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71A -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971A
KR960007971A KR1019940021856A KR19940021856A KR960007971A KR 960007971 A KR960007971 A KR 960007971A KR 1019940021856 A KR1019940021856 A KR 1019940021856A KR 19940021856 A KR19940021856 A KR 19940021856A KR 960007971 A KR960007971 A KR 96000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empty
platforms
vertical circulation
selec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9338B1 (ko
Inventor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4002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338B1/ko
Publication of KR96000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 제어방법은 다수의 승강대들 중 자동차가 입/출고 되는 위치에 있는 승강대의 양쪽 첫 번째 승강대들로부터 양쪽으로 일정갯수의 승강대까지 빈승강대가 있는가를 차례대로 검색해 나가면서 빈승강대가 있는 경우, 검색된 빈승강대에서부터 다수의 승강대의 1/2에 해당하는 갯수번째에 있는 승강대가 비어있지 않은가를 판단하여 이를 만족하는 최초의 검색된 하나의 빈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1선택단계, 제1선택단계에서 선택되는 빈승강대가 없는 경우, 제1선택단계에서 검색했던 일정갯수의 승강대들이 모두 비어있는가를 판단하여 이를 만족하면 초기입력상태로 간주하여 자동차의 입/출고 위치에 있는 승강대에서부터 일정갯수보다는 작게 미리정해진 소정갯수번째의 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2선택단계, 및 제2선택단계에서 선택되는 빈승강대가 없는 경우 자동차가 입/출고되는 위치에 있는 승강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빈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3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순환 주차설비는 회전바퀴를 구동하여 승강대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승강대들중 일정위치에 있는 승강대를 구분인식하고, 구분인식된 승강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승강대 구분인식기, 및 승강대 구분인식기로부터 일정위치에 있는 승강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본 발명의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 주차제어방법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을 채택하거나 본 발명의 수직순환 주차설비를 이용하면 자동차주차로 인한 부하의 편중상태를 방지할 수 있어 각종 부품, 장비등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승강대를 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의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순환 자동주차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승강대 21 : 체인
22 : 구동회전바퀴 23 : 종동회전바퀴
24 : 모터 25 : 제어기
26 : 승강대 구분인식기

Claims (3)

  1.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어 수직으로 순환되는 다수의 승강대를 구비하여 선택되어진 승강대에 차례대로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한 수직순환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승강대들중 자동차가 입/출고 되는 위치에 있는 승강대의 양쪽 첫 번째 승강대들로부터 양쪽으로 일정갯수의 승강대까지 빈승강대가 있는가를 차례대로 검색해 나가면서 빈승강대가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빈승강대에서부터 총 승강대의 1/2에 해당하는 개수번째에 있는 승강대가 비어있지 않은가를 판단하여 이를 만족하는 최초의 상기 검색된 하나의 빈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1선택단계; 상기 제1선택단계에서 선택되는 빈승강대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선택단계에서 검색했던 일정갯수의 승강대들이 모두 비어있는가를 판단하여 이를 만족하면 초기입력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자동차의 입/출고 위치에 있는 승강대에서부터 상기 일정갯수보다는 작게 미리정해진 소정갯수번째의 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2선택단계; 및 상기 제2선택단계에서 선택되는 빈승강대가 없는 경우 자동차가 입/출고되는 위치에 있는 승강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빈승강대를 선택호출하는 제3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승강대들중 빈승강대가 없는 경우 승강대 호출불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호출불가신호 발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순환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3.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일정공간을 갖는 다수의 승강대, 상기 다수의 승강대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폐곡선을 이루는 승강줄, 상기 폐곡선의 승강줄을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순환시키기 위한 회전바퀴를 구비하는 수직순환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퀴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대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승강대들중 일정위치에 있는 승강대를 구분인식하고, 상기 구분 인식된 승강대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승강대 구분인식기; 및 상기 승강대 구분인식기로부터 상기 일정위치에 있는 승강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순환 주차설비.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21856A 1994-08-31 1994-08-31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0169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56A KR0169338B1 (ko) 1994-08-31 1994-08-31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56A KR0169338B1 (ko) 1994-08-31 1994-08-31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971A true KR960007971A (ko) 1996-03-22
KR0169338B1 KR0169338B1 (ko) 1999-02-18

Family

ID=1939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856A KR0169338B1 (ko) 1994-08-31 1994-08-31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01B1 (ko) * 2001-05-30 2004-12-03 박근종 로터리형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313A (zh) * 2014-11-22 2015-03-25 赵永前 一种循环升降式汽车车库楼
CN110259223A (zh) * 2019-05-22 2019-09-20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垂直循环立体车库存取车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01B1 (ko) * 2001-05-30 2004-12-03 박근종 로터리형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9338B1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47271A (ja) 防御的運転策略の生成方法、装置、デバイス、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02171743B (zh) 与车辆行驶相关的信息处理装置
KR100921714B1 (ko) 차량 통제 장치 및 방법
ATE430072T1 (de) Diebstahl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BR9305259A (pt) Instalação para o estacionamento de automóveis, com diversas posições para embarque e desembarque de veículos
JP2009215046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KR102002421B1 (ko) 차량 주행 환경을 고려한 크루즈 컨트롤 장치 및 방법
KR960018304A (ko) 무단 변속기의 조정 장치 및 방법
KR960007971A (ko) 수직순환식 주차설비의 자동주차제어방법 및 그 장치
WO200005708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elt-pulley drive system, and belt-pulley drive system
CN107024904B (zh) 一种具有停车自动引导功能的停车设备和引导方法
KR900018777A (ko) 자동차 제어 및 유도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ATE161516T1 (de) Verfahren zur anzeigesteuerung und anzeigevorrichtung
US5498941A (en) Speed control device used for electric automobiles and method therefor
CN1184095C (zh) 控制和检查交通系统的方法
KR20000019327A (ko) 신호등 검출에 따른 차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2074374A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
WO2021137292A1 (ja) 運転制限システム
KR940010211B1 (ko) 열차의 운전제어방법
JPH07329748A (ja) 無人搬送車の制動装置
FR3135814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un système de régulation de vitesse d’un véhicule en approche d’un élément de signalisation routière
FR3125265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la trajectoire d’un véhicule automobile circulant sur une voie de circulation et véhicule associé
KR950031626A (ko) 정체주행 인식장치
CN112967504A (zh)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智慧高速管控方法及系统
CN117311347A (zh) 无人驾驶出租车的控制方法和无人驾驶出租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