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85B1 -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85B1
KR960007585B1 KR1019890701138A KR890701138A KR960007585B1 KR 960007585 B1 KR960007585 B1 KR 960007585B1 KR 1019890701138 A KR1019890701138 A KR 1019890701138A KR 890701138 A KR890701138 A KR 890701138A KR 960007585 B1 KR960007585 B1 KR 96000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call
calling
exchange
cal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399A (ko
Inventor
아돈 메나켐쯔르
파스퀘일 사싸노 존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로스티. 와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로스티. 와트랜드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88/000439 external-priority patent/WO1989004105A1/en
Publication of KR89070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07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stored programm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교환 시스템의 설명적 블럭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의 통신 모듈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교환 시스템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1도의 교환 모듈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교환 시스템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교환 모듈중의 하나에 저장된 여러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9도 내지 제13도는 제1도 시스템의 경로 보유 관계를 설명하는 5개의 호출 처리 실시예의 관한 각각의 기능적제어 메시지 다이어그램.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기술 분야]
본 발명의 전기 통신 호출 처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저장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교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교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컴퓨터를 갖고 있다. 최근의 교환 시스템이 많은 갯수의 시스템 제어 장치들간의 호출 처리 기능을 분담해왔지만, 중앙 제어가 행해질때까지는 상당한 호출 처리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디지탈 교환시스템을 예로 든다면, 교환 기능은 다수의 교환 모듈간에 분산되어 있다. 각 교환 모듈은 다수개의 포트를 가져서, 상기 모듈의 포트에 접속된 선로와 회선들간에 접속을 행해지도록 한다. 서로 다른 모듈들에 접속된 선로 또는 회선을 포함하고 있는 호출은 모듈들간의 상호 접속을 행하는 시간 다중 교환(time-multiplexed switch)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 교환 모듈은 모듈 자체의 교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교환 모듈은 시간 다중 교환의 교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를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호출 조정은 접속을 행하는 것과 더불어 수많은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는 필요가 있다. 호출과 관계된 많은 실시간적인 중요한 일들(호출처리)이 교환 모듈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더라도, 그밖의 것들, 즉, 각 호출에 대해 교환 시스템의 단말적 포트의 확인 결정과 시간 다중 교환을 통해 이용 가능한 경로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경로 획득은 시스템 중앙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형태의 모듈 시스템의 한가지 중요한 장점으로는, 모듈 시스템이 성능이 특정 장치의 필요성에 밀접하게 부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이 대형화되고 교환 모듈수의 증가에 따라, 시스템 중심 제어의 완전한 호출 처리 업무의 실행은 전체 시스템 호출 처리 용량을 최대 한계치에 놓이게 한다. 심지어 단말포트 결정 기능이 교환 모듈 제어 장치에 분산 되더라도, 시스템 중앙 제어로 인한 경로 회득 기능의 실행은 시스템 호출 처리 용량의 제약하며, 개별적인 전화 호출을 지정하는데 있어 여전히 시스템 중앙 제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시스템 중심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컴퓨터는, 이 컴퓨터 자체의 실책은 전체 시스템 사용자에게의 서비스의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매우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컴퓨터는 전체 시스템의 가격 상승을 유발한다(예를들면 컴퓨터 개수를 두배로 한 경우 고신뢰성의 컴퓨터가 얻어진다.
주어진 교환 모듈로부터의 각 채널이 임의의 다른 교환 모듈로부터의 대응 채널에 접속될 수 있는 중앙 교환단을 갖는 분산 제어 교환 시스템이, 1987년 2월 17일 M. Ahmad 등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 제4,644,528호에 기재되었다. 상기 각 시스템 교환 모듈은 교환 모듈과 중앙 교환단간의 채널에 관한 비지/아이들 528호에 기재되었다. 상기 각 시스템 교환 모듈은 교환 모듈과 중앙 교환단간의 채널에 관한 비지/아이들(busy/idle) 상태를 규정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내부 모듈 호출에 있어서의 2개의 교환 모듈은, 시스템 중앙 제어 없이 2개의 모듈과 연결된 대응 아이들 채널을 선택하므로서, 중앙 교환단을 통하는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협의한다. Ahmad 등이 출원한 분산 시스템은 완전한 호출 처리 업무에 있어서의 모듈들간의 필요한 협의가 모듈들간에 있어서 모듈 호출 처리 부하 및 제어 메시지 전송량을 좋지 않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호출 용량의 증진을 제약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부분의 호출에 대해서 협의는 자동 접속지연을 초래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와 같은 종래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으로는, 모든 내부 모듈 호출에 대한 내부 모듈 경로 획득 협의가 요구되는 호출 처리 장치는 비효율적이었다는 점이다.
[문제의 해결]
상기 문제는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에 의거하여 기술적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장치에서는, 두 교환 모듈간의 호출에 대해 설정된 임의의 경로를 보유하고 있어서, 두 모듈간의 장래적 호출이 최소의 내부 모듈 메시지 통신을 갖는 이전의 보유 경로를 사용해 즉시 설정된다. 비교적 소수개의 호출이 새로운 경로를 정하기 위해 내부 모듈 협의를 포함하는 경로 획득을 필요로 한다. 상기 새로운 경로는 호출에 대해 지정될 뿐만 아니라 두 모듈간의 호출에 대해 보유하고 있다. 경로 보유는 호출의 방해를 방지시키는데 필요할때에만 변경된다. 따라서, 경로 보유 장치는 호출 전송 부하를 능동적으로 조화시키기 위해 완전한 호출 처리를 행하기 위해 모듈간에 보유 경로 갯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경로 보유 장치가 분산 시스템에서 실제상으로 이용되더라도, 호출에 대해 교환 경로의 전체적인 신속한 지정의 신호 중심 제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호출 처리 방법은, 호출 장치들 사이의 교환 접속을 행하여 주어진 임의의 호출 장치와 연결된 각 채널이 그 밖의 호출 장치와 연결 가능한 대응 채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한 교환기(제1도의 통신 모듈)와, 연결 다수 채널에서의 통신을 위해 다수 채널 장치(제1도의 교환 모듈)를 포함한 장치에서 사용된다. 제1호출 장치와 제2호출 장치간의 호출은, 현재 아이들 상태에 있고 제1호출 장치와 제2호출 장치의 접속을 위해 보유되어 있고, 또한 현재 아이들 상태에 있고 제1호출 장치와 제2호출 장치간의 접속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제2호출 장치와 연결된 대응 채널을 갖는, 제1호출 장치와 연결된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1차적으로 결정함으로 처리가 행해진다. 만일 현재 아이들 상태에 있고 제1,제2호출 장치들의 접속을 위해 보유 채널과 이것에 대한 대응 채널이 발견될 경우, 이들 채널들이 호출에 대해 지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들이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호출 동작은 방해를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채널이 발견된 경우, 교환기는 상기 채널과 제2호출 장치와 연결된 대응 채널들간의 접속이 행해져서, 이들 채널들이 호출에 대해 지정되며 또한 제1호출 장치와 제2호출장치의 접속을 위해 보유된다. 호출 처리가 행해짐에 따라 교환기는 제1호출 장치와 제2호출 장치들간의 장래적 호출에 대한 접속을 유지한다.
교환 시스템(1000 제1도)은 3개의 주요 구성부로 되어 있다. 즉, 시스템 전반의 관리, 유지 및 재원 할당을 하는 관리 모듈(AM 4000)과, 음성(또는 디지탈 데이타) 제어 정보 및 동기 신호를 분산 및 교환하는 기능을 하는 통신 모듈(CMM 2000)과, 국부적 교환과 제어 기능을 행하고 또한 가입자 선로 및 교환 회로에 중계역활 하는 복수개의 교환 모듈(SM 3000-1,3000-N)로 구성된다.
AM 4000은 교환 시스템(1000)을 동작시키고, 관리하며, 유지하는데는 필요한 시스템 레벨 인터폐이스를 준다. AM 400의 기능은, 공통 재원 할당이나 유지 제어 등을 전체적인 면에서 가장 합리적으로 행한다. 실제상으로 AM 4000은 한쌍의 처리기를 가지며, 이들 처리기는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dby) 구성으로 작동한다. 액티브 처리기는 제어 능력을 갖으며, 동시에 스탠바이 프로세서내의 데이타를 보존한다. 따라서, 액티브 처리기에 어떤 과실이 일어날때에 스탠바이 프로세서가 데이타 손실이 없는 서비스로 전화한다.
AM 4000의 호출 처리 보조 기능은 매우 다양하며, 그러한 기능으로는 시스템 전체의 기능 유지, 자체 고장 진단 및 실행 제어와 예정 작업, 소프트웨어 복원 및 초기화, 인의 발생 과실 해결 및 에러 검출 기능이 있다. AM 4000에는 과실을 검출하여 제거하는 에러 검사 회로가 있다. 또한 AM 4000은 관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소프트 웨어 억세스를 외부 데이타 링크와 디스크 저장소(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보급한다.
CM 2000(제2도)의 기본적 기능은 SM들간의 통신과 AM 4000과 SM들간의 지속적인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메시지 교환기(MSGS. 2020)는 호출 처리 및 관리 메세지를 SM들과 AM4000, 임의의 두 SM들간에 전송한다. MSGS 2020은 교환 시스템(100)에서 공지의 X.2 레벨-2 프로토콜을 이용한 패켓 교환 기능을 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메시지를 CM 2000과 회로망 제어 및 타이밍(NCT)링크 단말부인 100-1 100-N에 전송한다. 상기 프로콜에는 에러 검출 사항, 포지티브 메시지 관련 사항 및 전송 에러에 있어서의 메시지 재전송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네트워크 클럭 2030은 시분할 회로망과 동기한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클럭 2030은 내부의 상태를 기초한 외부 소오스를 통해 주기적 갱신과 동기된다. 교환 시스템은 시간-공간-시간(time-space-time)로 구성체를 사용한다. 제3도에서와 같이 각 SM내의 타임-슬롯 교환 장치(TSIU)는 시분할 교환을 행한다. CM 2000의 시간-다중 스위치(TMS 2010)는 시분할 공간 분할 교환을 행한다. 각 인터페이스 장치(제 3)에서의 선로 및 회선으로부터의 출력을 16-비트 타임 슬롯들로 변환된다. 이들 비트는 신호, 제어 및 패리티용이며 또한 2진 코드 음성 또는 데이타로 사용된다. 상기 슬롯들은 TSIU 및 NCT 링크상의 시간 다중에 의해 TMS 2010으로 전환된다.
TMS 2010(제 2도)은 2개의 모듈 상호간의 교환 접속과 다수 모듈들 사이의 제어 메시지의 제어를 위해 디지탈 경로를 제공하는 단일단의 교환 회로망이다. TMS 2010은 NCT 링크를 통해 여러 모듈에 접속된다. 각 NCT 링크는 32.768-Mb/s 직렬 비트군 상태의 다중 데이타로 된256채널(타임 슬롯)이 있다.
1개의 타임 슬롯은 제어 메시지를 수용하며, 나머지 255개 타임 슬롯은 디지탈 음성 또는 데이타를 포함한다. 2개의 NCT 링크는 각 교환 모듈과 접속되어져 있기 때문에 최대 512개의 타임 슬롯이 TMS 2010과의 통신 통로가 된다(그러나 단일 선로 100-1은 도면에서 SM 3000-1과 CM 2000 사이의 2개 NCT 링크를 대표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2개의 SM들 사이의 선로 또는 회선의 경로 결정은, 각 SM에 대하여 NCT 링크들 중에서 아이들 슬롯 타임을 찾는 것이다. 그후에 선택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2개의 NCT 링크들 사이에 TMS 2010과 통하는 1개의 경로가 설정된다. 각 SM내의 TSIU는 선택 NCT 타임 슬롯과 라인 또는 회선과 연결된 주변 타임 슬롯간의 경로가 설정된다(각 경로들은 쌍방향성이기 때문에 하나의 NCT타임 슬롯은 각 전송 방향에 대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쌍방향에 대한 타임 슬롯들은 동일 개수의 슬롯을 갖도록 선택되었다).
TMS 2010에 대해 NCT 링크상에 16비트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신호 비트중 1개 비트(E-비트)는, 내부 SM 호출이 TMS 호출이 TMS 2010과 연결된 후, SM들간의 상기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SM 3000-1과 SM 3000-N간의 호출이 특정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TMS 2010에 연결된 후, SM 3000-1, SM 3000-N은 연결 신호로서 특정 타임 슬롯내의 논리 1 상태의 E-비트의 전송을 시작하고, 그 밖의 SM에서 수신한 특정 타임 슬롯의 E-비트를 주사하기 시작한다. 호출 연결 처리는 SM 3000-1과, SM 3000-N 모두가 그밖의 SM으로부터 E-비트 연결 신호를 검출할 때 까지 끝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SM 3000-1(제 3도)과 같은 SM으로부터 호출 처리 정보, 제1단의 교환 회로망 및 선로 및 회선 단자를 제공한다.
SM들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인터페이스 부품의 형태 및 수량은 SM에 연결된 회선 또는 선로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전체 SM에 공통적인 부품이 있다. 링크 인터페이스(3030) TSIU 3010 및 모듈 제어장치(3020) 등은 공통적인 부품이다. 링크 인터페이스(3030)는 각 SM과 CM 2000내의 쌍방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모듈 제어 장치(3020)는 호출 분산 및 유지 기능을 제어한다.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3041), (3042)는 교환 시스템(1000)에서 이용 가능하다. 선로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아나로그 선로에 제공한다. 디지탈 선로 회선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디지탈 반송파 시스템을 제공한다. 집적서비스 선로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디지탈 ISDN 선로에 공급한다. 각 SM은 최대 510채널과 함께 상기 장치들로 된 구성체를 수용한다. 제어용으로는 두 개의 타임 슬롯이 이용된다.
TSIU 3010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각 신호 처리기는 어드레스 및 신호 정보와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절하며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제어 신호를 분배한다. TSIU 3010은 SM내의 인터페이스 장치들간의 타임 슬롯을 변환하여, 상기 타임 슬롯을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NCT 링크상의 타임 슬롯에 접속시킨다. TSIU 3010은, SM 3000-1과 CM 2000간의 NCT링크들 각각으로부터의 256개의 타임 슬롯으로 인한 512개의 타임 슬롯과 인터페이스 장치들로부터의 512개의 주변 타임 슬롯을 변환시킨다. TSIU 3010은 자체의 512개의 주변 타임 슬롯중 임의 것을 그밖의 주변 타임 슬롯이다, CM 2000에 대한 NCT링크의 임의의 타임 슬롯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SM과 TMS(2010)(제2도)간의 512개의 채널(타임 슬롯) TS0와, SM 3000-1과 SM 3000-N간의 내부 모듈 호출에 대한 경로 성정의 호출은 링크 100-1상에서 아이들 상태에 있는 채널(예. TS 44채널. 링크 100-N상의 아이들 채널)울 찾는 것이다. 각 SM은 SM과 TMS 2010간의 채널 상태를 정의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내부 모듈 호출이 끝난 후, 대응 채널들은 2개의SM에서 아이들 상태를 표시하지만, 상기 2개의 SM이 SM들 자체들간 호출에 대한 대응 채널을 보유하는 것은 아니다. TMS 2010과 더불어 대응 채널은 2개의 SM들간의 보유 경로를 구비한다. 보유 경로는 두 부분의 경우 연속 호출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새로운 경로를 찾고 또 SM들간의 메시지에 대한 연결 변환을 피한다.
2개의 SM들간의 각 보유의 쌍방향 경로는 지배자로서 정의된 SM들중 1개를 갖는다. 지배는 2개의 SM들이 동시에 동일 보유 경로를 이용하려할때 발생하는 글레어 상태의 출현을 방지한다. 지배 SM은 다른 비지배 SM과 관계없이 보유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지배자는 보유 경로를 이용하기 전에 지배지에게 지배권을 양도하여야 한다.
SM은 자체의 보유 경로를 지배함으로서 상기 보유 경로내에 포함된 채널들을 갖는다. 또한 SM은 경로를 보유하지 않은 SM과 TMS 2010 사이에 채널 TSO 내지 TS 511중 임의의 채널을 가지며, 상기 SM은 비보유 채널을 다른 SM과 협의없이 호출에 지정될 수 있다.
만일 어떠한 보유 경로를 지배함으로서 상기 보유 경로도 호출에 대해 발생부와 단말부 사이에 아이들 상태가 없으면, 두 SM들 간의 새로운 경로가 협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협의는 제1SM이 아이들 타임 슬롯에 대한 SM 자체의 도표 복사본을 제2SM에 전송함으로서 시작된다. 제2SM은, 두 SM에서 아이들 상태에 있는 상태에 있는 공통 타임 슬롯을 찾기 위해, 상기 도표 복사본과 비교한다. 제1SM은 경로 획득의 결과를 알려야 하며 TSM 2010 접속이 행해져야 하며, E-비트 연결은 상기 경로가 완결되기 전에 각 단부에서 송수신되어야 한다.
새로운 경로가 획득될때는 언제든지 선택된 타임 슬롯은, 다른 SM은 향하는 보유 경로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모순점은 새로운 경로의 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재 보유 경로는 제거되야 하고 타임 슬롯과 새로운 경로의 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재 보유 경로는 제거되어야 하고 타임 슬롯과 새로운 경로로 재지정되어야 한다. 보유 경로의 제거 처리는 초기 SM이 지배자인가 아닌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만일 지배 SM이 보유 경로를 제거시키고자 하면, 즉시 그대로 시행할 수 있으나, 메시지는 이것을 인식할 수 있는 비지배 SM에 보내지며, 타임 슬롯은 보유 경로 단부에서 해제된다. 만일 비지배 SM이 보유경로를 제거시키고자 하면, 우선 지배 SM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보유경로의 해제를 요구한다. 만일 지배 SM이 보내온 메시지를 해독하면, 비지배 SM은, 지배 SM이 이미 보유 경로를 해제한 사실을 알고 있는 타임 슬롯을 이용할 수 있다.
각 SM은 자체의 모듈 제어 장치내에 512개의 채널(TSO 내지 TS511)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저장 정보의 내용은 보유/지배 도표, 호출 지정 도표 및 3개의 비트 맵 X, Y, Z이다. 제4도는 SM 3000-N에 대한 보유/지배 도표이다.
보유/지배 도표에서는 채널(TS0 내지 TS511)에 대한 다음 사항은 표시한다. 1) 채널이 임의 SM에 지배(1) 되었는가 비지배(0) 되었는가. 2) 보유 채널에 대해, 어떤 SM이 채널을 보유하는가, 3)채널 지배자는 어떤 SM인가, 제4도의 도표를 살펴보면, SM 3000-1과 SM 3000-N 사이에는 6개의 보유 경로가 있으며, SM 3000-1의 2개의 경로를 SM 3000-N이 4개의 경로를 지배한다. 제 5도는 SM 3000-N에 대한 호출 지정표이다.
이 지정표에서는 상기 SM 3000-N으로부터의 각 오출에 대해 네트워크 타임 슬롯 또는 채널 지정에 관한 사항을 표시한다. 제6, 7 및 8도는 SM 3000-N에 대한 비트 맵 X, Y, Z에 대한 표시하고 있다. 각 비트 맵에는 512비트를 가지며, 512채널(TS0 내지 TS511) 각각 대해 1개 비트가 해당한다. 비트 맵 X에서 0으로 표시된 비트는 현재의 채널이 아이들 상내의 어떠한 SM도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비트 맵 Y에서의 0으로 표시된 비트는 아이들 상태의 SM 3000-N(보유 경로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보유 경로의 일부일 경우, SM 3000-N에 의해 지배됨)에 의해 현재 지배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비트 맵 Z에서, 0으로 표시된 비트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임을 표시한다.
지금부터는설명은 SM 3000-1과 SM 3000-N과의 내부-모듈호출의 설정에 관한 다섯 개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호출에 경로를 찾지 못했을 경우, 호출처리가 진행되는 5개의 국면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첫 번째 실시예가 제9도에 도시되었다. 호출 요청이 SM3000-1이 보유한 선로로부터 발생하였다. SM 3000-1은, 호출된 특정의 지정 번호에 대해 통로 모듈로서 역할을 하는 다른 1개의 SM(도시하지 않음)으로, 통로 요청 메시지(A)를 내보낸다. 상기 통로 모듈은 지정 번호를 해독하여, 호출이 SM 3000-N이 모유한 선로에서 끝남을 결정한다. 이때 통로 모듈은 전송 요청 메시지 (B)를 SM 3000-N으로 보낸다. SM 3000-N은 자체의 보유/지배 도표와 비트 맵 Z를 검사하여, SM 3000-N과 SM 3000-1 사이에 아이들 상태의 보유 경로를 지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지배하고 있으면, 채널은 비트맵 X, Y, Z에서 비지(busy) 상태로 표시하여 호출 지정표(제5도)내의 호출에 지정한다. SM 3000-N은 E-비트 연결선(C)에 CM 2000에 보내고 E 비트 주사를 시작한다. 호출에 대해 선정된 희로망 타임 슬롯은 가청 벨소리를 보내는데 이용된다. 선택 희로망의 타임 슬롯에 대한 식별에 대한 식별은 설정 완성 메시지(D)에서 SM 3000-1으로 보낸다.
SM 3000-1은 비트 맵 X, Y, Z내에서 타임 슬롯 비지를 표시하고, 접속 명령 메시지(E)를 CM 2000에 보냄으로서 경로 설정을 행한다. SM 3000-1은 또한 E-비트 연결선(F)을 CM 2000에 보내어 E 비트 주사를 시작하며 또한 그것의 TSIU를 통하여 경로를 적당한 주변 타임 슬롯에 대해 폐쇄한다.
제10도는 제2실시예이다. 통로 요청 메시지(A)와 전송 요청 메시지(B)는 앞에서와 같이 행해진다. SM 3000-N은 자체의 보유/지배 도표와 비트 맵 Z 검사하여, SM 3000-N과 SM 3000-1 사이의 아이들 보유 경로를 지배하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SM 3000-N과 SM 3000-1 사이의 전체 아이들 보유 경로는 SM 3000-1에 의해 지배받는다. SM 3000-N은 SM 3000-1의 지배를 받는 보유 경로중의 한 개를 선택하여, 비지 상태로 표시하고 SM 3000-1로 부터의 호출에 대해 지정한다.
호출은 상기와 유사하게 처리되나, SM 3000-N은 즉시 E 비트 연속성을 보내지 않으며, 그 이유는 거의 동시적으로 다른 호출에 대해 SM 3000-1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SM 3000-N은 SM 3000-1에 설정된 완성 메시지(C)를 보낸다.
SM 3000-1은 이에 응답하므로서 접속 명령 메시지(D)를 CM 2000에 보내고 TSIU를 통하는 경로를 폐쇄시키며, 확인 메시지(E)를 SM 3000-N에 보내어, SM 3000-1이 보유 경로의 지배권을 포기했음을 확인시킨다. 또한 SM 3000-1은 E-비트 연속성(F)를 보내어 E-비트 주사를 행한다. SM 3000-1이 지배권에 대한 SM 3000-1의 요청을 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러나 거절을 할 경우 다음 단계의 호출 처리가 행해진다.
제11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로 요청 메시지(A)와 단말 요청 메시지(B)는 이전과 같이 전송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SM 3000-1은 자체의 보유/지배 도표와 비트 맵 Z를 검사하여, SM 3000-N과 SM 3000-1 사이에 아이들 모유 경로가 없음을 결정한다. 이때 3000-N은 자채의 비트 맵 Y를 포함하여,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SM 3000-N으로 전송한다. 비트 맵 Y는 아이들 자체 타임 슬롯을 제한 한다. 타임 슬롯 메시지(C)는 실정 완성 메시지(D)의 전송에 앞서 SM 30000-N으로 전송한다.
SM 3000-1이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수신할 때, 자체의 비트 맵 X(비보유한 아이들 상태의 타임 슬롯)과 메시지내에 포함된 비트 맵 Y간의 정합(대응하는 0의 값)을 조사한다. 만일 정합이 발견되며 SM 3000-1은 새로운 보유경로 메시지(E)를 회로망 타임 슬롯을 정의하는 SM 3000-N으로 보낸다.
상기 회로망 타임 슬롯은 SM 3000-1과 SM 3000-N을 접속하기 위해 보유한 것이다. SM 3000-N이 새로운 보유 경로 메시지를 수신할때에, 타임 슬롯이 SM 3000-N으로부터 다른 새로운 보유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타임 슬롯 맵의 전송이 SM 3000-1로 향하고, 메시지내에 포함된 비트 맵 Y와 SM 3000-1의 비트 맵 X와의 정합이 완성된다.
선택 타임 슬롯이 SM 3000-N에서 수신될 때 접속 명령 메시지(G)는 CM 2000으로 보내져, TMS 2010을 통해 직접 경로가 설정된다. SM 3000-N은 상기 타임 슬롯을 비지 상태로 표시하며 SM 3000-N의 지배를 받게 된다. 그후 SM 3000-N은 확인 메시지(H)를 SM 3000-1으로 다시 보내고 E-비트 연결성(I)을 CM 2000으로 보내는 전송이 시작되며 또한 E-비트 주사도 행해진다.
SM 3000-1은 확인 메시지(H)의 응답으로 E-비트 연결선(I)을 CM 2000에 보내고 또한 E-비트 주사를 시작한다.
SM 3000-N은 호출 처리를 끝내기 위해 E-비트 연결성을 받는다.
제12도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로 요청 메시지(A)와 단말 요청 메시지(B)를 이전과 같이 전송한다. SM 3000-N은 자체의 보유/지배 도표와 비트 맵 Z를 검사하여, SM 3000-N과 SM 3000-1 사이에 아이들 보유 경로가 없음을 결정한다. 그후 SM 3000-N은 비트 맵 Y를 포합하여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SM 3000-N으로 보낸다.
타임 슬롯 비트 맵 메시지(C)는 설정 완성 메시지(D)를 전송하기에 앞서 SM 3000-N으로 보내진다.
SM 3000-1이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수신할 때, 메시지에 포함된 SM 3000-N에 대하여, 비트 맵 X(비보유 아이들 상태 타임 슬롯)과 비트 맵 Y 사이에 정합을 조사한다. 제 4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떠한 정합도 발견되지 않는다. 그후 SM 3000-1은 자체 비트 맵 Y(지배 아이들 타임 슬롯)와 SM 3000-N에 대한 비트 맵1 Y와의 정합을 조사한다. 만일 정합이 발견되고, 선택 타임 슬롯이 다른 SM에 대해 보유 경로의 일부분일 경우, 다른 SM이, 이 SM과 SM 3000-1 사이의 이전 보유 경로를 더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메세지(E)를 통해 인식한다. SM 3000-1은 새로운 보유 경로 메시지(F)를, SM 3000-1과 SM 3000-N의 접속을 보유하는 회로망 타임 슬롯을 정의하는 SM 3000-N에 보낸다.
새로운 보유 경로 메시지(F)에 의해 정해지는 선택 타임 슬롯이 아이들 상태이고 다른 SM에 대해 상이한 보유 경로의 일부분으로서 SM 3000-N에 의해 지배될 경우, 그 밖의 SM은, 이 SM과 SM 3000-N 사이의 이전 보유 경로가 더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메시지(G)를 통해 인식한다.
선택 타임 슬롯이 SM 3000-N에 의해 허용될때, 접속 명령 메시지(H)가 CM(2000)에 보내져서, 적정 경로가 TMS 2010을 통해 설정된다. SM 3000-N은 타임 슬롯을 비지 상태로 표시하며, 상기 SM 3000-N의 지배를 받는다. 그후 SM 3000은 확인 메시지(I)를 SM 3000-1에 보내며, E-비트 연결성(J)을 CM 2000으로의 전송을 시작하고 또한 E-비트를 주사한다.
SM 3000-1은 확인 메시지(I)의 응답으로서 E-비트 연결선(K)을 CM 2000으로 보내어서, E-비트의 주사를 시작한다. SM 3000-N은 호출을 완결하기 위해 E-비트의 연결선을 수신한다.
제13도는 다섯 번째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로 요청 메시지(A)와 단말 요청 메시지(B)는 이전과 같이 해해진다. SM 3000-N은 자체의 보유/지배 도표를 검사하여 SM 3000-N과 SM 3000-1 사이에 아이들 상태의 보유 경로가 없음을 결정한다. 그후, SM 3000-N은 비트 맵 Y를 포함하여,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SM 3000-N에 전송한다.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는 설정 완성 메시지(D)의 전송에 앞서 SM 3000-N으로 전송된다.
SM 3000-1이 타임 슬롯 맵 메시지(C)를 수신할 때, SM 3000-N에 대하여 메시지내에 포함된 자체의 비트 맵 X(비보유 아이들 타임 슬롯)과 비트 맵 Y 사이의 정합을 조사한다. 그러나 어떠한 정합도 발견되지 않는다. 그후 SM 3000-1은 자체의 비트 맵 Y(지배 아이들 타임 슬롯)와 SM 3000-N에 대한 비트 맵 Y를 조사한다. 제5실시예를 따르면, 정합 상태는 결코 발견되지 않는다. SM 3000-1은 이러한 관점에서 SM 3000-1을 자체의 비트 맵 Z(전체 아이들 타임 슬롯)를 포함한 타임 슬롯 맵 메시지(E)를 SM 3000-N으로 보낸다. SM 3000-N이 타임 슬롯 맵 메시지(E)를 수신할때, 자체의 비트맵 Z와 SM 3000-1에 대해 메시지 자체내에 포함된 비트 맵 Z와의 정합을 조사한다. 만일 어떠한 정합도 찾지 못하면 호출이 장애를 받게 된다. 만일 정합이 발견되면, 선택 타임 슬롯은 다른 SM에 대한 다른 보유 경로의 일부분일 것이다. 만일 SM 3000-N이 상기 보유 경로를 지배하지 못할 경우, 지배권은 타임 슬롯이 수용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보유되어야 한다. 이것은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과 다른 SM으로부터의 인식 메세지(G)를 기다리는 것을 포함한다. 만일 선택 타임 슬롯이 SM 3000-N에 의해 지배된 일부분의 보유 경로일 경우, 그밖의 SM은 인식한 것만을 필요로 하지만 그밖의 어떠한 정보 메시지도 필요가 없어진다. SM 3000-N은 새로운 보유 경로 메시지(H)를, SM 3000-1과 SM 3000-N 접속용으로 보유된 회로망 타임 슬롯을 정하는 SM 3000-1으로 보낸다.
새로운 보유 경로 메시지(H)에 의해 정의된 선택 타임 슬롯은 SM 3000-1과 그밖의 SM간의 일부분의 보유 경로일 것이다. 만일 보유 경로가 SM 3000-1의 지배를 받지 않으면, 지배권을 타임 슬롯이 수용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보유되어야 한다. 이것은 메시지(I)를 보내는 것과 그밖의 SM으로부터의 정보 메시지(J)를 기다리는 것이다. 만일 선택 타임 슬롯이 SM 3000-1에 의해 지배된 일부분의 보유 경로일 경우 그밖의 SM은 인식만을 필요로 히지만 그밖의 정보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선택 타임 슬롯이 SM 3000-1에서 허용될 경우, 접속 명령 메시지(K)가 CM 2000에서 보내져서, 적정 경사로가 TMS 2010에 설정된다. SM 3000-1은 타임 슬롯을 비지 상태로 표시하여 지배한다. 그후 SM 3000-1은 확인 메시지(L)를 SM 3000-N으로 되돌려보내고, E-비트 연결선(M)을 CM 3000으로의 전송을 시작하여 E-비트를 주사한다. SM 3000-N은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E-비트 연결선(N)을 CM 2000으로 보내고 E-비트를 주사를 시작한다. SM 3000-1은 호출 설정을 위해 E-비트 연결선을 받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단 1개의 경로가 TMS 2010에 설정되어 2개의 SM들간의 접속을 유지하며, 상기 경로는 상기 설정 등록이 TSM 2010의 방해를 막기 위해 제거될때까지 이들 SM들간의 장래 호출에 대한 유지를 계속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두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 명령 메시지의 전송은 경로의 설정에 있어서의 기능적 필요성은 없다. 그러나 메시지의 전송은 교환 시스템(1000)의 성능을 높여준다.
비트 맵에 대한 비교(X에 대한 Y, Y에 대한 Y, Z에 대한 Z)는 지시된 순서로 행해지기 때문에, 시스템 내의 전체 보유 경로 갯수는 너무 많거나 작지 않으며, 호출 백분율에 대한 새로운 경로 획득이 행해진다.
교환을 통한 보유 경로 및 채널의 이용과 더불어, 통신 채널의 지배 및 완전 호출 처리에 기초한 지배권의 능동적 조절은 교환 시스템들 간의 쌍방향 회선에서도 이용가능하다.

Claims (7)

  1. 다수개의 호출 장치들간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 수단을 갖춘 장치에서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의 호출에 대한 호출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호출에 대한 호출 요청의 응답으로서 현재 아이들 상태에 있고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의. 접속을 위해 보유된 경로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B)단계 A)에서의 경로 결정에 따라, 상기 호출을 상기 결정된 경로에 지정하며, C) 단계 A)에서 경로의 미결정되면, 현제 아이들 상태에 있고 사용 가능은 하지만 제1, 제2수단의 접속을 위해 보유하고 있지는 않은, 상기 교환 수단의 경로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D) 단계 C)에서의 경로 결정에 따라, 상기 호출을 단계C)에서의 결정 경로에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단계 C)에서의 경로 결정에 따라. 이 경로를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간의 장래적 호출을 위해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F) 상기 교환 수단을 방해를 막기 위해, 단계 C)에서 결정된 보유 경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 방법.
  4. 다수개의 호출 장치들간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 수단을 갖춘 장치에서,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의 호출에 대한 호출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호출에 대한 호출 요청의 응답으로서, 제1호출수단과 제2호출 수단 사이에 설정되고, 현재아이들 상태인 상기 교환 수단의 경로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며, B) 단계 A)에서의 경로 미결정에 따라, 상기 교환 수단은 상기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간의 경로를 설정하며, C) 단계 B)에서 설정된 상기 경로를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간의. 장래적 호출에 대해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D) 상기 교환 수단의 방해를 막기 위해, 단계 C)에서 설정된 보유 경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 방법.
  6. 호출시에 통신을 행하는 다수개의 호출 수단과, 상기 다수 호출 수단들간의 경로를 제공하는 교환 수단과, 상기 교환 수단의 경로에 대해 보유 및 비지/아이들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호출 수단들중 제1호출 수단과 제2호출 수단간의 호출에 대한 호출 요청의 응답으로서 상기 보유 및 비지/아이들 상태 정보가 제1경로는 현재 아이들 상태에 있고 제1호출 수단 및 제2호출 수단의. 접속을 위해 보유하고 있음을 표시할 때, 상기 호출에 대해 제1호출 수단 및 제2호출 수단간의 교환 수단의 제1경로를 지정하고, 상기 보유 및 비지/아이들 상태 정보가 상기 교환 수단의 어떠한 경로도 현재 아이들 상태가 아이고 제1, 제2호출 수단의 접속을 위해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2경로는 현재 아이들 상태이나 제1, 제2호출 수단의 접속을 위해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고 있을 때, 상기 제1, 제2호출 수단간에 있는 제2교환 수단의. 제2경로를 지정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가 제1호출 수단 및 제2호출 수단의 접속을 보유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대한 제2지정에 관한 보유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701138A 1987-10-28 1988-02-12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KR960007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081 1987-10-28
US115,068 1987-10-28
US07/115,081 US4866708A (en) 1987-10-28 1987-10-28 Communication channel ownership arrangement
PCT/US1988/000439 WO1989004105A1 (en) 1987-10-28 1988-02-12 Switch path reservation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399A KR890702399A (ko) 1989-12-23
KR960007585B1 true KR960007585B1 (ko) 1996-06-05

Family

ID=22359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138A KR960007585B1 (ko) 1987-10-28 1988-02-12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KR1019890701137A KR960007584B1 (ko) 1987-10-28 1988-02-12 전기 통신 호출 처리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137A KR960007584B1 (ko) 1987-10-28 1988-02-12 전기 통신 호출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66708A (ko)
EP (1) EP0385982B1 (ko)
JP (1) JP2746398B2 (ko)
KR (2) KR960007585B1 (ko)
CA (1) CA1331398C (ko)
DE (1) DE3886547T2 (ko)
WO (1) WO1989004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9366A (en) * 1990-12-14 1992-06-02 At&T Bell Laboratories Call processing method for distributed switching
AU2188897A (en) 1996-02-13 1997-09-02 Roger F. Atkinson Multiple application switching platform and method
US6137875A (en) * 1997-05-30 2000-10-2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to minimize glare in interoffice trunk allocation
SE9904026L (sv) * 1999-11-05 2001-05-06 Net Insight Ab Metod för styrning av resurser i ett kommunikationsnät
SE9904025L (sv) * 1999-11-05 2001-05-06 Net Insight Ab Förfarande i ett digitalt kommunikationssystem
SE9904024L (sv) * 1999-11-05 2001-05-06 Net Insight Ab Förfarande i ett digitalt kommunikationssystem
US7433683B2 (en) * 2000-12-28 2008-10-07 Northstar Acquisitions, Llc System for fast macrodiversity switching in mobile wireless networks
US7082136B2 (en) * 2000-12-29 2006-07-25 Net Insight Ab Methods for controlling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191588A1 (en) * 2001-06-13 2002-12-19 Drexel University Integrated circuit and packet switching system
US7471692B1 (en) 2002-01-17 2008-12-30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call connect rate in a remote access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9864A (en) * 1954-01-08 1956-11-06 Bell Telephone Labor Inc Time and traffic controlled trunking system
US3391252A (en) * 1964-12-23 1968-07-02 Bell Telephone Labor Inc Apparatus for communication trunk circuits
BE756180A (fr) * 1969-09-19 1971-02-15 Western Electric Co Central de commutation de communications
US3860761A (en) * 1973-06-14 1975-01-14 Bell Telephone Labor Inc Digital progressively controlled switching system
US4038497A (en) * 1975-05-12 1977-07-26 Collins Arthur A Hardwired marker for time folded tst switch with distributed control logic and automatic path finding, set up and release
US4259549A (en) * 1976-10-21 1981-03-31 Wescom Switching, Inc. Dialed number to function translator for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control complex
US4317962A (en) * 1977-03-02 1982-03-0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Distributed control for digital switching system
SE411611B (sv) * 1978-05-22 1980-01-14 Ellemtel Utvecklings Ab Sett att vid en telefonstation der ledningarna kan beleggas savel fran denna station som fran en fjerrbelegen station forenkla valet av ledningar
JPS5616355A (en) * 1979-07-20 1981-02-17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Dispersion-type switchboard
US4322843A (en) * 1979-12-26 1982-03-3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JPS56104596A (en) * 1980-01-23 1981-08-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Electronic switching system
US4377859A (en) * 1980-09-02 1983-03-2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Time slot interchanger and control processor apparatus for use in a telephone switching network
US4340776A (en) * 1980-10-29 1982-07-20 Siemens Corporation Mod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4442321A (en) * 1981-06-08 1984-04-1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arent dialing between interconnected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s
US4530092A (en) * 1983-03-31 1985-07-16 At&T Bell Laboratories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having multiple time slot interchanger nodes
US4550404A (en) * 1983-05-11 1985-10-29 At&T Bell Laboratories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686672A (en) * 1983-10-13 1987-08-11 Nec Corporation TDMA communications apparatus having adaptive burst duration
US4621357A (en) * 1984-08-16 1986-11-04 At&T Bell Laboratories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US4644528A (en) * 1985-02-07 1987-02-17 At&T Bell Laboratories Terminating port determination in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US4763325A (en) * 1985-09-04 1988-08-09 Comsat Telesystems, Inc. Demand assigned reformatting with an overflow area for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4720854A (en) * 1985-12-17 1988-01-19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ntrol telecommunication systems
US4713806A (en) * 1986-03-14 1987-12-1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5982A1 (en) 1990-09-12
DE3886547D1 (de) 1994-02-03
CA1331398C (en) 1994-08-09
JPH03500949A (ja) 1991-02-28
EP0385982B1 (en) 1993-12-22
WO1989004104A1 (en) 1989-05-05
KR890702399A (ko) 1989-12-23
KR890702398A (ko) 1989-12-23
KR960007584B1 (ko) 1996-06-05
US4866708A (en) 1989-09-12
JP2746398B2 (ja) 1998-05-06
DE3886547T2 (de) 199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2715B1 (en) Switch path reservation arrangement
EP0550178B1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having distributed dialing plan hierarchy
US5386466A (en) Automatic initialization of a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 system
US5416834A (en) Redirection of calls by a communication terminal
EP0597569B1 (en)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external control of system terminals
EP0556515A2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having adaptive routing switching nodes
US4982325A (en) Applications processor module for interfacing to a database system
KR960007585B1 (ko) 교환 경로 보유 방법 및 장치
WO1996027266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4291860A (ja) 通信システムの予約管理方式
JP2991283B2 (ja)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
JPH02199956A (ja) 通信端末装置
JPH01138836A (ja) 端末制御方式
JPH11275221A (ja) 回線アダプタ群へのダウンロード方式
JPH0522760A (ja) 交換機における呼処理制御方式
JPH01254093A (ja) 通信方式
JPH1051566A (ja) コールバック発信機能を有するisdn通信装置とコールバック発信方法
JP2001224047A (ja) 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交換装置
JPS6273853A (ja) 宅内制御装置の着信方式
JPH06326703A (ja) 多地点間通信方式
JPH09204386A (ja) 通信制御装置
JPS6249741A (ja) 回線交換網
JPH0445648A (ja) Isdn通信方式
JPH09200815A (ja) 交換装置及び交換方法
JPS61264939A (ja) ロ−カルエリアネツトワ−ク用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