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309B1 -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309B1
KR960014309B1 KR1019930014344A KR930014344A KR960014309B1 KR 960014309 B1 KR960014309 B1 KR 960014309B1 KR 1019930014344 A KR1019930014344 A KR 1019930014344A KR 930014344 A KR930014344 A KR 930014344A KR 960014309 B1 KR960014309 B1 KR 96001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user
recording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869A (ko
Inventor
임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309B1/ko
Publication of KR95000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화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통신장치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뎀 2 : 부호/복호화부
3 : 제어부 4 : 메모리부
5 : 기록부 6 : 자동응답부
7 : 수신문서 메모리부
본 발명의 팩시밀리(facsimile)또는 전화등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외출중일 때 걸려오는 팩스(fax) 및 전화내용을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통신장치의 구성도로써, 그 구성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변조된 화산호를 복조하는 모뎀(1)과, 모뎀(1)으로부터 복조된 화신호를 복호화하는 부호/복호화부(2)와, 상기 부호/복호화부(2)에서 복호화된 화신호를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부(5)와, 전화번호 및 ID등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부(4)와,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상대방의 메세기(message)를 녹음하는 자동응답부(6)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통신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상대방으로부터의 호출신호(16Hz)를 검지하고 TAD 후크-오프(Hook-off)인지를 판별하여 후크-오프이면 훅크-홀드시간(Hook-Hold Time)을 세트(Set)하고 SKS후 CNG신호가 검지되면 T/30통신 수순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상기 CNG신호가 검지되지 않으면 TAD후크-온(Hook-on)을 판별하여 후크-온이면 팩스 수신모드로, 아니면 다시 상기 동작이 GNG신호 검지동작으로 되돌아 간다.
상기 동작중 TAD후크-오프 판별 상태에서 후크-오프 상태가 아니면, 다음 동자인 TAD모드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세트되어 있으면 OGM(Out-going Message)을 송출하고 난후 자동응답부(6)에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
상기 TAD모드가 아니면 호출신호의 카운트값이 6인지를 판별하여 6이면 팩스수신 모드로, 아니면 상기 첫 동작 수순으로 되돌아 간다.
팩스 수신모드인 경우는 화신호를 모뎀(1)에서 복조한 후 부호/복호화부(2)에서 복호화한 다음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록부(5)로 한 라인씩 질력전송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수신된 문서나 자동응답부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가 돌아와서 기록지를 보거나 음성메세지를 재생하여 인식할 수 있으므로 긴급한 업무를 요하는 경우는 업무상 막대한 지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 일 때 걸려오는 팩스나 전화내용을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재전송하여 신속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재전송 자동절환장치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 구성은 상대방의 변조된 화신호를 복조하고,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재전송하기 위해 화신호를 변조하는 모뎀(1)과, 모뎀(1)에서 변조된 화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신문서 메모리부(7)와, 화신호를 부호/복호화를 행하는 부호/복호화부(2)와, 상기 부호/복호화부(2)에서 복호화된 화신호를 직렬로 수신하여 기록하는 기록부(5)와, 원-터치(one-touch)단축다이알, ID,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사용자가 있는곳의 팩스 또는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4)와,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는 자동응답부(6)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등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로써, 먼저 제어부(3)에 재전송 MOD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되는 화신호 모뎀(1)에서 복조되고,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재전송하기 위하여 변조화를 행하지 않고 복조된 상태로 수신문서 메모리부(7)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다음, 수신이 완료되면 메모리부(4)에 등록된 사용자가 있는 곳의 전화번호를 다이얼(Dial)하여 회선이 연결되면 수신문서 메모리부(7)에 저장된 복조화된 화신호 데이터를 다시 모뎀(1)에서 변동하여 송신한다.
또한, 음성 메시지가 녹음된 경우는 녹음이 완료된 후 상기와 같이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음성을 전화회선을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재전송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래 기술의 동작 설명과 같이 화신호인 경우는 복호화하여 기록지에 기록하고, 음성인 경우는 자동 응답 장치에 그대로 녹음되어 있다.
즉, 제3도와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호출신호(Ring, 16Hz)를 검지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녹음된 응답메세지(OGM:Out-going Message)를 송출하고 수신메세지(In-Coming Message)를 녹음용량에 한해 녹음 시킨다.
만약 OGM 송출중에 CNG(Calling Tong : 바음성단말)가 수신되면 FAX수신 상태가 되어 화신호를 수신문서 메모리부에 일단 저장한다.
그리고 수신메세지의 녹음이 완료되면 CED(Called Station Identification)수신 즉 확인신호)와 Dis(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디지털 신호)를 상대방으로 송출하고 상대방으로부터 DCS(Digital Command Signal)의 수신을 T1신간(30sec)동안 체크하여 수신되면 FAX수신 Mode로 화신호를 수신문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수신동작이 완료되면 재전송 절환모드의 설정 비트(bit)가 세트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세트되어 있다면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등록된 재전송 장소의 전화번호를 다이어링하여 회선이 연결되면 녹음된 수신메세지와 FAX화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ICM와 FAX화신호를 클리어(Clear)하고 대기 동작 상태가 된다. 만약 재전송 절환모드 재전송장소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수신된 화신호 DATA를 수신문서 메모리로부터 Read하여 기록지에 기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재전송 자동절환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부득이 외출하고자 할 때 재전송 전환모드를 설정하고 가있을 곳의 전화번호 및 FAX번호를 기억시켜주면 외출시 가있는 곳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전화나 문서를 시간의 지체없이 수신하여 신속한 업무터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대방의 변조된 화신호를 복조하고, 재전송하기 위해 수신문서 메모리부(7)에 기록된 화신호를 변조하는 모뎀(1)과, 모뎀(1)에서 복조된 화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신문서 메모리부(7)와, 화신호를 부호 복호화하는 부호 복호화부(2)와, 상기 부호 복호화부(2)에서 복호화된 화신호를 직렬로 수신하여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부(5)와, 원-터치, 단축다이얼, ID,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사용자가 있는 곳의 팩스 또는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4)와,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자동응답부(6)와,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재전송되도록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2. 사용자가 재전송 받고자하는 팩스 또는 전화번호를 메모리하고 재전송 절환모드로 설정하는 제1스텝과, 수신되는 화신호를 복조하여 저장하고 메모리된 팩스 또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화선을 연결하는 제2스텝과, 저장된 화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제3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스텝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음성메세지일 경우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고, 다이얼하여 회선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방법.
KR1019930014344A 1993-07-27 1993-07-27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KR96001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344A KR960014309B1 (ko) 1993-07-27 1993-07-27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344A KR960014309B1 (ko) 1993-07-27 1993-07-27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69A KR950004869A (ko) 1995-02-18
KR960014309B1 true KR960014309B1 (ko) 1996-10-15

Family

ID=193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344A KR960014309B1 (ko) 1993-07-27 1993-07-27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3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69A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4078A2 (en) Cordless subunit facsimile system
KR960014309B1 (ko) 통신기기의 재전송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JP2680885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3247415B2 (ja) 通信装置
JP2537171B2 (ja) 画像通信装置
JPS6221658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US5311579A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nstructed communication result transmittal
JP3870544B2 (ja) 通信端末装置
JP2592858B2 (ja) フアクシミリ通信方式
JP3000922B2 (ja) ファクシミリ信号送信装置
JP267078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59125172A (ja) フアクシミリ再送通信方式
JPS61224775A (ja) フアクシミリ送信装置
JP3013901B2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方法
JP3611739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4315352A (ja) 画像通信装置
JP3702896B2 (ja) 通信端末装置
JPH02292951A (ja) 画像通信装置および画像通信方法
JP2756290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272203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3242274B2 (ja) データ通信装置、交換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H079780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送信報知方式
JPH043435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107996A (ja) 間違い電話検出装置
JPH03717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