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85B1 - 섬유사이징제 - Google Patents

섬유사이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85B1
KR960009085B1 KR1019920700992A KR920700992A KR960009085B1 KR 960009085 B1 KR960009085 B1 KR 960009085B1 KR 1019920700992 A KR1019920700992 A KR 1019920700992A KR 920700992 A KR920700992 A KR 920700992A KR 960009085 B1 KR960009085 B1 KR 96000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polyvinyl alcohol
sizing agent
weaving
fiber 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914A (ko
Inventor
데쓰야 가타야마
히로토시 미야자끼
히토시 마루야마
고지 오니시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히사오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히사오,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나까무라 히사오
Publication of KR92070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1Starch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71Impreg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섬유사이징제
제 1 도는 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X, Y의 범위를 나타내는 편로그그래프.
본 발명은 섬유사이징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풀먹일 때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직시의 오오프닝성 불량이나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제직효율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섬유사이징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경사페이스트제로서 녹말, 가공녹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폴리머, 아세트산 비닐무수말레산 혼성중합체 또는 스티렌 무수말레산 혼성중합체등이 알려져 있고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특히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수용성 페이스트제로서 부패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장기 보존할 수 있으며, 풀먹일 때의 외관이 좋다는 등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다른 수용성 물질과 비교하여 조막성이 우수하며 얻어지는 피막의 강도가 매우 강하다는 것에 경사 페이스트제의 주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페이스트제중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율이 너무 크면 시이트 풀먹일 때에 풀을 붙히고 건조하여 시이트형으로 한 후, 풀먹인 실다발을 하나하나의 실로 분한할 때에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강력한 피막강도가 손상되며 분할시의 큰 저항 때문에 실이 끊어지거나 실강도의 저하 또는 보풀이 일어났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녹말류(생녹말, 가공녹말 등) 및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로 되어 있는 섬유사이징제(그 처방예로서 중합도 1700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2.8중량부, 생녹말 0.5중량부 및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0.3중량부로 되어 있는 농도 4중량%의 섬유 사이징제)[포발(나가노, 데시마, 야마네, 고분자 간행회, 1984)],(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1∼99중량부 및50℃미만의 물에 가용성의 고분자 화합물(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가공녹말, 알긴산염 등) 99∼1중량부의 2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농도 5∼30중량%의 섬유사이징제(그 실시예로서 중합도 600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20.5중량부 및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 4.5중량부로 되어 있는 농도 26.5중량%의 섬유 사이징제)(일본국 특개소 56-134269호 공보) 및,(다)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및 녹말로 되어 있는 섬유사이징제(그 실시예로서 중합도 1860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6.0중량부, 가공녹말 1.0중량부 및 생녹말 1.5중량부로 되어 있는 농도 10중량%의 섬유사이징제)(일본국 특개평 l-111073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섬유사이징제는 모두 풀안정성이나 제직성이 떨어지고 실용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사이징제의 결점을 극복하고 풀안정성, 풀붙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한 섬유사이징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집중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Ⅰ), 가공녹말(Ⅱ)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화합물(Ⅲ)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Ⅰ)/[(Ⅱ)+(Ⅲ)]80/20이며, 이하의 조건식 1∼3
0.27X-0.7log Y≤0.27X+0.6 (식 l)
20Y300 (식 2)
[X :고형분 농도(중량%)]
Y : 9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cp)]
(A)/ (B)0.5 (식 3)
[(A) : 각 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수용액의 60℃, 전단속도 1000sec-1에서의 점도(cp)
(B) : 각 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수용액의 60℃, 전단속도 l0sec-1에서의 점도(cp)]를 만족하는 수용액으로 되어 있는 섬유사이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Ⅰ)분말, 가공녹말(Ⅱ)분말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 I)/[(Ⅱ)+(Ⅲ)]80/20이고, 상기 조건식 1∼3을 만족하는 수용액이 얻어지는 섬유사이징용 조성물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이며, 20℃, 64%RH(상대습도)에서 1주일간 습도를 조정한 후의 피막 인장강도가 1.0kg/mm2이상인 섬유 사이징용 조성물이 부착된 섬유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섬유사이징제를 사용하면 풀조제가 용이하고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본래 가지고 있는 양호한 보플을 죽이는 효과, 포합력, 내마모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풀먹일 때의 분할성이 양호한 것으로 부터 풀먹일때에 실이 끊어지는 난점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3∼12중량%의 비교적 적은 풀량으로 풀을 먹인 실을 사용하여 가는 수직물을 제직할 때에도 제직시의 오오프닝성이나 실이 끊어지는 결점이 대폭 개량되고 제직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Ⅰ)은 여러가지를 충당할 수 있지만, 아세트산 비닐을 괴상, 용액, 현탁, 유화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으로 중합 또는 혼성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 아세트산 비닐 또는 아세트산 비닐계 혼성중합체를 공지의 방법으로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이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혼합해도 좋다.
또한, 이 아세트산 비닐 대신에 또는 아세트산 비닐과 함께 포름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발레르산 비닐, 카르본산 비닐, 라우르산 비닐, 스테아르산 비닐, 벤조산 비닐, 피발산 또는 버사틱산 비닐등의 비닐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다른 모노마와 혼성중합해도 좋고 사슬이동제를 사용해서 폴리머 말단을 수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와 혼성중합시키는 에틸렌성 모노마로는 비닐에스테르와 혼성중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N-부텐, 이소부텐, 1-헥사데센등의 α-올레핀류; (메타)아크릴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등의 카르복시산 함유 단량체 및 그 염 ; (메타) 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프로필, (메타) 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 푸마르산 디메틸, 이타콘산 디메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모노메틸, 크로톤산 디메틸, 이타콘산 디메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모노메틸, 크로토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 메닐 비닐에테르, 에틸 비닐 에테르, 부틸 비닐 에테르, 라우릴 비닐 에테르, 스테아릴 비닐 에테르등의 비닐 에테르류 ; 비닐 술폰산, 아릴 술폰산, 메타 아릴 술폰산, 2-아크릴 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및 그 염 ; (메타)아크릴 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 아미드, N, N-디메틸(메타)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 아미드, N-t-부톡시(메타)아크릴 아미드, N-t-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딘 등의 아미드기 함유의 단량체 ; 디메틸 아미노 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등의 아미노기 함유의 단량체 ; 메틸 셀룰로오즈아크릴 아미드 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4 급 암모늄염 함유 단량체 ; 비닐 히드록시 실란, (메타)아크릴산-3-트리 메톡시실릴 프로필등의 실릴기 함유의 단량체 ; 알릴 알코올, 디메틸 알릴 알코올, 이소 프로페닐 알코올 등의 수산기 함유의 단량체 ; 알릴 아세테이트, 디메틸 알릴 아세테이트, 이소 프로페닐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틸기 함유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60∼99.9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9.5%, 더욱 바람직하게는 80∼99몰%이다.
비누화도가 60몰%보다 낮은 경우에는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사이징제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중합도는 여러 상황에 따라 적당히 선정하면 좋지만, 3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이고, 가장 바람직 하게는 2000이상, 특히 2000∼3500이다.
여기에서,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중합도는 그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완전 비누화물의 수용액의 점도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구해진 점도평균중합도이다.
이 폴리 비닐알코올계수지의 평균중합도가 300미만에서는 풀을 먹임으로써 얻어지는 풀먹인 실이 고온다습하에서 블로킹하는 문제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공녹말(Ⅱ)는 100℃이하의 온도에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녹말이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α화(페이스트화 완료) 녹화, 산화 녹말,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화 녹말등을 들 수 있다.
가공녹말의 수용액 점도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9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가공녹말의 10중량% 수용액의 점도는 5∼500cp가 바람직하고, 5∼200cp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되지 않은 옥수수녹말, 감자녹말, 밀가루녹말등의 생녹말은 고압쿠커를 사용하지 않으면 페이스트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중의 하나인 용이하게 풀을 제조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메틸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셀룰로오스 화합물은 같은 성질로서 수용성이 있으며, 풀점도의 전단속도의 의존성이 통상의 페이스트제 수용액보다 큰 것일 필요가 있고 이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상기 물질 이외로도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의 1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외 수용액 점도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25℃,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1중량% 수용액의 점도는 10∼200cp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0cp이다.
또,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로는 이들 필수 3성분(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Ⅰ), 가공녹말(Ⅱ),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 이외의 다른 수용성 다당류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서, 가공녹말(Ⅱ)와 수용성 셀룰로오스 화합물(Ⅲ)에 대한 폴리 비닐알코올계수지( I )의 중량기준의 배합비율(I )/[(Ⅱ) +(Ⅲ)]은 80/20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20)∼(99/1) 이며, 보다 바람직 하게는 (85/15)∼ (95/5) 이다.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율이 99보다 너무 크면, 풀먹일 때 실이 끊어지는 것이 증가하여 제직 문제점을 일으킨다.
또,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율이 80보다 적으면 제직시의 경사가 끊어지는 것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가공전분(Ⅱ)와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과의 배합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중량기준의 배합비율로서 (Ⅱ)/ (Ⅲ)∼(20/80)∼(80/20)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서는 고형분 농도(X(증량%)와 수용액의 9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Y(cp))의 관계가
0.27X-0.7log Y0.27X+0.6 (식 1)
20Y300 (식 2)
이고, 또한 60℃, 전단속도 10000sec-1일 때의 점도(A)와 60℃, 전단 속도 10sec-1일 때의 점도(B)와외 비 (A)/ (B) 가
(A)/ (B)0.5 (식 3)
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A) 및 (B)는 각 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여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수용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식 1에서, 1og Y0.27X+0.6에서는 풀먹인 실을 재직할 때 경사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증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한편, 1og Y0.27X-0.7에서는 풀먹인 실을 제직할 때 위사가 멈추는 문제점이 증대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 식 2에서 Y300에서는 풀먹일 때의 분할시에 실이 끊어지는 것이 증가하고, Y20에서는 풀먹인 실의 페이스트제 부착량이 너무 적고, 실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제직 문제점이 증가하여 어느 경우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서 고형분 농도(X(중량%))와 수용액의 9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Y(cp))의 관계는 상기와 같이 식 1, 2로 표시할 수 있지만 이들을 도시하면 제 1 도와 같다.
또, 이 X, Y의 보다 바람직한 관계는
0.27X-0.1og Y0.27X+0.5
25Y250
이고, 더욱 바람직한 관계는
0.27X-0.51og Y0.27X+0.4
30Y200
이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 의한 풀먹일 때의 풀농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여러상황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좋지만 통상은 3∼12중량%, 바람직하게는 6∼10중량% 이다. 풀농도가 3중량% 미만에서는 통상의 슬러셔 풀먹일 때 실에 대한 섬유사이징제의 부착량(풀량)이 너무 적고, 풀먹이는 본래의 목적인 실보강 효과가 적게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풀농도가 12중량%보다 큰 경우는 통상의 슬러셔 풀먹일 때 실에 대한 섬유사이징제의 부착량이 너무 많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다.
섬유사이징제의 부착량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를 사용한 경우는 그 부착량이 3∼12중량%라는 적은 풀량으로 충분한 제직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는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공녹말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그 실제 사용시의 수용액의 점도의 전단속도 의존성이 통상의 경사페이스트재 수용액보다 크다.
즉, 상기 식 3에서 규정한 것과 같이 (A)/ (B)0.5일 필요가 있지만 0.2(A)/ (B)0.5가 더욱 바람직하고 0.3(A)/(B)0.5가 보다 바람직하며 0.4(A)/ (B)0.5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A)/ (B)가 0.5보다 크게 되면 풀먹일 때의 작업성, 특히 분할성이 나빠지고 제직성도 나빠진다.
즉, 0.5보다 크면 슬러셔 풀먹이는 작업시에 풀먹이고 건조시킨 다수의 실을 하나하나의 실로 분할하는 분할시에서의 분할저항이 커지고, 실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적당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서는 (A)/ (B)가 0.5이하인 의소성 유동적인 점도의 진단속도 의존성을 나타낼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페이스트제, 유제 및 다른 보조제(소포제, 대전방지제, 방곰팡이제 등)와 병용해도 지장없다.
여기에서, 유제를 병용하는 경우, 전고형분 중량에 대하여 0.5∼20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가 대상으로 하는 섬유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면실, 면과 폴리에스테르와의 혼방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대상으로 하는 섬유의 굵기에 대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50∼500데니어(5.56∼55.6텍스)(면번수 : 106∼10.6번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Ⅰ)분말, 가공녹말(Ⅱ)분말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Ⅰ)/ [(Ⅱ)+ (Ⅲ)]80/20이다.
또한, 이 조성물을 물에 희석한 경우에 상기 조건식 1∼3을 만족하는 수용성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각 성분(Ⅰ), (Il) 및 (Ⅲ)의 분말의 평균입경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6메시패스∼100메션 범위이다.
전기 섬유사이징제에 관하여 설명한 각종 파라미터의 적당한 값은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이 부착된 섬유도 제공하지만 이 섬유는 전술한 성분(Ⅰ), (Ⅱ) 및 (Ⅲ)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그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Ⅰ)/ [(Ⅱ)+(Ⅲ)]≥80/20인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다. 이 섬유에 부착되어 있는 조성물은 20℃, 64%RH에서 1주일동안습도 조절한 후의 피막의 인장강도가 1.0kg/mm2이상, 바람직하게는 2.0kg/mm2이상으로 된 것이다. 인장강도가 1.0kg/mm2미만에서는 섬유의 제직시에 보풀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여기에서 섬유사이징용 조성들의 피막의 인장강도는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즉, 섬유를 물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끓여 물에 용해한 섬유 사이징용 조성물을 70℃에서 드럼 제막하고, 막두께 50∼100μm의 필름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 필름을 20℃, 65%RH에서 1주일동안 습도를 조절한 후 필름쪽 10mm, 척간격 50mm, 인장속도 500mm/ 분의 조건에서 오오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한다.
섬유사이징제 및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에 관하여 설명한 각종 파라미터의 적정값은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이 부착된 섬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서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부 및 %는 특별한 말이 없는한 각각 중량부 및 중량%를 의미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지 폴리 비닐알코올의 중합도라고 하는 것은 본문중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그 폴리 비닐알코올의 수용액의 점도로 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구한 점도평균중량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단지 풀량으로 표현되어 있지 값은 견사호부 (후가다가나메, 이찌겐 기히고 공저, 일본섬유기계학회 발생) 299∼302면에 기술되어 있고, 풀을 제거하는 세정시의 보풀이 탈락된 부분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 전단속도 10sec-l인 때와 10000sec-1인 때의 점도비 (A)/ (B)은 미리 도오교도 게이기 제품의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60℃, 전단속도 10sec-1인 때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각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농도조절한 수용액의 60℃, 전단속도 10000sec-1에서의 점도를 (주)구마가이리기 고오교 제품의 헤르큘레스 고전단 전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90℃의 점도는 도오교도 게이기 제품의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로우터 회전수 60rpm으로 측정한 값이다.
중합도 2400, 비누화도 88몰%의 폴리비닐알코올 27kg,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다이셀 제품 : CMC 1120) 1.5kg, 가공녹말(시끼시마 방적(주)제품 : 하스바인디 S-210D) 1.5kg, 페이스트제용 왁스(다게본유지(주)제품 : 옵세트 600) 2kg을 물에 넣고 교반하에서 증기를 불어넣어 액을 95℃까지 올리고, 95℃가 되며 증기를 넣지 않고 사이징제의 용해를 완료하였다.
얻어진 풀의 페이스트화 상황은 양호하며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다음에 얻어진 풀에 약간의 온수를 넣어 풀의 농도, 점도를 조정하고 고형분 농도 7.8%, 90℃에서의 점도 70cp의 풀로 하고, 이 풀을 사용하여 다음 조건에서 풀을 먹여 제직하였다.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낸다.
또한, 본문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서 풀먹인 섬유에 부착된 사이징용 조성물의 피막인장강도를 측정한 바, 3.0kg/mm2이었다.
실시예 1과 같은 배합비율로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고, 60℃, 전단속도 10000sec-1에서의 점도를 측정한 바 48cp이였다.
그 결과 (A)/ (B)는 0.48이었다.
(1) 풀먹이는 조건
원사 : 면 l00%, 50번수(106데니어) 단사
풀온도 : 90℃
건조온도 : 120℃
풀먹이는 속도 : 40야마드/분
(2) 제직조건
직기 : 쯔다고마 고오교(주) 에어 제트룸 ZA-207
품명 : 브로우드
밀도 : 경사 144분/인치×위사 76본/인치
직폭 : 48인치
직기 회전수 : 720rpm
공기조절건조 : 251℃, 65%RH
① 풀먹인 결과
본 실시예에서의 풀먹인 실의 풀량은 10.5중량%이었다.
또,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은 양호하며 분할시의 풀먹인 실의 전단은 거의 없었고 풀먹인 실의 보풀수도 적었다.
② 제직테스트 결과
경사가 끊어지는 회수 0.25본 / 시간, 위상 정지 회수 0.75본 / 시간으로 양호한 제직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 비닐알코올 대신에 중합도, 비누화도가 다른 폴리 비닐알코올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사이징제를 조제하고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 비닐알코올,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가공녹말 및 섬유 페이스트제용 왁스(다게본 유지(주)제품 : 옵세트 600)를 사용하여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가공녹말의 배합비율을 변경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사이징제를 조제하고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및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가공전분을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다이셀 제품 : CMC 1190)또는 고점도형의 가공녹말(시끼시마방적(주)제품 : 하스바인더 S-210M)로 바꾼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사이징제를 조제하고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사용한 폴리 비닐알코올 대신에 중합도 1700의 폴리 비닐알코올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이 하여 사이징제를 조제하고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제 1표에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에서도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이 양호하고 분할시의 풀먹인 실의 거의 절단되지 않았고 풀먹인 실의 보풀수가 적었다.
그 결과를 제 1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에서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와 가공녹말을 제외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한 바, 풀먹일 때의 분할성이 불량하였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또한, 제직테스트는 분할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에서 가공전분을 제외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한 바, 풀먹일 때의 분할성이 불량하였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또한, 제직테스트는 부할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에서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를 제외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풀먹임-제직데스트를 하였다.
풀먹일 때의 분할성은 양호하고, 분할시의 풀먹인 실이 거의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제작테스트를 한바, 실시예에 비하여 제직문제점이 분명히 많았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중합도 l700, 비누화도 88몰%의 폴리 비닐알코올 22kg, 산화녹말(시끼시마 스타치(주)제품 : 마 메이드M-200) 3kg, 옥수수녹말 5kg, 왁스(다게본 유지(주)제품 :옵세트 600) 2kg을 물에 넣고 교반하에서 증기를 불어 넣어 액을 95℃까지 올리고, 95℃가 되면 증기를 넣지 않고 페이스트제의 용해를 완료하였다.
얻어진 풀은 옥수수녹말 페이스트화가 충분하지 않고 상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후의 풀먹임-제직테스트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중합도 1700, 비누화도 88몰%의 폴리 비닐알코올 24.6kg,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5.4kg, 왁스(다게본 유지(주)제품 : 옵세트 600) 2kg을 물에 넣고 교반하에서 증기를 불어 넣어 액을 95℃까지 올리고, 95℃가 되면 증기를 넣지 않고 페이스트제의 용해를 완료하였다.
얻어진 풀의 페이스트화 상황은 양호하며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얻어진 풀에 약간의 온수를 넣어 풀의 온도, 점도를 조정하고 고형분농도 9.0%, 90℃에서의 점도 150cp의 풀로 하며, 이 풀을 사용해서 풀먹임 및 제직을 하였다.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은 양호하고 분할시의 풀먹인 실이 거의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제직테스트를 한 바, 실시예와 비교해서 제직문제점이 분명히 많았다.
그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비교예 5의 풀을 묽고 고형분 농도 8.0%, 90℃에서의 점도 80cp의 풀로 하고, 이 풀을 사용해서 다음조건으로 풀먹임 및 제직을 하였다.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은 양호하고 분할시의 풀먹인 실이 거의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제직테스트를 한 바, 비교예 5와 비교하여 제직문제점이 보다 많았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폴리 비닐알코올의 중합도를 저하시킨 조성으로 풀점도 Y와 풀농도 X의 관계가 log Y0.27X-0.7이 되도록 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풀먹임-제직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은 나쁘지 않았지만 제직테스트시의 위사가 정지하는 회수가 특히 증가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과 같은 폴리 비닐알코올을 사용하고 고점도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풀먹임을 하였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풀먹이는 작업시의 분할성은 약간 불량하였다.
제직테스트를 한 바, 실시예에 비하여 제직문제점이 분명히 많았다.
[비교예 9]
중합도 1700, 비누화도 88몰%의 폴리 비닐알코올 21.3kg,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2.3kg, 옥수수녹말6.4kg, 왁스(다게본 유지(주)제품 : 옵세트 600) 2kg을 물에 넣고 교반하에서 증기를 불어 넣고 액을 95℃까지 올리고, 95℃가 되면 증기를 넣지 않고 페이스트제의 용해를 완료하였다.
얻어진 풀은 옥수수녹말 페이스트화가 충분하지 않고 상분리가 발생하였지만, 교반하면서 풀먹임-제직테스트는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풀먹이는 작업성은 양호하였지만, 제직테스트를 한 바, 제직문제점이 현저하여 제직불량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섬유에 부착된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의 피막안정강도를 측정한 바, 0.5kg/mm2이었다.
[비교예 10]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8몰%의 폴리 비닐알코올 23.5kg,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2.5kg, 옥수수녹말4kg, 왁스(다게본 유지(주)제품 : 옵세트 600) 2kg을 물에 넣고 교반하에서 증기를 불어 넣고 액을 95℃까지 올리고, 95℃가 되면 증기를 넣지 않고 페이스트의 용해를 완료하였다.
얻어진 풀은 옥수수녹말 페이스트화가 충분하지 않고 상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풀먹임-제직테스트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에서 풀점도를 20cp보다 낮은 17cp로 하여 실험을 하였다.
풀먹이는 작업성은 양호하였지만 제직테스트를 한 바, 제직문제점이 현저하여 제직불능으로 되었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성분으로 풀점도는 300cp보다 높은 470cp로 하여 실험을 한 바, 풀먹이는 작업성, 특히 분할성이 현저히 악화되었기 때문에 제직테스트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결과를 제 2 표에 나타낸다.
제 1 표
제 2 표
본 발명의 섬유사이징제에 의하면, 본래 폴리 비닐알코올계 수지가 갖고 있는 양호한 볼풀을 죽이는 효과, 포합력, 내마모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풀조제가 용이하며 풀먹일 때의 분할성이 좋다.
그 결과, 풀먹일 때에 실이 끊어지거나 보풀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현저히 감소하여 제직성이 현저히 개선된 풀먹인 실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업적 가치가 매우 높고 만사, 면과 폴리에스테르와의 혼방사등 각종 섬유의 사이징에 유효하며 폭넓게 이용된다.

Claims (4)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Ⅰ), 가공녹달(Ⅱ)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I )/ [(Ⅱ)+(Ⅲ)]≥80/20이며, 이하의 조건식 1∼3
    0.27X-0.7≤log Y≤0.27X+0.6 (식 1)
    20≤Y≤300 (식 2)
    [X : 고형부 농도(중량%)
    Y : 9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cp)]
    (A)/ (B)≤0.5 (식3)
    [(A) : 각 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수용액의 60℃, 전단속도 10000sec-1에서의 점도(cp)
    (B) : 각 성분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가 100cp가 되도록 농도를 조절한 수용액의 60℃, 전단속도 10sec-1에서의 점도(cp)]를 만족하는 수용액으로 되어 있는 섬유사이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Ⅰ)의 평균중합도가 2000이상인 섬유사이징제.
  3. 제 l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Ⅰ), 가공녹말(Ⅱ)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이 각각 분말상의 것인 섬유사이징제.
  4.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Ⅰ), 가공녹말(Ⅱ)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화합물(Ⅲ)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중량기준의 배합비율이 (Ⅰ)/ [(Ⅱ)+(Ⅲ)]≥80/20이며, 20℃,65%RH에서 1주일 동안 습도조절한 후의 피막인장강도가 1.0kg/mm2이상인 섬유사이징용 조성물이 부착된 섬유.
KR1019920700992A 1990-08-29 1991-08-27 섬유사이징제 KR960009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903090 1990-08-29
JP229030/1990 1990-08-29
JP229030.1990 1990-08-29
PCT/JP1991/001133 WO1992004497A1 (en) 1990-08-29 1991-08-27 Fiber sizing ag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914A KR920703914A (ko) 1992-12-18
KR960009085B1 true KR960009085B1 (ko) 1996-07-10

Family

ID=1688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992A KR960009085B1 (ko) 1990-08-29 1991-08-27 섬유사이징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20180A (ko)
EP (1) EP0498892B1 (ko)
KR (1) KR960009085B1 (ko)
DE (1) DE69114684T2 (ko)
WO (1) WO1992004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5177A1 (de) * 1992-05-08 1993-11-11 Ebert Gerd Nähfaden, hiermit vernäht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ritzwasserdichten Naht
US5405653A (en) * 1994-02-28 1995-04-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vinyl alcohol)starch blends for textile sizes with improved ability to be desized
US5733603A (en) * 1996-06-05 1998-03-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urface modification of hydrophobic polymer substrate
US6291594B1 (en) 1998-03-24 2001-09-18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Textile sizes containing anhydride based graft copolymers
ATE295435T1 (de) 1999-03-08 2005-05-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und flexible struktur mit stärkefasern
US6811740B2 (en) 2000-11-27 2004-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non-thermoplastic starch fibers
US20030203196A1 (en) * 2000-11-27 2003-10-30 Trokhan Paul Dennis Flexible structure comprising starch filaments
US7029620B2 (en) 2000-11-27 2006-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o-spinning process for making starch filaments for flexible structure
US7276201B2 (en) * 2001-09-06 2007-10-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non-thermoplastic starch fibers
US6723160B2 (en) * 2002-02-01 2004-04-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thermoplastic starch fibers and starch composition for making same
US6955850B1 (en) * 2004-04-29 2005-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977116B2 (en) * 2004-04-29 2005-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IT1404697B1 (it) * 2011-03-29 2013-11-29 Canepa S P 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filato e/o ordito sottile di fibre naturali animali e/o vegetali e/o in pvc in puro o in mischia tra di loro atto alla realizzazione di un tessuto
EP3102723B1 (en) 2014-01-28 2022-05-18 Inman Mills Sheath and core yarn for thermoplastic composite
SG11201702833YA (en) 2014-10-23 2017-06-29 Kuraray Co Fibre siz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730A (en) * 1972-06-05 1976-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vinyl alcohol microgel precursor blends
JPS56134269A (en) * 1980-03-18 1981-10-20 Nippon Synthetic Chem Ind Warp yarn sizing composition and method
CA1279141C (en) * 1984-08-20 1991-01-15 David W. Zunker Polyvinyl alcohol based wax-free size composition
JPS62231083A (ja) * 1986-03-06 1987-10-09 ユニチカケミカル株式会社 経糸糊付け方法
US4835198A (en) * 1986-06-06 1989-05-30 Kuraray Co., Ltd. Polymer composition and textile sizing agent made therefrom
JPH01111073A (ja) * 1987-10-22 1989-04-27 Shin Etsu Chem Co Ltd 経糸用糊剤
JPH06162549A (ja) * 1992-11-13 1994-06-10 Omron Corp 光ヘ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98892A1 (en) 1992-08-19
US5420180A (en) 1995-05-30
EP0498892B1 (en) 1995-11-15
WO1992004497A1 (en) 1992-03-19
EP0498892A4 (en) 1992-09-30
KR920703914A (ko) 1992-12-18
DE69114684D1 (de) 1995-12-21
DE69114684T2 (de) 199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085B1 (ko) 섬유사이징제
US4835198A (en) Polymer composition and textile sizing agent made therefrom
JP2003506531A (ja) 糊剤における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コポリマーイオノマー、それらの調製および使用
CN107075791B (zh) 纤维用浆剂
JP2566352B2 (ja) 繊維サイジング剤
JP3204467B2 (ja) 経糸糊剤用組成物
JP3085558B2 (ja) 経糸糊剤
JP2001164470A (ja) 繊維用糊剤
JP3295215B2 (ja) ホットメルトサイジング剤
JP3224160B2 (ja) スパン糸用経糸糊剤
JP3295216B2 (ja) ホットメルトサイジング剤
JP3647208B2 (ja) 繊維用糊剤
JPH07166472A (ja) 経糸糊剤
JP4302269B2 (ja) 繊維用糊剤
JP3276121B2 (ja) 繊維糊剤組成物
JPH09132873A (ja) 繊維サイジング用糊剤
JP3590456B2 (ja) 経糸糊剤
JP3983396B2 (ja) 繊維用糊剤
JPH01111073A (ja) 経糸用糊剤
JP2001164473A (ja) プレウェツトサイジング用の繊維糊剤
JPH09143879A (ja) 繊維サイジング用糊剤
JP2001172873A (ja) プレウエットサイジング用の繊維糊剤
JPS62289673A (ja) 繊維サイジング用糊剤
JP2001164472A (ja) プレウェットサイジング用繊維糊剤
JPH08260355A (ja) 繊維用糊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