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167B1 -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167B1
KR960013167B1 KR1019950004306A KR19950004306A KR960013167B1 KR 960013167 B1 KR960013167 B1 KR 960013167B1 KR 1019950004306 A KR1019950004306 A KR 1019950004306A KR 19950004306 A KR19950004306 A KR 19950004306A KR 960013167 B1 KR960013167 B1 KR 96001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rying
dish
ti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982A (ko
Inventor
다다시 모리시마
고징 우라
스미가니 다자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5003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5Drying arrangements by using alternative heat sources, e.g. microwave o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3Operation mode, e.g. delicate washing, economy washing, reduced time, sterilizing, water softener regenerating, odor eliminating or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식기세정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식기세정기의 상부근방의 단면도,
제 3 도는 식기세정기의 제어회로도,
제 4 도는 식기세정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한 블럭도,
제 5 도는 건조동작시에 있어서의 식기수납실(2)내 온도의 경시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
제 6 도는 건조동작시에 있어서의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변화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식기세정실8 : 온도발생장치
S : 온도센서
본 발명은 식기세정기 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건조동작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을 경우라고 식기류를 적정하게 건조하게끔 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 1도에 표시하는 식기세정기에서 케이싱(casing)(1)내에 형성된 식기수납실(2)내에 다수의 노즐(nozzle)(60)(60)을 구비하는 노즐아암(nozzle arm)(6)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식기수납실(2)의 전방개방부(29)가 개폐문(3)에 의해 개폐되어 진다.
식기수납실(2)의 저부에는 세정수 저수조(23)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저수조(23)내에는 물기열히이터(20)(2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casing)(1)의 정면 상부에 형성된 급기구(830)로 부터 식기수납실(2)의 안속벽(27)의 온풍흡출구(81)에 연계된 급기로(83)가 마련됨과 동시에, 그 급기로(83)에는 건조용 히이터(84)와 펜(80)에서 이루어진 온풍공급장치(8)기 배치 설치되어 있다. 다시 식기건조기의 습윤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식기수납실(2)의 천정구멍(51)으로 부터 케이싱(1)의 정면벽의 배기구(52)에 연계된 배기로(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식기수납실(2)의 전방개방부(29)의 측방에는 개폐문(3)의 개폐를 감지하는 문감지 스위치(Switch)(K)가 설치됨과 동시에 다시 그 식기수납실(2)의 안속부의 천정부(2b)에는 분위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는 운전스위치를 조작하며 물가열히이터(20)로 더워진 저수조(23)의 세전수가 통로로(F)의 펌프(P)로 흡입됨과 동시에, 이것이 노즐아암(6)의 노즐(60)(60)로 부터 식기류(M)(M)에 불어 대면 그 식기류(M)(M)의 연속 동작이 적당히 실행된 후 온풍공급장치(8)를 작동시켜 식기류(M)(M)의 건조 동작이 시작된다. 즉, 온도센서(S)의 출력을 감시하면서 펜(80)과 건조용 히이터(84)를 제어함으로서 식기수납실(2) 내를 승온시키는 승온공정(L)(도면 6도)과 이 온도를 건조가열온도(예를들면 60℃)에 유지하는 온도유지공정(N)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식기수납실(2)내의 습윤공기는 식기수납실(2)의 천정구멍(51)으로 부터 배기로(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이 건조동작이 예정된 건조설정시간만큼 실행되면 온풍공급장치(8)가 정지된다. 즉 건조동작이 종료되는 것이다. 또 상기 기구 동작 중에 개폐문(3)이 강제적으로 개방되며는, 이것을 문짝 감지 스위치(K)가 검출되어 상기 세정동작 및 건조동작이 강제 중단되고, 식기수납실(2)에 새로운 식기류(M)을 넣어 수용된 일부의 식기를 끄집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세정기에서는 건조동작을 일시 중단시킨 경우에는 그 중단후에 건조동작을 속행시키더라도 식기류(M)(M)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없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에 대해서 다시 상술한다.
종래의 식기세정기에서는 건조동작을 일시 중단이든가 거부에 관계없이 건조동작의 개시할때 부터 계측한 건조누적시간이 소정의 건조 설정시간이 일치하면 획일적인 건조동작을 종료시키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이미 시작된 건조동작을 중단시키고 식기수납실(2)내의 식기류(M)를 사용할 수 있게 끔 이것을 일부 끄집어 내고, 또 그 식기수납실(2)내에 새로운 식기류(M)(M)를 넣는 작업을 할 경우, 식기류(M)(M)가 가열 건조되는 시간이 상기 중단시간 만큼 짧게 된다. 따라서 개폐문(3)을 닫고 건조동작을 재개하더러도 상기 실제의 건조시간이 짧어진 만큼 식기류(M)의 건조 부족이 생기는 것이다. 또 상기 개폐문(3)의 개방에 의해서 식기수납실(2)내의 열이 외부로 도피됨으로 그 분량 만큼 열손실이 생기고, 이 점에서도 식기류(M)(M)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없다.
역시 상기에서는 개폐문(3)의 개폐에 연동되어 ON. OFF되는 문짝 감지스위치(K)의 신호로 기구동작을 중단시킨다든지, 이것을 재개하게끔 하고 있으나, 수동조작하는 독립된 스위치를 마련함으로서, 상기 중단, 재개의 동작을 하겠끔 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식기세정에 이어 식기건조을 하는 형식의 식기세정기를 예시하고 상기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나, 식기건조 동작만을 실행하는 식기건조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똑같은 문제가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본 받은 것이고 온풍공급장치(8)에 의해 식기수납실(2)에 온풍을 송입해서 이것을 가열하고, 그 식기수납실(2) 내의 습윤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건조동작을 실행하는 식기세정기등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이고, 식기수납실(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건조 가열 온도가 되기까지 식기수납실(2)내를 승온시키는 승온공정(L)와 이것에 계속해서 실행되고 역시 상기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상기 건조 가열온도에 보존 온도유지공정(N)을 순서적으로 실행시킴과 동시 상기 승온공정(L)의 개시부터 계측한 건조누적 시간이 예정된 건조설정 시간이 되었을때 온도유지공정(N)를 종료시키게끔 하고, 다시 건조동작을 중단, 재개할 때에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부터 온풍공급장치(8)에 대해서 이것을 ON. OFF시키는 신호를 출력을 시킨것처럼 한 식기건조방법에 있어서 건조동작을 일시중단시켜 쓸 때도 식기류(M)(M)의 건조부족이 생기지 않게하는 것이 그 과제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의 방법은 승온공정(L)에서 상기 건조동작이 일시 중단되었을 경우에 대한 식기류(M)(M)의 건조부족을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된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승온공정(L)의 실행중에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때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판단하고, 그 감지 온도가 건조가열온도 이하로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중단, 개재 신호발생기가 건조재개신호를 출력시켰을 때부터 건조누적시간을 개정하고 계측하여 바로 잡게 하였다』이라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건조동작이 시작되면 건조누적시간의 계측동작이 스타아트(Start)하고, 식기수납실(2)내가 승온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승온공정(L)중에 있어서 식기수납실(2)내가 기준온도(온도유지공정(N)에 대한 건조가열 온도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에 되기 까지의 사이에 중단, 재개신호발생기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개폐문(3)이 개방되고 동등하게 온풍공급장치(8)가 강제 중단되었을 경우)는 중단. 재개신호발생기로 부터 건조재개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기다려 구신호가 출력되었을때 부터 건조누적시간을 개정 계측하여 바로 잡고, 그 시간이 예정된 건조설정시간이 되었을때 온풍공급장치(8)를 정지시키고 건조동작을 종료시킨다. 즉, 승온공정(L)이 시작되면서 부터 식기수납실(2)내가 기준온도로 승온할때까지는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건조동작에 유효한 온도까지 승온되어 있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됨으로 이 경우는 건조중단전의 동작시간을 건조누적시간으로서 계측하지 않는 것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은 다음 특유의 효과를 갖는다.
승온공정(L)에 있어서 식기수납실(2)내 온도가 기준온도로 승온하기 까지에 개폐문(3)이 개방되고 동등하게 건조동작이 일시 중단되었을 경우는, 식기류(M)(M)의 건조에 대부분 기여하지 않은 승온공정(L)의 동작시간을 무시하고, 건조동작이 재개되었을때 부터 개정하고 건조누적시간을 계측하며 바로 잡게하였으므로 개폐문의 가방으로 식기수납실(2)내가 온도저하 하더라도 식기류(M)(M)를 확실히 건조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제 2 항의 본 발명은 식기수납실(2)이 상기 기준온도를 초과해서 온도유지공정(N)측에 이행한 후에 그 건조동작이 일시 중단되더라도, 식기류(M)(M)를 적정하게 건조시켜 얻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된 청구항 제 2 항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온도유지공정(N)의 실행중에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는 그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 부터 건조재개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시하고, 그 건조재개신호가 발생되었을 때는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하는 것을 감시하고, 그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에 된 후의 건조누적시간과 상기 중단신호가 출력되기 까지의 건조누적시간의 가산시간이 건조 설정 시간에 일치하였을 때 온도유지공정(N)를 종료되게 끔 하였다』이라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수단은 다음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온도유지공정(N)에 있어서 중단, 재개신호발생기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개폐문(3)이 개방되고 동등하게 온풍공급장치(8)가 강제 중단되었을 경우)는 중단, 재개신호발생기로 부터 건조재개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시한다. 그리고 그 건조재개신호가 발생하며는 그후 다시 온도센서(S)까 감지하는 식기수납실 내의 온도를 감시한다. 즉, 상기 건조동작이 일시 중단되었을 경우에 개폐문(3)이 개방되어 식기류(M)(M)을 유효하게 건조시킬 수 없는 정도에 식기수납실(2)이 냉각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식기수납실(2) 내가 냉각되었을 경우는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건조 가열온도보다 소정온도를 낮게 설정된 온도)이상이 될때까지 기대하고,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로 되었을 경우는, 그후에 계측하는 건조누적시간과 이미 서술한 일시 중단전의 건조누적시간의 합(和)이 건조 설정 시간이 일치되기 까지 건조동작을 실행한다.
다른쪽에서,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 부터 건조개재신호가 나타났을때 식기수납실(2)이 기준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이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센서(S)로 부터의 온도신호가 건조재개신호와 동시에 출력되고, 그 건조재개조작의 직후로 부터 실행되는 건조동작의 시간을 누적한 시간과 이미 서술한 일시 중단전의 건조누적시간의 합(和)이 건조설정시간에 일치되기 까지 건조동작이 속행된다. 이와같이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온도유지공정(N)으로 이행한 후에 중단된 건조동작이 재개되었을 경우는 상기 중단시 부터 식기수납실(2)내가 기존온도(식기류(M)(M)의 건조에 유효한 온도)로 승온되기 까지의 사이는 건조 누적 시간으로서 계측되지 않음으로, 식기류(M)(M)가 건조부족상태로 떨어짐이 없다.
[실시예]
다음은 상기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세정기의 내부구조는 이미 서술한 그림1의 것과 똑같이 구성되어 있고, 같은 그림의 것은 시스템 키친 카운터(W)의 하방공간에 수용설치되어 있다. 또 저수조(23)의 상방에는, 상하2단의 노즐아암(6)(6)과 이들의 상방에 각별히 인출하기 쉽게 자재로 배치설치된 랙(4)(4)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저수조(23)의 밑 부분에서 인출된 수의 감지용관(71)과 배수관(72)에는 수위센서(78)과 배수펌프(75)가 배치설치되어, 식기수납실(2)에 접속된 급수관(25)에는 급수밸브(V)가 배치설치되어 있다.
도면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정면상부에는 식기수납실(2)내의 습윤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52)과, 식기수납실(2)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급기구(830)와 다시 조작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59)에는 운전스위치(54) 및 표시램프(55)가 배설됨과 동시에, 이들의 전기부분은 마이크로 컴퓨터 조립 설치되어 있는 도면 제 3 도의 것과 같이 제어회로(7)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어회로(7)에는 상기 운전스위치(54) 및 표기램프(55), 개폐문(3)의 개폐을 감지하는 문짝감지스위치(K), 식기수납실(2)의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 식기수납실(2)에 공급하는 온풍에 생성하는 온풍공급장치(8)의 구성부품인 펜(80) 및 건조용 히이터(84), 저수조(23) 내의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히이터(20), 저수조(23)내의 저류수를 노즐 아암(6)(6)에 공급하는 펌프(P), 식기수납실(2)에 급수하는 급수밸브(V), 저수조(23)내의 세정수를 배수펌프(75) 및 그 저수조(23)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78)등이 접속되어 있다. 역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일 스위치(K)가 이미 서술한 기술적 수단의 항에 기재의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에 대응하고 있으나, 수동조작하는 독립된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서 그 스위치로 부터 재개신호를 발생시켜도 좋다.
상기 제어회로(7)에 조립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 내에는 도면 제 4 도의 프로차아트(Flow Chart)로 표시되는 내용의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格納)되어 있고,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한 식기세정기의 제어동작을 같은 그림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랙(4)(4)에 식기류(M)(M)를 수납한 후에 저수조(23)에 세제를 투입해서 개폐문(3)을 폐쇄하고, 이것으로 부터 준비작업을 완료시킨다. 다음에 운전스위치(54)를 넣으면 이것이 스텝(100)으로 확인되고, 현재 실행하고 있는 동작이 세정동작인가 또는 계속이어지는 동작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공정 판정 플럭(Fo)을 『0 세정동작임을 표시하는 값』에 세트(Set)한다(스텝(101).
그리고 스텝(102)을 실행하고, 식기수납실(2)에 접속된 급수관(25)에 삽입된 급수밸브(V)를 열어준다. 스텝(103)으로 수위센서(78)가 감지되는 저수조(23)내 수위를 판단하고, 이것이 소정수위로 되면 급수밸브(V)를 잠그고, 펌프(P)를 ON동작시킴과 동시에 물가열 히이터(20)를 발열시킨다. 그러며는 저수조(23)의 세정수가 통수로(F)의 펌프(P)로 흡인되고, 이것이 노즐아암(6)(6)의 노즐(60)(60)으로 부터 분출되고 그 노즐아암(6)(6)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이것으로 부터 식기류(M)(M)의 세정동작이 개시한다.
다음에 스텝(104)을 실행해서 상기 세정동작을 일정시간 만큼 실행한 후에 펌프(P)를 멈추게 함과 동시에 배수펌프(75)를 작동시켜 저수로(23)내의 세정수를 배수시키고(스템(105)참조), 그후, 상기 실행한 동작이 세정동작인가 또는 이어지는 동작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공정판정 플럭(Fo)이 『0』가 되고 세정 동작이 실행되었다고 판단될 경우는 스텝(107)으로 공정판정플럭(Fo)를 『1(계속 동작을 표시하는 값』에 세트(Set)로서 상기(102)~(106)의 스텝을 재차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1406)으로 공정판정플럭(Fo)의 내용을 판단한 결과, 그 공정판정플럭(Fo)이 『1』이 되어 있는 직전에 실행한 동작이 계속이어지는 동작이라는 것을 확인하면 제어동작은 스텝(110)이하의 건조공정으로 이행한다.
건조공정은 도면 제 5 도의 (ㄱ)에 표시한 바와같이 식기수납실(2)내를 건조가열온도인 약 60℃까지 승온시키는 승온공정(ㄴ)와 이것에 계속해서 실행되고 역시 식기수납실(2)내를 상기 건조가열온도에 유지하는 온도유지공정(N)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온공정(L) 및 온도유지공정(N)를 실행하고 있는 사이에 개폐문(3)이 개방되어 문짝 감지스위치(K)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면 같은 그림의(ㄴ~(ㄷ)의 이와같이 동작이 실행하게끔 되어 있다. 즉, 식기수납실(2)내가 상기 건조가열 온도보다 낮은 기준온도인 50℃에 승온될때 까지 건조동작이 중단되었을 경우(이 실시예에서는 개폐문(3)을 개방하였을 경우)는 (ㄹ)에 표시한 바와같은 문짝 감지 스위치(K)로 부터 건조재개 신호인 ON 신호가 되기까지의 사이의 건조누적시간(건조실행시간)이 무시된다. 또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기준온도(50℃)를 초과한 후에 건조 중단조작이 될 경우는(ㅁ), (ㅂ)과 같은 경우 나누어진 이후의 제어동작이 실행되고, 이것보다, 식기류(M)(M)의 건조부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면 제 5 도의 그래프에 표시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도면 제 4 도의 스텝(110)이하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공정이 건조공정으로 이행하며는 우선 스텝(110)에 펜(80) 및 건조용 히이터(84)를 ON상태로 하고 온풍공급장치(8)을 작동시킨다. 또 건조동작이 중단된 경우의 건조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고려되는 건조로스시간(A)을 기억하는 메모리 내를 『0』에 세트한다. 다시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T1)를 리세트함과 동시에 보조시간(T3)을 기억하는 메모리 내를 『0』에다 세트한다.
상기 펜(80)과 건조용 히이터(84)가 작동하면 건조용히이터(84)의 발생열이 펜(80)에서 급기로(83)를 통해 식기수납실(2)내에 공급되고, 그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온도센서(S)의 감지하는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기준온도인 50℃에 숭요되었는지 여부가 스텝(111)로 판단되고, 그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50℃)이하의 경우는 문짝 감지스위치(K)로 부터 중단신호 개폐문(3)이 개방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는가 않인가를 스텝(12)에서 계속적으로 감시하고, 그 중단신호가 출력되면 스텝(113)에서 펜(80) 및 건조용 히이터(84)를 멈추게 하고, 문짝 감지스위치(K)로부터 건조재개 신호 개폐문(3)이 폐쇠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시한다.
그리고 문짝 감지스위치(K)로 부터 건조재개 신호가 출력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동작이 스텝(110)로 뒤돌아 와서 펜(80) 및 건조용 히이터(84)를 재차 작동시킴과 동시에 건조 동작계속 타이머(T1)를 리세트 하는 동작 등을 실행한다.
그러면 그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T1)는 개폐문(3)이 폐쇄되고 문짝 감지스위치(K)로 부터 건조 재개신호가 출력후의 시간을 개정하고 계측하여 바로잡게 되고, 도면 제 5 도(L)의 건조 재개시간(C)이후에 건조 동작 계속 타이머(T1)가 계측한 시간을 건조종료의 판단을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식기수납실(2)내가 기준온도로 승온되기 까지의 사이에 건조 중단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건조재개시(C)이후의 건조누적시간을 계측하는 제어가 청구항 제 1 항의 발명에 대응하고 있다. 역시 이 실시예에서는 건조공정에 이행되면서 18분 경과 하드라도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기준온도인 50℃에 승온되지 않을 경우는 이 상태가 스텝(115)에서 판단되어 알람을 울리는 등의 에러처리가 되어 있게끔 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111)에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까지 승온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60℃를 중심으로 설정된 소정온도폭의 상하한 온도인 62℃와 58℃의 사이(이미 서술한 기술적 수단의 항에 기재의「건조 가열 온도」에 대응한다)에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유지되었는지 않는지에 여부가 스텝(120)에서 판단된다.
그리고 스텝(116)에서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62℃이하인 것을 확인될 경우는 가열실행 플럭(F1)을 「1」에 놓은 후에 스텝(118)에 제어동작이 이동된다. 또 스텝(121)에서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8℃ 이상 이것이 확인될 경우는 상기 가열실행 플럭(F1)을 「0」에 세트 시킨후에 스텝(118)로 제어동작이 이행된다.
스텝(118)에서는 문짝 감지스위치(K)가 건조중단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되고, 건조중단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는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T1)의 계속시간과 건조로스시간의(A)의 차가건조설정시간인 20분 이상이 되는 것을 스텝(119)로 감시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동작 계속타이머(T1)의 계속시간과 건조로스시간(A)의 차가 상기 건조설정시간이 되면 스텝(190)에서 가열실행플럭(F1)의 내용을 판단하고, 그 가열실행플럭(F1)의 내용으로부터 건조용 히이터(84)가 이미 정지되어있다고 판단될 경우는 펜(80)만을 OFF상태로 하고, 다른쪽은 상기 가열실행플럭(F1)의 내용으로부터 건조용 히이터(84)가 작동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는 이것과 펜(80)을 같이 OFF 상태로 하고 건조동작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그후 운전스위치(54)의 투입을 감시하는 스텝(100)의 초기공정에 제어동작이 되돌아 오게된다.
역시 건조동작이 온도 유지공정(N)으로 이행한 후에 문짝 감지스위치(K)로부터 건조중단신호가 전혀 출력되지 않을경우는 상기 건조로스시간(A)의 내용은 스텝(110)로 세트된 「0」의 상태로 부터 변화하지 않으므로, 스텝(119)에서는 건조동작계속 타이머(T1)의 계측시간이 건조설정시간인 20분이 되었는지 않이되었는지의 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미 실행된 승온공정(L)에 있어서 건조동작이 중단되어있지 않을 경우는 도면 제 5 도(ㄱ)의 것과 같이 건조개시초기(a)로 부터 20분이 경과한 후에 건조동작이 종료한다.
그밖에 승온공정(L)에서 건조동작이 중단되었을 경우는 건조재개시(C)로 부터 2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건조동작이 종료되겠끔 된다. 역시, 건조동작 계속타이머(T1)의 계속시간과 건조로스시간(A)의 차가 건조 설정시간에 도달되어 있지않을 경우는 스텝(119a)에서 가열실행플럭(F1)의 내용이 판단되고, 그 가열실행플럭(F1)의 내용에 따라서 스텝(120)의 소정장소에서 제어동작이 되돌아오고, 이것보다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8℃~62℃의 범위에 유지 되겠끔 온도를 조정한다. 다음에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기준온도인 50℃를 초과해서 온도유지공정(N)측에 이행한후에 문짝 감지스위치(K)로부터 건조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의 제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문짝감지스위치(K)로 부터 건조중단신호가 출력된것이 스텝(118)에서 확인되고 스텝(130)이하의 제어동작이 실행된다. 스텝(130)에서는 건조중단타이머(T2)를 리세트함과 동시에 펜(80) 및 건조용 히터(84)를 OFF상태로 한다. 그리고 문짝 감지스위치(K)로 부터 건조재개신호가 출력되었을때는 펜(80) 및 건조용 히이터(84)를 재차 ON 상태로 하고 건조 동작을 재개시키고, 이시점에서 온도센서(S)의 감지하는 식기수납실(2)에 온도가 50℃ 이하로 온도 저하되지 않을 경우(식기수납실(2)이 식기류(M)(M)의 건조에 유효한 온도로 되었을 경우)는 이 상태를 스텝(132)로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136)에서 건조로스시간(A)에 건조중단타이머(T2)의 계측시간을 가산하고, 그후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를 58℃~62℃의 범위내에 유지하기 위한 스텝(120)에 제어동작을 되돌려 놓는다.
따라서 스텝(119)에서 판단대상이 된다.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F1)의 계측시간과 건조로시간(A)의 차』는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T1)의 계측시간으로 부터 건조중단시간을 감산한 값과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도면 제 5 도(ㄹ)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건조중단전에 대한 건조누적시간 건조개시초기(a)로 부터 건조중단시(b)까지의 시간과 건조재개 신호가 출력된 후의 건조누적시간 건조재기시(c)이후의 시간의 합이 건조설정시간인 20분에 동등하게 되었을때에 건조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다른한편, 스텝(132)에서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0℃이하로 냉각되었다고 판단될 경우는, 스텝(133)으로 보조타이머(T3)를 리세트 함과 동시에 스텝(134)(135)를 반복하면서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0℃까지 승온되는 것을 감시한다.
역시 스텝(135)에서 보조타이머(T3)가 18분을 초과하였는지 않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건조용 히이터(84)가 고장나서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승온되지 않을 경우에 에러처리를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0℃로 승온되었다는 것이 스텝(134)에 확인되면, 그후 스텝(136)를 실행해서 건조로스시간(A)에 건조 중단타이머(T2)의 계측시간을 가산한다. 그렇게하면 그 건조로스시간(A)는 도면 제 5 도(ㄷ)에 표시한 건조중단시(b)로 부터 기준온도달성시(d)(50℃에 달성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동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스텝(119)에서 판단 대상이 된다.
『건조동작 계속 타이머(T1)의 계측시간과 건조로스시간(A)의 차』는 도면 제 5 도(ㄷ)에 표시한 바와같이 건조중단 전에 대한 건조누적시간(건조개시초기(a)으로부터 건조중단시(b)까지의 시간)과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가 50℃로 승온한후의 건조누적시간 건조재개시(c)이후의 시간이 합이 동등하게 되고, 그 시간이 건조설정시간인 20분에 동등하게 될때에 스텝(190)이 실행되어서 건조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 에서는 건조공정이 온도유지공정(N)에 이행한후의 제어동작(그림 5의(ㄷ)(ㄹ)이 청구항 제 2 항의 발명에 대응하고 있고, 이들 어느경우라도 건조 동작중단후의 조정시간은 건조누적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건조중단중에 식기수납실(2)내의 온도저하 되더라도 식기류(M)(M)가 건조부족상태로 떨어지는 불함니한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역시 상기 실시예에서는 식기수납실(2)의 온도를 약 60℃로 유지하기 위해 히이터(84)를 62℃에서 OFF로 하고, 52℃에서 ON으로 하는 ON. OFF 제어방식을 채용하였으나, 설정온도(60℃)와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와의 차에 기본이되어 히이터(84)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비례 제어방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경우 기준온도(이미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50℃에 설정되어 있다)는 전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이고, 비례 제어중에 상기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 기준온도까지 강하되는 일은 없다.

Claims (3)

  1. 온풍공급장치(8)에 의해 식기수납실(2)에 온풍을 송입해서 이것을 가열하고, 그 식기수납실(2)내의 습윤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건조동작을 실행하는 식기세정기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이며, 식기수납실(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건조 가열온도가 되기까지 식기수납실(2)내를 승온시키는 승온공정(L)과 이것에 계속해서 실행되고 역시 상기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상기 건조가열온도에 견디는 온도유지공정(N)을 순서적으로 실행 함과 동시에, 상기 승온공정(L)의 개시시부터 계속한 건조누적시간이 예정된 건조설정시간이 될 때에 온도 유지공정(N)을 종료하게 끔하고, 다시 건조동작을 중단 재개 시킬때에 중단재개신호 발생기로 부터 온풍공급장치(8)에 대해서 이것을 ON. OFF 시키는 신호를 출력시키게 끔한 식기건조방법에 대한, 승온공정(L)의 실행중에 중단재개신호 발생기로 부터 중간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판단하고, 그 감지온도가 건조가열 이하에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을 경우는 중단재개 신호발생기가 건조재개신호를 출력할때부터 건조주적시간을 다시한번 계속하고, 바르게 한 식기 세정기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
  2. 온풍공급장치(8)에 의한 식기수납실(2)에 온풍을 송입하여 가열하고 그 식기수납실(2)내의 습윤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건조동작을 실행하는 식기세정기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이고, 식기수납실(2)의 온도를 감지할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가 건조하열온도가 될때까지 식기수납실(2)내를 승온시키는 승온고정(L)과 이것에 계속해서 실행되는 역시 상기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상기 건조가열온도에 보존 온도유지공정(N)을 순서적으로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승온공정(K)의 개시시부터 계측한 건조누적시간이 예정된 건조설정시간이 될때에 온도유지공정(N)를 종료하게 끔하고, 다시 건조동작을 중단재개시킬때 중단재개 신호 발생기로 부터 온풍공급장치(8)에 대해서 이것을 ON OFF 시키는 신호를 출력시키게 끔한 식기건조방법에 대한 온도유지공정(N)의 실행중에 중단재개신호발생기로 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된 경우는 그 중단재개신호 발생기로 부터 건조재개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시하고 그 건조재개신호가 발생할때는 온도센서(S)의 감지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승온하는 것을 감시하고, 그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의 건조누적시간과 상기 중단신호가 출력되기 까지의 건조누적시간의 가산시간이 건조설정시간에 일치하였을때 온도 유지공정(N)를 종료시키게 끔한 식기세정기 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
  3. 승온공정(L)의 실행중에 중단. 재개 신호발생기로부터 중단신호가 출력되었을때 온도센서(S)의 감지온도를 판단하고, 그 감지온도가 건조가열온도 이하에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중단재개신호발생기가 건조재개신호를 출력할때 부터 건조누적시간을 다시한번 계속하고 바르게 한 청구범위 제 2 항 기재의 식기세정기등에 대한 식기건조방법.
KR1019950004306A 1994-05-26 1995-03-03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KR960013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12446 1994-05-26
JP6112446A JP2972946B2 (ja) 1994-05-26 1994-05-26 食器洗浄機又は食器乾燥機に於ける食器乾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982A KR950030982A (ko) 1995-12-18
KR960013167B1 true KR960013167B1 (ko) 1996-09-30

Family

ID=1458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306A KR960013167B1 (ko) 1994-05-26 1995-03-03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72946B2 (ko)
KR (1) KR960013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9060A1 (de) * 2002-12-17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pülverfahren sowie Geschirrspül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13435A (ja) 1995-12-05
KR950030982A (ko) 1995-12-18
JP2972946B2 (ja) 199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80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3429424B2 (ja) 食器洗浄器
KR960013167B1 (ko)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KR20170082034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3676113B2 (ja) 食器洗い機
US20130174872A1 (en) Prolonged operation heater protection in an appliance
KR960010939B1 (ko) 식기세척기의 가열에러 감지 방법
JP3500092B2 (ja) 食器洗い機
JP2721089B2 (ja) 食器洗浄機
JP3293256B2 (ja) 食器洗い機
JP2950389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960010944B1 (ko) 식기세정기
JP2001057957A (ja) 食器洗い機
KR0176921B1 (ko) 식기세척기의 구속 감지방법
JP4129412B2 (ja) 食器洗浄機
JPH06277170A (ja) 食器洗浄機
JP4029455B2 (ja) 食器洗い機
JPH0975288A (ja) 洗浄機の稼働方法
JP2024013995A (ja) 洗浄機及び濯ぎ水供給装置
KR960013870B1 (ko) 식기세척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960010940B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식기량 판단방법
JPS61280837A (ja) 器具洗浄機
JP3345029B2 (ja) 食器洗い機
KR100264936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339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