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666B1 -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666B1
KR960015666B1 KR1019920017396A KR920017396A KR960015666B1 KR 960015666 B1 KR960015666 B1 KR 960015666B1 KR 1019920017396 A KR1019920017396 A KR 1019920017396A KR 920017396 A KR920017396 A KR 920017396A KR 960015666 B1 KR960015666 B1 KR 96001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ripping
cutting
cutting devic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76A (ko
Inventor
하인쯔 쥐르그
슈라이버 막스
아르민 코블러
비스트 칼-볼프강
셈 리비오
Original Assignee
사우레르 스티크시스템 에이지
야콤지게르 제이 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113900U external-priority patent/DE9113900U1/d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레르 스티크시스템 에이지, 야콤지게르 제이 헨즈 filed Critical 사우레르 스티크시스템 에이지
Publication of KR93001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20Arrangements for cutt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제1도는 제2도의 I - I 선에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른 자수 스테이션의 스티치판의 단면도.
제1a도는 스티치판의 스트치 구멍부의 확대 단면도.
제2도는 3개의 다른 북 안내기를 도시한 제1도의 화살표 II 방향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라 취한 사 파지 및 절단 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자수 스테이션의 중간판의 평면도.
제4a도는 중간판의 단부도.
제5도는 자수 스테이션의 작동 슬라이더의 전방판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전방판의 단면도.
제7도는 작동 슬라이더의 후방판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후방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료 웨브 2 : 스티치판
3 : 북 6,6a,6b : 북 안내기
11 : 안내부 15 : 스티치 구멍
19 : 작동 슬라이더 19 : 전방판
20 : 후방판 26 : 작동 바아
31 : 레버 37 : 중간판
본 발명은 스티치 구멍이 있는 스티치 판, 북 안내기, 이 북 안내기에 변위가능하도록 설치된 북, 미끄럼가능한 사(系) 파지 및 사 절단 장치를 가진 자수 기계에 있어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파지 및 절단하는 장치와 이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시킨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명세서 제20 65 26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계에 있어서, 이 기계의 각 북과 관련한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회전 기구에 의해 북의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구동된다.
각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이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자체의 개별적인 구동 기구를 가져야 하며, 그러한 개별적인 구동 기구들을 공간면에서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배열은 상기 개별적인 구동 기구들이 필요로 하는 공간을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4/4의 비율을 갖는 종래의 북있는 자수 기계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절단된 사의 길이는 자수의 외양이 자수된 재료의 배면상에서 손상되고 사의 낭비가 매우 심하게되는 그러한 길이이다.
나아가, 파지 및 절단 장치는 북안내기 영역 내에 배열되어 있고, 이에 의해 특히 종래의 파지 및 절단 장치는 북 캐리어를 관통하기 때문에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경로가 손상된다.
종래의 기계에 있어서, 절단 장치의 절단날은 그 자체가 사의 파지를 개시하는데, 그 사의 파지는 절단 공정 자체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그러므로,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절단이 절단이 완료되고 난 후에, 사는 판스프링의 파지면과 절단날 자체 사이에 파지된다. 따라서, 새로운 절단 작업을 수행하려 할 경우, 사의 파지는 정지되고 절단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가 해제된다. 바늘측에서 작동되지 않는 자수 영역에서는 손상되어 자유로이 매달린 후방사 또는 하방사가 북과 함께 승강하고 마찰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수측의 작동이 재개되면, 사의 파단 또는 스티치 탈락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이들(idle)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중간부가 북측에서 마찰을 수반하는 일이 없이 수동 또는 기계적으로 개시되는 바늘측에서의 자수 영역의 스티칭을 가능하게 하는 사 파지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자수 기계와 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 장치는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사 파지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절단 엣지를 가진 절단날 형태로 구성된다.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스티치 구멍 영역에 배열되고 절단 장치의 절단날 연장선에는 사 파지 장치의 파지 자극이 존재한다. 절단 장치에 의해 미리 파지되고 그 후에 절단된 사는 절단 방향으로 파지 간극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의 특징은 파지 동작이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절단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사의 파지는 절단 장치의 절단날의 운동과는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절단날은 파지 부재의 역할도 하고 있으므로 후방사 또는 하방사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는 사의 절단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파지 되기 때문에, 모든 북실이 절단되고 절단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파지 장치로 반송되면 절단날이 복귀하여 다음 절단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제위치에 공정된다.
따라서, 절단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항상 파지 장치에 공정되고, 뒤이어 이동되는 절단날에 의해 해제될 수 없다.
그리하여,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그 후방사 또는 하방사에 작용하는 대응하는 견인력에 의하여 파지 장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대응하는 자수 영역의 자수 재개시에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합연(合然)되어 전방사가 되고, 후방사 또는 하방사상의 견인력은 파지 영역으로부터 사를 인출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의하여, 아이들(idle) 자수 영역이 바늘측에서 3분리되는 경우, 북은 왕복 운동할때 파지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통하여 손상을 주거나 마찰을 일으킬 수 없다.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통해 마찰하지 않도록 북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절단 및 파지 장치용의 개별적 구동 장치를 전혀 요하지 않기 때문에, 북측에 절단 및 파지 장치용 의 매우 작은 공간만이 필요하게 된다. 파지 장치는 모두 공통의 작동 바아를 경유하여 공동으로 그리고 동시에 평행하게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적합한 형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날 자체가 파지 공정 개시용 작동 부재로서 사용된다. 절단날은 절단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파지 장치로 유도하여 그곳에 남겨둔다. 따라서, 절단날이 다시 후퇴하면,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파지 장치에 남으며, 절단날의 복귀 운동에 의해 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절단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개시되는 파지 동작은 절단날과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체 작동 요소에 의해 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 부재는 절단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집어서 그 부재가 고정된 대응하는 파지 장치로 가져온다.
공간 절약을 위하여 절단날의 운동은 북의 운동과 평행하게 할 수 있는데, 절단 및 파지 기구는 북 캐리어와 연결되어 있는 스티치 구멍판에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지 장치는 절단 장치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절단장치의 절단엣지는 파지 장치의 일부와 거의 일렬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사의 파지 및 절단은 가능한 최단 거리에서 일어난다.
사 절단 및 파지 장치는 스티치판 내의 스티치 구멍에 거의 일렬로 그리고 그 구멍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열되어야 하는데, 마찬가지로 절단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단지 짧은 길이로 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자수 재료상에 남는 나머지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극히 짧아진다.
절단날은 사 파지 장치와 거의 일렬로 하여 파지 장치에 대향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절단 요소는 규정된 대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절단하기 위해 극히 짧은 절단 행정을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모두 스티치판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 파지 및 절단장치용 구동 장치에 이어지는 스티치 판상의 구동 부품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 파지 장치는 고정되고 절단 장치는 스티치판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이들 양 장치는 전체 혹은 일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스티치판의 대응하는 미끄럼 안내부에 일체화되어 설치된다.
제1도는 재료 웨브(1)가 평행으로 안내되는 표면을 따라 복수개의 스티치판중의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각 스티치판(2)은 복수개,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자수영역상에 걸쳐 연장되며, 그 위에는 각 북(3)의 북 안내기(6,6a,6b)가 설치된다.
각 북 안내기(6,6a,6b)는 반개방 채널로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각 북(3)은 미끄럼 구동기(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이동된다. 북 안내기(6,6a,6b)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치 판(2)상에서 경사 연장된다. 각 북(3)은 각 북 안내기 내에서 제1도의 화살표(4) 방향으로 미끄럼 구동된다.
각 스티치판(2)에는 각 안내부(11)를 위한 홈(13)이 형성된 중간판(37)(제4도)이 부착된다. 적합하게는 플라스틱 부품들인 안내부(11)는 분해할 수 있도록 홈(13)내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3)은 긴 구멍형태로 한쪽이 개방되어 있어 각 안내 플라스틱 부품을 밀어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플라스틱으로 된 안내부(11)는 각 중간판(37)과 스티치판(2) 내의 멈추개(1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안내부(11)는 전체가 중간판(37)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각 안내부(11)에는 작동 슬라이더(18)가 미끄럼 안내되는 내부홈(21)이 있다. 상기 작동 슬라이더는 제1a도에 더욱 도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는 그 우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작동 슬라이더(18)는 하단부에 연장부(8)를, 반대쪽에는 안내부(11) 상에 배열된 연장부(7)을 갖는 작동 바아(26)를 포함한다. 연장부(7,8) 사이에는 스프링(9)이 제공된다. 따라서, 스프링(9)의 작용에 의해, 작동 슬라이더(18)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방 또는 하강한 위치에 유지된다.
피스톤 및 실린더 구동 유니트(34)는 작동 바아(26) 및 전체 작동 슬라이더(18)를 미끄럼 구동하도록 제공된다. 구동 유니트(34)는 선회 운동하도록 설치된 레버(31)의 피봇핀(32) 상의 피스톤 로드(33)를 경유하여 작동한다. 레버(31)는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축(30)에 연결된다. 축(30)은 특정한 수의 자수 영역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유니트(34)의 피스톤 로드(33)가, 예를 들어 제1도의 화살표(41) 방향으로 갑자기 구동되면, 레버(31)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위치(31)로 되고, 이에 의하여 스프링(9)의 작용에 대항하여 연장부(8)를 윗쪽으로 들어올게 됨에 따라 전체 작동 로드(26)은 제1도의 화살표(4) 방향으로 상향 변위된다.
작동 슬라이더(18)는 나사(27)에 의해 작동 바아(26)에 연결된다. 작동 슬라이더(18)는, 제5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판(19) 및 후방판(20)으로 구성되는 V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19,20)은 서로 격리되어 안내부(11)의 대응 연장부(12)가 결합되는 홈(21)(제1도)을 형성한다. 이에 의하여, 작동 슬라이더(18)의 직선 안내가 안내부(11) 영역내에 확보된다.
전방판(19)의 열쇠 구멍형 홈(22)은 상부가 긴 구멍(24)가 연통하는 보어(23)를 포함한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어(23)의 하부림의 좌측부는 사절단 엣지(25)로 형성되고, 하부 림의 나머지 부분은 둥글게 되어 절단 엣지의 역할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사를 보호한다.
제7도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판(19)내의 열쇠 구멍형 홈(22)과 일렬로 이에 대향하는 것은 후방판(20)내에 있는 동일한 열쇠 구멍형 홈(22)이다. 그러나, 후방판(20)의 보어(23) 하부 림 전체는 비절단식으로 둥글게 되어 상기 림의 다른 엣지와 같이 사에 손상을 줄 수 없게 되어 있다.
V자형 절단 엣지를 갖는 금속 카운터 블레이드(39)는 각 안내부(11) 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되고 변위가 불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환이 용이하다.
비절단 위치에 있어서, 작동 슬라이더(18)의 보어(23)는 스티치판(2) 내의 스티치 구멍(15)과 대향하는 위치이고 정확히 일열로 배열되어 있다.
사 파지 장치(16)의 바람직하게 단편인 사 파지 핑거(38)는 플라스틱 안내부(11)내의 한쪽에 탄성 설치되어 있다. 파지 간극(17)은 핑거(38)와 안내부(11)에 삽입된 파지부(40)와 결합되어 제공된다(제1도, 제1a도 및 제2도).
파지 간극(17)은 작동 슬라이더(18)의 운동 방향 및 북 안내기의 길이 방향, 즉 화살표(4) 방향으로 위치해야 하며, 이 파지 간극(17)은 스티치 구멍(15)으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제2도의 우측 및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블레이드(39)의 V형 절단 엣지(42)의 정점은 파지 전극(17)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블레이드(39)는 대략 C가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블레이드(39)의 두개의 측부 자루(43)는 안내부(11)이 측면 상에 끼워진다.
상기 카운터 블레이드의 외관 형상이 C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자루(43)에 끼워진 방향이 경사내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39)의 정면(44)은 내향 만곡되어 스티치 구멍(15)의 보어 경계에 끼워진다. 따라서, 카운터 블레이드(39)의 절단 정면(44)에 의하여 전방판(19)의 구멍(23)에 대해 밀착 및 억지끼움되는 것이 보장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슬라이더(18)의 서로 결합된 판(19,20)은 안내부(11)영역 내에서 안내되고, 홈(21) 내에서 카운터 파지 부재(40)는 판(19,20)사이에 배열된다. 파지 핑거(38)는 스티치 구멍(15) 양쪽에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에 의해 사 파지 및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사 또는 하방사(10)는 북(3) 내의 사 구멍(5)로부터 인출되어 제1도에 도시한 위치의 스티치 구멍(15)를 통해 이송된다.
사(10)를 파지 및 절단하려면, 구동 피스톤-실리더식 구멍 유니트(34)를 구도시킴으로써 레버(31)는 피스톤 로드(33)의 갑작스런 운동을 통해서 위치(31')로 선회된다. 이에 의하여, 작동 바아(26)는 상승하게 되며 작동 슬라이더(18)는 상기 두개의 판(19,20)과 함께 상향 변위되며, 안내부(11)의 연장부는 홈(21)내로 깊이 꽂힌다.
따라서, 절단할 사(10)는 전방하판(19)의 보어(23)의 가동 사 절단 엣지(25)에 대해 안착되고 사가 고저 카운터 블레이드(39)의 상부 절단 엣지(42)에 대향 위치하자마자 절단된다. 작동 슬라이더(18)가 화살표(4)의 상향으로 방향 이송되는 동안에 사는 이미 파지 간극(17) 내에 위치되고 그 파지 상태에서 절단된다. 그리하여, 사는 안내 상태에서 절단되고 절단 도중에도 유지된다.
그러나, 사가 절단된 후, 작동 슬라이더(18)는 화살표(4) 방향으로 계속 상승하여 끊어진 사의 단부가 열쇠 구멍형 홈(22)의 구멍(24)의 상부에 도달하지만 파지 간극(17)에 계속 남는다.
따라서, 사는 화살표(4)의 방향으로 작동 슬라이더(18)의 하향 복귀 운동 중에 파지 간극(17)으로부터 견고하게 파지되어 해제될 수 없게 된다. 이는,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본질적인, 장점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가동 절단날도(전방판(19)의 것에 대응함) 역시 절단사의 파지면을 제공하므로, 절단날 후퇴시 상기 파지면이 제거되고 실이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전방판(19)이 물러나게 되더라도 사는 파지 간극(17) 내에 남고 따라서 고정된다.
절단사는 자수 영역이 다시 작동할 때에 파지 간극(17)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을 분이다. 절단사는 전방사와 합연되므로 끊어진 사를 파지 간극(17)으로 가져가도록 후방사 하방사를 충분히 잡아당긴다.
레일(35)은 레버(31)처럼 미리 일정 각도로 굽혀져 있고, 이들 굽힘에 의해 각 작동 바아(26)에 대하여 각 연장부(8)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동 슬라이더(18) 전체는 모든 측면으로부터 감추어지고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안내부(11) 내에 안내되어야 하는데, 이 안내부(11)는 스티치판(2) 및 중간판(37)내의 북판에 유지된다. 따라서, 사 파지 장치(16)는 오염으로부터 보호된다.
작동 슬라이더(18) 전체는 그 작동 바아(26)와 함께 스티치판(2) 내에서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스티치판(2)에 연결된 중간판(37) 내에 개별적으로 일체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특히 가동 부품이 모두 스티치판(2)의 평면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공간 절약형 소형 구조가 성취되는 것이다.
상기 자수 기계는 스티치 영역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스티치 영역을 바늘측에서 분리시키거나 또는 바늘을 수동으로 정지시킬 경우,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북을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북측에서 먼저 북실이 모두 파지되고 이어서 절단된다. 다음에, 절단된 북실은 파지 전극(17)으로 더 이송되므로, 절단 장치의 상승 운동 재개시에 절단 장치에 의해 북실이 다시 절단될 수가 없고, 북실이 해제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스티치 구멍(15) 영역에서 스티치판에 확고히 고정되고, 북(3)이 진동하더라도 마찰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사 구멍 영역에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고정하면, 북(3)이 화살표(4)의 방향으로 진동하더라도, 그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마찰은 방지된다.
요약하면, 상기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스티치 구멍의 영역 내에 마련되는데, 상기 장치에는 절단날의 절단 방향의 영장선 내에서 사 파지 장치(16)의 파지 간극(17)이 배열되므로, 사전에 절단 장치에 의해 파지된 다음 절단된 사는 절단 방향 뒷쪽의 파지 간극(17)내에서 결합되어 고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스티치 구멍(15)의 근접 영역에 마련되기 때문에 재료상에 잔류하는 후방사 또는 하방사의 일부는 절단되어 상당히 짧아진다.
절단 장치는 절단 시킬 사를 절단하지 않고 우선 파지 간극(17)으로 운반한 후에 여기에 있는 사만을 절단한다. 사가 절단되고 나면, 최종적으로 이 사를 고정하기 위해서 파지 간극(17) 내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는 더 상승 이동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절단 장치는 실질적으로 전방판(19)과 후방판(20)으로 수성되는 플라스틱 안내부(11) 내에서 미끄럼 안내된다.
제2도는 북 안내기(6,6a,6b)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2도의 중앙부는 내부에 일체화된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를 구비한 완성된 북 안내기(6a)의 모든 부분을 도시한다.
제2도의 우측은 북 안내기(6)의 전방벽이 제거된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를 도시하며, 제2도의 좌측은 작동 슬라이더(18)를 제거한 파지 장치를 도시한다.
열쇠 구멍형 홈(22)이 파지 간극(17) 위로 일렬 대향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 간극(17)으로의 사 안내가 개선된다. 그러나, 파지 간극(17)은 전방판(19)의 열쇠 구멍형 홈(22)에 대해 충부히 길어서, 파지 간극(7) 전방 영역에서 사를 파지 및 절단할 수 있고 이어서 절단 장치에 의해 파지 간극(17) 내부로 후방으로 더 운반되도록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전방판(19) 내의 열쇠 구멍형 홈(22)의 긴 구멍(24)은 작동 슬라이더(18)가 후진할때 절단된 사(10)가 파지 간극(17)으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판(20)내의 홈(22)의 긴 구멍(24)도 역시 동일한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라는 용어는 ''후방의 실 또는 하방의 실''이라는 말과 동의어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사용된 "후방사 또는 하방사''라는 용어는 북이 있는 자수 기계에 있어서의 작동 과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후방사 또는 하방사"라는 용어는 대응하는 북 및 관련된 북실을 가진 자수 기계 뿐만아니라, 예를 들어 이중 체인 자수 기계 및 둥근 그리퍼를 가진 자수 기계같은 다른 자수 기계에도 적용된다.

Claims (12)

  1. 스티치 구멍이 있는 스티치판, 북 안내기, 상기 북 안내기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북을 갖는 자수 기계 내에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파지 및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상기 후방사 하방사를 파지하는 파지 장치와 상기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로 구성되어 스티치 구멍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파지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절단 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 엣지를 가진 절단날을 갖고, 상기 파지 장치는 상기 절단 장치에 연장하여 배열되어 있는 파지 간극을 갖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절단 장치에 의해 미리 잡은 다음 절단한 상기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절단 방향 후방의 파지 간극 내에서 결합 및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지 장치의 파지 동작을 개시시키고 절단날과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여, 절단 장치는 절단시킬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파지 간극으로 운반한 다음 여기서 후방사 또는 하방사를 절단하도록 배열되며, 파지 간극 내의 절단된 사는 상향 운반되어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의 절단 장치를 미끄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장치는 기본적으로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판에는 보어 및 긴 구멍을 형성하는 열쇠 구멍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판을 절단날을 구성하며, 상기 절단 엣지는 상기 작동 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사는 차후 자수 동작 재개시에 견인에 의해 상기 파지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사는 차후 자수 동작 개재시에 견인에 의해 상기 파지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의 절단 동작을 스티치판의 평면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는 상기 절단 장치 부근에 배치되고, 상기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는 스티치 판 내의 스티치 구멍에 대향하여 인접하여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전체가 스티치 판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이동가능하며, 상기 파지 장치와 상기 절단날에 협동하는 카운터 블레이드는 모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 및 파지 장치가 일체화된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전체로서 교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 장치.
  12. 자수 기계의 후방 또는 하방사 사 파지 및 절단 장치로 자수 기계를 작동시키는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의 파지 동작이 후방 또는 하방사의 절단 공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하고, 절단 장치가 상기 파지 장치에 사를 공급하지만 차후 절단 공정을 행하더라도 이미 절단된 사의 파지에는 영향을 주지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KR1019920017396A 1991-11-08 1992-09-24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KR96001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113900.7 1991-11-08
DE9113900U DE9113900U1 (ko) 1991-11-08 1991-11-08
DEP4202891.4 1992-02-01
DE4202891A DE4202891A1 (de) 1991-11-08 1992-02-01 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fuer den hinten- oder unterfaden einer stic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6A KR930010276A (ko) 1993-06-22
KR960015666B1 true KR960015666B1 (ko) 1996-11-20

Family

ID=2591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396A KR960015666B1 (ko) 1991-11-08 1992-09-24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3416A (ko)
EP (1) EP0541923B1 (ko)
JP (1) JPH05239758A (ko)
KR (1) KR960015666B1 (ko)
AT (1) ATE132214T1 (ko)
DE (2) DE4202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0846A1 (de) * 1993-01-15 1994-07-21 Saurer Sticksysteme Ag Arbon Schneide- und Klemmeinrichtung für Vordergarn für Stickmaschinen
DE4316916C2 (de) * 1993-05-20 1996-07-04 Saurer Sticksysteme Ag Selbstreinigende Fadenklemme
DE59400017D1 (de) * 1993-08-10 1995-10-26 Laesser Franz Ag Schiffchenstickmaschine mit Fadenschneidvorrichtung.
ATE137539T1 (de) * 1993-08-10 1996-05-15 Laesser Franz Ag Schiffchenstickmaschine
KR100469403B1 (ko) * 1997-03-17 2005-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택접속이가능한내선접속장치
JP4530526B2 (ja) * 2000-12-07 2010-08-25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ATE391801T1 (de) * 2003-03-21 2008-04-15 Laesser Franz Ag Vorrichtung zum schneiden der hinterfäden bei schiffchenstickmaschinen
CN113322593A (zh) * 2021-04-27 2021-08-31 浙江镨美科智能刺绣设备有限公司 一种刺绣机剪线装置及刺绣机剪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879C (ko) *
DE226828C (ko) *
DE289806C (ko) *
DE258911C (ko) *
US1613634A (en) * 1925-05-04 1927-01-11 Singer Mfg Co Thread-cut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1816308A (en) * 1929-10-19 1931-07-28 Singer Mfg Co Thread-cut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2345943A (en) * 1942-09-03 1944-04-04 Singer Mfg Co Article attaching machine
US3118405A (en) * 1960-04-04 1964-01-21 Schenkengel
DE1485498C3 (de) * 1965-11-06 1974-09-12 Rudolf 5450 Neuwied Reich Schneidvorrichtung für die Schiffchenfäden an Stickmaschinen
DE2065264C3 (de) * 1970-04-10 1975-09-25 Rudolf 5450 Neuwied Reich Fadenfang- und Schneidvorrichtung für den Schiffchenfaden einer Schiffchen-Stickmaschine
US3701329A (en) * 1971-01-04 1972-10-31 Honeywell Inf Systems Stitch control mechanisms and thread cutter
US3760749A (en) * 1971-09-07 1973-09-25 L Trageser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cutting tensioned bobbin threads as all the needle heads of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IT967766B (it) * 1972-09-22 1974-03-11 Metalmeccanica Spa Dispositivo di taglio dei fili dal lato delle navette in macchine da ricamo
DE2344720C3 (de) * 1973-09-05 1981-04-09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lautern Einrichtung an Stickmaschinen zum Klemmen und Schneiden des Nadelfadens
CA1058453A (en) * 1976-10-06 1979-07-17 Paul E. Steckenrider Thread trimm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AT371509B (de) * 1979-06-29 1983-07-11 August Heinzle Einrichtung fuer stickmaschinen
DE3124795C1 (de) * 1981-06-24 1982-11-0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adenabschneidvorrichtung fuer Zickzack-Naehmaschinen
DE3133333C2 (de) * 1981-08-22 1986-08-14 Aktiengesellschaft Adolph Saurer, Arbon Schiffchenstickmaschine
DE3239130A1 (de) * 1982-10-22 1984-04-26 Arthur Schmid AG, 8590 Romanshorn Faden-abschneidevorrichtung
DE8329216U1 (de) * 1983-10-10 1984-01-05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adenwaechter fuer naeh-, stick- und tuftingmaschinen o. dgl
US4834009A (en) * 1985-05-31 1989-05-30 Union Special Corporation Sleeve backtack
CH673042A5 (ko) * 1986-11-06 1990-01-31 Saurer Ag Adolph
JPH0616619Y2 (ja) * 1989-04-19 1994-05-0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断装置
FR2665192B1 (fr) * 1990-07-26 1992-11-27 Sotexi Ste Textile Ind Dispositif coupe-fils pour machines a coudre multi-aiguil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6A (ko) 1993-06-22
EP0541923B1 (de) 1995-12-27
US5383416A (en) 1995-01-24
ATE132214T1 (de) 1996-01-15
EP0541923A1 (de) 1993-05-19
DE4202891A1 (de) 1993-05-19
JPH05239758A (ja) 1993-09-17
DE59204832D1 (de) 199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244A (en) Thread processing machine having a thread changing device
KR960015666B1 (ko) 자수 기계의 후방사 또는 하방사용 사 파지 및 절단장치와그 작동방법
US5588384A (en) Method and apparatus of folding opposite ends of a piece of tape
KR19980018728A (ko) 계지편부착장치 (apparatus for appling)
CH624721A5 (en) Device for orientating and retaining the chain of stitches at the start of a seam.
SK280224B6 (sk) Zariadenie na oddeľovanie jednotlivých niteľníc na
US10946687B2 (en) Sewing of book blocks without blind stitch
KR19990040308A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US5832850A (en) Sewing machine which performs a stitching operation using multiple kinds of threads
US4796552A (en) Latch tacker
JPH0625960A (ja) ニードリングしたフリースに糸を仮留めするための装置
KR100496465B1 (ko) 벨트루프공급장치
JPH07111010B2 (ja) 作動しているドラフト機構内に粗糸を導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4080912A (en) Workpiece guide for sewing units
KR100186838B1 (ko)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4103517A (en) Straight knitting machine
US4834009A (en) Sleeve backtack
KR20030069862A (ko) 재봉틀
US3128730A (en) Sewing machine for feeding, sewing and cutting sections of tape
US5477793A (en) Cutting and nipping apparatus for the front yarn for embroidery machines
US4123920A (en) Apparatus for feeding filling threads to a warp knitting machine
US4825785A (en) Latch tacker
US1917334A (en) Tufting machine
JP3775437B2 (ja) 刺繍ミシン
GB2199854A (en)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