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042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042B1
KR970002042B1 KR1019960065062A KR19960065062A KR970002042B1 KR 970002042 B1 KR970002042 B1 KR 970002042B1 KR 1019960065062 A KR1019960065062 A KR 1019960065062A KR 19960065062 A KR19960065062 A KR 19960065062A KR 970002042 B1 KR970002042 B1 KR 97000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olysaccharides
callus
culture
na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야 오쯔지
야수끼 혼다
기꾸히꼬 오까모또
하까루 아나오까
사또시 다까노
유끼오 스기무라
노리꼬 오까무라
가즈미 사이또
요시노리 다께마
도시유끼 스즈기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끼사이샤
마루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22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0997A/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끼사이샤, 마루다 요시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끼사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산성 헤테로다당류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상기 산성 헤테로다당류의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신규된 산성 헤테로다당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 유래의 다당류는, 증점제, 겔화제, 기포안정제, 현탁 또는 유화안정제, 캡슐형상제, 점착제 및 생리활성제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당류는 종래 일반적으로, 천연 또는 재배식물의 종자, 과실 줄기, 나무의 줄기, 잎, 뿌리, 괴경 또는 괴근으로부터의 추출 또는 탭핑 등에 의하여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천연자원으로부터의 생산은, 기후조건 등의 영향을 받기 쉽고, 생산량 및 가격이 일정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으로부터의 유래식물을 식물조직 배양법에 의해 인위적으로 상기 식물의 칼루스(calluses) 또는 기관을 배양함으로써 기후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당류를 생산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수 이루어져 있다.
식물조직 배양법을 응용한 식물유래의 다당류의 생산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으나, 세포벽의 발달 메커니즘의 연구로, 칼루스가 배양된 액체 배양물중에서 소량의 다당류가 분비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컨대, 빈카 로세아 엘.(Vinca rosea L.)의 경우에는 10일간의 배양으로서 배양 브로쓰 1L당 0.22g, 글리신 맥스 매릴(Glycine max Merril)의 경우에는 8일간의 배양으로서 배양 브로쓰 1L당 0.49g, 파세오루스 불가리스 엘.(Phaseolus Vulgaris L.)의 경우에는 21일간의 배양으로서 배양 브로쓰 1L당 1.6g의 다당류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물조직 배양법에는 다당류의 생산량이 극히 낮은 결점이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식물조직 배양법의 개발이 소망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하에, 본 발명자는 광범위한 연구결과, 식물자원으로서 폴리안테스 엘. 속(Polianthes L.)에 속하는 식물을 사용하여, 이것에서 유도된 칼루스를 하나 이상의 식물 호르몬 함유배지중에서 배양시키면 다량의 다당류가 생산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처럼 생산된 다당류속에는 종래 알려져 있는 다당류와는 전혀 다른 신규한 산성 헤테로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라비노오즈, 만노오즈, 갈락토오즈, 글루크론산 및 크실로오즈를 구성 성분으로 함유하고, 그것들의 결합 양식과 구성비가 하기와 같고, 분자량이 1.0×104∼2×107인 산성 헤테로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산성 헤테로다당류를 하나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세정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 태양, 이점은 하기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다당류의 제조방법은 폴리안테스 엘.에 속하는 식물을 사용하여, 그 식물에서 유도된 칼루스를 하나 이상의 식물 호르몬 함유배지중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물로부터 다당류를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안테스 엘.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예컨대, 폴리안테스 튜베로오사 엘.(Polyanthes thberosa)을 들수 있다. 꽃, 줄기, 잎, 인경, 뿌리 등의 식물기관 또는 조직의 일부가 외식편(explant)으로서 사용되는데, 그중에서 특히 꽃의 특정 조직이 바람직하다.
칼루스 유도용의 기본배지로서는, 식물조직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일 수 있으며, 뮤라시게-스꾸그(Murasige-Skoog)배지, 린스마이어-스꾸그(Linsmaier-Skoog)배지, 감보그(Gamborg)배지, 화이트(White)배지, 튜리크(Tuleeke)배지, 니취 앤드 니취(Nitsch Nitsch)배지 등과 같은 배지를 포함한다.
이들 배지에는 하나 이상의 식물 호르몬을 첨가할 필요가 있으며, 식물 호르몬으로서는 2,4-디클로로페녹시 아세트산(2,4-D), α-나프탈렌아세트산(NAA), 인돌아세트산(IAA), 인돌부틸산(IBA) 등의 옥신류; 푸루푸릴아미노퓨린(키네틴), 벤질아데닌(BA), 디메틸알릴아미노퓨린(2ip) 등의 시토키닌(cytokinins) 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2,4-D 단독, 혹은 NAA와 BA의 조합물, 또는 NAA와 키네틴의 조합물에 의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칼루스 유도에 필요한 호르몬 농도는 2,4-D 단독의 경우에는 5×10-4∼1×10-7M, NAA와 BA 또는 NAA와 키네틴의 결합의 경우, NAA의 농도는 5×10-4M 내지 1×10-7M이고, BA 및 키네틴의 농도는 각각 1×10-4M 내지 1×10-7M이다.
칼루스 유도배지에는 상기한 기본배지와 식물 호르몬 이외에 탄소원으로서 당이 첨가된다. 당으로서는 글루코오즈, 푸락토오즈, 만노오즈, 크실로오즈, 슈크로오즈, 람노오즈, 퓨코오즈, 전분 등을 들 수 있으나, 가장 통상적으로는 슈크로오즈가 사용된다.
칼루스 유도는 고상배지 혹은 액상배지에서 가능하나, 통상적으로는 고상배지가 사용된다.
이렇게 해서 유도된 칼루스는 상기한 칼루스 유도배지에서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한 채로 10대 이상에 걸쳐서 대를 계속하여 배양을 할 수가 있다. 계대배양의 배지로서는 기본배지로서 린스마이어-스꾸그 배지, 또는 뮤라시게-스꾸그 배지를 함유하고; 식물 호르몬으로서 1×10-4∼1×10-7M 농도의 2,4-D 또는 1×10-4∼1×10-7M 농도의 NAA와 1×10-4∼1×10-7M의 BA의 조합물을 함유하고; 탄소원으로서 글루코오즈, 푸락토오즈, 만노오즈, 크실로오즈, 슈크로오즈, 람노오즈, 퓨코오즈, 전분 등, 그중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슈크로오즈를 배지를 기준으로 1∼6% 함유한다.
칼루스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기 위해 칼루스를 한천배지 등의 고상배지 또는 액상배지중에서 배양하는데, 그중에서도 액상배지중에서 배양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욱 바람직하다.
기본배지로서는, 예컨대, 무라시계-스꾸그 배지, 린스마이어-스꾸그 배지, 감보그 배지, 화이트 배지, 튜리크 배지, 니취 앤드 니취 배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중에서 뮤라시게-스꾸그 배지 및 린스마이어-스꾸그 배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식물 호르몬의 종류 및 농도는 다당류의 생산성과 관련된다. 사용된 식물 호르몬의 종류로는, 2,4-D NAA, IAA, IBA 등의 옥신류; 키네틴, BA, 2iP 등의 시토키닌류; 및 지베렐린 A3(GA3) 등의 지베렌린류가 있다. 이중에서 2,4-D 또는 NAA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NAA를 BA 또는 키네틴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호르몬의 농도는 2,4-D 또는 NAA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5×104M 내지 1×10-7M, 바람직하게는 5×10-5M 내지 5×10-6M이고; NAA와 BA 또는 NAA와 키네틴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NAA의 농도는 1×10-4M 내지 1×10-7M, 바람직하게는 1×10-4M 내지 5×10-6M이고, BA 또는 키네틴의 농도는 5×10-5M 내지 1×10-9M, 바람직하게는 1×10-5M 내지 5×10-7M이다.
탄소원으로서는 글루코오즈, 푸락토오즈, 만노오즈, 크실로오즈, 슈크로오즈, 람노오즈, 퓨코오즈, 전분 등이 사용된다. 다당류의 생산은 첨가하는 탄소원의 종류에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슈크로오즈가 사용된다. 탄소원의 농도와 다당류의 생산량과의 관계는 별로 중요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탄소원의 농도는 1∼6%가 바람직하다.
배양조건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30℃의 온도에서 15∼30일간 진탕배양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다당류를 채취하기 위해, 예컨대, 배양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회전식 증발기 등을 사용하여 농축하고 농축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미정제 다당류를 얻는다.
상기 다당류의 정제는 통상의 다당류 정제법에 의해 정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정제 다당류를 물에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불용해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투석 또는 이온교환수지 등에 의해 정제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정제 다당류중에는 신규한 헤테로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다. 정제된 다당류를 2N 황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100℃에서 8시간 가수분해한 후, 아세트산에틸 : 피리미딘 : 아세트산 : 물=5 : 5 : 1 : 3의 혼합물의 용출액을 사용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아닐린 : 디페닐아민 : 아세톤 : 인산시약으로 착색시키면, 아라비노오즈, 만노오즈, 갈락토오즈, 글루크론산 및 크실로오즈가 검출된다. 또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상기 헤테로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아라비노오즈, 만노오즈, 갈락토오즈, 글루크론산 및 크실로오즈가 구성당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하꼬모리법(Hakomori Method)에 의한 메틸화 및 가수분해 후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상기 헤테로다당류가 하기의 결합양식 및 구성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론산의 카르복실기의 0∼50%가 메틸에스테르로서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당류가 양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는 것으로부터 산성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TSK Gel 4000PW, 5000PW 및 6000PW 칼럼(도요소오다사의 상품명임)을 이용한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결과, 상기 헤테로 다당류의 분자량은 1.0×104∼2.0×107이었다.
산성 헤테로다당류는 다음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보유한다 :
용해성 : 물에 용해가능하며, 에탄올, 에테르, 아세톤에 용해되지 않는다.
발색반응 : 안트론반응 : 양성
카르바졸 반응 : 양성
엔슨-몰간반응 : 음성
색 및 형상 : 에탄올로 침전시킨 것은 백색 내지 회색분말이다. 투석, 이온교환 및 동결건조하여 정제한 것은 백색의 면-유형 또는 섬유 형태를 갖는다.
고유 광회전도 :
적외선 스펙트럼 : 제1도에 나타냄.
NMR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은 제2도에 나타냄.
(용출액 : D2O, 튜우브 : 5mm, 내부 표준물 : 디옥산)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는 다음의 반복단위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R은 하기와 같다 :
그리고, 상기 요소들의 비는
(1) : (2) : (3) : (4) : (5)=1.2-1.6 : 0.8-1.2 : 0.4-0.8 : 0.4 -0.8 : 0.05-0.15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가 다른 다당류와 비교에서 당분야에서 신규인 것은 명백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에 함유된 클루쿠로노만난 구조[→2)-α-D-Man-(1→4)-β-D-GlcUA-(1→]를 갖는 공지된 다당류로서는 드로세라 카펜시스(Drosera capensis)에서 얻어지는 다당류(Channe et al., Carbohy dr. Res., 113, 113-124, 1983), 드로셀라 비나타(Drosera binata)에서 얻어지는 다당류(Channe et al., Phytochemistry, vol.21, No.9, 2297-2300, 1982) 및 니코티아나 타바쿰(Nicotiana tabacum)의 배양 세포에서 얻어지는 다당류(Mori et al., Carbohydr. Res., 91, 49-58, 1981; Akiyama et al, Agric. Biol. Chem., vol. 48, No.2, 403-407, 1984)가 있다. 그러나, 드로세라 카펜시스 및 드로세라 비나타에서 얻어지는 다당류는 주된 결합양식이 -2 Man 1- 및 -4 GlcUA 1-으로서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와는 -3 Ara 1-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백하게 다르다. 니코티아나 타바쿰에서 얻어지는 다당류 또한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와 명백히 상이한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챤느(Channe) 등의 보고에 따르면 주된 결합양식에 -3 Ara 1-를 갖지 않으며, 아키야마(Akiyama) 등의 보고에 따르면 주된 결합양식에 -4 GlcUA 1-, -2 Man 1- 및 -5 Ara 1-가 있으며, -3 Ara 1-를 갖지 않는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는 종대 당분야에서 알려진 다당류와는 전혀 다른 신규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산선 헤테로다당류는 폭넓은 적용, 예를 들면, 증점제, 겔화제, 기포안정제, 현탁 또는 유화안정제, 필름형성제, 점착제 및 생리활성제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이하, 다당류라 약칭함)의 대표적인 적용례인 세정제를 들어 설명한다.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고형, 액체 및 크림형상의 어느 것일 수 있다. 대표적인 제형으로서 샴푸, 크린싱 포움, 보디 샴푸, 고형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 배합량은 고형 조성물의 경우 50∼99% 범위이고, 액체 또는 크림유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2∼50%이다. 세정제 조성물에 부가되는 본 발명의 배합량은 계면활성제 100중량부당 0.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부이다. 배합량이 0.001중량부 미만으로서는 세정제 조성물에 대한 상기 다당류의 의도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고, 10중량부 이상으로서는 상기 다당류와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측면에서 곤란하다.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통상 사용되는 모든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황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염(비누),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카르복실산, α-술포지방산염 또는 에스테르,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인산계 계면활성제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술포베타인, 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아미도아미노산, 이미다졸린계 계면활성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텔렌알킬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의 고급알코올에테르, 폴리글리세롤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사카라이드, 아민옥사이드, 지방산알칼올아미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기타 모노알킬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외에, 종래의 세정제 조성물중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여러가지 임의의 성분들, 예를 들면, 물, 저급알코올 등의 용매류, 분말성분, 유분(油分), 보습제, 증점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부형제, 색소, 향료, 모든 적합한 의약제 등의 배합될 수 있다. 이들은 세정제 조성물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폭넓게 사용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식물로부터의 추출 또는 탭핑에 의해 제조되어 왔던 식물유래의 다당류를 식물조직 배양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당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넓은 농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천연자원의 최대한 약점인 기후의 영향에 의한 가격의 변동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다당류는,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사용할 때의 깨끗하고 윤택한 감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산은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예 1]
튜베로오사 칼루스와 다른 식물의 칼루스의 액체배양에 있어서의 다당류의 생산량 비교 :
(a) 칼루스의 유도 :
개화 2∼7일전의 튜베르스의 싹을 절단 채취하여, 70% 에탄올 용액으로 1분간 멸균하고, 또다시 1%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으로 10분간 멸균한 후, 멸균수로 세정하였다. 멸균처리된 외식편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칼루스 유도용 배지에 접종하였다. 피속식물(allium)의 괴경을 상기한 방법으로서 멸균하고 외피를 제거하여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칼루스 유도용 배지에 접종하였다.
토바코도 또한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멸균하고, 칼루스 유도용 배지에 접종하였다. 대두 종자를 70% 에탄올로 1분간 멸균하고 또한 1%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으로 20분간 멸균한 후, 멸균수로서 세정하였다. 멸균된 종자를 무균적으로 발아시켜서, 약 10일후 배축(胚軸) 길이 1cm 정도로 된 무균유식물에서 자엽 및 배축을 절단 채취하여 칼루스 유도용 배지에 접종하였다.
칼루스 유도용 배지의 기본배지로서 0.8%의 한천을 함유하는 린스아이어-스꾸그 배지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식물 호르몬은 옥신으로서 10-5M N A A 및 시토키으로서 10-6M BA를 사용하였다. 탄소원으로서는, 배지의 양을 기초로 3%의 슈크로오즈를 첨가하였다. 이 배지를 0.1N KOH를 이용하여 pH 5.7로 조정한후, 1.2기압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배양은 전기 조명하에 25±1℃의 온도에서 행하였다. 30∼60일간 배지한후, 각 외식편으로부터 칼루스가 유도되었음을 발견하였다.
(b) 칼루스의 계대 :
(a)에서 유도된 각각의 칼루스를, 칼루스 유도배지와 동일한 배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배양하고, 30일마다 새로운 배지로 이식하였다.
(c) 진탕배양 :
(b)에 있어서, 10대 동안 대를 계속하여서 배양된 칼루스에 대하여, 상기한 칼루스 배양배지와 동일한 성분으로서 이루어진 액상배지를 사용하여 진탕 배양하였다. 80ml의 배지를 200ml의 삼각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 배지에 칼루스 2g(순수 중량)을 접종하고, 25±1℃에서, 120rpm의 회전속도로 30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d) 다당류의 제조 :
(c)의 배양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이 농축 배양물에 약 3배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70% 에탄올로 세정한 후, 동결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4종류의 칼루스에서 세포외 다당류가 얻어졌다.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튜베로오즈 칼루스에 의해 제조된 다당류의 양은 1.91g/ℓ/30일로서, 다른 칼루스와 비교하여 다당류의 생산량이 높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다당류중에서, 튜베로오즈에서 얻어진 다당류는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외관 : 백색-회백색 분말
당의 함량(페놀/황산법 및 카르바졸법에 의함) :
80%(그중 우론산 함량은 25%임)
구성당 : 아라미노오즈 : 갈락토오즈 : 만노오즈 : 크실로오즈=10 : 5 : 4 : 1
단백질 함량 : 2%
물 함량 : 5%
분자량 : 10,000∼20,000,000
[참고예 2]
상이한 종류의 식물 호르몬에 의해 생산된 양 :
튜베로오즈 칼루스에 대하여 식물 호르몬의 종류를 바꾸어서 배양을 행하였다. 참고예 1에 따라서 배양된 튜베로오즈 칼루스를 린스마이어-스꾸그 배지를 포함하는 액체배지에 이식하였다. 린스마이어-스꾸그배지는 식물 호르몬으로서 10-5M NAA+ 10-6M BA, 10-5M 2,4-D, 10-5M NAA, 10-5M IAA 및 10-M IBA를 포함한다. 참고예 1의 (c)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량은 100ml 삼각 플라스크 당 30ml로 하였다. 다당류의 채취는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서 행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당류의 생산량은 2,4-D, NAA, NAA+BA, IBA, IAA의 순서로 증가하였고, 2,4-D의 경우 생산량은 다른 것에 비해 3.60g/ℓ/30일로서 특히 높았다.
2,4-D와 NAA+BA의 농도 및 다당류의 생산량 :
튜베로오즈 칼루스에 대하여 식물 호르몬의 농도를 바꾸어서 배양을 행하였다. 참고예 1의 (a) 및 (b)의 방법에 따라서 배양된 튜베로오즈 칼루스를, 식물 호르몬의 농도를 2,4-D에서는 5×10-4M 내지 1×10-6NAA와 BA와의 조합물에서는 1×10-4M 내지 1×10-6MNAA와 1×10-5M 내지 1×10-7M BA로 하여서 린스마이어-스꾸그 배지를 기본배지로 하는 액체배지에 이식하였다. 배지는 참고예 1의 (c)와 동일한 조건하에 배양하였다. 다당류의 재취는 참고에 1의 (d)에 따랐다.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2,4-D 농도를 5×10-4M 내지 1×10-6M으로 하여서 배양하였을 경우, 5×10-5M 내지 5×10-6M의 농도에서의 다당류의 생산량이 높고, 특히 1×10-5M 의 농도에서 341 g/ℓ/30일로 특히 높았다. NAA와 BA의 조합물에 있어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0-4M NAA+1×10-5M BA에서 다당류에서 생산량이 높았다.
[참고예 4]
튜베로오즈 다당류로부터의 산성 헤테로다당류의 분리 :
참고예 1의 방법으로서 얻어진 튜베로오즈 다당류 2g을 물 400ml에 용해하고, 투석용 셀룰로오즈 튜우브(유니온 카바이드사 제조)를 사용하여 24시간 투석을 하였다. 투석액을 그대로 세파덱스(sephadex) A-25(CH3COO-형, 파마시아사 제조)컬럼 (길이 : 70cm, 직경 : 6cm)을 통과시킨 후, 물 2ℓ로서 세정한 후, 0.5M 아세트산 완층액(pH 0.6)으로 목적물을 용출하였다. 용출분획을 농축한 후, 상기한 투석용 셀룰로오즈 튜우브로서 투석하였다. 또한, 투석액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상기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갖는 산성 헤테로다당류 1.5g을 얻었다.
상기 다당류의13C NMR 스펙트럼의 주요 피이크 ppm은 다음과 같다.
174.8, 170.9, 108.8, 103.9, 103.2, 102.5, 98.9, 8505, 84.9, 84.4, 82.7, 81.7, 79.5, 78.9, 77.6, 76.8, 75.9, 74.8, 74.4, 73.6, 71.8, 69.4, 66.5, 64.9, 64.4, 62.5, 61.7, 60.8, 54.5
[실시예 1]
세안료
하기 제형 및 방법에 의하여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그 세안성능 및 만족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제법)
성분(1), (4) 및 (9)의 가열 혼합 용액에 성분(3)을 첨가하고, 이어서 성분(2), (5), (6), (7) 및 (8)을 첨가하여 가열 혼합 용해한다. 이 용액을 냉각하여 액상 세안료를 얻었다.
(평가)
20∼35세의 여성 20명에 대하여 세정성, 거품발생, 헴굼성능 및 사용중의 피부의 감촉(매끄러움) 및 사용후의 피부의 감촉(촉촉함 감촉)의 5항목에 대하여 본 발명품과 비교품을 평가하였다.
튜베로오즈 유래 다당류를 배합한 본 발명의 세안료는 세정성, 거품발생성, 헹굼 성능이라고 하는 세정제 본래의 기능의 저하가 없으며, 사용중 및 사용후의 피부의 감촉이 우수한 세안료이었다.
[실시예 2]
크린싱 포움
하기 제형의 크린싱 포움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제형)
(제법)
성분(1), (3) 및 (9)의 가열 혼합 용액에 성분(7)을 첨가하고, 이어서 성분(2), (4), (5), (6) 및 (8)을 첨가하고, 가열 혼합 용해한 후, 냉각하여 크린싱 포움을 얻는다.
상기 크린싱 포움은 사용중의 매끄러움이 있으며, 세정성에도 우수하고, 사용후에도 땅기거나 꺼칠꺼칠함이 없었다.
[실시예 3]
샴푸
하기 제형의 샴푸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제형)
(제법)
성분(6)에 성분(4)를 용해하고, 이어서 성분(1), (2), (3) 및 (5)를 첨가하여 가열 용해한 후, 냉각시켜서 샴푸를 얻었다.
상기 샴푸는 사용할 때 머리의 미끄럼이 좋고, 거품발생, 헹굼 성능이 좋은 사용감이 우수한 샴푸이었다.
[실시예 4]
고형비누
하기 제형의 고형비누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제형)
(제법)
성분(1)에서 성분(2), (3) 및 (4)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플로터로 봉상으로 압출한 후, 캐스팅하여 고형비누를 얻었다.
상기 비누는 사용감이 매끄럽고, 거품발생, 세정성이 우수한 비누이었다.
[실시예 5]
보디 샴푸
하기 제형의 보디 샴푸를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제형)
(제법)
성분(1), (5) 및 (10)의 가열 혼합 용액에 성분(4)를 첨가하고, 이어서 성분(2), (3), (6) 및 (9)를 첨가하여 가열 혼합 용해한다. 이것을 냉각하여 성분(7) 및 (8)을 첨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액상 보디 샴푸를 얻었다.
상기 보디 샴푸는 사용할 때 매끄러움이 있고, 사용후 피부에 촉촉한 느낌을 주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폴리안테스엘. 속(Polianthes L.)에 속하는 식물에서 유도되고, 그 구성단위로서 아라비노오즈, 만노오즈, 갈락토오즈, 크실로오즈 및 글루크론산을 포함하고, 그 결합양식 및 구성비가 하기와 같은 산성 헤테로다당류 및 계면활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정제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안테스 엘. 속에 속하는 식물이 폴리안테스 튜베로오사 엘(Polianthes tuberosa 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산성 헤테로다당류가 조직배양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4. 제3항에 있어서, 산성 헤테로다당류의 양이 계면활성제 100중량부에 대해 0.001∼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KR1019960065062A 1987-03-09 1996-12-13 세정제 조성물 KR970002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76887 1987-03-09
JP62-53768 1987-03-09
JP63-22621 1988-02-02
JP63022621A JPS6410997A (en) 1987-03-09 1988-02-02 Polysaccharide and production thereof
KR1019880002433A KR970001542B1 (ko) 1987-03-09 1988-03-09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433A Division KR970001542B1 (ko) 1987-03-09 1988-03-09 다당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42B1 true KR970002042B1 (ko) 1997-02-21

Family

ID=2728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062A KR970002042B1 (ko) 1987-03-09 1996-12-13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0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3809A (en) Polysaccharid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S63226292A (ja) 脱アセチル化非清澄複合多糖s−60及びその製法
JPH07504928A (ja) 高分子グルクロン酸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特にゲル化剤,粘度付与剤,湿気付与剤,安定剤,キレート化剤又は凝集剤としての用途
EP0534855B1 (fr) Polysaccharide, ses applications, son obtention par fermentation, souche de Pseudomonas le produisant
KR970002042B1 (ko) 세정제 조성물
JP2023525203A (ja) インビトロ培養物のバイオマス由来の標準化植物抽出物、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AU677977B2 (en) Cultured cells of Quillaja sp.
JPH03262488A (ja) ポドフィロトキシン類化合物の製造法
Wozniewski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Lilium testaceum and structural investigation of the storage β-1, 4-glucomannan
Castellar et al. Callus induction from explants of Crocus sativus
EP0261862B1 (en) Process for culturing saffron stigma tissues
JPH05506780A (ja) 植物特異的な共生シグナルとして作用し得るリポ―オリゴサッカライド構造を有する物質、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適用
PH26401A (en) Polysaccharide
CA2028523A1 (en) Production of podophyllotoxins using podophyllum
JP3100201B2 (ja) サフランのプロトプラストの培養方法
JP2651588B2 (ja) 洗浄剤組生物
JPH03262427A (ja) ポドフィルム属植物の不定胚の調製方法
JPH0335790A (ja) イソプレノイド側鎖を持つフラボノイドグリコサイドの製造法
KR910004950B1 (ko) ACG-1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g1의 제조방법
JP2539339B2 (ja) 抗酸化剤
JPS63267282A (ja) リグナンの回収法
JPH03143396A (ja) ポドフィロトキシン類化合物の製造方法
JPH02215721A (ja) 制癌剤
JPS60199395A (ja) フエルラ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2191292A (ja) アクテオシド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