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04B1 -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04B1
KR970001104B1 KR1019940013273A KR19940013273A KR970001104B1 KR 970001104 B1 KR970001104 B1 KR 970001104B1 KR 1019940013273 A KR1019940013273 A KR 1019940013273A KR 19940013273 A KR19940013273 A KR 19940013273A KR 970001104 B1 KR970001104 B1 KR 97000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er
reinforcement
shell
flat plate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63A (ko
Inventor
히데미쓰 스노하라
도시아키 미타니
Original Assignee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시도 도시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시시도 도시마사 filed Critical 닛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2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제1도는 일실시예의 부압부스터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보강판을 포갠 상태에서의 앞부분 쉘 절반체를 안쪽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스터 쉘 2 : 앞부분 쉘 절반체
2a : 평판부 2b : 테이퍼부
2c :원통부 2d : 연결각부
3 : 뒷부분 쉘 절반체 3a : 후방 연장통
3b : 끝단벽 4 : 부스터 피스톤
4a : 중심 보스 5 : 다이어프램
5a : 돌기 6 : 부압실
7 : 작동실 8 : 밸브통
9 : 걸림 고리 10 : 평축 받이
11 : 시일부재 12 : 부압도입관
13 : 제어밸브 14 : 대기 도입부
15, 25 : 되돌림 스프링 16 : 브레이크 페달
17 : 입력로드 18 : 밸브 피스톤
191 : 제 1 밸브자리 192 : 제 2 밸브자리
20 :밸브체 20a : 기초단부
20b : 가요부 20c : 밸브부
21 : 밸브체 유지통 21a : 유지홈
22 : 보강부재 23 : 밸브 스프링
241 : 제 1 포트 242 : 제 2 포트
26 :스토퍼판 27 : 로크너트
28 : 통기구멍 29 : 에어필터
30 : 큰 실린더 구멍 31 : 돌기부
32 : 작은 실린더 구멍 33 : 출력 피스톤
34 : 탄성재 35 : 반(反) 피스톤
36 : 출력로드 37 :피스톤
37a : 피스톤 로드 38 : 플랜지
39 : 연결보울트 40 : 너트
41 : 보스 42 : 끼워맞춤부
43 : 받이턱 44, 46 : 시일부재
45 : 축받이부재 48 : 끼움 통과구멍
49 : 관통구멍 50 : 보강판
50a : 보강주부 50c : 리브
50b : 연결부 500 : 통부
51 : 절단부 52 : 걸어맞춤구멍
53 :융기부 53a : 경사판부
54 : 수납구멍 55 : 돌부
56 : 배출부 57 : 부착자리
58 : 통과구멍 60 : 연결각부
B : 부압부스터 M : 마스터 실린더
본 발명은, 원형의 평판부, 이 평판부의 바깥 테두리에 이어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 및 이 테이퍼부의 후단에 이어지는 후방으로 뻗는 원통부를 가지는 앞부분 쉘 절반체와, 이 앞부분 쉘 절반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됫부분 쉘 절반체로 부스터 쉘이 구성되며, 상기 평판부 및 테이퍼부 사이의 연결각부에 바깥 테두리를 대응시킨 보강판이 평판부의 내면에 포개어 합쳐지고, 이 보강판에 결합되어 평판부를 관통하는 여러개의 연결보울트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플랜지가 평판부의 외면에 접합되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 부스터 쉘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에 판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공고공보 소 60-21328호 공보 등에 의하여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앞부분 쉘 절반체에 있어서의 평판부 및 테이퍼부는 각도를 이루어 연결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부압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시에 앞부분 쉘 절반체의 앞벽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평판부 및 테이퍼부 사이의 연결각부는 전후로 휘기 쉬운 것이며,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균등한 두께로 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보강판이, 그 바깥 테두리 전체를 상기 연결각부에 대응시키도록 하여 평판부의 내면에 포개어 합쳐지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연결각부의 강성을 그 전체 면에 걸쳐서 증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도 앞부분 쉘 절반체의 앞벽에 작용하는 하중은 연결보울트의 주위에서 가장 크게 되는 것이며, 앞부분 쉘 절반체의 보강에 있어서는, 주로 연결 보울트의 주위를 보강판으로 보강하면 좋은 것이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연결 보울트로부터 격리한 부분에서도 불필요하게 두꺼운 보강판으로 보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부압부스터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면에서는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예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에 충분히 견디는 강도를 부스터 쉘에 부여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원형의 평판부, 이 평판부의 바깥 테두리에 이어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 및 이 테이퍼부의 후단에 이어지는 후방으로 뻗는 원통부를 가지는 앞부분 쉘 절반체와, 이 앞부분 쉘 절반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됫부분 쉘 절반체로 부스터 쉘이 구성되며, 상기 평판부 및 테이퍼부 사이의 연결각부에 바깥 테두리를 대응시킨 보강판이 평판부의 내면에 포개어 합쳐지고, 이 보강판에 결합되어 평판부를 관통하는 여러 개의 연결보울트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플랜지가 평판부의 외면에 접합되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 보강판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여러위치에는, 이 보강판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바깥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안쪽단을 막은 절단부가 설치되며, 그들의 절단부 상호간에서 보강판으로 형성된 여러 보강주부에 각 연결 보울트가 각각 결합되고, 앞부분 쉘 절반체의 상기 각 절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통부와 상기 절단부의 내단근방의 평판부를 연결하는 경사판부를 가짐과 동시에 부스터 쉘의 반경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마스터 실린더측에 개방한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여러 융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보강판에 있어서의 각 보강주부의 바깥 테두리에는, 부스터 쉘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한 리브가 각각 설치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도는 부압부스터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보강판을 포갠 상태에서의 앞부분 쉘 절반체를 안쪽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 확대단면도이다.
우선 제1도에서, 부압부스터(B)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1)의 전면에는, 이 부압부스터(B)에 의하여 작동되는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M)가 부착된다. 부스터 쉘(1)은, 후방측을 개방한 아암형상의 앞부분 쉘 절반체(2)의 후단에, 전방측을 개방한 아암형상의 뒷부분 쉘 절반체(3)의 전단이 결합되어 이룬다. 이 부스터 쉘(1)내에 전후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동판제의 부스터 피스톤(4)과, 이 부스터 피스톤(4)의 후면에 포개어지는 다이어프램(5)으로 구성되며, 앞쪽의 부압실(6)과 뒷쪽의 작동실(7)로 구획된다.
다이어프램(5)의 바깥면 비드부는 양 쉘 절반체(2),(3)의 결합부 사이에 끼워지며, 또, 다이어프램(5)의 안쪽면 비드부는, 부스터 피스톤(4)의 중심 보스(4a)와 함께 원통형상의 밸브통(8)의 바깥면에 끼워맞춤되며, 걸림 고리(9)로 고정된다. 밸브통(8)은, 부스터 피스톤(4)의 중심보스(4a)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뻗어나 있으며, 뒷부분 쉘 절반체(3)의 후벽으로 이어진 후방 연장통(3a)에 평축 받이(10) 및 시일부재(11)를 통하여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부압실(6)은 부압도입판(12)을 통하여 부압원인 내연기판의 흡기 매니홀드(도시하지 않음)에 항상 통하고, 작동실(7)은 밸브통(8) 내에 설치되는 제어밸브(13)에 의하여 부압실(6) 또는 후방연장통(3a) 끝단부의 대기 도입부(14)에 서로 번갈아서 통하도록 변환된다.
부스터 피스톤(4)는 부압실(6)에 축설된 되돌림 스프링(15)에 의하여 항상 후퇴방향, 즉 작동실(7) 측으로 탄발되며 그 후 후퇴는 다이어프램(5)의 배면에 융기한 고리형상 배열의 다수개의 돌기(5a)가 부스터 쉘(1)의 후벽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밸브통(8) 내에는, 브레이크 페달(16)에 이어지는 입력로드(17)와, 이것에 의하여 조작되는 상기 제어밸브(13)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즉 밸브통(8)내의 앞부분에는 밸브 피스톤(18)이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며, 이 밸브 피스톤(18)에는, 상기 대기 도입부(14)를 관통한 입력로드(17)의 앞끝단이 진자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밸브통(8)의 내면에는 고리형상의 제 1 밸브자리(191)가 형성되며, 이 제 1 밸브자리(191)에 둘러싸이는 고리형상의 제 2 밸브자리(192)가 밸브 피스톤(18)의 후단면에 형성되며, 양 밸브자리(191),(192)와 협동하는 밸브체(20)가 밸브통(8)내에 설치된다. 밸브체(20)는 고무제로서, 전후양단을 개방한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후단부, 즉 비드형상의 기초단부(20a)는, 밸브통(8)내에 끼워맞춤하는 밸브체유지통(21)의 앞끝단부 바깥면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유지홈(21a)에 장착되어 밸브통(8) 안쪽면과의 밀착상태로 유지된다.
밸브체(20)는, 상기 기초단부(20a)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얇은 가요부(20b), 및 이 가요부(20b)의 앞끝단에 이어지는 두꺼운 밸브부(20c)를 구비하고 있으며, 밸브부(20c)는 상기 제1 및 제 2 밸브자리 (191),(192)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밸브부(20c)는 가요부(20b)의 변형에 의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전진시에는 제1 및 제 2 밸브자리(191),(192)에 장착되며, 후퇴시에는 밸브체 유지통(21)의 앞끝단에서 정지된다.
밸브부(20c)에는 고리형상의 보강부재(22)가 설치되며, 이 보강부재(22)와 입력로드(17) 사이에는, 밸브부(20c)를 양 밸브자리(191),(192)를 향하여 탄발하는 밸브 스프링(23)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또, 밸브통(8)의 내면에는, 부압실(6)에 이어진 제 1 포트(241)가 제 1 밸브자리(191)의 외측에서, 또 작동실(7)에 이어지는 제 2 포트(242)가 같은 밸브자리(191)의 내측에서 각각 뚫려진다.
또 제 2 밸브자리(192)의 내측은 밸브체(20) 및 밸브체 유지통(21)의 통헝상부를 통하여 대기 도입부(14)와 통하게 된다.
이리하여, 밸브체(20), 밸브스프링(23), 제1 및 제 2 밸브자리(191),(192)에 의하여 제어밸브(13)가 구성된다.
입력로드(17) 및 밸브체 유지통(21) 사이에는, 입력로드(17)를 그 최대후퇴한계까지 탄발하는 되돌림 스프링(25)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입력로드(17)의 후퇴한계는, 입력로드(17)에 전진조절이 가능하게 나사맞춤한 스토퍼판(26)이 후방연장통(3a)의 끝단벽(3b) 내면에 맞닿는 것에 의하여 규제된다.
따라서, 스토퍼판(26)을 돌리면 스토퍼판(26)과 입력로드(17)와의 나사맞춤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입력로드(17)의 후퇴한계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후의 스토퍼판(26)의 고정은, 같은 입력로드(17)에 나사맞춤한 로크너트(27)의 단단한 조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판(26)에는, 이것이 대기 도입부(14)를 막지않도록 통기구멍(28)이 뚫려진다. 밸브통(8)에는, 대기 도입부(14)로부터 밸브통(8)내에 들어오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29)가 입력로드(17)를 둘러싸서 장착된다. 이 에어필터(29)는 입력로드(17) 및 밸브통(8)의 상대변위를 방해하지 않도록 적당한 유연성을 가진다.
또, 밸브통(8)에는, 그 전면에 뚫린 바닥이 있는 큰 실린더 구멍(30)과, 이 큰 실린더 구멍 (30)의 저면으로부터 융기하는 원통형상의 돌기부(31)와, 이 돌기부(31)를 관통하는 작은 실린더 구멍(32)이 형성된다.
큰 실린더 구멍(30)에는, 컵형상의 출력 피스톤(33)이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며, 또 이 출력 피스톤(33)내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34)를 충전하여 상기 돌기부(31)가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된다. 또, 작은 실린더 구멍(32)에는, 상기 밸브 피스톤(18)의 전단면에 돌설된 반(反) 피스톤(35)이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된다.
그런데, 앞부분 쉘 절반체(2)는, 원형의 평판부(2a)와, 이 평판부(2a)의 바깥 테두리에 이어짐과 동시에,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커지게 되는 테이퍼부(2b)와, 이 테이퍼부(2b)의 후단에 이어져서 후방으로 뻗는 원통부(2c)를 가지는 것이며, 평판부(2a)의 내면 중앙부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길게 뻗어 나는 받이턱(43)을 안쪽단에 가지는 원통형상의 끼워맞춤부(42)가 설치된다.
한편, 마스터 실린더(M)의 후부에는 외측방으로 길게 뻗는 플랜지(38)와, 이 플랜지(38)보다도 후방측으로 동축으로 뻗는 원통형상의 보스(41)가 일체로 설치되며, 보스(41)는 상기 받이턱(43)과의 사이에 시일부재(44)를 끼우도록 하여 끼워맞춤 통부(42)에 끼워 넣는다. 더구나 마스터 실린더(M)의 후단부에는 축받이부재(45)가 액이 가득차게 또 고정적으로 끼워 넣어져 있으며, 피스톤(37)에 연결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여 축받이부재(45)로 지지된 피스톤 로드(37a)가, 그 외면에 시일부재(44)를 미끄럽게 접하도록 하여 받이턱(43)을 관통되고, 축받이부재(45)의 내면에는 피스톤 로드(37a)의 외면에 미끄럽게 접하는 고리형상의 시일부재(46)가 장착된다.
이리하여 출력 피스톤(33)의 전면에는 출력로드(36)가 돌설되며, 이 출력로드(36)가 상기 피스톤 로드(37a)에 접하게 된다.
그런데, 앞부분 쉘 절반체(2)에 있어서의 평판부(2a)의 내면에는, 보강판(50)이 포개어전 있고, 보강판(50)에 결합되어 평판부(2a)를 관통하는 여러 개, 예를 들면 한 쌍의 연결보울트(39)… 및 너트(40)…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M)의 플랜지(38)가 상기 평판부(2a)의 외면에 결합된다. 또, 되돌림 스프링(15)은 보강판(50) 및 밸브통(8)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다.
제2도를 함께 참조하여, 플랜지(38)는, 마스터 실린더(M)의 일직경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일직경선상에 축선을 배치하도록 하여 플랜지(38)에는 한 쌍의 끼움 통과구멍(48)…이 형성되며, 앞부분 쉘 절반체(2)에 있어서의 평판부(2a)에는, 그들의 끼움 통과구멍 (48)…에 대응하는 관통구멍(49),(49)이 형성된다.
보강판(50)에는, 이 보강판(50)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바깥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내단을 막은 여러 개, 예를 들면 한 쌍의 절단부(51),(51)가, 보강판(50)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2군데에 설치되며, 그들의 절단부(51),(51) 상호간에서, 보강판(50)에 형성되는 보강주부(50a),(50a)에는, 상기 관통구멍(49),(49)에 대응한 걸어맞춤구멍(52),(52)이 각가 설치된다.
이들의 보강주부(50a),(50a)는, 반경방향 바깥측을 향함에 따라서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을 크게 한 부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들의 보강주부(50a),(50a)의 안쪽면에는 상기 절단부(51),(51)의 내단을 규정하는 원호형상의 연결부(50b),(50b)로 연결되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각 보강주부(50a),(50a)의 바깥 테두리는, 앞부분 쉘 절반체(2)에 있어서의 평판부(2a) 및 테이퍼부(2b) 사이의 연결각부(2d)에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것이며, 이 바깥면 테두리에는, 부스터 쉘(1)의 축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리브(50c),(50c)가 각각 일체로 설치된다.
또, 보강판(50)의 안쪽 테두리에는, 앞부분 쉘 절반체(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통부(42)를 끼워맞춤시키는 원통형상의 통부(50d)가 설치된다.
이라하여 각 연결보울트(39)…는, 그 일부를 걸어맞춤구멍(52)에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보강판(50)의 내면측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코킹, 용접 등에 의하여 평판부(2a)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또, 앞부분 쉘 절반체(2)에서, 보강판(50)의 절단부(51),(5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통부(2c)를 연결하는 경사판부(53a),(53a)를 가지는 융기부(53),(53)가, 보강판(50)에 있어서의 각 절단부(51),(51)에 넣도록 하여 설치되고, 경사판부(53a),(53a) 및 평판부(2a) 사이의 연결각부(60)는, 각 절단부(51),(51)의 내단 근방에 배치된다. 이리하여 이 융기부(53)는, 부스터 쉘(1)의 반경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마스터 실린더(M)측으로 개방한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보강판(50)에 있어서의 연결부(50b),(50b)에는, 걸어맞춤구멍(52),(52)을 연결하는 직선과는 직교하는방향으로 길게 뻗은 한 쌍의 수납구멍(54),(54)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판(50)이 앞부분 쉘 절반체(2)의 평판부(2a) 내면에 포갠 때에, 상기 평판부(2a)의 내면하부에 설치된 돌부(55)가 양 수납구멍 (54),(54)의 한 쪽에 수납된다.
이리하여 돌기부(55)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41)의 하부 외면 및 플랜지 (38)와의 사이에 배출부(56)를 형성하는 것이고, 이 배출로(56)는, 축받이부재(45) 및 피스톤 로드(37a) 사이로부터 누출한 작동액을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누출동작액이 부스터 쉘(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양융기부(53),(53)의 한쪽에 있어서의 양측에서 앞부분 쉘 절반체(2)의 평판부(2a)에는, 부압 도입관(12)을 부착하기 위한 부작자리(57),(5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부착자리(57),(57)의 한 쪽을 선택하여 부압 도입관(12)이 부착되며, 선택된 부착자리(57),(57)에, 부압 도입관(12)에 통하는 통과구멍(58)이 뚫린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부압부스터(B)가 정지된 상태에는, 제어밸브(13)는 작동실(7)을 부아실(6) 및 대기 도입부(14) 보두가 불통되게 한 중립상태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제어밸브(13)에 의하여, 부압실(6)에는 부압도입판(12)을 통하여 공급된 부압원의 부압이 축적되며, 작동실(7)에는 대기에 의하여 적당하게 회석된 부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부스터 피스톤(4)에는 부압실(6) 및 작동실(7)사이에 생기는 기압차에 의하여 약간의 전진력이 부여되지만, 이 전진력과 되돌림 스프링(15)의 탄발력이 어울려서 부스터 피스톤(4)은 후퇴한계로부터 약간 전진한 때에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6)을 밟고, 입력로드(17) 및 쉘 피스톤(18)을 전진시키면, 당초, 부스터 피스톤(4)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 2 밸브자리(192)가 밸브부(20c)로부터 곧바로 떨어져서 작동실(7)을 대기도입부(14)와 통하게 한다. 그 결과, 대기가 대기 도입부(14)로부터 제 2 밸브자리(192) 및 제 2 포트(192)를 통하여 작업실(7)에 유입하여 이 작업실(7)을 대기압으로 하기 때문에, 부압실(6) 및 작업실(7) 사이에 생긴 기압차에 의하여 전진력을 얻어 부스터 피스톤(4)은 되돌림 스프링(15)의 힘에 저항하여 전진하며, 출력로드(36)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M)의 피스톤(37)을 전방으로 구동하고, 마스터 실린더 (M)로부터 제동액압이 출력 된다.
이와 같은 제동중, 입력로드(17)와 함께 밸브 피스톤(18)도 전진하고 반력 피스톤(35)을 통하여 탄성재(34)에 맞닿지만, 그 탄성재(34)는, 출력 피스톤(33)을 통하여 출력로드(36)의 작동력을 받아서 작은 실린더구멍(32)측으로 팽출변형하며, 반력 피스톤(35)에 상기 반력의 일부를 작용시키기 때문에, 그 힘은 밸브 피스톤(18) 및 입력로드(17)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6)측으로 피드백지고, 조종자는 출력로드(36)의 출력, 즉 제동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브레이크 페달(16)에의 밟음력을 해방하면, 먼저 입력로드(17)가 되돌림 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하여 밸브 스프링(18)과 함께 후퇴하고, 제 2 밸브자리(192)를 밸브부(20c)에 자리잡음과 동시에 밸브부(20c)를 제 1 밸브자리(191)로부터 크게 떼어 놓기 때문에 작동실(7)이 제1 및 제 2 포트(241),(242)를 통하여 부압실(6)과 서로 통하여 양 실(6),(7) 사이의 기압차가 없게 된다. 따라서 부스터 피스톤(4)은 되돌림(15)의 탄발력을 가지고 후퇴하고, 마스터 실린더(M)의 작동을 해제하여 간다. 그리고, 입력로드(17)가 스토퍼판(26)을 연장통(3a)의 끝단벽(3c)에 맞닿게 하는 후퇴한계까지 되돌리면, 부스터 피스톤(4)은, 일단 다이어프램(5)의 돌기(5a)를 부스터 쉘(1)의 후벽에 맞닿는 후퇴한계까지 되돌아가서, 제 1 밸브자리(191)를 밸브부(20c)에 자리잡음과 동시에 밸브통(8)을 제 2 밸브자리로부터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제 2 포트(242)를 통하여 다시 작동실(7)에 대기가 도입된다. 그러나 그 대기도입에 의하여 생긴 기압차에 의하여 부스터 피스톤(4)가 약간 전진하면, 제 2 밸브자리(192) 및 밸브부(20c) 사이의 작은 간격은 없게 되며, 제어밸브(13)를 당초의 중립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여 작동실(7)에는 대기에 희석된 부압이 유지되고, 부압부스터(B)는 제 1 정지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부압부스터(B)에서, 그 작동시에, 앞부분 쉘 절반체(2)에는 하중이 작용하고, 그 하중은, 연결보울트(39)…의 주위에서 가장 크게 된다. 이리하여 앞부분 쉘 절반체(2)를 보강하는 보강판(50)은, 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여러 군데, 예를 들면 2군데에 절단부(51),(51)를 구비한 것이며, 그들의 절단부(51),(51) 상호간의 보강주부(50a),(50a)에 각 연결보울트(39),(39)가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연결보울트(39),(39)의 주위를 주로하여 보강주부(50a),(50a)로 보강함으로써, 앞부분 쉘 절반체(2)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절단부(51),(51)가 있는 것에 의하여 보강판(50)의 중량경감, 즉 부압부스터(B)의 중량경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보강주부(50a),(50a)의 바깥 테두리, 즉 평판부(2a) 및 테이퍼부(2b) 사이의 연결각부(26)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리브(50c),(50c)가 설치되어 있으며, 휘기 쉬운 연결각부(26)의 보강판(50)에 의한 강성증대를 보다 일층 높일 수 있다.
또, 보강판(50)의 절단부(51),(51)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앞부분 쉘 절반체(2)에는, 원통부(2c)와 평판부(2a)를 연결하는 경상판부(53a),(53a)를 가지는 융기부(53),(53)가 절단부(51),(,51)에 들어 가도록 설치되며, 원통부(2c)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경사판부(53a)와 평판부(2a)와의 연결각부(60)가, 보강판(50)에 있어서의 절단부(51),(51)의 내단 근방, 즉 연결부(50b),(50b)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중의 작용에 의하여 휘기 쉬운 연결각부(60)의 강성을 보강판(50)으로 높일 수 있고, 절단부(51),(51)가 있으므로 강성저하를 융기부(53),(53)로 보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판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여러 위치에는, 이 보강판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바깥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안쪽단을 막은 절단부가 설치되며, 그들의 절단부 상호간에서 보강판으로 형성된 여러 보강주부에 각 연결 보울트가 각각 결합되고, 앞부분 쉘 절반체의 상기 각 절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통부와 상기 절단부의 내단근방의 평판부를 연결하는 경사판부를 가짐과 동시에 부스터 쉘의 반경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이 마스터 실린더측에 개방한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하는 여러 융기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보강판의 중량경감을 도모하면서, 하중이 크게 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주부에서 충분하게 강화함과 동시에 절단부분에서의 강성저하를 융기부에서 보상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보강판에 있어서의 각 보강주부의 바깥 테두리에는, 부스터 쉘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한 리브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평판부 및 테이퍼부 사이의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원형의 평판부(2a), 이 평판부(2a)의 바깥 테두리에 이어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2b), 및 이 테이퍼부(2b)의 후단에 이어지는 후방으로 뻗는 원통부를 가지는 앞부분 쉘 절반체(2)와, 이 앞부분 쉘 절반체(2)의 후단에 결합되는 뒷부분 쉘 절반체(3)로 부스터 쉘(1)이 구성되며, 상기 평판부(2a) 및 테이퍼부(2b) 사이의 연결각부(26)에 바깥 테투리를 대응시킨 보강판(50)이 평판부(2a)의 내면에 포개어 합쳐지고, 이 보강판(50)에 결합되어 평판부(2a)를 관통하는 여러개의 연결보울트(39)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M)의 플랜지(38)가 평판부의 외면에 접합되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 보강판(50)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여러 위치에는, 이 보강판(50)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바깥측을 개방함과 롱시에 안쪽단을 막은 절단부(50)가 설치되며, 그들의 절단부 상호간에서 보강판(50)으로 형성된 여러 보강주부(50a)에 각 연결 보울트(39)가 각각 결합되고, 앞부분 쉘 절반체(2)의 상기 각 절단부(5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통부(2c)와 상기 절단부(51)의 안쪽단 근방의 평판부(2a)를 연결하는 경사판부(53a)를 가짐과 동시에 부스터 쉘(1)의 반경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마스터 실린더(M)측에 개방한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여러 융기부(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판(50)에 있어서의 각 보강주부(50a)의 바깥 테두리에는, 부스터 쉘(1)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한 리브(50c)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KR1019940013273A 1994-01-25 1994-06-14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KR970001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6305 1994-01-25
JP00630594A JP3214772B2 (ja) 1994-01-25 1994-01-25 負圧ブースタにおけるブースタシェルの補強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63A KR950023563A (ko) 1995-08-18
KR970001104B1 true KR970001104B1 (ko) 1997-01-28

Family

ID=1163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273A KR970001104B1 (ko) 1994-01-25 1994-06-14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37821A (ko)
JP (1) JP3214772B2 (ko)
KR (1) KR970001104B1 (ko)
GB (1) GB2286439B (ko)
TW (1) TW252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8993C2 (de) * 1994-03-16 1997-05-07 Lucas Ind Plc Betätigungsbaugruppe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DE19748492A1 (de) * 1997-11-03 1999-07-15 Itt Mfg Enterprises Inc Gehäuseteil für einen pneumatischen Bremskraftverstärker
KR100771021B1 (ko) * 2002-03-20 2007-10-29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
JP2003341503A (ja) * 2002-05-29 2003-12-03 Advics:Kk マスタシリンダ
FR2860471B1 (fr) * 2003-10-06 2006-01-20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au freinage a couvercle resistant.
JP5372996B2 (ja) * 2011-06-06 2013-12-18 日信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用負圧ブースタ
JP2016141168A (ja) * 2015-01-29 2016-08-0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353A (en) * 1977-10-20 1981-06-02 Girling Limited Servo boosters for vehicle brake systems
JPS5751556A (en) * 1980-09-10 1982-03-26 Nissin Kogyo Kk Negative pressure type doubler device
JPS5799450A (en) * 1980-12-12 1982-06-21 Aisin Seiki Co Ltd Method of fixing reinforcing plate in negative pressure system booster
FR2512760B1 (fr) * 1981-09-16 1987-03-20 Dba Unite de commande de freinage a assemblage rapide
JPS6021328A (ja) * 1983-07-13 1985-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100}「やま」
US4671167A (en) * 1984-03-19 1987-06-09 Tokico Ltd. Pneumatic booster
FR2561599B1 (fr) * 1984-03-21 1986-08-22 Dba Servomoteur a depression d'assistance au freinage
US4785628A (en) * 1984-03-27 1988-11-22 Allied-Signal, Inc. Master cylinder and vacuum brake booster
US5158006A (en) * 1990-06-05 1992-10-27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4772B2 (ja) 2001-10-02
TW252954B (ko) 1995-08-01
KR950023563A (ko) 1995-08-18
JPH07205798A (ja) 1995-08-08
GB2286439A (en) 1995-08-16
US5537821A (en) 1996-07-23
GB9501305D0 (en) 1995-03-15
GB2286439B (en) 199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104B1 (ko) 부압부스터에 있어서의 부스터 쉘 보강구조
JPS63173750A (ja) 圧力シリンダ
US4987824A (en) Tandem-type vacuum booster with noise suppressing air passage
US4538503A (en) Vacuum booster diaphragm mounting
JPH0295966A (ja) 液圧ブレーキ装置
US4754604A (en) Hydraulic brake booster with tubular conduit return spring
US5178055A (en) Vacuum booster
GB2087495A (en) Vacuum brake booster
US4491056A (en) Suction pressure operated booster for automobile brake systems
JP2584072Y2 (ja) タンデム型負圧ブースタ
US4905573A (en) Tanden-type vacuum booster
US4469008A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arrangement
KR200296172Y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
JP3041422U (ja) 流体圧制御装置
JP2004025911A (ja) 負圧ブースタ
JP2967378B2 (ja) 負圧ブースタ
US6527349B2 (en) Hydraulic brake device
KR100358747B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
EP0409671B1 (fr) Ensemble composé d'un servomoteur pneumatique, d'un maître-cylindre et d'un réservoir
JPH086663Y2 (ja) タンデム型負圧ブースタ
KR960001970Y1 (ko) 부압 부스터
JP2600251Y2 (ja) 倍力装置の消音装置
JPS61249861A (ja) 液体パワ−ブ−スタ
JP2600252Y2 (ja) 倍力装置の消音装置
JP4461309B2 (ja) ブレーキ作動装置とその構成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