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46B1 -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46B1
KR960010446B1 KR1019930003811A KR930003811A KR960010446B1 KR 960010446 B1 KR960010446 B1 KR 960010446B1 KR 1019930003811 A KR1019930003811 A KR 1019930003811A KR 930003811 A KR930003811 A KR 930003811A KR 960010446 B1 KR960010446 B1 KR 96001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ear
cogwheel
stop mechanism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353A (ko
Inventor
유키오 가와자와
Original Assignee
유키오 가와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553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67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01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6781B2/ja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가와자와 filed Critical 유키오 가와자와
Publication of KR930019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582Levers
    • Y10T74/20588Levers toggle
    • Y10T74/20594Lazy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alle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측면도.
제3도는 링크기구의 축소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일부 단면을 가지는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일부 단면을 가지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링크기구를 축소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서 손잡이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 : 착석부 2,102 : 기틀부
4,104 : 상부틀 5,105 : 평행축
6,15,17,106,115 : 톱니바퀴 7,107 : 제1링크
8 : 핀 9,109 : 제2링크
12 : 제3링크 111 : 샤프트
121 : 체결조각
본 발명의 의자, 테이블, 작업대등의 사람 또는 물품을 얹어놓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의자등의 지지대에서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는 의자의 기틀부와 착석부와의 사이의 지주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구름베어링부를 설치한 것이 많다.
이러한 구름베어링부를 가진 높이조정용 의자의 경우 상기 구름베어링부가 마찰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체중이 가해지면 마모가 진행하고 비교적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자재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견고한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와, 물품을 얹어놓기 위해 상기 기틀부상에 설치된 착석부와, 상기 기틀부와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부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부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기틀부상의 지점축에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사용하는 제2의 수단은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와, 물품을 얹어놓기 위해 상기 기틀부상에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기틀부와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의 상기 기틀부상의 지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복수조의 링크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지지대이다.
또한, 제3의 수단은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와, 물품을 얹어놓기 위해 상기 기틀부상에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기틀부와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체결되어 해당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적절하게 잠그는 체결기구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기틀부상의 지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복수조의 링크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지지대이다.
또한 제4의 수단은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와, 물품을 얹어놓기 위해 상기 기틀부상에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기툴부와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체결되어 해당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적절하게 잠그는 체결기구와,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기틀부상의 지정축에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복수조의 링크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지지대이다.
본 발명에서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해제하면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가 회전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한쌍의 톱니바퀴와 연결된 링크기구도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해제한 상태에서 착석부를 상하로 움직이면 이에 따라 링크기구가 신축하고 동시에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가 회전한다. 이렇게 해서 착석부를 적당한 높이위치까지 들어올린 상태로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작용시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 회전을 멈추면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도 정지해서 해당 링크기구가 일정한 높이의 다리부로 되어 착석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링크기구를 복수조 설치함으로서 그 견고성이 향상되고,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적당하게 잠그는 체결기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링크 기구의 소정 신축 높이에서의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된다.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의자에 적용한 것으로 사람과 물품을 얹어놓기 위한 착석부(1)와,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2)와, 상기 착석부(1)와 기틀부(2)를 연결하는 중간부(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중간부(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착석부(1)의 하면에는 사각형상의 상부틀(4)이 고정되고 상부틀(4)내에 수평하게 설치된 두개의 평행축(5a,5b)에는 한쌍의 톱니바퀴(6a,6b)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톱니바퀴(6a,6b)는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맞물려 있지만 반드시 맞물려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톱니바퀴(6a,6b)와 일체로 설치된 제1링크(7a,7b)의 톱니바퀴가 연결되지 않은 쪽 단부에는 핀(8a,8b)을 통해 제2링크(9a,9b)가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9a,9b)는 중앙의 핀(10)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서 핀(11a,11b)를 통해 제3링크(12a,12b)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12a,12b)는 수평한 평행축(14a,14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톱니바퀴(15a,15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행축(14a,14b)은 상기 기툴부(2)에 고정된 하부틀(13)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바퀴(15a,15b)가 맞물려 있지만 이러한 맞물림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톱니바퀴(15a,15b)를 생략해 제3링크(12a,12b)를 평행축(14a,14b)으로 직접 회전자유롭게 지지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위 평행축(5a,5b)의 한쪽(5a)에 레버(16)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레버(16)에는 한쪽 톱니바퀴(6b)와 탈착자유롭게 맞물리는 체결 톱니바퀴(17)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톱니바퀴(17)는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톱니바퀴(6a,6b)의 양쪽이 맞물려 있고 레버(16)를 화살표 X로 나나탠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톱니바퀴(6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레버(16)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1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손잡이(18)와 착석부(1)는 하나의 용수철(19)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용수철(19)은 손잡이(18)를 하향으로 밀어 톱니바퀴(17)이 톱니바퀴(6b)와 맞물리도록 레버(16)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제3링크(7a,7b,9a,9b,12a,12b)들이 본 발명의 링크기구를, 톱니바퀴(6a,6b)가 본 발명의 톱니바퀴를, 또한 톱니바퀴(17)가 본 발명의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각각 구성해서, 상기 링크기구, 톱니바퀴 및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해 중간부(3)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톱니바퀴(17)가 톱니바퀴(6a,6b)의 양쪽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착석부(1)에 가해진 하향 하중에 의해 톱니바퀴(6a,6b)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톱니바퀴(17)와 맞물려 회전할 수 없고 도시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이 톱니바퀴(6a,6b)와 일체의 제1링크(7a,7b) 또는 이 제1링크(7a,7b)에 연결된 제2링크(9a,9b), 제3링크(12a,12b)도 고정되고 이 제1∼제3링크로 이루어진 링크기구가 다리부로 되어 착석부(1)에 앉는 사람등의 하중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손잡이(18)를 용수철(19)에 역행해 들어올리면 톱니바퀴(17)가 톱니바퀴(6b)로부터 떨어지고 톱니바퀴(6a,6b)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해진다. 따라서 손잡이(18)를 들어올린채로 착석부(1)를 손으로 들어 상하로 움직이게 하면 상기 제1∼제3링크가 자유롭게 신축하는 한편 톱니바퀴(6a,6b)가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이 톱니바퀴(17)를 해제해서 착석부(1)를 최하단 위치까지 이동시켜 손잡이(18)로부터 손을 뗀 상태, 즉 중간부(3)가 가장 짧아진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해서 착석부(1)를 임의의 높이위치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손잡이(18)를 떼면 톱니바퀴(17)가 톱니바퀴(6a,6b)의 양쪽과 맞물리고 그 동작이 정지되어 임의의 높이에서 착석부(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톱니바퀴(6a)와 (6b) 및 톱니바퀴(15a)와 (15b)를 함께 맞물리게 하고 있어 제1∼제3링크가 핀(10)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항상 선대칭이 되어 그 동작이 안정된다. 이에 대해 톱니바퀴(6a,6b) 혹은 톱니바퀴(15a,15b)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맞물리게 하지 않으면 착석부(1)를 가장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렸을때 링크기구가 직선상이 되고 중간부(3)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구부려져 불안정하게 되는 불합리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톱니바퀴(17) 및 레버(16)가 톱니바퀴(6a,6b)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톱니바퀴 정지기구는 상기 톱니바퀴(6a,6b)에 함께 맞물리는 것이라면 무엇이라도 좋고 예를들면 래치나 단순한 쇄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3)를 신축자유로운 주름상자로 덮으면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한 지지대가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제4도∼제6도에 의거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의자에 적용한 것으로 사람과 물품을 얹어놓기 위한 착석부(101)와, 캐스터(102a)를 구비함으로써 적당한 위치로 이동가능한 기틀부(102)와, 상기 착석부(101)와 기틀부(102)를 연결하는 중간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중간부(10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착석부(101)의 하면에는 사각형상의 상부틀(104)이 고정되고 이 상부틀(104)내에 수평으로 설치된 평행축(105a,105b)에는 한쌍의 톱니바퀴(106a,106b)가 키부재(105c,105d)에 의해 회전불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톱니바퀴(106a,106b)는 이 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려 있지만 반드시 맞물려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평행축(105a,105b)에 일체로 설치된 좌우 2조의 제1링크(107a,107b)의 자유단에는 샤프트(108a,108b)를 지나 좌우 2조의 제2링크(109a,109b)는 중앙에서 샤프트(10)에 의해 각각 별도로 X자상으로 연결되고 또한 그 하단에 있어서 샤프트(111a,111b)를 지나 좌우 2조의 제3링크(112a,112b)에 각각 별도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링크(112a,112b)는 상기 기틀부(102)에 수평한 평행축(114a,114b)에 회전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평행축(114a,114b)은 상기 기틀부(102)상에서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평행축(114a,114b)에는 키부재(114c,114d)를 통해 해당 평행축(114a,114b)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고 그 축심방향으로 접동 자유롭게 톱니바퀴(115a,11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톱니바퀴(115da,115b)는 사각형상의 하부틀(113)내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바퀴(115a,115b)가 맞물려 있지만 이러한 맞물림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톱니바퀴(115a,115b)를 생략해도 좋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평행축(105a,105b)의 한쪽(105a)에 레버(116)가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레버(116)에는 한쪽 톱니바퀴(106a)와 항상 맞물림과 동시에 다른쪽 톱니바퀴(106b)와 탈착자유롭게 맞물리는 톱니바퀴(117)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톱니바퀴(117)는 제4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톱니바퀴(106a,106b)의 양쪽과 맞물려 있고 레버(116)를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톱니바퀴(106b)로부터 뗄 수 있다. 상기 레버(116)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11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손잡이(118)와 상부틀(104)과의 사이에는 레버(116)를 톱니바퀴(117)와 톱니바퀴(106b)를 맞물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용수철(1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101)의 하면측에는 레버(120)가 요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레버(120)에는 체결조각(121)이 요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릭도 이 체결조각(121)의 자유단부(121a)가 상기 착석부(101)의 하면과 상기 레버(116)의 상면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레버(116)의 요동이 저지되어 톱니바퀴(117)의 톱니바퀴(106b)로부터의 예상치 못한 이탈이 저지되고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120)는 상기 체결조각(121)의 자유단부(121a)를 착석부(101)와 레버(116)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용수철(122)에 의해 항상 인장력이 가해져 있다. 이러한 인장력에 대항해서 상기 레버(120)를 화살표 Z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착석부(101)와 레버(116)와의 사이에서 체결조각(121)의 자유단부(121a)가 뽑혀져 상기 톱니바퀴(106b)로부터 상기 톱니바퀴(17)의 탈착동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제3링크(107a,107b,109a,109b,112a,112b)가 본 발명의 링크기구를 톱니바퀴(106,106b)가 본 발명의 톱니바퀴를, 레버(116), 톱니바퀴(117)가 본 발명의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또한 레버(120), 체결조작(121)이 본 발명의 체결기구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링크기구, 톱니바퀴, 톱니바퀴 정지기구, 체결기구에 의해 중간부(3)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바퀴(117)가 톱니바퀴(106a,106b)의 양쪽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착석부(101)에 가해진 하방향의 하중에 의해 톱니바퀴(106a,106b)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톱니바퀴(117)와 맞물려 회전할 수 없고 도시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톱니바퀴(106a,106b)와 일체인 제1링크(107a,107b), 또한 이 제1링크(107a,107b)에 연결된 제2링크(109a,109b), 제3링크(112,112b)도 고정되고 이 제1∼제3링크로 이루어진 링크기구가 디룹로 되어 착석부(101)에 앉은 사람등의 하중이 지지된다.
이 경우 체결기구가 상기 톱니바퀴(117)의 톱니바퀴(106b)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기 때문에 그 사용시 안정성은 극히 높다.
다음으로 레버(120), 손잡이(118)를 용수철(122,119)에 역행해서 차례로 들어올리면 톱니바퀴(117)가 톱니바퀴(106b)로부터 이탈되고 톱니바퀴(106,106b)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18)를 들어올린채로(이때 레버(120)의 동작은 체결조각(121)의 자유단부(121)가 레버(116)와 걸어맞춰져 제한되어 있다.) 착석부(101)를 손으로 집어 상하로 움직이게 하면 상기 제1∼제3링크가 자유롭게 신축하는 한편 톱니바퀴(106a,106b)가 자유롭게 회전한다. 제6도는 상기와 같이 톱니바퀴(117)를 해제해 착석부(101)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손잡이(118)로부터 손을 놓은 상태 즉 중간부(103)가 짧게 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때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틀(113)을 좌우방향중 한쪽으로 비켜놓고(제5도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방향), 상기 톱니바퀴(115a,115b)와 상기 톱니바퀴(106a,106b) 및 상부틀(104)과의 접축을 회피함으로서 극히 효과적으로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110)는 상부틀(104)의 하면측에 형성된 오목부(104a)(제4도 참조)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해서 착석부(101)를 임의의 높이 위치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손잡이(118)를 떼면 톱니바퀴(117)가 톱니바퀴(106a,106b)의 양쪽과 맞물리고 그 동작이 정지되어 임의의 높이로 착석부(101)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조각(121)의 자유단부(121a)가 착석부(101)와 레버(116)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톱니바퀴 정지기구가 잠겨진다.
또한, 기틀부(102)가 캐스터(102a)를 구비함으로서 그 이동은 극히 용이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톱니바퀴(106a,106b) 및 톱니바퀴(115a,115b)를 함께 맞물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1∼제3링크가 항상 샤프트(110)를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선대칭이 되고 그 동작이 안정된다. 이에 대해 톱니바퀴(106a,106b) 또는 톱니바퀴(115a,11b)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맞물리게 하지 않으면 착석부(101)를 가장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렸을때 링크기구가 직선상이 되고 중간부9103)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구부러진 불안정하게 되는 불합리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톱니바퀴(117) 및 레버(116)가 톱니바퀴(106a,106b)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톱니바퀴 정지기구는 상기 톱니바퀴(106a,106b)에 맞물린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래치가 단순한 쐐기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간부를 신축자유로운 주름상자등으로 덮으면 디자인면에서도 뛰어난 지지대가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위험성이 작은 용도로 쓸 경우 상기 체결기구를 생략해 기구의 간소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있어서는 그 지지중량의 크기에 따라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각 링크의 조합수를 변경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의자등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다리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구름베어링부가 없고 견고한 톱니바퀴 링크기구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임의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내구성이 높은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바닥에 놓이는 기틀부 : 상기 기틀부상에 설치되는 물품을 얹어놓기 위한 착석부 : 상기 기틀부의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에 있어서,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 :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 :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기틀부상의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복수조의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2. 바닥에 놓는 기틀부와, 물품을 얹어놓기 위한 상기 기툴부상에 설치되는 착석부와, 상기 기틀부와 착석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에 있어서,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자유로운 한쌍의 톱니바퀴 :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의 회전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톱니바퀴 정지기구 :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와 걸어맞추고 해당 톱니바퀴 정지기구를 적절하게 잠그는 체결기구 및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기틀부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에 의한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 정지에 따라 신축동작이 정지되는 복수의 링크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바퀴 정지기구가 체결톱니바퀴와 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톱니바퀴는 상기 한쌍의 톱니바퀴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 그 둘레를 돌며, 다른쪽 톱니바퀴와는 이탈이 자유로우며, 상기 레버는 상기 체결톱니바퀴를 상기 한쪽 톱니바퀴의 둘레로 이동시켜 다른쪽 톱니바퀴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KR1019930003811A 1992-03-13 1993-03-13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KR960010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5347 1992-03-13
JP4055347A JPH0736780B2 (ja) 1992-03-13 1992-03-13 支持台
JP92-201309 1992-07-28
JP4201309A JPH0736781B2 (ja) 1992-07-28 1992-07-28 支持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53A KR930019353A (ko) 1993-10-18
KR960010446B1 true KR960010446B1 (ko) 1996-08-01

Family

ID=2639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11A KR960010446B1 (ko) 1992-03-13 1993-03-13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02737A (ko)
EP (1) EP0560256B1 (ko)
KR (1) KR960010446B1 (ko)
AT (1) ATE142859T1 (ko)
AU (1) AU648460B2 (ko)
CA (1) CA2092654C (ko)
DE (1) DE69304743T2 (ko)
ES (1) ES209215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824A (zh) * 2018-12-06 2019-06-07 湖北赛尔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位置的升降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657C2 (sv) * 1994-10-06 1995-12-04 Kinnarps Ab Viktbalanserande stativarrangemang
EP0760350A1 (en) * 1995-09-01 1997-03-05 Anthony Phillip Dunks Lifting device
US6364265B1 (en) 1999-06-07 2002-04-02 Accuride International, Inc. Extendable swivel mounting bracket
US6425459B1 (en) * 2001-05-18 2002-07-30 Snorkel International, Inc. Aerial work platform apparatus with anti-tipping supplement
CN2482877Y (zh) * 2001-06-19 2002-03-27 胡柱根 采用棘轮机构定位的桌台可升降式茶几
US7222832B2 (en) 2003-11-24 2007-05-29 Welker Orville V Support mechanism
CA2627812A1 (en) * 2007-04-02 2008-10-02 Jean-Guy Larouche Adjustable-height sawhorse
US7637468B2 (en) * 2008-01-06 2009-12-29 Ming-Hsing Huang Adjustable notebook computer support
US8308151B2 (en) * 2008-11-03 2012-11-13 Comau Inc. Elevator assembly for robotic positioning of a workpiece
ITAN20110045A1 (it) * 2011-04-05 2012-10-06 Bespeco Professional S R L Cavalletto di supporto a gambe incrociate.
US8978495B2 (en) * 2012-01-09 2015-03-17 First Dome Corporation Synchronous movement-aid device for slide module
US8967057B2 (en) * 2012-11-02 2015-03-03 South Essex Fabricating Inc. Vertically adjustable platform system
US9945134B2 (en) * 2015-07-28 2018-04-17 Byeong Ki GO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CN105819367B (zh) * 2016-05-30 2018-08-17 湖北天华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自行小车输送机剪式升降装置
US10085550B1 (en) * 2017-08-07 2018-10-02 Chen-Source Inc. Single lever-operated height-adjustable table
CN107470810B (zh) * 2017-08-10 2019-01-11 沭阳三石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作业设备
CN110668350A (zh) * 2019-09-17 2020-01-10 句容中圣板带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卸卷小车升降装置
CN115259039B (zh) * 2022-08-22 2023-03-10 武汉市良山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动剪式升降平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210A (en) * 1903-02-20 1903-12-08 Henry S Waite Telephone-bracket.
FR657637A (fr) * 1928-07-18 1929-05-24 Cric de levage pour automobiles ou autres applications
US1846607A (en) * 1931-07-22 1932-02-23 Eldridge H Nicholas Folding stool
FR1288131A (fr) * 1961-02-07 1962-03-24 Table à hauteur variable, selon le poids qu'elle supporte
US4867277A (en) * 1988-09-29 1989-09-19 Sloan William C Portable lifting device and c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824A (zh) * 2018-12-06 2019-06-07 湖北赛尔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位置的升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02737A (en) 1995-04-04
DE69304743T2 (de) 1997-04-03
KR930019353A (ko) 1993-10-18
EP0560256A1 (en) 1993-09-15
CA2092654A1 (en) 1993-09-14
AU3518893A (en) 1993-09-23
CA2092654C (en) 1996-11-26
AU648460B2 (en) 1994-04-21
EP0560256B1 (en) 1996-09-18
ATE142859T1 (de) 1996-10-15
DE69304743D1 (de) 1996-10-24
ES2092154T3 (es) 199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446B1 (ko)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지대
US2377649A (en) Convertible chair
US213512A (en) Improvement in adjustable ottomans
CN101209550A (zh) 可变形的爬行器
JP6750902B2 (ja) 車椅子
WO2018020995A1 (ja) ベッド装置
US3329104A (en) Folding table of adjustable height
US4684171A (en) Folding wheelchair
KR101869352B1 (ko)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US1078894A (en) Surgeon's operating-table.
JP2511640B2 (ja) 支持台
JP3213246U (ja) 介護用車椅子
JP4923307B1 (ja) 担架兼用長椅子
US3820190A (en) Steerable assembly for wheelchairs and the like
JPH0736781B2 (ja) 支持台
US1018723A (en) Appliance for handling helpless persons.
JPH05253031A (ja) 支持台
JP6552037B2 (ja) ストレッチャー等におけるボトム機構
JP4057272B2 (ja) 家具システム
US377806A (en) Combination office-chair and operating-table
US1179907A (en) Combination invalid bed and chair.
JPH0628044Y2 (ja) 机兼用の連結椅子
JPH08103333A (ja) テーブル
US1192746A (en) Desk.
JPS5832693Y2 (ja) 高さ・傾斜角調節機構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