 고정지지요소(41)(42)에 각각 지지된 스프링(63)(64)에 의해서 그 상태를 유지한다.
스프링요소(6)로 램프를 쇄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램프의 조립축(5)에 대략 평행한 화살표 F의 방향을 따라 램프홀더(1) 쪽으로 압력을 가한다(제3b도). 절곡다리부(61)(62)는 램프의 원형플랜지(9)를 누르게 되고, 오메가 형상부(65)의 수평베이스(66)는 부착물(80)의 경사안내면(71)과 접촉하여 그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므로써 스프링요소(6), 특히 오메가 형상부(65)를 변형시키고, 결국은 수평베이스(66)가 걸림턱(72)에 계지되어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된다(제3c도).그리하여 램프는 그것의 원형플랜지(9)에 압력을 가하는 절곡다리부(61)(62)에 의해서 램프홀더(1)에 쇄정된다.
스프링요소(6)의 이탈 및 그로 인한 램프의 해제는 쇄정작업과 동일한 방식, 즉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행하게 되며(제3d도), 이때 오메가 형상부(65)의 베이스(66)는 부착물(80)의 오목한 경사이탈면(81)에 접촉하여, 먼저 상기 경사이탈면(81)의 하향부를 따라 미끄럼이동해서 경사이탈면(81)의 최하부(82)에 도달하고, 이어서 상향부를 따라 미끄럼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걸림턱(72)과 오목한 경사이탈면(81)의 최하부(82) 사이의 거리가 오메가 형상부(65)의 베이스(66)를 이루는 와이어의 직경과 적어도 동일해야 한다.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메가 형상부(65)의 베이스(6)가 경사이탈면(81)의 상부(83)에 도달하면(제3e도), 상기 베이스(66)는 경사이탈면(81)을 벗어나서 부착물(80)의 외측면(85)에 접하게 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스프링요소(6)(이 단계에서는 변형되어 있음)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요소(6)는 스프링(63)(64)에 의해서 제3(a)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개방위치로 자동적으로 귀환한다. 오메가 형상부(65)의 베이스(66)가 걸림턱(7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오목한 경사이탈면(81)의 상부(83) 높이를 걸림턱(72)의 높이와 적어도 같게할 필요가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램프를 쇄정 및 해제하는 수단은 2개의 부착물(80)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착물(80)은 경사안내면(71)과, 걸림턱(72)과, 이 걸림턱(72)에 대향되는 오목한 경사이탈면(81)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착물(80)들은 벽체(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부착물쪽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스프링요소(6)을 이탈시킬 경우, 특히 압력축 F가 부착물(80)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 스프링요소(6)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하나의 경사안내면(71)과 하나의 걸림턱(72)이 램프홀더(1)상에 형성되고, 이들의 양쪽에는 2개의 오목한 경사이탈면(81)이 코형상부분(72)을 지나는 평면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경사안내면(71)과, 걸림턱(72)과, 오목한 경사이탈면(81)은 벽체(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보다 견고한 구조물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요소(6)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실제로, 압력F가 경사안내면(71) 및 걸림턱(72)을 통과하지 않는 축을 따라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스프링요소(6)를 걸림턱(72)에 계지시키는데에 필요한 압력은 별로 크지 않다. 반면에, 스프링요소(6)를 이탈시키는데에 필요한 압력은 오메가 형상부(65)를 더 많이 변형시켜야 하기 때문에 약간 크다. 따라서, 2개의 경사이탈면(81)의 개별적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요소(6)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은 작업에 필요한 압력(화살표 F)의 작용방향 및 작용점은 일예에 불과한 것이며, 오메가 형상부의 근방에서 램프가 램프홀더(1)에 조립되는 축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기만 하면 된다. 이에 의하면, 램프를 램프홀더(1)에 조립하는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만 있으면 램프의 조립과 그것의 쇄정 및 해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변경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원형플랜지를 가진 램프를 끼워서 설치하기 위한 원형 개구가 그 후미부분에 형성한 반사체와; 상기 개구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면을 가지는 램프홀더를 포함하는 램프를 램프홀더에 쇄정 및 해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스프링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요소의 일단부는 상기 램프홀더에 축지되고, 상기 스프링요소의 타측자유단부는 상기 개구의 대략 직경방향 반대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물에 계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요소의 중앙부는 상기 램프를 눌러서 상기 램프의 원형플랜지를 상기 램프홀더의 상기 지지면에 지지시키며; 상기 부착물은 경사안내면과, 걸림턱과, 이 걸림턱에 대향하는 오목한 경사이탈면으로 이루어진 램프 쇄정 및 해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안내면은 쇄정작업시 상기 램프의 조립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제1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요소가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계지되어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될때까지 상기 스프링요소의 자유단부를 안내하면서 변형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경사이탈면은 해제작업시 상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의 압력과 유사한 제2의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요소가 자유로운 상태로 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요소를 안내하면서 변형시키도록 된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경사이탈면의 최하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의 거리가 상기 스프링요소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직경과 적어도 동일한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경사이탈면의 최고점의 높이가 상기 걸림턱의 높이와 적어도 동일한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요소가 2개의 절곡다리부를 형성하는 와이어이고, 상기 2개의 다리부는 램프홀더에 축지되는 한편 서로 연결되어서 대략 오메가 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메가 형상부의 베이스는 스프링요소의 자유단을 구성하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부착물이 형성되고, 각 부착물은 2개의 걸림턱에 각각 대향하는 하나의 경사이탈면을 포함하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경사안내면과 하나의 걸림턱이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는 평면과 대향하는 2개의 오목한 경사이탈면 사이에 배치된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요소의 상기 축지단부가 개방위치로의 자동귀환수단을 포함하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귀환수단은 상기 스프링요소를 구성하는 와이어를 성형하여 형성시킨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스프링을 포함하는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요소를 취부하고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지지면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가 램프홀더에 형성된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및 해제수단과 상기 스프링요소의 취부 및 지지수단은 상기 램프홀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홀더 자체는 상기 반사체와 일체로 형성된 쇄정 및 해제장치.
KR1019890000302A 1988-01-15 1989-01-13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KR970002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00402 1988-01-15
FR8800402A FR2626062B1 (fr) 1988-01-15 1988-01-15 Systeme de verrouillage et de deverrouillage d'une lampe sur un porte-lampe, plus particulierement pour un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19A KR890012119A (ko) 1989-08-24
KR970002172B1 true KR970002172B1 (ko) 1997-02-24

Family

ID=936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302A KR970002172B1 (ko) 1988-01-15 1989-01-13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2096A (ko)
KR (1) KR970002172B1 (ko)
DE (1) DE3900610A1 (ko)
ES (1) ES2011959A6 (ko)
FR (1) FR2626062B1 (ko)
IT (1) IT1237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819A (en) * 1988-09-15 1990-06-12 Hella Kg Hueck & Co. Apparatus for mounting a bulb in a reflector opening of a headlight
GB8904813D0 (en) * 1989-03-01 1989-04-12 Carello Lighting Plc Lamp reflector
DE4416925C1 (de) * 1994-05-13 1995-06-01 Hella Kg Hueck & Co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Lampe an einem Reflektor eines Fahrzeug-Scheinwerfers
DE4436409C1 (de) * 1994-10-12 1995-12-07 Hella Kg Hueck & Co Halterung einer Lampe in einer Öffnung eines Reflektors eines Fahrzeug-Scheinwerfers
JPH097401A (ja) * 1995-06-21 1997-01-10 Koito Mfg Co Ltd 灯具用バルブの固定構造
FR2760685B1 (fr) * 1997-03-11 1999-06-04 Aps Engineering Ressort de maintien et compression et son application dans un dispositif d'impression compact
DE19739116A1 (de) * 1997-09-06 1999-03-11 Hella Kg Hueck & Co Halterung einer Lampe in einer Öffnung eines Reflektors eines Fahrzeugscheinwerfers
KR20020008922A (ko) * 2000-07-21 2002-02-01 구자홍 프로젝터의 램프 고정구조
US6461025B1 (en) * 2000-12-14 2002-10-08 Infocus Corp Lamp assembly with snap fit components
DE10333036A1 (de) * 2003-07-21 2005-02-10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einrichtung
US7322728B2 (en) * 2005-12-12 2008-01-29 Hyundai Motor Company Mounting structure for high-mounted stop lamp
DK1936265T3 (da) 2006-03-06 2010-11-15 Antares Iluminacion Sa Indretning til installation af indbygningslamper i en flade
ITTO20080282A1 (it) 2008-04-11 2009-10-12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portalampada perfezionato
IT1397288B1 (it) 2009-12-01 2013-01-04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portalampada perfezionato.
JP5655260B2 (ja) * 2011-02-28 2015-01-2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コードクランプ構造
CN102720750B (zh) * 2011-03-29 2014-05-07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搭扣和灯具
CN102777476B (zh) * 2011-05-11 2014-10-01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搭扣结构
CN103185313B (zh) * 2011-12-30 2015-03-2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灯具及其自锁挂扣结构
CN103697425B (zh) * 2012-09-27 2018-02-09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灯泡固定装置
CN104676503B (zh) * 2013-11-30 2019-04-16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锁扣结构及具有该锁扣结构的灯具
FR3033146B1 (fr) * 2015-02-26 2017-02-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upport a moyen de blocage de fil ressort d'immobilisation d'ampoule, pour un bloc optique de vehicu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3934A (fr) * 1961-11-22 1963-01-04 Dba Sa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de la lampe d'un projecteur automobile sur le collet de son réflecteur
FR1531505A (fr) * 1967-05-19 1968-07-05 Sev Marchal Porte-lampe plus particulièrement destiné aux projecteurs pour véhicules automobiles
FR2036783A1 (ko) * 1969-03-31 1970-12-31 Ducellier & Cie
ES169390Y (es) * 1970-06-23 1972-04-01 Joseph Lucas (Industries) Limited Conjunto de faro para vehiculos.
FR2474143A1 (fr) * 1979-12-04 1981-07-24 Cibie Projecteurs Dispositif de fixation d'une lampe sur le reflecteur d'un projecteur
GB8330925D0 (en) * 1983-11-19 1983-12-29 Lucas Ind Plc Retaining device
FR2555824B1 (fr) * 1983-11-30 1986-05-23 Cibie Projecteurs Dispositif de montage et de fixation d'une lampe, notamment pour projecteur d'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37404B (it) 1993-06-01
ES2011959A6 (es) 1990-02-16
KR890012119A (ko) 1989-08-24
FR2626062B1 (fr) 1990-05-04
US4872096A (en) 1989-10-03
FR2626062A1 (fr) 1989-07-21
DE3900610A1 (de) 1989-07-27
IT8947533A0 (it) 198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172B1 (ko) 램프의 쇄정 및 해제장치
US8474774B2 (en) Panel component holder
US4739460A (en) Spring clips for a recessed light fixture
US5410782A (en) Clip device for supporting a panel
US5765959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rotation member
US5349510A (en) Spring latching mechanism for light fixture
JPH07296623A (ja) 埋め込み型照明器具
JP2999426B2 (ja) 天井直付型照明器具の取付け装置
JP3278123B2 (ja) 取付構造
JP3591865B2 (ja) 埋め込み型照明器具
JP4334383B2 (ja) 照明器具
JPS6158925B2 (ko)
JPS6015082B2 (ja) フランジ付電球を自動車前照灯反射器に取付ける装置
JPH0617030U (ja) 照明器具本体への開口枠の取付け構造
US5380208A (en) Lamp socket mounting device
GB2309513A (en) Mounting of built-in lamp
JPH0635291Y2 (ja) 埋込み形照明器具
JPH0945126A (ja) 天井埋込型ランプケース
JPH0521769Y2 (ko)
JP2632029B2 (ja) 照明器具
JPH09282923A (ja) シェードの取付構造
JPH0144894Y2 (ko)
JPS5810242Y2 (ja) ヘツドランプの灯体保持機構
JPH0997514A (ja) 照明器具用取付具
JPH01197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