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352B1 -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352B1
KR101869352B1 KR1020150156666A KR20150156666A KR101869352B1 KR 101869352 B1 KR101869352 B1 KR 101869352B1 KR 1020150156666 A KR1020150156666 A KR 1020150156666A KR 20150156666 A KR20150156666 A KR 20150156666A KR 101869352 B1 KR101869352 B1 KR 10186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height
link unit
main body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15A (ko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 힌지텍 filed Critical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to KR102015015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3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높이조절하여 본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 구조를 가지고 상부 하중에 의한 제품의 무게 중심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 및 변화를 통한 제품의 다양성을 향상시킨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판과 본체 그리고, 상판을 밀어올리거나 눌러 높이를 조절할 때 이를 지지하고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링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높이조절링크체는, 상판과 본체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유닛과, 상판의 하중을 상쇄시키는 유지부와, 외력에도 상판이 위치에서 고정되게 하는 락킹부와 중심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Height adjustment-Open and Removable center type table}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높이조절하여 본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 구조를 가지고 상부 하중에 의한 제품의 무게 중심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 및 변화를 통한 제품의 다양성을 향상시킨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거실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차 많아지고 그에 따라 거실의 편안한 쇼파에 앉아서 텔레비젼을 시청하거나 다른 용무를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더구나 홈오토메이션(Homr Automation)의 발전으로 인해 거실에서 LCD 화면을 통하여 TV시청, 영화감상, 인터넷, 게임 등을 즐길 수 있으므로 거실에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조작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노트북이나 태블릿의 보급이 많아지면서 거실의 쇼파에서 이를 이용해 급한 업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은 그 높이가 낮아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많이 굽히거나 쇼파에서 내려와서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런가 하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인 경우에는 보다 안락한 거실의 쇼파에 앉아서 식사를 비롯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테이블의 높이가 너무 낮아서 큰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판으로 구성된 테이블은 상판이 본체 일측에 고정되어 회동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판을 열어 젖혀 사용하여야 했으며, 사용중 외부 충격에 의한 상판의 갑작스런 닫힘이 발생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상판이 회동 개방되어 본체의 내부공간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판을 사용할 수 없고 본체의 내부공간 활용과 상판의 사용은 별개의 행위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높이조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알려진 기술로 (특허문헌 0001)의 공개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0477호 "거실용 테이블" 이 있으나, (특허문헌 0001)은 일반적인 테이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높이조절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가 구성된다면 본체의 내부공간과 상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판은 그 용도와 사용환경에 따라 목재, 금속재, 석재 또는 복합재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대리석과 같은 석재나 금속재의 경우 상판의 무게가 무거워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려웠으며, 구조에 따라 오픈되더라도 석재 자체의 무게에 의한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한 측으로 쏠려 제품이 넘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테이블의 상판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높이조절하고 본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상부 하중에 의한 제품의 넘어짐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 및 높이 조절 기능이 유연한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477호(2008.06.0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조절링크체를 이용해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상판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고 동시에 본체가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높이 조절과 동시에 상판을 포함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판의 재질과 작업환경에 따른 다양한 하중에도 테이블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단조로운 구조를 탈피하면서도 공간 활용 및 변화를 통한 제품의 다양성을 향상시킨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은, 상판과,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판과 본체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링크체로 구성되는데, 높이조절링크체는 링크유닛과 유지부 및 중심이동부 그리고 필요에 따라 락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크유닛은 상판과 본체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판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위치를 조절하고, 유지부는 본체를 기준으로 상판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킨다.
그리고, 중심이동부는 링크유닛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중심을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 중심이동부는 가이드레일과 기어 트레인 및 레일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가이드레일은, 상단면을 따라 랙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 일측에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기어트레인은, 링크유닛의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랙과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가진다.
레일블록은, 링크유닛의 힌지축과 기어 트레인이 내부에 축 고정되어 위치되고,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링크유닛의 회동 각도 증감에 따라 기어 트레인의 기어 맞물림 배열에 의해 종동기어의 회전수는 증가되고, 레일블록은 종동기어와 랙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링크유닛은, 상판과 중심이동부에 형성된 전방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링크바와, 전방 링크바와 간격을 가지면서 상판과 중심이동부에 형성된 후방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링크바로 구성된다.
이때, 기어 트레인의 구동기어는, 본체측의 전방 힌지축 또는 후방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어 트레인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간기어와 종동기어는 기어이 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평기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더블 평 기어이다.
한편, 높이조절링크체는, 유지부 또는 링크유닛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제어하여 상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유지부는, 일 실시예로, 일측이 중심이동부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판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유지부는,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의 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유닛의 0°~ 90° 회동시 상판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1 인장스프링과, 일측이 중심이동부의 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판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유닛의 90°이상의 회동시 상판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2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0°~ 90°회동시 제2 인장스프링(120b)은 타측의 힌지축이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고,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제1 인장스프링은 타측의 힌지축이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중심이동부에 연결된 전방 링크바는 단부가 연장 절곡되어 연장바를 더 형성하고, 유지부는, 일측이 연장바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중심이동부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링크유닛의 회동 운동시 연장바를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한편, 유지부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은 일단에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심이동부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된 유지부의 축은, 상판이 최대 높이 일때의 연장바 단부 높이 위치(h1)와, 상기 상판이 최저 높이일 때의 연장바 단부 높이 위치(hn)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링크유닛은 단부에 기어이를 형성하고, 락킹부는, 기어이에 대응되는 끼움돌기를 가지는 락킹부재로 구성되어, 끼움돌기와 기어이의 맞물림 또는 이격됨에 따라 링크유닛의 잠금 및 작동 가능상태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은, 높이조절링크체를 이용해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상판의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본체가 상판의 높이조절에 따라 개방되어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높이 조절시 동시에 상판을 포함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 중심을 이동하여 상판의 재질과 작업환경에 따른 다양한 하중에도 중심이 한측으로 쏠려 테이블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 및 편이성이 증대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단조로운 구조를 탈피하면서도 공간 활용 및 변화를 통한 제품의 다양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a)(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의 중심이동부 에 의한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중심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의 유지부에 의한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에 적용된 높이조절링크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개략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의 락킹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도 2에 따른 중심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추가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상태에 따른 본 발명의 유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이동형 테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이동형 테이블(1)은, 소정 크기의 판형상을 가지는 상판(10)과, 다양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상판(10)과 본체(20)는 서로 이격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이에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조절 하고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링크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는 크게 링크유닛(110)과 유지부(120) 그리고 중심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판(10)의 높이조절된 위치를 고정시켜 상판(10)이나 본체(20)를 활용한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락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링크유닛(110)은,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10)과 본체(20)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링크유닛(110)의 힌지축은 상판(10)과 본체(2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상판(10)이나 본체(20)에 형성된 다른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12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유닛(110)에 의해 상판(1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동 된 후, 회동을 위한 외력이 제거된 후에도 상기 상판(10)이 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상판(10)과 본체(20) 또는 상기 링크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상판(10)과 본체(20) 또는 링크유닛(110)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이에 형성된 다른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10)은 그 용도와 사용환경에 따라 목재, 금속재, 석재 또는 이들을 병합한 복합재질 등이 사용된다.
이때, 대리석 등의 석재나 금속재와 같이 상판의 무게가 무거운 재질이 사용될 경우 유지부(12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웠으며, 높이 조절되더라도 상판(10)을 구성하는 재질 자체와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른 무게 하중에 의해 중심이 한 측으로 쏠려 제품이 넘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링크유닛(110)과 유지부(120)에 의해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동 될 때 무게 중심을 최초 위치에서 본체(20)의 중심측 또는 그 이상으로 이동하여 전체 제품에 대하여 무게 중심이 한 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본체(2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측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회동 운동되는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체적으로 상부 하중에 대한 제품 자체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킨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락킹부(150)는, 상기 유지부(120) 또는 링크유닛(1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상태 즉, 작동 가능상태를 제어하여 상판(10)이 높이조절된 위치의 상태에서 또다른 외력, 예들 들어, 상판(10)에 다른 물품이 놓이거나 작업이 이루어져 무게 하중이 증가할 경우에도 현 상태의 위치에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상판(10)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 사용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상판(10)을 본체(20)에서 이격되게 밀어올리면 링크유닛(110)이 상판(10)과 연결되어 회동되고 사용자는 상기 링크유닛(1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상판(10)의 높이조절에 따른 이동에 의해 개방된 본체(20)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판(10)이 회동되어 높이 조절됨과 동시에 상판(10)을 포함한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무게 중심이 본체(20) 일측에 쏠리지 않고 본체(20)의 중심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안정성이 증대되고, 상기 상판(10)의 재질과 무게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도 5(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의 높이조절링크체(1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의 링크유닛(110)은, 상판(10)과 본체(20)의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전방 힌지축(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링크바(110a)와, 상기 전방 링크바(110a)와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상판(10)과 본체(20)의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후방 힌지축(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링크바(11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 링크바(110a)와 후방 링크바(110b)는 필요에 따라 힌지축(a,b)을 가지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판(10)과 본체(20)의 재질과 구조에 따라 별도의 브래킷 부재를 이용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전방 링크바(110a) 또는 후방 링크바(110b)는 이를 연결하면서 일체형으로 고정된 지지바(110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110c)는 후방 링크바(110b)를 연결하도록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링크유닛(110)의 구성에 따라 상판(10)을 사용자가 들어올리면 링크유닛(110)의 링크 회동 운동에 따라 상판(10)은 본체(20)에서 이격되어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본체(20)는 개방된다.
한편,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유닛(110)과 유지부(120)에 의해 회동 시 상판(10)의 재질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제품의 중심축이 한 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링크유닛(110)의 회동시 회동 운동되는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을 포함한 상부 전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무게 중심을 한 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본체의 중심측으로 이동시키는데, lm 가이드나 랙-피니언 구조와 같이 발생되는 운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하여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심이동부(130)는, 랙과 기어를 이용한 기어 맞물림에 의한 구조가 적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30a)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이 힌지 고정되고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레일블록(1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블록(130b)은 링크유닛(110)의 전방 링크바(110a)와 후방 링크바(110b)의 본체 측 회전축(a, b)이 일체로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도 2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판(1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판을 들어올리면 링크 유닛(110)의 회동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위치 이동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10)이 최대 높이에 위치할 경우 상기 레일블록(130b)은 그 위치가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C에서 C'로 위치이동되며 테이블(1)의 무게 중심이 본체(20) 중심 측으로 이동하여 안정적인 테이블 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3과 도 5(a)(b)를 참조하면, 이러한 중심이동부(130)에 의한 제품 자체의 상부 무게 중심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블록(130b) 내부에는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 변화를 운동력으로 변환시켜 레일블록(130b)이 가이드레일(130a)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레일블록(130b)은 내부에 링크유닛(110)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기어 트레인(13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30a)은 직선의 바 형상으로 본체(20) 내부 일측에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는데, 상단면을 따라 랙(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은 본체(20)에 설치된 링크유닛(110)의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이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131)와, 상기 랙(134)과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블록(130b)은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이 내부에 축 고정되어 위치되고, 기어 트레인(130c)의 작동 구조에 따라 가이드레일(130a)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블록(130b)은 사방의 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30a)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이동시 상부 하중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심이동부(130)는, 높이 조절에 의한 본체(20) 측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 증감에 따라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의 기어 맞물림 배열에 의해 종동기어(133)의 회전수가 증가되고, 상기 종동기어(133)의 회전축과 일체형으로 고정된 레일블록(130b)은 종동기어(133)와 랙(134)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131)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20) 측의 전방 힌지축(a) 또는 후방 힌지축(b)을 회전축으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구동기어(131)는 본체 측의 후방 힌지축(b)과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도시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어 트레인(gear train, 130c)은 다수개의 기어가 맞물림 배열되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기어(131)와 종동기어(133)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기어(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어 트레인(130c)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기어(131)는 일반적 평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기어(132)와 종동기어(133)는 기어이 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평기어가 동일축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더블 평 기어로 구성된다.
즉, 도 3과 도 5(a)(b)를 참조하면, 중간기어(132)와 종동기어(133)는 기어이 수가 적은 작은 기어(132a, 133a)와 기어이 수가 많은 큰 기어(132b, 133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어 배열을 가지는 기어 트레인(130c)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구동기어(131)가 링크유닛(110)의 회동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 증감에 따라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기어(131)는 중간기어(132)의 작은 기어(132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작은 기어(132a)는 구동기어(131) 보다 적은 기어이를 가져 맞물림에 따라 구동기어(131) 보다 회전수는 증대한다.
그리고, 상기 작은 기어(132a)와 동일 축의 중간기어(132)의 큰 기어(132b)는 작은 기어(132a)의 회전에 따라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133)의 작은 기어(13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종동기어(133)의 작은 기어(133a)는 중간기어(132)의 큰 기어(132b) 보다 적은 기어이를 가져 맞물림에 따라 중간기어(132) 보다 회전수는 증대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133)의 큰 기어(133b)는 최종적으로 가이드레일(130a)의 랙(134)와 맞물려 그 회전력을 전달하고, 레일블록(130b)은 종동기어(133)의 큰 기어(133b)와 랙(134)의 맞물림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된 기어 트레인(130c)의 종동기어(133)의 회전수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중간 기어(132)와 기어이 비율에 따라 조절된다.
한편, 상기 유지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유닛(110) 회동 후의 상판(10)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유지부(120)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인장스프링이나 가스스프링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부(120)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재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지부(120)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을 이용한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레일블록(130b) 전방 일측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10)의 후방 일측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10)을 최대 높이 위치에서 높이 조절을 위해 외력을 이용해 눌러 높이 조절을 할 경우, 상기 링크 유닛(110)의 힌지 회동에 의해 수평이 유지되면서 높이 조절이 되고, 그 변위에 따라 상기 유지부(120)의 인장스프링은 상기 상판(10)을 원래대로 돌려놓으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력은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켜 외력이 제거된 후에도 상판(10)이 높이 조절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의 (a)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이 테이블(1) 인 바, 상판이 높이 조절될 때 상기 인장스프링이 노출되어 외관상 보기 안좋은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를 커버할 수 있는 별도의 커버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인장스프링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 즉 본체(20) 일측에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체(20)에 연결된 전방 링크바(110a)는 단부가 연장되고 절곡된 연장바(110a-1)를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120)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은 상기 연장바(110a-1)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지부(120)의 인장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연장바(110a-1)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레일블록(130b)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20)의 회동 운동시 상기 연장바(110a-1)을 잡아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블록(130b)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된 유지부(120)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의 축(도3b, c)은, 탄성력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이 최대 높이 일 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1)와, 상기 상판(10)이 최저 높이일 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n)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판(10)은 그 하중이 재질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하중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상기 하중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에 길이조절부재(120-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120-1)는 나사산 조임이나 별도의 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상판(10)의 하중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인장스프링의 내구성변화에 따른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락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락킹부(140)는, 유지부(120) 또는 링크유닛(110)의 동작 가능한 해제상태와 동작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판(10)이 외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도 현재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유지부(120) 또는 링크유닛(1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락킹부(15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 실시예로, 상기 락킹부(150)는 상기 링크유닛(110)의 단부에 형성된 기어이(132)와 맞물림에 의해 고정력을 가진다.
상기 링크유닛(110) 즉, 전방 링크바(110a) 또는 후방 링크바(110a)의 일측 단부에는 기어이(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140)는 상기 기어이(112)에 대응되는 끼움돌기(140a)를 가지는 락킹부재(141)를 상기 상판 브래킷(10a) 일측에 설치하는데, 상기 락킹부재(14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140a)와 상기 기어이(112)가 맞물리거나 이격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해제상태와 잠금상태를 결정하고 회동운동을 제한하여 상판(10)이 현재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상판 브래킷(10a)에 슬라이드공(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141)는, 상판 브래킷(10a)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드공(c)을 관통해 돌출된 진퇴레버(141a)와, 상기 진퇴레버(141a)와 일체형으로 단부에 상기 끼움돌기(140a)가 형성된 이동바(141b)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바(141b)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락킹부재(141)는, 상기 진퇴레버(141a)의 슬라이드공(c)을 따른 진퇴운동에 따라 상기 이동바(141b)는 동일하게 진퇴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어이(112)와 끼움돌기(140a)는 맞물리거나 이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140)는 링크유닛(110)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결정하여 동작 가능여부를 결정하고, 잠금상태시 상기 링크유닛(11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여 상판(10)이 높이 조절된 현 위치에서 외력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10)이 높이조절된 현재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의 높이조절링크체(100)에 의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은, 상판(10)과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20) 그리고, 상기 상판(10)을 밀어올리거나 눌러 높이를 조절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위치를 조절하고 상부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높이조절링크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1)은 상판(10)이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때, 링크유닛(110)의 회동각도는 0°의 상태이며, 락킹부(140)는 잠금상태로 사용자가 힘을 가해도 상판(10)이 링크유닛(110)과 유지부(120)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도 2의 (a)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은 사용자에 의해 상판(10)이 본체(20)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높이조절 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 위해, 먼저 사용자는 상기 락킹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판(10)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판(10)을 들어올리는데, 이때, 링크유닛(110)은 0°~ 90°의 각도에서 회동되는 상태로 상기 링크유닛(110)의 길이만큼 자유롭게 상판(10)의 높이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중심이동부(130)는,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라 기어 트레인(130c)의 기어 배열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링크유닛(110)과 일체형의 레일블록(130b)이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무게 중심을 본체(20) 중심측으로 이동시켜 테이블(1)의 무게 중심이 한 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판(10)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들어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상판(10)의 무게 하중에 의한 누르는 힘과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는 상기 유지부(120)에 의해 상쇄시키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도 상기 상판은 움직이지 않고 현재의 높이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판(10)의 현재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락킹부(140)를 잠금상태로 고정시켜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링크유닛(110)가 외부 힘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한다.
더불어, 상기 상판(10)이 본체(20)로 부터 이격되어 높이조절 됨에 따라 상기 본체(20)는 개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b), 도 2의 (b) 및 도 4의 (b)와 5(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은 사용자에 의해 상판(10)은 회동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링크유닛(110)에 지지되며 상기 링크유닛(110)의 길이에 의해 상기 상판(10)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최대 높이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유지부(120)는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상판(10)의 하중은 링크유닛(110)에 의해 지지되고, 락킹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1)은 높이조절링크체(100)의 구조에 따라, 링크유닛(110)이 90°를 넘어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상판(10)을 최대 높이의 위치에서 최초 상태의 반대상태로 전방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링크유닛(110)은 90°를 넘어 그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는데, 링크유닛(110)의 길이만큼 재차 사용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판(10)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중심이동부(130)는,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의 증가에 따라 기어 트레인(130c)의 기어 배열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링크유닛(110)과 일체형의 레일블록(130b)이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도 2의 (b)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이동(C' -> C")하게 되고, 무게 중심을 본체(20) 중심측에서 더 이동시켜 테이블(1)의 무게 중심이 한 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판(10)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들어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상판(10)의 무게 하중에 의한 누르는 힘과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는 상기 유지부(120)에 의해 상쇄시키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도 상기 상판은 움직이지 않고 현재의 높이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지부(120)는, 일 실시예로 도 8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지부(120)는 링크유닛(110)의 회동각도에 따라 0°~ 90° 회동을 담당하는 제1 인장스프링(120a)과, 90°이상의 회동을 담당하는 제2 인장스프링(120b)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인장스프링(120a)은,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레일블록(130b) 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1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0°~ 90°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인장스프링(120b)은,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킨다.
한편, 링크유닛(110)의 0°~ 90°회동시 제2 인장스프링(120b)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고,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제1 인장스프링(120a)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어, 링크유닛(110)의 회동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가 90°이상이 될 때, 상술된 상기 도 4의 (b)에서와 같이 형성된 유지부(120)는 연장바(110a-1)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가 되며, 상기 유지부(120)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연장바(110a-1)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레일블록(130b)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20)의 회동 운동시 상기 연장바(110a-1)을 잡아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판(10)의 현재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락킹부(140)를 잠금상태로 고정시켜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링크유닛(110)가 외부 힘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
10 : 상판 20 : 본체
100 : 높이조절링크체 110 : 링크유닛
120 : 유지부 130 : 중심이동부
130a : 가이드레일 130b : 레일블록
130c : 기어 트레인 131 : 구동기어
132 : 중간기어 133 : 종동기어
134 : 랙 140 : 락킹부
110b : 후방 링크바 141 : 락킹부재
a : 전방 힌지축 b : 후방 힌지축

Claims (15)

  1. 상판(10)과,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20)와, 상기 상판(10)과 본체(20)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링크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는,
    상기 상판(10)과 본체(20)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링크유닛(110)과;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유지부(120)와; 상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심이동부(130)는,
    상단면을 따라 랙(13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 일측에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 가이드레일(130a)과; 상기 링크유닛(110)의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131)와, 상기 랙(134)과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133)를 가지는 기어 트레인(130c)과; 상기 링크유닛(110)의 힌지축과 기어 트레인(130c)이 내부에 축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30a)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레일블록(1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각도 증감에 따라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의 기어 맞물림 배열에 의해 종동기어(133)의 회전수는 증가되고, 상기 레일블록(130b)은 종동기어(133)와 랙(134)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레일(130a)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110)은,
    상기 상판(10)과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전방 힌지축(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링크바(110a)와,
    상기 전방 링크바(110a)와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상판(10)과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후방 힌지축(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링크바(11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의 구동기어(131)는,
    상기 본체(20) 측의 전방 힌지축(a) 또는 후방 힌지축(b)을 회전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130c)은, 구동기어(131)와 종동기어(133)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기어(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기어(132)와 종동기어(133)는 기어이 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평기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더블 평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는,
    상기 유지부(120) 또는 링크유닛(1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상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1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1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0°~ 90°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1 인장스프링(120a)과,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2 인장스프링(1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0°~ 90°회동시 제2 인장스프링(120b)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 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고,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제1 인장스프링(120a)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이동부(130)에 연결된 전방 링크바(110a)는 단부가 연장 절곡되어 연장바(110a-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연장바(110a-1)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운동시 상기 연장바(110a-1)를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120)를 구성하는 인장스프링은 일단에 길이조절부재(120a-1)를 포함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된 유지부(120)의 축은,
    상기 상판(10)이 최대 높이 일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1)와, 상기 상판(10)이 최저 높이일 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n)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110)은 단부에 기어이(112)를 형성하고,
    상기 락킹부(140)는,
    상기 기어이(112)에 대응되는 끼움돌기(140a)를 가지는 락킹부재(141)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기(140a)와 기어이(112)의 맞물림 또는 이격됨에 따라 링크유닛(110)의 잠금 및 작동 가능상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3. 상판(10)과,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20)와, 상기 상판(10)과 본체(20)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링크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는,
    상기 상판(10)과 본체(20)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링크유닛(110)과;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유지부(120)와; 상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1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0°~ 90°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1 인장스프링(120a)과; 일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의 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제2 인장스프링(120b)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0°~ 90°회동시 제2 인장스프링(120b)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 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고, 90°이상의 회동시 상기 제1 인장스프링(120a)은 일측의 힌지축이 중심이동부(13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장공(A)을 따라 자유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4. 상판(10)과,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20)와, 상기 상판(10)과 본체(20)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링크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링크체(100)는,
    상기 상판(10)과 본체(20)를 연결하면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판(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링크유닛(110)과; 상기 본체(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10)의 높이 조절 위치에 따른 모멘트 변위를 상쇄시키는 유지부(120)와; 상기 링크유닛(110)의 본체 측 힌지축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본체 측 링크유닛(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하중에 대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심이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유닛(110)은,
    상기 상판(10)과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전방 힌지축(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 링크바(110a)와; 상기 전방 링크바(110a)와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상판(10)과 중심이동부(130)에 형성된 후방 힌지축(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 링크바(110b)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이동부(130)에 연결된 전방 링크바(110a)는 단부가 연장 절곡되어 연장바(110a-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유지부(120)는,
    일측이 상기 연장바(110a-1)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링크유닛(110)의 회동 운동시 상기 연장바(110a-1)를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이동부(130)의 후방 일측에 힌지 고정된 유지부(120)의 축은,
    상기 상판(10)이 최대 높이 일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1)와, 상기 상판(10)이 최저 높이일 때의 연장바(110a-1) 단부 높이 위치(hn)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KR1020150156666A 2015-11-09 2015-11-09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KR10186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66A KR101869352B1 (ko) 2015-11-09 2015-11-09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66A KR101869352B1 (ko) 2015-11-09 2015-11-09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15A KR20170054015A (ko) 2017-05-17
KR101869352B1 true KR101869352B1 (ko) 2018-06-20

Family

ID=5904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66A KR101869352B1 (ko) 2015-11-09 2015-11-09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98A1 (ko) * 2022-10-07 2024-04-11 주식회사 세라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08Y1 (ko) * 2017-09-29 2019-02-13 주식회사 스튜디오이엘 애완동물 놀이용 미로 구조를 갖는 테이블
CN112932532B (zh) * 2021-01-25 2022-09-13 四川省人民医院 一种心脏内治疗和诊断超声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717C (de) * 1920-04-30 Alfred Mehlhase Laengsschneider ohne Teilkamm mit Vorrichtung zum getrennten Aufwickeln der geschnittenen Papierstreifen
DE3207177A1 (de) * 1982-02-27 1983-09-15 Veyhl-Produktion KG, 7266 Neuweiler Tisch mit einer verstellbaren tischplatte
KR200339136Y1 (ko) * 2003-10-30 2004-01-16 주식회사 리바트 상호 다른 높이에서 위치유지가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테이블
JP2011041664A (ja) * 2009-08-21 2011-03-03 Sasaki Kogyosho:Kk 天板の高さ調整機構
EP2842458A1 (en) * 2013-08-29 2015-03-04 Gemmy Industries Corporation Adjustable desk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477Y1 (ko) 2007-03-19 2008-06-13 김의진 거실용 테이블
CA2814945C (en) * 2012-05-24 2019-04-30 Daniel J. Flaherty Adjustable desktop platform
CN203234290U (zh) * 2013-03-13 2013-10-16 胡柱根 茶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717C (de) * 1920-04-30 Alfred Mehlhase Laengsschneider ohne Teilkamm mit Vorrichtung zum getrennten Aufwickeln der geschnittenen Papierstreifen
DE3207177A1 (de) * 1982-02-27 1983-09-15 Veyhl-Produktion KG, 7266 Neuweiler Tisch mit einer verstellbaren tischplatte
KR200339136Y1 (ko) * 2003-10-30 2004-01-16 주식회사 리바트 상호 다른 높이에서 위치유지가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테이블
JP2011041664A (ja) * 2009-08-21 2011-03-03 Sasaki Kogyosho:Kk 天板の高さ調整機構
EP2842458A1 (en) * 2013-08-29 2015-03-04 Gemmy Industries Corporation Adjustable desk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98A1 (ko) * 2022-10-07 2024-04-11 주식회사 세라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15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2807B2 (ja) 上下調節可能な脚を有する家具
KR101869352B1 (ko) 높이조절 개방 및 중심 이동형 테이블
US20080178779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RU2538542C2 (ru) Место для сидения
EP2668872B1 (en) Composite chair
US5095814A (en) Bread toaster with an extra-lift for the toasting rack
CN106028871A (zh) 无级竖直可调节下拉式扶手机构
KR101904399B1 (ko) 자동차용 시트 백 테이블
RU2319429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ровать-стол
CN107048785B (zh) 一种能够自动调节躺倒的座椅
KR101819106B1 (ko)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
AU2015341056A1 (en) Side-rail arrangement for a hospital and/or care bed
JP3620421B2 (ja) Oa用机
US4040592A (en) Desk top work support device
JP2014148215A (ja) シート装置及び操作部構造
KR20160037676A (ko) 책상
JP3704964B2 (ja) 昇降収納装置および昇降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39136Y1 (ko) 상호 다른 높이에서 위치유지가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테이블
JP4330586B2 (ja) 両引き引出し構造
KR20110025323A (ko) 의자형 윗몸일으키기운동 헬스기구
KR20110062426A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KR200409308Y1 (ko) 헬리컬기어를 이용한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0415677Y1 (ko)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
JPS6031539Y2 (ja) 机の高さ調節装置
JPS6031537Y2 (ja) 机の高さ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